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n Analysis on the Usefulness of Concomitant Procurement of the Caudate Lobe i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Using a Left Lobe Graft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n Analysis on the Usefulness of Concomitant Procurement of the Caudate Lobe i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Using a Left Lobe Graft"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23

서 론

간이식은 말기 간 질환 환자에서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궁극적이고 유일한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뇌사 자에 의한 공여자의 부족으로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게 되 었고, 생체 부분 간이식은 이러한 뇌사자에 의한 공여자의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생체 부분 간이식은 1988년 브라질의 Raia 등에 의하여 최초로 시행된 이래 초기에는 말기 간 질환을 가진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이러한 초기의 경험을 바탕으로 생체 부분 간이식은 차츰 그 범위를 넓혀 성인을 대상으로 시행하게 되었다.(1-3) 이식편의 종류 또한 간외측 구역에 서 간좌엽과 간우엽으로 그 범위를 점점 넓히게 되었 다.(4-6)

생체 부분 간이식은 공여자의 안전과 수혜자의 대사 요 구량에 부합하는 이식편의 용적을 고려하여 이식편의 종류 및 절제 방법을 결정하게 된다. 간우엽의 경우 충분한 크기 의 이식편 확보에는 유리하지만 공여자의 안전이라는 측면 에서는 상대적으로 불리하며, 간좌엽의 경우 공여자의 안 전면에서는 유리하지만 이식편의 크기 부족(small-for-size graft)을 더 자주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생체 부분 간이식에

간좌엽을 이용한 생체 부분 간이식시 미상엽 동반 구득의 효용성 평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하태용․이승규․황 신․박광민․김기훈․안철수․문덕복․김건국․김연대

An Analysis on the Usefulness of Concomitant Procurement of the Caudate Lobe in Living Do- nor Liver Transplantation Using a Left Lobe Graft

Tae-Yong Ha, M.D., Sung-Gyu Lee, M.D., Shin Hwang, M.D., Kwang-Min Park, M.D., Ki-Hun Kim, M.D., Chul-Soo Ahn, M.D., Deok-Bog Moon, M.D., Keon-Kuk Kim, M.D.

and Yeon-Dae Kim, M.D.

Purpose: Procuring the left liver lobe plus the caudate lobe was originally done in an effort to increase the graft mass itself. However, there has been some controversy about the procedure's effectivenes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ncomitant caudate lobe transplantation and fates of the implanted caudate lobe.

Methods: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3, 290 cases of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were performed at our institution. Among them, there was 31 case of adult-to-adult LDLT using a left lobe plus the caudate lobe.

The volumes of left lobe and caudate lobe were measured separately by using computed tomogram (CT) volumetry.

The operation time for the concomitant caudate lobe procurement took an average of an additional 30 minutes over the routine left lobe procurement because of the dis- section of the retrohepatic vena cava. There was no separate caudate duct in the 31 consecutive grafts in this series.

Results: The graft weight of the left lobe plus the caudate lobe was 455±55 gm, yielding a mean graft-recipient weight ratio of 0.79±0.11. Volumetry of the preoperative donor CT scan revealed that the volume of the caudate lobe was 24±

6 ml, which was equivalent to 5% of the left lobe volume.

We prepared the largest single caudate vein with a caval patch and then reconstructed it in 24 recipients. The regen- eration rate of the caudate lobe after transplantation was

116% after 1 week and 121% after 1 month. On the other hand, the regeneration rate of the left lobe was 193% after 1 week and 227% after 1 month. The regeneration rate for the left lobe was greater than that for the caudate lobe. 29 of the 31 recipients survived.

Conclusion: We think that increasing the graft mass by 5%

justifies to performing the concomitant caudate lobe pro- curement at the expense of 30-minute’s effort. (J Korean Surg Soc 2005;68:123-127)

Key Words: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Caudate lobe, Left lobe graft

중심 단어: 생체 부분 간이식, 미상엽, 좌엽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Division of Hepato-Biliary-Pancreatic Surgery and Liver Trans- plantation,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Seoul, Korea 

책임저자: 이승규, 서울시 송파구 풍납동 388-1

ꂕ 138-736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학교실 Tel: 02-3010-3485, Fax: 02-474-9027

E-mail: sglee2@amc.seoul.kr

접수일:2004년 8월 11일, 게재승인일:2004년 12월 14일 본 논문의 요지는 2004년 춘계 대한외과학회에서 발표되었음.

