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hapter 7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Chapter 7"

Copied!
2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Chapter 7

MEASURING

PRODUCTIVITY

(2)

Copyright © 2009 Pearson Education, Inc. Publishing as Pearson Addison-Wesley

7-2

7장 생산성의 측정

• 생산성(productivity) : 생산요소들이 산출물로 전환되는 과정이 얼마나 효과적인가?

- 예) 동일한 물적자본을 가지고 얼마나 더 효율적으로 생산하였는가?

• 물적자본, 인적자본만으로 1인당 소득차이 설명곤란 =>생산성 차이를 이용하여 설명 필요

- 국가간 생산성 차이?

- 국가간 1인당 소득격차 중 얼마 만큼이 생산성의 차이로 설명?

- 국가간 생산성 증가속도의 차이는 얼마?

- 생산성 증가속도, 요소축척차이는 국가간 성장률 차이를 얼마만큼 설명?

α

α −

= AK (hL ) 1

Y

(3)

7.1 생산함수에서의 생산성 차이

(4)

Copyright © 2009 Pearson Education, Inc. Publishing as Pearson Addison-Wesley

7-4

(5)

7.2 국가간 생산성 수준의 차이

α

α −

= AK (hL ) 1 Y

α α

=

Ak h 1 y

α α

=

1 1 11

1

A k h y

α α

=

2 2 12

2

A k h y

CDF

1인당 소득산출량 = 생산성(A) X 생산요소( )

k α h 1 α

1국 2국

(6)

Copyright © 2009 Pearson Education, Inc. Publishing as Pearson Addison-Wesley

7-6

국가간 생산성 차이의 측정

산출량 차이

산출량의 비 = 생산성의 비 X 요소축적량의 비

측정불가능

생산성의 비= 산출량의 비 / 요소축적량의 비

(7)

발전회계(development accounting)

- 소득수준의 차이를 생산성의 차이로 설명되는 부분과 요소축적량 차이로 설명되는 부분을 나누어 보는 방법

예) 1국과 2국의 산출량과 생산요소축적량의 상대적 차이

2 1

1

8 27

1 24 A

A

2/3 1/3

2/3 1/3

2

1 =

 

 

 

×

×

 

 

 =

 

 

 

(8)

Copyright © 2009 Pearson Education, Inc. Publishing as Pearson Addison-Wesley

7-8

발전회계

(9)

• 생산성 측정의 결함이 있다면?

=> 생산요소투입량측정의 문제

생산성의 비= 산출량의 비 / 요소축적량의 비

• 자본측정 실패가능성

- 인적자본 : 교육의 질 평가는?

- 물적자본의 과대평가: 자본의 일부가 다른 곳으로 전용 *랜드프리챗(Lant Prichett)의 지적

(1960-1987년 실제 자본 증가는 공식 통계의 절반 이하)

 이러한 자본측정 실패 가능성에도 달라지지 않는 결론 각국의 생산성 차이는 큼

(10)

7-10

생산성에 따른 국가간 소득격차

근로자 산출량 결정에서 생산요소의 역할(2005)

94%

16%

근로자당 산출량의 결정에 있어서 생산성의 역할(2005)

86%

24%

(11)

• 상위 5분위 국가들과 미국 간의 소득격차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생산성 차이

- 요소축적량은 미국의 94%인 반면에 생산성은 86%에 불과

가장 가난한 국가들과 미국 간의 소득격차는 생산성보다는 요소축적량에 기인

- 생산성은 미국의 24% 수준, 요소축적량은 16% 불과

• 생산성과 요소축적량이 유사한 비율로 증가

- 국가간 1인당 소득격차 가운데 57%가 요소축적량의 차이, 43%가 생산 성 차이로 설명 가능

(12)

Copyright © 2009 Pearson Education, Inc. Publishing as Pearson Addison-Wesley

7-12

7.3 생산성 증가율간 국가간 차이

생산성 증가의 측정

α α

=

Ak h 1

CDF

y

산출량 = 생산성(A) X 생산요소( )

k α h 1 α

산출량증가율= 생산성증가율+생산요소 증가율 생산성증가율 = 산출량증가율 – 생산요소 증가율

h k

y

A ˆ = ˆ − α ˆ − ( 1 − α ) ˆ

(13)

성장회계(Growth accounting)

- 한 나라의 산출량, 물적자본, 인적자본의 증가율이 주어졌을 때 생산성증가율을 어떻게 구할 수 있는가?

4%

0.04 1

4 산출량 1

1965년의

산출량 의

2005년 증가율

산출량

1/35

1/35

=

=

=

 −

 

= 

(14)

Copyright © 2009 Pearson Education, Inc. Publishing as Pearson Addison-Wesley

7-14 0.02

3 0.02 0.02 2

3 0.04 1

A ˆ = − × − × =

h k

y

A

ˆ = ˆ −

α

ˆ − (1−

α

) ˆ α=1/3,

즉 에레혼의 생산성증가율은 35년간 매년 2% 상승 미국의 예

1970-2005 : 근로자1인당 산출량 매년 1.57% 증가 물적자본 매년 2.15% 증가 인적자본 매년 0.28증가

0066 .

0 0028 .

3 0 0215 2 .

3 0 0157 1 .

