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구강내과 진료의 현재와 미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구강내과 진료의 현재와 미래"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Ⅰ. 치과 전문 과목

1)

모든 국민이 수준 높은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도 록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해 국내 의료 전달체계는 의원급의 1차 기관, 종합/병원급의 2차 기 관과 상급종합병원급의 3차 기관으로 구분되어 있다.

의사는 의과대학을 졸업 후 대부분 전문의 과정을 거 쳐 1차 의료기관을 개설 또는 2, 3차 의료기관에 봉직 의로 취업하는 등 전 기관에 걸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반면에, 치과의사는 치과대학을 졸업 후 3차 의

교신저자 :조수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대로 757 특편한 치과의원

Tel: 051-465-0503 Fax: 051-465-0513

료기관에서 전문의 과정을 거쳐 봉직의로 취업하는 경우도 있지만, 분야 특성상 대부분 1차 의료기관인 치과의원을 개설하는 경우가 90% 이상이다. 또한, 1 차 의료기관에서도 세부 전문 분야별로 진료하는 의 과와는 달리 치과는 세부 전문 분야별 구분 없이 의 원급에서 치과 전 영역을 대상으로 진료를 담당해 왔 다. 의료법상 치과 영역은 전문 분야별로 구분되어 있 으나, 그 동안 법으로만 명시되어 있었을 뿐 여러 난 관에 부딪쳐 치과 전문의 제도를 제대로 시행하지 못 하고 있었다. 이후 수년 동안 수많은 공청회를 거쳐 기존 개업의들의 많은 양보를 바탕으로 2008년 드디 어 치과 전문의 제도를 본격 시행하게 되었다.

현재 국내 의료법에 명시되어 있는 치과 전문 과목 은 구강내과, 치과교정과, 구강악안면외과, 치과보철 과, 소아치과, 치주과, 치과보존과, 영상치의학과, 구 강병리과, 예방치과 등 총 10개 과목으로 세분되어 있

구강내과 진료의 현재와 미래

특편한 치과의원 원장

조 수 현

국내 의료법에 명시되어 있는 치과 전문 과목은 총 10개 과목이며, 이 중 단일 전문 과목만으로 개원한 분야는 크게 구강 내과, 교정과, 소아치과가 대표적이다. 이 중 구강내과는 구강진단학, 구강안면통증, 구강병학, 전신질환과 치의학, 법치의학, 레이저 치의학 분야 등으로 다양한 영역에 걸쳐 주로 비치성 통증을 다루는 대표적인 치과 전문 분야라 할 수 있다.

2017년 현재 구강내과 만을 전문으로 하는 치과 수는 전국 대도시 중심으로 전문의 뿐만 아니라 기수련자를 포함하여 21개 치과에 이른다. 또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지급내역을 분석한 자료에서도 보면 턱관 절 장애로 진료받은 환자수와 턱관절 장애 관련 진료비가 각각 40.5%와 79.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에 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은 인구수 대비 구강내과 전문 치과 수는 타 지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현실이다.

구강내과의 여러 진료 영역 중 현재 개원가 환경에서는 주로 턱관절 장애에 편중되어 있지만, 2000년대 이후 수면 장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와 관련한 여러 연구에서 치과 영역 특히 구강내과 분야의 중추적인 역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아직은 환자의 인식이 낮아 구강내과 전문 치과를 찾는 수면 장애 환자는 그리 많지 않지만 앞으로 내원 환자 수는 점점 더 많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구강내과의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치료 술식의 개발과 발전으로 향후 구강내과 분야와 관련된 환자는 더 증가할 것이며, 지속적인 진료 영역 개발 및 확대 또한 구강내과 진료의 미래를 한층 더 밝게 할 것이다.

주제어 : 구강내과, 턱관절 장애, 수면장애

(2)

은 크게 구강내과, 교정과, 소아치과가 대표적이다.

