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olor Change of Food Staining and Bleaching on Composite Resi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olor Change of Food Staining and Bleaching on Composite Resin"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Received: August 25, 2012, Revised: October 12, 2012, Accepted: October 12, 2012 ISSN 1598-4478 (Print) / ISSN 2233-7679 (Online)

Correspondence to: Soo-Jeong Hwang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Medical Science, Konyang University, 158, Gwanjeodong-ro, Seo-gu, Daejeon 302-718, Korea Tel: +82-42-600-6381, Fax: +82-42-600-6382, E-mail: denthwang@konyang.ac.kr

Copyright © 2012 by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콤포지트 레진의 음식물에 따른 착색과 미백에 따른 색 변화

최은정ㆍ문성희

1

ㆍ문소라

1

ㆍ박선영

1

ㆍ송미정

1

ㆍ김은영

1

ㆍ황수정

1†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안경광학과, 1치위생학과

Color Change of Food Staining and Bleaching on Composite Resin

Eun-Jung Choi, Sung-Hee Moon

1

, So-Ra Mun

1

, Sun-Young Pak

1

, Mi-Joung Song

1

, Eun-Young Kim

1

and Soo-Jeong Hwang

1†

Departments of Optometry,

1

Dental Hygiene, College of Medical Science, Konyang University, Daejeon 302-718, Korea

This study evaluate the influence of food staining food and bleaching on the color (CIELAB) and reflectivity of two-way (anterior & posterior) composite resin and flowable composite resin. There were 6 immersion media: kimchi, red pepper paste, blueberry, tea, curry and distilled water.

A total of 36 specimens (11x11x2 mm) were prepared and immersed in each immersion media for 8 days at 37

o

C. Their color and reflectivity measured with the spectrophotometer at baseline and every 24 hours. Data from the color change and reflectivity were collected and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by ANOVA, ANCOVA and RM-ANOVA. Curry showed the highest influence on color change and blueberry on brightness (p<

0.001) on both resins. Bleaching after polishing made color change more than polishing or bleaching independently on two-way (anterior &

posterior) composite resin, but not on flowable composite resin. It was suggested cleaning the mouth after taking curry and blueberry be needed to maintain the original color of composite resin.

Key Words: Color, Composite resins, Reflectivity, Staining, Tooth bleaching

서 론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대중매체가 발달함에 따라 보다 나 은 삶의 질을 위한 개개인의 관심이 증대되었다. 치과치료 에 있어서도 과거의 치료는 금속재료에 의한 단순한 기능회 복에 중점을 둔 반면, 요즈음은 기능과 심미성을 동시에 만 족시킬 수 있는 보다 발전된 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 다

1)

. 이에 따라 최근 치과 진료 시 환자들의 심미적인 요구 가 증가하고 있어 단순히 치아의 형태와 기능을 회복할 뿐 만 아니라, 외관상으로도 구강 내에서 색의 조화가 이루어 지는 수복법이 요구되고 있다. 치과에서 사용되고 있는 심 미수복재료로 복합레진과 글래스 아이오노머 등이 있다. 복 합레진은 1960년에 도입되어 많이 사용되었고 현재는 직접

수복용심미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는 글래스 아이오노머가 사용되고 있다

2)

.

복합 레진은 복합재료의 일종으로 성분과 형태가 다른 2종

이상의 소재를 섞어 재료학적으로 물성을 강화한 것이다

2)

.

복합레진은 심미성과 조작 용이성이 장점이며, 압축강도·팽

창계수·마모저항도 등 물리적 성질도 이전에 비해 개선되고

있으나, 레진의 다공성 때문에 색 변화는 여전히 일어나고

있다

1)

. 색 변화는 크게 타액 내에서 일어나는 내인성 변화와

외부착색원에 의한 외인성 변화로 나눌 수 있으며, 레진이

색 변화 시 붉은 색이 증가하며 어두운 색을 띠게 된다고 하

였다

3)

. 반대로 변색된 복합 레진 수복물에 미백제를 적용할

경우 자연치와 마찬가지로 L값의 변화로 인하여 어느 정도

밝은 색을 띠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

(2)

기존의 레진이나 치아의 색 변화에 관한 연구는 1931년 국제조명위원회에서 정한 CIELAB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5)

. 이 방법은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과학적인 방법으 로 색을 계측하므로 현재 방법 중 가정 정확한 색 계측 방법 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사람의 시각은 CIELAB에서 표 현하는 밝기인 L, 녹(-)-적(+)인 a, 청(-)-황(+)인 b의 값뿐 아니라 반사율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아서 같은 Lab 값 을 가지고 있어도 반사율이 다른 경우 밝기를 다르게 인식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치아나 레진의 착색을 유발하는 알려 져 있거나 추정되는 김치국물, 고추장

1)

, 카레

6)

, 블루베리,

홍차

1,7,8)

의 음식물이 시간 경과에 따라 레진 종류별 착색 정

도와 미백 방법에 따른 색 변화를 관찰하여 각 착색원이 레 진의 색채와 반사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1) 시편 제작

전구치부겸용 레진(DenFil Light-Cured Restorative Mi- cro Hybrid Compostie Resin, Vericom, Anyang, Korea), 유동형 레진(DenFil Flow Light-Cured Radiopaque Flo- wable Composite Resin, Vericom, Korea)을 사용하였다.

