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간호사의부검의필요성에대한인식도및태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간호사의부검의필요성에대한인식도및태도"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간호사의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및 태도

이 미 화1

홍 해 숙2

1경북대학교 수사과학 대학원 법의간호학 전공,2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Nurses' Attitude and Awareness for The Necessity of An Autopsy

Lee, Mi Hwa

1

․ Hong, Hae Sook

2

1

Department of Forensic Nursingssor Graduate School of Forensic investigative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ro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nurses' attitude and awareness about the necessity of an autopsy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forensic education and the new approach to an autopsy. Methods: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to 232 nurses in D city and G city from April 22, 2011 to April 29, 2011. Then, the statistics program SPSS 18.0 was used in analyzing the questionnaires' result.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nurses realize the necessity of an autopsy well, and their attitude to an autopsy was relatively positiv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for the necessity of an autopsy according to the Nurses' gener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attitude depends on whether the nurses got married or not and funeral procedure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and the attitude. Conclusion: The better the nurses understand the necessity of an autopsy, the more positive the nurses' attitude is. Thus, professional and systematic forensic education in nursing college are required to establish correct perception of an autopsy.

Key words: Autopsy, Awareness for The Necessity of An Autopsy, Attitude toward autopsy

연구의 필요성 1.

부검은 사체를 해부하여 죽은 원인을 검사하여 확인하 는 작업이다 따라서 정확한 사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 서 부검이 필요한 것이다 죽음의 정확한 조사로 국민의 . 죽음이 범죄 행위로 인한 것이라면 피해자를 식별하고 정 확한 사망원인을 규명하며 사고로 인한 사망의 경우에도 정확한 사인규명을 통해 사고 원인을 조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재발을 막는데 필요하다 또한 유전적 소인을 알게 . 되어 가족의 질병을 예방한다 (Yang et al, 2004). 이외에도

대량재난사고 보험사고 교통사고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 , , , 등 모든 죽음에 대하여 정확한 사인규명을 함으로써 국민 의 정당한 권리를 찾아주며 추가적인 피해를 예방하고 , 나아가 죽음과 관련된 정확한 자료를 통하여 효과적인 국 민건강 보건 및 의학발전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 등 공 , 공의 이익을 위한 현대적 기능까지 담당할 것을 요청 받 고 있다 (Lim et al, 2003). 하지만 부검을 꺼리는 경향으 로 인해 타살로 인한 사망이 자살로 판명되어 타살이 발 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진단되지 않은 질병들이 간과되어 유족들에게 이행되는 보험금이나 유전되는 질병을 알 수 없게 될 수 있다 또한 유족들의 법적권리에 대해 관심도 . 높아지고 한층 지식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부 .

주요어 :부검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부검에 대한 태도,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Hong, Hae Sook

College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01, Dongin-dong, Jung-gu, Daegu-city, 700-422, Korea.

Tel : 82-53-420-4932, Fax : 053-421-2758, E-mail : hshong@ knu.ac.kr

(2)

검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Seo, 2005). 또한 죽음에 대하여 좀 더 세밀히 조사함으로써 가해자에 대한 수사와 기소를 위한 형사상 절차에 필요하기도 하며 사망에 관한 정확한 조사는 보험 연금 유언 상속 등의 많은 민사상 절차에 , , , 도 필요하며 사망 원인에 따른 사망 통계와 원인 분석을 통하여 국민 보건 의료 정책수립과 재발방지를 위한 여러 행정정책 수립에도 기여함으로써 미래 지향적인 지역사회 를 만들 수 있다 (Park, 2003). 이렇듯 사회가 급변하게 발 전하면서 부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실제로 우리 나라 연간 사망자수는 연간 25 만 명으로 2008 년에는 약 24 만 6 천명이 사망하였고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SO, 년도 기준으로 경찰에 신고 된 명의 변

2008), 2007 26,394

사자에서 부검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죽음 중 실제 부검 을 시행한 건수는 6.3% 로 선진국에 비하여 너무 낮은 수 치이다(Yang et al, 2004).

최근 국내에서는 부검이 요구되는 자살 타살 의문사 , , , 의료사고 등이 줄어들지 않고 있으며 (Oh, 2011) 점점 부 검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의료인의 역할이 많 . 은 영향을 미치는데 부검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의사는 가족에게 부검을 허락해 줄 것을 요청 할 수 있다 하지 . 만 Dziobon, Roberts 와 Benbow (2000) 은 임상의 환경에서 환자는 자신의 상태를 의사와 이야기하는 것보다 간호사 와 이야기하는 것이 더 편하고 수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고 하였다 이렇듯 환자들은 부검을 결정하는 데 있 . 어서 간호사와 이야기하는 것을 더 편하게 느낄 지도 모 른다 또한 의료인의 많은 수를 차지하는 간호사는 임상 . , 학교 지역사회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면서 유가족의 부검 , 결정에 영향을 주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따라서 유가 . 족의 부검결정에 영향을 주는 간호사는 부검에 대한 개념 이 확립 되어 있어야 하며 그런 이유로 간호사의 부검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조사하여야 한다 또한 부검을 시 . 행하는 빈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부검에 대한 인식도 조사가 외국에서는 다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Kim, 국내에서는 의료인의 부검에 대한 Han, & Huang, 1999),

