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nd Effect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and Effect"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森林科學鼎究 第 19號

1-11. 2003

J. Fo

r.

Sci .. Kangwon

Naν1

Univ .. No. 19 1-11.2003

Geo-textile 피복자재가 인공비탈면 안정에 미치는 영향( I ) *

-식샘변화, 유출수량, 부유물질량 및 토사유출 변화를 중심으로­

엽규진 1) 문진희 1) 江騎次夫2) 전근우3)

Effect of environment-favored Geo-textile mulching sheet on artificial slope*

- With Vegetation growth , Runoff-water , Suspended Sediment, Sediment Yield - Kyu-Jin Yeom

I),

Jin-Hee Moon

I),

Tsugio Ezaki

2)

and Kun-Woo Chun

3)

요 약

인공 비탈면에 있어서

Geo-textile

소재의 피복자재가 유출수량, 부유물질량, 유출토사 및 식생생육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생의 종류조성은 12과 21 속 20 종 2변종 총 22종류였으며,

Geo-textile

소재의 피복자재가 파 종종자의 개체수 및 시험구의 피복율을 증가시키는데는 효과적이었지만 비탈면 녹화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출수량은 강우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피복자재구가 미설치구보다 최대 1/15.5배 저감되었다.

3.

부유물질량과 유출토사량은 강우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피복자재구가 미설치구보다 각각 최대

1/47 ,

1/151 배로 저감되어 피복자재가 부유사 및 토사의 유출억제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다.

ABSTRACT

The effects that the geo-textile mulching sheet has influenced on the runoff-water

,

suspended solid

,

sediment yield and vegetation growth are as follows in artificial slope

1. The f1 0ra of plots was composed 12 families , 21 genera , 20 species , 2 varieties , total 22 taxa.

2. The geo-textile mulching sheet is effective on increasing of introduced vegetation population

,

number of species and vegetation coverage

,

but just only with the mulching sheet it shows limit of was somewhat difficult to expect the increase of the existence ratio.

※ 이 논문의 일부는 1997 년부터 2002 년까지 농럼부에서 지원받은 농림기술개발사업 첨단기술개발과제 (연구 과제명 : 임도비탈면 안정을 위한 피복자재 및 녹화공법개발)에 의해 진행되었음.

1) 강원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Department

of Forestry. Graduate Schoo

l,

Kangwon N ational University

,

Chunchon 200-70

1.

Korea.

2)

日本 愛援大學 農學部 College

of Agriculture. Ehime University. Matsuyama. Ehime 790-8566.

Japan.

3)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산럼자원학부 Division

of Forest Resources

,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on 200-70

1.

Korea.

(2)

2 Geo-textile

피복자재가 인공비탈면 안정에 미치는 영향(1)

3. The amount of runoff-water increased in proportion to rainfall and at mulched plots were about 1/15.5 as decreased as that of un-mulched plots.

4. The amount of suspended sediment increased in proportion to rainfall and at mulched plots were about 1/47 as decreased as that of un-mulched plots.

5. Also

,

the amount of sediment yield increased in proportion to rainfall and at mulched plots were about 1/151 as decreased as that of un-mulched plots. so

,

multi-function- filter is very effective on prevention of soil erosion.

Key words art떠cial slope, geo-textile mulching sheet, runoff-water, suspended sediment, sediment yield, vegetation growth

1 .

서 론

인구증가와 산업화

·

도시화에 따른 택지 및 공 단 조성, 각종 도로의 신설, 확장 등 일련의 지형 개변이 계속적으로 진행되어 자연파괴에 의한 환 경훼손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는 기상변동에 따른 국지적 집중호우 및 태풍에 의해 산사태와 같은 자연적인 재해와 산불 및 각 종 개발에 따른 붕괴

·

붕락과 같은 인위적인 재 해가 발생하여 각종 토사재해가 큰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환경복원 및 토사재해 방지를 위한 다양한 녹화공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현장에서 적용되는 공법의 종류 및 적용대상지는 한정적이 며, 그 효과 및 경제성에 대해서도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이 많다. 한편 강원대학교 산림공학연구실에 서는 친환경적 소재인

Geo-textile

소재의 피복자

재를 이용하여 훼손지를 조기에 복구하고, 발생 가 능한 토사재해를 사전에 방지, 최소화하며,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성있는 공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염규진,

1999;

박완근 등,

1998;

전근우와 염규진,

1998;

전근우 등,

1998a , 1998b , 1998c , 1999a , 1999b , 1999c , 2001a , 2001b , 2001c , 2001d , 2002a , 2002b , 2002c , 2002d , 2003 , 2003a).