아크릴판 틀에 가로 세로 11 mm, 높이 3 mm의 직육면체 형 태로 주형을 제작 후, slide glass 위에 아크릴 틀을 올린 후 레진을 넣고 slide glass로 위를 편평하게 눌러주었다. 이후 광중합(Elipar

TM

FreeLight 2, Germany)을 slide glass에 수 직으로 윗면에 접촉 후 30초간 광중합 하여 총 42개의 시편 을 제작하였으나, 레드와인에 사용된 6개의 시편은 최종 분 석에서 제외되었다. 각 시편에 광중합기가 접촉한 윗면과 반대면을 표기하였다.

2) 착색원

착색원으로는 치아에 착색이 잘 된다고 알려진 김치국물 (Wonchang Food Co., Daejeon, Korea), 고추장(해찬들_우 리쌀로 만든 태양초 골드 고추장, CJ, Nonsan, Korea), 카레 (3분쇠고기카레, Ottogi, Anyang, Korea), 블루베리즙(젊은 愛 블루베리200 [85.5%], Health-love Co., Anyang, Korea), 홍차(얼그레이 1 g, Teazen, Anyang, Korea)를 사용하였고, 대조군으로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김치국물과 카레, 블루베 리는 원액을 사용하였고, 고추장은 증류수 200 ml에 고추장 16 g을 희석하였다. 홍차는 97

o

C에 3분간 우린 후 10번을

흔들어 사용하였다. 증류수, 김치국물, 고추장, 카레, 블루베 리, 홍차를 30 ml씩 각 tube에 넣었다.

2. 착색 및 미백 실험

1) 착색방법

레진 시편은 실험 전 후를 비교하기 위하여 음식물에 넣 기 전에 색값과 반사값을 분광광도계(UV-2450, Shimadzu Co., Kyot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광광도계는 영점조정을 한 후, 시편의 각 면마다 3번씩 반사율과 Lab 값 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각 시편은 윗면과 아랫 면을 각각 측정하였다. 각 음식물 당 전구치부겸용레진 3개, 유동형 레진 3개 총 6개의 시편을 제작한 음식물 든 튜브에 각각 넣어 구강환경과 유사한 37

o

C water bath에서 착색되 게 하였다. 색값과 반사값을 24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음 식물은 측정 직후 24시간마다 교체하였다. 측정 시 수분으 로 인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 측정 직전 증류수로 세척 후 Kim's wipes (Yuhan-Kimberly, Seoul, Korea)와 초극세사 천으로 수분을 제거하였으며 측정 후에는 바로 착색원에 투 입하였다. 각 음식물의 구강 내 접촉시간이 1주일에 30분이 고 레진을 7년간 사용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192시간이 되 며, 24시간 지속적으로 착색 시 8일이 소요되어 착색기간은 8일로 정하였다.

2) 미백방법

미백방법으로는 연마, 과산화수소 미백, 연마와 과산화수 소 미백 세 종류의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연마시편 은 8일간 착색시킨 전구치부겸용 레진, 유동형 레진을 연마 하기 위해 Pumice (NUPRO

prophylaxis paste with Flo- ride, Dentsply, USA)를 사용하였다. 연마는 각 음식물의 resin 시편 중 한쪽 면만 좌ㆍ우, 위ㆍ아래, 우ㆍ좌, 아래ㆍ 위로 3부위로 나누어 low speed에 rubber cup을 장착 후 pumice를 묻혀 painting method 방법으로 연마하였다. 연 마한 시편은 증류수에 넣어 좌우로 10번 흔들어 헹군 후, 착 색시편과 동일한 방법으로 Lab 값과 반사값을 측정하였다.

연마 측정 후 전구치부겸용 레진, 유동형 레진 시편을 각각 35% 과산화수소에 1시간 동안 미백 후 측정하였다.

3. 자료분석

1) 색조측정

국제 조명위원회에서 채택된 CIELAB 방식을 이용하여

착색과 L, a, b 값을 구하였다.

(3)

Table 2. Chromaticity a of Each Staining Food and Drink in Process of Time in Composite Resin (Mean±SE) Blueberry Kimchi Red pepper

paste Curry Tea Control p* p**

Baseline 0.68±0.16 0.58±0.12 0.29±0.25 0.28±0.06 0.00±0.25 0.73±0.07 <0.001 <0.001 1 day -0.06±0.58 0.53±0.09 0.92±0.32 -2.14±0.44 -0.36±0.23 0.53±0.08 <0.001

2 day -0.96±0.52 0.55±0.11 1.03±0.13 -4.03±0.19 -0.30±0.29 0.44±0.06 <0.001 3 day -1.31±0.74 0.32±0.17 1.15±0.12 -4.45±0.31 -0.33±0.34 0.51±0.07 <0.001 4 day -1.72±0.54 0.50±0.15 0.90±0.09 -4.20±0.30 -0.36±0.39 0.33±0.05 <0.001 5 day -2.73±0.74 0.60±0.15 0.87±0.07 -4.32±0.30 -0.48±0.35 0.44±0.08 <0.001 6 day -2.23±0.59 0.61±0.16 1.03±0.06 -4.33±0.28 -0.37±0.23 0.49±0.09 <0.001 7 day -2.23±0.51 0.50±0.16 1.02±0.09 -4.25±0.36 -0.39±0.36 0.42±0.08 <0.001 8 day -2.83±0.54 0.34±0.24 0.81±0.12 -4.47±0.33 -0.42±0.36 0.42±0.10 <0.001