그 외 다른 분야에서도 점점 단일 과목만으로 개원하 고자 하는 움직임은 있지만, 개원가 환경에서 독립해 서 한 과목만 표방하여 진료하기에는 아직 국내 여건 상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대부분은 치과 전문 의를 획득하고도 실제 개원가에서는 세부 영역 구분 없이 치과 전 과목을 진료 영역으로 하고 있다. 총 10 개의 치과 전문 과목이 세분화, 전문화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치과 영역에서는 주로 치아와 그 주위 조직 에서 발생하는 치성 통증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에 반해 구강내과는 구강진단학, 구강안면통증, 구 강병학, 전신질환과 치의학, 법치의학, 레이저 치의학 분야 등으로 다양한 영역에 걸쳐 주로 비치성 통증을 다루는 대표적인 치과 전문 분야이다. 현재는 기존 분 야뿐만 아니라 수면 호흡 장애와 관련된 질환 등을 포함하여 영역을 점차 더 확대해 나가고 있다.

2008년 1회

2009년 2회

2010년 3회

2011년 4회

2012년 5회

2013년 6회

2014년 7회

2015년 8회

2016년 9회

2017년

10회 합계

4명 8명 9명 5명 5명 8명 11명 8명 9명

7명 (34명*) (9명**)

74명 (117명)

* 전속지도 전문의 역할자

** 퇴직 전속지도 전문의 자격시험 결과 신규 전문의 표 1. 2008년 ~2017년까지 구강내과 전문의 배출 현황

치과명 지역 구강내과 전문의 수

1 서울 구강내과 치과의원 서울 2명

2 바른 구강내과 치과의원 서울 1명

3 조웰 구강내과 치과의원 경기 1명

4 연세 구강내과 치과의원 인천 1명

5 늘곁에 구강내과 치과의원 대구 1명

6 열린 구강내과 치과의원 대구 1명

7 턱편한 구강내과 치과의원 부산 1명

8 처음부터 구강내과 치과의원 창원 2명

표 2. 2017년 10월 현재 전국 구강내과 치과의원 개원 현황

Ⅱ. 구강내과 전문 치과의 현황

치과 의료의 분야별 전문화와 진료 영역 특화를 위 해 2008년 본격적인 치과 전문의 제도가 시행된 후 10년간 구강내과 분야에서도 현재까지 74명의 구강 내과 전문의와 전속지도 전문의 역할자 34명, 퇴직 전 속지도 전문의 자격 결과 신규 전문의 9명을 포함하 여 모두 117명의 전문의가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활 동 중이다 (표 1).

또한, 전문의를 제외한 구강내과를 전공한 기수련 자는 현재 총 142명이며, 이 중 구강내과만을 전문으 로 개원한 치과는 그리 많지 않으며, 대부분 전공의 과정을 이수하고도 개원은 타 과와 같이 일반 진료를 우선으로 하고 있다. 2012년 이전에 기수련자 중 구강 내과 단일 과목으로 개원한 선구적인 치과는 서울 1 개소, 대구 1개소, 부산 2개소 등 전국적으로 총 4개

(3)

소가 있었다. 치과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 및 급여기 준에서 구강내과와 관련된 대표적인 항목인 측두하 악분석검사 항목은 그 동안 검사 시간을 40분으로 제 한해 왔으나, 2012년 7월 1일 자로 기존 문구가 삭제 됨으로써 일일 신환수 제한이 풀리게 되었다. 이에 기 수련자 중에서도 기존 일반 진료를 접고 구강내과만 을 전문으로 하는 치과로 하나, 둘씩 탈바꿈하게 되는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 또한, 본격 치과 전문의 제도가 시행된 2008년 이후 1차 기관에서 치과 진료 과목으로 구강내과를 표방하여 개원하는 전문의들이 점차 늘어나면서, 2017년 10월 현재 구강내과만을 전 문으로 하는 치과 수는 전국 대도시 중심으로 전문의 뿐만 아니라 기수련자를 포함하여 총 21개소에 이른 다 (표 2, 3).

