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保健醫療分野 對北 人道的 支援 現況

Ⅳ. 南北 保健醫療 交流協力의 現況

1. 保健醫療分野 對北 人道的 支援 現況

가. 國內 對北支援

1995년부터 2002년 12월말까지 국내 대북 인도적 지원 총액은 74,688만불로, 정부와 민간 모두에서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그림 Ⅳ-1 참 조). 1995년도에는 북한의 자연재해로 인해 23,225만불이 지원되었으며, 1996년 에 460만불로 감소한 후 다시 증가추세를 보였다.

〔그림 Ⅳ-1〕 年度別 人道的 支援 現況

자료: 통일부 인도지원국

대북지원에서 정부와 민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계속 변화해 왔다. 8년 동안 정부차원의 지원은 평균적으로 전체 인도적 지원의 약 71%를 차지하였다.

1995년에는 99.9%가 정부지원이었으나, 점차 감소하다가 2002년에는 다시 증가 하였다(그림 Ⅳ-2 참조).

〔그림 Ⅳ-2〕 人道的 支援에서 政府와 民間의 比率

0% 20% 40% 60% 80% 100%

95 96 97 98 99 00 01 02

연 도 정 부

민 간

인도적 지원의 분야별 분포는 [그림 Ⅳ-3]과 같다. 1995년 6월부터 2002년까 지의 인도적 대북지원 중에서 식량, 피복류(의류, 신발 등) 등의 일반구호가 43,140만불로 전체 지원액의 58%로 가장 많았으며, 비료, 종자, 축산, 농자재 등의 농업구호가 25,794만불로 전체 지원액의 35%를 차지하였다. 보건의료분야 에는 전염병퇴치, 의약품, 의료장비 등이 포함되며, 전체 인도적 지원의 7%인 5,754만불이 지원되었다. 보건의료 분야는 식량구호와 농업복구 분야에 비해 낮 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매년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하고 있다.

정부차원에서의 보건의료분야 대북지원은 국제기구를 통한 간접지원으로 이 루어졌다. 1997년 WHO를 통한 보건의료 지원이 있었고, 2001년과 2002년에는 WHO의 말라리아 방제 프로그램을 지원하였다. 1999년부터 정부는 비료와 내 의를 직접지원하였고, 직접지원의 원칙을 견지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보건의 료 분야에서도 직접지원이 가능하리라고 판단된다. 민간차원에서의 지원을 보 면 대부분이 결핵약, 구충제, 항생제, 영양제 등의 의약품 지원과 X-Ray, 구급 차, 검진차 및 진단장비 등의 의료기기였다(표 Ⅳ-1 참조).

南北 保健醫療 交流協力의 現況 51

지했다. 2002년도(10월 27일 현재)에는 국내 지원이 전체 대북지원의 34.8%로, 전세계 대북한 지원국 중 1위에 올랐다. 이어 개별국가로 미국(33.7%)이 2위, 개인과 NGO(13.2%)가 3위를 차지했다.28)

〔그림 Ⅳ-4〕 國內와 國際社會의 對北 人道的 支援 現況

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95 96 97 98 99 00 01 02 연도

만불

국내(정부+ 민간) 국제사회 총계

유엔 인도지원조정국(UN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OCHA)은 95년부터 유엔합동어필(UN consolidated Inter-Agency Appeal for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을 통해 대북지원을 추진해 왔다. 유엔합 동어필은 6개 세부(sector) 분야(농업, 조정 및 지원 서비스, 교육, 식량, 보건, 식수 및 위생)를 포함하고 있다. 전체 대북지원에서 식량지원이 대부분을 차지 하고, 보건의료분야는 2001년 1.8%, 2002년 3.3%, 2003년에는 약 7.6%로 증가될 계획이다. 유엔합동어필에서 추진한 대표적인 보건의료분야 지원사업은 <표 Ⅳ-2>

와 같다. WHO의 말라리아와 결핵 사업, UNICEF와 WHO의 확대 예방접종 프로 그램(Expended Programme on Immunisation, EPI)과 소아마비 퇴치사업, UNICEF 의 필수의약품 지원, UNFPA의 생식보건 등이 최근에 시행된 프로그램이다.

28) UN OCHA, UN consolidated Inter-Agency Appeal for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2003, United Nations: New York and Geneva, 2002.

南北 保健醫療 交流協力의 現況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