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Cultural Heritage has been Applied Design Elements Bekuje - Focusing on the pattern Jinmyosu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Cultural Heritage has been Applied Design Elements Bekuje - Focusing on the pattern Jinmyosu -"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백제권 문화재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문화상품 개발연구

- 진묘수 문양 중심으로 - 김 정 호1, 강 호 양†,2

1공주대학교 예술대학 조형디자인학부, 2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Cultural Heritage has been Applied Design Elements Bekuje

- Focusing on the pattern Jinmyosu -

Chung Ho Kim

1

, Ho Yang Kang

†,2

1Department of Formative Design,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ungju 314-701, Korea

2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05-764, Korea

Abstract: Cultural products, applying the design elements of cultural heritage Bekuje content of the product, we chose the useful material that can be used on a desk stand in the smart-phone Sticky Notes (Post-it) for use in modern life. The goal of the development design, developed in the design and excavation element modeling can be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ecor come connected by a pattern of Baekje, eggplant in harmony with modern life, a new sense was harmony, design. He stressed the beauty of decorative molding to apply dis- criminatory morphological changes associated with each, a unique pattern of human pattern Jinmyosu Bekuje was elected to the motif of cultural property. You can also use a visual repre- sentation of the beauty obviously sophisticated pattern that appears frequently in Baekje, was al- so emphasized inheritance and traditions of Korea. We also attempted a new way to make sure we can diversify and whether it is possible as a new form, enhance the value of products, from concept to molt general existing tourism products.

Keywords: stone image of an animal, baekje culture, tourism products, cultural heritage

1. 서 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국내의 문화관광 상품시장 현황으로 백제문화재 를 활용한 목공예 문화상품은 점진적으로 증가 추 세에 있고, 중소기업 규모의 많은 업체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대표적 소수 업체 이외에는

2012년 6월 4일 접수; 2012년 6월 22일 수정; 2012년 6월 29일 게재확정

교신저자 : 강 호 양 (hykang@cnu.ac.kr)

규모가 영세하고 디자인 활용도가 다른 기타 관련 산업에 비해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또한, 소규모 다수업체의 난립으로 상품의 고품격 유지가 어려 운 실태이다. 백제권 문화재를 요소로 한 문화상품 의 디자인화 작업은 여러 중소기업을 막론하고 아 직은 매우 미약한 상태이고, 시장의 주도 현황도 몇몇의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제품이 주류를 이루 며 심지어는 국적불명의 저가 제품이 판매되고 있 는 실정으로 기업의 이미지를 살린 특성화된 상품 이 아쉬운 실정이다. 특히 백제권역인 우리지역 뿐

(2)

Fig. 1. Jin myo su.

아니라 전국의 관광지 어느 곳에서나 그 지역의 특색을 살린 전문화된 상품의 개발로 지역특화를 주도해야 됨에도 불구하고, 현 상황은 그렇지 못하 다. 예를 들어 제주도 관광문화상품인 ‘돌하르방’

을 국립공원 ‘설악산 기념품 매장’, ‘지리산 기념품 매장’ 등 에서도 구매할 수 있는 것이 그 한 예라 할 수 있다. 이는 그 지방에 가야만 그 지역의 관 광문화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는 관념을 심어주기 에는 적절치 못한 상황이며, 지역적으로 특화된 상 품을 선정하여 개발하고, 판매한다면 관광객의 수 요도 증가하고 지역의 소득 증대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문화상품 시장은 그동안 디자인 부재의 심각성 을 등한시해왔으나 최근 디자인 측면의 개선 작업 과 시각적 요소 등에 인지도가 향상되고 있는 추 세이고 제품의 디자인에서는 기업의 이미지(제품 이미지)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방법으로 변모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우리 전통의 백제 문 양에서 이어져 오는 장식의 특징을 살려 현대생활 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조형 요소를 발굴하여 새 로운 감각이 조화된 디자인으로 개발하여 한국적 인 이미지 구축으로 세계인 기호에 맞는 고급화와 소비자의 구매 욕구 충족을 위한 한발 앞선 디자 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상품개발의 목적은 백제권 문화재 요 소를 적용한 문화상품 개발이다. 선정된 대상은 백 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덤을 지키는 상상의 동 물인 석수(진묘수)와 관련한 문화재를 활용한 개발 상품이다. 한국의 전통기법의 아름다움을 산업 디 자인과 접목시킴으로서 우리 상품의 산업 경쟁력 강화 및 국가 이미지를 부각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인간의 감성적 본질을 자극할 수 있는 디자인에 기능의 다변화, 전통 양식의 현대화된 조형성, 재 질의 특성, 옛것의 아름다움을 강조한 것에 본 디 자인의 특징이 있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디자인의 기본 개념은 우리 고유의 백제문양의 전통미를 이미지화 하고 현대적 특성에 맞는 고급 화, 일반적인 생활에서 제품의 특성화를 살려 목공

