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참여연구진│ - knps.or.kr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Share "│참여연구진│ - knps.or.kr"

Copied!
133
0
0
더 보기 ( 페이지)

전체 글

채희영 국립공원연구소 부원장. 총괄 책임 : 국립공원연구소장 정원옥. 국립공원 해안공간정보 연구방법 및 결과.

통합연구체계 구축 배경 및 필요성

따라서 육지가 끝나는 곳과 바다가 시작되는 곳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우며, 선형적 개념(해안선)보다는 공간적 개념(해안지역)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원·사구 통합연구체계 구축 개요 1. 통합연구체계 구축의 배경과 필요성. 국립공원관리청 6) : 분석지역은 연안관리법에서 규정한 해안선(최고 조위)부터 해변, 모래토 및 퇴적물이 있는 나지, 실내 복개 지역까지 공원 경계 내로 결정된다. 식물과 함께.

[그림  1-2]  연안의  다양한  기능들 3)
[그림 1-2] 연안의 다양한 기능들 3)

국립공원 갯벌 및 사구 통합 연구 시스템 구축에 관한 2년차 최종 보고서입니다.

해안공간정보연구 국립공원 1.1) 초분광영상을 포함한 광학영상 및 센서는 햇빛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고, 입사된 태양에너지에 의해 육지에서 반사되는 에너지를 기록하며, 바다는 육지와 달리 3차원 입체구조를 가지고 있다. 위에 물이 있는 구조. ③ 따라서 각 픽셀에서 맑은 수역의 반사 정도의 차이를 수면의 반사로 간주하여 빼는 것이 원리이다. 위에서 언급한 Beer의 법칙을 바탕으로 Lyzenga(1978)는 수주(수심)와 해저의 반사율과 수역의 반사율 사이의 관계를 다음 식으로 정의했으며, 이에 따라 관측된 반사율은 다음과 같다. 물. 표면은 바다의 바닥 반사이며 수역 기둥의 합으로 인해 수심에 따라 순 반사율이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합니다.

[그림  2-2]  공간적  범위
[그림 2-2] 공간적 범위

자료 취득

콘크리트 아스팔트 Sabin Ripstone 진흙 암석 식물 TTP.

[그림  2-21]  식물,  흙,  물의  분광반사율
[그림 2-21] 식물, 흙, 물의 분광반사율

자료 처리

국립공원 연안공간정보조사 3. 1) 물 반사율 보정은 Headley(2005)가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물에서 반사되는 정반사를 보정하는 과정이다. 국립공원 해안공간정보 연구 3. 1) 전자기에너지(햇빛)는 물에 의해 흡수되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흡수되는 양은 기하급수적인 형태를 보이며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해저에 도달한다.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하므로 해저에서 반사되는 에너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심에 따른 반사율의 변화를 보정해야 합니다. 국립공원 연안공간정보조사 3. 국립공원 연안공간정보조사 3. 국립공원 연안공간정보조사 3. 대분류, 중분류, 색상코드. ① 지도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인 SAM(Spectral Angle Mapper)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표준분광반사율을 이용하여 영상 내 각 픽셀의 물질을 분류하였다.

③ 이러한 변동과 오류로 인한 오분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SAM(Spectral Angle Mapper) 알고리즘은 스펙트럼 반사율을 밴드 수 공간에서 벡터로 가정한 후 각도를 기준으로 벡터의 방향을 비교합니다. 이 방법은 스펙트럼 반사율의 증가/감소 패턴을 결정합니다. 비교한다는 것은 절대값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모양을 비교하는 방법에 해당한다. ① 보정된 초분광 이미지의 분류는 위에서 언급한 3가지 표준 분광 반사와 분광 각도 매퍼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② 분광각 매퍼 알고리즘은 표준 분광 반사율과 각 픽셀의 분광 반사도 각도를 비교하여 픽셀을 가장 작은 각도의 표준 분광 반사율에 해당하는 클래스로 분류하지만, 초기 분류 결과는 영상 노이즈나 다양한 환경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잘못 분류된 픽셀이 많습니다.

