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세 계 농 업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세 계 농 업"

Copied!
20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한 국 농 촌 경 제 연 구 원 마 상 진 연 구 위 원 한 국 농 촌 경 제 연 구 원 김 종 진 연 구 위 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 학 균 연 구 위 원 서 울 대 학 교 임 정 빈 전 남 대 학 교 김 윤 형

∙ 자문위원

한 국 농 촌 경 제 연 구 원 허 장 선임연구위원 한 국 농 촌 경 제 연 구 원 박 준 기 선임연구위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 경 필 선임연구위원 한 국 농 촌 경 제 연 구 원 정 정 길 연 구 위 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민 경 택 연 구 위 원

(3)

제 201호

세 계 농 업

WORLD AGRICULTURE

2017. 5.

03-2017-5

(4)

담당 어 명 근 명예연구위원 myongeor@krei.re.kr TEL 061-820-2364 / FAX 061-820-2407 김 승 애 연 구 조 원 sakim0912@krei.re.kr TEL 061-820-2055 / FAX 061-820-2407

(5)

CONTENTS

세계농업 2017.Vol.201

2017년 세계농업전망

01

USDA 2017 Agricultural Outlook

USDA 농업전망 2017: 축산부문 ··· 이창훈 ❙ 3 USDA 농업전망 2017: 면화부문 ··· 유은영 ❙ 17 USDA 농업전망 2017: 곡물 및 설탕부문 ··· 전인자 ❙ 35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

02

4차 산업혁명과 농업의 미래 II

4차 산업혁명 대응 주요국 농업과학기술 정책동향 ·· ·· 임영훈 ❙ 57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03

4차 산업혁명과 농업기술 II

해외 기후스마트농업 연구동향 및 적용 사례 ··· 강기경 ❙ 79

국가별 농업자료

04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의 농업 현황과 정책 ··· 조유선 ❙ 115

국제기구 동향

05

변화하는 베트남 농업: Gaining More From Less ··· 배종하 ❙ 141

국제 농업 정보

06

··· 159

07

(6)
(7)

PART 01

USDA 2017 Agricultural Outlook

USDA 농업전망 2017: 축산부문 | 이창훈 USDA 농업전망 2017: 면화부문 | 유은영 USDA 농업전망 2017: 곡물 및 설탕부문 | 전인자

2017년 세계농업전망

(8)
(9)

2017년 세계농업전망

USDA 농업전망 2017:

축산부문 *

이 창 훈

(부경대학교 경제학과 석사)

1. 2017년 미국 축산부문 전망

1)

2016년 미국의 주요 축산물(쇠고기, 돼지고기, 육계 및 칠면조) 생산량은 2008년 이 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모두 증가하였다. 2016년 미국의 적색육(Red Meat)과 가금류 (Poultry) 생산량은 총 966억 파운드(pound)로 전년대비 3.1% 증가하였으며, 2017년에는 전년대비 3% 이상 증가한 1,006억 파운드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7년 쇠고기 생산량은 미국의 쇠고기 수요 증가와 함께 가파른 증가 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지만, 한편으로 시장 내 쇠고기 가격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과거 송아지 사육에 따르는 높은 수익성으로 인해 농가들이 사육두수를 지속적으로 확장한 결과, 2017년의 소 사육두수 역시 지속적인 증가 추세 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돼지의 경우 2015년에서 2016년 초반의 양돈 수익 성 증가로 인해 사육두수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최근 이를 경계한 양돈농가들은 사 육두수 확장에 보다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과거 지속적인 사육 확장의 여파로 2017년의 돼지 도축물량은 기록적인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칠면조의 경우 2016년 상반기 가격이 HPAI(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고병원

(10)

성 조류 인플루엔자) 이전 수준을 회복하면서 사육두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났지만, 2017년의 칠면조 가격은 연말 재고량 과다로 인해 전년도 평균 가격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닭고기 생산량은 전년대비 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육계에서 발병하는 닭가슴살 근육병(breast muscle myopathy; woody breast)에 따른 도체 중량 감소로 인해 향후 생산량은 다소 정체될 가능성이 있다.

그림 1. 미국 주요 축산물 생산량 전망

단위: 백만 파운드

2008 2011 2014 2017*

120 100 80 60 40 20 0

가금류 쇠고기 돼지고기 기타 주: *는 전망치.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2017년의 쇠고기, 돼지고기 및 칠면조 가격은 각 품목의 생산량 증가로 전년대비 하락할 것이며, 닭고기의 경우에만 2017년 초반의 수요 증가로 인해 일시적으로 높은 가격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주요 축산물의 가격하락은 미국의 축산물 수출 에 있어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겠지만, 세계 경제 성장의 둔화와 미국 달러의 지속 적인 강세 등으로 인해 수출 증대 효과는 일정부분 상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표 1. 2017년 미국 주요 축산물 생산량 증감률

단위: 십억 파운드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6년 대비 증감률(%)

쇠고기 23.7 25.2 26.0 3.1

돼지고기 24.5 24.9 26.2 4.9

육계 40.0 40.7 41.5 2.1

칠면조 5.6 6.0 6.1 2.3

합계 94.6 97.6 100.6 3.1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11)

2017년 미국의 조사료 가격은 2016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1/4~3/4분기의 옥수수 가격은 3.40달러/부셸(bushel)1)로, 과거 2015~2016년 전 망치인 3.61달러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예측된다. 다만, 상대적으로 생산량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는 4/4분기의 가격은 3.50달러/부셸로 전기 대비 10센트 가량 상승할 것 으로 예상되고 있다. 2017년 1/4~3/4분기의 대두박 가격은 2016~2017년 전망치가 반 영된 325달러/톤에 근사할 것이며, 4/4분기 가격은 2017~2018년 전망치를 반영한 330 달러/톤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2016년 미국의 건초 공급량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지역 간에는 상당한 편 차를 보였다. 특히 미국 남부 평야지역의 건초 공급량은 전년보다 증가한 반면 대다 수의 북부 평야지역은 감소하였으며, 미국 남동부의 북부 지역과 남부 지역 역시 건 초 생산량에서의 지역 간 차이가 두드러졌다.

2017년 1월 기준 미국의 전체 소 사육두수 중 약 20%(2016년 약 11%) 가량이 일정 수준 이상의 가뭄지역에서 사육되고 있어, 기후변화에 따른 건초 공급의 불확실성은 올해 미국 내 소 사육요건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로 판단된다. 특히 가뭄의 분포가 미국 서부 건조지역에서 점차 중앙평원(Central Plains), 남동부 및 북동부 지역으로 이 동하고 있음에 따라, 건초 재고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남동부 지역의 가뭄 피해가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실업률 하락 및 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로 2017년 미국의 실질 국내 총생산(U.S. real GDP)은 전년대비 2%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세계 경제 역시 전년대비 높은 경제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지속적인 미 달러의 강 세로 인해 미국산 축산물 가격 하락으로 인한 수출 인센티브는 일부 상쇄될 것으로 전망된다.