예 기법에서 이어져 오는 전통 장식의 특징을 잘 살려 현대의 주변 환경과 어울릴 수 있는 조형 요 소를 발굴하여 새로운 감각이 조화된 디자인을 강 조한다.

디자인요소를 추출하기 위한 연구범위는 점차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백제 문화권의 전통양식과 사회적 관심 부활에 힘입어 문화상품을 현대화된 디자인으로 개선하고 전통문양을 조형적 모티브로 활용하여 다른 제품과 차별화시키며, 각각의 상품 의 본래적 기능에 충실하고 시각적 모티브가 지니 고 있는 특징적 전통 요소를 부각시킨다.

백제권 문화재의 디자인 요소로 선정된 무령왕 릉 출토 진묘수는 무덤을 지키는 상상의 동물로 그 형태와 문양의 아름다움을 엿볼 수 있다. 이에 연구방법으로 백제권 문화재 디자인 요소로 강조 된 진묘수의 철제 뿔에서 나타나는 문양을 현대 디자인 요소에 맞는 이미지화 작업을 거쳐 재탄생 시킨다. 백제 문양을 강조한 문화상품의 요소로 적 용시켜 디자인 개발한다.

제품들은 전통적인 제작기법과 고유의 문양을 살려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제작하고 천연 나뭇 결을 살려 은은하고 고풍스러운 멋을 자아내도록 한다.

2. 무령왕릉 출토 진묘수의 일반적 고찰 2.1. 진묘수

무령왕릉(武零王陵) 연도에 배치되어 무덤에 들

(3)

어오는 침입자와 사악한 기운을 막아내던 무령왕 릉 진묘수는 백제 장제에서는 보기 힘든 존재이다 (권 2005). 진묘수(鎭墓獸)는(Fig. 1) 무덤을 지키 는 짐승을 말하는 것으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진 묘수는 국보 제 162호로서 현재 국립 공주박물관 에 소장 전시 중이다. 석수를 특정 동물로 연결시 키기는 어렵지만 피장자의 영혼을 안내하는 일을 맡은 신령스러운 상상의 동물이라고 볼 수 있다.

무령왕릉 진묘수는 뭉툭한 입과 코, 작은 귀, 툭 튀어나온 눈을 하고 입을 벌린 형태로 짧은 네 다 리위의 비만한 몸통에는 당초무늬가 표현되어 있 다. 언뜻 보면 앞다리 쪽의 무늬는 날개와도 같은 형태를 가졌고, 정수리 부분에는 사슴뿔 모양의 철 제 뿔을 달고 있으며, 현재는 희미한 상태지만 입 술에 발랐던 붉은색이 남아 있고 몸에도 칠을 했 던 흔적이 있어 붉은색으로 귀신 등 삿된 것을 쫓 는 전통적인 벽사방식을 하고 있다. 현실적인 동물 모양이라기보다는 상상의 동물이라고 보아야 옳을 듯하다.

