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조간대지형도제작ㅡ5차년도ㅡ
NPRI 2021-28
NPRI 2021-28
국립공원 조간대 지형도 제작
| 5차년도 |
국립공원 조간대 지형도 제작
| 5차년도 |
국립공원 조간대 지형도 제작
|5차년도|
2021. 12.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참여연구진│
본 『국립공원 조간대 지형도 제작(5차년도)』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진에 의하여 수행되었습니다.
총 괄
사업총괄 최 승 운
국립공원연구원
본부장연구총괄 채 희 영
국립공원연구원
정책개발실장총괄책임 양 두 하
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장연구진
연구책임 장 성 건
국립공원연구원
연구원공동연구
유 재 형
충남대학교
참여연구원김 지 은
충남대학교
참여연구원박 찬 혁
충남대학교
참여연구원심 규 훈
충남대학교
참여연구원서 지 희
충남대학교
참여연구원│목 차│
Ⅰ. 조간대 지형도 제작 개요 3
1. 지형도 제작 배경 및 필요성 5
가. 연안의 정의 및 특징 5
나. 우리나라 및 국립공원 연안 현황 7
다. 조간대 지형도 제작 필요성 2
2. 연구 성과 및 목표 13
가. 1차년 연구 성과와 평가 13
나. 2차년 연구 성과와 평가 14
다. 3차년 연구 성과와 평가 14
라. 4차년 연구 성과와 평가 15
마. 5차년 연구 성과와 목표 15
Ⅱ. 국립공원 해안공간정보 연구 17
1. 무인기를 이용한 국립공원 조간대 지형도 제작 19
가. 무인기를 이용한 국립공원 조간대 지형도 제작 개요 19
나. 연구 범위 20
다. 무인기를 이용한 조간대 DEM 제작 의미 22
2. 연구 방법 및 결과 24
가. 연구 방법 24
나. 연구 결과 29
Ⅲ. 결론 및 제언 31
1. 조간대 지형도도 제작 개요 33
2. 국립공원 해안공간정보 연구 34
Ⅳ. 참고 문헌 35
Ⅴ. 부록 39
│표목차│
[표 1-1] 우리나라 및 국립공원의 연안습지(갯벌) 현황 7
[표 1-2] 우리나라 해안사구의 분포 및 시도별 사구 개수 8
[표 1-3] 우리나라 해상‧해안국립공원의 면적 9
[표 1-4] 국립공원별 공간정보 분석 결과표 10
[표 1-5] 연안 보호지역 면적 현황 10
[표 2-1] 내용적 범위 20
[표 2-2] Inspire 2 기체 및 Zenmuse X5R 제원 25
[표 2-3] Leica Geosystems GS15+GNSS 세트 제원 26
│그림목차│
[그림 1-1] 연안의 범위 5
[그림 1-2] 연안의 다양한 기능들 6
[그림 1-3] 연안습지 보호지역(국립공원, 도립공원, 습지보호지역, 지자체 습지보호지역) 11
[그림 2-1] 자연해안의 대표적 지형‧기질 유형 19
[그림 2-2] 공간적 범위 20
[그림 2-3] 조사 제외 구역 21
[그림 2-4] 항공사진(좌), DEM(우) 22
[그림 2-5] DEM 제작 절차 24
[그림 2-6] DJI Inspire2 기체 모습 25
[그림 2-7] 검사점 측량(좌), GS15+GNSS 세트(우) 27
[그림 2-8] 무인항공기 비행 27
[그림 2-9] 매칭된 이미지와 점군 28
[그림 2-10] 다도해해상국립공원 DEM 제작 결과 29
[그림 2-11] 고해상도 DEM(좌), 고해상도 정사영상(우) 30
[그림 2-12] 국토지리정보원 제공 DEM(좌), 제작된 DEM(우) 30
│연구요약│
1. 연구배경 및 목적
가. 연안은 육상과 해양을 연결하는 중요한 연결통로로 멸종위기종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 계적으로 중요한 공간
나. 이런 인식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연안 관리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들이 추진되고 있으나 아 직까지 국립공원은 연안에 대한 통합적 연구가 미흡한 실정
다. 따라서 국립공원 연안에 대한 기초 공간 정보 구축에 활용될 조간대 DEM(수치표고모델: Digital Elevation Model)과 정사영상 제작을 통해 향후 연안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
2. 국립공원 해안공간정보 연구 방법 및 결과
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완도~고흥~여수) 내 암반 조간대를 제외한 자갈, 모래, 뻘 조간대를 조간대를 대상 으로 무인기를 이용하여 DEM 및 정사영상 제작을 실시
나. 자갈, 모래, 뻘 조간대 중 연장 100m 이하인 곳을 제외한 총 58.4㎞를 대상지로 선정
다. 그 중 국가보안시설 및 안전상 및 접근이 어려운 곳을 제외한 36.7㎞, 105개 지점의 조간대에 대한 조 사 실시 완료
라. 촬영된 자료를 바탕으로 조간대에 대한 DEM 및 정사영상 제작 완료
마. DEM은 10㎝/pixel 이내, 정사영상은 5㎝/pixel 내외의 고해상도 결과 확인
3. 활용방안
가. 고해상도로 제작된 조간대 DEM과 정사영상은 국립공원 기초공간정보로 활용
나. 향후 반복적인 조사를 통해 조간대과 주변 경관 변화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관리방안 마련의 기초자 료로 활용 필요
다. 장기적으로 국립공원의 해안선 괸리, 경관 관리 등 효율적인 공원관리에 활용
라.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국립공원 복원계획, 건강성평가, 영향평가 등 복합적이고 고차원적인 공원관
리의 기초자료로 활용
Ⅰ 조간대 지형도 제작 개요
Ⅰ. 조간대 지형도 제작 개요 1. 지형도 제작 배경 및 필요성
Ⅰ . 조간대 지형도 제작 개요
1 지형도 제작 배경 및 필요성
가. 연안의 정의 및 특징
1) 연안은 보통 간석지, 연안습지, 해변, 대륙붕, 만 등이 이에 속하며 육지에서 일어나는 모든 인간 활동과 영향이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해양환경의 범위를 포함
