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10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 0 12 년 2 월

교육학석사( 유아교육)학위논문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현 능력,전통문화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김 보 영

(3)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현 능력,전통문화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 eEf f e c to fAr tAc t i vi t i e sUs i n gTr a d i t i o na lCul t u r eMa t e r i a l s o nYo u ngCh i l d r e n' sDr a wi n gAb i l i t y,

Pe r c e p t i o na n dAt t i t u d eo ft heTr a d i t i o na lCul t ur e

2012년 2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김 보 영

(4)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현 능력,전통문화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지도교수 박 주 성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 유아교육) 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합니다.

2 01 1 년 1 0월 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김 보 영

(5)

심사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서현 ( 인) 심 사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나장함 ( 인) 심 사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박주성 ( 인)

김보영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합니다.

2 0 11 년 1 1 월 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6)

목 차

Abstract···ⅶ

Ⅰ. 서 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문제 ···3

C.용어의 정의 ···3

D.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7

A.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 활동 ···7

B.유아 미술교육 ···9 C.전통문화와 유아 미술 ···13 D.유아의 전통문화 인식 및 태도의 발달 ···14

Ⅲ. 연구방법 ···16 A.연구 대상 ···16 B.연구 도구 ···16 C.연구 절차 ···18 D.자료 분석 ···2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6 A.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26 B.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 인식에 미치는 효과 ···32 C.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 태도에 미치는 효과 ···37

Ⅴ. 논의 및 결론 ···41 A.요약 및 논의 ···41 B.제언 ···43

참고문헌 ···44

(7)

<부 록> ···48

(8)

표 차 례

<표 Ⅱ-1> 미술표현의 발달단계···12

<표 Ⅲ-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6

<표 Ⅲ-2> 측정도구의 신뢰도···16

<표 Ⅲ-3> 연구절차 일정···18

<표 Ⅲ-4> 실험처치프로그램···20

<표 Ⅲ-5> 프로그램 일정표···23

<표 Ⅲ-6>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미술 교육 활동의 차이점···24

<표 Ⅳ-1>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전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 사전검사 ···26

<표 Ⅳ-2>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후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 사후검사 ···28

<표 Ⅳ-3> 실험집단의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전후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 ···29

<표 Ⅳ-4> 비교집단의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전후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 ···31

<표 Ⅳ-5>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전 유아의 전통문화 인식 ···33

<표 Ⅳ-6>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후 유아의 전통문화 인식···34

<표 Ⅳ-7> 실험집단의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전후 유아의 전통문화 인식···35

<표 Ⅳ-8> 비교집단의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전후 유아의 전통문화 인식···36

<표 Ⅳ-9>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전 유아의 전통문화 태도 ···37

<표 Ⅳ-10>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후 유아의 전통문화 태도 ···38

<표 Ⅳ-11> 실험집단의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전후 유아의 전통문화 태도···39

<표 Ⅳ-12> 비교집단의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전후 유아의 전통문화 태도 ···40

(9)

그 림 차 례

<그림 Ⅳ-1>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전후의 유아의 그리기 표현 능력 ···32

<그림 Ⅳ-2>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전후의 유아의 전통문화 인식 ···36

<그림 Ⅳ-2>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전후의 유아의 전통문화 태도 ···40

(10)

국문초록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현 능력, 전통문화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에서는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그리기표현능력,전통문화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 떠한가?

2.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 대상은 통제집단 A어린이집 만6세∼7세,비교집단 D어린이집 만6세∼7세 각 20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하고자 하는 대상의 아이들이 적고 한글을 모르는 아이들이 많아 7세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고자 하였으나, 7세 아이들이 부족하여 6세와 7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과정에서 한글을 모르는 유아들의 문제 이해를 돕기 위해 교사가 설문에 대한 설명이 있었으며 이때의 설명은 유아의 사고에 여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설명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전통미의식을 갖게 하는 것은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2개월 수업만으로 전통문화 인식과 미술표현능력을 확연하게 효과를 기대 하기는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문화소재 전체를 활용한 미술능력과 인식을 2개월이라는 단기간 동안 이루어졌기 때문에 전통문화소재 전체를 포함시키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2010년 12월 27일부터 2011년 2월 18까지 진행되었으며 교사훈련,예비

(11)

검사,사전검사,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 SS WIN 1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분 석 기법으로는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과 전 통문화 인식, 그리고 전통문화 태도를 미치는 양향을 알아보기 위해 t-test(검정) 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과 전통문화 인식,그리고 전통문화 태도 향상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airedt-test(검증)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이 유아들의 미 적반응, 미술표현능력을 향상시켜 주는데 효과적 이였다.즉,전통문화경험을 하 고 미술 활동을 한 유아들은 활동을 하지 않은 유아들 보다 미술표현능력에 있어서 더 많은 발전을 보였다.

둘째,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사전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아들 전통의복과 전통가옥 에 대한 구분을 할 수 있었으나 부연 설명은 하기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그러나 사후 검사에서 실험집단은 전통의복과 전통가옥에 대한 부연 설명은 대부 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교육활동을 통한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12)

ABSTRACT

Th eEf f e c to fAr tAc t i vi t i e sUs i n gTr a d i t i o na lCul t u r eMa t e r i a l s o nYo u ngCh i l d r e n' sDr a wi n gAb i l i t y,

Pe r c e p t i o na ndAt t i t ud eo fTr a d i t i o na lCul t u r e

Kim,BoYoung

Advisor:Prof.Park,JooSung,Ph.D MajorinEarlyChildhoodEducation GraduateSchoolofEducation ChosunUniversity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ofartactivities using traditionalculture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drawing ability, perception and attitude of traditionalculture.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First,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a controlgroup and an experimentalgroup on the drawing ability? Second,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a controlgroup and an

(13)

experimentalgroupontheperceptionandattitudeoftraditionalculture?

Participants ofthe study are 40 of6-year-old young children(20 for a controlgroup,20 foran experimentalgroup)in B nursery schoolofa rural area.Research toolsused to measuretheeffectaredrawing expression ability test,perception scale of traditionalculture,and attitude scale of traditional culture. Duration ofthe study is from Dec.27,2010 to Feb.18,2011.The proceduresofthestudy areteachertraining,pre-testandpost-test.Data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WIN 15.0 program.Analysis techniques consistoft-testand airedt-testtofindtheeffectofusing traditionalculture materialson early child'sdrawing ability,perception and attitudeoftraditional culture.

Researchfindingsareasfollows.

First,the effect of art activities using traditionalculture materials is statisticallysignificantonyoung children'sdrawing abilityoftraditionalculture. The traditional culture experience indicates to improve young children's expressionabilityofart.

Second,the effectofartactivities using traditionalculture materials on early child's perception and attitude of traditionalculture is not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test between the groups,bu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ost-testbetween the groups.The traditionalculture experience indicates to improveyoungchildren'sperceptionandattitudeoftraditionalculture.

(14)

Ⅰ.서론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세기 현대사회는 정보화,세계화로 인하여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들이 공존하는 다원적 문화 특성을 갖는다.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세상에 살고 있는 우리는 각 민족의 문화를 편견 없이 수용하고 존중해야 하며,나아가 우리 전통문화의 정체 성을 인식하고 자긍심을 갖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백희숙,2006).전통문화란 그 민족의 생존과도 직접 연결될 뿐만 아니라 우월한 전통문화를 유지․발전시킨 다는 것은 그 민족의 존재와 번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곽한순,2003).