*ANCOVA adjusted by baseline a values, **RM-ANCOVA adjusted by baseline a values

Table 1. Luminosity of Each Staining Food and Drink in Process of Time in Composite Resin (Mean±SD) Blueberry Kimchi Red pepper

paste Curry Tea Control p* p**

Baseline 66.03±1.20 66.79±1.41 67.61±2.32 68.13±0.45 67.28±1.51 66.89±0.39 0.176 <0.001 1 day 64.51±1.24

a

66.96±0.61

b

67.27±1.52

b

67.44±1.87

b

71.48±0.57

c

67.41±0.39

b

<0.001

2 day 62.92±1.45

a

66.23±0.78

b

67.78±1.25

b

68.47±0.65

c

66.48±1.20

b

67.58±0.32

b,c

<0.001 3 day 63.29±0.92

a

68.01±1.18

b

66.53±1.69

b

68.39±0.56

b

66.67±1.44

b

66.58±0.61

b

<0.001 4 day 63.69±0.41

a

67.17±0.55

b,c

68.01±1.03

c

68.52±0.55

c

66.55±1.44

b

68.27±0.41

c

<0.001 5 day 64.39±1.42

a

67.47±0.53

b

67.85±1.15

b

67.34±0.32

b

66.56±1.53

b

67.73±0.53

b

<0.001 6 day 62.97±0.52

a

66.99±0.51

b,c

67.87±1.27

c

67.28±0.48

b

66.31±1.06

b

72.77±0.43

d

<0.001 7 day 62.64±0.53

a

67.18±0.49

b,c

68.14±1.25

c

67.04±0.86

b

66.17±1.52

b

67.85±0.31

c

<0.001 8 day 62.36±0.87

a

68.59±1.15

c

67.74±1.53

b

67.61±0.45

b

66.18±1.48

b

67.78±0.38

b,c

<0.001

a∼c

The same characters are not significant by post hoc Tukey analysis.

*ANOVA, **RM-ANOVA

ΔL 명도차: 100에 가까울수록 하얀색, 0에 가까울수록 검은색

Δa 적녹색도차: +일수록 적색, -일수록 녹색 Δb 황청색도차: +일수록 노란색, -일수록 파란색

  



  

 

 

는 색차로 CIE Lab 색공 간에서 색이 점으로 표시되며, 색상 차이가 나는 색체 두 가 지를 각각의 색좌표에 표시하고 이 두 가지 점 사이의 입체 적인 거리를 계산해냄으로써 색차를 수학적인 수치로 나타 낸 것으로 표준이 되는 색상의 좌표를 L1, a1, b1으로 좌표 상에 나타내고 비교가 되는 색상의 좌표를 L2, a2, b2 로 나 타낼 때 이 두 색의 차이를 계산하여 나타낸 식이다.

2) 통계분석

구치부겸용 레진, 유동형 레진 시편의 색값, 반사값을 IBM SPSS 20.0 (IBM Co., Chicago, IL., USA)을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 레진별 음식물별 측정 면수가 각 6면으로 비

모수 통계분석을 사용하였어야 하나 정규분포하여 모수 통

계분석을 사용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음식물별 각 레진

의 착색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repeated measure ANOVA

를 사용하였고 초기 시점의 값이 유의하게 다른 경우 초기

값을 공변량으로 보정하여 ANCOVA를 사용하기도 하였

다. Repeated measure ANOVA를 사용한 경우, 다변량 검

정과 개체 내 효과검정에서 시간에 따른 색값과 반사율이

각 음식물군 간의 차이가 있어 교차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p<0.001). 각 시점의 음식물별 색값과 반사율의 차

이를 분석하기 위해 ANOVA를 이용한 경우, Tukey 사후검

정을 시행하였다.

(4)

Table 4. Reflectivity of Each Staining Food and Drink in Process of Time in Composite Resin (Mean±SD) Blueberry Kimchi Red pepper

paste Curry Tea Control p* p**

Baseline 33.62±1.39 34.12±2.50 35.19±1.79 35.49±0.82 35.29±1.78 35.38±0.71 0.128 <0.001 1 day 32.00±0.91

a

46.81±0.86

c

35.57±1.92

a,b

35.76±4.38

a,b

36.82±2.73

b

35.36±0.36

a,b

<0.001

2 day 31.68±1.06

a

34.92±1.02

b

35.81±1.56

b

34.22±1.41

b

35.66±1.71

b

35.38±0.49

b

<0.001 3 day 30.44±1.02

a

33.52±2.02

a,b

37.29±1.86

d

36.01±1.62

c,d

35.01±1.77

b,c,d

34.10±1.49

b,c

<0.001 4 day 31.51±0.79

a

34.34±0.79

b,c

36.53±1.66

c

32.30±1.34

a,b

35.42±1.95

c

35.65±0.56

c

<0.001 5 day 30.89±1.52

a

34.43±0.67

b,c

35.85±1.63

c

32.70±1.37

b

34.60±1.73

b,c

35.59±0.65

b,c

<0.001 6 day 31.21±0.70

a

34.34±0.81

b,c

35.71±1.70

c

32.43±1.26

b

34.62±1.82

b,c

35.77±0.47

c

<0.001 7 day 31.02±0.73

a

34.23±1.05

b,c

35.59±1.89

c

32.71±1.28

b

34.51±1.89

b,c

35.85±0.47

c

<0.001 8 day 31.60±0.81

a

34.65±1.08

c

27.02±1.33

b

34.25±0.90

c

34.43±1.42

c

35.99±0.37

c

<0.001

a∼d

The same characters are not significant by post hoc Tukey analysis

*ANOVA, **RM-ANOVA

Table 3. Chromaticity b of Each Staining Food and Drink in Process of Time in Composite Resin (Mean±SE) Blueberry Kimchi Red pepper

paste Curry Tea Control p* p**

Baseline 32.78±0.97 31.44±0.65 30.27±1.10 30.98±0.33 30.63±1.65 31.41±0.30 0.002 <0.001 1 day 32.62±0.44 32.16±0.62 31.58±1.62 38.50±8.05 31.93±2.07 31.59±0.18 0.007

