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에 있어서 마르크스주의의 수용과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중국에 있어서 마르크스주의의 수용과정 "

Copied!
1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중국에 있어서 마르크스주의의 수용과정

김 한나

머리말

1. 신사상과 마르크스주의 소개

2. 이대조와 진독수에 있어서 마르크스주의 이해 3. 모택동에 있어서 마르크스주의의 이해

맺음말

머리말

중국에서 마르크스주의가 차지하고 있는 위상에 대해서는 새삼 길게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1910년대 말에 소개된 이래 그것은 지식인, 청년층에 급속히 세력을 확 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공산당이 창당되어 현재의 대륙을 지배하는 현실적 성공을 거두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마르크스주의는 어떤 과정을 거쳐서 중국에 소개되었던 것이며, 이렇게 소개된 마르크스주의는 중국에서 어떻게 이해되었던 것일까?

중국에 마르크스주의가 소개되고 정착되는 과정에 대해서 학자들의 의견이 반듯이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외부적인 요인을 강조하는 시각에서 러시아혁명의 영향, 코민테 른의 지도를 중시하는데, 극단적인 경우 소련의 ‘음모’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외부적인 요인만을 강조하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가 그러하듯이 중국사회 내부에서 진 행되던 변화의 역동성을 무시하게 된다는 점은 더 길게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내부적인 요인을 강조하는 시각 즉 내재적 발전의 결과로 보는 것의 주류는 민족주 의를 축으로 중국 마르크스주의의 독특성을 설명하는 태도이다. 미국의 B. Schwart의

『중국공산주의와 毛의 대두』가 그 효시이고, 그 이후 M. Meisner의『이대조와 중국 마 르크스주의 기원』에서 가히 일단락을 지었다 할 이 시각은 중국공산주의의 독자성을 인정했다는 점에서 객관적인 이해를 돕는 긍정적 가치가 있다. 그러나 30년대 마르크 스주의의 중국화를 이룩한 모택동 사상의 틀을 20년대의 ‘기원’의 문제에 까지 소급해 작용한 나머지 20년대 마르크스주의 수용의 복잡한 실제를 소홀히 취급했다는 혐의는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기원’을 다루는 일본의 상당수 연구자들이 신민주주의혁명론의 영향아래 毛의 ‘초보적 공산주의 지식을 지닌 지식인’을 연구하는 사상사 연구를 주된 분야로 삼아온 것도 같은 맥락에서 평가할 수 있겠다.

Arif Dirlik의 『중국공산주의의 기원』은 바로 이러한 한계를 비판을 그 출발점으로 삼 고 있다. 그는 10월혁명, 마르크스주의의 이데올로기, 공산당조직이 하나로 ‘뒤얽힌 거 미줄’을 푸는 작업이 곧 ‘기원’을 해명하는 길이라고 한다. 그의 주장하서 주목되는 점 은 1910년대 후반에 마르크스주의가 아닌 여러 조류의 사회주의가 수용되고 있으며, 특히 무정부주의의 영향이 컸음을 주장하는 점이다. 그는 이러한 무정부주의자들이 조 직한 소규모 집단이 아나키즘을 깔고서 추구했던 새로운 사회원리의 구현수단인 실험

(2)

적 생활공동체가 열광적인 기대와 달리 실패로 돌아가자 새로운 모색으로 마르크스주 의를 연구하는 연구회들을 세웠고 이들이 곧이어 공산주의소조로 전진되었다가 중국공 산당으로 발전했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중국에서 마르크스주의의 수용과정에 연구자들의 시각에서 볼 때 본 글에서 는 외적인 원인과 내재적인 원인 즉 중국내적인 발전의 식으로 보려고 한다.

10월혁명 이전에도 중국의 소수 유학생 지식인들은 마르크스나 그의 학설의 윤곽에 대해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아울러 그것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그 가운데 주집신이

