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공인대와 자가인대의 복합이식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인공인대와 자가인대의 복합이식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인공인대와 자가인대의 복합이식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조세현・조상원・송해룡・구경회・정순택・박형빈・김상림*・김강일

= 국문 초록=

목적 :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한 방법으로 T r e v i r a 인공인대와 함께 골-슬개건-골 자가인대의 복합이 식과 자가인대 단독이식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수술 수기상의 문제점과 해결방법, 주의점 등을 정리함에 목적을 두었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부터 1 9 9 9년까지 후방 십자 인대 파열 환자 중 수술적 치료 후 2년 이상 추시했던 2 6례를 대상으로 단독이식군( 1 5례)과 복합이식군( 1 1례)간의 수술수기, KT-2000검사,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의 슬관절 기능평가, Lysholm 슬관절 평가 등으로 최종 추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최종 추시의 KT-2000 검사상 이완정도(정상측과의 차이)가 단독이식군에서 3 . 2㎜, 복합이식군에 서 1 . 8㎜였고, IKDC 기능평가도 복합이식군이 우수하였으며, 슬관절의 운동범위와 Lysholm Knee Scor- ing Scale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교실에서 제작한 Graft Pusher를 이용하여 killer turn을 쉽게 통과할 수 있었고, 복합 이식 물을 이용하여 대퇴골의 정확한 등장점에 고정하면 조기운동이 가능하고 후방불안정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 었다. 관절절개술도 관절경적 재건술과 병행할 수 있으며, 이 역시 현재까지 의미있는 술식으로 판단된다.

색인 단어 :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인공인대, 골-슬개건-골 자가인대, 복합이식

Corresponding Author : Se-Hyun Cho,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90 Chilam-dong, Jinju 660-702, Korea

Tel : 055-750-8100, Fax : 055-755-8365, E-mail : shcho@nongae.gsnu.ac.kr 본 논문의 요지는 2001년도 제45차 대한정형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구연되었음.

본 논문은 2001년도 경상대학교병원 임상연구비의 일부로 이루어진 것임.

Volume 13, Number 2, December 2001

서 론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에 대하여 수술적 수기 와 관절경 술의 발달, 다양한 이식건에 대한 양호한 임상 결과 등이 보고됨에 따라, 보존적 치료보다 수술 적 치료가 증가 일로에 있다. 후방 십자 인대의 재건 술 수기에 대하여 관절 절개 또는 관절경적 재건, 파 열된 인대의 복원 또는 이식, 여러 가지 이식건의 선 택, 단독이식 또는 보강, 등장점의 선택 등에 대한 다 양한 보고가 있으며, 아직도 전방십자인대 재건수술에

비하여 수술적 치료방침이 정립되지 않았다1 - 3 , 5 , 1 4 -

1 6 , 1 8 , 1 9 ). 특히 후방 십자 인대는 전방십자인대에 비하여

재건술 후 하지의 하중에 의한 posterior sagging이 나 후방이완의 재발이 빈번하며, 이를 예방하고자 장 기간 고정할 경우 관절 강직이 초래될 수도 있다. 이 에 저자들은 문헌상 보고된 여러 수술적 이론들을 비 교하고, 본 교실에서 관절경적 수기와 관절절개술을 병행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통하여 정확한 대퇴 골 등장점을 선택하고 T r e v i r a hochfest Artificial Ligament(Telos, Marburg, Germany)로 골-슬개 건-골의 복합이식을 시행함으로써, 견고한 이중 고정,

(2)

조기운동이 가능하였고, 술후 후방 전위 재발을 최소 화 할 수 있는 등 양호한 결과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1 9 9 3년 3월부터 1 9 9 9년 2월까지 저자들이 시행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중 최소 2년에서 최대 8년까 지 평균 3 . 5년간 추시 가능했던 2 6례를 대상으로 수 술결과를 분석하였다. 전례 중 후방 십자 인대 단독 손상은 1 9례, 후외측 불안정 동반 5례, 후내측 불안 정 동반 2례이었고 평균연령은 3 2세( 1 9 ~ 5 6세)로 5 례를 제외하고 전부 남자였다. 외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은 5개월에서 4년3개월로 평균 1 5개월이었다.