2 day 34.16±0.44 33.74±0.79 32.74±0.97 53.25±2.14 30.74±1.77 31.72±0.18 <0.001 3 day 35.00±0.14 35.12±0.81 33.01±0.82 58.68±1.50 31.00±1.81 31.46±0.38 <0.001 4 day 35.70±0.38 34.87±0.77 33.68±1.00 61.56±1.71 31.23±1.85 31.77±0.25 <0.001 5 day 36.81±0.45 35.31±0.75 33.73±0.89 62.33±1.40 31.04±1.82 31.63±0.34 <0.001 6 day 36.73±0.58 35.32±0.76 34.40±0.80 62.96±1.49 30.55±2.86 33.77±0.16 <0.001 7 day 37.39±0.69 35.45±0.82 34.56±0.87 62.72±1.94 31.43±1.79 31.89±0.23 <0.001 8 day 37.95±0.56 35.69±0.83 33.97±0.94 62.59±1.63 31.38±1.80 31.64±0.23 <0.001

*ANCOVA adjusted by baseline a values, **RM-ANCOVA adjusted by baseline a values

결 과

1. 전구치부겸용 레진에서 시간 변화에 따른 음식별 Lab 값, 반사율 변화

Table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블루베 리가 다른 음식물이나 대조군에 비해서 명도가 어두워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p<0.001). Table 2의 a값 변화에서는 블 루베리와 카레가 초록색 쪽으로 값이 이동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p<0.001), Table 3의 b값 변화에서는 카레가 노란 색 쪽으로 값의 이동이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

<0.001). Table 4의 반사율 변화에서는 블루베리와 고추장 의 반사율이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다(p<0.001). 또한 Table 1과 4에서 시간에 따른 L값 또는 반사값은 각 음식물 군 사이에 교차효과가 있었다(p<0.001).

2. 유동형 레진에서 시간 변화에 따른 음식별 Lab 값, 반 사율 변화

유동형 레진도 전구치부겸용 레진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 내었다. Table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블 루베리가 다른 음식물이나 대조군에 비해서 명도가 어두워 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able 6의 a값 변화에서는 블루베 리와 카레가 음수 쪽으로 변화하여 초록색 쪽으로 값이 이 동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Table 7의 b값 변화에서는 카레 가 노란색 쪽으로 값이 이동되었다가 약간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8의 반사율 변화에서는 블루베리 와 고추장, 카레의 반사율이 약간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 다. 또한 Table 5과 8에서 시간에 따른 L값 또는 반사값은 각 음식물군 사이에 교차효과가 있었다(p<0.001).

3. 기초시점과 착색 최종시점의 ΔE ab 2 변화

Table 9에서 보는 같이 음식물의 시간에 따른 착색에서

(5)

Table 7. Chromaticity b of Each Staining Food and Drink in Process of Time in Flowable Resin (Mean±SE) Blueberry Kimchi Red pepper

paste Curry Tea Control p* p**

Baseline 15.99±0.28 16.49±0.39 15.31±0.30 16.24±0.39 15.29±0.55 16.52±0.32 <0.001 <0.001 1 day 16.50±0.66 16.88±0.26 16.00±0.44 29.49±7.89 15.43±0.71 16.03±0.36 0.023

2 day 19.10±1.23 19.25±0.31 17.39±0.59 43.72±3.02 15.28±0.62 15.61±0.38 <0.001 3 day 20.72±1.45 20.39±0.51 17.68±0.42 49.27±2.71 15.64±0.59 15.51±0.33 <0.001 4 day 21.82±1.90 20.12±0.18 18.06±0.64 51.87±1.86 15.85±0.49 15.38±0.24 <0.001 5 day 23.23±1.98 20.67±0.31 18.58±0.49 23.23±1.98 15.84±0.66 15.45±0.30 <0.001 6 day 23.64±1.84 20.94±0.24 19.07±0.41 23.64±1.84 16.20±0.52 16.49±0.29 <0.001 7 day 24.46±2.14 21.02±0.24 19.47±0.59 24.46±2.14 16.36±0.59 15.53±0.19 <0.001 8 day 25.13±2.22 21.26±0.19 19.20±0.51 25.13±2.22 16.50±0.62 15.31±0.15 <0.001

*ANCOVA adjusted by baseline a values, **RM-ANOVA adjusted by baseline a values

Table 6. Chromaticity a of Each Staining Food and Drink in Process of Time in Flowable Resin (Mean±SE) Blueberry Kimchi Red pepper

paste Curry Tea Control p* p**

Baseline 0.39±0.26 0.77±0.15 0.45±0.08 0.59±0.09 0.17±0.16 0.85±0.04 <0.001 <0.001 1 day -0.81±0.79 0.65±0.22 0.87±0.17 -3.63±1.62 -0.07±0.22 0.80±0.04 <0.001