1)가장 유명한 예이지만, 그의 마르크스학설 소개는 중국이나 지식인들에게 거의 아무 런 영향력도 발휘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1949년 중국혁명의 역사를 총괄하면서 아울러 기본적인 국가정책을 선포한 <인민민주주의 독재를 논함>이란 글에서 모택동이 “러시 아혁명의 포성은 우리에게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가져다주었다.”는 적은 상당히 정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마르크스주의는 10월혁명 레닌주의와 함께, 당시 중국의 일부 지식인에게 환영받으며, 수용되고 신앙되었던 것이다. 러시아의 경우 플레하노프 등에 의해 오랫동안 마르크스주의가 번역 소개되고 연구됨으로써, 사상 이론의 준비 단계를 거쳤던 것과는 달리, 중국에서의 마르크스주의는 처음부터 당면한 행동을 지도 하는 직접적인 지침으로서 받아들여지고 이해되고 운용되었다. 마르크스주의가 중국에 서 가장 먼저 드러낸 것은 바로 이러한 혁명적 실천적 성격이었다. 중국에서는 러시아 에서와 같은 합법적 마르크스1)가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첫 번째 문제는 상당히 복잡 하고 방대한 마르크스주의 가운데에서 도대체 그들이 어떤 것을, 어떻게 주목하고 이 해하고 선택했는가 하는 것이다. 그들은 어떠한 것을 선택하고 어떻게 그것들을 응용 하였는가? 또 이러한 선택과 응용은 어떻게 해서 가능했는가? 중국에 있어 마르크스 레닌주의의 기원을 찾기 위해서, 중국 공산당 찹립 직전의 몇년동안 이대조와 진독수 의 지적발전의 과정을 서술하고 이들의 영향을 받은 모택동은 마르크스주의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알아본다.

1. 신사상과 마르크스주의 소개

20세기초 중국의 지식인들에게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진 사회진화론은 19세기말 嚴復 에 의해 소개되었다. 사회진화론의 ‘弱肉强食’, ‘適者生存’의 원리는 열강의 침략 앞에 무기력하게 대응하는 청조와 중국의 현실을 설명하는 적합한 사상으로 보였으며, 중국

1) 1885-1920. 廣東 番寓출신으로, 1904년 일본에 유학하고, 다음해 中國同盟會에 가입하여 혁명 이론 선전과 실천에 종사하였다. 1913년 反원세개 활동에 가담하고, 이후 孫文이 조직한 中華革 命黨에 가입하여 손문의 주된 측근의 한 삶으로서 활동하였으며, 1919년 上海에서 <建設>잡지를 창간하여 신문화 운동에 참가히기도 하였다.

2) 특히 1894-1901년간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했던 P. B. Strube · M. I. Tu-gan-baranovsky· N. A.

Berdyaer 등에 의해 발전된 비판적이고 학문적인 마르크스주의의 해석. 자본주의와 그 근대화적 서구화적 역할의 진보성에 주된 관심을 기울였으며, 노동계급의 동원, 이데올로기로서의 마르크 스주의나 러시아 사회민주당에의 정치적 참여에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3)

의 위기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강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일깨우는 계몽사상이었다.

사회진화론은 당시 개혁을 주장하든 혁명을 주장하든 중국의 운명을 근심하던 많은 지 식인들에게 광범위하게 수용되었다. 그러나 사회진화론은 당시 서구 열강의 침략을 받 고 있던 중국의 현실을 사실로서 인정해 버려 중국인에게 널리 퍼져 있던 강한 自卑感, 自愧感을 극복할 수 있는 논리가 되지는 못했다. 더구나 부패할 대로 부패하여 기대할 것이 거의 없어진 청조나 명목뿐인 중화민국이라는 국가를 통해 强者가되려는 길을 모 색하는 것은 커다란 좌절감 밖에 주지 않았다. 이렇게 국가를 통한 새로운 중국의 건 설이 절망적으로 인식된 것이 無政府主義였다.

