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립선암에서 조직 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전립선암에서 조직 내"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709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 of Tubulin α and βII in Prostate Cancer

Tae Heung Kim, Tae Hyung Kim, Shin Young Lee, Young Sun Kim, Mi Kyung Kim1, Soon Chul Myung

From the Departments of Urology and 1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Chung- Ang University, Seoul, Korea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ubulin α and βⅡ expression i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and prostate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103 cases diagnosed with either BPH or prostate cancer were divided into 4 groups: BPH (n=25), localized prostate cancer (n=41), locally advanced prostate cancer (n=18), metastatic prostate cancer (n=18). The tissues were taken through a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suprapubic prostatectomy, prostatic needle biopsy or radical retropubic prostatectomy. The expression was measured by immunohisto- chemical staining. The degree of expression was graded on a 4-point scale.

The data was compared in terms of stage, the serum prostatic specific antigen (PSA) level and Gleason score. The statistical comparisons were made using one-way ANOVA test and a Fisher's exact test.

Results: The levels of tubulin α and βII expression were stronger in the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than those with BPH (p<0.001).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etastatic prostate cancer and localized prostate cancer (p>0.05). The level of tubulin α expression was stronger in the patients with a Gleason score ≥8 than in those of Gleason score ≤7 (p<0.05), but there was no such difference in tubulin βII expression. The level of tubulin α and βII expression was stronger in the patients with a serum PSA level ≥4ng/ml than in those with the serum PSA level <4ng/ml (p<0.001).

Conclusions: The expression of tubulin α and βII may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rostate cancer. These might be used as useful markers for the diagnosis, prognosis and treatment response. (Korean J Urol 2008;

49:709-714)

󰠏󰠏󰠏󰠏󰠏󰠏󰠏󰠏󰠏󰠏󰠏󰠏󰠏󰠏󰠏󰠏󰠏󰠏󰠏󰠏

Key Words: Tubulin, Prostate, Neoplasms

대한비뇨기과학회지 제 49 권 제 8 호 2008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1병리학교실

김태흥ㆍ김태형ㆍ이신영

김영선ㆍ김미경1ㆍ명순철

접수일자2008년 3월 21일 채택일자2008년 6월 25일

교신저자: 명순철

중앙대학교병원 비뇨기과 서울시 동작구 흑석동 224-1

󰂕 156-755

TEL: 02-6299-1808 FAX: 02-6294-1406 E-mail: uromyung@

yahoo.co.kr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진흥사 업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과제고 유번호: A062254).

서 론

전립선암은 서구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암관련 사망의 세 번째 원인이다.1 우리나라에서도 전립선암은 1998년에는 남성암 중 발생빈도가 8위였으나 2002년에는 6 위로 발생빈도가 증가하였으며 다른 종양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2 전립선암의 발생과 진행의 생체분자학적 기전을 명확하게 하고 조기 발견할 수 있는 표지자를 찾기 위한 노력이 현재까지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립선암의 발생과정 중 나타나는 생화 학적 혹은 세포학적 표현형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이는 향후 전립선암의 조기 진단과 치료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것으로 생각한다.

미세관 (microtubule)은 필라멘트 단백 중합체로 유사분 열과 감수분열 중 염색체의 분리, 편모와 섬모의 운동, 세 포기관의 운반, 세포형태 유지 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3-6 Tubulin은 미세관의 주요 구성 단백성분으로 정상 세포, 신 경계 세포, 평활근 세포 등 다양한 세포에서 관찰된다.

Tubulin에는 α와 β 아단위가 있으며 tubulin β에는 6개의

(2)

710 대한비뇨기과학회지제 49 권 제 8 호 2008

아형이 존재한다.6

Tubulin α는 전립선암 세포의 경우, 정상세포와는 다른 분자적 프로파일을 가지기 때문에 진단적 가치를 가질 것 으로 기대되며 새로운 분자생물학적 치료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7

항암화학요법제 중에서 미세관 기능을 억제하는 제제가 중요한 한 분류를 차지하고 있다. 전립선암치료에 단독제제 의 효과는 제한적이지만 항미세관 제제 복합요법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제제는 대부분 tubulin β와 결합한다.8-12 Tubulin β는 미세관의 결합, 안정성, 항 미세관 제제에 대한 민감도 등에 영향을 미치며,13-16 여섯가 지 아형 중에서 tubulin βII가 전립선비대증에 비해 전립선 암에서 더 많이 발현이 된다는 보고가 있다.17