유아기는 우리 전통문화에 친숙함과 무관심과의 차이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따라서 유아기 때부터 우리 전통문화를 바르게 인식하고 이해하며 전 통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지니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다.또한 유아기는 자기 인식이 발달하고 자기 존중감이 생기는 중요한 시기이다.유아기의 전통교육은 유아의 자아 개념 형성과 자기 존중 감의 발달을 도울 수 있으며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촉진 시킬 수 있다.그들이 속해 있는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문화에 대한 긍 정적 사고를 갖도록 해야 한다(성선재,2008;Melendez,Beck,& Fletcher,2002;

Seefeldt,2004).

정보통신 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우리나라는 전통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위기를 격고 있다.우리가 위기를 격고 있는 동안 서구 선진국들은 자신의 전통문화 를 찾아 보존하고 발전시키고 있으며 국민적 자부심을 북돋우고 국가의 발전을 촉 진시키려고 노력을 하고 있다(이경선,2002).그들은 미래의 세계는 국가의 경쟁력 과 더불어 문화 경쟁력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 할 것이라는 관점에서 자국 전통문 화의 세계화를 추구하고 있다.따라서 우리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공유하는 지식, 개념,가치를 포함하는 문화로써 이 시대의 유아들에게도 계승되고 간직되어 훌륭 한 전통문화가 그 빛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오송자,1999).

국제화된 세계 속에서 우리의 정체성을 유지하고,또 민족의 정기를 새롭게 형 성해 나아가려면 유아기부터 발달단계에 맞는 전통문화 교육이 체계적․지속적으

(15)

로 이루어 져야 한다.그리고 미래를 이끌어 갈 유아들이 주체성과 정체성을 가 진 세계 속의 한국인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우리 전통문화의 가치를 새롭 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문미옥,이혜상,민행난,2004).이러한 전통문화를 비디오와 사진 등의 교수매체로 접하는 것도 좋지만,예술적인 아름다움을 직접 찾아가 감상 하고 체험하는 경험들이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증가시키며 풍부한 창조적인 미술 표현능력의 향상과 사회성 및 협동심, 나라를 사랑하는 주체성과 정체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권가영,2008).특히 미술은 그 자체의 특성으로 각 시대와 사회의 문 화를 담아 전달하는 역할을 전달 할 수 있으며 미술만이 가지는 시각성과 전달 및 상징 등의 특성을 바탕으로 보면 타 영역보다는 문화 전달 방법이 용이하다고 여겨 진다.

전통문화를 경험은 가까운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견학하는 방법이 있다.지역 내 전통문화가 보존 및 계승되어져 오는 곳을 찾아 감상 및 체험하는 경험이 유아들의 지역 애와 우리지역을 위한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이와 관련된 연구에는 지역문 화 자원을 활용한 교육이 애향심을 함양시키고 정신문화 계승의 내면화,주체적 문 화의식을 고취시킨다.(이경선,2002).제주도의 전래동요,민요,전통놀이,사투리 등 을 주제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던 연구 등이 진행되어 왔다.그러나 지역 사회의 특성에 기초한 전통문화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적용할 구체적인 대안이 제시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김영옥,지성애,홍혜경,마송희,1995).

실제 교육 기관에서 지역 내 전통문화를 내용으로 할 때 견학은 가장 대표적인 활 동으로 볼 수 있다.양창선(2000)과 오춘자(2002)도 지역 내 전통문화 자원을 교육 에 적용하는 가장 효과적 활동으로 견학활동을 제시하였다.그러나 교사들은 지역 내 전통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그 가치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이를 실천하는 비 율은 매우 낮은 편이다. 전통문화를 내용으로 한 활동이 교육과 연계되어 이루어 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보다 지역 내 전통문화 활용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교 육적 내용과 연계 가능한 지식의 부족이며 사전․사후의 교수학습 계획 및 활동계 획에 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정미라 외,2004).

이에 본 연구는 전통문화경험활동을 통한 미술 활동이유아의 미술표현능력 및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그리기 표현능력 척도의 영역별 평가 내용 및 평정근거를 통해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탐구를 통한

(16)

미술 표현능력을 살펴보고,전통문화의 인식과 태도는 질문지를 통하여 사전과 사후 의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전통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였다.

B.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 떠한가?

2.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과 태도에 미 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C. 용어의 정의

본 연구에서 사용된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전통문화는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전승된 문화로 과거의 인간 활동을 이해하고 그것이 현재에 주는 시사점을 파악하여,바람직한 역사적 기능과 태도,가치관을 함양 한 인간으로 변화시키려는 활동을 의미한다(정선영,김한종,이영호,2001).유치원 교육과정(교육부,1998)의 표현생활영역을 보면 탐색,표현,감상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탐색은 감각적,직접적 경험을 통해 주변의 미적 특징을 지각하는 것이고,표 현은 시각적,공간적,조형적 형태로 창작하는 것이며,감상은 표현된 작품이나 자

(17)

연의 미적 가치를 느끼는 것이다(백희숙,2006).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이 유아들에게 일찍 우리의 전통문화에 관심을 갖게 함으로써 우리 전통에 관한 자부심이 많이 증가되고 다른 문화에 대한 소중함을 깨닫게 하는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은 문화의 아름다움을 감상하고, 체험함으로써 예술적 표현을 즐기는 미술 활동을 의미한다.

2.그리기표현능력

유아가 생활 주변에서 보고,느끼고 지각한 것을 독특한 방법으로 표현하는 능력 으로 유아가 미술활동에서 평면이나 입체작품으로 표현하는 능력으로서 색,선,질 감,명암,패턴,모양 또는 형태,공간 등은 미적 대상을 의미한다(Jalongo &

Stamp,1998;Schirrmacher,1998.).이러한 미적 대상으로 균형과 강조,비례,운동 감,리듬감을 반복 다양성과 통일성을 들 수 있다.미적 요소와 원리가 유아의 자 신 개인적 취향을 기초로 유아 자신만의 독특한 미적 표현으로 나타난다.미적 표현 은 주변 사물과 환경에 대한 탐색,창의적인 표현활동,미술작품이나 또래의 작품 을 감상하는 활동과 연결하여 유아의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경험하고 표현하도 록 격려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리기 표현능력으로서 지성애(2001)가 제작한 그리기표상능력 척 도의 하위 요인으로서 기본도형과 선의 병합,다양한 색채,세부적 묘사,조화로운 구 성,다양한 형체,주제 관련 표현,표현의 창의성,그림의 완성,표현과 언어의 연계 성을 측정하였다.

3.전통문화의 인식

세계화 개방화 되는 환경 속에서 자기의 문화를 올바르게 지켜 나갈 수 있도록

(18)

하여야 한다.우리 전통 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을 통하여 전통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지닐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모국에 대한 전통문화를 인식하 면 문화의 경쟁력을 기를 수 있으며 세계 여러 나라의 다양한 문화를 편견 없이 이 해 할 수 있다.유아기 때부터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심어주면 모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갖게 된다(2006,백희숙).