진묘수 몸통에 새겨져 있는 당초무늬는 당나라 풍의 덩굴무늬라는 뜻으로, 중국뿐만 아니라 많은 나라에서 무늬로 쓰였다. 덩굴은 가지가 덩굴을 이 루면서 끊임없이 뻗어 나가기 때문에 연면의 상징 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불교미술에 당초가 많이 쓰이는데, 이는 불교가 전래되면서 당초무늬도 같 이 들어 왔기 때문이다.

무령왕릉 관을 놓고 나오면서 연도 중앙의 중간 지점에는 다리 부러진 진묘수 하나를 세워 놓았다.

진묘수는 아운석이 만든 것으로 재질은 각섬석암 (角閃石岩: hornblendite)으로써 각섬석(amphibole) 을 주성분으로 하는 현정질(顯晶質)의 화성암으로 만들어졌다. 이렇게 만들어진 석수상의 입부분에 는 붉은색 채색이 칠해져 있었고, 돌출된 네 갈기 에는 연단(Pb3O4)이 칠해져 있었고, 앞발의 녹색 선에는 공작석으로 푸른 칠을 했다. 그리고 몸통 무늬에는 연백색 안료를 칠한 다음 연단(Pb3O4) 으로 붉은색을 내었다. 이는 붉은색이 악마와 사기 (邪氣)를 쫓는 뜻을 내포함으로 많은 부장품을 노 리고 불손한 침입자가 들어올지도 모르기 때문에 칠해진 것이다. 이렇게 채색된 진묘수는 도교적 의

미가 큰 발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도굴꾼 침입자 를 막기 위해 머리가 묘지 입구 쪽을 향하도록 하 여 두었다. 이는 대왕이 영원히 편히 잠들 수 있도 록 진묘수(鎭墓獸)가 지켜주기를 바라는 순수한 인 간적 마음에서 생겨난 풍습이다. 마치 사찰 입구에 험상궂게 세워진 사천왕상처럼 왕릉 내부를 지키 는 무사는 이제 더 이상 살아있는 백제병사가 될 수 없다. 영원히 같은 모습으로 변함없이 대왕을 지근거리에서 보호하고 지킬 수 있는 돌로 만든 진묘수가 제격이었다. 의도적으로 무령왕의 묘소 에 다리 부러진 높이가 30 cm, 길이가 47.3 cm인 진묘수(鎭墓獸)를 넣은 것은 처음부터 까닭이 있었 다. 이는 도교적 색채가 짙은 것으로 일부러 다리 를 부러트려 넣은 것이다. 무령왕릉 속의 진묘수가 다리가 부러진 채 발견된 것도 전족과 같은 이치 로 만들어 넣은 것으로의 이유와 같다. 그래야 멀 리 도망가지 못하고 망자인 왕과 비를 영원히 지 켜 주리라 당시 사람들은 굳게 믿었다. 다리가 성 한 진묘수 였다면 언제 도망갈지도 모르고 왕릉을 지키는 진묘수에게도 미안했을 것이다. 그러한 인 식 때문에 일부러 다리 부러진 진묘수를 넣은 것 이다(권 2005).

진묘수는 기괴한 신수를 표현한 공상적인 동물 을 무덤 안이나 앞에 놓아서 악귀(惡鬼)를 쫓아 사 자(死者)를 수호한다는 중국의 묘장풍습(墓葬風習) 이다(방 1997).

중국에서는 이미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초나라 무덤에서 나무 조각(彫刻)의 형태로 나타나기 시작 하여 한대에 이르러 무덤 앞에 기괴한 돌짐승을 세우거나 토기, 도자기로 만든 짐승들을 무덤 안에 넣으면서부터 보편화되었다. 그 후 한대(漢代)에서 당대(唐代)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유행하다 가 송대(宋代)에 이르러서 각종 명기의 유행으로 점차 그 모습을 감추게 되었다. 특히 진, 한대(晉, 漢代)에서는 네 다리로 서 있는 동물이 주류를 이 루었으며, 북위(北魏)시대에서부터는 사람과 동물 얼굴이 복합되어 한 쌍을 이룬 또 다른 진묘수가 대두되기도 하였다(방 1997).

