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鷄川君 12世孫 楚軒公 李發] 楚軒公家狀(초헌공가장) 목차

–男(남) 昌雨(창우) 述(술)

【계대(系代)】 ①계천군(鷄川君) 이종직(李從直) → 1世孫 ①현감공(縣監公) 길상 (吉祥) → 2世孫 ②광주목사공(光州牧使公) 영(聆) → 3世孫 ①강서현령공(江西縣令 公) 세양(世良) → 4世孫 ①증판윤공(贈判尹公) 호(豪) → 5世孫 ②사복시판관공(司 僕寺判官公) 유정(惟精) → 6世孫 ①첨정공(僉正公) 질(晊) → 7世孫 진사공(進士 公) 태응(台應) → 8世孫 ①현(絢) → 9世孫 ①봉노(鳳老) → 10世孫 ④협(莢) → 11世孫 ①사눌(思訥) → 12世孫 초헌공(楚軒公) 발(發)

公姓李諱發字仲華號楚軒系出慶州新羅佐命大臣諱謁平之後也至麗季有諱之秀三重 大匡金紫光祿月城君是生諱揆官四宰諡貞烈是生諱元林判司僕寺事是生諱蔓實吏曹判 書是生諱從直贈判尹鷄川君於公爲十二代祖也自鷄川君五傳而有諱惟精司僕寺判官 宣 廟壬辰扈 駕龍灣回路獲疾落住鳳山因以終焉鳳州之寓我李自公始也再傳而有諱台應成 均進士首入於校院八人薦錄爲西州雅望是生諱絢絢生諱鳳休鳳休生諱莢莢生諱思訥即 公之高曾祖禰而俱不仕以山水文籍自娛妣全州李氏範錫女公生于 正廟庚子四月二十七 日天賦之姿聰明特達年纔六七便脫然欲學聖賢書十三成文章十七名冠八才士參同稧一 道內識與不識莫不稱賞先王考性本嚴恪嫌其早就每當詞賦斤正之時雖文工意精必以墨 塗改之曰此皆藻繪禰簿之態非典重溫雅之體也抑而責之故公之文詞絶去翰墨畦程而卒 托於道德仁義炳如者以其有家庭素訓也歲在乙丑王父客於京師卒於貞洞旅次公以單身 猝遭巨創半千里奔喪哀毀叫絶見者莫不掩泣送終諸節致誠致愼返葬于甘棠下泉洞子坐 之原侍墓三霜晨夕號昊此非孝行疏節實是精誠所到服闋闢一精舍奉祭祀必敬處忌日如 喪洞屬匪懈年踰弱冠旣失所怙遂無意於進取徜徉乎塵埃之表涵泳乎道義之源懷握瑾瑜 不自衒鬻以壽終焉 哲廟甲寅四月八日也葬于泉洞先塋前子坐配白川趙氏邦蘭女生六男 男長翼夏先公早卒繼男相浩相浩男晉炯其餘諸子諸孫名字以載譜牒中復何校擧哉嗚呼 公之容貌溫潤如玉公之志操瀅潔若冰文以貫道詩亦脫胎固是士林冠冕述作模楷而辶矣 西土竟無汲引之路百世之下未免澌盡而泯滅玆豈非來許終天之痛耶顧以後生齒莾不敢 爲溢美一語以俟立言君子倘或有哀其志而圖其所以不朽者歟

●[계천군 12세손 초헌공 이발] 초헌공가장(楚軒公家狀) 역문(譯文)

-남(男) 창우(昌雨) 술(述)

공의 성은 이씨(李氏)요, 휘는 발(發)이요, 자는 중화(仲華)며 호는 초헌(楚軒)이니 경주인 (慶州人)이다. 신라(新羅) 좌명대신(佐命大臣) 휘 알평(謁平)의 후손이요, 고려(高麗) 말 휘 지수(之秀)는 삼중대광(三重大匡)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월성군(月城君)이며 휘 규(揆)