전례를 1군 1 5례(단독 이식군으로서 골-슬개건-골 자 가이식 1 1례, 아킬레스 건 동종이식 4례)와 2군 1 1 례(골-슬개건-골과 T r e v i r a 인공인대의 복합이식) 로 분류하였다. 손상의 원인은 교통사고가 1 9례, 스 포츠 손상이 4례, 추락손상이 3례이었다.

2. 수술 방법

1) 경골, 대퇴골 터널의 제작

관절경하 반월상 연골 손상 등 동반된 손상의 유무를 확인 및 처치하고, 이식물의 통과 및 대퇴골내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관절내 남은 후방 십자 인대를 가능한 한 전부 제거하였다. 과간절흔( i n t e r c o n d y l a r n o t c h )이 좁은 경우 시야의 확보와 충돌( i m p i n g e- m e n t )의 예방을 위하여 대퇴골 내측과의 절흔 성형술 ( n o t c h p l a s t y )를 시행하였다. 이때부터는 관절을 전내 측으로 절개하여 후방 십자 인대 g u i d e를 삽입하고, 경골 관절면과 4 5도 각도로 경골후방 중앙부, 관절면 하방 1㎝를 향하여 유도핀을 삽입하였다. 이때 핀이 골 피질을 통과할 경우, 확공기가 전진할 때 유도핀이 후방 전진하여 심각한 신경, 혈관손상을 초래할 수 있 기 때문에 주의하여 경골 후방 피질골 직전에서 핀 삽 입을 정지하였다. 이어 1 1㎜까지 확공기를 이용, 직경 의 경골 터널을 만들었는데, 이때도 후방 경골 피질골 의 관통시는 전동 확공기를 사용치 않고, 손의 감각과 회전력만으로 관통시켰다. 경골 후방 터널입구로부터 철사를 뽑아 관절 전방부로 끌어내었다. 이어 대퇴골 내측과의 후방 십자 인대가 부착하였던 부위, 즉 원위 관절연으로부터 근위 5 ~ 1 5㎜ 사이에 원위, 중앙, 근 위 세 지점에 철사를 통과한 후, 다시 경골 통과 철사 와 연결하여 각각 세 점의 등장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이상적인 등장점보다 지나치게 원위부에 위치하

면 슬관절 신전시 철사의 길이가 길어지고(신전시 불 안정을 의미), 지나치게 근위부에 위치하면 슬관절의 굴곡 시 철사의 길이가 길어지는(굴곡시 불안정을 의 미) 현상을 확인하였고, 관절의 굴신 위치에 관계없이 철사의 길이 변화가 2㎜ 이내인 지점을 선택하여 이를 등장점으로 선정하였다. 이 지점에 유도핀을 삽입하 고, 다시 1 1㎜ 확공기를 이용하여 대퇴골 터널을 만들 었다. 대퇴골 외부터널 입구로부터 관절을 통과하여 다시 경골의 외부 터널입구까지의 전체 길이( t u n n e l to tunnel distance)를 측정하였는데 이는 평균1 6㎝

( 1 4 . 5 ~ 1 8㎝)이었다.

2) 이식물의 제작

골-슬개건-골 이식물을 만들 때, 먼저 직경 1 0㎜의 이중 평행 칼날을 이용하여 직경 1 0㎜의 슬개건을 절 개하고, 슬개골을 길이 2 0㎜, 넓이 1 0㎜, 깊이 4㎜의 삼각형 형태로 절제한 후 경골 조면의 길이는 전체 길이가 미리 측정한 터널-터널 길이(평균 1 6㎝)만큼 되도록 톱으로 절제하여 제거하였다. 제거된 자가 이 식물을 T r e v i r a 인공인대와 1-0 Ethibond로 봉합 하되 특히 슬개골 부위는 천공을 하여 봉합사가 견고 하게 인공인대와 봉합 고정되어 경골 터널 통과 시 인공인대를 견인하였을 때 자가골과 인대가 분리되지 않고 딸려올 수 있도록 하였고 이식물 전체의 직경이 터널보다 1㎜ 가늘게 1 0㎜로 조절하였다. 인공인대는 근위부에 충분히 길게 제작함으로써 경골 터널을 먼 저 쉽게 통과시켜 부착된 자가 이식건이 경골 터널과 가장 어려운 killer turn을 통과할 때 견인 할 수 있 도록 하였다.