인식도 조사가 제한적이며 그 중 병원직원과 의사를 대상 으로 한 연구가 전부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없는 실정에서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고 의료행위에 직간접적으 로 관여하며 임상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환자의 대변인으 로서의 역할을 하는 간호사의 부검에 대한 인식도와 태도 를 파악함으로써 법의학교육의 필요성과 부검이 필요한 일반인과 환자들에게 부검의 효율적인 가치와 필요성을

인식시키는 교육 자료를 만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 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 2.

본 연구는 간호사의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및 태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 .

대상자의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와 태도를 파악

· 한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

인식도와 태도를 파악한다.

대상자의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와 부검에 대한

·

태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용어의 정의 3.

부검

1) ( 剖檢 , Autopsy)

시체를 해부하여 내부 장기 및 조직의 절개 채취를 하 , 여 시체를 검사하는 것으로 목적에 따라 병으로 사망한 , 경우 사망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병리부검 과 법과 관련된 죽음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법의 부검이 있다(Kang et al, 2007).

필요성에 대한 인식 2)

필요성 ( 必要性 ) 은 반드시 요구되는 성질이며 인식 ( 認識 ) 은 사물을 분별하여 안다(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는 뜻으로 본 연구에서는 Korean Language: NIKL, 2011)

등 이 개발한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구 Yang (2004)

에 의해 측정된 점수로써 점수가 높을수록 부검의 필요 , 성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태도 3)

어떤 사물이나 상황 따위를 대하는 자세 (NIKL, 2011) 라 는 뜻으로 본 연구에서는 Yang 등 (2004) 과 Oh (2011) 가 개발한 부검에 대한 태도 도구에 의해 측정된 점수로써, 점수가 높을수록 부검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방법

(3)

연구 설계 1.

본 연구는 간호사의 부검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과 태 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1 년 월 4 22 일부터 월 4 29 일 까지 실시하였으며 , D 시와 G 시의 종합병원 곳 준 종합 2 , 병원 곳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대상인 병원 3 의 간호부에 연구의 목적과 설문내용을 설명하였고 대상 , 자들에게 연구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윤리적 측면을 고 려하여 원하지 않을 경우 중간에 그만둘 수 있다고 설명 하였다 총 . 250 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34 부를 회수하였 으며 회수율은 93.6% 였다 불완전하게 기입한 부를 제외 . 2 한 232 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

연구 도구 3.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1)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총 42 문항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0 문항과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측정 한 도구는 Yang 등 (2004) 이 개발한 도구로 총 13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Yang 등 (2004) 이 개발한 연구도구를 사용하기 위해 저자에게 메일로 동의를 얻어 사용하였으며, Likert 점 척도로서 매우 그렇다 를 점 거의 그렇다 를 점

5 ‘ ’ 5 , ‘ ’ 4 ,

그저 그렇다 를 점 거의 그렇지 않다 를 점 전혀 그

‘ ’ 3 , ‘ ’ 2 , ‘

렇지 않다 ’ 1 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인식 정도가 높을 것을 의미한다 . Yang 등 (2004) 의 선행연구에서의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s ′ α = .87 이고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로 나타났다 Cronbach s = .83 ′ α .

부검에 대한 태도 2)

부검에 대한 태도를 측정한 도구는 Yang 등 (2004) 과 가 개발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총 문항으

Oh (2011) , 19

로 구성되었고 Yang 등 (2004) 과 Oh (2011) 가 개발한 연구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 저자에게 메일로 동의를 얻어 사용 하였으며 , Likert 5 점 척도로서 매우 그렇다 를 점 거의 ‘ ’ 1 , ‘ 그렇다 를 점 그저 그렇다 를 점 ’ 2 , ‘ ’ 3 , ‘ 거의 그렇지 않다 를 ’ 점 전혀 그렇지 않다 를 점으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

4 , ‘ ’ 5

수록 부검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의미한다 . Yang 등

과 의 선행연구에서의 도구의 신뢰도는

(2004) Oh (2011)

각각 Cronbach s ′ α = .82, α = .71 이었고 본 연구에서의 신 뢰도는 Cronbach s = .90 ′ α 로 나타났다 .

자료 분석 4.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검정의 유의수준은 , 5% 로 설 정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구하였다

· .

대상자의 부검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과 태도는 평균

· ,

표준편차로 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검의 필요성의 인식과

·

태도는 T-Test 와 ANOVA 로 분석하였다 .

