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후속 연구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6-155)

ABSTRACT

V. 결론 및 제언

5.4 후속 연구 제언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모 바일 문법 앱을 활용한 블렌디드 학습 환경의 수업의 사례를 제시하였지만, 다양한 학습용 앱을 이용하여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학습 영역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흥미롭고 구체적인 학습 활동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모 바일 앱을 활용한 블렌디드 학습은 학습자의 요인과 학습 콘텐츠의 구성, 매체의 풍부성에 따라 다양한 기대효과나 학습효과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학습 환경에서 의 적용으로 심도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총 15차시에 걸쳐 실시되 었지만, 문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장 기간에 걸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모바일 앱을 활용한 문법 학습에서 비교 집단 과 통제 집단이 없이 실험이 이루어져 아쉬움이 있으므로 향후 후속 연구 과제로 제안한다. 모바일 앱을 활용한 영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는 비교적 활발 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식 조사는 거의 실시되고 있지 않으 므로 모바일 앱을 활용한 학습이 보다 더 효과적인 결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들이 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 앱을 활용한 영어 문법 학습에 대해 현장 중심의 연구를 진행 함으로써 문법 교수 학습의 과정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고 여겨지며 오프라인 영어 학습 활동과 모바일 앱이 가진 다양한 기능을 효과적 으로 연결한다면 학습자가 진정성 있는 영어 학습 활동을 경험하도록 이끌 수 있 다는 가능성을 연구 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이로써 향후 학습자들의 기대와 필요에 부응하는 영어 학습 자료 및 모바일 앱의 교육용 콘텐츠가 다양하고 폭넓어질 수 있도록 활발한 후속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참고문헌

강민석, 김진일, 박인우. (2009). 사이버대학 e-러닝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 규명.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0(5), 135-143.

강현숙. (2016). 대학생들의 영문법 학습 및 수업에 대한 인식조사.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16(7), 1-26.

고영아. (2015). 모바일 어플리캐이션이 EFL 학생들의 영어청해 불안요소에 미치는 효과. 영어영문학, 20(3), 403-427.

길인숙. (2018). 토익집중프로그램에 참가한 대학생들의 블렌디드 러닝 효과와 자기 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2), 581-599.

김경자. (2018). 한국 중등 학생들의 영어학습 동기모형과 변화: 종단연구. 영어교과 교육, 17(4), 73-93.

김규미. (2014). 연역적ㆍ귀납적 문법교수에서 개별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이 문법 성 취도에 미치는 영향. 영어교육연구, 26(4), 131-148.

김동희. (2012).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 발. 미출간 박사학위 논문. 서울: 숭실대학교.

김봉호. (2015). 고등학생 영어 문법 학습을 위한 앱 활용사례 연구. 미출간 석사학 위 논문. 청주: 한국교원대학교.

김영우. (2014). 한국 성인 영어 학습자의 스마트폰 활용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4), 21-32.

김정태, 김희진. (2012). 오프라인 대학교 영어교육에 최적화된 블렌디드 러닝 교수 모형 연구. 멀티미디어언어교육, 15(1), 135-155.

김주혜. (2013). 영어교육에서 스마트러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활용 실태 조사.

영어교육연구, 25(3), 253-278.

김지은, 최용훈. (2018).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영어 문법에 대한 인식과 의사소통 중심 문법 교육.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2), 567-575.

김태영, 김은주, 김혜영. (2011). 온-오프라인 결합 교양영어 수강 대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형과 변화. 현대영어교육, 12(1), 126-156.

김훈희, 정대범. (2015). 스마트 교육에 기반 한 전문대 학생들의 간호영어 학습에

대한 학습 만족도와 학업 성과. 게임&엔터테인먼트, 15(9), 621-630.

김혜숙. (2017). 어휘 목록과 모바일 앱을 활용한 영어 어휘 학습의 비교 연구. 영 상영어교육, 18(1), 183-206.

김희진, 곽정아. (2013). 이러닝 영어학습에서 페이스북을 활용한 보충학습 교수-학 습 설계 및 효과성 연구. 영어어문교육, 19(4), 237-260.

김희진, 허광. (2016). 사이버대학 영어 수업에서 스마트 앱을 활용한 혼합 교수 학 습 방안 설계와 효과성 비교. 멀티미디어언어교육, 19(1), 86-113.

남정미. (2016).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영작문 수업 사례 연구. 언어과학연구, 78, 125-143.

노재준. (2013). 영어 말하기 학습용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분석과 학습자들의 인식조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노지예, 이정민. (2013). 고등학교 모바일 러닝 성과 예측요인 규명. 정보교육학회 학술논문집, 17(2), 115-123.

문도식. (2016). 스마트폰과 음성합성을 활용한 영어 말하기 과제의 개발과 평가.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16(5), 13-20.

박동국. (2016).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에서 개인특성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박사학위 논문. 서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박찬규. (2012). 대학생의 영문법 학습에 대한 인식도. 언어학연구, 24, 105-123.