2. 2017년 미국 축산물 생산 전망

2.1. 소 및 쇠고기 생산 전망

미국의 소(cattle) 사육두수는 2007년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2014년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여 3년 연속 증가하고 있으며, 2017년에도 사육두수는 여전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농무부(USDA)에서 발표한 1월 가축동향 보고서2)에 따르면,

(12)

2017년 1월 1일 기준으로 미국의 소(송아지 포함) 사육두수는 전년 동기 대비 약 2%

증가한 9,360만 두이며, 육우(beef cow)는 전년대비 약 3% 증가한 3,120만 두로 추정되 고 있어 2017년 전체 기간 동안의 소 사육두수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림 2. 미국의 소 사육두수 동향

단위: 백만 두

2018*

2016

2014

2012

2010

2008

2006

2004

2002

2000

1998

1996

1994

1992

1990

1988

105 100 95 90 85 80

주: *는 전망치.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미국의 소 사육 농가들은 비육우 사육두수를 늘리기 위해 2017년에는 미경산우 (heifer)를 1% 가량 더 사육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며, 암송아지(heifer calves) 역시 전 년대비 1% 더 많이 사육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 또한, 2016년 미국의 송아 지 출산두수는 전년대비 3% 가량 증가한 3,510만 두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1년 이후 가장 많은 송아지 출산두수이다.

2014년 이후의 사육두수 증가 현상은 과거(2014년~2015년) 송아지 사육으로 인한 높은 수익률에 대한 농가의 반응으로 판단된다. 또한 미 남부평원의 사육환경이 양호 하여 다수의 사육농가가 2017년 봄철 분만을 위한 번식 결정을 내린 것도 사육두수 증가 추세에 일조한 것으로 판단된다.4) 한편, 최근에 비육용 송아지(feeder calf) 가격 이 하락하여 농가 수익률이 급락했지만 연초의 사육두수 유지 결정과 생물학적 순환 (biological cycle)에 따른 지연효과로 인해, 2017년 미국의 소 사육두수는 완만하지만 꾸 준히 증가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미국의 비육장(feedlot)에서 사육되는 소의 사육두수는 소규모 비육장 사육농가의 사

2) USDA’s January Cattle report.

3) 하지만 사육농가들은 젖소 사육두수를 늘리기 위해서 미경산우 및 암송아지 사육비율을 1% 가량 줄일 수 있다는 점도 시사했음.

4) 2016년 5월 불과 10%의 육우가 미국 내 가뭄 우려지역에서 사육되었음.

(13)

육두수 감소로 인해 2017년 1월 1일 기준으로 전년대비 1% 감소한 1,310만 두로 추정 되었다.5) 하지만, 목초지에서 사육되는 소의 경우 송아지 생산량 증가와 사료 작물의 목초지 활용성 증대로 인해 오히려 2% 가량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캐나다 및 멕시코의 소 사육두수 정체로 인해, 2016년 미국이 수입한 소는 전년대 비 감소한 171만 두를 나타내었다. 더욱이 2017년에도 이들 국가의 사육두수 정체현 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수입 두수는 전년대비 소폭 감소한 168만 두로 전망 되고 있다.

2017년 미국의 상업용 쇠고기 생산량은 전년대비 약 3% 증가한 260억 파운드로, 201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2017년 상반기에 과거(2016년 말~2017년 초) 쇠고기 비축량이 시장에 출하될 것으로 예상되어, 향후 소(거세우, 미 경산우 및 젖소) 도축량은 전년에 비해 3%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6) 이에 따라 2017년 상반기의 쇠고기 비축량은 다소 감소하겠지만, 하반기의 비축 및 판매량은 2016년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16년 미국산 쇠고기 수출량은 미국 내 쇠고기 공급량 증가에 따른 가격하락과 호 주의 소 사육두수 감소로 인해 전년대비 약 13% 증가하였으며, 2017년에도 전년대비 7% 증가한 27억 2,000만 파운드로 전망된다. 달러화의 강세는 이러한 수출증대 효과 를 일부 제약하는 요소로 판단되나, 2017년에도 미국산 쇠고기의 가격 하락으로 인한 반사이익은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호주의 경우에도 자국 내 사육두수를 확장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이에 요구되는 생물학적 순환 과정 때문에 당분간 쇠고기 수출에 있어 미국의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16년 미국의 쇠고기 수입량은 자국 내 쇠고기 생산량 증가와 오세아니아 지역 내 쇠고기 공급의 제약으로 전년대비 약 11% 감소하였다. 더욱이 쇠고기 도축량 증가에 따라 가공 쇠고기 가격이 하락하면서, 2017년 미국의 쇠고기 수입량은 전년대비 9%

더 감소한 2,740억 파운드로 전망되고 있다.7) 다만 조사료 및 도축 산업 기반을 확대 해 나가고 있는 멕시코와 2015년 구제역 청정국가 지위를 얻은 후 쇠고기 수출을 확 대해 나가고 있는 브라질의 경우, 향후 미국의 쇠고기 수입량을 일정부분 지지할 수 있는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미국 내 조사료 생산 및 대체 육류 공급 증가로 인해, 2017년 5개 주8) 거세우 가격

5) 1,000두 이상 사육하고 있는 대규모 사육농가의 사육두수는 오히려 1% 가량 증가했음.

(14)

은 100파운드(centum weight, CWT) 당 109~116달러로 전년 평균(121달러)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9) 더욱이 향후 송아지 가격 및 비육장 수익률이 지속적으로 감 소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농가들은 경영효율화(조사료 적정 공급)를 통해 소득 감 소를 보전하려는 노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2.2 돼지 및 돼지고기 생산 전망

2015년에서 2016년 초반의 미국 내 양돈 수익성 증가로 인해, 2016년 중반 이후 양 돈농가들은 사육두수를 늘리고 더 많은 모돈(sows)을 분만하였다. 더욱이 해당 시기의 모돈 두당 출산두수 역시 증가 추세를 보임에 따라, 2017년 상반기의 양돈농가들은 이를 경계하여 사육두수를 보다 신중하게 확장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과 거 사육확장의 여파로 2017년의 돼지 도축량은 기록적인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 되며, 이에 적정 도축시기를 선정하는 것이 하반기 돼지고기 가격 패턴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대한 요소일 것으로 판단된다.

2016년 12월 분기별 돼지 및 돼지고기 보고서10)에 따르면, 2017년 1월 기준 미국 내 돼지 사육두수는 총 7,150만 두로 전년 동기 대비 4% 가량 증가하였으며, 1943년 이후 가장 많은 사육두수로 파악되었다. 또한 번식돈(breeding herd) 역시 과거(2015 년~2016년 초) 높은 수익률과 도축기술 발달, 돼지고기 수요량 증가에 대한 기대감 에 힘입어, 전년대비 약 1% 증가한 610만 두로 추정되었다.

그림 3. 미국 돼지 사육두수 전망

단위: 백만 두 74

72 70 68 66 64 62

60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주: *는 전망치.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8) Texas/Oklahoma/New Mexico, Kansas, Nebraska, Colorado, Iowa/Minnesota.