무정부주의는 국가를 매개로 하지 않고도 새로운 중국을 건설할 수 있고 서구국가와 의 경쟁 가운데서 발생하는 계속적인 自卑感에서도 해방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경 쟁을 추구하고 강자로 군림하는 서구를 비판할 수 있는 사상으로서 당시의 지식인들에 게 호소력을 가졌다. 다시 말하면 무정부주의는 당시 지식인들에게 일반적으로 받아들 여진 경쟁을 원리로 하는 사회진화론에 기초한 사회개혁론 내지 혁명론을 극복하고자 한 사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시기의 무정부주의자들은 대체로 개혁파나 혁명파와 마찬가지로 중국사회에 대한 위기의식을 기지고 있었다. 이들의 위기의식의 강도는 혁 명파에 가까웠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기본적으로 사회진화론을 기초로 하고 있던 개혁파나 혁명파의 변혁론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국민국가의 형성이 중요했다고 할 수 있는 이 시대에는 왜 무정부주의가 많은 지식인 들에게 수용되었을까? 애리프 딜릭(Arif Dirlik)은 근대 중국의 지적인 문제 중의 중심 적인 것은 민족주의 문제였다고 지적하면서 무정부주의는 민족주의적 경향과 반대되는 것이었지만, 중국에서 처음 호소력을 갖게 된 것은 새롭게 대두된 민족주의적 경향에 대한 비판인 동시에 보완적인 사상으로서 그 시대적 의의를 가질 수 있었음을 지적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의 지적을 조금 확대하면 무정부주의는 계급론적 관점에 의 해 중국의 민족주의와 세계주의가 결합되고 개조되어야 할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존재 그 자체로서의 중국 민중을 기초로 한 국민주의 이론이 출현하기 이전에 민족주의와 국민주의에 대한 비판과 보완의 사상으로서 중요한 의의를 가졌던 것이라고 할 수 있 다.

그들은 무정부주의를 小資産階級, 流氓無産階級의 반동적 정치사조이며 個人主義的 世界觀으로부터 출발하여 절대자유를 주장하며 모든 정부와 강권에 반대하는 사상으로 규정한다. 그리고 혁명을 거치지 않고 無政府, 無法律, 無軍隊, 無監獄의 ‘各盡所能, 各 取所需’ 사회 즉 무정부공산의 이상사회는 육체노동과 정신노동이 결합된 형태로 노동 이 존재하며 인간 상호간의 상호협력으로 이루어지는 사회를 전립하려는 환상을 가진 사상이라고 본다.

무정부주의의 기초이론은 정치적 측면보다도 사회적 측면과 주로 관계된다고 할 수 있다. 무정부주의는 개인의 자유를 사상의 핵심으로 한다. 그러나 그 자유는 극단적인 예외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개인의 강한 도덕성을 전제로 하는 자유이다.1) 우드코크도 무정부주의는 역사적으로 말하면 주로 사회와의 관련 속에서 인간에 상관하고 있고 그

3) Alan Ritter, Anarchism: a theoretical analysis, cambridge Univ. Press, 1980. p. 31

(4)

궁극적인 목표는 언제나 사회변혁에 있음을 지적하였다.1) 이렇게 무정부주의는 본질적 으로 대단히 친화력이 있었던 사회사상이다. 그것은 무정부주의가 君子의 自己 修養을 전제로 한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던 유가적 전통을 계승한 중국 지식인들에게 쉽게 수 용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서구의 경우 르네상스를 거치면서 개인이 신으로부터 독립 을 쟁취하고 個人主義를 기조로 한 사회였기 때문에 개인의 자유를 강조하는 것이 사 회주의 사상과 쉽게 접근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중국은 아직 개인의 자유 가 그렇게 중시되지 못하였고 개인의 자유라는 개념도 그다지 통념화 되지 못한 상황 이었다. 즉 개인의 자유를 바탕으로 하는 무정부주의가 중국에 정착되기에는 적지 않 은 문제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정부주의가 중국에 수용되어 전 파된 것은 新儒家가 ‘理’를 중심으로 체계적 사상을 전개한 이래 지식인들에게 폭넓게 수용된 도덕목적론적 의식이 무정부주의를 쉽게 수용할 수 있는 사상적 토대가 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1919-1949년 사이 자본론의 전파

4) 죠지 우드코크 著, 河岐洛 譯, 위의책, 1918. p. 11

(5)

10월혁명 이후 지식인들 사이에서 자본론의 번역과 저술작업이 본격화된다. 자본론 의 20년대,30녀대,40년대의 번역과 저작을 통해서 중국 마르크스주의의 유입과정을 알

