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족유형별 여가시간 및 시간부족인식의 변화

교제활동, 미디어활용, 산책, 술담배, 그냥쉼 등

3. 가족유형별 여가시간 및 시간부족인식의 변화

장 저 출 산 고‧ 령 화 와 가 족 유 형 별 삶 의 질

3. 가족유형별 여가시간 및 시간부족인식의 변화

삶의 질의 중요한 척도인 여가시간의 양과 질의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99년을 기준으로 살펴보면(그림 Ⅲ-19), 남성들의 경우 가족유형에 따라 여가시간의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지만, 여성들은 매우 큰 차이를 보 여주고 있다. 가족유형별로는 맞벌이가족 여성들의 여가시간이 가장 짧고, 한부모가족 여성들이 중간이며, 남성홀벌이가구 여성들의 여가시간이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아동유무와 아동연령에 따라 분명한 패턴이 나타 나는데, 가구유형과 성별을 불문하고 상대적으로 미취학아동 부모기의 여가 시간이 가장 짧아 가족유형/성별로 U자(무자녀-미취학-취학의 순서를 기준 으로 할 때) 분포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여가시간이 긴 집단일수록 분명 하게 나타나고 있다.

여가의 종류별로는 모든 가족형태에서 여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인 소일형 여가가 가장 비중이 높으며, 상위수준의 여가 비율이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 로 나타난다. 다만 여가시간이 매우 긴 전업주부 여성들은 참여형 여가시간 도 비교적 긴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Ⅲ-19〕가족유형별 여가시간(1999)

(단위: 시간/일)

자료: 생활시간조사(1999)

164

저출 산 고‧ 령 화가 가 족 형 태 및 개인 의 삶 의 질 에 미 치 는 영 향

2009년을 살펴보면(그림 Ⅲ-20), 우선 전반적으로 여가시간이 1시간 정 도 줄어든 것이 발견된다. 맞벌이가구 여성들의 여가시간이 가장 짧고 남성 홀벌이가구 여성들의 여가시간이 가장 긴 것은 유사하나 가족유형별 차이 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반면 가족 내에서 아동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다소 커진 것으로 나타나는데, 맞벌이가족이나 한부모가족에서 무자녀-미취학-취학을 잇는 U자의 깊이가 다소 깊어졌다.

〔그림 Ⅲ-20〕가족유형별 여가시간(2009)

(단위: 시간/일)

자료: 생활시간조사(2009)

보다 구체적으로 여가의 범주별로 시간변화의 증감을 분석해보면〔그림

Ⅲ-21〕,〔그림 Ⅲ-22〕,〔그림 Ⅲ-23〕과 같다. 모든 가족형태에서 소일형 여가는 절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여가의 절대량이 감 소하는데도 불구하고, 소일형 여가 외의 여가시간은 다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적극적인 즐거움을 추구하는 형태인 유흥형 여가도 대부분의 가족형태에서 다소 증가하였으며, 자기계발형 여가와 같은 상위수준의 여가 도 미취학아동이 있는 한부모를 제외한 모든 가족유형에서 약간이나마 증 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절대수치로는 상위수준 여가의 큰 증가가 보이

165

제 3 장 저 출 산 고‧ 령 화 와 가 족 유 형 별 삶 의 질

지 않으나, 여가의 절대시간이 감소한 것에 비추어 볼 때 상대비율로는 상 위수준 여가의 비중이 다소 높아진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경향은 상위수 준의 여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절대 여가시간의 부족으로 실제로 여가를 향유하는 집단은 많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림 Ⅲ-21〕맞벌이가족의 여가시간 변화(1999~2009)

(단위: 시간/일)

자료: 생활시간조사(1999, 2009)

〔그림 Ⅲ-22〕홀벌이가족의 여가시간 변화(1999~2009)

(단위: 시간/일)

자료: 생활시간조사(1999, 2009)

166

저출 산 고‧ 령 화가 가 족 형 태 및 개인 의 삶 의 질 에 미 치 는 영 향

〔그림 Ⅲ-23〕한부모가족의 여가시간 변화(1999~2009)

(단위: 시간/일)

자료: 생활시간조사(1999, 2009)