3) 터널의 통과

먼저 경골 터널과 후방부 전환점, 소위 killer turn 이 문제가 되는데 이때 본 교실에서 제작한 G r a f t Pusher(Fig. 1)를 이용하여 먼저 쉽게 통과되는 인공 인대를 잡아 다니고, 다른 한 손으로 Graft Pusher 를 미는 Push-Pull 동작으로 전체 이식물을 관절 내 로 끌어낼 수 있었다. 이때도 관절경만으로 통과가 어 려운 경우, 전내측 관절 절개를 통하여 이식물을 쉽게 통과시킬 수 있었다. killer turn을 통과하는 부위와 대퇴골의 내측 터널 입구 부위에서 인공인대가 골에 접촉되게 함으로서 자가 슬개건이 경골과 인공인대 사 이에 끼어서 압박되지 않도록 하여 자가 슬개건의 마 모( a t t r i t i o n )를 예방할 수 있었다.

4) 이식물의 고정

등장점에 위치한 이식물이라면 고정시 슬관절의 굴 곡각도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인공인대를 고정

(3)

할 때 스테이플 임팩타를 망치로 치는 힘에 의해서 경골이 후방 전위되면서 이식물이 이완되거나 끊어질 수 있음을 기억해야한다. 따라서 경골을 전방으로 최 대한 당긴 상태로 스테이플을 박거나 이때 스테이플 의 경골 삽입부위의 피질골을 천공해준 후 망치로 박 는 것이 안전하다. 다음에 대퇴골의 스테이플을 삽입 (대퇴골은 경골에 비하여 골피질이 손으로 눌러서 스 테이플을 삽입할 정도로 약한 경우를 다수 경험하였 다. )한 후, 골-슬개건-골의 양단을 견인상태에서 간 섭나사로 고정하였다(Fig. 2). 수술 후 3일부터 지 속적 수동 운동(Continuous Passive Motion)을 시작하여 1주 정도에 9 0도의 굴곡을 얻도록 한 후 실린더 형 보조구를 착용하고 목발보행을 시작하였 다. 단독 자가 이식건 만의 재건술 후 이와 같이 빠 른 재활은 이식건의 이완을 초래한 바 있었다.

5) 회전 불안정의 보강 수술

5례의 후외측 회전 불안정은 경골의 외회전시 후방 전위의 증가 및 reverse pivot shift 검사로 진단하였 다. 이들 모두 진구성 손상으로 급성 파열의 소견은 없이 슬와건, 후외측 관절낭, 외측 측부인대의 이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방 십자인대의 재건술과 동시에 3례에서는 외측 측부인대를 비골두에 견인하여 골봉합 (fibular reattachment)하고 관절낭을 긴장시켜 외 측 측부인대와 봉합하였다. 2례에서는 외측 측부인대 가 분명치 않거나 심한 파열 및 섬유 조직화하여 이두 근 보강 및 관절낭과의 긴장 봉합으로 재건하였다. 내 측 측부인대는 대퇴골 부착부에서 견인 장력을 가한 상태로 스테이플로 고정하였다.

결 과

최종 추시시 슬관절의 운동범위는 양군간의 차이가 없이 양호하였다. KT-2000(Medmetric, USA)으로 측정한 정상측과의 전후방 불안정 정도는 1군이 평균 3 . 2±0 . 3 9㎜, 2군이 평균 1 . 8±0 . 2 1㎜로 T-test 검정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주관적인 답변 에서도 수술전의 사회생활 또는 스포츠의 기능회복에 대하여 1군에서는 7명(46.7%), 2군에서는 6명 ( 5 4 . 5 % )이 만족한다고 하였는데 x2 t e s t (카이제곱 검 정)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691). Lysholm Knee Scoring Scale 평가도 전체적으로는 1군이 평 균 술전 53.8, 최종 9 2 . 2로, 2군 평균 술전 55.0, 최 종 9 1 . 3으로 T-test 검정상 양군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142). 그러나 International Knee Doc- umentation Committee의 슬관절 기능평가는 A ;

normal, B; nearly normal, C; abnormal, D;

severely abnormal의 네 단계로 분류하는데, 1군에 서 A, B, C, D 각각 0, 8, 6, 1례, 2군에서 4, 7, 0,

FIGURE 1. PCL Graft Pusher designed by the authors

FIGURE 2. Postoperative radiograph of PCL reconstruction with combined graft

(4)