(2)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서 어떤 종류의 이식편이 가장 적절한지는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공여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충분한 크기의 이식편을 얻도록 간 절제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생 체 부분 간이식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된다.(7,8) 미상엽은 전체 간용적의 약 2∼3%를 차지하며 흔히 Spiegel lobe와 방대정맥부(paracaval portion) 및 돌기부(pa- pillary process)로 나눈다. Filipponi 등은 미상엽을 제 1분절 (Segment I, Spiegel lobe)과 제 9분절(Segment IX, paracaval portion)로 나누었으며, 9분절을 다시 좌측 부분(ⅨL)과 우 측 부분(ⅨR)으로 나누기도 하였다.(9)

Miyagawa 등(10)은 간좌엽을 이용한 생체 부분 간이식시 공여자의 안전을 해치지 않으면서 이식편의 용적을 증대시 키고자 간좌엽 구득시 미상엽을 동시에 구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즉 간좌엽 구득시 Spiegel lobe와 paracaval portion의 좌측 부분을 이식편에 포함시켜 구득함으로써 이 식편의 크기가 불충분한 경우 사용할 수 유용한 방식이라 소개하였다. 이후 몇몇 저자들에 의하여 술기가 발전되고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이 방법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여전 히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저자들은 간좌엽을 이용한 성인간 생체 부분 간이식시 미상엽을 동반 구득하 는데 대한 그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 연구대상

2002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본 교실에서 시행한 290예의 성인간 생체 부분 간이식 중 간좌엽 및 미상엽을 동반 이식한 31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미상엽 동반 구득의 여부는 간좌엽을 이식편으로 결정한 공여자들 중 수술 전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예측된 graft- to-recipient weight ratio (GRWR)가 0.8 이하이거나, 또는 공 여자의 나이가 40세 이상인 경우, 간조직 검사에서 10% 이 상의 지방간 소견을 보인 경우, 그리고 수혜자의 수술 전 상태가 나쁘거나 응급 이식을 요하는 상태인 UNOS status 1 또는 2A인 경우 미상엽을 동반 구득할 것을 결정하였다.

2) 수술 방법

먼저 공여자를 앙와위 상태에서 전신 마취를 시행한 후 상복부를 정중 절개한 다음, 간우엽과 좌엽에서 각각 조직 을 떼어 냉동절편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지방간의 유무 및 기타 간 조직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였다. 냉동절편 조직검 사상 간조직에 이상이 없는 것이 확인되면 역 T자 절개를 하여 수술 시야를 확보하였다. 담낭을 절제한 후 담낭관을 통하여 담도조영술을 시행하여 담도의 해부학적 구조를 확 인한 다음, 일반적인 좌엽을 구득할 때와 마찬가지로 간문 부를 박리하여 좌간동맥과 좌간문맥을 분리하였다. 이때 좌간문맥에서부터 미상엽으로 향하는 간문맥 분지를 보존

하였다. 통상적인 좌엽 구득과 마찬가지로 간좌엽을 유동 화한 후 좌측 미상엽을 박리하여 대정맥으로부터 미상엽을 분리하였다. 이때 미상엽에서 분지 되는 가장 큰 미상엽 정 맥 하나만 보존하였으며, 3 mm 이하인 경우는 모두 결찰하 였다. 좌간동맥과 좌간문맥의 혈류를 동시에 차단하여 간 표면에 나타나는 색깔의 변화를 통하여 좌우엽의 경계를 확인하였고, 간 절제선을 결정한 후 Cavitron Ultrasonic Sur- gical Aspirator (CUSA)를 이용하여 중간정맥의 우측을 따라 대정맥의 앞면에 이를 때까지 간을 절제하였다. 담도의 절 리는 방사선 표시자를 절리 예정의 담도에 부착하여 고정 한 다음 담도 조영술을 다시 시행하여 담도를 절리할 부위 를 결정한 후 조심스럽게 담도를 절리하였으며, 이때 간문 부 분지부 부근까지 근접하여 절리함으로써 좌간담도에서 분지하는 미상엽의 담도 분지가 따로 절리되는 것을 피하 였다. 이후의 이식편 구득은 통상적인 좌엽 구득과 같이 시 행하였으며, 미상엽의 정맥을 보존한 경우 수혜자 수술시 재건이 용이하게 대정맥 일부를 포함하여 넓게 절제하였 다. 관류 용액은 HTK solution을 사용하였고, 수혜자의 수술 은 미상엽의 단간정맥을 먼저 재건한 후 통상적인 좌엽 이 식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3) 수술 전 평가 및 추적 관찰