본 연구에서는 전통문화에 대한 전통의복과 전통가옥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4.전통문화의 태도

현대 사회는 전통문화가 점차 우리 가정이나 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사라져가고 있다.국적을 알 수 없는 다국적 문화가 그 빈자리를 메워가고 있으며 빠른 속도로 아이들은 외국문화에 익숙해져 가고 있다.이러한 문화정체감 상실의 위기를 대처 하기 위해서는 일찍부터 유아들에게 우리 민족의 문화를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 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1999,오송자).

본 연구에서는 전통문화에 대한 전통의복과 전통가옥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였다.

D.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현 능력과 전통 문화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어린이집 교육현장에서 검증해 보고자 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본 연구는 비교집단 A어린이집 만6세∼7세,실험집단 D어린이집 만6세∼

7세 각20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연구하고자 하는 대상의 아이 들이 적고 한글을 모르는 아이들이 많아 7세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고자 하였으 나,7세 아이들이 부족하여 6세와 7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19)

둘째,본 연구는 설문조사과정에서 한글을 모르는 유아들의 문제 이해를 돕기 위 해 교사가 설문에 대한 설명이 있었으나 유아의 사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에서 설명하도록 하였다.

셋째,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전통미의식을 갖게 하는 것은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하 였다.그러나 2개월 수업만으로 전통문화 인식과 미술표현능력을 확연하게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넷째,본 연구에서는 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미술능력과 인식을 2개월이라는 단기 간동안 이루어졌기 때문에 전통문화소재 전체를 포함시키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20)

Ⅱ.이론적 배경

A.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 활동 1.전통문화

a.전통과 전통문화의 개념

흔히 전통이라고 하면 옛날 것,오래된 것으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전통이 란 단순히 과거의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전통은 어떤 집단이나 공동체에 예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관습,양식,의식,다도 등의 일정한 계통이나 흐름을 의 미한다.또한 전통은 과거로부터 전해진 신념체계나 사고 양식,또는 구체적인 일련 의 실천들로서 지금도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된다(Gross,1992).

전통은 모든 것이 바뀌어 나가는 가운데서도 바뀌지 않는(불변성),한 민족을 단 위로 면면히 이어져 오는(계속성),특정민족이나 공동체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하고 고유한(고유성)특성을 갖는다.즉,전통이란 한 집단의 구성원들이 한 시대를 살면 서 공유한 생활의 모습들로서 오랜 세월을 거쳐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모든 문화를 의미한다(고병익,1982).

전통은 인습과는 달리 새로운 원천이며,역사적으로 살아 있는 과거이다.과거를 위 해서가 아니라 현재의 가치관과 미래의 전망을 위해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개인 이나 집단에 의해 생겨난 특수한 것이 아니라 우리 민족 공동의 역사적,문화적으 로 우리 민족의 보편 타당한 가치 의식이며,누구나 그 보편타당한 지각하고 계승 하여 자기 가치관을 형성해나갈 필요성을 자각하게 하는 것이다 (진성수 외,2001).

인간은 태어나서부터 한 사회의 구성원이 되고 교육을 통해서 문화를 배우게 된다.현대사회에서는 문화의 다원화,세계화,국제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져 세계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중요시하게 되었다.따라서 자신의 전통문화에 대 한 확고한 신념과 편견이 없는 열린 마음이 먼저 앞서야 다양한 문화를 수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전통문화는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최민수,이형선,2004).

(21)

일반적으로 전통문화라 함은 과거의 문화가 오늘날까지 전승되어 정착되어 있는 문화를 말한다.이는 시간성의 측면에서 보면,과거가 오늘에 살아있는 것이다.이 는 시간성의 측면에서 보면,과거가 오늘에 살아있는 것이다.물론 과거의 문화가 단순히 오늘에 그대로 재현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오늘 에 이르기까지 고정 불면의 모습으로 전승된 것도 아니다.다만 오늘의 문화적 주 체가 과거의 문화를 부단한 창조적 활동으로 전개하여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갈 때 계승되는 문화의 영속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전통문화는 문화 중에서도 전통적인 것을 말하는데,현대적인 것과 대비하여 옛날의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외래적인 것과 대비되는 말이다.예컨대 전통적 측면을 가리키는 것이지,단지 옛날의 교육의 교육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다시 말하면 전통은,옛날의 것을 포함하는 '현재 우리에게 살아 있는 것'을 의미하 는 것으로 박물관의 유물과 같은 '죽은 전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교육부, 1998).

전통문화는 있는 그대로 전승되고 창조성이 없는 인습이나 유물과는 성격이 다 르다.전통문화는 객관적 비판을 통해 현재의 문화 창조에 이바지 할 수 있는 계승 해야 하는 가치를 지닌 과거의 문화를 지칭하는 것이다.또한 전통문화는 어느 민 족에게나 모두 있는 민족 문화이기도 하다(김미경,2003).

전통문화란 옛 것이라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지금 우리의 생활과 의식 속에 살아 있어 생활에 활용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우수한 문화의 밑거름이 된다는 의미에서 중요하다.그 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문화 또는 전통은 삶의 질을 구성하는 모든 요 인들을 포함하며 인간의 행위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인간의 삶 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서 사회,민족,인종에 따라 각기 고유한 양상을 지 닌다.그러므로 전통이라는 의미를 명확히 정의하는 것은 그 의미뿐 아니라 그 속에 내포되어 있는 점을 파악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백희숙,2006).

b.전통과 전통문화의 필요성 및 목적

국제화된 세계 속에서 우리의 정체성을 유지하고,또 민족의 정기를 새롭게 형

(22)

성해 나아가려면 유아기부터 발달단계에 맞는 전통문화 교육이 체계적․지속적으 로 이루어져야 한다.그리고 미래를 이끌어 갈 유아들이 주체성과 정체성을 가 진 세계 속의 한국인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우리 전통문화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문미옥,이혜상,민행난,2004).

문화 경쟁력을 기르는 일은 자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인식하고 발전․계승 시키는 일이라 할 수 있으며,다른 나라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태도를 길러 줄 수 있어야 한다.세계화 시대에 있어서 모국의 전통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 식은 다른 나라의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전통문화를 올 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적 상황에서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고 발전, 계승시키는 노력에서 문화 경쟁력은 길러질 수 있다.그러므로 문화교육의 기초는 전통 문화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확인과 긍지를 가지며,이를 기초로 세 계의 다양한 문화와의 비교를 통하여 전반적인 문화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 데 있다(배희숙,2006).

우리 민족은 오랜 역사를 통해 가꾸어 온 독특한 고유의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의 전통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고 있다.유아기는 전통문화를 자랑스럽게 여 기고 관심을 갖게 되느냐 아니면 무관심하게 되느냐가 결정되는 시기이므로 유치 원에서는 교육활동으로서 전통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의 전통문화를 살리고 이에 기초하여 새롭게 발전시켜 나아가는 것이 가 장 우수한 문화적 성취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는 바,유아들이 전통문화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계승하여 새로운 전통문화를 재창출할 수 있도록 전통문화 교육이 요구되는 것이다(김미경,2003).

B.유아 미술 교육

1.유아미술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적 의의

유아는 모든 감각을 통하여 자신이 속한 세계를 인지하고 조작하면 반응한다.이 러한 감각의 통합적 과정을 거쳐 유아는 자신의 신체 이미지를 형상하고,주변

(23)

환경과의 관계를 배우며 지각의 범위를 넓혀나간다.또한 신체발달이 이루어지면 서 여러 가지 사물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게 된다.이러한 관심은 다양한 학습 과 모방을 통해 기초개념과 사고능력을 배양하게 된다(정대수,2004).

