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방조직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세포군별 분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지방조직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세포군별 분리"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화상학회지 제 14 권 제 2 호

93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Vol. 14, No. 2, 93-96, 2011

책임저자:이수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222

󰂕 463-836, 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학과 Tel: 031-725-8372, Fax: 031-725-8398 E-mail: suman@cha.ac.kr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기초 과 학 연구비에 의하여 지원되었음(2009-0076696).

지방조직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세포군별 분리

박수정

1

ㆍ이교원

2

ㆍ임대석

3

ㆍ이수만

1

차의과학대학교 1의생명학과, 3바이오산업학과, 2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산부인과

The Rapid Establishment of Human Clonal Adipose Derived Stem Cell (hADSC) Lines with Aspirated Adipose Tissue

Soo-jeong Park, Ph.D.

1

, Kyo-won Lee, M.D., Ph.D.

2

, Dae-Seog Lim, Ph.D.

3

and Suman Lee, Ph.D.

1

Departments of 1Biomedical Science, 3Applied Bioscience, CHA University, Seongnam, 2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Kangbuk Samsung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Purpos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new strategy that

provides for the rapid establishment of human clonal adipose derived stem cell (hADSC) lines with aspirated adipose tis- sue and to characterize newly generated hMSC lines for their cell phenotype, differentiation potential, lineage-specific ge- ne expression.

Methods: Human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hAD-

SCs) were isolated from subcutaneous adipose tissue based on standard protocols. After incubation for 2 h, only the cell culture supernatant was transferred to a new dish. This proc- ess was repeated several times with 30 h incubations.

Results: We confirmed the difference in growth rate, how-

ever, differences were not seen in the differentiation capa- bilities and stemness of the each cell lin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ell lines via single

cell level for application to disease specific tissue engi- neering. (J Korean Burn Soc 2011;14:93-96)

Key Words: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Lineage-specific ge- ne expression

서 론

중간엽 줄기세포는 조직의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체 조직세포로 분화되기 직전의 원시세포를 말한다. 이 세포는 이름 그대로 중간엽, 즉 뼈, 연골, 지방, 혈관, 간 등 으로 분화가 가능한 세포이다

1-3)

. 중간엽 줄기세포는 세포 수가 적고 증식이 어려운 단점이 있지만, 획득이 용이하고 배아 줄기세포와 달리 이미 성장한 인체조직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윤리논쟁에서 자유롭다. 중간엽 줄기세포를 추출할 수 있는 많은 조직 중, 가장 대표적인 조직은 골수와 제대 혈, 지방, 태아 조직

4)

등이 있다. 그 중, 지방조직 유래 중간 엽 줄기세포는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분리·획 득이 용이하고 다량의 세포 확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 지고 있다

5)

.

줄기세포는 증식과 분열을 거듭하면서 비대칭(asymmet- ric)적인 세포구성을 이룬다

6)

. 즉 줄기세포성을 유지하며 증식하는 세포군과 계열 특이적 분화 양상을 나타내며 특 정 조직으로의 분화가 진행되는 세포군, 일부 비정상적 증 식을 하는 암줄기세포군 등으로 발전하며 증식한다

7)

.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지방조직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치료 목적에 맞는 세포군의 선별적 분리를 위한 세포군별 분리 방법을 확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지방 조직으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리 하고, 이 세포를 세포군별로 재분리하여 1차적으로 성장능 을 비교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세포는 세포군별로 성장능 에 상당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렇게 성장능에 차이를 나타 내는 세포군을 골, 지방, 근육 및 신경세포 등의 계열로 분 화를 유도하여 2차로 분화능을 비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재료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재료는 동의서를 얻은 지방조직으

로부터 분리하였다. 배지로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Gibco BRL, Gaithersburg, MD, USA)과

(2)

94

대한화상학회지 Vol. 14, No. 2, 2011

Table 1. Media Supplementation of Differentiation

Lineage Media Serum Supplement

Osteogenesis LG-DMEM 10% FBS 0.1μM Dexamethasone

10 mM B-glycerophosphate 0.05 mM Ascobate

Adipogenesis LG-DMEM 10% FBS 1μM Dexamethasone

0.5 mM IBMX 10μg/ml insuline 0.2 mM Indomethacin

Myogenesis MCDB131 1% FBS 100 unit/ml Heparin

Neurogenesis Pre-induction DMEM 20% FBS 1 mM β-mercaptoethanol

Induction DMEM · 5 mM β-mercaptoethanol

Table 2.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rimers Used for

Differentiation Marker Gene Expression Analysis Gene Primer sequence: Forward/Reverse RUNX2 5’-TTACTTACACCCCGCCAGTC-3’