2) 우리나라에서의 연안은 『연안관리법』 제정을 통하여 연안육역과 연안해역으로 정하고 있으며, 연안육역은 연안 해역의 육지쪽 경계선으로부터 500m, 연안해역은 연안육역으로부터 12 해리까지 범위
1)[그림 1-1] 연안의 범위
3) 연안은 국가의 복지를 위하여 필수적인 공간이며 중요한 생태적 서식지 및 천연 자원을 제공하고 인구의 절반이 거주하는 동시에 항만, 항구 및 여러 산업의 근거지를 제공
4) 연안은 해양의 폭풍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고, 홍수 통제에 유용하며 오염물질에 대한 정화능력으로 연안 수질을
1) 연안관리법 제2조 3항 : 연안해역의 육지쪽 경계선으로부터 500m(「항만법」 제2조제1호에 따른 항만, 「어촌·어항법」 제2조 제3호 가목에 따른 국가어항 또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2조제8호에 따른 산업단지의 경우에는 1천미터) 이내의 육지지역 (「하천법」 제2조제2호에 따른 하천구역은 제외한다)으로서 이 법 제6조에 따른 연안통합관리계획에서 정한 지역
2) 해양수산부. 2015a. 연안기본조사
2)
6┃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유지할 뿐만 아니라 레저 활동의 공간도 제공
5) 연안은 다양한 환경을 지니고 있어 생태적으로 희귀종 및 멸종위기종을 포함하는 수많은 동물과 식물이 분포 하고 있고 인류생존에 필요한 식량자원을 공급해 주며 지구 생태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지역 중 하나
6) 연안은 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곳에 존재하는 매우 독특한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바다에 의하여 대단히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공간
7) 따라서 육지가 끝나고 바다가 시작되는 곳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어려우며 선 개념(해안선, Coastline)이 아니라 공간 개념(연안, Coastal Zone)으로 인식 필요
[그림 1-2] 연안의 다양한 기능들
3) 해양수산부. 2015b. 한 눈에 보는 우리의 연안(원문 UNEP(2011)).
3)
Ⅰ. 조간대 지형도 제작 개요 1. 지형도 제작 배경 및 필요성
8) 또한 인근의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이 일어나는 육역부분 또한 연안의 범위에 포함되며 물 순환과 관련 되어 수계 범위(Waterched area)까지로 정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연안습지(갯벌) 및 해안사구 중심뿐만 아니라 해역과 육지부를 통합한 연구 필요
나. 우리나라 및 국립공원 연안 현황
1) 우리나라 연안 현황
4)(1) 국내 연안의 면적은 91,000㎢로 연안해역이 87,000㎢, 연안육역이 4,000㎢
(2) 해안선의 총 길이는 14,962.8㎞로 육지부가 7,752.5㎞이고 도서부가 7,210.3㎞로 분포하며 그 중 인공해안선이 9,877.2㎞, 자연해안선이 5,085.6㎞
(3) 2013년 기준 국내 연안습지(갯벌)의 총 면적은 2,478.2㎢ 이며, 이 중 서해안에 전체 연안습지 면적의 83%인 2,084.5㎢ 가 분포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남해안에 형성
(4) 지역별로 인천‧경기 연안 35.2%, 충남 14.3%, 전북 4.8%, 전남 42% 및 경남‧부산 지역이 3.7%
비율로 분포[표1-1]
지역 우리나라 갯벌
면적(㎢) 비율(%) 국립공원 갯벌
면적(㎢) 비율(%)
인천 709.6 28.5 - -
경기 165.9 6.7 - -
충남 357.0 14.3 43.283
(태안해안국립공원) 46.44
전북 118.2 4.8 4.631
(변산반도국립공원) 4.97
전남 1,044.4 42.0 33.05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35.47
경남 68.8 2.8 12.223
(한려해상국립공원) 13.12
부산 23.3 0.9 - -
총계 2,487.2 100 93.192 100
[표 1-1] 우리나라 및 국립공원의 연안습지(갯벌) 현황
4) 해양수산부. 2015a. 연안기본조사.
8┃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5) 우리나라 해안사구의 범위
- 국립생태원5) : 평균해수면으로부터 내륙의 해빈과 토양 및 퇴적물이 사질로 되어 있는 나지, 식생으로 피복되어 있는 배후지역까지 포함
- 국립공원공단6) : 「연안관리법」이 정한 해안선(약최고고조면)에서부터 해빈과 토양 및 퇴적물이 사질로 되어 있는 나지, 식생으로 피복되어 있는 배후지역의 공원경계 내를 분석 범위로 설정
(6) 우리나라 해안사구 현황은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 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국립생태원으로 해안사구 관리업무를 이관하여 2016년 「전국해안사구 보전‧관리를 위한 일반 현황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총 189개의 해안사구의 목록을 완성[표 1-2]
분포지도 분포지역 해안사구 수
경기도 2
충청남도 42
전라북도 7
전라남도 59
경상남도 2
경상북도 12
강원도 30
제주도 14
부산광역시 4
인천광역시 17
총계 189
[표 1-2] 우리나라 해안사구의 분포 및 시도별 사구 개수
자료 : 국립생태원 전국해안사구 일반현황조사(2017) 재인용
5) 국립생태원. 2017. 해안사구 일반·관리현황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연구 최종보고서.
6) 국립공원연구원. 2017. 국립공원 갯벌·사구 통합연구체계 구축 1차년 최종보고서.