왜 유아에게 미술을 가르쳐야 하는지,유아들은 왜 미술교육을 받아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면(임수진,이정욱,1999),첫째,미술은 우리 생활의 일부분이기 때문이 다.많은 사람들이 미술에 대해 가지는 오해 중의 하나가 미술은 어렵고 특별한 재능을 지닌 사람들의 전유물이라는 생각,또는 시간적 여유가 있을 때나 즐길 수 있는 여가활동의 일환으로 생각하는 것이다.따라서 유아기부터 생활 속에서 미술 의 역할을 인지하고 미술을 즐기고 활용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아름다움을 지각 할 수 있는 눈을 가지고 생활 속에서 미술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미술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둘째,미술은 유아의 자기표현이기 때문이다.유아는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내적 욕구를 지니며,미술은 이러한 자기표현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주된 수단이 다.미술로 자신을 표현하는 기회를 가졌던 유아들은 시각적 상징을 사용하여 자신 의 주변 세계에 대한 의미를 구성하고 이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셋째,미술은 유아의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기 때문이다.유아교육의 궁극적인 목 적은 전인적인 인간의 육성이다.신체적,인지적,정서적,사회적으로 고른 발달이 이루어져 건강하고 지적이며 감정적으로 풍부하고 인간미가 넘치는 조화로운 성장 을 추구한다.

Williams와 Fromberg(1992)에 의하면 유아교육에 있어 미술활동의 목적은 유아가 시각적 관계를 보고 느낄 수 있으며,미술활동을 하고 활동에 대해 배우면서 다른 사람의 작품뿐만 아니라,자신의 작품에 대해서 이야기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라고 하였고,Schickedanz,York,Stewart와 White(1983)는 유아 미술활동이 지니는 가치를 미술활동 그 자체에 대한 즐거운,긴장을 완화시키는 수단,자기표현과 의사 소통의 수단,지각과 개념발달의 증가,눈과 손의 협응,심미적 감상,문화유산에 대한 감상에 두었다(이기숙,1997).이와 같이 미술활동은 감각을 통해 주변을 탐색 함으로써 감상 및 표현과 함께 미적요소들에 대한 인식과 지각력을 높여주고,창의 적인 표현능력과 풍부한 감상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24)

2.유아미술의 표현능력

아동들의 성장 발달은 각 개인 나름대로 다양한 특성을 지니며 일정한 단계를 거 친다.이러한 특성은 정신적인 면에서나 육체적인 면에서 찾아 볼 수 있다.언어나 다른 전달 수단에 의한 의사소통이 비교적 자유롭지 못한 아동은 긁적거려 놓은 낙서나 그림을 통하여 자신의 내면적인 감정이나 갈등 등의 마음 상태를 솔직하게 반영한다.또한 그들은 자신의 그림 속에서 사물이나 사실을 있는 그대로 객관적으 로 나타내기보다는 사물에 대한 자신의 경험이나 주관적인 느낌을 주로 표현하기 도 한다(김정,이수경 1989).

Piaget는 인지이론을 근거로 그리기는 사물영속성 이해하지 못하는 유아는 과 거에 대해 생각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앞으로 나타날 상황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 에 사물과 주변세계에 대한 이미지를 구성할 수 없다고 설명하였다.그러므로 인지 이론의 견해로 는 유아들은 관찰하고 경험한 다양한 현상과 사건들에 대해 생각하 는 것을 그림으로 표상하므로,표상은 자신의 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하고 확장시 키는 과정을 통해 인지구조를 견고화시키는 매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고 설명하면서 유아 그림에 나타난 크기,모양,형태의 왜곡된 표현은 유아의 사고,즉 내적 표상능력과 연관된다고 하였다(지성애,2001).

또한 유아들의 그리기 활동에 대해 Read(1943)는 아동의 그림은 자유로운 표현이 고 자신의 표현이다.이런 자유로운 표현은 신체적인 활동과 정신적 과정의 폭 넓은 범위를 반영한다고 하였으며,Burt(1958)는 그림은 자기 계시의 한 양식이라 하였다.

또한 Arnheim(1954)은 유아의 그림은 묘사된 것이 아니라 실물의 상징들이라고 한 것과 같이 유아들은 그림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그 방법은 유아의 성장․발달에 따라 특징을 가지게 된다고 하였다(홍혜자,1987).

유아의 그림 표현이란 개인적인 차,환경의 차등 여러 가지를 전제해야 하지만 많은 학자들의 다양한 이론에 의하면 보편적인 공통 요인과 일정한 순서가 있음을 알 수 있다.이러한 관점에서 아동의 그림을 발달적 측면에서 연구한 학자를 중심 으로 발달단계를 4세-7세를 기준으로 요약하였다. <표 Ⅱ-1>은 강시현(2004), 정지량(2004)의 미술표현의 발달단계를 인용하였다.

(25)

<표 Ⅱ-1> 미술표현의 발달단계

Lowenfeld Lindstrom Kellongg Read 김 정 -전도시기-

(4~7세)

‧2차원적인 그림을 그린다.

‧대상은 주로 사람 이며,머리를 원으로,다리를 선으로 표현 한다.

‧새로운 개념을 찾아서 쉽게 변화한다.

-개념의 회화 시기- (4~6세)

‧모방을 통한 도시적인 표현 이 나타난다.

‧창안한 도시들은 반복하기를 좋아 한다.

‧인물화가 나타 난다.

‧그리고자 하는 것은 모두 그릴 수 있다.

-디자인시기- (3~4세)

‧도형들로 조합을 이루면서 디자 인을 시작한다.

‧추상적이고 균형잡힌 그림을 그린다.

‧만다라,태양, 방사선 모양이 나타나며 원시적 얼 굴 모 양 이 나타난다.

-선화기- (4세)

‧시각적인 비교 력이 발달한다.

‧인 물 을 많 이 그린다.

‧각 부위를 완전 하 게 그 리 지

못 하 며 굳 이 표 현 하 려 고 하지 않는다.

-난화 후기- (4~5세)

‧회전운동이 자유로워진다.

‧사물의 대소를 구별한다.

‧원을 그리고 그림에 흥미가 높아진다.

‧최초의 두족을 그린다.

‧창조력성장의 시기로 자기의 생각을 주저

않고 그린다.

‧색채를 구별할 줄 알며 감정, 정 서 에 따 라 색을 선택한다.

‧지각이 시작된다.

-서술적 상정기- (6~7세)

‧점차 정돈되어 소박한 상정적 낙서를 한다.

‧인물묘사는 정확 하게 할 수 있 으나 미숙한 상징적 도식으 로 혼란한 묘 사에 그친다.

‧좋아하는 형은 오랬동안 반복 하여 그린다.

‧개인마다 도식 의 형태가 조금 씩 다르다.

-인물화시기- (4세)

‧4~5세 경에 인물화를 시작 한다.

-초기회화적- (4~5세)

‧그림에 명명 하기를 좋아한 다.

‧동‧식물 교통 기관을 즐겨 그리고 장식적 형태를 그린다.

‧ 면 과 중 앙 을 의식한다.

-서술적 상정기-

(6~7세)

‧점차 정돈되어 가 는 소 박 한 상정적 낙서를 한다.