5’-TATGGAGTGCTGCTGGTCTG-3’

PPAR-γ 5’-GCTGTTATGGGTGAAACTCTG-3’

5’-TCGCAGGCTCTTTAGAAACTC-3’

α-SMA 5’-CCCCATCTATGAGGGCTATGC-3’

5’-CGGCCAGCCAGATCC-3’

NSE 5’-CATGAGAATTGAGGAAGAGC-3’

5’-TATCACAGATCAGGACAGCA-3’

GAPDH 5’-AGCCAAAAGGGTCATCATCTCT-3’

5’-AGGGGCCATCCACAGTCTT-3’

Table 3.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rimers Used for

Stemness Marker Gene Expression Analysis Gene Primer sequence: Forward/Reverse GATA4 5’-TTCCTCTTCCCTCCTCAAAT-3’

5’-TCAGCGTGTAAAGGCATCTG-3’

REX1 5’-ATGGCTATGTGTGCTATGAGC-3’

5’-CCTCAACTTCTAGTGCATCC-3’

OCT4 5’-CGTGAAGCTGGAGAAGGAGAAGCTG-3’

5’-CAAGGGCCGCAGCTCACACATGTTC-3’

10% (v/v)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BRL), 1% (v/v) penicillin/streptomycin (Gibco BRL)이 포함된 배지를 기 본 배양 배지로 사용하였다.

2. 방법

1) 사람 지방조직에서 유래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세포 군별 분리

지방 흡입을 통해 채취한 지방 조직은 PBS로 수 차례 washing하고, RBP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적혈구를 제거 한다. 0.075% 제 1형 collagenase를 37

o

C에서 30분간 처리 하여 cellular fraction을 풀어주고, collagenase와 동량의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첨가한다. 1200 x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반복한다. 수획된 pellet은 100μm strainer를 통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다.

분리된 세포는 기본 배양 배지에 넣은 후 37

o

C/5% CO

2

조 건의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한다. 2시간 배양 후,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분리하기 위해 상층액을 다른 배양 용기로 옮 겨 2시간 배양하고,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3일간 배양하여 각각의 배양용기에서 CFU를 분리하여 각각 15개의 세포 군을 계대 배양하였다.

2) 분화 조건

지방 조직에서 유래한 중간엽 줄기세포를 지방, 근육, 신 경 그리고 골세포의 계열로 분화시키기 위해 5∼6 passage 까지 배양 후 Table 1과 같은 조성의 분화유도 배양액에서 각각의 계열로 분화를 유도한다.

3)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각각의 계열로의 분화 유도배양액 배지에서 배양한 세포 로부터 QIAGEN RNA Minikit를 사용하여 RNA를 추출하 였다. 추출한 RNA는 cDNA합성을 위해 reverse-transcrip- tase (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사용하였다. 역전 사로 합성된 cDNA 100 ng, 10 xPCR 완충액 2.5μl, 10 pm sense-anti sense primer 각각 1μl, 2.5 mM dNTP 2μl, Tag polymerase 1 U을 포함한 25μl의 혼합물을 만들어 PCR을 진행하였다. 각 계열로의 분화확인을 위한 마커 유전자와 줄기세포성을 나타내는 유전자의 sense-anti sense primer 서열은 Table 2, Table 3과 같다. 증폭된 PCR 산물은 2%

agarose gel에 전기영동하고 ethidium bromide로 염색하여 자외선 하에서 확인한다.

결 과

1. 사람의 지방조직으로부터 분리한 중간엽 줄기세포 의 세포군별 분리

먼저, 기존 지방 조직유래 줄기세포 분리방법대로 콜라

(3)

박수정 등:지방조직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세포군별 분리

95

Fig. 1. Growth curve of clonal isolated ADSCs. The growth

curves of six clones of hADSC cells were shown.

Fig. 2. RT-PCR analysis of clonal isolated ADSCs using lineage

specific marker genes. Four differentiation markers were shown.

The RT-PCR assay using osteogenic (RUNX2), adipogenic (PPAR-γ), myogenic (α-SMA) or neurogenesis (NSE) markers were conducted. GAPDH was used as a control.