Ⅰ. 조간대 지형도 제작 개요 1. 지형도 제작 배경 및 필요성
2) 국립공원 연안 현황
(1) 국립공원은 태안해안국립공원, 변산반도국립공원,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한려해상국립공원 총 4개의 해상‧ 해안 국립공원이 지정
(2) 4개 공원 모두 연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4개 공원의 면적은 총 면적은 3,332.85㎢
(3) 그 중 해양면적 2,753.709㎢ 로 전체 면적 중 약 82.6%를 차지하고 있으며 육지의 면적은 579.141㎢
(약 17.4%)로 해상‧해안국립공원의 대부분이 “연안” 범주에 포함[표 1-3]
구분 태안해안
국립공원
변산반도 국립공원
다도해해상 국립공원
한려해상
국립공원 계
해양 면적(㎢) 352.796 (93.6%)
17.227 (11.2%)
1,975.198 (87.2%)
408.488 (76.3%)
2,753.709 (82.6%)
육상 면적(㎢) 24.223 (6.4%)
136.707 (88.8%)
291.023 (12.8%)
127.188 (23.7%)
579.141 (17.4%)
총계(㎢) 377.019 153.934 2,266.221 535.676 3,332.85 [표 1-3] 해상‧해안국립공원의 면적
(4) 국립공원 연안습지(갯벌)의 총면적7)은 93.192㎢이며, 태안해안국립공원이 43.283㎢로 총 연안습지 면적 중 46.44%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
(5)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이 33.055㎢로 35.47%, 한려해상국립공원이 12.223㎢로 13.12%, 변산반도국립공원의 연안습지는 4.631㎢로 국립공원 내 연안습지 면적 중 4.97%로 가장 좁은 면적[표 1-4]
(6) 국립공원 해안선의 총길이는 2,081.973㎞ 로 분석되었으며 섬이 많고 해안선이 복잡하며 해양의 면적이 가장 넓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이 1,403.033㎞ 길이로 가장 긴 해안선 차지
(7) 한려해상국립공원이 442.621㎞, 태안해안국립공원이 217.763㎞, 변산반도국립공원이 18.556㎞ 길이로 조사 [표 1-4]
7) 국립공원연구원. 2017. 국립공원 갯벌·사구 통합연구체계 구축 1차년 최종보고서.
10┃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구 분 개 수 면 적(㎢) 연 장(㎞)
연안 습지
태안해안국립공원 153 43.283 168.674
변산반도국립공원 8 4.631 16.18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1,119 33.055 524.812
한려해상국립공원 555 12.223 231.468
소 계 1,835 93.192 941.139
해안사구
태안해안국립공원 19 3.643 25.046
변산반도국립공원 1 0.121 1.360
다도해해상국립공원 9 1.033 8.162
한려해상국립공원 - - -
소 계 29 4.797 34.568
전체 해안선
태안해안국립공원
해당없음
217.763
변산반도국립공원 18.556
다도해해상국립공원 1,403.033
한려해상국립공원 442.621
소 계 2,081.973
[표 1-4] 국립공원별 공간정보 분석 결과표
3) 우리나라 연안습지 보호지역 현황
(1) 우리나라 연안 보호구역은 「자연공원법」,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습지보전법」에 기반하여 해상·
해안국립공원 4개소, 무안갯벌도립공원 등 4개 지역, 인천시의 송도갯벌 보호지역 1개소, 습지보호지역(연안)인 보성·
벌교 갯벌 보호지역 등 12개소8)가 지정·관리 중[그림 1-3]
(2) 이 중 국립공원이 3,332.85 ㎢로 전체 4,742.76㎢ 의 연안 보호지역 면적 중 67.85%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립공원을 제외하고 도립공원, 습지보호지역 등이 1,579.09㎢ 로 약 32.15%를 차지하고 있어 우리나라 연안의 보호지역 중 국립공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표1-5]
구 분 면 적(㎢) 개소수
국립공원 3,332.85 4
도립공원 220.51 4
시-도 습지보호지역 6.14 1
습지보호지역(갯벌) 1,352.44 12
총계 4,911.94 21
[표 1-5] 연안 보호지역 면적 현황
8) 한국보호지역 통합DB관리 시스템(http://www.kdpa.kr/)
Ⅰ. 조간대 지형도 제작 개요 1. 지형도 제작 배경 및 필요성
[그림 1-3] 연안습지 보호지역(국립공원, 도립공원, 습지보호지역, 지자체 습지보호지역)
12┃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다. 조간대 지형도도 제작 필요성
1) 국립공원의 연안습지는 우리나라 갯벌의 3.74%, 습지보호지역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연안의 3.66%를 차지하고 있지만 국립공원 내 연안에 대한 연구체계 및 정책과제는 미미한 상황
2) 갯벌과 사구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연안”이라는 갯벌과 해안사구의 범위를 포함하고 있는 공간 범위의 연구 필요
3) 국립공원의 연안 지역에 대한 공간 정보조차 정확이 파악되지 않아 2017~2023년까지 목표로 공간정보를 구축 하고 있으며 공간정보와 함께 연안지역통합관리를 위한 연구 또한 필요
4) 우리나라의 국가적인 연안지역통합관리는 제 2차 연안통합관리계획에 의한 연안통합지역관리계획이 수립되어 있으며 각 시·도·군별 지역관리계획이 있고 국외 역시 각 지역별로 수립
5) 국립공원은 자연공원법 등 이외 타 법령과 조화 및 협력 체계를 구성하지 못하고 국가기조의 정책에 동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 제도가 부족한 실정
6) 국내·외 연안지역관리 체계를 요약정리하고 우리 국립공원 연안지역, 특히 갯벌과 사구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정책과 장기적이고 효율적인 연구를 위한 사례를 모아 국립공원 연안지역 보전 및 관리에 대한 정책 제안이 필요
7) 정책 제안을 위한 기초 공간자료 구축과 향후 국립공원 연안에 대한 다양한 정책적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
Ⅰ. 조간대 지형도 제작 개요 2. 연구 성과 및 목표
2 연구 성과 및 목표
가. 1차년(2017년) 연구 성과와 평가 9)