진묘수에 표현된 동물들은 처음에는 실존하는 호랑이, 말, 양과 같은 형상화된 것이었으나 당대

(4)

Fig. 2. Jin myo su iron horns.

(唐代)에는 사자, 코끼리, 타조 등이 더해져 더욱 다양화되었으며, 명대에는 양이나 호랑이는 사라 지고 낙타가 더해지기도 하였다. 특히 한대 이후에 는 실존하는 동물 이외에 서아시아 지방에서 크게 유행 하였던 익수예술(翼獸藝術)의 영향으로 날개 나 갈기가 첨가되어 기이한 공상적 동물들이 많이 나타났으며, 이후 육조시대에 이르러서는 이들이 더욱 세련되었다(방 1997).

기괴한 상상의 동물 모습을 표현하고 있는 무령 왕릉의 돌짐승은 전체적인 모습이 중국 육조(六朝) 시대 진묘수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그러나 쇠 뿔을 따로 만들어 머리에 꽂는다거나 전체 형상을 도안화시켜 표현한 것들은 중국의 진묘수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백제의 독창성이 더해진 것으로, 주체적인 문화수용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하겠 다(방 1997).

2.2. 진묘수의 상징성

1971년 여름의 장마철 송산리 6호분 배수로 공 사 중 무령왕릉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우리나라에 서는 처음으로 왕릉묘실 내에서 발굴된 다리 부러 진 돌짐승의 정체를 모르고 연신 고개를 갸웃거렸 는데, 실은 여기에 다 이유가 있었다. 일부러 대왕 의 묘소에 다리 부러진 높이가 30 cm, 길이가 47.3 cm인 진묘수(鎭墓獸)를 처음부터 넣은 까닭 이었다.

왕릉의 다리 부러진 진묘수에 대하여 학자들은 통일신라 후기 왕족으로서 왕위 계승 문제로 공주 에서 반란을 일으킨 김헌창이 고분에 숨어들었다 는 것을 근거로 무령왕릉 진묘수의 다리가 그때 부러졌을 것이라 주장하나, 과연 사람 힘으로 단단 한 돌짐승 다리가 부러질까? 부질없는 상상에 근 거가 미약함은 물론 어불성설이다(방 1997).

이처럼 다리 부러진 진묘수는 중국 남부지역에 서 수도 없이 발견된다. 이는 처음부터 일부러 다 리 부러진 진묘수를 왕릉에 넣었음이다. 그 이유는 바로 중국 여성들의 전족(纏足)을 떠올리면 된다.

이는 도교적 색채가 짙은 것으로 일부러 다리를 부러트려 넣은 것이다. 마치 중국 여인들이 미인의 조건으로 여기고 기꺼이 행했던 전족과 같은 이치

와 같다. 전족은 여자가 귀했던 중국에서 여자들을 남자들의 기호에 맞춰 생겨났다. 요즘 같으면 양성 평등에 위배되어 상상도 못할 일이지만 귀한 여자 가 멀리 도망가지 못하게 할 목적과 함께 성적인 이유에서였다고 한다. 즉 어려서부터 발이 성장하 지 못하도록 천으로 꽁꽁 동여매던 관습으로 그렇 게 성장한 여자들은 멀리 도망가기에는 부적합하 였다. 이는 남성들의 이기적인 발상으로 생긴 악습 이나 당시 중국 여인들은 그러한 인식은 없었고 미인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 받아들여졌다고 한다.

특히 만주족이 명나라를 멸하고 한족과 협상을 하 면서 만주족 여성은 전족을 하지 않기로 합의하였 는데도 불구하고, 만주족 여성들도 전족을 따라하 는 풍습이 있어 청 왕조가 골머리를 앓았다고 한 다. 다른 하나의 이유는 전족을 함으로써 여성들의 엉덩이가 잘 발달된다고 한다. 즉 성적으로 여성이 매우 잘 발달하기에 결혼을 하면 남성들이 대만족 이라 한다.