‧인물묘사는 정확하게 할 수 있으나 미숙한 상징적 도식으 로 혼란한 묘사 에 그친다.

‧좋아하는 형은 오랫동안 반복 하여 그린다.

‧개인마다 도식 의 형태가 조금 씩 다르다.

-전도식기- (5~7세)

‧의식적 묘사활 동이 시작된다.

‧주제를 미리정 한다.

‧얼굴표현에 흥 미가 높다.

‧물활론적 표현 을 사용한다.

‧자기중심적 표 현을 사용한다.

본 연구 유아들의 연령(6-7세)의 발달단계와 특성을 살펴보았다.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유아들의 연령(6-7세)의 단계에서는 사물을 잘 이해하고 그에 따른 미술

(26)

작품을 표현할 때 유아들 시야가 넓어지고 관심의 폭이 확장되어 창의적이고 미적 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되는 것이다.

c.전통문화와 유아미술

세계화가 급속도로 변해 가고 있는 우리의 현실에서 한국적이고 주체적인 우리 의 전통문화와 그 정신이 점점 퇴색되어 가고 있다.외래문화의 범람과 혼란 속에 서 무조건적인 외래문화의 수용으로 인해 주체성을 잃어가고 있다.이제는 주체성 회복을 위해 우리 스스로의 정체성을 찾고 새롭게 창조해 나가야 하며,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계승이 필요하다(최인정,2003). 전통문화에 대한 유아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부모와 교사들은 유아로 하 여금 다양한 미술 활동을 통하여 작품이 지닌 의미와 질적 가치를 발견하게 하고, 나아가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미술 문화유산이 지닌 심미적 수준을 논의할 수 있고 가치 판단을 할 수 있는 비평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따라서 유아를 위한 전통 문화관련 교육은 그 시대의 문화적 .사회적 맥락에서 유아로 하여금 전통미술이 지닌 미적 가치에 대해 보다 통찰력 있는 이해를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제시되어야 한다(김정,이수경,이주연,1997).

과거의 전통이 풍부하고 훌륭할수록 또한 그것을 잘 이해할수록 높은 수준의 새 로운 문화를 창조할 가능성이 높다고 시사하며 반대로 과거의 전통이 빈약하거나 그것을 충분히 이해하고 활용하지 못하면 그만큼 새 문화 창조의 길은 좁아지게 될 것이라고 한다.이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통을 잘 이해한다는 것은 창조의 폭과 깊이를 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전통은 가치만이 아니라 현재적 가 치로도 존속되며 나아가 미래적 자치로까지 지속되는 생명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 이다(안휘준,1988).

미술은 미적인 요소를 수단으로 인간의 생활에 있어서 매우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전통미술교육의 목적이 조상의 미술문화 유산에서 독창성과 우월 성을 발견하고 이를 계승,발전시키는데 있다고 할 때 유아기 때부터 전통미술에 대해 탐색하고 표현하고 감상해 볼 수 있는 기회의 제공은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

(27)

뿐만 아니라 유아로 하여금 전통문화와 외래문화의 차이점을 알게 하여 외래문화 를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개방적인 자세를 키워 줄 것이다.또한 유아 때부 터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심어주고 전통 문화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갖도 록 교육한다는 관점에서 중요하다(김삼랑,1992).

D.유아의 전통문화 인식 및 태도의 발달

우리 민족은 오랜 역사를 통해 가꾸어온 독특한 고유의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의 전통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고 있다.유아기는 전통문화를 자랑스럽게 여 기고 관심을 갖게 되느냐 아니면 무관심하게 되느냐가 결정되는 시기이므로 유치 원에서는 교육활동으로서 전통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6차 유치원교육과정(교과부,1998)에서는 유아들이 다른 나라 및 다른 나라 사람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한편,우리 민족의 전통문화를 귀중히 여 기고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세계화에 대비한 전통문화 교육의 충실"을 중점 사항 으로 하고 있다.이것은 유아기로부터 교육을 통해 자기 자신의 문화와 전통을 제 대로 이해하지 않으면 세계화,개방화 되는 환경 속에서 자기의 문화를 올바로 지켜 나갈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외래문화에 대해서도 주체적이고 자주적으로 대처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은 왜 이루어져야 하는지.그리고 전통문화 교육은 왜 이 루어져야 하는지,그리고 전통문화 교육은 왜 필요한지에 대한 물음의 답이 전통문 화 교육의 목적인데,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첫째,전통문화 교육은 민족 주체성 함양을 위한 목적을 가진다.민족고유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데 계승자의 민족적 자존심만 있다면 전통문화 교육이 민족 주체성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는 주장은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 없는 궁극적인 개념이 다.

둘째,전통문화 교육은 한국 문화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문화 정 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민족 주체성과 더불어 나와 우리를 이해하는 바탕이 되므로 우리 민족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 필요 불가결한 요소가 되는 중요한 일이다.

(28)

셋째,전통문화 교육은 민족 생존을 위한 목적을 가진다.국가의 성립 요건이 국 민,영토,주권이라고 한다면,전통문화도 반드시 또 하나의 요건으로 포함되어야 한다.영토와 주권이 없어도 전통문화는 사람과 함께 민족을 유지시켜 나중에 국가 를 형성하게 하는 힘을 갖는 것을 우리는 이스라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이경선, 2002).

전통문화는 현장학습을 통하여 지역 사회 내에 있는 박물관이나 미술관,유적지 등을 현장학습하면서 느끼고 감상함으로써 구체적인 실물자료를 볼 수 있다는 점 에서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즉,유아들의 발달 수준에 따라 생활 체험을 통한 전통문화 교육은 전통문화에 대한,인지와 태도 발달을 위해 매우 유익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29)

Ⅲ. 연구방법

A.연구대상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D어린이집 실험집단 20명,A어린이집 비교집단 20명으 로 총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표 Ⅲ-1> 참조).

<표 Ⅲ-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구 분 실험집단 비교집단 계

성 별 남 9 16 25

여 11 4 15

연 령 6세 12 8 20

7세 8 12 20

계 20 20 40

B.연구도구

본 연구의 목적인 전통문화를 통한 탐구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 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는 <표 Ⅲ-2>와 같다.

<표 Ⅲ-2> 측정도구의 신뢰도

구 분 문항 수 alpha(α)

그리기 표현능력 9 0.75

전통문화 인식

전 통 가 옥 에 대 한 인 식 6 0.72 전 통 의 복 에 대 한 인 식 5 0.74

합 계 11 0.81

전통문화 태도

전 통 가 옥 에 대 한 태 도 6 0.71 전 통 의 복 에 대 한 태 도 6 0.76

합 계 12 0.73

(30)

<표 Ⅲ-2>에서 보는 바와 같이 Cronbach α가 그리기 표현능력 0.75,전통문화 인식 0.81,전통문화 태도 0.73으로,모두 0.60이상으로 나타났다.따라서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신뢰할만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1.그리기표상능력 검사

a.그리기표상능력 검사 도구의 내용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지성애(2001)가 개발 한 ‘그리기표상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그리기표상능력 평가’도구는 ‘기본 도형과 선의 병합’,‘다양한 색채’,‘세부적 묘사’,‘조화로운 구성’,‘다양한 형체’,‘주 제 관련표상’,‘표상의 창의성’,‘그림의 완성’,‘표상과 언어의 연계성’의 9가지 하위영 역으로 구성되었다.문항 구성 내용은 <부록 2>과 같다.

b.그리기표현능력 검사 도구의 점수화

유아의 그리기표현능력은 각 유아 당 20장의 그림을 그리도록 하여 그리기표현능 력을 평가하였다.그리기표현능력 검사는 유아의 그림을 대상으로 검사도구의 각 측정 항목마다 제시된 평가 준거에 따라 1점에서 5점의 점수로 평정하도록 구성 되었으며 유아가 받을 수 있는 최고 점수는 45이다.