1) 환경부 국립생태원과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에서는 『2016년 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연구』와 『2013년 전국 갯벌면적 조사』를 통해 갯벌과 사구의 면적을 산출
2) 국립공원공단에서는 2017년 본 연구사업 1차년 조사 이전 공원내 갯벌(연안습지)와 해안사구는 각 105개소, 35개소이며, 연안습지의 면적은 16.269㎢ 로 조사되었으나 연구 자료의 객관성 결여
3) 1차년도 목표는 기본적인 국립공원 내 갯벌(연안습지) 및 해안사구의 공간정보를 구축하기 위하여 면적, 길이, 폭, 개수, 위치정보, 조간대의 토양성상(암반, 자갈, 모래, 뻘), 지형성상(자연·인공해안)을 분석
4) 객체단위 및 공원별, 행정단위별로 분류하여 국립공원 갯벌(연안습지) 및 해안사구의 현황파악을 쉽게 하는 기 초 공간정보를 구축
5) 국립공원 내의 공간정보 구축에 있어 정확한 공간정보를 산출하기 위해서 과학적 조사 방법을 도입하고 객관적 검증방법을 수립하며 일련의 절차에 대한 표준화에 중점
6) 더불어 기초조사를 시행하여 기존의 자연자원조사, 자원모니터링 등 장기적인 조사의 효율성을 높이고 단발성 조사의 문제점을 개선해보고자 생물 종 목록 조사에서 다양성 및 생태군집 조사로 전환하고 쉽고 체계적인 조사 매뉴얼 제작 추진
7) 그리고 개선된 조사 매뉴얼은 해안사구 모니터링 매뉴얼과 자원통합시스템에 참고자료로 사용되고 태안해안 국립공원, 변산반도국립공원,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갯벌 및 해안사구 관리를 위한 현황 자료로 활용
9) 국립공원연구원. 2017. 국립공원 갯벌‧사구 통합연구체계 구축 1차년 최종보고서.
14┃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나. 2차년(2018년) 연구 성과와 평가 10)
1) 해상·해안국립공원의 보전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해양, 갯벌, 해안사구의 각 분야에 “연안”이라는 연결된 공간 개념을 정의하고 해양 보전·관리의 정책과 별도의 “연안지역의 관리방안”에 관하여 국내외 사례를 요약
2) 또한 국립공원 연안지역, 특히 갯벌과 사구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정책과 장기적이고 효율적인 연구를 위한 사례를 모아 국립공원 연안지역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연구목록을 제시
3) 태안해안국립공원과 변산반도국립공원에 대한 해역을 암반, 자갈, 모래, 뻘 등 4가지 유형, 육역에 대한 20개 유형으로 분류하여 생물체의 기반이 되는 서식지에 대한 유형을 24가지로 분류한 기질도 제작
4) 기존에는 국토지리정보원과 환경부 생태지도 등 국립공원 외 기관에서 촬영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국립공원 연안지역 현장 관리에 이용
5) 그러나 국립공원연구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해안측량용 무인기와 VRS-RTK GPS를 이용하여 변산반도국립 공원 연안지역 전체를 항공촬영 함으로써 적시적소의 항공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다. 3차년(2019년) 연구 성과와 평가 11)
1) 한려해상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해역을 암반, 자갈, 모래, 뻘 등 4개 유형, 육역 20개 유형 등 총 24개 서식지 유형 분류를 실시하여 생물 서식처에 대한 공간 중심의 유형분류한 기질도 제작
2) 그리고 국립공원의 해안선, 경관 변화 등의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관리를 위해 무인기를 이용하여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지역 육지부 조간대에 대한 공간정보를 DEM으로 구축
3) 구축된 DEM은 반복적 또는 필요시 이루어질 조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공원관리에 적극 활용 예정
4) 향후 연안 서식지 유형 분포도, 조간대 DEM 자료를 복원계획, 영향평가, 건강성 평가, 환경계획 등 다양한 응용 연구에 활용될 예정
10) 국립공원연구원. 2018. 국립공원 갯벌·사구 통합연구체계 구축 2차년 최종보고서.
11) 국립공원연구원, 2019, 국립공원 갯벌·사구 통합연구체계 구축 3차년 최종보고서.
Ⅰ. 조간대 지형도 제작 개요 2. 연구 성과 및 목표
라. 4차년(2020년) 연구 성과와 평가 12)
1) 한려해상국립공원 기질도는 3차년도에 제작 완료
2) 따라서 4차년 연구 목표는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 DEM구축 제작만 실시
3) 3차년도에 구축된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 육지부를 제외한 한려해상국립공원 전체 육지 및 도서에 대한 DEM 제작을 실시
4) 제작된 DEM은 전년도 DEM과 함께 한려해상국립공원 전체 조간대 DEM을 구축하게 되었으며, 향후 반복적 또는 필요시 이루어질 조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공원관리에 적극 활용될 예정
5) 또한 한려해상국립공원 DEM 자료는 전년도 제작된 조간대 및 연안육역 기질도와 함께 복원계획, 영향평가, 건강성평가, 환경계획 등 다양한 응용연구에 활용될 예정
마. 5차년(2021년) 연구 성과와 목표
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구역이 광범위하여 서부지역을 제외한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
2) 완도~고흥~여수로 이어지는 조간대 중 변화가 거의 없는 암반 조간대는 제외
3) 암반 조간대를 제외한 자갈, 모래, 뻘 조간대 중 연장 100m 이상을 대상으로 DEM 제작을 실시
4) 제작된 DEM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동부 지역의 조간대 DEM을 구축하게 되었으며, 향후 서부지역 조사를 통해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공원관리에 적극 활용될 예정
5) 또한 다도해해상국립공원 DEM 자료는 향후 제작될 조간대 및 연안육역 기질도와 함께 복원계획, 영향평가, 건강성평가, 환경계획 등 다양한 응용연구에 활용될 예정
12) 국립공원연구원. 2020. 조간대 및 연안육역 지형·기질도 제작 4차년 최종보고서.