이 논 문은

Geo-textile

소재 의 피 복자재 를 이 용한 공법 개발 연구결과 중에서 절토비탈면 적용실험의 결과 를 요약한 것이다.

n.

재료 및 방법

1.

시험구 위치, 제원 및 조사구벌 처리방법

시험구는 강원도 춘천시 효자2 동 강원대학교

Figure

1.

A complete view of survey area(Left 1999

,

Right 2002)

(3)

森t木¥파學댐규究 第 19號

(2003)

3 산림과학대학 2호관 배변에 위치한 마사토질의

절토 비탈면에 조성하였다.

시험구는 2개의 시험구가 한 조가 되도록 총

8

개의 시험구를 조성하였으며, 시험구의 입지조건 은 경사

31

0

,

토양은 마사토이고, 방위는 남서향 이다(그림

1).

도입식생은 우리나라 재래종으로 비탈면에 잘 생육하는 목

·

초본 중에서 경관을 고려하여 각각 개화시기가 다른 수종들을 선정하 고, 종묘상과 현지채취방법으로 종자를 확보하여 실험 에 사용하였다(표

1). Geo-textile

소재의

피복자재는 폴리에스테르로 제작된 net와 공극률

97

-98% 인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분해 되는 소재로 제작되어 있다.

3.

조사방법 및 조사기간

식생조사는 식물의 성장이 가장 왕성한 9-10월 중에 현지기입방법으로 종수, 피복율 및 개체수를 조사하였고, 식생의 분류체계는 이창복(1 979

)

의 대한식물도감에 준하였다.

Table 1. Treatment of each plot.

Plot lntroduction Seed N ame Amount of introduction seed Bare land

2 Bare land + Geo-textile mulching sheet Indigofera pseudo-tinctorica

Iris nertschinskia 500

3

11

Pulsatilla koreana

Lespedeza cuneata

4 Vegetation (J p , In

,

Pk

,

Lc) +

Geo-textile mulching sheet

5 Rhododendron schlippenbachij 500

Lespedeza cyrtobotrya

11

6 Vegetation(Rs , Lcy) +

Geo-textile mulching sheet

Aster scaber 500

Iris nertschinskia

ν

Pulsatilla koreana

Capesella bursa-pastoris

11

Indigofera pseudo-tinctorjca

U

Lespedeza cuneata

7 Rhododendron schlippenbachij

Lespedeza cyrtobotrya

Spiraea trichocarpa 100 ”

Spiraea blumei

11

Lindera obtusiloba

μ

Aquilegja buergeriana var. oxysepala 250

Staphylea bumalda 90

Vegetation(As , In. Pk. Cb. Ip. Lc. Rs. Lcy. St.

8 Sb. Lo. Abo. Sbu) +

Geo-textile mulching sheet ”

(4)

4

Geo-textile

피복자재가 인공비탈면 안정에 미치는 영향(1) 강우자료는 춘천기상대의 자료 및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2호관 옥상에 설치한 우량계의 측 정자료를 이용하였고, 유출수의 채취는 1 차 집수 통 (491 )과 이를 월류하는 유출수를 채취하기 위 한 2차 집수통 (3501) 의 유출수를 혼합하여 측 정하였다.

유출수의 부유물질의 측정은 유리섬유여과지 (GF/C) 를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105-110t

의 건조기 안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한 후.

Desiccator에 서 30분간 안정 시 키 고 여 과지 의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하였다. 이어서 무게를 측 정 한 여 과지 를

Vacuum Filter

Assembly를 사용하여 50rn~의 시료를 여과시키고, 다시

10

5-1100C 의 건조기 안에서 2시간 건조한 후 Desiccator 에서 30분간 안정시킨 후에 여과지 의 무게를 측정하여 여과 전

·

후의 유리섬유여 지의 무게 차로 부유물질농도를 식 (1)의 방법 으로 산정하였으며 전체 유출된 부유물질총량 은 ml당 부유물질 농도를 유출수량에 곱하여 구 하였다.

S.S = (b-a) 팽 식 (1)

각 강우별로 유출토사량은 1 차 집수통에 유출 되어 있는 토사를 채취하고, 실내에서 1-2 일간 기건 시킨 후 75t 의 건조기에서 48시간 동안 건조된 무게를 측정하였다

조사기간은 1998-2002년까지로 각 시험구의 식생, 유출수량, 부유물질 및 유출토사량을 조사 하였으나 2001 년부터는 시험구내의 식생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2000년까지 3년간의 식생자 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부유물질량과 유출 토사량은 2002년 이후에는 거의 유출되지 않아

2001 년까지 4년간의 결과를, 그리고 유출수량은 2002년까지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ill.