2.전통문화 인식 검사

본 연구에서는 전통문화를 통한 탐구활동이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동일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유아 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유혜윤(2003)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다문화 미술교육이 유아의 문화에 대한 인 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와 성선재(2008)의 전통문화를 활용한 역사교

(31)

육 활동이 유아의 역사개념과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의 형식 및 내용을 참고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유아의 전통문화에 대한 전통의복,전통가옥에 대한 인식을 나누 어 각기 이루어진다.역사 인식에 관한 문항은 각3문항이며 각 문항 마다 대답을 못했을 경우 1점,맞게 대답했을 경우 2점,부연 설명이 가능한 경우 3점을 부여하 여 하게 된다. 문항 구성에 관한 내용은 <부록 3>과 같다.

3.전통문화 태도 검사

본 연구에서는 전통문화를 통한 탐구활동이 전통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동일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유아 의 태도를 살펴보았다.양원경(2002)의 전통미 함양을 위한 유아 미술 교육 프로그 램 개발연구와 성선재(2008)의 전통문화를 활용한 역사교육 활동이 유아의 역사 개념과 전통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의 형 식 및 내용을 참고 하였다.문항 구성에 관한 내용은 <부록 4>와 같다.

C.연구 절차

<표 Ⅲ-3> 연구 절차의 일정 검사명

활동명 기간/시간 실험 집단 비교

집단 비고

검사자 교육 6일(10.12.20-26) 검사자 교육 예 비 검 사 3일(10.12.27-29) 예비검사

사 전 검 사 2일(10.12.30-31) ○ ○ 그리기표현 능력과 전통문화의 인식과 태도 본 실험처치 6주(11.1.3-2.16)

20회 ○ × 실험 집단 :견학을 통한 프로그램 진행 비교집단 :주제 중심 표준보육과정 활동 사 후 검 사 2일(11.2.17-18) ○ ○ 그리기표현 능력과 전통문화의 인식과 태도

본 연구는 2010년 12월 27일부터 2011년 2월 18까지 진행되었으며 교사훈련,

(32)

예비검사,사전검사,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표 Ⅲ-3> 참조).

1.검사자 교육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할 검사자는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교사 경력이 7년의 검 사자 2인으로 하였다.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교사는 전통문화에 대해 제공하는 방법을 교육하였고,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의 측정 검사 문항을 이해하고 척도 표시방법을 숙지하였으며 문항설명의 방법도 연습하였다.

2.예비검사

사전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본 연구에서 아용할 연구도구와 연구과정이 적절한 지를 알아보고자 3일에 걸쳐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예비검사는 2010년 12월 27에 연구대상 A어린이집과 사회 경제적으로 비슷한 D어린이집의 만5세-6세 3명을 대상 으로 검사방법은 주제를 정하여 그리기표현 능력을 보았으며 주제에 대하여 잘 알 고 그렸는지 검사 실시하였다.소요시간은 50분으로 하여 완성도를 확인하였다.

3.사전검사

사전검사는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과 전통 문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미치는 효과를 실시하기 전에 유아들의 판단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2010년 12월 30일~31일 2일간 실시하였다.검사자는 조용한 어린이 집 상담실에서 검사자와 연구자가 마주 앉아 한명씩 실시하였으며 연구자와 친밀감 형성을 위해 간단한 대화를 나누고 질문 이외의 불필요한 대화나 암시적 어투는 삼 가 하였다.

4.실험처치

(33)

회 활동명 관련요소 방법 및 내용

1 돌로 쌓은 성 (모양성)

정서지능

-전통문화의 이해,표현 또래 상호 작용

-놀이 상호작용

*방법:체험,탐색,이야기나누기

*내용:-모양성에 올라 성따라 걸어보며 모양이나 느낌 이야기하기

-모양성의 모양 및 조상들의 생활모습 탐색

2

아주 아주 옛날 돌무덤 (고인돌)

정서기능

-전통문화의 이해,표현 또래 상호작용

-놀이 상호작용

*방법:체험,탐색,이야기나누기

*내용:-고인돌공원 산책 및 고인돌 관찰하기 -박물관 체험하기:유래와 조상들의

생활모습 이해

3

옛날 사람들은 어떤 집에서

살았을까?

(고가1-기와집)

정서기능

-전통문화의 이해,표현 또래 상호작용

-놀이 상호작용

*방법:체험,탐색,이야기나누기

*내용:-인근 고가 산책하기

-기와집 관찰하기:변천사와 요즘 집 들과의 차이점 찾기

4

지푸라기로 만든 집 (고가2-초가집)

정서기능

-전통문화의 이해,표현 또래 상호작용

-놀이 상호작용

*방법:체험,탐색,이야기나누기

*내용:-인근 고가 현장 답사

-조상들의 생활 모습 간접체험 :옛날집의 재료 쓰임새 알아보기

5 옛날 학교는?

(향교)

정서기능

-전통문화의 이해,표현 또래 상호작용

-놀이 상호작용

*방법:체험,탐색,이야기나누기

*내용:-인근 향교 현장 답사

-현장학습을 통한 생활모습 간접체험 -오늘날 학교와의 변화

6 사군자이야기 (사군자)

정서기능

-전통문화의 이해,표현 또래 상호작용

-놀이 상호작용

*방법:관련자료 관찰 및 탐색,이야기나누기

*내용:-사군자 관찰하기 -계절과의 연상 활동

7

재미있는 전통놀이 (윷놀이)

정서기능

-자기조절,타인인식 또래 상호작용

*방법:게임,탐색,이야기나누기

*내용:-윷놀이 방법 알아보기 -팀 나누어 윷놀이 하기,

본 연구의 실험처치의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 현 능력과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활동의 실행은 2011년 1 월 3일 -2월 16일까지 1회 50분 20회 실시하였다.

선정한 작품은 우리 주변에 있는 전통문화와 유아들이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으며 명확하고 사실적이고 우리 민족의 해학과 생활 모습들도 엿볼 수 있는 것들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작품은 아래의 <표 Ⅲ-4>와 같다.