2 day -2.03±0.74 0.50±0.25 1.08±0.17 -6.80±0.27 -0.11±0.30 0.83±0.05 <0.001 3 day -2.33±0.68 0.34±0.19 1.13±0.16 -7.45±0.37 -0.01±0.27 0.97±0.05 <0.001 4 day -2.49±0.65 0.53±0.16 0.93±0.14 -7.36±0.48 -0.04±0.31 0.93±0.03 <0.001 5 day -3.65±0.40 0.65±0.15 1.11±0.05 -7.15±0.49 -0.13±0.27 1.13±0.06 <0.001 6 day -3.09±0.43 0.67±0.14 1.21±0.16 -7.40±0.41 -0.04±0.18 1.22±0.08 <0.001 7 day -3.20±0.35 0.51±0.16 1.38±0.29 -7.44±0.38 0.01±0.28 1.16±0.06 <0.001 8 day -3.73±0.28 0.43±0.14 1.19±0.18 -7.58±0.41 0.02±0.24 1.22±0.11 <0.001

*ANCOVA adjusted by baseline a values, **RM-ANOVA adjusted by baseline a values

Table 5. Luminosity of Each Staining Food and Drink in Process of Time in Flowable Resin (Mean±SD) Blueberry Kimchi Red pepper

paste Curry Tea Control p* p**

Baseline 66.36±1.08 66.07±0.58 67.04±0.39 66.19±0.41 66.33±0.59 66.14±0.89 0.217 <0.001 1 day 64.53±1.19

a

66.09±0.36

a,b

64.71±2.34

a

64.57±3.80

a

68.30±1.70

b

67.05±0.62

a,b

0.012

2 day 63.78±1.34

a

66.01±0.68

b,c

66.79±0.85

b,c

67.19±0.57

c

65.63±0.66

b

67.42±0.63

c

<0.001 3 day 63.04±1.53

a

66.80±0.90

b

65.80±1.21

b

66.62±0.43

b

65.70±0.56

b

67.15±0.73

b

<0.001 4 day 63.30±1.42

a

66.44±0.40

b,c

67.73±0.55

c,d

67.05±0.69

c,d

65.39±0.44

b

68.02±0.73

d

<0.001 5 day 64.71±1.78

a

66.58±0.63

b,c

66.71±0.21

b,c

65.08±1.10

a,b

65.78±0.54

a,b,c

67.08±0.66

c

<0.001 6 day 62.15±1.50

a

66.02±0.31

b

66.92±0.55

b

65.91±0.51

b

65.52±0.43

b

72.19±0.89

c

<0.001 7 day 62.18±1.55

a

66.56±0.40

b,c

67.22±0.73

c

65.82±0.50

b,c

65.14±0.61

b

67.15±0.87

c

<0.001 8 day 62.27±1.71

a

67.29±0.55

c

66.68±0.49

b,c

66.01±0.49

b,c

65.29±0.69

b

66.44±1.78

b,c

<0.001

a∼d

The same characters are not significant by post hoc Tukey analysis

*ANOVA, **RM-ANOVA

전구치부겸용 레진에서는 카레가 ΔE

ab2

의 값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다음은 김치였다. 유동형 레진에서도 카레가 가 장 많이 증가하였고 다음이 김치였다. 육안으로 보았을 때 카레는 착색 후가 기초시점보다 암녹색을 띠는 노란색으로

착색되었다. 김치국물은 살짝 청록색을 띠는 노란색으로 착

색되었고, 고추장은 붉은 기를 띠는 노란색으로 착색되었

다. 블루베리와 홍차는 착색 후 살짝 암녹색과 약간의 노란

빛을 띠게 되었다.

(6)

Table 9. ΔE

ab2

Change of Each Method of Whitening in Composite Resin (Mean±SD) Blueberry Kimchi Red pepper

paste Curry Tea Control p*

Composite resin Baseline 5,436±102 5,451±190 5,492±266 5,601±42 5,469±102 5,461±39 0.438 8 day 5,338±135

a

5,980±132

d

5,745±144

c

8,510±196

e

5,369±85

a,b

5,596±53

b,c

<0.001 Flowable resin Baseline 4,659±136 4,638±65 4,729±44 4,646±42 4,633±62 4,648±108 0.396 8 day 4,530±151

a

4,980±73

c

4,816±55

b,c

7,189±163

d

4,536±70

a

4,652±231

a,b

<0.001

a∼e

The same characters are not significant by post hoc Tukey analysis.

*ANOVA

Table 10. ΔE

ab2

Change of Each Method of Whitening in Composite resin (Mean±SD) Blueberry Kimchi Red pepper

paste Curry Tea Control p

Pumice polishing -22.60±50.69 16.33±39.91 7.14±38.25 93.89±38.21 -3.86±37.74 9.69±38.69 0.022*

H

2

O

2

whitening -25.15±58.30 21.20±41.89 7.79±38.44 354.50±37.97 -0.28±37.50 8.33±38.65 Pumice polishing

+H

2

O

2

whitening

161.60±50.69 282.28±39.91 282.28±39.91 1042.09±38.21 246.91±37.74 283.74±38.69

p 0.003** <0.001***

Two-way ANOVA adjusted by 8th-day staining value

*The difference of whitening method, **the difference of foods, ***the difference of whitening method and foods Table 8. Reflectivity of Each Staining Food and Drink in Process of Time in Flowable Resin (Mean±SD)