결과 및 고찰

1.

식생변화

1)

식새 조류 I 서

I --. C그 〈그 11 -‘-ζ그

2000년도에 각 시험구내의 식생을 조사한 결 과 식물종류조성은 12과 21 속 20 종 2 변종 총 22종류로 양치식물, 나자식물은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파종종자를 제외한 침입식생의 우접종은 매듭풀, 사철쑥, 고들빼기 및 쑥 순으로 비탈면에 나타나 이들 국화과 식물의 녹화용식물로서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표

2)

2)

개체수 변화

각 시험구의 개체수를 조사한 결과, 시험구 개 설 초년도에는 피복자재가 파종종자의 발아환경 개선에 영향을 미쳐 대부분 피복자재 설치구의 개 체수가 높았으나. 2년차부터는 나지구인 조사구

1. 3

및 5 에 매듭풀 등과 같은 침입식생의 개체수 가 크게 증가하여 피복자재 설치구보다 나지구에 서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그림

2).

그러나 이러한 식생은 1 년초이고 체적이 작은 식 물이기 때문에 밀생하지 않으면 비탈면의 피복 및 지표고정 효과가 크지 않아 비탈면의 안정에 미치 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피복자재 설치구와 나지구의 개체수는 모두 경 과년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피복자재 설치구가 나지구에 비해 증가율이 상당 히 낮게 나타났다. 이는 시험구 4와 8의 경우 파

Table 2. The abridged list of the plants in survey area.

Taxa/ System Fam Gen. Sp Subsp. Var. Fo

r.

Hyb Total Pteridophyta

Gymnospermae

Angiospermae 12 21 20 2 22

Total 12 21 20 2 22

(5)

森~~.과學鼎究 第 19號

(2003)

5

600

떼 뼈 떼

m m

mQEZ -m그브〉--드

600

떼 뼈 떼

m m

」m(니{」」그Z -m그브〉--드

Plot4 Plot3

0 Plot2

Plot1 0

600

j } l 」

600

%

뼈 떼 때

m

φ(]EZ -m155

i를

Plot6

.1998 口 1999 톨 2000

.1998 디 1999 훌 2000 !

,_ _____________________.J

자재가 피복율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 다. 특히 피복자재 설치구인 4번과 8번 시험구의 경 우 파종종자인 낭아초의 생 장이 우수하여

80%

이 상의 높은 피 복율을 나타내 어

Geo-textile

소 재의 피복자재에 적용 가능성이 높은 종으로 판단 되었다. 또한 2000년도부터는 사철쑥, 고들빼기 및 쑥 등과 같은 국화과 식물들의 왕성한 생장에 의해 일부 나지구의 경우 급격한 피복율 증가가 나타났다. 시험구 6의 경우 생존율과 초기 생장량 이 낮은 목본류를 파종하였다는 점과 파종종자의 비립여부에 크게 영향을 받아 피복자재를 설치구 이지만 피복율이 낮게 나타났다(그림

3) .

따라서 비탈면 녹화용 목본식물 선정 및 비립종자 선별방 법에 관한 연구가 향후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사 료된다.

Figure 2. The variation of total population in each plot.

종종자인 낭아초의 생장이 매우 우수하여 주변식 생의 침입을 차단하거나 시험구내 식생피압에 의 한 것이며, 시험구 2 와 6의 경우는 피복자재가 침입식생의 활착을 저해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피복자재의 두께 및 구조를 개선하여 침입 식생의 활착을 촉진시키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m

뼈 떼 때

m

φPEZ -m155

3)

피복율 변화

모든 시험구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침입 및 파종식생이 활착함으로 경과년수에 비례하여 피복 율이 증가하였으며, 침입식생에 의한 피복율 증가 가 낮았던 1999 년까지는 목본 파종구인 6 번 시 험구를 제외하면 피복자재 설치구가 나지구보다 피복율이 높게 나타나

Geo-textile

소재의 피복

(6)

Geo-texti1e

피복자재가 인공비탈면 안정에 미치는 영향(1)

1CD

m

m

P%

$

m

(영)m。띠」m〉。U I;maφ

1CD

g)

m

%%

3

a

($)@。m」@〉。Uc-E5。@〉

6

Rc성 Rct4

l11ffi3口 19Bts aJJJ딩때11 O

1CD

m m m

3 Z

m o

(엉)mmm〉。。 I-iEωφ

Rct1 Rd2

낸 1ffi3口 1ffil IS aJJJ []때11 10

1CD

m

%%

$

a m

o

(영)mmφ〉。Q I으←mam

O

Rd7 Rc꼈

|11ffi3D 19B~ aJJJ힘때11

Rct5 Rct6

낸1ffi3미9B!;laJJJ뎌때11

Figure 3. The variation of vegetation coverage in each plot.