9) 더불어 비육용 거세우(feeder steer)가격 역시 전년(143달러)에 미치지 못할 것(132~139달러)으로 전망됨.

10) Quarterly Hogs and Pigs report.

(15)

가장 최근의 보고서는 미국 내 양돈농가들이 2016년 하반기에 모돈을 2% 가량 더 분만하였으며, 이후 2017년 상반기에도 1% 가량 더 분만할 의향이 있음을 시사했다.

더욱이 최근 모돈 두당 출산두수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사육두수는 돼지 유행성 설사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이전 수준까지 탄력적 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욱이 2016년 하반기부터 상승했던 돼지 조사료 생산 량도 2017년의 돼지 도축물량 증가에 일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여파로 2017년의 돼지고기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일 것이며, 연말이 다가올수록 적정 도축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가격결정에 있어 점차 중요성을 띌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4. 미국의 시기별 돼지 도축량 추이

단위: 백만 두

1월 4월 7월 10월 1월 4월 7월 10월 1월 4월 7월 10월 2014년 2015년 2016년

3.0 2.5 2.0 1.5 1.0 0.5 0.0

주간 도축 두수 토요일 도축 두수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2016년 3/4분기 미국 내 비육용 새끼돼지(early-weaned feeder pig) 가격이 전년보다 낮 은 수준을 기록하여 수입의 제약 요소로 작용했음에도 불구하고, 2017년 미국의 비육 돈 총 수입량은 미 달러의 지속적인 강세와 가격 회복 추세에 힘입어 전년대비 3%

가량 증가한 582만 두로 전망되고 있다.

2017년 미국의 상업용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대비 5% 가량 증가한 261억 파운드 로 전망된다. 이는 대부분 돼지 도축물량 증가에서 기인한 것이겠지만, 앞서 제시했 듯 도체 중량 증가분 역시 돼지고기 생산량 증가에 일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에 따라 미국 내 돼지고기 생산자들은 시장수요와 도축 가능물량(공급) 간 균형을 맞 추기 위해 적정 출하시기를 조율할 것으로 예상되며, 비육돈 체중 역시 적절하게 유

(16)

세계 경제성장에 따른 육류 소비 증가, 미국 내 돼지가격 하락 등에 힘입어, 2017년 미국산 돼지고기 수출량은 전년대비 4% 증가한 56억 4천 만 파운드로 전망된다. 2016 년의 돼지고기 수출량 역시 전년대비 4% 이상 증가하였는데, 이는 미국산 돼지고기 의 가격 하락, 미 달러의 강세, 자국 내 경제 성장이 수출을 뒷받침한 결과로 판단된 다. 또한 한국, 일본 및 유럽연합(EU)에 대한 돼지고기 수출은 다소 정체되거나 감소 하였으나, 중국, 멕시코, 홍콩시장에 대한 수출량이 증가함으로써 해당 국가에 대한 수출 감소분을 상쇄한 결과로도 볼 수 있다.

돼지고기 주 수입대상국인 캐나다로부터의 수입은 2016년 기준 전년대비 8% 가량 감소하였으며, 덴마크로부터의 수입 역시 지난 2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더욱이 2017년 미국의 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에 비해 다소 감소한 10억 9천 만 파운드 전망되고 있다. 물론 폴란드 등 유럽연합으로부터의 수입량은 증가하는 추 세지만 미국 내 돼지고기 생산량 증가에 따른 지속적인 가격하락이 예상되면서, 향후 돼지고기 수출에 있어 미국은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은 시장으로 간주될 것이란 견해 가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2017년 미국 내 돼지고기 가격은 42~45달러/CWT로, 전년(46달러)에 비해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2017년 미국의 돼지고기 수요 및 도축물량은 경제성장과 도축 기술의 발달로 자국 내 시장에서 충분히 흡수할 수 있을 것이나, 전체 육류의 공급 증가로 인해 돼지고기는 해당 기간 낮은 가격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비육 돈 역시 일정부분의 가격하락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2.3. 양 및 양고기 생산 전망

2017년 1월 1일 기준 미국 내 양(sheep) 및 새끼 양(lamb) 사육두수는 전년대비 2%

감소한 520만 두로 조사되었다. 더욱이 번식무리(breeding flock)는 전년대비 2% 감소하 였으며, 대체용 새끼 양(replacement lamb)은 2% 더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이러 한 현상은 미주지역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오직 와이오밍(Wyoming)주와 캘리포 니아(California)주에서만 사육두수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육농가들은 지난 2 년의 양고기 가격 하락 추세에 반응하여, 사육두수 및 양고기 생산량을 지속적으로 감축해 나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1월 1일 기준 시장에서의 양고 기(lamb and mutton) 가격은 전년대비 1% 하락하였으며, 2017년의 양고기 생산량은 전 년대비 1% 감소한 1억 4,800만 파운드로 전망된다.

(17)

2017년 미국의 양고기 수입량은 총 1억 9,700만 파운드로, 전년대비 9% 가량 감소 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고기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양고기 수요는 대체 육류의 공급과잉으로 인해 상당한 제약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새끼 양 과다 사육 의 여파로 호주 및 뉴질랜드로부터의 양고기 수입 역시 약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 고 있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적은 생산량과 수입량에도 불구하고, 2017년 양고기 가 격11)은 129~136달러/CWT로 전년(135달러)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2.4. 닭 및 닭고기 생산 전망

2017년 미국 내 닭고기(broiler meat) 생산량은 415억 3,000만 파운드로 전년대비 약 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이후 사육두수 및 도체중량의 더딘 증가로 인해 다소 정 체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육계 마리 당 도체중량은 지난 3년간 매년 1% 이상 증가하 였지만, 2016년 하반기 이후 그 추세가 현저하게 둔화되었으며,12) 이는 과체중 육계 의 가슴살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닭가슴살 근육병을 경계한 육계 업계의 반응으로 판단된다. 향후 미국의 육계업계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으 로 예상됨에 따라, 2017년의 육계 평균 도체중량 역시 정체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림 5. 미국의 과체중 육계 도축 추이

2013년 1월 2014년 1월 2015년 1월 2016년 1월 2017년 1월 30.0%

25.0%

20.0%

15.0%

10.0%

5.0%

0.0%

6.26~7.75파운드 7.76파운드 이상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18)

미국 내 육계 사육두수는 2015년 후반에서 2016년 초반까지의 낮은 수익률로 인해, 2016년 2/4분기 이후 전년 동기 대비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더욱이 2015년 중반 이 후 악화 기로에 진입한 농가 수익률은 2016년 후반 전년 수준을 회복했으나, 이 역시 2014년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2017년 1월의 육계 가격 역시 2016년 평균 대비 약 1%