0례로 판정되어 전체적으로 F i s h e r’s exact test 통계 검사상 복합군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P = 0 . 0 1 0 ) . 단독이식군의 D평가 1례는 이식건의 재파열로 판정되 어 현재 재수술을 고려중이다. 관절경 및 관절절개를 적절히 병합하여 양호한 시야를 확보하고 대퇴부의 정 확한 등장점을 선택한 후, Graft Pusher를 이용하여 자가 슬개골-건-골과 T r e v i r a 인공인대의 병합 이식 물을 쉽게 통과시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술후 조기 운동과 후방 이완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었다.

고 찰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성공여부는 무엇보다도 수술 후 하지의 하중에 의한 posterior sagging과 후방불안정이 재발하지 않고 안정도를 유지하며, 동 시에 통증 없이 관절의 충분한 운동범위를 얻을 수 있어야 하겠다. 후방 십자인대는 전방 십자인대에 비 하여 스포츠 손상보다는 교통사고이므로, 환자가 전 문적인 운동선수가 적은 만큼, 스포츠의 복귀보다는 동통없는 굴신운동, 안정도가 요구된다. 여러 저자들 에 의하여 후방 십자 인대의 보존적 치료가 권장된 경우도 있으나8 , 9 , 1 1 ), Clancy6 )는 보존적 치료에 의한 퇴행성 변화를 보고하였고, Burger와 L a r s o n4 ), Richter 등1 9 ) 최근 여러 학자들에 의해 봉합 또는 재건술을 통한 적극적인 치료로 퇴행성 관절염을 예 방할 것이 주장되고 있다.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에 이용된 이식건은 허혈성 괴사과정과 혈관침투, 재형 성 등의 과정을 겪게 되는데 이 과정에 후방 십자 인 대는 전방에 비하여 하지 하중과 인장력의 부하로 인 해 재파열, 또는 이완되는 문제점이 많이 있다1 0 ). 단 독 이식건을 이용한 재건술의 경우 이식물의 길이가 짧아 원위 골편이 경골 골수내에 위치하면 간섭나사 의 고정력이 피질골 고정시보다 약하여 후방 불안정 이 재발되는 보고가 있는데 저자들도 동일한 경험이

있다1 5 ). 이러한 문제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인공 인대

로 보강할 수 있는데 인공 인대는 이식 초기에 하지 의 하중과 골터널 입구의 마모로부터 자가 이식건을 보호하고, 이식건의 견고한 골 고정을 통하여 조기 운동을 가능케 한다. Hanley 등1 2 )에 의하면 전방십 자인대 재건술 시 보강제로 사용된 인공인대는 시일 이 경과하면서 약해지고 점차 자가 이식건에 가해지 는 힘이 증가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인공 인대는 자 가 이식건이 충분한 강도를 회복할 때까지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된다고 하였고, 저자들의 경험에도 이를 뒷받침하였다1 , 2 ). 반면 N o y e s1 8 )는 전방십자인대 재건 술에서 슬개건 단독이식과 인공인대 병합이식의 결과

차이가 없음을 보고하였는데, 이는 전방십자인대의 경험이고, 만일 후방 십자 인대에 시행한다면 저자들 과 같은 의미있는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 공인대 단독 이식에 대한 보고도 있는데, 권 등1 7 ), C o n t z e n7 ), Kock와 Sturmer 등1 6 )의 보고에서 인공 인대 단독이식의 경우 3개월부터 조직의 침투, 7개 월에 혈관의 생성을 보고하였다. 하지만 인공인대의 단독이식은 정립된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는데, 특히 후방 십자 인대의 경우는 전방에 비하여 하중과 견인 력이 크다는 것을 고려하여, 병합이식이 좋은 방법으 로 생각된다. 관절경적 수술의 장점은 잘 알려져 있 으나, Berg3)의 술식은 슬와부를 통하여 후방 관절 낭을 절개하는 것으로서, 이때 관절경의 역할은 이식 건의 대퇴부 고정술식에 국한된다. 저자들의 술식에 서 관절경은 반월상 연골 등 동반된 손상의 처치와 파열된 후방 십자 인대의 제거 및 대퇴골 등장점의 선택 등에 국한하였다. 정확한 등장점의 위치는 경골 보다 대퇴골에서 문제가 되며, 이식물의 고정위치가 대퇴골 등장점보다 지나치게 원위일 경우 신전 불안 정이, 지나치게 근위일 경우 굴곡 불안정이 초래됨을 본 연구에서도 경험하였다1 3 , 1 4 )

