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새로운 질서의 모색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새로운 질서의 모색"

Copied!
2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새로운 질서의 모색

• 17-18세기 유럽은 중세봉건사회를 넘어서는 새로운 사 회질서를 모색

• 17세기 과학혁명과 18세기 계몽사상을 거치면서 19세기 근대사회 탄생

(2)

과학혁명

• 과학의 탄생

17세기 유럽에서는 근대과학의 개념적, 방법론적, 제도 적 토대가 처음 수립되기 시작했고 이 시기를 과학혁명 의 시대라고 부른다.

• 배경: 중세 기독교 사회질서의 균열, 대항해 시대

• 과학혁명의 영향

과학 분야만이 아니라 사람들이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 세계에 대한 인식에도 큰 영향을 주었고 더 나아가 사회 전반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3)
(4)

코페르니쿠스

• 과학 혁명의 중간적 존재: 사상 그 자체에서 만족

•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1543)

• 천동설(프톨레마이오스) -> 지동설

• 당시 많은 이들이 천동설을 의심

• 하지만 지구가 돈다면 왜 사람들은 아무런 느낌이 없는 걸까?

(5)
(6)

프랜시스 베이컨

• “아는 것이 힘이다”

• 학문의 새로운 방법론 정립

• <신기관>(1620)

• 아리스토텔레스의 연역법(삼단논법) 비판

• 관찰과 실험을 통해서만 유용한 지식 생산

• 이를 위해서는 먼저 기존의 편견 제거

• 그리고 귀납적 방법론 적용

(7)

네 가지 우상(편견)

• 종족의 우상: 인류라는 종에 뿌리박고 있는 습성

• 동굴의 우상: 자기만의 동굴에 갇혀 넓게 보지 못하는 것

• 시장의 우상: 언어의 부당한 사용에서 생김

• 극장의 우상: 권위나 전통을 맹목적으로 신뢰

(8)

귀납법

• 관찰 -> 가설 -> 실험(검증)

•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결과가 나와야 한다

(9)
(10)

르네 데카르트

• <방법서설>(1637)

• 비판정신: “모든 것을 의심하라”

Cogito ergo sum 나는 생각 한다, 그럼으로 나는 존재 한다

(11)
(12)

아이작 뉴턴

• 과학혁명의 완성자

• 직접 실험을 통해 자신의 의문을 해결: 진정한 과학자

• <프린키피아>(1687)

• 자연을 수학으로 표현

• 만유인력의 법칙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거 리의 제곱에 반비례

(13)

운동에 관한 기본 법칙

• 관성의 법칙

• 힘과 가속도의 법칙

• 작용 반작용의 법칙

(14)

과학과 사회

• 1703년 영국왕립협회 회장

• 왕립협회: 과학자들의 자유로운 학문 공동체

• 과학의 사회적 활용성 / 국가의 투자를 주장

(15)
(16)

기계론적 자연관

• 과학혁명의 주역들은 자연을 잘 만들어진 하나의 기계처 럼 인식

• 외부적 초월성과 단절하고 내적 법칙, 합리성의 탐구를 지향

• 기계론적 자연관의 양면성 - 신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었 지만 신을 배제하는 방향으로 나아감

• 기계론적 자연관은 17세기 홉스, 로크 등의 정치사상가, 18세기 계몽주의자들에게도 영향

(17)

홉스와 로크

• 과학혁명의 영향을 받은 근대 정치사상가들의 등장

• 국가란 무엇인가?