박태숙, 오치성. (2015). 영어 능숙도에 따른 화용적 인식과 문법적 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영어영문학연구, 57(3), 169-192.

박현주. (2018). 모바일 기반의 자기 주도적 영어 말하기 활동이 성인 학습자의 학 습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연세대학 교.

서성일. (2002). e-Learning 교육효과 제고를 위한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e-Learning 학술연구, 1(1), 79-104.

성귀복. (2018). 모바일앱을 활용한 대학생들의 영문 동료피드백 활동 연구.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18(18), 539-570.

성상희, 이상기. (2013). 형태초점접근법의 명시성의 정도가 중학교 영어학습자의 관계대명사 구문 습득에 미치는 영향. 영어학, 13(3), 549-570.

성태수. (2018). 모바일폰을 이용한 영어 문법 학습에 관하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23(9), 65-71.

소리, 이충현. (2018).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제2언어 쓰기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 의 인식 및 견해. 외국어교육연구, 32(1), 79-107.

손자영. (2017). 스마트교육 기반 영어학습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서울.

송윤희. (2013). 문법수업 유형이 한국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미출간 박사학위 논문. 부산: 부경대학교.

신희재. (2011). 교양영어 프로그램에서 영문법교육의 필요성. 현대영어교육, 12(1), 157-176.

오영주, 박혜숙, 장소영. (2017). 대학생의 학습유형, 학습전략이 영어 능숙도에 미 치는 영향. 영어영문학연구, 43(2), 299-324.

오인숙. (2009). 영어 문법 교육에 대한 고등학교 영어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교 육연구논총, 30(2), 45-65.

우종정, 김보나, 이옥형. (2009). 대학에서 면대면 수업 대안으로서의 블렌디드 러닝 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7(2), 219-225.

유혜정. (2014). 블랜디드 러닝에서 모바일SNS를 통한 협력학습이 중학생들의 영어 문법 이해와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외국어교육연구, 28(2), 135-158.

윤경옥, 나양온. (2015). 대학 영어 수업에서 스마트폰 앱의 활용과 그에 대한 인식 조사. 인문학연구, 101(4), 513-533.

이명관. (2015).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대학생들의 토익수업 효과. 영어어문교육, 21(4), 257-281.

이명규, 장선영. (2012). 웹기반 프로젝트중심학습 환경에서 과제해결능력을 촉진시 키는 스캐폴딩 설계모형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8(2), 371-408.

이옥형. (2008). 블렌디드 러닝과 면대면 수업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 연구, 15(1), 1-27.

이정원. (2018). EFL 학습자와 교사의 문법 지도와 오류 수정에 대한 인식 비교 연 구. 영어교육, 73(2), 139-159.

이충현. (2017). 디지털 기술 활용 언어교육의 과제와 전망. 제 13회 한국어 교육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3-13.

이현주. (2012).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대학생 영어학습에서의 상호작용과 자기주도 적 학습의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8(1), 1-24.

임정훈. (2007). 대학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온라인-오프라인 혼합방식 및 성

찰활동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49-76.

임정훈. (2009). 모바일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 방향 탐색. 교육실천연 구, 8(1), 101-124.

임정훈, 성기원. (2017). 혼합형 학습을 적용한 MBTI 진로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 리유형 관련 진로 이해 및 동기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유형학회지, 18(1), 1-23.

임호성. (2017). 블렌디드 러닝 기반 형태중심교수법이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목표 영어문법 학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한국외국 어대학교.

정덕화. (2015). 스마트러닝 기반 어플리케이션 활용 학습이 초등학생의 영어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진주: 진주교육 대학교.

정동빈, 강시경. (2008).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초등 영어쓰기교수- 학습효과. 언어연구, 23(4), 577-599.

정숙경. (2012). 대학생들의 어학 도구로서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과 사용 현황에 대한 연구. 멀티미디어언어교육, 15(3), 165-185.

정현숙. (2008). 초, 중, 고등 및 대학생의 영문법 학습에 관한 인식. 외국어교육, 15(2), 319-344.

정희윤, 김해동. (2017). 중학교 영어 교과서 문법 활동 분석과 학생들의 인식 조사.

영어교과교육, 16(1), 129-146.

조라미, 이동주. (2017). 중학생 영어 어휘-문법 학습을 위한 언어자료기반학습 (DDL) 효과 연구. 외국어교육, 24(1), 185-205.

조세경. (2009). 스마트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 멀티미디어언어교육, 12(3), 211-228.

조영교. (2017). 4차 산업혁명시대의 영어교육의 목표 및 방향에 대한 고찰. 현대영 미어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7(5), 99-101.

조영진. (2014). 한국의 중·고등학교 영어문법 교수 및 학습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조윤경. (2017). 한국 고등학생들의 문법 학습에 대한 인식 및 문법 학습전략이 영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6-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