. killer turn을 통과 하기에 관절경 만으론 어려움이 많아 B e r g3 )는 슬와 부를 통한 후방 관절낭을 절개하여 tibial inlay 재 건술을 권장하였다. 본 교실에서는 자체 제작한 Graft Pusher를 이용하여 관절절개는 물론 관절경 적 재건술을 성공함으로써 추후 관절경적 재건술만의 추시결과를 보고할 예정이다. 하지만 관절경적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경우에도 슬와부 신경, 혈관의 손상에 주의하여야하고, 특히 후방 관절낭이 이미 파 열된 경우가 많으므로 관절경 수술시 수액의 침투로 하퇴부에 구획증후군이 올 수 있어 가능한 한번의 지 혈대 사용 시간 이내에 수술을 마치도록 노력해야 하

겠다2 0 ). 이러한 제반 문제점들을 고려할 때, 관절경

술이 발달하여도 경우에 따라 관절절개에 의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역할이 그 자리를 잃지 않을 것 으로 생각한다.

결 론

본 교실에서 제작한 Graft Pusher를 이용하여 killer turn을 쉽게 통과할 수 있었고, 복합 이식물 을 이용하여 대퇴골의 정확한 등장점에 고정하면 조 기운동이 가능하고 후방불안정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었다. 관절 절개술도 관절경적 재건술과 병행할 수 있으며, 현재도 의미있는 술식으로 판단된다.

(5)

REFERENCES

01) Arnoczky SP, Travin GB and Marshall JL : Anteri- or cruciate ligament replacement using patellar tendon.

An evaluation of graft revascularization in the dog. J Bone Joint Surg, 64-A:217-234, 1982.

02) Ballock RT, Woo SL, Lyon RM, Hollis JM and Akeson WH : Use of patellar tendon autograft fo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in the rab- bit-a long term histologic and biomechanical study, J Orthop Res, 7:474-485, 1989.

03) Berg EE : Posterior cruciate ligament tibial inlay reconstruction. J Arthroscopic Rel Surg, 11-1:69-76, 1995.

04) Burger RS and Larson RJ : Acute ligamentous in- jury. cited from Larson RJ and Grana WA. The knee.

1st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 513-589, 1 9 9 3 .

05) Chung SS, Won CH, Kang SB and Shin G : Recon- struction of PCL using patellar tendon augmented with artificial ligament, J Korean Knee Society, 7 - 1 : 33-39, 1995.

06) Clancy WG, Shelbourne KD, Zoellner GB, Keene JS, Reider B and Rosenberg TD : Treatment of knee joint instability secondary to rupture of the pos- terior cruciate ligament. Report of a new procedure.

J Bone Joint Surg, 65-A:310-322, 1983.

07) Contzen H : Materialtechnische Voraussetzungen und biologische Grundiagen fur den allopiastischen kniebandersatz. Unfallchirug, 11:242-246, 1985.

08) Cross MJ and Powell JF : The long-term follow-up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a study of 116 cases. Am J Sports Med, 12:292-297, 1984.

09) Dandy DJ and Pusey RJ : The long term results of unrepaired tears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J Bone Joint Surg, 64-B:92-94, 1982.

10) Foeler PJ : Isolate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

juries in athletes. Am J Sports Med, 17:24-29, 1989.

11) Fowler PJ and Messieh SS : Isolated posterior cru- ciate ligament injuries in athletes. Am J Sports Med, 15:553-557, 1987.

12) Hanley P, Lew WD, Lewis JL, Hunter RE, Kirs- tukas S and Kowalczk C : Load shearing and graft forces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s with the ligament augmentation device. Am J Sports Med, 17:414-422, 1989.

13) Hefzy MS, Grood ES and Noyes FR : Factors affec- ting the region of most isometric femoral attachment.

Am J Sports Med, 17:197-208, 1989.