를 생하니 벼슬은 사재(四宰)요, 시(諡)는 정렬(貞烈)이며 휘 원림(元林)을 생하니 판사복시 사(判司僕寺事)요, 휘 만실(蔓實)을 생하니 이조판서(吏曹判書)요, 휘 종직(從直)을 생하니 증판윤(贈判尹) 계천군(鷄川君)이니 공에 12대조가 된다. 계천군(鷄川君)부터 5대를 내려와 휘 유정(惟精)은 사복시판관(司僕寺判官)이니 임진란(壬辰亂) 때 어가(御駕)를 모시고 용만 (龍彎)까지 갔다가 회로(回路)에 병을 얻어 봉산(鳳山)에 떨어져서 거기서 별세하니 봉산(鳳 山) 땅에 우리 이가(李家)가 살게 된 것이 공으로부터 시작이다. 2대를 내려와 휘 태응(台 應)은 성균진사(成均進士)로 교원(校院) 8인 천록(薦錄)에 들어서 서주(西州)에서 명망(名望) 이 있는 집이 되었고 이분이 휘 현(絢)을 생하고 현(絢)이 생 봉휴(鳳休)하고 봉휴(鳳休) 생 협(莢)하고 협(莢)이 생 사눌(思訥)하니 공의 고조·증조·조·고라. 다 벼슬을 아니 하고 산수 (山水) 문장(文章)으로 즐거이 세상을 보냈다. 비(妣)는 전주이씨(全州李氏) 범석(範錫)의 따 님으로 정묘(正廟) 경자(庚子) 4월 27일에 공이 출생했다.

하늘이 낸 공의 모습은 총명하고 활달하여 나이 겨우 6, 7에 성현(聖賢)의 글을 배우고자 하며 13세에 문장(文章)을 성취하고 17세에 이름이 여덟 재사(才士) 중에 으뜸이라 한 동네 에서 아는 사람 모르는 사람 간에 칭송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왕고(王考)께서 성품이 엄 격해서 너무 일찍 성취하는 것을 혐의(嫌疑)해서 매일 글을 고를 때는 비록 글이 잘 지었더 라도 반드시 고르면서 말씀이 이 글은 추잡하고 경박한 태도요, 정중하고 온아한 격이 아 니라면서 항상 꾸짖으니 공의 글이 화려한 문체는 버리고 결국 도덕에 의탁하여 나종 인의 (仁義)가 밝아진 것은 선대훈계의 탓이라. 을축년(乙丑年)에 조부께서 서울에 가셨다가 정동 여관(貞洞旅館)에서 별세하시니 공이 졸지에 대사를 당하여 5백 리 길에 분상(奔喪)을 가시 어 애통혼절(哀痛昏絶)하니 보는 사람이 다 울었다. 초종장례(初終葬禮)를 예(禮)에 따라 치 르고 감당하천동(甘棠下泉洞) 자좌(子坐)의 언덕에 안장하고 시묘삼년(侍墓三年)에 아침저녁 하늘을 부르니 이것이 효행과 정성이 지극한 소치라. 복(服)을 마치고 집 한 채를 짓고 제 사를 받들되 엄숙하고 공정하며 제삿날이 오면 상중과 같이하여 동동촉촉(洞洞屬屬)4)하고 나이 약관시절(弱冠時節)에 부친을 여의고 벼슬에 뜻이 없어 티끌 바깥세상에서 살고 도의 의 근원 속에 함양하여 세상일에는 한눈도 팔지 않고 집에서 고종명(考終命)하니 철종(哲 廟) 갑인(甲寅) 4월 8일이다. 천동선영(泉洞先塋) 앞 자좌(子坐)에 안장했다.

배(配)는 백천조씨(白川趙氏) 방란(邦蘭)의 따님이니 생 6남하다. 장남은 익하(翼夏)니 공 보다 먼저 죽고 양자(養子)에 상호(相浩)요, 상호(相浩) 남에 진형(晉炯)이니 그 나머지 아들 손자의 이름은 보첩(譜牒)에 다 실려있으니 여기는 생략한다. 공의 용모는 따습고 맑기가 옥(玉)과 같고 공의 지조는 깨끗하고 정하기가 얼음과 같으며 글은 도(道)를 관통하고 시 (詩)도 또한 탈태(脫胎)하니 사림(士林)에서 으뜸가는 인물이나 서토(西土)에서는 끌어주는 사람이 없어 백세(百世) 뒤에는 점점 자취와 행적(行蹟)이 희미하게 없어지니 이 어찌 자손 들의 종천(終天)의 한이 아니랴. 나 같이 우둔한 만생(晩生)이 감히 좋은 말로 꾸미랴. 할 말을 써서 뒤에 군자(君子)를 기다리노니 혹, 이 글을 어여삐 여겨 오래도록 썩지 않는 방 법을 도모할진저.

4) 동동촉촉(洞洞屬屬) : 공경하고 삼가며 매우 조심스러움.