수술 전 역동적 전산화 단층 촬영을 통하여 공여자의 간 좌엽 및 미상엽(Spiegel lobe 와 좌측 paracaval portion)의 용 적을 각각 측정하였으며(Fig. 1), 이식 후 1주 및 1개월 째 다시 측정하여 이식편의 재생 정도를 비교하였다. 표준 간 용적(Standard Liver Volume, SLV)은 본 교실에서 개발한 공 식(SLV (ml) = 691×body surface area(m2)+95)을 사용하여 구하였다.(11) 통계적 분석은 SPSS 10.0 (spss inc, 1989∼

Fig. 1. Preoperative estimation of the graft liver volume. The vol- umes of left lobe (white dotted line) and caudate lobe (black dotted line) were measured separately using com- puted tomogram volumetry.

(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2004)을 이용한 t-test를 사용하였다.

결 과

31명의 수혜자들 중 남자는 15명, 여자는 16명이었다. 평 균 연령은 51±8 (24∼64)세였으며, 원인 질환으로는 B형 간염에 의한 간경화가 27예로 가장 많았고, 이 중 14예의 환자에서는 간세포암이 동반되어 있었다. 그 외 primary biliary cirrhosis 2예, 약물에 의한 급성 간부 전 1예가 포함되 어 있었다. 수술 전 상태로 MELD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 score)는 평균 20.5±8.8 (10∼47)이었으며 UNOS status 1이 1예, 2A가 4예, 2B가 22예, 그리고 3가 4예 였다. 수혜자들이 신장은 162±7.4 (150∼175) cm이었고, 체 중은 58±7.6 (43∼74) kg이었다. 수혜자들의 신장과 체중으 로 계산한 표준 간용적(SLV)은 1210±88 (1032∼1382) ml 이었다. 공여자의 성별은 남자가 30명, 여자가 1명이었으 며, 평균 연령은 30±10 (16∼49)세, 신장은 172±4.4 (162∼

180) cm이었고, 체중은 69±8.2 (53∼86) kg이었다. 미상엽 을 포함한 이식편의 무게는 455±55 (330∼560) g으로 수혜 자의 표준 간용적의 38.8±6.9 (26.1∼57.7)%이었으며, GRWR은 0.79±0.11 (0.49∼1.02)이었다. 수술 전 전산화 단 층 촬영을 통하여 측정된 미상엽의 용적은 24±6 (15∼36) ml로 간좌엽 용적(487±131 ml)의 5.9±1.4 (3.6∼9.8)%에 해당되었다(Table 1).

공여자 수술 도중 미상엽 간정맥(V1)은 24예(77%)에서는 보존하였으나, 나머지 7예에서는 미상엽 간정맥 분지의 크 기가 3 mm 이하이어서 모두 결찰하였다. 보존한 미상엽 정 맥의 직경은 0.45±0.09 (0.3∼0.7) mm이었다. 수혜자의 수 술은 미상엽의 정맥을 먼저 재건하는 것 외에는 통상적인 간좌엽 이식과 동일하게 이루어졌다. 담도의 재건은 27예 에서 담도-담도 문합을 시행하였고, 나머지 4예에서는 간- 담도 문합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의 경우에는 따로 분지된 미상엽의 담도는 한 예에서도 없었으며, 따라서 미상엽의 담도 재건이 따로 필요하였던 경우도 없었다. 이식 후 이식 편의 재생은 미상엽을 제외한 간좌엽의 경우 수술 전 487±

131 ml에서 이식 후 1주일째는 937±106 ml (192.5±34%), 이식 후 1개월째는 1028±125 ml (227±25%)로 순조로운 재생을 보인 반면, 미상엽의 경우 수술 전 용적이 24.1±6 ml 에서 술 후 1주일째 28±5 ml (116±27%), 술 후 1개월 째 29±6 ml (121±31%)로 미상엽의 재생률은 간좌엽에 비 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5)(Fig. 2).