Blueberry Kimchi Red pepper

paste Curry Tea Control p* p**

Baseline 33.78±0.99 34.11±0.83 33.69±1.24 34.33±0.55 34.23±1.19 34.93±0.82 0.305 <0.001 1 day 32.14±1.59

a

46.34±0.94

c

34.90±0.50

b

34.39±2.67

a,b

36.31±0.95

b

35.19±0.73

b

<0.001

2 day 31.18±1.36

a

34.44±0.91

b

35.70±0.69

b

32.42±0.45

a

34.77±0.31

b

34.93±0.94

b

<0.001 3 day 30.94±1.25

a

33.79±0.75

b

36.86±1.20

c

33.82±1.54

b

34.33±0.71

b

34.31±1.82

b

<0.001 4 day 31.12±1.24

a

33.79±0.54

b

36.16±0.74

d

30.66±0.58

a

34.34±0.57

b,c

35.69±0.93

c,d

<0.001 5 day 30.31±1.33

a

34.25±0.58

b,c

35.29±0.71

c,d

31.12±0.53

a

33.79±0.84

b

35.78±0.87

d

<0.001 6 day 30.38±1.56

a

33.83±0.48

b,c

35.23±0.55

c,d

30.78±0.60

a

33.65±0.69

b

35.49±0.99

d

<0.001 7 day 30.02±1.48

a

33.45±0.79

b

35.00±0.79

b,c

31.01±0.59

a

33.71±0.67

b

35.65±0.81

c

<0.001 8 day 31.79±1.40

a

34.20±1.15

c,d

27.03±0.35

b

32.98±0.47

a,c

34.68±1.12

c,d

35.92±1.11

d

<0.001

a∼d

The same characters are not significant by post hoc Tukey analysis.

*ANOVA, **RM-ANOVA

4. 미백방법에 따른 각 레진의 음식별 ΔE ab 2 의 변화 Table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구치부겸용 레진에서는 미백방법에 따라 ΔE

ab2

의 값은 유의하게 변하였고(p=0.022), 음식물간의 유의한 차이도 있었으며(p=0.003), 두 요인을 함께 고려하였을 때도 유의하였다(p<0.001). 그러나 유동 형 레진에서는 Table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백방법에 따 른 차이는 없었으며, 미백방법과 음식물 요인을 함께 고려 하였을 때 유의하였다(p<0.001).

5. 레진 종류별 반사율의 차이

Fig. 1에서와 같이 전구치부겸용 레진과 유동형 레진은

파장에 따른 반사값이 약간씩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으

며, 이로 인해 전체 반사율이 같다고 하더라도 낮은 파장에

서는 유동형 레진의 반사값이 높고, 높은 파장에 따라 전구

치부겸용 레진의 반사값이 높아 각 파장대에 따라 사람이

인지하는 명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관찰하였다. 이

것은 전구치부 겸용 레진이 주로 붉은색과 노란색, 주황색

이 섞여 전체적으로 황색을 띠고, 유동형 레진은 여러 파장

이 골고루 섞여 흰색을 띠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7)

Fig. 1. Reflectivity of composite resin and flowable resin.

Table 11. ΔE

ab2

Change of Each Method of Whitening in Flowable Resin (Mean±SD) Blueberry Kimchi Red pepper

paste Curry Tea Control p

Pumice polishing -2.90±26.23 9.15±21.92 3.49±20.52 90.70±20.17 0.39±20.13 4.83±20.46 0.385*

H

2

O

2

whitening -1.88±25.67 8.21±21.14 4.95±20.74 582.77±20.08 4.36±20.14 11.53±20.32 Pumice polishing

+H

2

O

2

whitening

0.43±26.23 9.33±21.94 4.58±20.52 506.26±20.17 3.25±20.13 3.77±20.46

p 0.003** <0.001***

Two-way ANOVA adjusted by 8th-day staining value

*The difference of whitening method, **the difference of foods, ***the difference of whitening method and foods

고 찰

치과 수복물을 성공적으로 수복하기 위해서는 자연 치열 과 조화를 이루는 수복물의 색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 러나 구강은 항상 타액에 젖어 있고, 온도 변화가 심하며 음 식물 성분에 따른 산도 변화가 심해 레진의 기질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쳐 변색될 수 있는 환경이다

9-12)

. 색 안정성은 모든 치과 재료들에 있어서 장기적인 심미성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구 조건 중 하나로 색상 변화, 색소침착 등은 레진 변색의 주요 원인이 되어 심미적 부조화를 야기시킨다

13)

.

복합레진의 변색의 원인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는데 하나 는 외인성이며, 다른 하나는 내인성이다. 외인성 변색은 외 부 색소에 노출되었을 때 그 색소를 흡수하거나 흡착하는 경 우를 뜻하며

14)

치태침착 등과 관련이 있다

15)

. 내인성 변색은 레진 기질 같은 레진 재료 자체 변화와 필러와 레진 기질 같 은 접촉면에서 물리화학적 반응에 의한다. 물에 담가놓았을 때 생기는 변색도 내인성에 속한다

15)

. 따라서 물을 포함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변색이 가능하다

14-18)

. 또한 레진의 충전재 함량이 레진의 다공성 형성에 영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Villalta 등

19)

은 nanocomposite이 microhybrid com- posite에 비해 색 변화가 더 많다고 하였다. 충전재의 크기가 작을수록 외인성 변색이 적고, 충전재 함량이 낮을수록 수 분을 잘 흡수하여 색 변화가 크다. 또한 단량체의 종류에 따 라서 bisphenol A-glycidyl methacylate가 triethylene gly- col dimethacylate에 비해 색변화량이 작다

8,20)

.