치과명 지역 기수련자/전문의

1 아림 치과병원 서울 기수련자+전문의

2 서울청춘 치과의원 서울 기수련자

3 TMD 치과의원 경기 기수련자

4 특편한 치과의원 부산 기수련자+전문의

5 턱편한 잎새 치과의원 부산 기수련자

6 세방 치과의원 부산 기수련자

7 턱편한 미소 치과의원 부산 전문의

8 톡톡치과의원 대구 전문의

9 편한 치과의원 대구 기수련자

10 조인트 치과의원 대구 기수련자

11 턱편한 세민 치과의원 울산 기수련자

12 조은턱 치과의원 울산 기수련자

13 특편한 치과의원 창원 전문의

표 3. 전국 구강내과 전문 치과 (구강내과 치과의원 상호 제외)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증가율

(‘10년대비’15년) 248,052 274,439 293,713 316,992 338,949 348,413 40.5%

표 4. 연도별 건강보험 진료형태별 '턱관절' 진료인원 현황 (단위: 명, %)

이러한 추세는 구강내과의 여러 진료 영역 중 현재 개원가에서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측두하악장애, 즉 턱관절 장애 환자에 대한 건강보험 지급자료에서도 잘 반영되어 있다. 2016년 4월 언론 보도자료에 따르 면 지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지급내역을 분석한 결과 턱관절 장애로 진 료받은 환자는 2010년 25만 명에서 2015년 35만 명으 로 40.5%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표 4), 턱관 절 장애 관련 진료비는 2010년 173억 원에서 2015년 303억 원으로, 2010년 대비 74.9%가 증가했다 (그림 1). 성별로 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정도 더 많으 며, 연령대별로는 20대가 26.9%로 가장 많았고, 이어 10대 17.1%, 30대 16.1% 순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2).

(4)

그림 1. 연도별 건강보험 '턱관절' 진료비 현황

그림 2. 2015년 건강보험 '턱관절장애' 연령대별 / 성별 진료 인원 현황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에 비해 서울, 인천, 경기 지 역의 인구수 대비 구강내과 전문 치과 수는 타 지역 보다 턱없이 부족한 현실이다. 또한 충청도, 강원도, 전라도, 제주도 지역은 1차 의료기관 즉 의원급에서 구강내과만을 전문으로 담당하는 전문 치과는 전무 한 상태이다. 오는 2018년부터 5년간 한시적으로 기 수련자에 대한 전문의 시험 응시 자격부여에 따른 전 문의 수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로 인한 인식 변화는 향후 이 지역을 중심으로 구강내과 전문 치과 수가 점차 늘어나리라 예상된다.

Ⅲ. 구강내과 전문 치과의 현 주소

10개의 치과 전문 과목 중 구강내과는 다양한 세부 영역으로 구분되지만, 개원가 환경에서는 앞서 언급 한 바와 같이 대부분 비치성 통증을 다루고 있다. 이 런 점에서 치성 통증 위주로 진료하는 타 전문 분야

그림 3. 구강내과 세분 분야별 초진 환자 비율

그림 4. 초진 환자의 성별 비율

의 치과와는 진료 영역과 방식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 인다. 부산 서면 소재 특편한 치과의 2013년 11월부터 2017년 7월까지 한국표준질병사인 분류에 따른 건강 보험 청구 내역을 조사, 분석한 자료에서 구강내과 세 부 분야 중 일반인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턱관절 장애와 관련된 초진 환자 비율이 96%로 가장 많았다 (그림 3). 성별 비율을 보면, 여성 65.4%, 남성 34.6%

로 건강보험 공단 분석 자료보다는 여성 환자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림 4). 연령대별 초진 환자의 비율 은 20대가 전체 초진 환자의 1/3 이상인 36.78%로 가 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이후 30대 15.53%, 10대 12.45% 순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5). 또한, 9세 이하를 제외한 전 연령대별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60세 이후 노년층에서도 턱관절 장애로 인한 많은 고통과 일상생활에서의 적지 않은 불편감을 겪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턱관절 장애 진단명에 따른 비율을 보 면, 턱관절 내장증 45.7%, 저작근 장애 36.7%, 턱관절 의 퇴행성 관절염 11.8%, 턱관절의 재발성 탈구 및 아