2명의 수혜자가 재원기간 중 사망하였는데, 각각의 사인 은 폐렴에 의한 패혈증 및 심한 급성 거부반응으로 인한 간기능 부전이었다. 하지만 이들 2예의 GRWR이 각각 0.89 와 0.92로 이식편의 용량 부족과는 상관이 없어 보였다. 31 명의 수혜자 중 이식 후 담즙 누출은 없었지만, 5명의 수혜 자에서 수술 후 30개월까지의 추적기간 중에 담도 협착이 발생하여 추가적인 치료를 필요로 하였는데, 전 예에서 재 개복 없이 중재방사선적 치료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해결되 었다. 공여자에서 수술 후 주요 합병증 및 사망은 발생하지 않았다.

고 찰

성인간 생체부분 간이식의 경우 이식편의 크기 부족 (small-for-size graft)은 드물지 않게 경험하게 되는 문제 중 의 하나이다. Lo 등(7)은 이식편의 크기가 수혜자의 표준 간용적의 40% 이하일 경우 이식 후 이식편 기능에 좋지 않 은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으며, Kiuchi 등(8)은 이식편의 GRWR이 0.8 이하인 경우 small-for-size graft syndrome으로 인하여 이식 후 결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Table 1. Donor liver profiles of 31 adult living donor liver trans-

plantations using a graft of left lobe plus caudate lobe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LL* volume 487±131 (310∼752) ml

CL volume 24±6 (15∼36) ml

CL volume/LL volume 5.9±1.4 (3.6∼9.8)%

Graft weight 455±55 (330∼560) g

Graft weight/Recipient SLV 38.8±6.9 (26.1∼57.7)%

GRWR§ 0.79±0.11 (0.49∼1.02)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LL = left lobe; CL = caudate lobe; SLV = standard liver vol- ume; §GRWR = graft-recipient weight ratio.

Fig. 2. The regeneration rate of the transplanted caudate lobe (CL) and left lobe (LL). The regeneration rate of the caudate lobe after transplantation was 116% after 1 week and 121%

after 1 month. On the other hand that of the left lobe was 193% after 1 week and 227% after 1 month. The regen- eration rate in left lobe was greater than that in the caudate lobe (P<0.05).

(4)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하였다. 따라서 충분한 크기의 이식편을 이식하는 것은 성 공적인 생체 부분 간이식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12)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간우엽은 좌엽에 비해 큰 크 기 때문에 더 적합한 이식편이라 할 수 있지만, 간우엽을 이용한 간이식시 전구역에 발생하는 간정맥 울혈은 이식편 의 기능 회복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13) 무 엇보다도 간우엽을 이식편으로 사용한 경우 좌엽을 사용한 경우보다 공여자에서의 이환율이 증가하고 수술 후 회복기 간도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7,8) 이는 생체 부분 간이식에 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공여자의 안전을 보장 할 수 없기 때문에 간우엽의 사용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반면 이식편으로 간좌엽을 이용할 경우 공여자의 안전성 면에서는 우엽보다 유리하지만 작은 크기로 인하여 small- for-size graft syndrome을 더 자주 경험하게 된다. 간좌엽을 이용한 성인간 생체 부분 간이식 시 드물지 않게 겪게 되는 이러한 이식편의 크기 부족을 해결하면서 공여자의 안전을 보다 더 확보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시도되었는데, Sugawara 등(14)은 간좌엽의 크기가 우후구역의 크기보다 작을 경우 우후구역을 구득하여 이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 으며, Lee 등(15)은 한명의 공여자로 충분한 크기의 이식편 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두 명의 공여자로부터 동시에 간 일부를 구득하여 이식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간좌엽 이식시 이식편의 중량을 증가시키고자 미상엽을 동반 구득하여 이식하는 방법은 Miyagawa 등에 의해 개발 된 이래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시행되었다.(10,16,17) Miyagawa 등(10)은 초기 증례 보고에서 간좌엽 이식시에 미 상엽을 동반 구득함으로써 이식편의 용적을 수혜자 표준 간용적의 29%에서 32%로 증가시킬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 으며, Takayama 등(17)은 미상엽을 동반 구득함으로써 약 9% 정도의 이식편 중량 증가를 기대할 수 있었다고 보고하