Ⅱ 국립공원 해안공간정보 연구
Ⅱ. 국립공원 해안공간정보 연구 1. 무인기를 이용한 국립공원 조간대 지형도 제작
Ⅱ . 국립공원 해안공간정보 연구
1 무인기를 이용한 국립공원 조간대 지형도 제작
가. 무인기를 이용한 국립공원 조간대 지형도 제작 개요
1) 일반적으로 지형은 단기간에 변화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변화가 진행
2) 연중 해수와 접해 있는 해안은 물리·화학적 작용에 의해 다른 지형에 비해 변화가 단시간에 발생할 수 있는 공간
3) 그 중, 해안의 구성 재질에 따라 방파제, 인공호안 등으로 구성된 인공해안과 자연적 요소로 구성된 자연 해안으로 구분
4) 자연해안은 물리조건을 고려하여 지형과 기질을 암반, 자갈, 모래, 뻘, 혼합 해안 등으로 구분 가능[그림 2-1]
5) 대부분의 인공해안과 암반으로 구성된 자연해안을 제외하고 미고결 퇴적물로 구성된 자연해안은 파랑, 조류, 조석에 의해 지형변화가 빈번
6) 따라서, 연안 기질도와 더불어 조간대 지형도 제작을 통해 향후 국립공원 연안의 공간정보를 정밀한 지도의 형태로 구축하여 효율적인 서식지 관리 추진
[그림 2-1] 자연해안의 대표적 지형·기질 유형
20┃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나. 연구 범위
1) 내용적 범위
본 사업의 내용적인 범위는 해상·해안국립공원의 조간대를 대상으로 무인기를 활용하여 조간대 지형도를 DEM(수 치표고모델: Digital Elevation Model)과 정사영상 형태로 제작 및 확보를 연구 내용으로 선정[표 2-1]
내 용 세부내용
무인기 조사
조간대
DEM 해상·해안국립공원 조간대를 고해상도의 DEM 형태로 지형도 제작
조간대
정사영상 해상·해안국립공원 조간대의 고해상도 정사영상 확보
[표 2-1] 내용적 범위
2) 공간적 범위
(1)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중 다도해 서부지역(신안~진도)을 제외한 완도~고흥~여수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그림 2-2]
[그림 2-2] 공간적 범위
Ⅱ. 국립공원 해안공간정보 연구 1. 무인기를 이용한 국립공원 조간대 지형도 제작
(2) 육지 및 도서 지역 중 암반 조간대를 제외한 뻘, 모래, 자갈 조간대 중 연장 100m 이상의 조간대 58.4㎞를 조사 대상 지역으로 선정
(3) 보안시설 및 안전상 접근 등이 제한되는 21.7㎞ 구간을 제외 한 36.7㎞ 구간 조사 실시[그림 2-3]
① 소안도-청산도지구(완도, 보길도, 여서도 및 부속도서 등 포함) 조간대 : 약 3.3㎞
② 거문도-백도(부속도서 등 포함) 지구 조간대 : 약 1.5㎞
③ 나로도지구(고흥 및 부속도서 등 포함) 조간대 : 약 15.7㎞
④ 금오도지구(돌산도, 연도, 부속도서 등 포함) 조간대 : 약 1.2㎞
[그림 2-3] 조사 제외 구역
22┃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다. 무인기를 이용한 조간대 DEM 제작 의미
1) DEM(수치표고모델; Digital Elevation Model) 이란 수치지면자료(또는 불규칙삼각망자료)를 이용하여 격자(pixel) 형태로 제작한 지표모형 의미(이강원, 손호웅, 2016)
[그림 2-4] 항공사진(좌), DEM(우)
2) DEM은 각각의 격자에 3차원(x, y, z) 좌표 값이 모두 갖추어져 있어 경사도 분석, 침식량, 경관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한승희, 2013)
3) 일반적으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되는 DEM은 90 m/pixcel의 해상도로 해안선의 지형 변화 또는 경관 등의 정밀 분석에는 한계점 존재
4) 무인기를 이용한 DEM 제작은 고해상도의 영상 확보가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시기에 맞게 비행을 하여 DEM 제작이 가능
5) 또한 무인기에 탑재되는 카메라 및 GPS 성능이 점차 고성능화 되어 정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DEM을 바탕으로 정사영상 제작까지 가능하므로 해안 지역의 미세한 현황 및 변화를 탐지 등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 가능(유재진 등, 2016)
Ⅱ. 국립공원 해안공간정보 연구 1. 무인기를 이용한 국립공원 조간대 지형도 제작
6) 따라서, 기존의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는 DEM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무인기를 활용하였으며,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DEM 제작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포함
(1) DEM 갱신주기가 빠름
(2) 현지 조사량 감소에 따른 인적, 물적 비용 절감 (3) 고해상도 정사영상까지 확보 가능
(4) 다양한 공원관리 의사결정 지원 (5) 시각적 공간분석 용이
7) 제작된 DEM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서식지 유형 파악과 지형 및 경관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되며,
향후 반복적인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여 변화상을 관찰하고 공원관리에 반영 가능
24┃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2 연구 방법 및 결과
가. 연구 방법
1) 무인기를 이용한 DEM 제작은 다음의 과정으로 진행
[그림 2-5] DEM 제작 절차
2) 비행계획수립
(1) 비행에 사용된 기체는 DJI의 Inspire 2 기체를 이용하였으며[그림 2-6], 카메라는 Zenmuze X5S를 탑재 [표 2-2]
(2) 조간대 조사의 경우 Inspire 2의 자동비행프로그램 소프트웨어인 Pix4d capture를 이용하여 비행계획을 수립 하고, 계획된 경로를 설정하여 촬영을 실시