낮게 책정되었다. 따라서 향후 사육농가들은 직접적으로 사육두수를 확장하기보다 산란계 산란율 개선 등 간접적인 방법으로 사육두수를 조절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17년 미국산 닭고기 수출량은 전년대비 4% 증가한 69억 3,000만 파운드로 예측 되며, HPAI의 여파로 인한 수출 급감 이후 2년 연속 증가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된다. 하지만 HPAI로 인해 아직까지 대부분의 국외 시장에 있어 미국산 닭고기가 비 교우위를 점할 수 있는 영역은 한정되어 있다는 점과, 닭다리 살의 경우 교역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환율, 유가 등 거시경제 동향에 민감히 대처해야 한다는 점은 향후 미 국산 닭고기 수출에 있어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13)

2016년 미국 내 종합 도매시장14)의 파운드 당 육계 가격은 평균 0.84달러였으며, 2017년에는 0.82~0.87달러 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2017년 초반에는 닭고 기 수요 증가에 따라 육계 가격이 다소 오르겠지만, 중반 이후 안정세를 회복하고 후 반에는 생산량 증가에 따라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2.5. 칠면조 생산 전망

2017년 미국 내 칠면조 생산량은 전년대비 2% 가량 증가한 61억 2천만 파운드로 전 망된다. 2016년 상반기의 칠면조 가격이 HPAI 이전 수준을 회복함에 따라 농가들은 부 화란 및 사육두수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기 시작하였다.15) 하지만 칠면조 생산량이 증가 함에 따라 연말 재고량 역시 2012년 이래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결국 2017년 초반 칠 면조 가격의 하락으로 이어졌다. 이에 따라 2017년의 암 칠면조 가격은 HPAI 이전 수 준인 1.04~1.10달러/파운드로 2016년 평균(1.17달러)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되며, 향후 생산량 및 재고량 증가에 따라 지속적인 하향 압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13) 닭다리 살의 경우 자국 내 육계 생산량으로 자국 시장수요를 충족할 수 있겠지만, 타 국가와의 교역 상 유리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서는 유동적인 국제경기동향을 살펴야 할 것으로 판단됨.

14) National Composite wholesale.

15) 2017년 2월 1일 기준 미국 내 칠면조 부화란은 전년대비 10% 가량 증가하며 2008년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였으며, 부화한 새끼 칠면조 사육량도 전년대비 5% 증가하여 2013년 이후 가장 많은 사육두수를 나타내었음.

(19)

그림 6. 미국의 칠면조 사육두수 추이

단위: 백만 수

1월 3월 5월 7월 9월 11월

25 24 23 22 21 20 19

2015 2016 2017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2017년 미국의 칠면조 수출량은 전년대비 약 11% 증가한 6억 3천만 파운드로, 2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16) 아직까지 수입금지 조치를 유지하고 있는 중국의 여파로 미국의 칠면조 수출은 HPAI 이전 수준에 머물러 있으나, 향후 대량 공 급 및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소규모 국제 시장에 대한 미국산 칠면조 수출량은 증가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17)

2.6. 2017년 미국의 계란 생산 전망

2017년 미국 내 총 계란 생산량은 전년대비 약 2% 증가한 85억 5천만 다스(dozen)로 전망되고 있다.18) 또한 2017년 1월 1일 기준 갓 태어난 산란종계(egg-type hatching flock)가 전년대비 2% 가량 증가함에 따라, 2017년의 식용 계란 생산량 역시 전년대비 2% 증가한 74억 2천만 다스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더욱이 미국 내 육계 및 계란 수요가 확장됨에 따라, 당해년 종란(hatching egg) 생산량 역시 일정부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6) 미국의 칠면조 수출량은 2015년 HPAI의 여파로 전년대비 34% 감소(5억 2,900만 파운드)하였으나, 2016년 증가세를 회복한 이후 2017년에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17) HPAI 이전, 미국의 칠면조 수출에 있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은 중국이었음.

(20)

그림 7. 미국의 계란 생산 전망

단위: 10억 다스

2011 2013 2015 2017*

9.0 8.0 7.0 6.0 5.0 4.0 3.0 2.0 1.0 0.0

식용 부화용 주: *는 전망치.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하지만 산란계 사육두수 추이를 살펴봤을 때, 농가들은 사업 확장속도를 점차 늦추 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2016년 4월에서 9월까지의 산란계 증가율은 두 자릿 수를 기록한 반면 2016년 4/4분기에는 그 추세가 다소 둔화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림 8. 미국의 산란계 사육두수 추이

단위: 백만 수

1월 3월 5월 7월 9월 11월

320 310 300 290 280 270 260 250

2014 2015 2016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21)

2016년 미국의 일반 달걀 및 달걀 제품 수출량은 전년대비 11% 감소한 2억 7,900만 다스였다.19) 하지만 당해년 하반기의 계란 생산이 급증함에 따라 수출량 역시 전년 (2015년) 수준을 회복하였고, 2017년 미국의 계란 수출량은 전년대비 16% 증가한 3억 2,500만 다스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20)

2017년 뉴욕 도매시장21) 기준 계란 가격은 2016년 평균 0.85달러를 상회하는 0.93~0.98달러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과거 HPAI로 인한 수요 공급 간 불 균형으로 불안정했던 미국 내 계란 가격은 생산량이 점차 회복됨에 따라 안정성을 회복하고 있으며, 빠른 시일 내에 과거 전형적인 가격 패턴으로 회귀할 것으로 전망 되고 있다.

19) HPAI 이후 2016년부터 미국의 계란 생산량은 점차 회복되는 조짐을 보였으나, 여전히 가격은 높은 수준이었음.

20) 더욱이 HPAI가 발생하여 올해 초 미국의 신선란에 대한 수입을 허가한 우리나라 역시, 미국의 계란 수출량 증가에 일조할 것

(22)

참고문헌

Shayle D. Shagam. 2017. Outlook for Livestock and Poultry in 2017. USDA.

(23)

2017년 세계농업전망

USDA 농업전망 2017:

면화부문 *

유 은 영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초청연구원)

1. 서론

22)

미국 농무부(USDA)의 2017/18년1) 세계 면화 전망에서는 3년 연속으로 소비량이 생 산량을 초과하여, 세계적으로 과도한 면화 재고량이 약 600만 포까지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면화 가격이 작년(2016년)부터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고, 면화 재배 지역들이 이러한 가격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어, 면화 생산량은 2.4%

증가할 것이라 예상하였다. 이와 함께 면화 소비량도 안정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 다. 한편, 중국은 정부가 가지고 있는 잉여 재고량을 처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면화 생산과 수입을 제한하는 정책을 고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의 A-지수는 중 국 외의 국가에서 재고량이 증가할 것을 예상했을 때 예측되는 면화 가격으로, 1파운 드 당 약 5센트 하락하여 77센트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국의 2017/18년 면화 생산은 2년 연속 1,700만 포로 고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생산을 포기한 재배지와 생산량이 감소한 재배지까지 포함하여 전체 면화 재배면적 이 14%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을 기반으로 추정한 것이다. 국내 면화 처리 공장 이용

* (wordtime84@krei.re.kr). 본고는 USDA 2017 Agricultural Outlook의 Cotton Outlook 부분을 번역 및 정리함.