였다. 저자들 또한 미상엽을 동반 구득함으로써 약 5% 정도 의 이식편 중량 증가를 기대할 수 있었다. 따라서 미상엽을 동반 구득하여 이식하는 방법은 간좌엽만으로는 이식편의 크기가 불충분한 경우 이식편의 중량을 일정 부분 증가시 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미상엽의 동반 구득이 이식편의 중량 증가에는 유용하지만, 이식 후 기능적인 효용성 면에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Ikegami 등(16)은 이식 후 미상엽의 재생률이 간좌엽에 비 하여 유의하게 낮았음을 보여주면서 그 원인으로 불충분한 정맥 유출로 인한 울혈 및 미상엽의 특수한 해부학적 위치 를 언급하였다. 저자들의 경우에도 이식 후 미상엽의 재생 률이 간좌엽에 비하여 낮았지만, 이식 후 추적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상당한 부분의 미상엽 간실질이 정상적인 조직관 류를 보이면서 기능하고 있는 소견을 보이기 때문에 이식 편 구득시 가능한 많은 양의 기능성 간실질을 확보하려는 노력에는 부합된다고 할 수 있다(Fig. 3). 또한 저자들의 경 우 미상엽을 동반 구득하는데 통상적인 좌엽 구득에 비하 여 간후부 대정맥을 추가적으로 박리하는데 필요한 약 30 분 정도의 수술 시간만이 더 필요하였고 기술적인 어려움 은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미상엽 동반 구득 및 이식은 공여 자의 안전을 해치지 않고 약 5% 정도의 이식편 크기를 증 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간좌엽만으로 크기가 부족해 보이 는 경우 적극적으로 시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한다.

좌측 미상엽의 담도는 90% 이상에서 좌측의 담도 및 간 내 담도로 배액된다.(18) 그러므로 미상엽의 담도가 좌측문 맥제부 근처의 담도로 배액될 경우 미상엽을 동반 절제하 더라도 하나의 개구부를 확보하기가 용이하지만, 간문부 분지부 부근에서 분지하는 경우 미상엽 담도가 따로 개구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Kubota 등(19)은 미상엽을 동 반 이식시 미상엽 담도의 재건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간편 Fig. 3. CT findings of preoperative donor (A) and postoperative 1 month recipient CT (B). Recipient CT showed favorable regeneration

of the caudate lobe portion and visualization of the caudate portal vein (P1) and caudate hepatic vein (V1).

A B

P1 V1

(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화된 담도 재건 술식을 보고하였다. 하지만 오히려 무리한

미상엽 담도의 재건은 또 다른 담즙 누출의 위험성을 가지 고 있으며, 특히 담도-담도 문합을 시행할 경우 추가적인 미상엽의 담도 재건은 용이하지가 않기 때문에 가능한 미 상엽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담도 개구부를 얻을 필 요가 있다. 따라서 이식편 구득 중 담도 절리시에 많은 주의 를 필요로 한다. 저자들은 수술 중 담도 조영술로 담도의 해부학적 구조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담낭관을 통하여 coronary artery dilator로 주의 깊게 미상엽의 담도를 포함하 는 전체 담도계의 해부학적 구조를 확인한 후 가능한 하나 의 담도 개구부를 얻을 수 있도록 담도 절리 부위를 결정하 였으며, 이소성의 1 mm 이하의 작은 미상엽 담도는 모두 결찰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저자들은 미상엽의 담 도를 따로 재건해야 하는 경우는 한 예도 없었으며, 이식 후 미상엽에서의 담즙 누출, 농양 형성, 담관 확장 등의 합 병증을 경험하지도 않았다. 따라서 저자들은 이러한 경험 으로 미루어 볼 때 미상엽의 담도 재건은 반드시 시행하여 야 하는 것이 아닌 선택적으로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 한다.

결 론

간좌엽을 이용한 생체 부분 간이식시 미상엽을 동반 구 득하는 것은 공여자의 안전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약 30분 정도의 노력을 더 들여서 이식편의 중량을 약 5% 정 도 증가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REFERENCES

1) Raia S, Nery JR, Mies S. Liver transplantation from live do- nors. Lancet 1989;2:497.

2) Strong RW, Lynch SV, Ong TH, Matsunami H, Koido Y, Balderson GA. Successful liver transplantation from a living donor to her son. N Engl J Med 1990;322:1505-7.

3) Hashikura Y, Makuuchi M, Kawasaki S, Matsunami H, Ikegami T, Nakazawa Y, et al. Successful living-related partial liver transplantation to an adult patient. Lancet 1994;343:1233-4.

4) Tanaka K, Uemoto S, Tokunaga Y, Fujita S, Sano K, Nishizawa T, et al. Surgical techniques and innovations in living related liver transplantation. Ann Surg 1993;217:82-91.