<표 Ⅲ-4> 실험처치 프로그램

(34)

-놀이 상호작용 -요즘놀이와 비교 이야기하기

8

재미있는 전통놀이 (팽 이 치 기)

정서기능

-자기조절,타인인식 또래 상호작용 -놀이 상호작용

*방법:게임,탐색,체험,이야기나누기

*내용:-팽이치는 방법 알아보기 -팽이치기놀이

-요즘놀이와 비교 이야기하기

9

재미있는 전통놀이 (투 호)

정서기능

-자기조절,타인인식 또래 상호작용 -놀이 상호작용

*방법:게임,탐색,체험,이야기나누기

*내용:-팽이치는 방법 알아보기 -팽이치기놀이

-요즘놀이와 비교 이야기하기

10

재미있는 전통놀이 (연 날 리 기)

정서기능

-자기조절,타인인식 또래 상호작용 -놀이 상호작용

*방법:게임,탐색,체험,이야기나누기

*내용:-연날리는 방법 알아보기 -연날리기놀이

-요즘놀이와 비교 이야기하기

11

흙으로 만든 그릇 (옹 기)

정서기능

-전통문화의 이해,표현 또래 상호작용

-놀이 상호작용

*방법:체험,탐색,이야기나누기

*내용:-옹기 공장 견학 관찰하기 -옹기와 지금 그릇의 비교 후

표현하기

12

재미있는 가면놀이 (탈)

정서기능 -자기인식,표현 또래 상호작용 -놀이 상호작용

*방법:체험,탐색,신체표현,이야기나누기

*내용:-탈 쓰고 춤춰보기 -탈관찰하기 :탈의 종류와

모양알아보기

13 옛날 신발 (짚 신)

정서지능 -자기인식,표현 또래 상호작용 -놀이 상호작용

*방법:신체표현,이야기 나누기

*내용:-짚신신고 걸어보기

-짚신 관찰하기:걸짚신의 역할과 무엇으로 만들어 졌는지 알아보기

14

아름다운 그릇 (도 자 기)

정서지능

-자기인식,표현, 자기조절

또래 상호작용 -놀이상호작용

*방법:체험,이야기 나누기

*내용:-도자기 박물관 견학

-도자기로 만들어보기:도자기의 종류 쓰임새 무엇을 이용하여 만들었는지 알아보기

15 알록달록한 처마 (단 청 모 양)

정서지능

-전통문화의 이해,표현 또래 상호 작용

-놀이 상호작용

*방법:체험,탐색,이야기나누기

*내용:-절 산책 및 단청 관찰하기 -단청색 찾아보기:단청에 색의

아름다움과 유래 알아보기.

16 아주 아주 집 (움 집)

정서기능

-전통문화의 이해,표현 또래 상호작용

-놀이 상호작용

*방법:체험,탐색,이야기나누기

*내용:-움집 산책 및 관찰하기

-움집 체험하기:유래와 조상들의 생활모습 이해

17 아름다운 우리옷 (한 복 )

정서지능

-전통문화의 이해,표현

*방법:역할놀이,이야기나누기

*내용-한복입고 절하기

(35)

또래 상호 작용

-놀이 상호작용. -한복그리기

18

재미있는 풍물놀이1

(장구)

정서기능

-전통문화 이해,표현 또래 상호 작용

-놀이 상호작용

*방법:관찰,탐색 체험

*내용:-장구로 장단 쳐보기 -장구에서 들리는 소리

탐색하기장구의 소리,

모양 쓰임새 등을 이야기하고 그려보기

19 돌로만들었어요.

(탑)

정서기능

-전통문화의 이해,표현 또래 상호작용

-놀이 상호작용

*방법:체험,탐색,이야기나누기

*내용:-탑 관찰 및 체험 -돌탑쌓기

-탑의 모양과 특징 알아보기

20

옛날 결혼식 소품 (족 두 리)

정서기능

-전통문화의 이해,표현 또래 상호작용

-놀이 상호작용

*방법:역할놀이,이야기나누기

*내용-족두리 쓰고 전통혼례놀이 -전통 혼례 비디오 감상

a.사전검사

사전검사는 2010년 12월 30일-31일 이틀 동안 각 1회씩 실시하였고 실험집단 과 비교집단 모두 같은 주제인 자유화를 그려보도록 하였다.재료는 유아들이 편하 게 사용할 수 있는 크레파스를 주었고 8절 도화지에 그렸으며 두 집단간의 교사 변인 차이를 없애기 위해 본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다.

미술 활동 과정의 평가는 유아들이 미술표현활동을 하는 동안에 활동과정을 보 면서 연구자가 유아를 한명씩 ‘그리기표상능력 척도에 따라 요인별로 체크 하였다.

미술 표현 능력 평가는 그리기시간 50분 동안 주제를 생각하고 자유롭게 표현 하도 록 하였으며 본 연구자와 보조 연구자(유아교육전공,교사경력 7년)1명이 유아들 의 그림을 45점씩 나누어 평정하였다.

b.본 실험.

실험을 위한 처치는 2011년 1월 3일부터 2월 16일까지 6주 동안 총 20회 활동을 진행 하였다.실험집단 유아들 에게는 현장학습과 경험학습을 통해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유아들은 유치원 생활 주제에 맞는 기존의 교수 활동으로 이루어 졌다.

(36)

시 간 실험집단 비교집단 08:30-09:00 등원 및 일과계획

09:00-09:30 자유선택 활동

09:30-10:00 간식 및 정리정돈,화장실 다녀오기 10:00-12:00 전통문화 탐구 및 진행 평가

마무리

이야기나누기와 대집단 활동 (표현활동,전통문화) 12:00-13:00 손 씻기 및 점심

13:00-14:00 실외놀이 14:00-14:40 대집단 활동

(동화,동극,작업,게임) 14:40-15:00 평가 및 귀가 지도 프로그램의 일정표는 아래의<표 Ⅲ-5>와 같다.

<표 Ⅲ-5> 프로그램 일정표

(1)실험집단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현장학습과 경험활동을 하였고 현장학습 소요시간은 40분 으로 표현활동 50분,비교 분석 종합 활동은 10분으로 실시하였다.

유아의 현장학습과 경험활동을 한 후 미적 형식,표현 주제,표현 방법,대상에 대한 전통의 의미를 이야기해 보고 미술 표현활동을 하였다.활동을 마친 유아들에 게 유아의 작품을 전시하여 친구들의 작품을 감상 할 수 있게 하였다.6주간의 구체적인 실험 활동은<부록 8>에 제시되었다.

(2)비교집단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매주 3회 50분 미술활동시간을 배정하고 비교 분석 종합 활동은 10분으로 실시하였다. 생활주제에 따른 미술 교수방식의 미술활동을 실시 하였다.그림 완성 후 유아들의 작품을 게시판에 붙여주었다.비교집단의 주제는 실험집단의 주제와 같으며 교사가 주로 유아의 미술활동에 필요한 재료를 준비해

(37)

실험집단 비교집단 교육목적 ∙ 현장학습과 경험활동을 통한 미술표현이

유아의 미술능력,전통문화 인식과 태도 향상

∙유아의 자유로운 표현

교육내용 ∙ 유치원 교육 과정을 바탕으로 한 교수활동자료 활동기간 ∙ 6주 동안 현장학습 및 경험활동 20회

(1회 50분 소요) ∙생활 주제 20회 주제선정 ∙ 유치원 교육과정 내용을 기준으로 연간 교육계획안의 생활

주제에 따른 소주제를 정함

교수방법

∙ 현장학습과 경험활동을 통한 유아의 느낌을 설명하고 미적 요소를 기초하여 말로 표현 할 수 있으며 또한 창의적인 표현으로 다양한 활동을 끌어냄

∙ 표현위주의 미술 활동

∙유아의 자유로운 자기표현 교사역할

∙ 유아의 생각과 다양한 표현활동에서 표현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적극적인 역할