대상자의 부검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과 태도의 상관관

·

계는 Pearson Correlation 으로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은 여성이 97% 로 대부분 이었고 연령분포는 , ‘30-39 ’ 세 가 41.8% 으로 가장 많았고 ,

세 가 세 가 세 가

‘20-29 ’ 37.5%, ‘40-49 ’ 19.8%, ‘50-59 ’ 0.9%

순으로 나타났으며 결혼 상태는 미혼 이 , ‘ ’ 45.7%, ‘ 기혼 이 ’ 로 나타났다

54.3% .

최종학력은 전문대졸업 이 ‘ ’ 52.3% 로 가장 많았고 대학 ‘ 교 졸업 이 ’ 22.4%, ‘ 학사과정 중 이 ’ 16.4%, ‘ 대학원 졸업 이상 이 ’ 7.8%, ‘ 대학원 재학 이 ’ 1.3% 순으로 나타났다 .

종교는 무교 가 ‘ ’ 37.5% 로 가장 많았고 천주교 와 불교 , ‘ ’ ‘ ’ 가 20.3%, ‘ 기독교 가 ’ 19.4%, ‘ 기타 는 ’ 2.6% 순으로 나타났 다.

근무 경력은 ‘6-10 ’ 년 이 29.7% 로 가장 많았고 , ‘1-5 ’ 년 이 28.4%, ‘11-15 ’ 년 이 22.0%, ‘16-20 ’ 년 이 10.8%, ‘20 년 이상 이 ’ 9.1%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위는 일반간호사 가 , ‘ ’ 로 가장 많았고 책임간호사 가 수간호사 가

84.1% , ‘ ’ 6.0%, ‘ ’

기타 는 순으로 나타났으며 간호팀장 전문 5.6%, ‘ ’ 4.3% ‘ ’, ‘ 간호사 라는 기타 의견이 있었다 ’ .

장례방법에는 화장 이 ‘ ’ 79.3% 로 가장 많았고 , ‘ 매장 은 ’ 기타 는 순으로 수목장 풍장 이라는 기타 13.4%, ‘ ’ 7.3% ‘ ’, ‘ ’

의견이 있었다.

부검에 대해 어디서 들어봤는지에 대한 물었을 때 ‘TV,

(4)

언론매체 가 ’ 91.4% 로 대부분이었고 신문 ‘ , 관련 서적 은 ’ 친구 직장동료 는 인터넷 과 학회 법의학 3.9%, ‘ , ’ 2.2%, ‘ ’ ‘ , 강의 는 ’ 0.9%, ‘ 기타 는 ’ 0.9% 순으로 의사한테 들었다 ‘ ’,

법의간호학을 전공중이다 대학교 행사 때 들어봤다 라

‘ ’, ‘ ’

는 기타 의견이 있었다.

법의학 교육이 필요하다면 어느 교육과정에 필요한지 물었을 때 ‘3,4 년제 대학교 교과과정에 포함되어야 한다 ’ 가 50.4% 로 가장 많았고 보수교육 이 , ‘ ’ 33.6%, ‘ 직원 직무 · 교육 이 ’ 9.5%, ‘ 필요없다 가 ’ 5.6%, ‘ 기타 가 ’ 0.9% 순으로

자유의사로 전공으로 라는 의견이 있었다

‘ ’, ‘ ’ (Table 1).

Classification N Percentage(%)

M/F Male 7 3

Female 225 97

Age(yr) 20-29 87 37.5

30-39 97 41.8

40-49 46 19.8

50-59 2 0.9

Marriage Single 106 45.7

Married 126 54.3

Education Junior college 121 52.3

Course of university 38 16.4

University graduated 52 22.4

Attendance at graduate school 3 1.3

Over graduate school 18 7.8

Religion Christianity 45 19.4

Catholicism 47 20.3

Buddhism 47 20.3

None 87 37.5

Others 6 2.6

Career 1-5 66 28.4

6-10 69 29.7

11-15 51 22.0

16-20 25 10.8

Over 20 21 9.1

Position General nurse 195 84.1

Charge nurse 14 6.0

Head nurse 13 5.6

Others 10 4.3

Preference of Funeral Burial 31 13.4

Cremation 184 79.3

Others 17 7.3

Routes to get information Mass Media 212 91.4

on forensic autopsy Newspapers and journals 9 3.9

Internet 2 0.9

Seminars, Forensic lectures 2 0.9

Friends, co-workers 5 2.2

Others 2 0.9

Which educational courses should include forensic

Curriculum at college 117 50.4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32)

(5)

대상자의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2.