5) Kawasaki S. Makuuchi M, Matsunami H, Hashikura Y, Ikegami T, Nakazawa Y, et al.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in adults. Ann Surg 1998;227:269-74.

6) Lo CM, Fan ST, Liu CL, Wei WI, Lo RJ, Lai CL, et al. Adult- to-adult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using extended right lobe grafts. Ann Surg 1997;226:261-9.

7) Lo CM, Fan ST, Liu CL, Chan JK, Lam BK, Lau GK, et al.

Minimum graft size for successful living donor liver trans- plantation. Transplantation 1998;68:1112-6.

8) Kiuchi T, Kasahara M, Uryuhara K, Inomata Y, Uemoto S, Asonuma K, et al. Impact of garft size mismatching on graft prognosis in liver transplantation from living donors. Trans- plantation 1999;67:321-7.

9) Filiponi F, Romangnoli P, Mosca F, Couinaud C. The dorsal sector of human liver: Embryological, anatomical and clinical relevance. Hepatogastroenterology 2000;47:1726-31.

10) Miyagawa S, Hashikura Y, Miya S, Ikegami T, Urata T, Terada M, et al. Concomitant caudate lobe resection as an option for donor hepatectomy in adult living related liver transplantation.

Transplantation 1998;66:661-3.

11) Lee SG, Park KM, Hwang S, Lee YJ, Kim KH, Ahn CS, et al. Adult-to-adult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at the Asan Medical Center, Korea. Asian J Surg 2002;25:277-84.

12) Sugawara Y, Makuuchi M. Small-for-size graft problems in adult-to-adult living-donor liver transplantation. Transplanta- tion 2003 15;75:20-2.

13) Lee SG, Park KM, Hwang S, Kim KH, Choi DN, Joo SH, et al. Modified right liver graft from a living donor to prevent congestion. Transplantation 2002;74:54-9.

14) Sugawara Y, Makuuchi M, Takayama T, Imamura H, Kaneko J. Right lateral sector graft in adult living-related liver trans- plantation. Transplantation 2002;73:111-4.

15) Lee SG, Hwang S, Park KM, Lee YJ, Choi DN, Ahn CS, et al. An adult-to-adult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 using dual left lobe grafts. Surg 2001;129:647-50.

16) Ikegami T, Nishizaki T, Yanaga K, Shimada M, Kakizoe S, Nomoto K, et al. Changes in the caudate lobe that is trans- planted with extended left lobe liver graft from living donors.

Surg 2001;129:86-90.

17) Takayama T, Makuuchi M, Kubota K, Sano K, Harihara Y, Kawarasaki H. Living-related transplantation of left liver plus caudate lobe. J Am Coll Surg 2000;190:635-8.

18) Couinaud C. Surgical anatomy of the liver revisited. Paris: L' imprimerie Maugein & Cie;1989.

19) Kubota K, Takayama K, Sano K, Hasegawa K, Aoki T, Sugawara Y, et al. Small bile duct reconstruction of the cau- date lobe in living-related liver transplantation. Ann Surg 2001;235:1741-77.

수치

Fig.  1.  Preoperative  estimation  of  the  graft  liver  volume.  The  vol- vol-umes  of  left  lobe  (white  dotted  line)  and  caudate  lobe  (black  dotted  line)  were  measured  separately  using   com-puted  tomogram  volumetry
Fig.  2.  The  regeneration  rate  of  the  transplanted  caudate  lobe  (CL)  and  left  lobe  (LL)

참조

관련 문서

On October 5, the Incheon Free Economic Zone Authority (IFEZA) announced that it recently offered an online cooking class for foreigners living in the Incheon Free

Sixth,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liv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xercise of participants through living sports showed that the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n bone regeneration relative to maintenance period of PTFE membrane in rabbit calcarial defects.. Eight adult

Interest in sustainability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ving has brought changes in the measurement and judgement for the quality of living.

quality of life and improved standard of living, and as reflected in this popular desire, kiosks provide various forms of food-related information and have

However syn elimination does occur in rigid molecules when the living group and the hydrogen are held in an when the living group and the hydrogen are held in an

Department of Education,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al Statistics, Adult Literacy in America, National Adult Literacy Survey, 1992, Table 1.1b, p.. In addition, the United

• • The efficiency of energy transfer (fraction of transfers per donor lifetime ~ k ET /k D ) by the dipole mechanism depends mainly on the oscillator strength of the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