레진의 착색에 대한 색안정성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이 등

1)

은 고추장, 간장, 커피 중 고추장이 인공치의 색상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하였고, 조

21)

는 커피가 홍차에 비 해 레진시멘트에 대한 변색량이 더 크고 24시간 이후부터 사람의 눈에 인지할 수 있을 정도로 변색이 되었다고 하였 다. Domingos 등

22)

은 커피, 홍차, 콜라, 인공타액을 비교한 결과 커피가 가장 색 변화가 심하다고 하였고, 박

5)

은 커피, 레드와인, 차에 의해서 착색이 잘 일어난다고 하였다. 본 연 구에서는 기존의 착색원으로 언급되고 있는 음식물 외에 한 국인의 식생활에서 착색을 많이 일으킬 수 있다고 추측되는 김치국물과 근래 판매율이 높아지고 있는 블루베리를 추가 하였다. 레드와인도 착색원으로 실험을 하였으나, 와인의 알코올 성분이 레진 시편의 번호 표시를 번지게 하여 착색 원 외의 색 변화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분석에서 제외하였 다. 결과적으로 블루베리가 명도변화에 있어서는 가장 많이 변하였고 전체 색 변화를 나타내는 ΔE

ab

의 값은 카레가 가 장 많이 변하였다.

미백 시 레진의 색이 자연치와 동일하지는 않더라도 명도

와 색이 변화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23)

. Johnston 등

24)

이 변색

된 복합 레진 수복물에 미백제를 적용하면 자연치와 마찬가

지고 명도값이 변한다고 하였으며, Abd Elhamid와 Mosa-

llam

25)

은 착색된 레진 시편에 대해 ozone gas 미백, carba-

mide peroxide 미백과 연마를 비교한 결과 carbamide pero-

xide 후 ozonated gel, polishing paste 후 ozonated gel 등

ozone gas 미백을 추가한 경우 색 변화가 유의하게 많았다

고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전구치부 겸용 레진에서는 미백

과 연마를 한 경우가 단독으로 한 경우에 비해 유의한 색 변

(8)

화가 있었으나, 유동형 레진에서는 연마, 미백, 미백과 연마 의 유의한 색 변화가 없었다. 본 실험에서는 동일회사의 제 품을 사용하여 단량체는 같았으므로, 충전재의 크기나 함량 의 차이에 의해 그 차이가 발생하였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본 연구는 구강 내 환경을 재현할 수 있는 열순환 처리

20)

없이 관련 음료나 음식물이 지속적으로 레진 시편을 착색시 켰기 때문에, 실제 구강내에서 발생하는 영향과는 다를 수 있다. 또한, 레진표면의 활택도에 따라 착색의 차이가 생길 수 있는데 레진 시편의 활택도가 측정되지 못하였다는 한계 점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이 많이 섭취 하는 김치국물과 근래 들어 국내소비량이 늘고 있는 블루베 리즙을 착색원으로 포함하였으며 착색 후 미백과 연마에 의 한 색 변화뿐 아니라 반사율도 조사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논문들과는 차별화된다고 할 수 있다.

요 약

본 연구는 레진 종류별 착색음식물별 착색시간별 착색정 도와 연마, 과산화수소에 의한 미백 후의 색 변화를 관찰하 여 착색과 미백이 레진의 CIELAB 색 표시계와 반사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하였다. 시편은 동일 회사의 전구치부겸용 레진(A2), 유동형 레진(A2)을 가로, 세로 11 mm, 높이 3 mm의 직육면체모양으로 30초간 광중합한 시 편 총 36개를 사용하였다. 착색원으로는 김치국물, 고추장, 카레, 블루베리즙, 홍차와 대조군으로 증류수를 사용하였으 며 각 레진당 음식물별 3개의 시편을 사용하였고 측정은 윗 면과 아랫면을 측정하여 각 6개면을 측정하였다. 착색기간 은 총 8일, 35% 과산화 수소에 의한 미백은 1시간이 소요되 었고, 음식물의 시간에 따른 착색 정도와, 미백 후의 반사율 과 색값은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음식물별 시간에 따른 착색의 정도는 전구치부겸용 레 진과 유동형 레진 모두에서 착색 1일차부터 L, a, b값과 반 사율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0.05), 그 중 블루베리와 카레의 L, a, b값 변화가 크게 나타 났다.

2. 음식물별 시간에 따른 착색후 반사율은 블루베리와 고 추장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기 때문에(p<0.05) 같은 L, a, b값이더라도 블루베리, 고추장 착색 레진이 시각 적으로 더 어둡게 보였다.

3. 전구치부겸용 레진은 과산화수소 미백과 연마를 한 경 우가 단일 방법에 비해 ΔE

ab2

의 값이 유의하게 변하였다 (p=0.022). 그러나, 유동형 레진에서는 미백 방법에 따른 유 의성은 없었다(p=0.385).

레진의 색 안정성을 위해서 착색이 심한 카레와 블루베리 의 섭취빈도를 낮추도록 하거나 섭취 후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입안을 헹구는 것이 레진수복물의 색 안정성을 유지시 킬 것으로 사료되었다.

참고문헌

1. Lee YI, Cho IH, LEE JS: The effect of various foods on the color stability of artificial teeth. J Korean Acad Prosthodont 47: 82-90, 2009.

2. Kim KN, Kim KM, Kho YM, et al.: Advaned dental mate- rials. 3rd ed. Komoonsa, Seoul, pp.43-78, 2005.

3. Hosoya Y: Five-year color changes of light-cured resin composites: influence of light-curing times. Dent Mater 15:

268-274, 1999.