대상자의 부검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도의 평균 점수는 점으로 높게 나타났고 세부문항별 점수를 보면 범죄

3.91 , ‘

나 타살의 의심이 간다면 수사 절차상 부검은 필요하다 가 ’ 점으로 가장 높았고 수술중이거나 마취가 깨어나기 전

4.52 , ‘

에 사망했을 경우 진단과 치료가 올바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가 ’ 4.17 , ‘ 점 군 복무 중에 사망한 경우에 필 요하다 가 ’ 4.15 점으로 나타났고 사망 시 사고와 연관된 죽 , ‘ 음의 경우에 사고 예방적인 차원에서 필요하다 가 ’ 3.25 점으 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Table 2).

Item M SD

1. Suspicion of a crime. 4.52 0.66

2. Deaths from employment, where from accident, industrial disease or industrial poisoning. 4.05 0.82

3. Deaths occurring during an operation or under anesthetic. 4.17 0.77

4. Deaths in prison or police custody. 4.11 0.76

5. Cause of death uncertain. 3.94 1.03

6. Deaths occurring not in a house, and where the deceased s residence is unknown. 4.12 0.83 7. Deaths form accidents caused by any vehicle, airplane or train. 3.25 1.05 8. For compensation of industrial accidents and insurance purpose. 3.83 0.85 9. To prevent familiar diseases when a health-looking person dies suddenly and an

unidentified disease is discovered. 3.54 1.05

10. For the medical education. 3.66 0.97

11. Quality control of care/treatment. 3.87 0.8

12. Deceased was not seen by the certifying medical practitioner either after death or

within 14 days bofore death. 3.32 0.99

13. Deaths occurring during the military service. 4.15 0.85

Total 3.91 0.62

Table 2. Awareness for the Necessity of an Autopsy (N=232)

대상자의 부검에 대한 태도 3.

대상자의 부검에 대한 태도의 평균 점수는 2.94 점으로 나 타났고 하위 영역별 점수를 보면 고인 가족과 , ‘ rapport’ 영역 은 2.97 , ‘ 점 부검에 대한 일반적 태도 영역은 ’ 2.96 , ‘ 점 부검에 대한 정서적 반응 영역은 ’ 2.84 점 순으로 나타났다 .

고인 가족과 영역의 세부문항에서 나는 나의 환

‘ rapport’ ‘

자가 죽어 그 가족이 충격에 빠져 있으면 부검 동의를 요구

하지 않겠다 가 ’ 3.01 , ‘ 점 고인가족과 친한 간호사는 부검을 요청하는데 가장 적합한 사람으로 보기 어렵다 기 ’ 2.93 점으 로 나타났다.

부검에 대한 일반적 태도 영역의 세부문항에서 죽으면 끝

‘ ’ ‘

인 것을 사후에 사인규명이나 질병 연구 는 별 의미 없다’

가 3.68 점으로 가장 긍정적인 문항으로 나타났고 , ‘ 부검은 사인을 규명 할 수 없는 경우에만 행해져야 한다 가 ’ 2.10 으로 가장 부정적인 문항으로 나타났다.

Education if it is necessary to

study Complementary education 78 33.6

Staff training 22 9.5

None 13 5.6

Others 2 0.9

  Total 232 100

(6)

부검에 대한 정서적 반응 의 세부문항에서 부검은 한

‘ ’ ‘

때 꿈과 삶이 있었던 고인의 존엄성을 위협한다 가 ’ 3.21 점 으로 가장 긍정적인 문항으로 나타났고 , ‘ 나는 친척의 시

신이 부검 중 함부로 다루어 질까봐 두렵다 문항이 ’ 2.27 점 으로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Table 3).

  Item M SD

General attitude

toward autopsy 1. Less value of autopsies because of the advanced medical equiments. 3.01 0.87

2. Influence on the funeral schedule and process. 2.38 0.86

3. If possible, I will sign confirmation of death in order to refuse an autopsy for my relatives.

2.84 0.94

4. An autopsy is not able to provide emotional consolation to the family of the dead patient.

2.84 1.01

5. An autopsy should be allowed only when it is hard to determine causes of death.

2.10 1.01

6. Incompetency of the doctor who performs an autopsy. 3.03 0.94 7. Bad influence on the body in the spiritual world. 3.65 1.14

8. Reluctant to be an experimental body 2.61 1.12

  9. Investigation of the cause of death to the deceased is useless. 3.68 0.99 General attitude

toward autopsy

10. Discomfort with cutting the organs. 3.21 1.11

11. Unsanitary autopsy facilities. 3.09 1.03

12. I am never going to participate in an autopsy. 3.16 1.19 13. The family of the dead patient may be shocked if I suggest an autopsy. 2.66 0.93 14. For any reason, I don't want to conduct an autopsy as far as possible. 3.14 1.12

Subtotal 2.96 0.61

Family of the deceased and rapport

1. I will not ask for the family's consent for an autopsy if they are shocked.

3.01 0.95

2. It is difficult to agree with the opinion which nurses who are close to the family is the best person asking for an autopsy.