(5)

그림 5. 초진 환자의 연령대별 비율

그림 6. 턱관절 장애 진단명에 따른 비율

탈구 5.8% 순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6). 특히 턱관절 의 퇴행성 관절염의 비율이 높게 나와 있는 데, 이는 과거 방사선 노출량과 경제적 비용 등으로 촬영 빈도 가 그리 높지 않았으나 현재 영상 기법의 발전, 장비 의 소형화와 대중화로 Cone Beam Computerized

직책 진료 형태 응답자수 비율

교수/공공기관 구강내과 41명 13.1%

개원의 일반 진료 136명 43.5%

개원의 일반 진료 + 구강내과 71명 22.7%

개원의 구강내과 27명 8.6%

봉직의 일반 진료 6명 1.9%

표 5. 구강내과 전공자 313명의 현재 진료 형태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Tomography(CBCT)가 치과의원급에 널리 보급되면서 좀 더 정확한 진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진단의 정 확성은 특히 10대 연령대의 소아․청소년기 즉, 성장 기에 매우 중요하며, 하악 과두의 성장과 발육 저하에 의한 교합 변화 및 안면 비대칭 등 여러 문제 등을 조 기 발견하여 치료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현재 구강내과 전문 치과에서의 환자 비중은 턱관 절 장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구강내과 분야 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전문의 제도 시행 및 안정적 인 정착, 일반인의 인식 변화 등으로 향후 다른 분야 에서도 환자 수가 급증하리라 예상된다. 또한, 질환의 전문 분야를 정확히 잘 몰라 여러 의료기관을 찾아 헤매는 현실을 감안하면 앞으로 이런 시간적, 경제적, 사회적 비용 절감은 가계의 의료비 지출 부담을 줄여 줄 뿐만 아니라 국민건강보험 재정 건전성에도 크게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Ⅳ. 일반 치과와 구강내과 전문 치과 비교 2017년 7월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에서 구강 내과 전공자 진료 형태에 대해 총 31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일반 치과로 개원한 형태가 136명 (43.5%)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일반 진료와 구 강내과 진료를 병행하는 개원의가 71명 (22.7%)이며, 구강내과만을 전문으로하는 개원의는 27명 (8.6%)으 로 조사되었다 (표 5). 전체 총 234명의 개원의만으로 산정한 비율에서 보면 일반 치과 개원 형태가 88.5%

로 압도적이며, 구강내과 전문 치과는 단지 11.5%에 불과하였다. 또한, 현재 전국 11개 치과대학에서 구강 내과 전공 과정 중인 전공의를 대상으로한 향후 희망 진로 및 진료 형태에 관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구강

(6)

내과 전문 진료만을 희망하는 전공의는 46.2%, 일반 진료와 병행하고자 희망하는 전공의는 30.8%, 봉직의 희망자는 15.4%로 조사되었다.

이 조사에 따르면 구강내과를 전공하고도 아직도 일반 치과로 개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배경 에는 구강내과 단독 전문과목만으로 개업했을 때 경 제적 측면에서 치과 운영이 가능한지에 대한 의구심 과 자신감 결여 등에서 비롯된 것 같다. 필자도 2005 년 일반 진료와 구강내과 진료를 병행하여 8년간 치 과 운영 후 2013년 11월부터 구강내과 전문 치과로 완전히 탈바꿈한 경험을 토대로 보면 이는 단지 기우 에 불과하다고 본다. 개인적 경험에서 보면 일반 치과 와 구강내과 전문 치과 간의 분명한 차이점은 있으며, 어떤 측면에서는 구강내과 전문 치과를 운영할 때 더 많은 장점이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다음 표는 필자의 경험상 단독 개원 시 일반 치과와 구강내과 전문 치 과 간의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잘 보여 준다 (표 6).