(24)

률은 2016/17년보다 약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수출과 재고 처리량도 늘어날 것 으로 예상된다.

그림 1. 2012/13년~2017/18년 세계 면화 생산량, 소비량, 가격

백만 포(bales) 생산량 소비량 A-지수 센트(cent)/파운드 140

130 120 110 100 90 80 70 60

100 90 80 70 60 50 40 30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2. 세계 면화 현황(2016/17년)

2.1. 생산

2016/17년 세계 면화 생산량은 전년대비 9% 증가하여 약 1억 540만 포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부분의 주요 지역이 생산량의 증가를 보였고, 또한 인도, 중국, 미국, 파키스탄 등의 생산량이 가장 많은 4개국에서도 생산량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 다. 2016/17년 세계 면화 경작지는 2억 9,300만 헥타르로 추정되며, 작년(2016년)에 비 해 4% 감소하였고, 2014/15년에 비해서는 14% 감소하였다. 세계 평균 단위면적당 생 산량은 1헥타르 당 784kg이고, 이보다 14% 정도까지 많이 생산되는 것도 가능할 것 으로 보인다.

인도의 2016/17년 생산량은 2,700만 포로 추정된다. 전 시즌에 비해 경지면적은 줄었 으나 생산성이 향상되어 전년도에 비해 2%가량 생산량이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세 계에서 가장 큰 생산자인 인도의 재배면적은 1,050만 헥타르로 추정되며, 이는 2015/16년에 비해 12% 하락한 수치인데, 면화를 재배하던 땅이 다른 작물 재배로 전

(25)

환되었기 때문이다. 인도의 2016/17년 면적당 생산량은 1헥타르 당 560kg이며, 이는 유리한 몬순기후와 병충해 문제가 줄어들어 2015/16년 비해 16% 상승한 수치이다.

그림 2. 2015/16년 대비 2016/17년 주요국의 생산량 변화 추정 백만 포(bales)

5

4

3

2

1

0

프랑 존 인도 터키

멕시코 아르헨티나

중앙아시아 이집트 중국 브라질 파키스탄 호주 미국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파키스탄은 2016/17년에 770만 포를 생산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전년도에 비해 10% 증가한 수치이다. 하지만 1998/99년 이래도 두 번째로 가장 적은 생산량이다. 파 키스탄의 2016/17년 경지면적은 1985/86년이래도 가장 낮은 240만 헥타르로 추정되지 만, 2015/16년에 발생했던 병충해 문제에서 올해는 대부분 벗어나 생산성은 많이 향 상되었다.

호주는 수자원 활용 능력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높아진 경지들로 인해 2016/17년 생 산량이 73% 상승하여, 450만 포까지 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브라질과 그 외 남반구 생산 국가들의 생산량도 2015/16년에 비해 생산성이 향상되어 약 10%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프랑 존 아프리카도 투입물의 효율성이 향상되어 전년대비 17% 상승 한 490만 포의 생산량이 예상된다. 중앙아시아의 경우, 특히 우즈베키스탄의 생산성 이 하락하여 생산량이 전년대비 4% 하락한 570만 포가 예상된다.

중국의 2016/17년 생산량은 2,250만 포로 추정되고, 이는 전 시즌에 비해 2% 증가한 수치이며, 2012/13년 이래로 가장 많은 생산량이다. 그동안 동쪽 면화지역의 지속적인 생산량 감소가 신장위구르자치구의 높은 생산량에 의해서도 상쇄되지 못하고 있었 다. 그럼에도 중국은 인도의 뒤를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생산자로서의 입지를

(26)

이어왔다. 중국의 2016/17년 재배면적은 290만 헥타르로 추정된다. 앞으로 중국의 면 적당 생산량은 신장위구르자치구의 생산 면적이 더 넓어지고 생산성도 향상되면서 헥타르당 1,719킬로그램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중국은 소비량이 생산량을 초과함에 따라 2016/17년 두 해에 걸쳐 재고량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감소한 재고량보다 많은 물량이 여전히 재 고로 남아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량은 2013/14년부터 2015/16년 사이에 급격히 감 소하다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수입량은 계속해서 기본적인 WTO 관세율 쿼터인 410만 포(89만 4,000미터 톤) 수준으로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경매 프로 그램을 2017년 3월부터 8월 31일까지 운영한다고 밝혔다.

충분한 공급량 덕택에, 전 세계 면화 평균 소비량을 초과하는 중국의 소비량을 충 당할 수 있었다. 중국의 면화 소비량은 전년대비 3.6% 증가하였다. 하지만 2007/08년 에 달성한 수치보다 여전히 29% 낮다. 지난 시즌에는 정부가 비축해둔 면화가 풀리 면서, 실제 수입의 일부분을 대체하였다. 같은 기간 동안, 정부가 국내 면화 처리 공 장을 늘리는 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전체 면화 소비량에서 신장위구르자치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약 10% 가량 증가시키기도 하였다.

단위 2015/16 2016/17 변화량(%)

재고량 백만 포 66.9 58.2 -13.0

생산량 백만 포 22.0 22.5 2.3

수입량 백만 포 4.4 4.5 2.1

전체 공급량 백만 포 93.3 85.2 -8.7

소비량 백만 포 35.0 36.3 3.6

수출량 백만 포 0.1 0.1 -21.9

면화 사용량 백만 포 35.1 36.4 3.5

재고 처리량 백만 포 58.2 48.8 -16.1

국가 비축량 백만 포 43.9 32.0 -27.1

사용량 대비 재고량 % 165.7 134.4 -18.9

세계 재고량에서 차지하는 비율 % 60.1 54.3 -9.7

표 1. 중국의 면화 공급량과 소비량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27)

2.2. 소비, 재고, 무역, 가격 전망

세계 면화 소비는 2016/17년에 1.1%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어 11억 2,500만 포가 소 비될 것으로 보인다. 인도에서는 소비량이 2% 가량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화폐 통용금지정책2)과 함께 동아시아와 개발도상국에서 장기간 동안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와 맞물린 결과이다. 하지만 인도에서의 소비량 감소는 베트남과 방글라데 시에서 각각 10%와 16% 가랑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일부분 상쇄될 수 있을 것으 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중국 밖에서의 소비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에서의 소비 증가세는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보여, 2016/17년에서는 지난 시즌에 비 해 3.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직물과 의류 상품에 대한 중국 국내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또한 중국 내에서의 국내 실과 수입 실 간의 가격 차이가 줄어들면서 수입 실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국내 수요가 증가하는 데 있어서 국가의 지원에 따른 신장위구르자치구의 면화 처리 공정 능력의 가파른 향상 도 큰 몫을 하고 있다.