③ 이러한 오분류된 픽셀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변 픽셀의 등급분포를 비교하는 다수 필터링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그림 2-38]은 보정된 이미지와 SAM 분류 결과 이미지, 필터링을 적용한 분류 결과 이미지를 보여준다. 예시로 제시됩니다. ① 이미지를 이용한 물질분류 결과는 이미지 형태의 네트워크 형태의 데이터로서 용량이 매우 크고, 다른 데이터와 중복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선박이 진입하기에는 수심이 너무 얕은 경우에는 CZMIL(공중 레이저 수심 측정 데이터)이 사용됩니다. 본 연구에서는 초분광 영상의 전처리, 표준 분광 반사율 및 분광각 매핑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동 분류, 참조 데이터를 이용한 수동 편집을 통해 해안습지 유형의 최종 분류 결과를 얻었다[그림 2-41].

[그림  2-28]  대기보정을  위한  입력인자  예시
[그림 2-28] 대기보정을 위한 입력인자 예시

분석 결과

무인기를 이용한 해안선 DEM 제작

뿐만 아니라, DEM을 기반으로 정사영상 생성도 가능하므로 해안지역13)의 미세한 조건과 변화를 탐지하는데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공원 해안공간정보조사 5.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해안선 DEM 구축. 상태정보, 위성상태, 데이터 저장, RTK, 측지측량, 측정량 등 좌표계 설정 원스텝, 투스텝으로 클래식 3D 변환이 가능합니다.

3)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90m/pixel 정사사진 영상보다 20cm/pixel 미만의 정확도와 높은 공간해상도를 갖는 DEM을 생성한다. 국립공원관리청, 국립공원연구소. 국립공원 진흙 및 사구 통합 연구 시스템 구축 첫해 최종 보고서입니다.

해안사구의 일반 및 관리실태 조사 및 개선방안 수립에 관한 최종보고서. 한려해상국립공원의 나뭇잎별 계산 성능표입니다.

[그림  2-51]  DJI  Inspire2  기체  모습
[그림 2-51] DJI Inspire2 기체 모습

갯벌·사구 통합연구체계 구축 개요

국립공원 해안공간정보 연구

수치

[그림  1-2]  연안의  다양한  기능들 3)
[표  1-1]  우리나라  및  국립공원의  연안습지(갯벌)  현황
[그림  2-4]  NOAA  C-CAP의  연안  토지피복도와  변화분석도
[그림  2-5]  NOAA  해저피복도  예시
+7

참조

관련 문서

캄보디아농업은 2011년 GDP의 약 33%를 차지하고 있으며, 고용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핵심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절대빈곤층의75%가 농업인이므로 그런점에서

수소에너지(hydrogen energy)는 우주에서 가장 흔한 에너지원으로 지구 표면물질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단위 질량당 에너지량이 가솔린의 약 4배에 해당하는

그 결과 0.7 µM staurosporine을 주입하였을 때 약 14시간 이후 에 apoptosis가 관찰되었지만 모든 세포들이 apoptosis를 통하여 죽는 것이 아니고, necrosis를 통하 여 죽는

일반적으로 건축비용의 최소화 에 관심을 두고 있으나 건설비는 LCC 비용 중 20%정도에 불과하며 그 외의 운영관리비 등이 대단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설비의 경 우 LCC비용을

이를 위하여 산업단지를 개발 하고자 하는 민간기업 등은 산업단지계획 승인신 청 시에 도시기본계획,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 환 경영향평가, 교통·재해·인구영향평가,

- 스페인의 국립공원의 지정은 이탈리아 국립공원의 이용적측면의 강조보다는 우리나라 와 같이 보호지역의 확대에 큰 의의가 있었으며, 지속적으로 보호지역, 국립공원 지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인구증가는 다소 정체상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이 인구가 줄어들면서 오히려 내부시가지 쇠퇴문제와 지역재생문제, 그리고 이에 따른 도심

따라서 국립공원 연안에 대한 기초 공간 정보 구축에 활용될 해안선 DEM 수치표고모델 ; 과 정사영상 제작을 Digital Elevation Model 통해 향후 연안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와 체계 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 국립공원 해안공간정보 연구 방법 및 결과 2.. 차년도에 제작된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

조간대 지형도도 제작 필요성 1 국립공원의 연안습지는 우리나라 갯벌의 3.74%, 습지보호지역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연안의 3.66%를 차지하고 있지만 국립공원 내 연안에 대한 연구체계 및 정책과제는 미미한 상황 2 갯벌과 사구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연안”이라는 갯벌과 해안사구의 범위를 포함하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