일반 치과나 구강내과 전문 치과로 개원 시 치과 평수, 인테리어 비용, 방사선 장비 비용은 동일하나, 일반 치과로 개원 시 치과용 Unit chair, 기구, 재료 및 기타 장비 등에서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후 치 과 운영에 있어 일반 치과의 경우 기공료, 인건비, 재 료비 등의 매월 고정 경비에서 구강내과 전문 치과보 다 더 많은 비용 지출이 발생하게 된다. 종합하면 구 강내과 전문 치과로 개원 시 개원 초기 비용과 이후 치과 운영비에서 일반 치과보다는 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 치과의사가 환자 진료하면서 흔하게 겪게 되는 증상은 목, 허리 디스크, 어깨결림 및 손목터널 증후군 등이 대표적이다. 아주 작은 공간인 구강 내 치아 치료에 고도의 집중과 진료 자세에서 오는 이러 한 근골격계 장애는 일정한 자세를 오랫동안 유지해 야 하는 직업적 특성을 갖는 치과의사의 직업병이라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핸드피스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의한 이명이나 난청, 분진에 의한 호흡기 질환, 환자 에 의한 감염 등 직업상 다양한 노출에 매우 취약하 다. 또한 일반 치과에서 행해지는 치과 진료는 외과적 처치가 대부분이며, 온전히 치과의사의 수조작에 의 존해 진료가 이루어지다 보니 육체노동 강도도 매우 높으며, 아픈 환자를 상대하다 보니 이로 인한 직업상 스트레스도 만만치 않다. 이에 비해 외과적 처치가 거 의 없는 구강내과 전문 치과는 이런 육체노동 강도와 환자에 대한 스트레스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편이 다.

개인적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일반 치과 또는 구강 내과 전문 치과를 운영할 때 발생하는 수입, 지출 부 분에서 모든 경비를 제외한 순 이익률은 일반 치과인 경우는 30~40%이며, 구강내과 전문 치과인 경우는 60% 이상이다. 이는 구강내과 전문 치과의 매월 고정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만큼 세 금 부담은 일반 치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측면도 있 다.

단독 개원 기준 일반 치과 구강내과 전문 치과

평수 동일 동일

인테리어 비용 동일 동일

X-ray 장비 동일 동일

Unit Chair 비용 많음 1 ~ 3대

기구, 재료 및 기타 장비 등 제반 비용 많음 물리치료기

기공료 많음 위탁/직접

인건비 많음 2 ~ 4명

매월 고정 경비 (재료비 포함) 많음 매우 적음

육체 노동 강도 매우 높음 매우 낮음

스트레스 지수 매우 높음 매우 낮음

이익률 30 ~ 40% > 60%

표 6. 일반 치과와 구강내과 전문 치과 간의 비교

(7)

Ⅴ. 구강내과 진료의 미래

구강내과 전문 치과의 환자 중 턱관절 장애 환자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사실은 앞선 자료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국내에 턱관절 장애가 소개된 것은 1970년대부터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의 전신 인 구강진단과에서 이에 대한 연구와 환자 진료에서 비롯되었고, 1980년대 이후 전국 치과대학 구강진단 과를 중심으로 점차 뿌리내리게 되면서 턱관절 장애 의 진단, 평가 및 치료에 있어 큰 발전을 이루는 계기 가 되었다. 1990년대에 접어들어서는 턱관절 장애를 좀 더 자세히 이해하게 되면서 턱관절 장애와 두경부 의 다른 통증 장애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필요성 이 대두되었다. 이에 전통적으로 치과 영역으로 생각 하지 않았던 두통, 신경병성 통증, 심인성 통증 등 두 경부의 다른 통증 장애 영역으로 더욱더 확대되었다.

이런 흐름은 1975년 설립된 미국구강안면통증학회에 서 발간한 백서에서도 반영되어 있으며, 1996년 3판 제목도 구강안면통증으로 변경되었다.