이에 전립선비대증과 전립선암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 염색으로 tubulin α와 βII의 발현도를 관찰하여 전립선암 에서 tubulin α, βII 발현의 임상적 의의에 대하여 알아보 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조직의 선택

전립선비대증과 전립선암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조직을 전립선비대증 25례, 국소성 전립선암 41례, 국소진행성 전 립선암 18례, 전이성 전립선암 18례로 네 군으로 구분하였 다. 전립선비대증 환자에서 경요도내시경하전립선절제술과 상치골전립선절제술을 통해서 얻은 조직을 사용하고, 국소 성 전립선암은 전립선생검과 근치적전립선절제술로 조직을 얻고, 국소진행성 전립선암과 타장기로 전이가 확인된 전립 선암 군에서는 전립선생검을 시행한 조직을 사용하였다.

2. 면역조직화학 염색

각 예의 파라핀 포매 조직에서 4-5μm 두께의 절편을 박 절하고 탈파라핀하고, 무수 알코올, 90%, 75% 및 50% 알코 올에서 차례대로 함수과정을 거쳐서 증류수에 5분간 수세 하였다. 내인성 과산화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 0.5%

hydrogen peroxide에 10분간 처리 후 증류수로 수세하였다.

항원성 회복을 위하여 10mM citrate (pH 6.0) 완충액에 담가 5분간 2회 극초단파 처리 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50mM Tris 완충용액 (TBS, pH 7.5)으로 수세하였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의 비특이성 반응을 제거하기 위해 30분간 염소혈청으 로 처리하고, 여분의 용액을 제거한 다음 일차항체인 DM- 1A (cat. No.: MU121-UC, mouse monoclonal, dilution 1:100, Applied Biogenex, San Ramon, USA)와 JDR3B8 (cat. No.:

MU176-UC, mouse monoclonal, dilution 1:50, Applied Bio-

genex, San Ramon, USA)을 각각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킨 후 TBS로 5분간 3회 수세한 다음 biotin이 부착된 이차항체 (Applied Zymed Co. Carlsbad, USA)에 20분간 작용 후, streptoavidin과 결합한 과산화 효소 복합체를 가하여 20분간 반응시킨 후 AEC chromogen (3-amino-9-ethylcarbazole) 용액 으로 발색하고 Mayer hematoxylin으로 대조 염색을 실시하 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면역조직화학염색반응의 음성 대조군으로는 전립선조직에서 일차 항체를 처리하지 않고 음성대조 시약으로 대체하여 이용하였고 양성 대조군 으로는 소장조직과 폐암조직을 이용하였다.

3. 면역조직화학 염색의 평가

Tubulin에 대한 염색의 판정은 전체세포의 10% 이상에 서, 세포질에 적갈색의 염색상을 보일 때 양성으로 판정하 였고 양성률이 10-30%인 경우를 1+ (국소성), 30-70%인 경 우를 2+ (다발성), 70% 이상인 경우를 3+ (미만성)로 판정 하였다 (Fig. 1).

4. 결과 분석

전립선비대증과 전립선암, 국소성 전립선암과 전이성 전 립선암, Gleason 점수 7점 이하와 8점 이상, 그리고 혈청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4ng/ml 미만과 4ng/ml 이상인 군 사이에 tubulin α와 βII의 발현도를 각각 비교하였다.

통계는 SPSS (version 12.0)를 사용하여 one-way ANOVA test,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1. 대상군의 특성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연령, 혈청 PSA는 68.5±8.4세, 1.5±

1.0ng/ml였다. 국소성 전립선암에서 연령, 혈청 PSA, Gleason 점수가 8점 이상인 경우는 65.6±8.8세, 13.2±14.9ng/ml, 2례 (4.9%)였다. 국소진행성 전랍선암에서 연령, 혈청 PSA, Gleason 점수가 8점 이상인 경우는 67.7±8.0세, 13.4±10.4ng/

ml, 6례 (33.3%)였다. 전이성 전립선암 환자에서 연령, 혈청 PSA, Gleason 점수가 8점 이상인 경우는 72.4±6.1세, 345.7±

710.6ng/ml, 12례 (66.7%)였다. 각 군 사이에 연령 차이는 없 었으나 혈청 PSA와 Gleason 점수는 암의 진행에 따라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p<0.05) (Table 1).