2.93 0.93

Subtotal 2.97 0.83

Emotional responses toward autopsy

1. I am worried that my dead relative's body can be treated carelessly while an autopsy is being conducted.

2.27 1.01

2. Violate the reverence for the dead 3.21 1.14

3. Shameful to expose the bare body 3.04 1.12

Subtotal 2.84 0.83

Attitude toward

autopsy Total 2.94 0.61

Table 3. Attitude toward Autopsy. (N=23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검의 필요성에 대 4.

한 인식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를 보면 성별 연령 결혼유무 최종학력 종교 경 , , , , ,

력 , 직위 , 장례방법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4).

(7)

Classification M SD F or t

P

M/F Male 4.32 0.51 1.81 .071

Female 3.89 0.62

Age(yr) 20-29 3.81 0.54

30-39 3.95 0.55 1.30 .276

40-49 3.92 0.48

50-59 3.69 0.11

Marriage Single 3.91 0.55 -0.19 .851

Married 3.91 0.67

Education Junior college 3.87 0.55

Course of university 3.90 0.49

University graduated 3.88 0.51 1.34 .257

Attendance at graduate school 4.58 0.42

Over graduate school 3.84 0.55

Religion Christianity 4.00 0.56

Catholicism 3.81 0.56

Buddhism 3.89 0.48 1.42 .228

None 3.89 0.52

Others 3.53 0.58

Career 1-5 3.86 0.06

6-10 3.91 0.06

11-15 3.91 0.07 0.97 .423

16-20 3.72 0.10

Over 20 4.01 0.09

Position General nurse 3.87 0.54

Charge nurse 4.04 0.43 0.73 .534

Head nurse 3.85 0.53

Others 4.04 0.48

Preference of

funeral Burial 3.95 0.48

Cremation 3.86 0.52 0.78 .458

  Others 4.00 0.75    

Table 4. Awareness for the Necessity of an Autops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검에 대한 태도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검에 대한 태도를 보 면 성별 연령 최종학력 종교 경력 직위와는 유의한 , , , , ,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결혼유무 , (t=2.99, p = .003) 와 장 례방법(F=5.12, p = .007) 에 따라서는 태도에 유의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검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인 부검에 대한 일반적 태 ‘ 도 에서 결혼 유무 ’ (t=3.65, p = .001), 경력 (F=2.78, p=.028), 장례방법(F=5.51, p = .005)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Table 5).

Classification General attitude toward autopsy

Family of the deceased and

rapport

Emotional responses toward autopsy

Attitude toward autopsy

(Total)

    M(SD) M(SD) M(SD) M(SD)

M/F Male 2.74(1.02) 2.85(1.34) 2.90(1.19) 2.78(1.06)

Table 5. Attitude toward Autops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8)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와 부검에 대한 태도 6.

간의 상관관계

부검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도와 부검에 대한 태도 간 의 상관분석 결과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와 태도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는 아니지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r=0.17, p = .011). 또한 부검의 필요성에 대 한 인식도와 부검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 간에는 부검에 대한 일반적 태도(r=0.18, p = .007), 검에 대한 정서적 반 응(r=0.14, p = .029) 에서도 높은 상관관계는 아니지만 상 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Female 2.96(0.59) 2.97(0.81) 2.84(0.82) 2.94(0.60)

(

p

= .341) (

p

= .707) (

p

= .844) (

p

= .483)

Age(yr) 20-29 3.04(0.55) 2.95(0.77) 2.83(0.77) 3.00(0.55)

30-39 2.98(0.65) 3.09(0.87) 2.88(0.86) 2.97(0.66)

40-49 2.76(0.59) 2.76(0.80) 2.79(0.89) 2.77(0.62)

50-59 2.82(0.15) 3.00(1.41) 2.33(0.47) 2.76(0.11)

(

p

= .087) (

p

= .170) (

p

= .763) (

p

= .187)

Marriage Single 3.11(0.60) 3.03(0.80) 2.90(0.84) 3.07(0.61)

Married 2.83(0.58) 2.92(0.85) 2.97(0.81) 2.83(0.60)

(

p

= .001) (

p

= .288) (

p

= .323) (

p

= .003)

Education Junior college 2.99(0.59) 2.93(0.86) 2.87(0.83) 2.96(0.60)

Course of university 2.98(0.50) 2.98(0.70) 2.85(0.74) 2.96(0.52) University graduated 2.84(0.64) 3.01(0.81) 2.71(0.82) 2.84(0.65) Attendance at graduate school 3.66(0.27) 3.66(1.25) 3.55(0.50) 3.64(0.18) Over graduate school 2.92(0.74) 2.94(0.93) 2085(1.04) 2.91(0.79) (

p

= .179) (

p

= .652) (

p

= .448) (

p

= .240)

Career 1-5 3.09(0.57) 2.98(0.80) 2.86(0.78) 3.04(0.57)