최근 2013년 미국구강안면통증학회에서 발간한 지 침서를 보면 과거보다 턱관절 장애에 대한 진단 분류 체계가 좀 더 체계화, 세분화, 전문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그 동안 수많은 임상적 경험, 과학적 자 료 수집 등을 바탕으로 한 깊고 심도 있는 연구의 산 물이며, 학문적으로 한 단계 더 진일보한 것으로 보인 다. 또한, 이번 지침서에는 수년 동안 수면 아래에서 활발히 연구되어 온 수면 장애와 관련된 최신 연구 논문과 새로운 과학적 정보 등 광범위한 내용이 추가 되면서, 기존 영역에서 벗어나 또 다른 새로운 영역으 로 확대하는 전기가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구강내과 의 미래는 한층 더 밝다고 볼 수 있다.

2000년대 이후 수면 장애에 대한 관심이 높아 지면 서 다양한 분야에서 이와 관련된 연구와 환자 진료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수면 장애 중 치과 영역에서의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이갈이, 코골이 등이며, 이 부분 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치과 전문 분야가 구강내과이다. 이갈이는 치아의 비정상적인 마모, 굴 곡 파절, 진행성 치주질환, 저작근 및 턱관절 기능장 애, 두통 등을 유발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기여요 인이다. 또한, 이를 가는 동안 발생하는 시끄러운 소 리는 다른 사람의 수면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정신적 인 피해를 주기도 하며, 현재 임플란트가 대중화되면

더라도 가족이나 본인이 전혀 인지 못 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이갈이의 유해성과 심각성 등에 대한 환 자들의 인식이 매우 낮아 아직도 방치하는 경우가 상 당히 많다. 앞으로 적극적인 대국민 홍보를 통해 지속 해서 이갈이의 문제점을 알려 나간다면 구강내과 전 문 치과를 찾는 이갈이 환자는 턱관절 장애 환자보다 훨씬 더 많아질 것이다.

수면 중 발생하는 호흡 장애로 인한 저산조증은 다 양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코골이 와 수면 무호흡증 등이 대표적이다. 수면 호흡 장애는 주간 피로감, 졸림증, 성격 변화, 성 충동 감소, 발기 부전, 이산화탄소 축적으로 인한 심한 두통 등의 증상 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전신 건강에도 악영향을 끼 쳐, 고혈압, 뇌졸증, 심장질환, 폐 질환 등의 질환들을 악화시키거나 유발할 수도 있다. 이런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의 치료 방법은 크게 비수술적인 방법과 수 술적인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과거 이비인후과에서 고집해 온 외과적 접근에 의한 장기 결과보다 비수술 적 치료법의 대표적인 구강내 장치를 이용한 치료가 더 많은 이점과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이미 널리 밝혀 져 있다. 하지만 장기간 사용으로 턱관절 문제나 교합 변화 등 구강내 장치 착용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교합과 턱관절 장애에 관한 전문적인 지 식과 경험이 없다면 장치 부작용에 대한 예방과 대처 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 치료에 있어 치과 특히 구강내과 전문 치과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이갈이와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등의 수면 장애에 대한 유병률은 아직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턱관 절 장애의 유병률보다는 매우 높다. 하지만 구강내과 전문 치과의 내원 환자는 구강내과 세부 분야 중 턱 관절 장애 분야에 너무 한쪽으로 편중되어 있다. 전문 의 제도가 시행된 지도 벌써 1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일반인들은 구강내과의 진료 내용을 정확히 잘 모르 고 있으며, 구강내과에서 진료받은 환자 중 거의 대부 분은 구강내과를 알고 제때 바로 찾아오는 경우보다 는 장기간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다가 타 의료 기관이나 구강내과에서 치료받았던 주위 지인 소개 등으로 내원하는 경우가 더 많다. 질환의 전문 분야가 아닌 여러 타 분야에서 과거 지향적, 경험적, 비과학 적인 접근 등 의학적 근거가 부족한 치료법이나 검증 되지 않은 의료 행위 등의 잘못된 의학 정보로 질환

(8)

학회 중심으로 대학과 구강내과 전문 치과 등에서 구 강내과 분야의 질환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지속적으 로 홍보하여 환자 인식을 개선해 나간다면 구강내과 전문 치과를 찾는 환자는 지금보다도 훨씬 더 많아 질 것이며, 정확한 진료를 통한 국민 건강 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구강내과의 다양 한 영역에서 새로운 치료 술식의 개발과 발전으로 향 후 구강내과 분야와 관련된 환자는 더 증가할 것이며, 지속적인 진료 영역 개발 및 확대 또한 구강내과 진 료의 미래를 한층 더 밝게 할 것이다.