(3) Zenmuse X5S는 카메라는 자동 초점기능과 자동 셔터스피드 조절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므로 촬영 시 초점이 맞지 않거나, 블러링 현상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적으며, 짐벌이 있어 최적의 사진을 취득 가능
(4) 비행체가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항시 조종자의 통제가 가능하고, 비행이 끝난 뒤 이륙한 장소로 복귀 가능하여야 하므로, 사전 답사를 통해 지상 통제국이 위치할 지점을 미리 선정
(5) 육지에서 도보로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 또는 도서지역의 경우는 선박을 이용하여 해상에서 수동으로 조사를 실시
Ⅱ. 국립공원 해안공간정보 연구 2. 연구 방법 및 결과
(6) 국가보안시설, 군부대, 해안경계초소 등 보안을 필요로 하는 시설은 사진촬영 시 배제 될 수 있도록 고려하였고, 기타 무인항공기 비행을 함에 있어 장애가 될 만한 요인들을 사전답사를 통해 확인한 뒤 조사구역을 선정
[그림 2-6] DJI Inspire2 기체 모습
구 분 내 용 제 원
기체 (Inspire 2)
길이 65㎝
구분 회전익
비행시간 25분
제어 원격제어,
자동 웨이 포인트 비행
기타 비상시 안전모드 실행가능
컨트롤러 송신거리 최대 7㎞
카메라 (Zenmuse X5S)
길이/너비/높이 140×98×132㎜
센서 CMOS, 4/3"
해상도 4:3(5280×3956)
16:9(5280×2970)
짐벌 진동 범위 ±0.01°
[표 2-2] Inspire 2 기체 및 Zenmuse X5R 제원
26┃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3) 지상기준점
(1) 지상기준점(GCP: Ground Control Point)은 카메라 외부표정요소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항공삼각측량 수행 시 사용하는 자료이며(이강원, 2016), Inspire 2에는 자체 GPS가 내장되어 있지만 고도값에 대한 정밀도가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DEM 제작 성과를 내기 위해 지상기준점을 운용
(2) 지상기준점은 해안선을 따라 식별이 뚜렷하게 가능하고 지형변화가 없는 지형지물, 인공지물 또는 제작한 지상 기준점 판을 사용하였으며 RTK GPS를 이용하여 고도 값을 측정[그림 2-7]
(3) 측량에 이용된 GPS 장비는 Leica Geosystems사의 GS15+GNSS 세트 제품으로 장비의 제원은 [표 2-3]과 같으며, GS15의 정확도는 정지 측량 시 수평: 5㎜±0.5ppm, 수직: 10㎜±0.5ppm으로 정확도가 높은 장비(태안 군, 2016)
구 분 내 용 제 원
GS15 (receiver)
채널 120채널, 3주파
업데이트 주기 20Hz
신호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정지측량 수평: 5㎜+0.5ppm, 수직: 10㎜+0.5ppm 실시간 이동측량 수평 10㎜+1ppm, 수직: 20㎜+1ppm
신뢰도 최대 40㎞ 기선에서 신뢰도 99.99%
네트워크 국토지리원 VRS(Virtual Reference Station)
CS15 (controller)
상태정보 위성상태, 데이터저장, RTK, 측량, 측정량 등 좌표계 설정 Onestep, Twostep, Classic 3D 변환가능
좌표계 WGS 1984, Geoid model
출력 ASCII, Autocad DXF
[표 2-3] Leica Geosystems GS15+GNSS 세트 제원
Ⅱ. 국립공원 해안공간정보 연구 2. 연구 방법 및 결과
[그림 2-7] 검사점 측량(좌), GS15+GNSS 세트(우)
4) 무인기비행 및 사진촬영
(1) 작업 간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안전사항들을 숙지하고, 사람들로 부터의 접근을 차단한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였고 기타 무인비행장치 운용 관련 항공법과 보안법 등에 명시된 규정을 준수하여 작업을 진행[그림 2-8]
[그림 2-8] 무인항공기 비행
(2) 날씨가 맑고 시계가 멀리 확보되는 기상조건이 좋은날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7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조사를 실시
(3) 조간대 최하부가 드러나는 간조시기와 지형지물에 의해 음영이 지지 않도록 태양고도가 높은 시간대에 맞추어 비행을 진행
(4) 자동비행은 해안선과 평행하게 평균 4열, 종중복도 80%, 횡중복도 70%, 카메라 각도 90°, 비행고도 150m로 설정하고, 기체의 속도는 그날의 기상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를 주어 진행
28┃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5) 자동비행이 원활하지 않은 굴곡이 많이 진 지역 또는 선박에 한해서는 수동조작으로 전환하여 촬영을 진행
5) 영상 처리 및 DEM 제작
(1) 취득된 무인항공기 영상들은 Agisoft사의 3D Model 제작 프로그램인 PhotoScan Professional를 이용하여 처리
(2) 프로그램에 영상을 입력한 뒤, SIFT기법, 이미지 매칭(Align Photo)과정을 통해 영상이 가지고 있는 위치정보를 기반 으로 자동으로 영상과 영상 사이의 공액점을 추출하여 영상간의 위상관계 확인
[그림 2-9] 매칭된 이미지와 점군(point cloud)
(3) 촬영된 사진에 지상기준점의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통해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상기준점이 포함된 각각의 사진을 확인하여 지상기준점의 위치정보를 입력