무령왕릉 속의 진묘수가 다리가 부러진 채 발견 된 것도 전족과 같은 이치로 만들어 넣은 것으로 의 위 내용의 이유와 같다. 그래야 멀리 도망가지 못하고 망자인 왕과 비를 영원히 지켜 주리라 당 시 사람들은 굳게 믿었다. 다리가 성한 진묘수였다 면 언제 도망갈지도 모르고 왕릉을 지키는 진묘수 에게도 미안했을 것이다. 그러한 인식 때문에 일부 러 다리 부러진 진묘수를 넣은 것이었다.

(5)

Fig. 3. Drawing Jin myo su.

3. 문화재 요소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3.1. 문화상품의 정의

공예는 실용성과 조형성을 함께 지닌 미의 결합 체라 할 수 있다. 야나기무네요시는 ‘공예문화’란 서적에서 공예의 성립요소를 다음과 같이 표현하 고 있다. 첫째, 무엇에 쓰이(用)는가? 둘째, 재료 (材)가 무엇인가? 셋째, 만드는 기술(術), 넷째, 물 건을 제작하는 손과 연장의 작업, 다섯째, 노동 여 섯째, 전통. 여기서 전통이라 함은 그 고장의 자연 과 풍토를 고향으로 하고 역사와 습성을 집으로 하여 자라났다. 고장에 따라서 양식의 차이가 있고 수법이 독특했다. 전통은 다채롭게 번영하여 이윽 고 거기에서 민족의 고유한 공예와 문화가 형성 되었다.

전통을 바탕으로 문화가 생성되고 문화 속에서 용(用)과 미(美)가 합하여 공예로 생성된다. 문화란 사회 구성원에 의하여 습득, 전달되는 행동양식 내 지 생활양식으로서 한 시대의 역사성과 민족성, 전 통성을 나타낸다(윤 2001).

상품이란 사고파는 물품 또는 상거래를 목적으

로 하는 물건을 말한다. 그렇다면 문화상품은 무엇 인가? 한 마디로 정의한다면 ‘문화상품이란 한 국 가나 민족의 고유한 독창성이나 전통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품적, 또는 문화적 부가가치를 가지는 것’ 이라고 하겠다. 즉, 그 나라만의 독특한 민족 성이나 살아왔던 습관, 생활양식 등 그 나라만을 대표할 수 있는 실용성을 가진 것이야말로 문화상 품이라 할 수 있다(김 1998).

3.2. 진묘수 분석을 통한 아이템 선정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진묘수는 가로(220 mm)

× 세로(473 mm) × 높이(300 mm)의 화성암으로, 무덤을 지키기 위해 만들어진 돌짐승이다. 전체적 인 형태는 뭉툭한 코, 툭 튀어 나온 눈, 짧은 다리, 그리고 머리엔 사슴뿔 모양의 철제 뿔(Fig. 2)을 달고 있어 현실의 어떠한 동물에 비유하기 어려운 상상 속의 동물이다.

진묘수의 측면은 당초무늬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고 있으며, 평면에서는 비스듬한 철제 뿔과 일정한 간격의 문양이 등 부분에 표현(Fig. 3)되어 있다.

진묘수의 대표 문양으로는 앞다리 위쪽의 문양

(6)

시장조사 및 디자인 개념파악 :

기존 문화상품 디자인의 개발 사례 조사 및 비교 분석

* 디자인 개발방향 협의 :

기능 차별에 따른 개발 모델 종류 결정

(백제문양의 이미지에 부응하는 특징적 요소 파악)

* 아이디어 스케치 전개 :

한국적 이미지 및 기능적 측면의 차별화된 전개

* 렌더링 :

2종류의 렌더링으로 디자인 선별 압축 작업

* Mock-Up 도면설계 :

대량생산 및 양산방식 기술검토

* 시제품 제작 :

특징적 요소 강조 및 부분적 단순화(2개 모델)

과 뒷다리 위쪽 문양 그리고 사슴뿔 모양의 문양 으로 나뉠 수 있겠다. 이 중에 머리 위에 달린 뿔 모양의 문양을 디자인 요소로 선정하여 디자인 요 소로서 개발한다.