한편 가족유형별 시간부족인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혀 시간이 부 족하지 않다’를 0으로 하고 ‘항상 시간이 부족하다’를 100으로 하여 점수 를 환산하였을 때, 1999년에는 대부분의 가족이 50점 이상을 보이고 있어 시간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Ⅲ-24). 유일하게 50점 미만의 점수를 보여 시간이 부족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는 집단은 무자녀 전업주부 여성이었다. 맞벌이 여성들과 한부모 여성들의 시간부족인 식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며, 예외적으로 미취학아동을 둔 남성한부모의 시 간부족인식이 상당히 높게 보고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가족형태에서 미취학 아동이 있을수록 시간부족인식이 높은 역U자형을 보여주고 있어 여가시간 총량의 경향과 반대의 모양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009년의 경우에도(그림 Ⅲ-25) 전반적인 경향은 유사한데, 미취학아동이 있는 한 부 모 남녀의 시간부족인식은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미취학아동이 있는 남성 한부모의 시간부족인식은 크게 감소한 반면, 미취학아동이 있는 여성한부모 의 시간부족인식은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가 일반화될 수 있는 것인 지는 더 많은 사례를 가지고 후속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167

제 3 장 저 출 산 고‧ 령 화 와 가 족 유 형 별 삶 의 질

〔그림 Ⅲ-24〕가족유형별 시간부족인식(1999)

(단위: 점)

자료: 생활시간조사(1999)

〔그림 Ⅲ-25〕가족유형별 시간부족인식(2009)

(단위: 점)

자료: 생활시간조사(2009)

168

저출 산 고‧ 령 화가 가 족 형 태 및 개인 의 삶 의 질 에 미 치 는 영 향

구체적으로 가족유형별 시간부족인식 변화량을 살펴보면(그림 Ⅲ-26, 그 림 Ⅲ-27, 그림 Ⅲ-28), 앞서 여가시간 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미취학아동 이 있는 여성들의 시간압박이 강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맞벌이, 홀벌이, 한 부모가족 모두에서 미취학아동이 있는 여성들이 경험하는 시간압박이 강해 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자녀유무와 연령에 따라 여가시간이 양극화 되고 있다는 앞서의 분석과 일관된 결과이다. 절대여가시간의 부족은 시간 부족인식에서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한편, 남성들의 경우에는 일관된 경 향을 보여주지 않고 있다.

〔그림 Ⅲ-26〕맞벌이가족의 시간부족인식 변화(1999~2009)

(단위: 점)

자료: 생활시간조사(1999, 2000)

169

제 3 장 저 출 산 고‧ 령 화 와 가 족 유 형 별 삶 의 질

〔그림 Ⅲ-27〕홀벌이가족의 시간부족인식 변화(1999~2009)

(단위: 점)

자료: 생활시간조사(1999, 2000)

〔그림 Ⅲ-28〕한부모가족의 시간부족인식 변화(1999~2009)

(단위: 점)

자료: 생활시간조사(1999, 2000)

170

171

제 3 장 저 출 산 고‧ 령 화 와 가 족 유 형 별 삶 의 질

셋째, 지난 10년간 절대여가시간과 시간부족인식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시간압박이 강화되었으며, 압박된 여가시간 중에서도 고급여가에 대한 관심 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가족형태와 성별에서 여가시간은 전반적으로 1시간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시간압박의 강화는 특히 여가시간의 절대량이 작은 미취학아동 어머니들에게 더욱 집중되고 있어, 특히 맞벌이가족의 경우 이들의 시간빈곤은 주관적, 객관적으로 모두 심각한 수준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가시간 감소는 주로 소일형여가 등 낮은 수준의 여가에서 나타났고, 유흥형여가나 자기계발형여가 등 보다 상위수준의 여가비중이 다소 증가하였다.

결국, 지난 10년간 시간변화는 시간압박의 강화와 소극적인 재량 및 균 형의 증가로 요약할 수 있다. 모든 가족유형에서 일시간의 감소가 나타났으 나 이는 적극적인 여가시간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고 개인유지 범주 내에서 의 소극적 재량행동 증가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시간압박이 큰 맞벌이 미 취학아동 둔 가족의 경우, 심각한 시간빈곤 속에서도 남성들의 가사돌봄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발견되고 있었다. 사회적 시간리듬은 점차 가속화되 고 있고, 그 속에서 개인들은 제한적이나마 재량과 균형을 확보하는 방식으 로 삶의 질 향상전략을 추구하고 있었다.

K I H A S

04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