기록하였고, 모두 7-8월중 태풍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점차 이러한 집중호우의 발생횟수가 증가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집중호 우의 발생횟수는 증가하였지만, 시험구에 생육하 고 있는 식생 및 비탈면이 안정화하여 2001 년부 터는 유출수, 부유물질 및 유출토사가 발생하는 강우의 횟수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2.

강우특성

조사기간 중 유출수 및 유출토사가 발생한 강 우는 1998년에 10회

.

1999년에 18회

.

2000년 에 17 회

.

2001 년에 8회 및 2002년에 8회로 총 61 회 발생하였으며, 강우량의 분포는 최소

5.0mm

에서 최대

601.lmm

이었다(그림

4).

이중 일강 우량 100mm 이상의 집중호우는 매년 1 회 이상을

(7)

森*材파學冊究 第 19號

(2003)

7

600

500

Ê 400 E JOO

α

2∞

100

o

6/2 6/13 6/18 6/24 6/30 7/8 7114 7/25 7131 8/4 3/18 3/28 4/1 4/5 4/9 4/12 5/17 5/28 6/1 6/17 6/21 6/24 7/10 7/17 7/22 7/28 8/5 8/23

닫혼뀐 를뀔힘

600

500

뼈 때 때

-(t)=E

100

3/29 4/23 517 5/12 5/21 5/28 6/11 6/28 711 7/12 7123 8/1 8/9 8/22 8/28 9/2 9/17

닫쪽펙

600

500

400

300

200

100

6/25 7/2 7/17 7/24 8/3 8/19 10/8 10/15

덴현괴

j • .

_.1

Figure 4. Rainfall period and precipitation.

3.

유출수량의 변화

모든 시험구에서 강우량에 비례하여 표면유출 수량도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5년간의 유 출수량은 경과년수가 증가할수록 표면유출수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각 시험구내에 생육하고 있는 식생이 점차 성장함에 따라 식생 의 강우차단 효과에 의해 강우의 시험구내 유입 이 저감되고, 식물의 자체수분흡수량 및 소모량의 증가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시험구 주변 식생의 피음에 영향을 받은 1 번 과 2번 시험구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피복자재 설치 구가 나지구보다 표면유출수량이 최대 1/15.5로 저 감되었으며, 연간 총유출수량도 동일한 경향이 나타 나 피복자재가 표면유출수의 발생억제에 효과적인 것 으로 판단되었다(그림

5).

이는

Geo-textile

소재의 피복자재가 자중의 13배에 해당하는 수분을 쉽게 흡 수

·

보유할 수 있는 다공질 부직포로 제작되었기 때 문으로

Geo-textile

소재가 수분의 지중침투를 촉진 시키는 효과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8)

8

Geo-textile

피복자재가 인공비탈면 안정에 미치는 영향(1)

48).CID

4D.CID

웃D.CID 3JJ.CID

1 S).αn

1m.CID

S).CID

o

19B 19:9 3D) aD1

19B 19:9 3D) 2xl1

|.Plot 1 口 PIα21 |.Plot3 口 Plot41

48).CID

4D.CID

쪼D.CID 3JJ.CID

2Xl.CID 1s).CID 1ffi.CID

S).CID

o

19B 19:9 3D) aD1

19B 19:9 3XX) 2Xl1

|.PI이 7 口 R이 81

Figure 5. The variation of runoff-water in each plot.

4.

부유물질량 변화

각 강우별 발생 부유물질량을 조사한 결과, 모 든 시험구에서 강우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 이 나타났으며, 연간 총유출량은 시험구 개설 초 기에는 총부유물질 발생량이 나지구에 비해 피복 자재 설치구에서 최대 1/47 로 저감되어

Geo-textile

소재 피 복자재 가 훼 손지 의 초기 부

유물질발생 억제능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 었다(그림

6) .