6-10 3.04(0.60) 3.10(0.83) 2.91(0.85) 3.03(0.61)

11-15 2.83(0.62) 2.95(0.92) 2.83(0.84) 2.84(0.65)

16-20 2.72(0.52) 2.66(0.64) 2.57(0.79) 2.69(0.54)

Over 20 2.88(0.67) 2.95(0.87) 2.87(0.94) 2.88(0.70)

(

p

= .028) (

p

= .267) (

p

= .521) (

p

= .069)

Religion Christianity 3.08(0.61) 2.84(0.87) 2.99(0.83) 3.04(0.63)

Catholicism 2.79(0.69) 2.98(0.98) 2.65(0.90) 2.78(0.71)

Buddhism 3.00(0.57) 3.08(0.76) 2.87(0.78) 2.99(0.58)

None 2.99(0.57) 2.95(0.76) 2.83(0.80) 2.96(0.57)

Others 2.67(0.44) 3.25(0.98) 3.00(0.96) 2.78(0.51)

(

p

= .129) (

p

= .623) (

p

= .380) (

p

= .313)

Position General nurse 2.96(0.61) 2.98(0.82) 2.82(0.82) 2.94(0.62)

Charge nurse 2.92(0.55) 2.89(0.85) 2.95(0.88) 2.92(0.62)

Head nurse 2.78(0.65) 2.76(0.88) 2.82(0.89) 2.78(0.67)

Others 3.15(0.56) 3.05(1.06) 3.16(0.90) 3.14(0.56)

(

p

= .554) (

p

= .787) (

p

= .596) (

p

= .608) Preference of

funeral Burial 2.68(0.64) 2.70(0.88) 2.66(0.93) 2.68(0.67)

Cremation 3.02(0.58) 3.04(0.80) 2.90(0.79) 3.00(0.59)

  Others 2.75(0.63) 2.73(0.93) 2.50(0.93) 2.71(0.67)

    (

p

= .005) (

p

= .058) (

p

= .078) (

p

= .007)

(9)

General attitude toward autopsy

Family of the deceased and

rapport

Emotional responses

toward autopsy Attitude toward autopsy(Total) Awareness for the

necessity of an autopsy

0.18 (

P

= .007)

0.06 (

P

= .378)

0.14 (

P

= .029)

0.17 (

P

= .011) Table 6. Correlation among the Awareness and Attitude for the Necessity of an Autopsy.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및 태도를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도와 태도의 차 , 이를 파악하였으며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간호사의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를 보면 부검의 필 요성에 대해 인식도 평균 점수는 3.91 점으로 Yang 등 (2004) 의 연구에서 일반대학생의 인식도 평균 점수 3.92 점과 유사 한 점수로 높은 수준의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 중에서 . ‘ 범 죄나 타살의 의심이 간다면 수사 절차상 부검은 필요하다’

가 4.52 점으로 가장 높은 인식도를 보였고 수술중이거나 마 ‘ 취가 깨어나기 전에 사망했을 경우 진단과 치료가 올바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 ‘ 군 복무 중에 사망한 경우에 필요하다 에서도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이는 ’ . Yang 등 (2004) 의 의과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인식도 조사와 같 은 결과이며 또한 Sanner 와 Medsci (1995) 의 의과 대학생 과 일반대학생의 인식도 조사에서 범죄의 혐의가 있을 때 ‘ 부검이 필요하다 에 인식 정도가 가장 높았다는 사실과 같 ’ 다 한편 사망 시 사고와 연관된 죽음의 경우 대량재해 . ‘ ( , 철도 비행기 교통사고 등 에 사고 예방적인 차원에서 필요 , , ) 하다 ’, ‘ 죽음에 앞서 14 일 이내에 의사에 의하여 진료된 사 실이 없는 경우 필요하다 에서 인식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 . 이는 Yang 등 (2004) 의 연구 결과와 같으며 이 결과는 우리 , 의 의학이 예방 의학 면에선 아직 발전하지 못한 결과라 생 각되고 교통사고이지만 교통사고로 위장된 사고나 질병의 원인으로 인한 교통사고 등 여러 가지 사고유형이 있으나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원인을 일차적인 원인으로 간주하고 종결하려는 우리의 사고처리결과에서 법의학적 부검의 필요 성에 접근하지 못한 이유도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간호사 . 가 부검을 접한 경로가 TV· 언론매체가 상대적으로 많은 점에서 알 수 있듯이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지식을 법의학 드라마나 영화 등에서 얻고 있기 때문에 사법적인 부검에 한하여 높은 인식을 하고 있지만 예방적인 측면이나 사회의 공공이익을 위한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낮다고 생각 한다 따라서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 .