4. 디자인 연구

4.1. 디자인 개요 및 컨셉

제품의 내용인 백제권 문화재 디자인 요소를 적 용한 문화상품은 현대 생활에서 사용하는 메모용지 (포스트잇)보관함과 스마트폰 거치대로 책상 위에 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재를 선택 하였다.

디자인 개발의 목표는 백제문양에서 이어져 오 는 전통 장식의 특징을 살려 현대생활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조형 요소를 발굴하여 새로운 감각 이 조화된 디자인으로 개발하며, 디자인 모티브로 선정된 백제권 문화재의 고유문양인 진묘수 문양 을 각각의 형태 변화에 따른 차별적 적용으로 장 식적 조형미를 강조하였다. 또한 백제문양에서 흔

히 나타나는 정교한 아름다움을 시각적으로 드러 나게 사용하여 한국적인 전통미의 계승도 강조하 였다. 또한 새로운 형태로서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 등으로 다양화할 수 있는 점을 검토 하여 기존의 일반적 관광상품 개념에서 탈피한 새 로운 방법을 시도하였다.

4.2. 디자인 전개 과정(Table 1)

디자인 전개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첫째, 현재 생산 및 판매되고 있는 백제권 문화상품의 디자인개발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디자인 개념을 파악한다. 둘째, 백제문양의 이미지에 적합한 특징 적 요소를 추출한다. 셋째, 백제 문화재의 디자인 요소가 적용된 이미지 및 기능적 측면의 아이디어 스케치를 전개한다. 넷째, 2종류의 디자인을 압축 선별하여 렌더링한다. 다섯째, 대량생산이 가능한 Mock-up 도면을 설계한다. 여섯째, 이상을 바탕 으로 특징적 요소가 강조된 2개의 시제품을 제작 한다.

(7)

Fig. 4. Desk service (Phone holder) drawing.

Fig. 5. Desk service (Memo archive) drawing.

4.3. 디자인 도면(Fig. 4)(Fig. 5)

(8)

Fig. 6. Phone holder rendering.

Fig. 7. Memo archive rendering.

Fig. 8. Phone holder real Photo-1.

Fig. 9. Phone holder real Photo-2.

Fig. 10. Memo archive real Photo-1.

Fig. 11. Memo archive real Photo-2.

4.4. 디자인 확정 및 3D 렌더링

책상 위에서 사용자의 편이를 도모하는 Desk- service 용품으로 사용성을 강조하여 무게감 있는 어두운 계열의 목재인 흑단을 선택하고, 스마트폰 케이스(Fig. 6)와 메모지 보관함(Fig. 7)으로서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형태를 유지한다. 백제문 양의 문화적 전통을 반영하고 일상생활에서의 실 용적 기능을 충실히 보전하며 장식성을 높이기 위 해 진묘수에서 나타나는 당초문양을 활용한 디자 인으로 시제품 제작 전에 3D 렌더링 작업을 한다.

흑단의 중후함이 강조된 컬러의 적용으로 진지함 과 고급스러운 느낌을 부각시켰다.