2. 전립선비대증과 전립선암에서 tubulin α, βII의 발 현도 비교

1) Tubulin α: 전립선비대증에서 미만성 (3+) 발현은 전

(3)

Table 1. Characteristics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prostate cancer

BPH (n=25) LoCaP (n=41) LACaP (n=18) MetCaP (n=18) p-value

Age (years) PSA (ng/ml) Gleason score ≤7

≥8

68.5±8.4 1.5±1.0

65.6±8.8 13.2±14.9 39 (95.1%) 2 (4.9%)

67.7±8.0 13.4±10.4 12 (66.7%) 6 (33.3%)

72.4±6.1 345.7±710.6

6 (33.3%) 12 (66.7%)

<0.05*

0.0000017

BP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LoCaP: localized prostate cancer, LACaP: locally advanced prostate cancer, MetCaP: metastatic prostate cancer, PSA: prostate-specific antigen. *: one-way ANOVA test, : Fisher's exact test

Fig. 1. Grading system in the expression of tubulin α and βII (immunohistochemical stain, x100). The degree of expression was graded on a 4-point scale: 0 (negative stain), 1+ (focal stain), 2+ (multifocal stain), 3+ (diffuse stain). Negative stain for tubulin α i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tissue (A) and diffuse stain for tubulin α in metastatic prostate cancer (B). Negative stain for tubulin βII in BPH tissue (C) and diffuse stain for tubulin βII (D) in metastatic prostate cancer.

혀 관찰되지 않았으며 전립선암에서 전립선비대증에 비해 강한 발현도를 나타냈다 (p=0.0000034) (Table 2).

2) Tubulin βII: 전립선비대증에서 전혀 발현되지 않았 으나 전립선암에서는 더 많이 발현되어 전립선비대증에 비 해 강한 발현도를 나타냈다 (p=0.000001) (Table 2).

3. 국소성 전립선암과 전이성 전립선암에서 tubulin α, βII의 발현도 비교

1) Tubulin α: 전이성 전립선암에서 국소성 전립선암과 발현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0.115) (Table 3).

(4)

712 대한비뇨기과학회지제 49 권 제 8 호 2008

Table 5. Expression of tubulin α and βII in the group with serum PSA<4 and PSA≥4

Grade

Tubulin α

No. (%) p-value

Tubulin βII

No. (%) p-value

0 1+ 2+ 3+ 0 1+ 2+ 3+

PSA<4 (n=27) PSA≥4 (n=76)

14 (51.9) 16 (21.1)

10 (37.0) 16 (21.1)

3 (11.1) 21 (27.6)

0 (0)

23 (30.1) 0.000067* 25 (92.6) 31 (40.8)

1 (3.7) 17 (22.4)

1 (3.7) 15 (19.7)

0 (0)

13 (17.1) 0.000037*

PSA: prostate-specific antigen, *: Fisher's exact test

Table 4. Expression of tubulin α and βII in the group with Gleason scores≤7 and Gleason score≥8

Grade

Tubulin α

No. (%) p-value

Tubulin βII

No. (%) p-value

0 1+ 2+ 3+ 0 1+ 2+ 3+

GS≤7 (n=55) GS≥8 (n=21)

13 (23.6) 3 (14.2)

15 (27.3) 0 (0)

14 (25.5) 9 (42.9)

13 (23.6)

9 (42.9) 0.011* 26 (47.3) 5 (23.8)

11 (20.0) 6 (28.6)

11 (20.0) 4 (19.0)

7 (12.7)

6 (28.6) 0.177*

GS: Gleason score, *: Fisher's exact test

Table 3. Expression of tubulin α and βII in localized prostate cancer and metastatic prostate cancer

Grade

Tubulin α

No. (%) p-value

Tubulin βⅡ

No. (%) p-value

0 1+ 2+ 3+ 0 1+ 2+ 3+

LCaP (n=59) MetCaP (n=18)

15 (25.4) 1 (5.6)

13 (22.1) 2 (11.2)

15 (25.4) 8 (44.4)