는 체계적인 법의학 교육이 간호학 교과과정에 필요하며 부 검의 필요성에 대한 학문적 접근을 통하여 환자 보호자와 · 접촉이 많은 간호사가 많은 지식을 습득하여야만 환자와 보 호자에게 부검의 필요성에 대해 체계적인 설명을 할 수 있 다고 생각한다.

부검에 대한 태도를 보면 태도 점수가 낮을 거라는 예상 과는 달리 간호사의 부검에 대한 태도의 평균 점수는 2.94 점으로 Oh (2011) 의 간호학생의 태도 점수 2.88 점과 유사하 였고 Yang 등 (2004) 의 의과대학생의 태도 점수 2.61 점보다 높은 점수로 긍정적인 태도와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Kim 등 (1999), Dziobon 등 (2000), J L Burton (2003) 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였으며 Sanner 와 Medsci (1995) 의 연구와 상이 한 결과였다 하위 영역별로 태도를 비교해 보면 고인 가족 . ‘ 과 rapport’, ‘ 부검에 대한 일반적 태도 ’, ‘ 부검에 대한 정서 적 반응 순으로 긍정적 태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 . 연구의 하위영역별 비교에서 부검에 대한 정서

Oh (2011) ‘

적 반응 이 가장 긍정적인 태도로 나타난 것과 상이한 결과 ’ 였다 세부 문항을 보면 나는 친척의 시신이 부검 중 함부 . ‘ 로 다루어 질까봐 두렵다 가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 . 등 의 연구에서 보면 부검을 기피하는 이유 Dziobon (2000)

중 하나로 부검 중에 나타나는 시신의 손상을 꼽았다는 것 과 Yang 등 (2004) 의 연구에서 필요성의 인식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신과 가족 등 가까운 사람들의 부검을 꺼려하는 이유 중 나의 몸이 공개된다는 것에 부끄럽게 느낀다 시신 , 의 몸이 잘려진다는 사실에 불안감이 높게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와 같이 간호사의 이중적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신속하게 처리되지 못해 장례일정과 절차에 . ‘ 영향을 미칠 것 같다 도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 등 의 연구에서 보면 부검 때문에 장례식이 Dziobon (2000)

지연된다는 생각을 하는 것과 같은 결과이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검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도를 보면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도의 차이는 없었는

데 그 이유는 간호사라는 한 집단을 대상으로 인식도 조사

를 했고 그 집단이 처한 비슷한 교육 여건과 작업 환경의

동질성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비슷한 일반적 특 .

(10)

성으로 인해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에서 차이가 없었 다고 생각한다 이는 . Yang 등 (2004) 의 연구에서 의과대학생 의 경우 성별이나 종교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는 것과 같은 결과이며 Sanner 와 Medsci (1995) 의 연구를 보면 선호 하는 장례에서 매장보다 화장을 선호하는 쪽이 인식도가 높 았다고 하였지만 종교에 따라서는 크게 차이가 없었다는 것 과도 같은 결과이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검에 대한 태도를 보면 결혼유무, 장례방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미혼 일수록 기혼 보다 , ‘ ’ ‘ ’ 부검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기혼 인 . ‘ ’ 경우 결혼으로 인해 자신만의 가족이 생기고 이로 인해 부 검 요청에 대하여 죽음을 인정하고 싶지 않는 마음으로부터 부검에 대해 미혼 보다 가족이나 친척의 부검에 대해 부정 ‘ ’ 적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장례방법 중 화장 일수록 매장 과 . ‘ ’ ‘ ’ 기타 방법보다 더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

‘ ’

났다 이는 . Kim 등 (1999) 의 연구에서 화장을 선호하는 경우 가 매장을 선호하는 경우보다 더 긍정적이라는 결과와 같은 결과이며 매장을 선호하는 사람이 화장을 선호하는 사람보 다 사후의 육체에 대한 집착이 많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 . 리고 하위영역인 부검에 대한 일반적 태도 영역을 보면 경 ‘ ’ 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경력이 높을수록 더 긍정적 , 인 태도를 보일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1-5 ’ 년 이 가장 긍 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는 경력이 많은 간호사는 잠재적 . 으로는 부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지만 보수적 인 성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경력이 낮은 간호사보다 부 검에 대해 부정적이라고 생각한다.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와 부검에 대한 태도의 상관 관계 분석을 보면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와 부검에 대한 태도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는 아니지만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모든 분야의 부검의 필요성에 대 , 한 인식도가 높아진다면 부검에 대한 태도는 훨씬 더 긍정 적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등 등 의 연구에서 법의

Oh (2011), Kim (1999), Yang (2004)

학 교육을 받은 후 인식도가 상승하고 태도가 더 긍정적으 로 변화되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간호사들의 . 50.2%