단위 2015/16 2016/17 변화량(%)

재고량 백만 포 111.7 96.8 -13.3

생산량 백만 포 96.5 105.4 9.3

수입량 백만 포 35.2 35.7 1.5

전체 공급량 백만 포 243.4 238.0 -2.2

소비량 백만 포 111.3 112.5 1.1

수출량 백만 포 35.3 35.7 1.3

면화 사용량 백만 포 146.5 148.3 1.2

재고 처리량 백만 포 96.8 89.9 -7.2

소비량 대비 재고량 % 87.0 79.9 -8.2

표 2. 세계 면화 공급량과 소비량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세계 면화 무역 규모는 약 3억 5,700만 포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인도에서는 국내 제품의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수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고, 파키스탄과 터키 의 적은 수입량을 베트남과 방글라데시가 상쇄해주면서, 지난 시즌의 생산량 감소가

2) 2016년 11월 8일부터 발효된 인도의 화폐개혁의 일환으로, 고액권 화폐의 사용을 금지하는 정책임. 인도 정부는 고액권이 테

(28)

이번 시즌에는 회복하는 추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호주의 생산량 회복에 따라 이들의 수출은 증가하는 반면, 다른 면화 수출 국가들은 수출량이 오히려 줄어 들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수입정책에 변화가 없다면, 수입량은 작년(2016년)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 재고량은 690만 포가 줄어들어 8,990만 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즉, 세계 소비 량의 80%가 세계 재고량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중국 외의 국가에서의 재고량은 250만 포가 증가하여 4,110만 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면화 가격 지표인 A-지수는 2016/17 년에 평균 82센트로 지난 시즌에 비해 11.6센트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3. 미국 면화산업 현황(2016/17년)

3.1. 재배면적과 생산량

미국의 2016/17년 전체 면화 생산량은 1,700만 포로 추정되며 이는 전 시즌에 비해 거의 32% 증가한 수치이다. 면화 재배면적은 2016년에 17% 확대되었는데, 이는 다른 대체 작물에 비해 비교적 면화 가격이 호전되었기 때문이다. 전체 재배면적은 1,010 만 에이커로, 1983년 이래로 가장 적은 재배면적에서 거의 150만 에이커가 회복된 것 이다. 미국의 2016/17년 단위면적당 평균 생산량은 평균 에이커 당 855파운드이며, 이 는 2012/13년 이래로 가장 높은 수치이다. 고지대에서는 1억 6,400만 포가 생산되고 있어, 에이커 당 평균 844파운드를 생산해낸다고 볼 수 있다. 이 생산량은 2015/16년 보다 대략 400만 포 높은 수치다. 초장면3) 생산량은 55만 8,000포로, 29% 증가하였다.

단위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재배 면적 백만 에이커 12.3 10.4 11.0 8.6 10.1

수확 면적 백만 에이커 9.3 7.5 9.3 8.1 9.5

유휴지 비율 % 24.0 27.5 15.3 5.9 5.5

수확 면적 당 생산성

에이커 당

파운드 892 821 838 766 855

생산량 백만 포 17.3 12.9 16.3 12.9 17.0

표 3. 미국의 면화 재배지역, 유휴지, 생산성, 생산량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3) 섬유의 길이가 길고 가늘며 광택이 있는 고급면을 의미함. 면섬유는 산지에 따라 섬유의 길이가 다른데, 일만 면섬유 길이가 26~27mm이고, 초장면은 최소 34mm임.

(29)

지난 시즌과 비교해보면, 2016/17년의 고지대 면화 생산량은 면화 주산지의 각 지 역에서 높아졌다. 서남부의 고지대 면화 생산량은 거의 39% 증가하여 840만 포였고, 이는 전체 미국 고지대 생산량의 52%에 해당한다. 서남부의 휴경지는 비교적 낮은 8% 정도이고, 생산성도 높아져 에이커 당 738파운드를 생산하고 있다.

남동부의 면화 생산량은 2016/17년에 약간 높아져 380만 포이다. 경작지 면적은 2009년 이래로 최저 수준까지 감소하였는데, 이는 주로 옥수수 재배지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휴경지가 비교적 적은 편이기 때문에, 에이커 당 862파운드라는 평 균 이하의 생산량에도 불구하고 2015/16년의 생산량에서 크게 변동이 없었다. 미시시 피 삼각주 내의 면화 생산량은 전년도에 비해 130만 포가 증가하여 330만 포이다. 삼 각주의 재배면적은 가장 면적이 적었던 98만 5,000에이커 보다 2016년에는 50만 에이 커가 더 확대되었다. 높아진 생산성과 함께, 삼각주의 생산량은 근 4년 동안 가장 높 은 수준에 도달하였다.

서부의 고지대 면화 재배면적은 거의 근 100년 동안 가장 적었던 전년도 면적 17만 1,000에이커에서 2016년에는 23만 3,000에이커까지 증가하였다. 관개 공급이 증가함 에 따라 에이커 당 1,586파운드라는 생산량을 기록하였고, 고지대 생산량도 47% 상승 되어 74만 포가 생산되었다. 서부에 초장면을 생산하는 재배면적은 25% 상승하여 17 만 7,500에이커이다. 높은 생산성은 초장면 생산량도 함께 증가시켜 52만 5,500포가 생산되었다. 결과적으로 서부의 전체 면화 생산량은 2015/16년에 90만 7,000포에서 130만 포까지 증가하였다.

그림 3. 미국 지역별 면화 생산량

단위: 백만 포 9

8 7 6 5 4 3 2 1 0

2013/14 2014/15 2015/16 2016/17

남동부 델타 주 남서부 서부

(30)

단위 2015/16 2016/17 변화량(%)

재고량 백만 포 3.7 3.8 4.1

생산량 백만 포 12.9 17.0 31.6

수입량 백만 포 0.0 0.0 -69.7

전체 공급량 백만 포 16.6 20.8 25.3

공장 사용량 백만 포 3.5 3.3 -4.3

수출량 백만 포 9.2 12.7 38.8

전체 사용량 백만 포 12.6 16.0 27.0

재고 처리량 백만 포 3.8 4.8 26.3

재고량 대비 사용량 % 30.2 30.0 -0.7

농장 가격 센트/파운드 61.2 69.0 12.7

표 4. 미국 면화 공급량과 수요량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3.2. 미국의 면화 소비, 재고, 무역 및 가격

미국의 2016/17년 동안의 목화 처리 공장에서의 면화 사용량은 330만 포로 예상되 며, 이는 2015/16년에 비해 4% 낮은 수치이고 2011/12년 이래로 가장 낮은 수치이다.