(9)

ABSTRACT

The Present and Future of Oral Medicine

Soo-Hyun Cho

Tuk Pyun Han Dental Clinic

There are 10 dental specialty subjects listed in the National Medical Law. Among them, oral medicine, orthodontics, and pediatric dentistry are the most common clinics to open with only one specialized subject. Oral medicine can be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dental specialty to deal with non-odontologic pain in diverse fields such as oral diagnosis, orofacial pain, oral disease, systemic diseases, forensic and laser dentistry.

As of 2017, the number of dental clinics, where specialists and trained dentists in oral medicine specialize only in oral medicine, reach to 21 along metropolitan cities nationwide. According to the health insurance payment data from 2010 to 2015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 number of patients treated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the cost of treating temporomandibular disorder also increased by 40.5% and 79.5%, respectively. However, despite this increasing tendency, it is a fact that the number of dental clinics that specialize only in oral medicine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is insufficient, comparing with other regions.

Among the various care areas of the oral medicine, current local clinics are mainly focused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However, the interest in sleep disorder has been increased since the 200s. From many researches related to this, the significant of a pivotal role of oral medicine has been emerging in the dental area, Yet, due to low patient's perception of oral medicine, not many patients with sleep disorders come to oral medicine specialized clinic but the number of the patients should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new therapeutic techniques in various fields of oral medicine will make the number of patients related to the oral medicine field further increase. at last constant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reatment field will further brighten the future of oral medicine.

Key words: Oral Medicine, Temporomandibular disorder, Sleep disorder

수치

그림 1. 연도별 건강보험 '턱관절' 진료비 현황 그림 2. 2015년 건강보험 '턱관절장애' 연령대별 / 성별 진료 인원 현황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에 비해 서울, 인천, 경기 지 역의 인구수 대비 구강내과 전문 치과 수는 타 지역 보다 턱없이 부족한 현실이다
그림 5. 초진 환자의 연령대별 비율 그림 6. 턱관절 장애 진단명에 따른 비율 탈구 5.8% 순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6). 특히 턱관절 의 퇴행성 관절염의 비율이 높게 나와 있는 데, 이는 과거 방사선 노출량과 경제적 비용 등으로 촬영 빈도 가 그리 높지 않았으나 현재 영상 기법의 발전, 장비 의 소형화와 대중화로 Cone Beam Computerized

참조

관련 문서

그러나 분명한 것은, 현재 농업 분야에서 가족농 형태의 농가와 영 농조합법인, 기업농 등 다양한 형태의 전문 경영체가 출현하고 있으며 이들 전문 경영체의

OECD, International Transport Forum(ITF), How Urban Delivery Vehicles can Boost

본 연구에서는 키넥트 센서로부터 생성된 특징 정보를 사용한 제스처 인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키넥트 센서로부터 차원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구조설계 / 특수 구조설계/ 성능기반설계 전문

폐암의 첫 진료 관문인 호흡기내 과는 토요일에도 폐암 전문 의료진이 외래 진료를 실시해 보 다 신속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폐암 전문 코

요 실금 클리닉을 담당하고 있는 최종보 교수는 현재 대한 배뇨장애 요실금 학회 총무이사직을 3년째 맡고 있으며, 한국의 요실금 질환에 대한 여러 사업을

…교육자, 피교육자 상호 간 의사전달의 도구.. 전문

• 전문 결혼 중매인이 신랑 신부 후보들을 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