(4) SFM기법과 영상 매칭점들을 기반으로 정밀좌표가 입력된 점군(Point c0loud)를 형성
(5) 생성된 점군자료를 기반으로 DEM을 제작
Ⅱ. 국립공원 해안공간정보 연구 2. 연구 방법 및 결과
나. 연구 결과
1) 소안도-청산도지구: 52개 조간대, 14.4㎞ DEM 및 정사영상 제작 완료
2) 거문도-백도지구: 7개 조간대, 1.5㎞ DEM 및 정사영상 제작 완료
3) 나로도지구: 23개 조간대, 15.7㎞ DEM 및 정사영상 제작 완료
4) 금오도지구: 23개 조간대, 5.1㎞ DEM 및 정사영상 제작 완료
[그림 2-10] 다도해해상국립공원 DEM 제작 결과
5) 각 조간대 별 4개 이상 지상기준점 측정 통해 정밀한 위치정보를 취득
6) 10㎝/pixel 내외의 정밀한 DEM 및 5㎝/pixel 내·외의 고해상도 정사영상 제작 완료[그림 2-11]
30┃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그림 2-11] 고해상도 DEM(좌), 고해상도 정사영상(우)
7) 일반적으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공개된 DEM 자료는 90m/pixel은 급으로 정확한 공간정보 분석이 어려움 [그림2-12]
[그림 2-12] 국토지리정보원 제공 DEM(좌), 제작된 DEM(우)
8) 따라서 이번에 제작한 DEM과 정사영상을 바탕으로 향후 경관 등의 공원관리 측면에서 활용될 것으로 판단
Ⅲ 결론 및 제언
Ⅲ. 결론 및 제언
Ⅲ . 결론 및 제언
1. 조간대 지형도도 제작 개요
가. 연안은 다양한 환경을 지니고 있고, 생태적으로 위기종, 희귀종 및 멸종위기종을 포함하는 수많은 동물과 식물이 분포하는 공간
나. 연안은 다양한 생물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존에 필요한 식량자원을 공급해 주며 인간을 포함한 지구 생태계에 가장 중요한 지역
다. 연안은 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곳에 존재하는 매우 독특한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움직 이는 바다에 의하여 대단히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공간
라. 따라서 육지가 끝나고 바다가 시작되는 곳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선 개념 (해안선, Coastline)이 아닌 공간 개념(연안, Coastal Zone)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
마. 기존 국립공원의 연안 지역에 대한 공간정보가 부족한 실정을 고려하여 1차년도 사업에 국립공원 연안에 대한 기초 공간정보를 산출
바. 2차년도부터 4개 해상·해안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조간대와 연안육역에 대한 기질도와 지형도를 제작
사. 향후 제작된 자료를 바탕으로 국립공원 연안에 서식하는 해안생물의 서식 기반이 되는 지형·지질을
유형화함으로써 복원계획, 영향평가, 건강성평가, 환경계획 등 응용연구에 활용 및 적용
34┃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2. 국립공원 해안공간정보 연구
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동부지역(완도~고흥~여수) 조간대를 대상으로 무인기를 이용하여 DEM과 정사영상 제작
나. 변화가 없는 암반 조간대를 제외한 육지 58.4㎞에 대하여 조사 구역으로 선정
다. 이 중 국가보안시설 및 안전상 무인기 운행이 제한되는 약 21.7㎞를 제외하고 총 36.7㎞의 105개 해안선 및 조간대에 대해 조사를 진행
라. 소안도-청산도지구 52개 조간대, 14.4㎞ DEM 및 정사영상 제작 완료
마. 거문도-백도지구 7개 조간대, 1.5㎞ DEM 및 정사영상 제작 완료
바. 나로도지구 23개 조간대, 15.7㎞ DEM 및 정사영상 제작 완료
사. 금오도지구 23개 조간대, 5.1㎞ DEM 및 정사영상 제작 완료
아. DEM은 10㎝/pixel 내외로 고해상도의 지형 공간자료 확보
자. 정사영상은 해상도 5㎝/pixel 내외로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정사영상보다 정밀한 영상 확보
차. 고해상도의 DEM과 정사영상을 통해 향후 기후변화, 연안환경변화, 침식·퇴적 근거자료 확보 등의 자료로 활용
카. 장기적으로 국립공원의 해안선 및 경관 관리 등 공원관리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복원계획, 영향평가, 건강성평가 등 복합적인 공원관리에 기초자료로 활용
Ⅳ 참고 문헌
Ⅳ. 참고 문헌
Ⅳ . 참고 문헌
국립공원연구원. 2017. 국립공원 갯벌‧사구 통합연구체계 구축 1차년 최종보고서.
국립공원연구원. 2018. 국립공원 갯벌‧사구 통합연구체계 구축 2차년 최종보고서.
국립공원연구원. 2019. 국립공원 갯벌‧사구 통합연구체계 구축 3차년 최종보고서.
국립공원연구원. 2020. 조간대 및 연안육역 지형‧기질도 제작 4차년 최종보고서.
국립생태원. 2017. 해안사구 일반‧관리현황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연구 최종보고서.
유재진, 박현수, 양윤정, 장동호. 2016. 해안지역의 시계열 지형변화 분석을 위한 UAS 활용 가능성 평가: 안면도 바람아래해변을 대상으로. 한국지형학회지. 23(4): 113-126.
이강원, 손호웅. 2016.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구미서관.
이강원, 손호웅, 김덕인. 2016. 드론 원격탐사 사진측량. 구미서관.
태안군. 2016. 태안 신두사구 모니터링 연구 용역.
한국보호지역 통합DB관리 시스템. http://www.kdpa.kr.
한승희. 2013. GIS 이론 및 실습. 구미서관.
해양수산부. 2015a. 연안기본조사.
해양수산부. 2015b. 한 눈에 보는 우리의 연안.
UNEP. 2011. Taking Steps toward Marine and Coastal Ecosystem-Based Management.