∙자료의 제공자, 소극적인 역할 환

경 구 성

표현 ∙ 각종 미술 재료

감상 ∙ 현장학습과 경험활동 및 사진 ∙ 그림,사진 영역 ∙ 감상과 표현영역 구분해서 배치 ∙ 표현활동위주의

미술영역 벽면 ∙ 감상영역에 평면적인 유아의 작품을 게시판에 설치

평가 관점

평가 관점

∙ 전통문화에 대하여 미적 요소와 전통문화 인식 및 태도를 기초한 유아와 교사의 평가

∙작품에 대한 유아의 설명을 들은 후 일반적인 반응 주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미술 교육활동의 차이점을 비교 제시하면 <표 Ⅲ-6>과 같다.

c.사후 검사

사후 실험은 실험처치가 끝난 다음 2011년 2월 17- 2011년 2월 18일 이틀간에 걸쳐 실시하였다.유아의 미술활동 과정,미술 표현능력,전통문화 인식 및 태도에 대한 평가는 실험집단 비교집단에 서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38)

D.자료분석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분 석기법으로는 전통문화를 통한 탐구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과 전통문화 인식,그리고 전통문화 태도를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t-test(검증)를 실시하 였다.또한 전통문화를 통한 탐구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과 전통문화 인식, 그리고 전통문화 태도 향상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pairedt-test(검 증)를 실시하였다.

(39)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A.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 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1.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전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 미술활동을 실시하기 전에 실험집단 유아와 비교집단 유 아의 그리기 표현능력을 살펴본 결과는 <표 Ⅳ-1>과 같다.

<표 Ⅳ-1>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전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 사전 검사

구 분

실험집단 (n=20)

비교집단

(n=20) t

M SD M SD

기본 도형과 선의 병합 3.25 0.64 3.20 0.89 0.20 다 양 한 색 채 3.15 0.67 3.05 0.83 0.42 세 부 적 묘 사 2.50 0.51 2.45 0.83 0.23 조 화 로 운 구 성 2.65 0.67 2.75 0.79 -0.43 다 양 한 형 체 2.50 0.61 2.45 0.83 0.22 주 제 관 련 표 상 2.25 0.44 2.05 0.89 0.90 표 상 의 창 의 성 1.60 0.50 1.90 0.79 -1.44 그 림 의 완 성 2.75 0.79 3.00 0.65 -1.10 표상과 언어의 연계성 2.05 0.39 2.35 0.81 -1.49 그 리 기 표 현 능 력 22.70 2.94 23.20 4.32 -0.43

기본 도형과 선의 병합과 다양한 색채,세부적 묘사 능력은 실험집단 유아가 비 교집단 유아보다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조화로운 구성 능력은 비교 집단 유아가 실험집단 유아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다양한 형체와 주제 관련 표상 능력은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보

(40)

다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표상의 창의성과 그림의 완성,표상과 언어 의 연계성은 비교집단 유아가 실험집단 유아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그리기 표현능력은 비교집단(M=23.20, SD=4.32)이 실험집단(M=22.70,SD=2.94)보다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이상과 같이 실험집단 유아와 비교집단 유아는 전통문회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을 실시하기 전에 그리기 표현능력이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따라서 본 연구 자가 선정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동질집단이 입증되었다.

2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후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을 실시한 후에 실험집단 유아와 비교집단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표 Ⅳ-2>와 같다.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을 실시한 후에 기본 도형과 선의 병합 능력은 실험집단(M=3.95,SD=0.39)이 비교집단(M=3.30,SD=0.73)보다 높았으며,통계적으 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3.49, <.01). 다양한 색채 능력은 실험집단 (M=3.55,SD=0.94)이 비교집단(M=3.10,SD=0.64)보다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세부적 묘사 능력은 실험집단(M=3.30,SD=0.73)이 비교집단(M=2.60, SD=0.75)보다 높았으며,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2.98, <.01).

조화로운 구성 능력은 실험집단(M=3.35,SD=0.67)이 비교집단(M=2.85,SD=0.67) 보다 높았으며,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2.36, <.05).다양한 형 체 능력은 실험집단(M=2.70,SD=0.66)이 비교집단(M=2.50,SD=0.76)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주제 관련 표상 능력은 실험집단 (M=4.20,SD=0.70)이 비교집단(M=2.15,SD=0.67)보다 높았으며,통계적으로도 유 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9.49, <.001).

(41)

<표 Ⅳ-2>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 후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 사후 검사

구 분

실험집단 (n=20)

비교집단

(n=20) t

M SD M SD

기본 도형과 선의 병합 3.95 0.39 3.30 0.73 3.49**

다 양 한 색 채 3.55 0.94 3.10 0.64 1.76 세 부 적 묘 사 3.30 0.73 2.60 0.75 2.98**

조 화 로 운 구 성 3.35 0.67 2.85 0.67 2.36* 다 양 한 형 체 2.70 0.66 2.50 0.76 0.89 주 제 관 련 표 상 4.20 0.70 2.15 0.67 9.49***

표 상 의 창 의 성 2.65 0.59 2.05 0.51 3.45**

그 림 의 완 성 4.00 0.86 3.15 0.88 3.10**

표 상 과 언 어 의 연 계 성 3.45 0.60 2.40 0.68 5.16***

그리기 표현능력 31.15 4.37 24.10 4.60 4.97***

* <.05,** <.01,*** <.001

표상의 창의성은 실험집단(M=2.65,SD=0.59)이 비교집단(M=2.05,SD=0.51)보다 높았 으며,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3.45, <.01).그림의 완성 능력은 실험집단(M=4.00,SD=0.86)이 비교집단(M=3.15,SD=0.88)보다 높았으며,통계적으 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3.10, <.01).표상과 언어의 연계성 능력은 실험 집단(M=3.45,SD=0.60)이 비교집단(M=2.40,SD=0.68)보다 높았으며,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5.16, <.001).전체적으로 그리기 표현능력 능력은 실 험집단(M=31.15,SD=4.37)이 비교집단(M=24.10,SD=4.60)보다 높았으며,통계적으 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4.97, <.001).

이상과 같이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가 그렇지 않은 비교집단 유아보다 기본 도형과 선의 병합과 세부적 묘사,조화로운 구성,주 제 관련 표상,표상의 창의성,그림의 완성,표상과 언어의 연계성,그리기 표현능력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미술활동은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참조

관련 문서

을 형성하는 수단이다( Pol ki nghor ne ,1 998 ;허희옥,2 006 .재인용) .또한,사회 문화적인 차원에서 스토리텔링은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I. 특정 생물종이 생태계 전체에 미치는 영향 판단 II. 멸종위기종 관련 홍보품이 사람들의 인식 개선 에 미치는 영향

활동을 경험한 유아가 경험하지 않은 유아보다 유아의 수학성취와 수학문제해결력 에 긍정적인 영향을 더 미친다고 하였다.Shure(1979)는 매일 일어날 수 있는 주변 환경

그림책을 활용한 작가적 전략과 주제환상극놀이 교수방법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도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 및 건강행위 특성의 효과를 통제 한 상태에서 사회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 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에듀테크 (Edu-Tech) 를 활용한 체육수업 건강영역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따른 교육 효과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기 위해 혼합연구 설계를

본 연구의 가설 4는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고객의 만족이 구전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둘째 영자신문을 활용한 토익 독해영역 수업이 대학생 학습자의 인식 만족 , ( 도 흥미 이 실제적인 자료인 신문을 활용한 독해영역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