4.5. 디자인 결과물 실물 사진 (Fig. 8) (Fig. 9) (Fig. 10) (Fig. 11)

(9)

5. 결 론  

백제문화상품의 고유한 성질은 사회적 생활의 일환으로 응축된 디자인이 보다 고부가가치를 지 니므로, 우리문화의 고유의 전통성과 선조들의 지 혜가 충분히 반영되는 디자인 개발로서 보편화되 고 있는 세계 상품과 그 대열을 나란히 할 수 있도 록 해야 한다. 이는 각각의 용도에 맞는 특색이 살 아 있는 디자인으로 재료나 기술, 방법 등을 파악 하여 개발하는 것은 보다 단단한 국내의 문화상품 시장 저변 확대의 기반을 마련함과 동시에 국제적 세계화의 제품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기반이 된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된 ‘백제권 문화재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문화상품 개발연구’는 백제권 문양 의 요소를 적용하여 고유한 문화유산의 전통을 반 영하고 현대생활에서의 기능과 조형성을 충실히 수행하며 장식성을 높이기 위해 진묘수의 표면에 나타난 문양을 활용하여 Desk-service 용품 적재 적소에 적용시켜 조형적 요소를 강조한 디자인으 로 개발되었다.

향후 본 디자인개발의 특성상 동일한 제작 기술 과 조형성을 함축한 문화상품류는 우리의 생활필 수품으로서 개발되어 디자인의 다양한 변신과 응

용화된 이미지로 대중이 선호하는 고부가가치의 제품으로 새롭게 탄생하도록 하고, 세계 흐름에 발 맞추는 현대적 감각과 우리 전통 문화의 이미지를 새롭게 개발하여 문화상품의 판매증진은 물론 백 제권역의 문화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이번에 개발된 백제문양 요소를 적용한 백제문 화상품개발은 동급의 경쟁사 제품과 차별화되어 국내에서는 유명 관광지나 박물관 및 미술관의 아 트샵 등에서의 판매 증진 및 전시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선조들의 삶의 지혜와 아름다움이 숨 쉬고 있는 백제문화의 계승 발전으로 세계적으로 호평 받는 문화상품의 개발로 다른 관련 기업과 소비자 로부터 귀감이 되었으면 하는 기대를 갖는다.

참 고 문 헌

권오영. 2005. 고대 동아시아 문명 교류사회의 빛 무령 왕릉 . 198쪽.

방웅정. 1997.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 . 84쪽.

김덕용. 2006. 무령왕릉 출토유물 문양집. 62쪽.

국립공주박물관. 2004. 국립공주박물관 . 29쪽.

윤정열. 목공예기법을 이용한 목공예 문화상품 개발연 구. 삼척대학교 논문집. 223쪽.

김효선. 1998. 한국공예가협회 회보 . 2쪽.

수치

Fig. 1. Jin myo su.아니라  전국의  관광지  어느  곳에서나  그  지역의 특색을  살린  전문화된  상품의  개발로  지역특화를 주도해야 됨에도 불구하고,  현 상황은 그렇지 못하다
Fig. 2. Jin myo su iron horns.(唐代)에는  사자,  코끼리,  타조  등이  더해져  더욱 다양화되었으며,  명대에는  양이나  호랑이는  사라지고 낙타가 더해지기도 하였다
Fig. 3. Drawing Jin myo su. 3. 문화재 요소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3.1. 문화상품의 정의 공예는 실용성과 조형성을 함께 지닌 미의 결합 체라  할  수  있다
Fig. 5. Desk service (Memo archive) drawing.
+2

참조

관련 문서

•창조적 공존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다양한 인재의 관리능력 → 인재의 다양성 관리가 중요한 것은 기업 내 인재의 다양성 관리의 문제가 외부고객과 상품의 차

The Concept of Cultural Translation in

As a specific educational method, we proposed the cultural elements teaching model and the model through the learning plan based on the prototype Moran-model, and took

Results showed that exhibition environment of flower fair was effected by cultural elements, exhibition quality and exhibition service were effected by event

The station names have been rewritten with newly introduced Romanization Reference for Korean Place Names and Cultural Terms from January 2001.. As the observation elements

The station names have been rewritten with newly introduced Romanization Reference for Korean Place Names and Cultural Terms from January 2001.. As the observation elements

20) Marc Hermeking, “Culture and Internet Consumption: Contributions from Cross-Cultural Marketing and Advertising Research”, in Journal of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 museum exhibi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