에서 법의학 교육이 3,4 년제 간호대학 교과과정 , 33.5% 에서 보수교육에 필요하다고 대답하여 법의학교육과 부검의 필요 성을 간호사들도 느끼고 있다고 생각한다 즉 간호대학교에 . 서 체계적인 법의학교육을 한다면 유가족의 부검결정시 영 향을 미칠 수 있는 간호사의 부검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고 그로 인해 유가족의 부검 결정과 부검의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모든 분야의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를 높이고 부검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기 위해서는 모든 교육과정에 법의학교육을 의무화하고 다각적인 인식도 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가지고 있는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및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D 시와 G 시의 간호사 명을 대상으로 년 월 일부터 월 일 까지

232 2011 4 22 4 29

등 이 개발한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측정 Yang (2004)

도구와 Yang 등 (2004)·Oh (2011) 가 개발한 부검에 대한 태 도 측정도구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설문지로 조사한 후 · ,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SPSS 18.0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사의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는 점으로 높

· 3.91

게 나타났고 세부문항별 점수를 보면 , ‘ 범죄나 타살의 의 심이 간다면 수사 절차상 부검은 필요하다 가 ’ 4.52 점으로 가장 높았고 사망 시 사고와 연관된 죽음의 경우에 사고 , ‘ 예방적인 차원에서 필요하다 가 ’ 3.25 점으로 가장 낮게 나 타났다.

간호사의 부검에 대한 태도는 점으로 비교적 긍정적

· 2.94

으로 나타났고 하위 영역별 점수를 보면 고인 가족과 , ‘ 영역은 점 부검에 대한 일반적 태도 영역은

rapport’ 2.97 , ‘ ’

점 부검에 대한 정서적 반응 영역은 점 순으로

2.96 , ‘ ’ 2.84

나타났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와

·

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부검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서

·

는 통계적으로 결혼 유무와 장례방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하위영역인 부검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 에 . ‘ ’ 서는 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사의 부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와 부검에 대한 태

·

도 간에는 r=0.17(p = .011) 로 높은 상관관계는 아니지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무작위화에 의한 다른 대상자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의료인의 부검에 대한 인식도 조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2)

져야 한다.

간호사들도 법의학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또한 부검에 3)

대한 인식도와 태도 간에 미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11)

간호대학의 교과과정에 체계적인 법의학교육이 이루어져 야 한다.

유가족의 부검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간호사에게 올 4)

바른 개념 정립을 위하여 직무교육과 보수교육으로 법의학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REFERENCES

Dziobon, M.D., Roberts, S. D., & Benbow, E.W. (2000).

Attitudes of nursing staff to the autops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2, 969-974.

J L Burton. (2003). Medical educator s personal attitudes ′ towards the necropsy.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56, 950-951.

Kang, D. Y., Kang, H. Y., Gwak, J. S., Kim, J. H., Park, U. U., Park, J. T., et al. (2007). A textbook of Legal Medicine. Seoul: Jeong Mun Gak.

Kim, J. A., Han, G. R., Hwang, J. J. (1999).

Attitudes of general university students and medical College students toward conducting an autopsy.

Department of Leg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Seoul.

Lim, G. O., Park, H. G., Lee, S. H., Gwak, J. S., Gwak, Y. S., Chae, J. M. (2003). Current issues of medicolegal death investigation system in korea and a proposal of its improvement plan. Department of Forensic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14, 247-280.

Oh, S. L. (2011). Attitudes of Nursing Students toward autopsy. Master s thesis, Department of Forensic and ′ Investigative Scienc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Park, H. G. (2003). Scottish system as a model of judiciary death investigation. The korean Journal of Bar Association, 327, 115-125.

Seo, Y. I. (2005). Reformation of death investigation system-Professionalism of death investigation personnel.

Master s thesis, Department of Forensic and Investigative ′ Scienc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Sanner, M. A., & DrMedsci. (1995).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ward autopsy-How does experience with autopsies influence opinion?-. Archives of Pathology &

Laboratony Medicine. 119, 851-858.

Yang, Y. Y., Park, H. G., Park, J. U., Lee, Y. G., Lee, S. H., Gwak, J. S. et al. (2004). Medical students′

attitudes autopsy and effects to their attitudes following forensic medicine course. The korean Journal of Pathology, 38, 165-175.

Http://www.kostat.go.kr / National Statistical Office(NSO).

Http://www.korean.go.kr/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NIKL)

수치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32)
Table 2. Awareness for the Necessity of an Autopsy (N=232)
Table 3. Attitude toward Autopsy. (N=232)
Table 4. Awareness for the Necessity of an Autops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needs of faculty and students regarding e-Learning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about the gover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to allow people with disabilities to work stably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ports marketing strategy fit on organizational attitud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tuations of violating the right to learn and violence in student-athletes from an ethnographic view an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ate of first aid education completion, knowledge level and abilities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death and the ethical attitude to Do-Not-Resuscitate (DNR) among some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wareness of radiation department students and their intent in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ctic acid fatigue and body oxidation through myofascial relaxation exercise using small t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