이 름 년 도 구 분 책 또는 논문명

李大釗 1919년 저 작 《나의 마르크스주의 관》

陣啓修 1919년 저 작 《신 경제학》

陣望道 1920년 번 역 《공산당 선언》

黃凌霜 1919년 저 작 《마르크스 학설의 비판》

陣公博 1920년 저 작 《마르크스의 일생과 그 사업》

摩 漢 1922년

1920년

저 작 저 작

《마르크스 경제학설》

《마르크스 잉여가치론》

李漢俊 1920년 번 역 《마르크스의 자본론 입문》

費覺天 1920년 번 역 《자본론 저서》

周佛海 1923년 1922년

저 작 저 작

《마르크스 자본론》

《마르크스 경제설 소개》

陣獨秀 1922년 저 작 《마르크스 경제학설》

施復亮 1923년 1929년

번 역 편 료

《자본론 해설》

《자본 대총》과《경제과학 대총》

李 季 1926년 1929년

번 역 저 작

《통속 자본론》

《마르크스 傳》 戴季陶 1927년 고자기의 《자본론 해설》

李 達 1928년 번 역 《정치경제학 비판》

李一氓 1929년 번 역 《철학의 빈곤》

李 達 1930년 1935년

하상조의 저 작

《마르크스주의의 경제기초 이론》

《경제학 대총》

陣啓修 1930년 번 역 《자본론》제1권 제1편 李 季 1931년 저 작 《자본론 천설》

郭沫若 1931년 번 역 《정치경제학 비판》

汪馥泉 1932년 번 역 《마르크스 경제학설》

潘冬周 1932년 번 역 《자본론》제1권 제2, 제3, 제4 王思華 1932년

-1936년

번 역 《자본론》제1권

吳半農 1934년 번 역 《자본론》제1,2편 狄超白 1936년 저 작 《통속 정치경제학 강화》

鄭易里 1938년 번 역 《 <자본론>의 문학구조》

郭大力 1938년 번 역 《자본론》제 1,2,3권 沈志遠 1939년 저 작 《연구 자본입문》

何恩敬 1936년 편 료 《자본론 자수》

王思華 1944년 사료 )

저 작 《어떻게 연구를 할 것인가 <자본론> 》

郭大力 1943년 1949년

번 역 번 역

《자본론》통신집

《잉여가치 학설사》

王亞南 1946년 1949년

저 작 저 작

《중국경제 원론》

《중국사회경제 개조, 문제연구》

章漢夫 1948년 허척신과 합한 사료

《자본론》

沈志遠 1949년 저 작 《신 경제학 대총》

許滌新 1949년 저 작 《신민주주의의 경제》

(6)

아보고자 한다. 1920년대는 마르크스주의의 초기 번역단계로 주로 마르크스 경제학설 이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자본론에 대한 내용이 처음 소개된 것은 1920년 李漢俊이 번 역한 《마르크스의 자본론 입문》이다. 그리고 1923년 施復亮이 번역한《자본론 해설》

1926년 李季가 번역한《통속 자본론》이 있다. 20년대는 어떠한 정치형태의 사람에 관 계없이 그들은 마르크스주의의 서적을 소개하여《자본론》의 전파방면에서 적극적 작용 을 일으켰다. 30년대 초기에는 《자본론》의 제1권이 주로 번역되고 1938년에 자본론 1,2,3권이 번역되었고, 1939년에는 沈志遠이《연구 자본입문》이라는 책을 출판하였다.

30년대의 《자본론》전파자의 대오는 제1차 국공합작의 실패를 거쳤기 때문에, 이전보 다 조금은 단순해져, 대부분이 공산당원과 진보적인 문화 人士였다. 30년대의 전파 작업에는 발전이 있었다. 주요한 지표는 《자본론》원작 연구에 전입하여 시작한 것이 다. 전파자의 주요업무는 《자본론》을 번역한 것이고, 다른하나는 마르크스 경제학설을 저술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르크스주의의 전파자는 계속적으로 장애물을 제거하고, 새 로운 노선을 개척해 나갔다. 40년대 《자본론》전파자의 대오는 20년전의 숙청을 겪고, 또 해방 전쟁시기 국민당 반동파가 최후의 저항을 하던중 유행한 백색테러의 시련을 거쳐 순결함과 날쌔고 용맹함이 더욱 크게 변화하였다. 《자본론》의 입장, 관점, 방법, 원리를 연구하고 구중국의 경제 형태를 분석하고, 혁명승리 후의 새중국 경제를 예시 하고, 같은 시기에 반동 문인과 갖가지 혁명진행에 비속한 이론 진행에 고달픈 투쟁을 저지할 여러 계책을 꾸미는 것이었다. 이것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설의 전파가 한단계 더 확대되고 깊이 들어가고 수준이 향상됨을 포현하는 것이다.