4. Monaghan P, Trowbridge T, Lautenschlager E: Composite resin color change after vital tooth bleaching. J Prosthet Dent 67: 778-781, 2005.

5. Park JW: Understanding of the color in composite resin. J Kor Acad Cons Dent 36: 271-279, 2011.

6. Lee JS: Color stability of the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under accelerated aging and immersion in fo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005.

7. Bagheri R, Burrow MF, Tyas M: Influence of food-simu- lating solutions and surface finish on susceptibility to staining of a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J Dent 33: 389-398, 2005.

8. Jung HJ: Evaluation of the color stability of light cured composite resins according to the resin matrices. Unpubli- 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012.

9. Lee YJ, Cho LR: Color stability of ceromers after thermo- cycling and brushing. J Korean Acad Prosthodont 39: 37-49, 2001.

10. Han SH, Dong JK, Jin TH: The color change of denture base resins by coffee. J Korean Acad Prosthodont 31: 523-531, 1993.

11. Fusayama T, Hirano T: Discoloration test of acrylic resin filling by an organic dye. J Prosthet Dent 25: 532-539, 1971.

12. Wendt SL Jr: The effect of heat used as secondary cure up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ree composite resins Ⅱ. Wear, hardness, and color stability. Quintessence Int 18: 351-355, 1987.

13. Jeong YJ, Lim JH, Cho IH, Lim HS: Color stability of

(9)

ceromers in three food colorants. J Korean Acad Prosthodont 41: 136-147, 2003.

14. Um CM. Ruyter IE: Staining of resin-based veneering materials with coffee and tea. Quintessence Int 22: 377-386, 1991.

15. Dietshi D, Campanile G, Holz J, Meyer JM: Comparison of the color stability of ten new-generation composites: an in vitro study. Dent Mater 10: 353-362, 1994.

16. Burrow MF, Makinson OF: Color changes in light-cured resins exposed to daylight. Quintessence Int 22: 447-452, 1991.

17. Brauedr GM: Color changes of composites on exposure to various energy sources. Dent mater 4: 55-59, 1988.

18. Satou N, Khan AM, Matsumae I, Satou J, Shintani H: In vitro color change of composite-based resins. Dent mater 5:

384-387, 1989.

19. Villalta P, Lu H, Okte Z, Garcia-Godoy F, Powers JM:

Effects of staining and bleaching on color change of dental

composite resins. J Prosthet Dent 95: 137-142, 2006

20. Kim HJ, Kim KJ, Cho HW, Jin TH: The study on the color stability of composite resin. J Korean Acad Prosthodont 40:

79-87, 2002.

21. Cho HJ: Color stability of light cured resin cements on different extrinsic discoloration factor. Unpub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8.

22. Domingos PA, Garcia PP, Oliveira AL, Palma-Dibb RGl:

Composite resin color stability: influence of light source and immersion media. J Appl Oral Sci 19: 204-211, 2011.

23. Bailey SJ, Swift EJ Jr: Effects of bleaching products on composite resins. Quintessence Int 23: 489-494, 1992.

24. Johnston WM, Ma T, Kienle BH: Translucency parameter of colorants for maxillofacial prostheses. Int J Prosthodont 8:

79-86, 1995.

25. Abd Elhamid M, Mosallam R: Effect of bleaching versus

repolishing on colour and surface topography of stained resin

composite. Aust Dent J 55: 390-398, 2010.

수치

Table  1.  Luminosity  of  Each  Staining  Food  and  Drink  in  Process  of  Time  in  Composite  Resin  (Mean±SD) Blueberry Kimchi Red pepper
Table  3.  Chromaticity  b  of  Each  Staining  Food  and  Drink  in  Process  of  Time  in  Composite  Resin  (Mean±SE)  Blueberry Kimchi Red pepper
Table  7.  Chromaticity  b  of  Each  Staining  Food  and  Drink  in  Process  of  Time  in  Flowable  Resin  (Mean±SE)  Blueberry Kimchi Red pepper
Table  9.  ΔE ab 2   Change  of  Each  Method  of  Whitening  in  Composite  Resin  (Mean±SD) Blueberry Kimchi Red pepper
+2

참조

관련 문서

이로 인해 서부 폴란드에서 남동부 유럽 지역에서는 겨울 작물의 휴 면기가 평년대비 1개월 정도 당겨진 것으로 나타났다.... 추운 날씨(평년대 비 낮은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stresses among conventional methacrylate-based composite resins and silorane-based composite resin..

Fabrication of composite resin blocks by combining high strength of ceramic fillers with excellent fracture toughness of resin matrix, which can be applied to CAD/CAM

10 Change of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resonators according to adjustment of their g/L ratios ··· 17 Fig.. 11 Change of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resonators

먼저 빛의 파장 중에서 매우 좁은 영역인 가시광선만을 볼 수 있으 며, 이것도 파장에 따른 빛의 정보를 모두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빛의 세기와 빛 의 삼원색에

먼저 빛의 파장 중에서 매우 좁은 영역인 가시광선만을 볼 수 있으 며, 이것도 파장에 따른 빛의 정보를 모두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빛의 세기와 빛 의 삼원색에

미시적 세계는 원자나 분자와 같이 눈으로 볼 수 없는 작은 요소들로

자외선의 파장에 따른 아조벤젠 코팅된 FBG의 중심파장의 이동량을 측정하여 파장 에 따른 민감도를 확인하였다.또한 이를 통해서 여러 파장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