16 (27.1)

7 (38.8) 0.115* 24 (40.7) 7 (38.9)

14 (23.7) 3 (16.6)

9 (15.3) 7 (38.9)

12 (20.3)

1 (5.6) 0.1503*

LCaP: localized prostate cancer (including locally advanced cancer), MetCaP: metastatic prostate cancer. *: Fisher's exact test Table 2. Expression of tubulin α and βII in BPH and prostate cancer

Grade

Tubulin α

No. (%) p-value

Tubulin βII

No. (%) p-value

0 1+ 2+ 3+ 0 1+ 2+ 3+

BPH (n=25) CaP (n=77)

14 (56) 16 (20.7)

10 (40) 15 (19.5)

1 (4) 23 (29.9)

0 (0)

23 (29.9) 0.0000034* 25 (100) 31 (40.2)

0 (0) 17 (22.1)

0 (0) 16 (20.8)

0 (0)

13 (16.9) 0.000001*

BP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CaP: prostate cancer. *: Fisher's exact test

2) Tubulin βII: 전이성 전립선암에서 국소성 전립선암과 발현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0.150) (Table 3).

4. Gleason 점수에 따른 tubulin α, βII의 발현도 비교 1) Tubulin α: Gleason 점수 8 이상인 군에서 Gleason 점 수가 7 이하인 군보다 더 강하게 발현되어 Gleason 점수가 높은 경우 더 강한 발현도를 나타냈다 (p=0.011) (Table 4).

2) Tubulin βII: Gleason 점수 8 이상인 군과 Gleason 점 수가 7 이하인 군 사이에 발현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177) (Table 4).

5. 혈청 PSA 농도에 따른 tubulin α, βII의 발현도 비교 1) Tubulin α: 혈청 PSA 4ng/ml 미만인 군에서 미만성 (3+)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혈청 PSA 4ng/ml 이상인 군에서 더 강하게 발현되어, 혈청 PSA가 높은 경우 더 강한 발현도를 나타냈다 (p=0.000067) (Table 5).

2) Tubulin βII: 혈청 PSA 4ng/ml 이상인 군에서 혈청 PSA 4ng/ml 미만인 군보다 강하게 발현되어 혈청 PSA가 높

(5)

은 경우 더 강한 발현도를 나타냈다 (p=0.000037) (Table 5).

고 찰

Tubulin α는 전립선암 세포에서 정상세포와는 다른 분자 적 프로파일을 갖는다고 보고되고 있어 새로운 분자생물학 적 치료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Tu- bulin α 아세틸레이션의 감소는 안드로겐 수용체 소실의 지표로서 진단적 가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7

Tubulin이 보통 αβ이량체 (heterodimer)로 존재하고 있으 며 면역형광염색에서 tubulin α, βII가 같은 패턴으로 관찰 되어 tubulin α의 발현이 tubulin βII의 발현과 연관이 있다 는 보고가 있으며18,19 본 연구에서도 실제로 tubulin α는 전 립선암에서 더 강한 발현도를 나타냈으며 tubulin α와 βII 의 발현도는 비슷한 양상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tubulin α와 βII 모두 전립선암의 발생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 각한다.

Ranganathan 등17은 전립선비대증에 비해서 전립선암에 서 tubulin βII가 더 많이 발현된다고 보고하였다. 정상 세 포의 세포질에만 존재하는 tubulin βII는 전립선암 세포의 핵내에서 관찰된다. 정상세포의 핵에서 tubulin βII가 관찰 되지 않는 점은 핵 내 tubulin βII가 암과 관련있을 것으로 생각된다.17

최근 hormone refractory prostate cancer (HRPC)에 taxol 계 열의 제제 사용이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Taxol은 다른 tubulin β 아형보다 tubulin βII에 더 특이적으로 작용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Taxol은 두 가지 효과를 나타내 는데 세포고사뿐만 아니라 tubulin βII를 재배열시키고 더 높은 농도에서는 tubulin βII를 고갈시킨다.19 Tubulin βII의 발현이 이러한 항미세관 제제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21,22 따라서 전립선암 환자에서 tubulin βII의 발현 정도에 따라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 예측 및 치료 효과 판정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는 전립선암으로 새롭게 진단된 환자에서만 tubulin βII의 발현도를 조사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항암화학요법 등 치 료 전후 발현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16례의 전립선암에서 모두 핵 내 tubulin βII의 발현이 관 찰되나 발현되는 위치나 정도는 병기 또는 분화도 사이에 연관성이 없다는 보고가 있으며, 전립선비대증에서는 19례 중 단 1례를 제외한 모든 예에서 핵 내 tubulin βII 발현이 있었다는 보고가 있으나 핵 내와 세포질 내의 전체 tubulin βII의 발현은 전립선비대증보다 전립선암에서 높게 발현 된다.23 본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전립선비대증보다 전립 선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강한 발현도를 나타냈으나