또한 나지구 및 피복자재 설치구 가 모두 3년차부터는 시험구내 지표면의 안정과 피복율의 증가로 인해 부유물질의 유출횟수 및 양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피복자재 설치구가 나지 구보다 적게 유출되어 피복자재의 부유물질발생 억제효과가 장기간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9)

森**¥파學冊究 第 19號

(2003)

9

1ffi,

ano

10,αD.O

1CD.0

10.0

1.0

0.1

1911 19D

am m

1 앉E 19Ð

m

l.

Plct1 口Plct~J 100,ClD.0

10.ClD.0

1CD.0

10.0

1.0

0.1

1911 19D

am

aD1 1 똥g 1 앉g

am m

|.Plct5 口Plct~j

Figure 6. The variation of amount of suspended sediment in each plot.

5.

토사유출량 변화

모든 시험구에서 피복자재 설치구가 나지구에 비해 매우 적은 토사가 유출되었으며, 각 강우별 로는 최대

1/15 1.

연도별로는 최대 1/75배의 유 출토사 저 감효과를 나타내 어

Geo-textile

피 복자 재가 토사유출 억제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 타났다(그림

7).

즉 나지구인 시험구 1 의 경우 최대 4.025.94g/m'의 토사가 유출되어 장기간 방 치되고 있는 인공비탈면에 대한 토사유출 방지대

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Geo-textile

소재의 피복자재가 유용한 대처방안이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전체적으로 유출토사는 경과년수에 반비례하여 피복자재 설치구와 나지구 모두에서 토사유출량 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연강우량의 감소와 식생 피복율 증가에 따른 우격충격량의 감소, 토양구조의 안정화 및 유출가능한 토사량의 감소 등에 영 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10)

10 Geo-textile

피복자재가 인공비탈면 안정에 미치는 영향( 1 )

10000

1000

(

E

“ ‘

-9

100

깅m

〉、

iIQj

E

10

UtQj]j

0

Plot 1 Plot 2 Plot 3 Plot 4 Plot 5 Plot 6 Plot 7 Plot 8

!으98년 口 1999년 .2000년

j

Figure 7. The variation of amount of sediment yield in each plot.

N.

결 론

친환경적

Geo-textile

소재의 피복자재를 이용 한 인공비탈면 녹화공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피복 자재가 식생생육, 유출수량, 부유물질량 및 유출 토사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피복자재의 다공질 구조로 인한 유출수량의 저감, 필터링 효 과에 의한 부유물질 저감 및 토사유출의 저감 등 의 인공비탈면의 물리적 안정에 매우 뛰어난 효 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식물생육변에 있어서는 파종종자의 생존율과 피복율을 증가시 키는 효과가 나타났으나, 주변식생의 침입에 의한 식생의 종류조성, 개체수 및 피복율의 증가에는 현 단계에서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개 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적 정 식생의 선발, 피복자재의 두께 및 시비, 균 근균 접종 등과 같은 식물의 생육환경개선을 위 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훼손지의 재해방지 및 조 기복원을 위한 자료로 충분히 이용가능하게 될 것이다

v. 인용문헌

1.

박완근

·

전근우

·

염규진

·

유석인.

1998.

피 복자재가 식생 생육에 미치는 영향.

'98

한 일 공동심 포지 엄 논문집

: 33-47.

2.

全僅雨

·

朴完根· 魔圭힐 · 江u짧次夫.

1998a.

林道 비탈면의 안정을 위한 綠化工法 開發(1) -被覆資材와 綠化工法-. 1998年度 韓國林學會 定期總會 및 學術冊究發表會:

91-93.

3.

全樓雨

·

朴完根· 薦圭톨.

1998b.

景觀을 고 려한 비탈면 安定工法 開發. 1998年度 韓國 造 景學會 定期總會 및 學術冊究發表會:

18-19.

4.

전근우

·

박완근

·

염규진

·

안태봉

·

江~倚次夫.

1998c.

환경친화형 피복자재를 이용한 비탈 면 안정기술 개발(

1)

-피복자재와 도입 식 생 선정 및 현지시험

98

한일공동심포지 엄논문집:

1-13

5.

전근우

·

박완근

·

염규진

·

江뼈次夫.

1999a.

다 기능 휠터가 식생 생육과 비탈면 안정에 미치는 영향. 1999년도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정 기총회 및 춘계학술 발표대회

: 3-4

(11)

森~*¥파學冊究 第 19號

(2003)

11

6.

전근우

·

이상용

·

이종규

·

박완근

·

염규진.