ˆ = 0 − × − × =

A

생산성 증가가 산출량증가의 42%(=0.66/1.57)을 설명

(15)

생산성과 국가 간 성장률 차이

경제성장에 대한 생산요소의 역할(1970~2005)

2.18%

0.74%

경제성장에 대한 생산성의 역할 1970~2005

-1.31%

(16)

Copyright © 2009 Pearson Education, Inc. Publishing as Pearson Addison-Wesley

7-16

• 성장률은 생산성 증가율이 생산성요소 증가율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침

- 생산요소 증가율차이 1.45%, (최상위와 최하위 차이) - 생산성증가율 차이 2.53%

• 국가간 성장률 격차 중 “65%가 생산성 증가율” 차이라면 “35%는 생산요소 증가율” 차이에 기인

(17)

홍콩과 싱가포르

• 1960~1996, 홍콩 매년 6.1% 성장, 싱가포르 7.0% 성장

• Alwyn Young : 두나라 경제성장 요인 다른 것을 발견 - 홍콩은 생산성증가, 싱가포르는 요소축적에 기인

*싱가폴 1966~1990 GDP 대비 투자비중 11%->40% 증가 - 홍콩은 생산성 매년 2.3%증가, 싱가폴은 매년 0.2%만 증가

• Paul Krugman: 싱가포르의 요소축적 기반 성장은 둔화될 것.

* 교육 및 자본의 축적이 계속되기 어려움.

- 싱가포르, 1996년 생산성증가율 높이기 위한 노력 전개

(18)

Copyright © 2009 Pearson Education, Inc. Publishing as Pearson Addison-Wesley

7-18

7.4 결론

1. 국가간 생산성차이

- 가장 가난한 5분위 국가의 평균생산성은 미국의 24%로 격차 - 똑같은 양의 자본으로 생산성차이로 4배 이상 생산격차 발생 - 선진국이라도 일본은 미국의 67%에 불과

2. 1인당소득의 국가간 격차가 생산성 차이로 설명되는 부분은?

- 1인당 소득의 국가간 격차의 56%가 생산요소 투입량, 나머지 44%가 생산성 수준의 차이

(19)

7.4 결론

3. 국가간 생산성 증가율의 차이는?

- 1970~2005년간 상위 5분위 국가들의 생산성 증가율은 1.2%, - 가장 느리게 성장하는 하위 5분위 국가는 -1.3%

4. 국가간 성장률의 차이가 생산성 증가율과 생산요소 증가율에 의해 결정. 이중 성장률의 65%가 생산성 증가율 차이에 기인

(20)

7-20

Q1. 그림?

a) 1국 1인당 산출량 및 생산성 높음. 생산요소 양은 적음 b) 1국 1인당 산출량 및 생산요소 양 높음. 생산성은 낮음

(21)

Q2.

0. 1국의 물적자본 및 인적자본은 100년 전보다 2배 증가 0. 산출량은 동기간 8배 증가

0. 생산성은 몇 배 증가?

100 8/2 4.

t t

A A

+ = =

1

100 100 100 100

1 .

t t t t

t t t t

y A k h

y A k h

α α

α α

+ + + + −

 

  =

 

(22)

7-22

Q3.

Productivity Output Factors Productivity Output Factors .

F F F

S S S

   

=   ×  

   

구분 실바니아 프리도니아

1인당 y 100 200

1인당 k 100 100

1인당 인적자본 25 64

a) 각국의 생산성 A 비율은?

1 1/2 1/2

1 1/2 1/2

Factors (100) (64) (10)(8) 80 Factors (100) (25) (10)(5) 50.

F F F

S S S

k h k h

α α

α α

= = = =

= = = =

Factors 80 Factors 50 1.6.

F S

= =

Output 200 Output 100 2.

F S

= =

2/1.6 1.25. =

(23)

Q3.

b) 요소비율이 같은 경우, 각국의 상대적 산출량 비율?

산출량 비율은 생산성비율과 같음. 따라서 2배 * 산출량 비율 = 생산성 비율

Factors F = Factors . S

Productivity Output Factors Productivity Output Factors .

F F F

S S S

   

=   ×  

   

Output 200 Output 100 2.

F S

= =

(24)

7-24

Q3.

c) 생산성 비율이 같은 경우, 각국의 상대적 산출량 비율?

산출량 비율은 요소비율과 같음. 따라서 1.6배 * 산출량 비율 = 요소 비율

Productivity F = Productivity . S

Factors 80 Factors 50 1.6.

F S

= =

Productivity Output Factors Productivity Output Factors .

F F F

S S S

   

=   ×  

   

(25)

Q6.

Country

Growth Rate of Output per

Worker

Growth Rate of Physical Capital

per Worker

Growth Rate of Human Capital

per Worker

Growth Rate

of Factors Growth Rate of Productivity

Argentina -0.02 0.46 0.37 0.4 -0.42 (=-0.02-0.4)

Austria 1.9 2.82 0.26 1.11 0.79

Chile 1.54 0.85 0.63 0.70 0.84

0. 생산성 및 요소축적량의 증가율은?

h k

y

A ˆ = ˆ − α ˆ − ( 1 − α ) ˆ

h k

ˆ ( 1

α

) ˆ

α

+ −

=

요소증가율

참조

관련 문서

조직문화가 다른 국가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국가문화의 영향력을 설명할 수 있다... Copyright ©

Copyright © The

• 인적자본의 수익율은 물적자본과 달리 계산하기 어려움 -임금으로 유추 가능... Copyright © 2009

The front panel design may differ by chassis. A front panel module mainly consists of power switch, reset switch, power LED, hard drive activity LED, speaker and etc.

한편 IMF와 IPCC의 온실가스 감축비용 추정 결과 를 보면 대체로 OECD의 추정치보다 더 많은 대응 비용이 산출되었는데 이는 각각의 적용모델이 다른 데다 기술수준,

최근 해양 분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해양의 변화는 해양 산성화(acidification)이다. 인위적으로 증가된 이산화탄소가 해양에 흡수 저장되면서 화 학적

에너지는 태양이나 다른 외부 에너지원으로부터 유래한다. Pearson Prentice Hall,

Pearson Cor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