전립선비대증에서는 25례 모두에서 발현되지 않았다. 전립 선비대증에서 전혀 발현되지 않은 점은 Yeh 등23의 보고와 는 상이한 결과로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 병기에 따른 비교에서 국소성 전립선암과 전이성 전립선암 사이에는 발 현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분화도에 따른 비교에서 는 Gleason 점수 8 이상인 군에서 더 강한 발현도를 나타냈 다. 따라서 병기보다는 분화도에 따라 더 강한 발현도를 나 타낸 것으로 생각한다. 다만 병기에 따른 비교의 경우보다 많은 증례에 대해 실험한다면 같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생 각한다.

혈청 PSA에 따른 tubulin α와 βII의 발현도에 대한 이전 의 보고는 없었으나 tubulin α와 βII 모두 혈청 PSA 4ng/ml 이상인 경우 더 강한 발현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tubulin α 와 βII가 전립선암의 진단, 예후, 치료에 대한 반응의 표지 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전립선암의 치료 후 재발률, 생존율 등과 tubulin α와 βII의 발현 정도의 변 화와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결 론

Tubulin α와 βII가 전립선비대증 조직에 비해 전립선암 에서 더 많이 발현되는 것은 Tubulin α와 βII의 발현이 전 립선암의 발생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tubulin α와 βII가 Gleason 점수, 혈청 PSA 농도 증가에 따라 더 강한 발현도를 나타내고 항미세관 항암화학요법 제제의 주 요 표적이 되고 있어 전립선암의 진단, 예후, 치료 및 치료 의 평가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REFERENCES

1. Jemal A, Siegel R, Ward E, Murray T, Xu J, Smigal C, et al. Cancer statistics, 2006. CA Cancer J Clin 2006;56:106-30 2. Cancer Registration and Biostatistics Branch, National Cancer

Center. Cancer Statistics in Korea, 2003

3. Musch A. Microtubule organization and function in epithelial cells. Traffic 2004;5:1-9

4. Sullivan KF, Cleveland DW. Identification of conserved iso- type-defining variable region sequences for four vertebrate β- tubulin polypeptide classes. Proc Natl Acad Sci USA 1986;

83:4327-31

5. Sullivan KF. Structure and utilization of tubulin isotypes.

Annu Rev Cell Biol 1988;4:687-716

6. Ludueña RF. Multiple forms of tubulin: different gene pro- ducts and covalent modifications. Int Rev Cytol 1998;178:207- 75

7. Soucek K, Kamaid A, Phung AD, Kubala L, Bulinski JC, Harper RW, et al. Normal and prostate cancer cells display

(6)

714 대한비뇨기과학회지제 49 권 제 8 호 2008

distinct molecular profiles of alpha-tubulin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Prostate 2006;66:954-65

8. Hudes GR, Greenberg R, Krigel RL, Fox S, Scher R, Litwin S, et al. Phase II study of estramustine and vinblastin, two microtubule inhibitors, in hormone-refractory prostate cancer.

J Clin Oncol 1992;10:1754-61

9. Pienta KJ, Redman B, Hussain M, Cummings G, Esper PS, Appel C, et al. Phase II evaluation of oral estramustine and oral etoposide in hormone-refractory adenocarcinoma of the prostate. J Clin Oncol 1994;12:2005-12

10. Hudes GR, Nathan FE, Khater C, Greenberg R, Gomella L, Stern C, et al. Paclitaxel plus estramustine in metastatic hormone-refractory prostate cancer. Semin Oncol 1995;22(5 Suppl 12):41-5

11. Lee JC, Harrison D, Timasheff SN. Interaction of vinblastine with calf brain microtubule protein. J Biol Chem 1975;250:

9276-82

12. Rao S, Horwitz SB, Ringel I. Direct photoaffinity labeling of tubulin with taxol. J Natl Cancer Inst 1992;84:785-8 13. Banerjee A, Roach MC, Trcka P, Luduena RF. Increased

microtubule assembly in bovine brain tubulin lacking the type III isotype of β-tubulin. J Biol Chem 1990;265:1794-9 14. Banerjee A, Luduena RF. Distinct colchicine binding kinetics

of bovine brain tubulin lacking the type III isotype of β- tubulin. J Biol Chem 1991;266:1689-91

15. Lu Q, Luduena RF. Removal of βIII isotype enhances taxol induced microtubule assembly. Cell Struct Funct 1993;18:

173-82

16. Panda D, Miller HP, Banerjee A, Luduena RF, Wilson L.

Microtubule dynamics in vitro are regulated by the tubulin isotype composition. Proc Natl Acad Sci USA 1994;91:11358- 62

17. Ranganathan S, Salazar H, Benetatos CA, Hedes GR. Im- 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β-tubulin isotypes in human prostate carcinoma and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Prostate 1997;30:263-8

18. McKean PG, Vaughan S, Gull K. The extended tubulin superfamily. J Cell Sci 2001;114:2723-33

19. Xu K, Ludueña RF. Characterization of nuclear βII-tubulin in tumor cells: a possible novel target for taxol. Cell Motil Cytoskeleton 2002;53:39-52

20. Derry WB, Wilson L, Khan IA, Ludueña RF, Jordan MA.

Taxol differentially modulates the dynamics of microtubules assembled from unfractionated and purified β-tubulin iso- types. Biochemistry 1997;36:3554-62

21. Sangrajrang S, Denoulet P, Laing NM, Tatoud R, Millot G, Calvo F, et al. Association of estramustine resistance in human prostatic carcinoma cells with modified patterns of tubulin expression. Biochem Pharmacol 1998;55:325-31

22. Burkhart CA, Kavallaris M, Band Horwitz S. The role of beta-tubulin isotypes in resistance to antimitotic drugs. Bio- chim Biophys Acta 2001;1471:O1-9

23. Yeh IT, Ludueña RF. The βII isotype of tubulin is present in the cell nuclei of a variety of cancers. Cell Motil Cy- toskeleton 2004;57:96-106

수치

Fig.  1.  Grading  system  in  the  expression  of  tubulin  α and  βII (immunohistochemical  stain,  x100)
Table  4.  Expression  of  tubulin  α and  βII  in  the  group  with  Gleason  scores≤7  and  Gleason  score≥8

참조

관련 문서

z 문법에서 개방 부류 표현과 폐쇄 부류 표현 은 의미가 있고 인지적 표상에 기여한다 은 의미가 있고, 인지적 표상에 기여한다. z

하 우리나라와 연결된 세계지도를 보고 통일 후의 변화된 모습을 표현할 수 있다..

라이프스트로 (LifeStraw)는 수자원이 오염되어 있는 개발도상국과 제3국에 살고 있는 사람들과 그곳을 여행하는 여행자 , 구호활동을 하고 있는 요원, 선교사 등에 게 먹을

스스로 제작한 액체 안경을 살펴보며 서로 칭찬도 해주고 부족한 부분도 채워주면서 그동안 활 동한 내용들을

◎ 지난 시간에 구상한 휴대용 정수기(라이프스트로우)를 바탕으로 나만의 라이프스트로우를 직접 제작해 보고 오염된 물을 정수해 보자... 라이프스트로우의

같은 분류군에 있어서도 연구자에 따라 중시하는 형질의 종류를 달리할 수 있으 며, 한 분류군을 분류하는데 사용된 형질이 다른 분류군을 분류하는 데는 전혀

太훨 (O-tsuzumi) 는 小載보다 약간 크고 역시 양쪽에 말가죽으록 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能는 고도로 形式化된 藝術이다. 그러나 그 속에서도 많은 신축성이

치아발생과 같은 기관의 발생과 석회화(mi neral i zati on)와 관련이 있는 BMPR-IB와 EF-handcal ci um bi ndi ng protei n은 APi n의 과발현을 유도한 경우에 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