Fig. 3. (A) OCT4 methylation of clonal isolated ADSC lines. (B)

RT-PCR analysis of clonal isolated ADSCs for stemness marker genes (GATA4, REX1 and OCT4). GAPDH was used as a con- trol.

게네이즈(Collagenase)를 처리하여 지방 조직으로부터 세 포집합을 분리하고, 각각의 배양 용기에 부착된 세포를 집 락형성단위(Colony Forming Unit; CFU) 별로 총 15개 세 포군을 선별하였다. 각각의 세포군별로 성장능을 확인한 결과 각각의 세포군별로 상장 속도에 큰 차이를 나타냈다 (Fig. 1). #1, 3, 5 군의 경우는 빠른 성장능을 보인 반면, #8, 12, 15는 성장속도가 느린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성장능 을 기준으로 세포군을 나누어 분화 및 줄기세포성을 확인 하였다.

2. 세포군별 분화능

지방조직으로부터 분리한 세포의 성장능에 따라 빠른 성 장을 하는 군(fast)과 느린 성장을 하는 군(late)으로 나누어 각각의 분화능을 비교하였다. 지방, 근육 신경 및 골세포 등 각각의 계열로분화를 유도하여 각 계열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을 관찰하였으나 세포의 성장속도 차이에 따라 분류한 세포군에서의 발현 차이는 관찰 할 수 없었다(Fig. 2). 따라 서 세포군별 분화능은 세포의 성장 속도와 무관함을 확인 했다(#8의 경우 성장 속도가 느리고 거듭된 계대 후에도 각 각의 계열로의 분화를 유도할 만큼의 세포수를 충족시키지

못해 분화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3. 줄기세포성(Stemness)

세포군의 성장능과 분화능을 각각 확인하고 줄기세포성 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유전자인 OCT4의 methylation 양상 을 확인하고(Fig. 3A), 줄기세포성을 확인할 수 있는 마커 유전자의 발현을 RT-PCR을 통해 확인하였다(Fig. 3B). 각 세포군별로 OCT4의 methylation에 차이를 보였으나 세포 의 성장능과 무관한 양상을 나타냈고, CATA4, REX1, OCT4등의 줄기세포성 마커 유전자의 발현 양상도 세포군 에 따라 다소 차이를 나타냈으나 methylation 양상과 성장 능과 무관함을 확인했다.

고 찰

줄기세포는 손상된 조직이나 장기에 주입하여 조직의 재

생 및 치료에 적용이 가능하여 조직공학및 재생의학 분야

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8)

. 특히, 지방 조직으로부터 분리한

중간엽 줄기세포는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와 유사한 세

포표면 단백질이 발현되며, 연골, 근육, 신경 및 골세포 등

으로 분화능을 갖는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3,9-11)

.

(4)

96

대한화상학회지 Vol. 14, No. 2, 2011

현재까지 줄기세포의 세포군별 분리 방법에 대한 연구는 세포의 기원, 표현형, 세포면역학적 특징, 계열별 초기분화 등의 차이를 관찰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12,13)

. 본 연구에서 는 지방 흡입술 이후 버려지는 조직으로부터 많은 양을 쉽 게 얻을 수 있고 분리가 용이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부착시 간에 따른 세포군별 분리 방법을 통해 확립된 세포의 성장 능 및 분화능, 줄기세포성의 차이를 관찰함으로써 조직특 이적이고 치료 목적에 적합한 세포군별 분리 방법의 지표 로 삼고자 했다.

먼저, 기존 지방 조직유래 줄기세포 분리방법대로 콜라 게네이즈(Collagenase)를 처리하여 지방 조직으로부터 세 포집합을 분리하고, 분리한 세포를 일정시간 배양한 후 상 층액을 재 분주하여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다른 배양 용기 에 옮겨 배양하는 방법으로 세포를 집락형성단위(Colony Forming Unit; CFU) 별로 세포군을 선별하였다.

각각 분리된 세포군은 성장 속도에 큰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성장 속도에 따른 분류가 분화능이나 줄기세포성 (stemness)을 나타내는 기준이 되지는 않는 것을 확인했다.

