•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건강보험 노인의료비의 효율적 운영방안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우리나라는 2000년에 만 65세 이상 노인의 비율이 전체 인구의 7%

를 넘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19년에는 이 비율이 14.4%로 고 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견된다. 베이비부머 세대인 약 900만 명이 고령 화 사회에 접어드는 10년 후에는 더욱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의료 부문은 고령화로 인한 부담이 가장 큰 부문이다. 특히 인구의 고령화와 이로 인한 질병구조의 변화는 보건의료 부문의 근본적인 환경변화요인이 고 노인의료비의 직접적인 증가요인으로 작용한다.

노인의료비는 노인인구 증가와 그에 따른 질병구조변화로 인하여 자 연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는 요인이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노인의료 이용을 적정하게 유도할 수 있는 건강보장 제도의 개선이나 관리운영의 개선을 통하여 의료비 지출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다시 말해 노인인구 증가에 의한 질병이 늘어났고, 이에 대한 적정치료 를 위해 진료비가 늘어난 것이라면, 이는 적정의료이용으로 효율적인 의 료지출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노인의료비 및 노인 의 료이용의 실태분석과 노인의료비 증가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노인의료비 및 노인 의료이용 실태는 노인인구 증가, 요양기관종별 증가, 질환별 증가, 고액진료비, 장기입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여 노인 의료비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노인의료비 증가요인 분석을 통해 노인의료비 지출을

효율화할 수 있는 방안을 수요자, 공급자, 제도적 측면과 중장기적인 관 리방안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2. 주요 연구결과

건강보험 노인의료비는 2003년 4조에서 2011년 15조로 연평균 16.9% 증가하였으며, 전체진료비에서 노인의료비가 차지하는 비중 또한 21.2%에서 33.3%로 증가하였다. 의료이용형태별로 보면, 입원부문은 연평균증가율이 19.8%로 세 부문 중 가장 높았으며, 분석기간 동안 64 세 이하대상자 진료비 대비 노인의료비 점유율에 있어서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노인의료비 증가 기여도 측면에서 의료서비스 형태에 따라 대상자수 증가가 26.5%~35.8%, 1인당 내원일수가 22.1%~60.5%, 내원일당진료 비가 5.1%~46.1%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입원의 경우 1인당내원 일수 증가가 60.5%로 다른 노인대상자수, 1인당내원일수 두 요인에 비 해 기여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약국의 경우 내원일당진료비의 기여 율이 46.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1〉건강보험 노인의료비 증가 항목별 기여도

(단위: %)

구분 전체 입원 외래 약국

증가율 기여도 증가율 기여도 증가율 기여도 증가율 기여도 노인대상자수 4.9 30.4 4.9 26.5 4.9 35.8 4.9 31.8 1인당내원일수 4.9 30.4 11.2 60.5 3.7 27.0 3.4 22.1

내원일당진료

6.3 39.1 2.4 13.0 5.1 37.2 7.1 46.1 진료비증가 16.9   19.8   14.3   16.1  

노인의료비 증가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65세 이상 노인의료이용양상에

가장 큰 요소는 만성질환으로 만성질환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들 의 의료이용 빈도, 특히 외래의료이용량이 증가하게 된다. 다른 인구, 사 회적, 경제적 요인들은 고정효과를 통제할 경우 추정값과 통계적 유효성 이 다소 상이하여 향후 상세한 연구를 통해 결론을 내려야 할 것 같다.

특히 만성질환에 관한 결과는 노인들의 본인부담의료비 지출양상을 살펴 보기 위해 보건복지부의 노인실태조사자료를 분석한 이은경(2012)의 결 론과 일치한다. 또한, 미국 메디케어 프로그램의 의료비 증가의 원인으 로 만성질환자수의 증가와 복합질환 환자의 증가를 증거로 제시한 Thorpe와 Howard(2006)와도 일맥상통한다.

3. 결론 및 시사점

노인의료비의 증가는 다른 연령계층에 비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효율적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리방안은 공급자측면, 수 요자 측면, 건강보험제도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할 수 있다.

공급자 측면에서는 과다의료이용 유발기관에 대한 관리 강화, 노인의 료비용 정보체계 구축, 공공의료기관의 확대 및 보건기관의 의료서비스 향상, 노인의료비 관리지표 개발 및 내부경쟁 체제 유지, 노인들에 대한 유인진료행위 억제 등을 들 수 있다.

수요자 측면에서는 노인의 건강생활습관 및 건강운동실천사업 강화, 합리적 의료이용 교육 및 정보 제공, 합리적 의료이용지원 방안 마련 추 진 등을 들 수 있다.

건강보험 제도측면에서는 노인의료체계 및 진료비 지불제도 개편,,호 스피스 및 완화의료 제도화, 노인 연령 기준 변경 및 본인부담 조정, 요 양병상 적정 공급 및 기능 정립과 통합케어, 노인장기요양보험 기능 재 정립 등을 들 수 있다.

▶ 회원에 대한 특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