앞으로 연속해서 두 번의 시즌동안 면화 처리 공장에서의 사용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면화의 시장점유율이 계속해서 폴리에스테르 섬유에게 자리를 빼 앗기기 때문이다. 2016/17년의 처음 5개월 동안은 면화 처리 공장 사용량이 140만 포 로 예상되고, 이는 1년 전의 수준보다 약간 낮은 수치다. 섬유가격이 면화에 비해 폴 리에스테르에 유리하게 변화면서, 미국 면화 처리는 2016/17년 하반기에도 현재의 수 준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소비자들의 직물과 의류 상품 소비량은 세계 경제 상황에 따라 변한다. 미국 GDP 성장이 2016년에 주춤하자, 전체 미국 섬유 상품 수입이 2015년에 비해 1.5% 감 소하였다. 그러나 인공섬유 상품은 계속해서 전체 수입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 다. 2016년 미국 면화 직물과 의류의 수입이 3% 하락하였지만, 인공섬유 상품은 1%

만 하락하였다. 또한 비교적 가격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미국의 면화 상품 수 입의 점유율을 2015년 45%에서 44%으로 감소시켰다. 2016/17년 초기 5개월 동안은, 면화의 점유율이 2015/16년의 같은 기간에 비해 약간 낮았다.

(31)

그림 4. 미국 직물 수입량에서 면화의 점유율

단위: % 60

55 50 45 40 35 30 25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8월~10월 8월~10월

2015/16 2016/17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한편, 미국 면화로 만든 상품 수출량은 2016년 동안 7% 하락하였고, 이는 2012년 이래로 가장 낮은 수치이다. 결과적으로 미국의 2016년 국내 면화 소비량(국내 면화 처리 공장 사용량과 순수입량을 합하여)은 1,760만 포로 추정되며, 2015년 1,810만 포 에 비해 낮은 수치다. 미국의 1인당 면화 소비량은 2016년 한 해 동안 대략 1파운드 하락하여 2014년도와 비슷한 26파운드인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의 2016/17 동안의 면화 수출량은 1,270만 포로 예상되며, 이는 2015/16년에 비 해 거의 40% 증가한 수치이다. 가파르게 증가하는 수출 흑자, 향상된 품질, 그리고 인 도, 브라질, 중앙아시아 등의 주요 수출국의 경쟁 약화 등은 면화의 세계시장에서의 미국의 입지를 강화하였다. 이에 따라 향후 6년 안에 미국은 세계 면화 무역시장에서 최대 수출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수출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에도 불구하고, 재고량은 100만 포가 늘어난 480만 포로 전망되며, 이는 2008/09년 이 래 가장 높은 수치이다. 평균 가격은 파운드 당 69센트로 지난 시즌의 가격인 61.2센 트에 비해 높아질 전망이다.

(32)

그림 5. 미국 국내 면화 소비량: 전체, 1인당 소비량 전체 1인당 소비량

백만 포(bales) 파운드 25

20 15 10 5 0

40 35 30 25 20 15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4. 세계 면화산업 전망(2017/18년)

4.1. 생산전망

세계 면화 생산량은 2017/18년에는 2.4% 증가한 1억 800만 포가 될 것으로 예상된 다. 남반구의 재식시기에 가격이 우호적이었기 때문에, 면화 재배면적은 거의 6% 증 가한 3,100만 헥타르가 예상된다. 미국은 전년도와 동일한 수준의 생산량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되며, 인도, 중국, 호주의 생산량은 눈에 띄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최대의 면화 생산국인 인도는 2016/17년에 비해 100만 포 가량 생산량이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며, 재배면적도 1,150만 헥타르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에 반해 생산성은 다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생산량 증가는 인도에서의 면화 가격 경쟁을 심화시킬 것이다. 중국의 생산량도 역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 이는 신장위구르자치구의 성장이 지속되는 동안 동쪽 면화 지역도 함께 안정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파키스탄의 생산량은 2015/16년에 병충해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한 이후, 그 전만큼 충분히 회복될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 하지만 2017/18년에는 경작 지역이 약간 회복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생산성은 2016/17년에 비해 변화가 없을 것이지만, 재배지 역에서 농부들이 병충해로 고통을 끝내고 다시 면화생산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3)

그림 6. 2016/17년 대비 2017/18년의 세계 생산 변화량 백만 포(bales)

터키 1.5

1.0

0.5

0.0

-0.

5

중앙아시아 프랑 존 이집트 그리스 멕시코 파키스탄 호주 중국 인도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호주에서는 관개시설이 전년도 수준보다 확충되면서, 높은 생산성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터키는 2016/17년에 높은 생산성을 보였으나 다시 평균 수 준으로 돌아오면서 생산성 감소가 예상된다. 그리고 중앙아시아의 주요한 생산국들 은 점점 면화 생산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USDA의 중국 전망은 2017/18년에 중국의 정책이 전반적으로 변하지 않고, 생산량 과 소비량이 증가하고 재고량이 감소한 상황을 가정한 상태에서의 전망이다. 중국의 생산량은 연속해서 두 시즌 동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동쪽지역의 생산이 대체적으로 안정되고 신장위구르자치구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7 년과 2018년의 정부 비축량 판매 패턴이 2016년과 비슷하다고 가정한다면, 중국의 비 축량은 2017/18년 하반기까지 비축량 최대치였던 5,300만 포의 40%가 넘게 감소할 가 능성이 있다. 비축량이 감소하는 것은 2018/19년에 중국의 수입 정책이 좀 더 자유로 워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34)

단위 2016/17 2017/18 변화량(%)

재고량 백만 포 58.2 48.8 -16.1

생산량 백만 포 22.5 23.0 2.2

수입량 백만 포 4.5 5.0 11.1

전체 공급량 백만 포 85.2 76.8 -9.8

소비량 백만 포 36.3 37.0 2.1

수출량 백만 포 0.1 0.1 0.0

면화 사용량 백만 포 36.4 37.1 2.1

재고 처리량 백만 포 48.8 39.7 -18.6

국가 비축량 백만 포 32.0 22.0 -31.2

재고량 대비 사용량 % 134.4 107.1 -20.3

표 5. 중국의 면화 공급량과 소비량 2017/18년 예측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4.2. 소비전망

세계 면화 소비량은 2017/18년에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도 에 비해 1.3% 향상된 수치로 1억 1,400만 포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소비 량은 3년 연속으로 세계 평균 소비량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 3,700 만 포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외의 다른 국가들에서는 소비량이 그보다는 천천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외의 서아시아는 3년 연속으로 면화 소비량 감 소를 경험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방글라데시 외의 남아시아는 비교적 완만한 상승 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파키스탄과 인도 모두 2015/16년에 소비 상승을 보였으 나, 다시 2016/17에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IMF에서 2018년에 세계 소득이 향후 7년 안에 3.6%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고, 중국의 소비가 2017/18년에 서서히 다시 오르면서, 인도와 파키스탄의 소비도 약간은 함께 오를 것으로 예상하였다.