14) Jung YB, Tae SK and Kim HK : Result of the PCL Reconstruction with BPTB -prognostic factors-. J Korean Knee Society, 7-2:148-153, 1995.

15) Kim SJ, Shin SJ, Kim HK, Jahng JS and Kim HS : Comparison of 1- and 2-incision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s. J Arthroscopic Rel Surg, 16-3:268-278, 2000.

16) Kock JH and Strurmer KM : Biocompatibility and ingrowth of Trevira prostheses following replacement of the cruciate ligament. Med and Biol End and Com - p u t , 30:13-16, 1992.

17) Kwon CS, Kim YU and Choi WH : Posterior cruci- ate ligament reconstruction by using Trevira artificial ligament-preliminary-study, J Korean Knee Society, 4 - 2 : 2 6 8 - 2 8 0 , 1 9 9 2 .

18) Noyes FR and Barber SD : The effect of a ligament- augmentation device on allograft reconstruction for chronic rupture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J Bone Joint Surg, 74-A:960-972, 1992.

19) Richter M, Kiefer H, Hehl G and Kinzel L : Prima- ry repair for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An eight-year followup of fifty three patients. Am J Sports M e d , 24:298-305, 1996.

20) Siegel MG : Compartment syndrome after arthroscopic surgery of the knee. A report of two cases managed nonoperatively. Am J Sports Med, 25-4:589-590, 1997.

(6)

─ Abstract ─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combined graft of Artificial Ligament and Bone-Patellar Tendon-Bone Autograft

Se-Hyun Cho, M.D., Sang-Won Cho, M.D., Hae-Ryong Song, M.D., Kyung-Hoi Koo, M.D., Soon-Taek Jeong, M.D., Hyung-Bin Park, M.D., Sang-Rim Kim, M.D.*, Kang-Il Kim,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Jinju, Korea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eju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heju, Korea*

Purpose :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and the advantages of the combined graft of Trevira®Artifi- cial Ligament and bone-patellar tendon-bone(BPTB) autograft for posterior cruciate ligament(PCL) reconstruc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ingle tendon graft.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 six cases of chronic PCL injury operated between 1993 and 1999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15 cases) reconstructed with single tendon(11 BPTB and 4 Achilles tendon) and Group 2(11 cases) with combined graft.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32(range, 19~56).

Results : At the end of average follow-up of 3.5 yea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range of motion and Lysholm score. KT-2000 side-to-side difference(manual max- imum) was 3.2 mm and 1.8 mm respectively in Group 1 and Group 2.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knee score showed better result in Group 2.

Conclusion : Postoperative knee stability can be better maintained in the combined graft group than in the single tendon group. Arthrotomic procedure is as effectively applied to the PCL reconstruction as arthroscopy in terms of precise location of femoral isometric point and easy passage of the killer turn by use of the special Graft Pusher designed by the authors.

Key Words :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rtificial Ligament, Bone-Patellar Tendon- Bone Autograft, Combined Graft

수치

FIGURE 1. PCL Graft Pusher designed by the authors

참조

관련 문서

재입학을 허가받은 자가 정해진 기한 내에 등록금 납부 및 수강 신청을 하지 않을 경우 재입학

흡착관을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 분석시 시료의 정량을 위해서 흡착관에 정량적으 로 흡착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사용하여야 한다.. 가장

영구적 인공 심박동기(permanent pacemaker) 일시적 인공 심박동기 (temporary pacemaker) b.. 요구형/수요형

우리는 기대효용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선호체계만을 논의 대상으로 하기 로 한다...

식도의 통과검사는 환자가 삼킨 bolus가 식도를 통하여 위(stomach)로 내려가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식도 의 기능을 평가하는데 이용.. ④ 컴퓨터를

특히 현재 중국의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음식을 낭비하는 현상이 갈수록 심각해져서 이와 같은 음식 낭비 근절 운동을 전개함.. 그래서 중국에서는 한편으로 농지를 보호하고

따라서 본 연구자가 실시한 웨이트 트레이닝 운동과 같은 지속적인 유 산소 운동을 통하여 적당한 체지방량과 제지방량을 유지하여 충실한 신체 조성을 구성하는 것이

에서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는 자가 강하다고 한다면, 인류사회의 변천사에서는 역사가 승자의 기록이 역사가 아니라 기록을 남긴 자가 역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