이미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세포군별 분리방법

14)

을 확립한 결과에서 볼 수 있었던 분화능의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지방조직에서 유래한 중간엽 줄기세포 의 분리에서도 CFU단위가 아닌 단일 세포(single cell) 단위 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기존의 세포 치료제 시장의 규모가 점차 거대해지고, 맞 춤형 치료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분리 배양 이 용이하고 계대배양을 통해 대량의 세포를 수확 할 수 있는 지방 줄기세포의 세포군별 분리방법의 구축으로 목적 에 맞는 세포를 선별적으로 분리 배양하여 특정 질환에 선 별적으로 세포를 적용하여 치료효과를 높이고 비용 및 시 간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결 론

사람의 지방조직에서 분리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세포군 별 분리 방법은 세포의 성장 속도가 다양한 세포군을 확립 할 수 있으나 계열 특이적 분화를 관찰 할 수 없었다. 따라 서 조직 특이적 세포의 적용을 위해서는 단일 세포 단위로 분리를 하여 재생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조직으로의 분화능이 뛰어난 세포를 이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REFERENCES

1) De Ugarte DA, Morizono K, Elbarbary A, Alfonso Z, Zuk PA, Zhu M, et al. Comparison of multi-lineage cells from human adipose tissue and bone marrow. Cells Tissues Organs.

2003;174:101-109.

2) Kim DC, Yoon YJ, Park SJ, Park SW, Jung HS, Song JY, et al. Neural cell differentiation from adipose tissue derived stem cells.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2007;10:4.

3) Oishi K, Noguchi H, Yukawa H, Hayashi S. Differential ability of somatic stem cells. Cell Transplant. 2009;18:581-589.

4) Tilesi F, Coata G, Pennacchi L, Lauro V, Tabilio A, Di Renzo GC. A new methodology of fetal stem cell isolation, purifi- cation, and expansion: preliminary results for noninvasive prenatal diagnosis. J Hematother Stem Cell Res. 2000;9:583- 590.

5) Schaffler A, Buchler C. Concise review: adipose tissue-derived stromal cells--basic and clinical implications for novel cell-based therapies. Stem Cells. 2007;25:818-827.

6) Yamashita YM. Cell adhesion in regulation of asymmetric stem cell division. Curr Opin Cell Biol. 2010;22:605-610.

7) Morrison SJ, Kimble J. Asymmetric and symmetric stem-cell divisions in development and cancer. Nature. 2006;441:1068- 1074.

8) Strem BM, Hedrick MH. The growing importance of fat in regenerative medicine. Trends Biotechnol. 2005;23:64-66.

9) Meliga E, Strem BM, Duckers HJ, Serruys PW. Adipose- derived cells. Cell Transplant. 2007;16:963-970.

10) Zuk PA, Zhu M, Mizuno H, Huang J, Futrell JW, Katz AJ, et al. Multilineage cells from human adipose tissue: impli- cations for cell-based therapies. Tissue Eng. 2001;7:211-228.

11) Zuk PA, Zhu M, Ashjian P, De Ugarte DA, Huang JI, Mizuno H, et al. Human adipose tissue is a source of multipotent stem cells. Mol Biol Cell. 2002;13:4279-4295.

12) Seeger FH, Tonn T, Krzossok N, Zeiher AM, Dimmeler S. Cell isolation procedures matter: a comparison of different isola- tion protocols of bone marrow mononuclear cells used for cell therapy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Eur Heart J. 2007;28:766-772.

13) Beyer Nardi N, da Silva Meirelles L. Mesenchymal stem cells:

isolation, in vitro expansion and characterization. Handb Exp Pharmacol. 2006:249-282.

14) Song SU, Kim CS, Yoon SP, Kim SK, Lee MH, Kang JS, et al. Variations of clonal marrow stem cell lines established from human bone marrow in surface epitopes, differentiation potential, gene expression, and cytokine secretion. Stem Cells Dev. 2008;17:451-461.

수치

Table 1.  Media  Supplementation  of  Differentiation
Fig. 1.  Growth  curve  of  clonal  isolated  ADSCs.  The  growth  curves  of  six  clones  of  hADSC  cells  were  shown.

참조

관련 문서

In addition,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nalyze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characteristic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varied

Meterials and Methods: Our study involved three stem cell sources-subacromial bursal tissue, bone marrow, and umbilical cord-derived stem cells. Under consent w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and mechanisms of the new metformin derivative HL156A in human multidrug-resistant cancer cell lines (FADU/PTX,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ports marketing strategy fit on organizational attitud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s of wayfinding and choice architecture in the information book and to find a connection for the proper provi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d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summer resorts according to the design manual, develop cultural products using

Based on the result of such assessment,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 basis for establishment of physical epidemiology research evaluation system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 and the features of corporate e-Learning as a form of informal learning.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