1917-1918년 신문화운동 당시의 개혁운동은 新思想운동과 新文學운동의 두측면에 서 전개되었다. 신사상운동은 유교전통 타파와 서구사상 수용을 위한 계몽운동을 형태 로 전개되었다. 그리고 신문학운동은 文學革命으로도 불리워지는데, 白話文 사용을 주 장하는 문학형식의 문제 뿐아니라, 그것이 담고 있는 내용의 혁신성이 결합된 신사상 운동의 한 표현이기도 하였다.

이들 신지식인들은 당시의 봉건적 전제정치 상황이 儒敎 또는 孔敎와 불가분의 관계 가 있다고 보아, 2천년 중국 전제정치의 정신적 지주이며 인간해방을 방해하는 봉건적 정치·도덕·문화의 근간인 유교와 공자에 대한 비판운동을 전개하였다. 민주주의와 개인 주의의 옹호자로서 중국의 전통적 가족제도와 유교사상하에서 억압당하는 운동 단계로 부터 직접적 정치행동적인 투쟁이 결합되어가는 시기라 할 수 있다. 이 무렵 군벌정치 의 反動性이 제국주의와의 결탁으로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정치상황이었다. 이에 진독 수와 이대조는 《매주평론》을 발간하여, 그러한 정치상황을 폭로하고, 러시아 10월혁 명과 세계혁명사조를 소개하였고 마르크시즘이나 무정부주의 사상도 전파하였으며, 노 동문제도 큰 비중을 두고 취급하였다. 5·4시기의 지식인·청년·학생들은 누구라도 민족 주의 요소를 가지고 있는 위에 사회주의 원칙들을 진보적이고 이상작인 것으로 받아들 였다. 각종 사회주의조류에 공감하고 있던 급진파들은 사회·경제·정치적 변혁을 통해 중국의 여러 문제들의 총체적 해결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였다.

무엇보다도 주목해야 할 새로운 움직임은 마르크스주의 전파와 러시아 혁명내지 소 련의 영향력확대이다. 러시아 혁명이래 이대조는 庶民의 勝利, <볼셰비즘의 승리>를 발 표하여 세계혁명의 새로운 방향을 민중의 주체적 역할에서 찾았고, 《신청년》제6권 제 5호 (1919.11)를 마르크스주의 특집호로 꾸며 그 이론을 소개하는 등, 마르크스주의

(7)

연구와 소개에 관심을 쏟았다. 또한 《新潮》(1919.1) 창간호도 러시아 10월혁명을 20 세기의 새로운 세계적 조류라 하며 평민과 근로자가 군벌·자본가를 패배시키는 사회혁 명의 도래를 예견하였다. 5·4를 전후하여 각종 사회주의사조가 풍미하면서 북경대학에 서는 ‘사회주의 연구회’가 성립되었고(1919.12) 다른 대도시에도 유사한 연구모임이 설 립되었다. 사회민주주의·무정부주의·길드사회주의 그리고 마르크스주의와 공산즈의 등 각종 사회주의이론이 검토되었고, 지식인·학생들은 자신의 입장에 따라 분열되어 각기 연구조직을 설립하였다.

3. 이대조와 진독수에 있어서 마르크스주의 이해

1918년에서 1920년 사이의 진독수와 이대조의 사상속에서 일어난 급격한 편향을 이 해하려 한다면, 그들이 살았던 당시의 절망적인 분위기와 대외적 사건들과 그들의 양 력을 살펴보지 않으면 안된다. 그들은 조국이 처해 있는 상황에 깊이 관여하면서 전통 적인 중국식 처방을 던져버리고 새로운 해결책을 서구에서 찾으려고 했다. 그러므로 당시의 급박한 정치적 상황에 대한 고려 없이는 그들의 사상발전을 이해하기는 어렵 다.

1911년의 신해혁명은 1919년에는 이미 명백한 실패임이 드러났다. 손문의 국민당은 그가 중국 민족에 비유했던 ‘흩어진 모래알’처럼 분해되어 버렸다. 공화주의와 입헌주 의의 이념은 그의 추종자들을 규합하는데 실패했으며 이 이념들을 대중에게 전파시키 려는 어떠한 시도도 이뤄지지 않았다. 원세개의 죽음으로 공백이 생긴 권력은 모든 입 헌기구를 멋대로 조작하던 몇몇 장군들이 장악하였다. 1919년에 陳은 “8년 동안이나 걸려있는 ‘중화민국’이라는 잘못된 간판은 이제는 구식 藥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팔리고 있다.”1)라고 말했다. 열강의 세력은 중국의 정치·경제생활에 계속 침투하고 있었고, 일 본의 ‘21개조의 요구’1)가 중국의 무력함을 뚜렷이 보여주고 있었다. 한편 탐욕스러운 군벌, 지주, 고리대금업자들의 가혹한 착취와 가내공업의 몰락으로 농민은 점차 헤어날 수 없는 빈곤의 늪으로 빠져가고 있었다. 이와 같이 중국내부에서는 저항의식이 고조 되었고, 사회 각층의 의식개조와 혁신사상이 풍미하고 있었다.