□[鷄川君 12世孫 楚軒公 李發] 楚軒先生李公行狀(초헌선생이공행장)

–門人(문인) 黃禮源(황예원) 撰(찬)

【계대(系代)】 ①계천군(鷄川君) 이종직(李從直) → 1世孫 ①현감공(縣監公) 길상 (吉祥) → 2世孫 ②광주목사공(光州牧使公) 영(聆) → 3世孫 ①강서현령공(江西縣令 公) 세양(世良) → 4世孫 ①증판윤공(贈判尹公) 호(豪) → 5世孫 ②사복시판관공(司 僕寺判官公) 유정(惟精) → 6世孫 ①첨정공(僉正公) 질(晊) → 7世孫 진사공(進士 公) 태응(台應) → 8世孫 ①현(絢) → 9世孫 ①봉노(鳳老) → 10世孫 ④협(莢) → 11世孫 ①사눌(思訥) → 12世孫 초헌공(楚軒公) 발(發)

公姓李諱發字仲華楚軒其號也系出慶州新羅佐命大臣諱謁平麗初兵部侍郎諱申佑麗 季金紫光祿大夫三重大匡諱之秀入我 朝吏曹判書諱蔓實雞川君諱從直之後也雞川君生 諱吉祥蔭仕縣監縣監公生諱聆牧使牧使公生諱世良縣令縣令公生諱豪參奉贈漢城府右 尹即公之先祖也扈 聖功臣司僕寺判官諱惟精贈濟用監僉正諱晊成均進士諱台應即公之 五六七代祖也高祖諱絢曾祖諱鳳休祖諱莢考諱思訥俱不任妣全州李氏範錫女也公生于 正廟庚子四月二十三日卒于 哲廟甲寅四月八日享年七十有五葬于甘棠之泉洞子坐先塋 前配白川趙氏邦藺女生六男曰翼夏曰翼商改昌雨曰翼周曰翼魯出系曰翼漢曰翼東改東 雨翼夏生四女取昌雨第二子相浩爲嗣女淸風金東植慶州金學洙利川徐榮東密陽朴萬祚 昌雨生四男壽麟相浩出系相淵相源翼周生一男一女男相湧女慶州崔孝達翼魯生二男一 女男相泌相泳女順興安福天翼漢生二男三女男相淨相潤女玄風郭再祿全州崔成祿白川 趙斗星東雨生一男二女男相準女幷未筓相浩男晉炯金學洙男徐榮東男朴萬祚男並幼壽 麟生一男一女男觀炯女未筓相淵生二男一女男咸炯漸炯女幼相源生一女幼相湧男斗炯 相必生二男一女男光炯粲炯女幼相淨二女郭再祿二男趙斗星一男並幼內外子子孫孫根 於公之一身柯葉蕃衍有方與未艾之象嗚呼先生簪纓後裔仍寓西土頂針七代文獻世有大 方家聲積累之蔭丕闡于公自幼篤學講業于家庭博涉經史究覽墳籍十三成文章十有六七 名播道內首爲八才士之冠冕其聰明姿質天所賦命也庚戌丁內艱年纔十一而執喪哀毀踰 節乙丑丁外憂于京師之貞洞旅次孑孑隻影半千里奔喪送終禮制極盡誠敬返葬于鳳陽甘 棠下泉洞子坐之原每以病席之不得侍湯臨終之未承遺命冤積于心晨夕拜墓泣血三載古 人蒙莪之感風樹之哀比諸公情狀猶屬歇後耳旣失怙恃遂無意於進取隱居敎授弟子稍益 精舍不能容敎誨之諄諄必因其才有如化工隨物賦形飮河各充其量觀於言談舉止不問可 知爲先生弟子也公之學以德行爲本才藝爲末嘗曰入則孝出則恭汎愛親仁行有餘力則以 學文者此非聖人之訓乎而吾與汝所當書紳而刻心者也余雖鹵莽負笈從公受業門下者盖 亦有年矣觀夫子之孝思也德行也不亦君子乎聞夫子之談笑焉訓戒焉其惟逸士乎餘事功 令之作亦冠絶當世公固不以文而傳名者雖以文而傳亦足以壽公名也昔李漢目爲昌黎之 集蘇軾手述居士之傳先生學行不讓乎韓歐二公而小子薄識有愧于蘇李諸賢然辱知最厚 且親遂攟摭見聞謹書如右後之君子必不以余言爲妄

*慶州李氏鼎珉錄 v2 (泰炯 編輯)

●[계천군 12세손 초헌공 이발] 초헌선생이공행장(楚軒先生李公行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