1999b.

피복자재와 균근균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 한국조경학회 ’

99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발표 회

: 48-49.

7.

전근우

·

박완근

·

염규진

·

江뼈次夫.

2001a

산불 피해지에 있어서 다기능 휠터의 적용 가능성. 2001 년도 산불피해 복구기술 심포 지엄 「동해안 산불지역 2 차 산림피해 방지 기술 개발」 논문집

: 41-66.

8.

全僅雨

·

岩本澈

·

江~휩次夫.

2001b.

綠化와 A 間(

1)

-앞으로의 비탈면 綠化 森林科學 E퓨究

16: 74-87

9.

전근우

·

이상용

·

윤강섭.

2001c.

임도비탈면 안정을 위한 피복자재 및 녹화공법 개발.

266pp

10.

전근우

·

서문원

·

서정일

·

김민식

·

江ø짧次夫.

2001d.

산불 피해지에 있어서 부유사 및 유 출토사 변화(

1)

-피복자재 시용과 피해목 존치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학술림연구지 제 21 호:

71-77

1 1.

전근우·차두송·서정일·江뼈次夫.

2002a.

산불 피해지에 있어서 피복자재 시용과 피해 목 존치가 부유사 및 유출토사에 미치는 영 향. 2002년도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 문집

: 267-268.

12.

전근우

·

차두송

·

이상용

·

양동윤

·

江뼈次夫.

2002b.

재 및 토사유출 방지공법 개발 (II

)-

저댐군 공법 및 다기능 휠터의 현지적용­

대형산불방지 및 생태계 복원기술 심포지엄 논문집

: 115-128.

13.

전근우

·

문진희

·

서정일

·

염규진

·

김경남

·

江11않次夫.

2002.

모형비탈면을 이용한 다기 능 휠터의 효과분석(

1) -

부유사. 유출토사 및 식생생육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산림 과학대학 학술림 연구지 제 22호:

94-103 14.

전근우

·

염규진

·

서정일

·

백승철

양동윤

·

江뼈

次夫.

2002.

다기능 휠터의 모텔실험 및 산불 피해지 적용. 2002년도 산불피해 복구기술 심 포지엄 논문집:

51-66.

15.

전근우

·

문진희

·

서정일

·

염규진

·

김경남

·

江ø짧次夫.

2003.

다기능휠터가 모형비탈면 에 서식생생육에 미치는 영향. 2003년도 한 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 382-384.

16.

염규진.

1999.

피복자재가 임도 비탈면 안 정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49pp.

17.

全僅雨

·

嚴圭힐.

1998.

花關岩地帶σ)σ)ry 面 t:: 쉰 ttb 植生慢入 k 힘面安定. 平成 10年度%、

防 學會冊究發表會懶要集:

52-53.

18.

全僅雨

·

朴完根

·

嚴圭흩

·

江ø짧次夫.

1999c.

韓國 σ) 花關岩地帶 t:: 쉰 ttb 被覆資材센 σ)

ry

面 安定 t:: 及많-9影響. 第 30[피日本綠化工學會昭 究發表會빠究發表要답集:

110-113.

19.

全權雨

·

徐正-. 嚴圭힐

·

車斗松

·

江ø짧次夫.

2003.

山火事跳地 t:: 칩 ttb 浮遊랬、構度쉰J:

rl

流出土따、量 σ) 變化(11). 平成 15年度헤、防學會 昭究發表會懶要集:

252-253.

참조

관련 문서

Key Words: cultivation; growth; maturation; Sargassum macrocarpum;

KEY WORDS: Double keel yacht 이중킬 요트, Resistance characteristics 저항특성, Flow visualization test 유동가시화시험, Circulating water channal(CWC) 회류수조,

In this study, the simulation of sediment deposition at Sangju weir reservoir, South Korea, was carried out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The ANNs have typically been used

Key words : Spinning, Spline drum, Shear spinning,

“Slump Test 결과에 따라 분산제, 유지제 및 분산유지제로 분류”. “Slump Test 결과에 따라 분산제, 유지제

Key words : Climate change, Groundwater, Sustainability, Natural discharge,

플록 구조의 측면에서 볼 때 폴리머를 일차 응집제로 사용하면 플록 강도와 크기가 향상되었지만, 다른 처리 옵션과 비교해 볼 때 플록 침전 속도에는 개선이 없었으며 유기 물질

Key Words : Premature ovarian failure, Mitochondrial DNA, Real-time polymerase ch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