• 사회계약론과 자유민주주의의 탄생

(18)
(19)

<리바이어던>(1651)

(20)

홉스의 사회계약론

• 자연상태 – 평등하고 자유로운 상태, 그러나 만인의 만 인에 대한 전쟁상태

• 사회계약(권리의 양도)을 통해 국가의 성립

• 개인 –> (사회계약) -> 시민

• 자유주의와 전체주의의 기원

자연권, 이성, 사회계약 – 자유주의 국가의 절대권력 - 전체주의

(21)
(22)

자유민주주의의 등장

• 존 로크, <통치론>(1689)

• 자연상태 – 평화롭지만 권리의 보장이 불완전

• 자연권: 생명의 권리, 자유의 권리, 사적 재산의 권리

• 소유권 – 노동의 결과

• 사회계약에 기반 한 국가, 그러나 최소한의 권력(작은 정 부), 개인들의 권리를 최대한 보장

• “나쁜 정부”에 대한 저항권

(23)

이성과 주체

• 근대는 계몽의 시대: 이성, 주체, 진보의 시대

• Enlightenment, Lumières

• 이성의 빛으로 무지와 미신을 타파하고 합리적이고 이성 적인 사회를 지향

• 18세기 프랑스에서 등장

• 17세기 과학혁명과 정치사상의 영향

• 낡은 봉건 질서, 특히 기독교에 대한 비판

• 내부의 다양한 정치 성향들

(24)

계몽사상

• 몽테스키외 - 삼권분립

• 볼테르 – 기독교 비판, 관용(tolerance, 장 칼라스 사건)

• 디드로 – 백과사전 편찬

• 콩도르세 - 진보

• 루소 – 인민들에 의한 직접 민주주의 주장

• 유럽 각지에 계몽사상 전파

(25)

계몽이란 무엇인가?

• 프랑스 계몽사상은 독일 관념론에 큰 영향

• 임마누엘 칸트, <계몽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변>(1784)

• “계몽이란 인류가 미성숙에서 성숙으로 나아가는 것”

• 성숙이란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결정하고 그 결과에 책임을 지는 것” -> 주체

• 인간은 이성적 존재

• 우리는 여전히 계몽의 과정에 있다

(26)

1789년 프랑스혁명

• 계몽사상의 승리

• 시민혁명 -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

• 개인의 권리, 주체로서의 인간 선언

• 자유, 평등, 우애

• 가장 과격한 방식으로 근대사회의 새로운 질서를 제시

• 혁명 이후 19세기 근대 부르주아사회의 전면적 등장

(27)

계몽사상 비판

• 20세기 두 차례의 세계대전 이후 계몽에 대한 회의 등장

• 이성은 진정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었는가?

• 도구적 이성

• 계몽의 미완인가 계몽 자체의 문제인가

• post-modernism의 등장

참조

관련 문서

동 방정교회는 7개의 공의회만을 에큐메니컬 공의회로 인정하고, 로마 가톨릭 교회는 동방교회와 서방교회를 영원히 갈라놓은 1054년의 분열 전에 열렸 던

- 복식에도 이전의 과도한 장식적 화려함 보다는 인간 본연의 자연미 추구 - 여성 인체에 만족스런 기하학적인 형태와

approach)을 통한 해결

자연과학은 ‘엘로힘’이 마련해 놓으신 것을 원재료로 삼아 연구하는 학문이며, 올바로만 수행 된다면 자연과학을 통해서 권능의 하나님, 질서의 하나님, 합리적인 하나님,

그러나 분명한 것은, 현재 농업 분야에서 가족농 형태의 농가와 영 농조합법인, 기업농 등 다양한 형태의 전문 경영체가 출현하고 있으며 이들 전문 경영체의

콜럼부스의 신대륙 발견은 여러 가지 사회 · 경제적 조건에 더해서 콜럼부스라는 탁월한

일본 불교문화의 대표적인 특징은 선사상의 확립이었으며,일본 차문화의 대표 적인 특징은 선사상의 영향을 받은 와비사상이었고,일본 정원문화의 대표적인

, 는 사람들이 여전히 존재하는 한 근대의 모순을 건너뛰는 유토피아적 탈근대 기획은 실패한 기획이 , 다 이런 와중에 백낙청만큼은 탈식민주의을 통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