폴리에스테르에 비해 면화 가격이 높아져 2016/17년에 면화 소비에 제약이 되었지 만, 2017/18년에는 면화가격이 떨어지면서 면화와 폴리에스테르의 가격 경쟁에서 면 화에 유리한 방향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 2009년에서 2012년의 시즌동안 면화는 세계의 섬유 소비 시장에서 점유율을 빼앗기며 전례 없는 혹독한 시간을 보냈다. 그 러던 중 중국의 직물산업이 면화 실을 활용한 생산에 대대적으로 참여하였다. 중국의 이러한 움직임은 세계 섬유 활용에서 면화의 점유율을 다시 회복할 수 있는 긍정적

(35)

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의류 생산이 증가하면서 면화뿐만 아니라 모 든 섬유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면화의 소비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7. 세계 면화 소비량과 경제 성장률

%,면화 %,GDP 15

10

5

0

-5

-10

-15

8 7 6 5 4 3 2 1 0 -1 -2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그림 8. 면화/폴리에스테르 가격 비율

섬유가격 비율 섬유시장 점유율 변화(%)

Fiber price ratio

1.8 1.6 1.4 1.2 1.0 0.8 0.6 0.4

-4 -3 -2 -1 0 1 2 3

Fiber share change (%)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A 지수/폴리에스테르 면화의 섬유시장 점유율의 연간변화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36)

4.3. 무역, 재고, 가격전망

2017/18년의 세계무역량은 2016/17년과 비슷한 수준의 3,550만 포로 예상된다. 중국 의 수입량이 약간 상승하지만 파키스탄은 국내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입량은 감 소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수출국들의 대량공급과 함께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의 재고 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A-지수는 2016/17년보다 5센트 떨어져, 파운드 당 77센트 정도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단위 2016/17 2017/18 변화량(%)

재고량 백만 포 96.8 89.9 -7.2

생산량 백만 포 105.4 108.0 2.4

수입량 백만 포 35.7 35.5 -0.7

전체 공급량 백만 포 238.0 233.4 -1.9

소비량 백만 포 112.5 114.0 1.3

수출량 백만 포 35.7 35.5 -0.7

면화 사용량 백만 포 148.3 149.5 0.8

재고 처리량 백만 포 89.9 83.9 -6.7

중국 재고량 백만 포 48.8 39.7 -18.6

소비량 대비 재고량 비율 % 79.9 73.6 -7.9

표 6. 세계 면화 공급량과 수요량의 2017/18년 예측

자료: 미국 농무부(USDA) 농업전망(2017).

5. 미국의 면화산업 전망(2017/18년)

5.1. 생산전망

미국농무부의 2017년 초반에 대한 예측에서는 미국 면화 재배 면적이 1,150만 에이 커로 2016년에 비해 14% 상승할 것으로 보았다. 재배지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면화 재배 지역 면적은 옥수수와 콩의 가격에 대한 면화의 상대가격이 어떠한지와 연관성 이 깊고, 또한 면화를 심는 시기에 텍사스 고지대 평지의 흙의 습도와도 연관이 깊다.

현재 예상되는 목화의 가격은 2016년 봄의 가격보다 25% 정도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기간 동안 콩의 가격은 15% 상승하였고, 옥수수의 가격은 미미하게 상승했다.

남서부의 면화 농부들은 2016년에 가격은 높고, 재배유휴지는 적고, 생산성은 높은 등의 긍정적인 상황으로 돌아왔고, 2017년에는 풍부한 겨울 강수량 덕분에 극서부 지

(37)

방의 관개공급도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농무부의 예상 재배면적은 최근 전국 면화협의회(National Cotton Council, NCC)조사보다 4% 높았다.

지난 2월 11일에 발간된 NCC의 예측조사결과에서는 재배면적을 1,100만 에이커라 고 밝혔다. 조사응답자들은 4개의 면화 벨트지역 중 3개의 지역에서 고지대의 면화 재배지가 증가할 것으로 답했다. 남동부는 면화재배 면적이 2016년도와 비슷한 수준 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델타 주에 대해 NCC조사는 옥수수 재배 비용으로 면화 재배 가 이루어져 면화재배가 13%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처럼 곡물 재배지가 면화재 배로 변경되어 남서부의 면화 재배 면적은 11%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부에서는 고지대 면화 지역이 15%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특히 애리조나 주에서 곡물 재배지를 면화재배로 변경할 것이라는 응답이 많이 나왔기 때문이다. 또한 서부의 초 장면을 재배하는 면적은 다른 대체품의 가격 경쟁력이 낮아지고, 물 공급이 원활해지 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여기에 더해, 미국 농무부는 면화재배면적이 NCC조사결과에서 나온 수치보다 더 많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 이유는 NCC조사가 이루어진 기간 이후, 2017년 2월의 면화의 미래가격이 5% 가량 상승했기 때문이다. 미국 농무부에서 발간한 생산 자의 재배의도에 대한 설문조사는 2017년 3월 초에 수행될 예정이며, 2017년 3월 31 일에 발간될 예정이다.

미국 농무부의 예측으로는, 1,150만 에이커의 면화재배지에서 1,000만 에이커 정도 의 수확지가 확보될 것이고, 이러한 수치는 2016년보다 5% 높은 수치이다. 국제 유휴 지 예상 비율은 13%로, 이는 지역의 오랜 기간 동안의 평균치로 산출된 결과이다. 하 지만 이 예상 비율은 남서부를 제외한 것이다. 남서부의 유휴지 비율은 너무 다변적 이기 때문에 남서부의 상황이 미국의 면화재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농무부는 지역의 평균 생산성을 에이커당 816 파운드로 예상하였다. 2017/18년

단위 2016/17 2017/18 변화량(%)

재배 면적 백만 에이커 10.07 11.50 14.2

수확 면적 백만 에이커 9.52 10.00 5.0

유휴지 비율 % 5.5 13.0 236.4

수확 면적 당 생산성 에이커 당 파운드 855 816 -4.6

생산량 백만 포 16.96 17.00 0.2

표 7. 미국의 면화 재배지역, 생산성, 생산량의 2017/18년 예측

참조

관련 문서

본고는 REDD+관련된 국제 논의 흐름을 조명하는데 집중하고자 한다. 그리고 REDD+ 체제 완성을 위해 향후 논의되어야 할 의제와 이에 대한 서로 다 른 의견을

매년 참여를 원하는 회원국들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 Commission)에 비축물량 중 이용 가능한 한도 내에서 필요량만큼 신청한다. 또한 고 령층이나 장애인의

또한 각 도도부현 이나 시정촌(市町村)에서 실시하고 있는 농업연수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학교에서 본격적으로 취농에 대해 학습하고 싶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고추 와 중국산 고추를 일부 혼합한 고춧가루 제품을 우선 중점적으로 수출하여 우리나 라가 수출하는 고춧가루 상품에

미국의 경우, 통조림에 대한 소비 지출액은 증 가하지만 전체 과일과 채소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추세는

기후허브의 주요 역할은 첫째, 지역의 특성에 알맞은 정보와 기술을 개발하여 농업 및 천연자원 관리자와 지역사회에 보급하고 , 둘째, 미국 농무부 산하

생산자의 정보와 소비자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연동되면, 소비자는 생산자에게 자신 의 요구(needs)를 그대로 전달할 수 있고 이에 가장 잘 부합하는 생산품을 선택하는

1990년에 유럽연합(EU)은 소에 대한 일반적인 구제역 예방백신 접종을 중단하기 로 결정하였으며, 이는 남미지역의 축산물 수출 국가들이 구제역 종식을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