Ⅴ 부록
DEM 및 정사영상 현황
Ⅴ. 부 록
부록 1. 소안-청산 지구 DEM 및 정사영상
소안도 DEM 및 정사영상 제작 현황 청산도 및 부속도서 DEM 및 정사영상 제작 현황
횡간-당사-대모도 DEM 및 정사영상 제작 현황 보길도 및 부속도서 DEM 및 정사영상 제작 현황
신지-완도 DEM 및 정사영상 제작 현황
44┃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SO01 DEM SO01 정사영상
SO02 DEM SO02 정사영상
SO03 DEM SO03 정사영상
SO04 DEM SO04 정사영상
Ⅴ. 부 록
SO05 DEM SO05 정사영상
SO06 DEM SO06 정사영상
SO07 DEM SO07 정사영상
SO08 DEM SO08 정사영상
46┃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SO09 DEM SO09 정사영상
SO10 DEM SO10 정사영상
SO11 DEM SO11 정사영상
SO12 DEM SO12 정사영상
Ⅴ. 부 록
CS01 DEM CS01 정사영상
CS02 DEM CS02 정사영상
CS03 DEM CS03 정사영상
CS04 DEM CS04 정사영상
48┃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CS05 DEM CS05 정사영상
CS06 DEM CS06 정사영상
CS07 DEM CS07 정사영상
CS08 DEM CS08 정사영상
Ⅴ. 부 록
CS09 DEM CS09 정사영상
CS10 DEM CS10 정사영상
CS11 DEM CS11 정사영상
CS12 DEM CS12 정사영상
50┃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CS13 DEM CS13 정사영상
CS14 DEM CS14 정사영상
CS15 DEM CS15 정사영상
JC01 DEM JC01 정사영상
Ⅴ. 부 록
DM01 DEM DM01 정사영상
DS01 DEM DS01 정사영상
DS02 DEM DS02 정사영상
HG01 DEM HG01 정사영상
52┃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HG02 DEM HG02 정사영상
HG03 DEM HG03 정사영상
NB01 DEM NB01 정사영상
NB02 DEM NB02 정사영상
Ⅴ. 부 록
NB03 DEM NB03 정사영상
NB04 DEM NB04 정사영상
NB05 DEM NB05 정사영상
NB06 DEM NB06 정사영상
54┃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NB07 DEM NB07 정사영상
NB08 DEM NB08 정사영상
NB09 DEM NB09 정사영상
NB10 DEM NB10 정사영상
Ⅴ. 부 록
WD01 DEM WD01 정사영상
WD02 DEM WD02 정사영상
WD03 DEM WD03 정사영상
WD04 DEM WD04 정사영상
56┃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WD05 DEM WD05 정사영상
WD06 DEM WD06 정사영상
WD07 DEM WD07 정사영상
WD08 DEM WD08 정사영상
Ⅴ. 부 록
부록 2. 거문-백도 지구 DEM 및 정사영상
거문도 DEM 및 정사영상 제작 현황
58┃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GM01 DEM GM01 정사영상
GM02 DEM GM02 정사영상
GM03 DEM GM03 정사영상
GM04 DEM GM04 정사영상
Ⅴ. 부 록
GM05 DEM GM05 정사영상
GM06 DEM GM06 정사영상
GM07 DEM GM07 정사영상
60┃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부록 3. 나로도 지구 DEM 및 정사영상
나로도 DEM 및 정사영상 제작 현황
고흥 및 부속도서 DEM 및 정사영상 제작 현황
Ⅴ. 부 록
NR01 DEM NR01 정사영상
NR02 DEM
NR02(좌) DEM NR02(우) 정사영상
NR03 DEM NR03 정사영상
62┃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NR04 DEM NR04 정사영상
NR05 DEM NR05 정사영상
NR06 DEM NR06 정사영상
NR07 DEM NR07 정사영상
Ⅴ. 부 록
NR08 DEM NR08 정사영상
NR09 DEM NR09 정사영상
NR10 DEM NR10 정사영상
DY01 DEM DY01 정사영상
64┃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GH01 DEM GH01 정사영상
GH02 DEM GH02 정사영상
GH03 DEM GH03 정사영상
GH04 DEM GH04 정사영상
Ⅴ. 부 록
GH05 DEM GH05 정사영상
GH06 DEM GH06 정사영상
GH07 DEM GH07 정사영상
GH08 DEM GH08 정사영상
66┃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GH09 DEM GH09 정사영상
GH10 DEM GH10 정사영상
GH11 DEM GH11 정사영상
SL01 DEM SL01 정사영상
Ⅴ. 부 록
부록 4. 금오도 지구 DEM 및 정사영상
금오도 DEM 및 정사영상 제작 현황
돌산도 및 부속도서 DEM 및 정사영상 제작 현황 연도 DEM 및 정사영상 제작 현황
68┃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GU01 DEM GU01 정사영상
GU02 DEM GU02 정사영상
GU03 DEM GU3 정사영상
GU04 DEM GU04 정사영상
Ⅴ. 부 록
GU05 DEM GU05 정사영상
GU06 DEM GU06 정사영상
GU07 DEM GU7 정사영상
GU08 DEM GU08 정사영상
70┃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GU09 DEM GU09 정사영상
YS01 DEM YS01 정사영상
YS02 DEM YS02 정사영상
YS03 DEM YS03 정사영상
Ⅴ. 부 록
YS04 DEM YS04 정사영상
YE01 DEM YE01 정사영상
YE02 DEM YE02 정사영상
YE03 DEM YE03 정사영상
72┃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YE04 DEM YE04 정사영상
국립공원 조간대 지형도 제작 |5차년도|
발 행 일│2021. 12.
발 행 인│국립공원연구원 본부장 최승운 발 행 처│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6441) 강원도 원주시 단구로 171 홈페이지│http://research.knps.or.kr 가 격│비매품
ISBN 979-11-91392-35-7 93060
본 출판물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되는 저작물이므로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의 사전 승인 없이 무단 복제 및 전재를 금합니다.
국립공원조간대지형도제작ㅡ5차년도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