진독수는 1920년 중국공산당을 창당한 주요인사 가운데 하나이며, 중국에서 혁명의 문화적인 토대를 발전시킨 주요지도자이다. 그는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과거시험 에 첫 관문을 통과한 후 만주지방에서 군관직에 근무하던 그의 아버지는 그가 태어난 지 몇 달도 안되어 죽었다. 4남매 중 막내였던 그는 어머니 밑에서 양육되었고 할아버 지·훈장·형에게서 차례로 중국의 경전과 고전문학을 배웠다. 1901년 22세 된 그는 자기

5)「實行民治的 基礎」 <신청년> 1권 p. 14

6) 21개조의 내용은 다섯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①산동지방의 옛 독일의 차지하고 있던 이 권을 일본이 갖는다. ②남만주· 내몽골에서의 일본의 우월권 인정과 여순, 대련 및 남만철도 의 조차 기간 연장, 일본인의 거주· 영업· 재산권 인정 ③漢治公司의 중· 일 합작경영

④중국연안의 항만· 도서를 타국에 양도하지 않는다. ⑤중국정부내에 일본인 정치· 재정·

군사 고문을 두고 일본무기를 공급받으며 화중· 화남에도 일본의 철도부설권을 인정한다. 등으 로 되어있다.

(8)

고향인 안후이 성의 중심지에서 청조에 반대하는 연설을 한 후 난징으로 피신했다가 다음해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東京고등사범학교에 입학했다. 1911년 청조가 무너진 뒤 중화민국이 들어서자 안후이 성 都督의 비서장이 되었고, 안후이 고등학교 교무장을 겸임했다. 1913년 총통 원세개에 대항하는 제2혁명에 참여했다가 혁명이 실패하자 일 본으로 망명하여 정치개혁을 요구하는 《갑인잡지》의 편집을 도왔다. 진독수가 중국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치기 시작한 것은 1915년에 귀국해 월간지《청년잡지》를 간행하 면서 부터였다. 이 잡지는 후일 《신청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 잡지에서 조국의 발 전을 위해 청년들이 사상·문학·문화 전반에 걸친 방대한 혁명의 책임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1916-27년 중국은 강력한 중앙정부 없이 많은 군벌이 각지에서 일어났고, 군벌간의 전쟁이 잦아 여러 갈래로 나누어졌다. 이에 더욱 혁명적인 사명감을 가진 진 독수는 1917년 베이징대학교 문과대학 학장에 임명되자, 주변에 많은 진보적이고 자유 로운 사상을 가진 교수와 학생들을 모이도록 했다. 그들의 새로운 사상과 문학은 5·4 운동을 이끌었다. 이 운동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한 진독수는 문과대학 학장직을 사임 해야 했고, 1919년 6-9월 3개월간 투옥되었다. 그는 1917년의 러시아 혁명을 후진국 의 근대화를 위한 모범적인 방식으로 생각하고 석방된 후 얼마 안 되어 상하이에서 공 산주의자가 되었다.

이대조는 중국공산당(CCP)의 공동 설립자이며 모택동에게 사상적인 배경을 제공한 사람이다. 天津과 일본 와세다대학에서 공부한 후, 새로운 서구 지향적 문학 및 문화운 동 잡지《신청년》의 편집인이 되었다. 1918년 베이징대학교 도서관장으로 임명되었고, 1920년에는 역사학 교수를 겸직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에 용기를 얻어 마르크스주 의에 대한 연구와 강의를 시작했다. 그의 강의는 모택동을 포함한 훗날 공산당 핵심인 물이 된 학생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1912년 7월 이대조가 창립한 마르크스주의 연구단체가 조직적인 공산당으로 발전했다. 그는 국제 공산당에서 지지하는 정책을 수 행하는 동시에, 소규모의 중국공산당과 손문이 이끄는 전국적인 규모의 국민당과의 협 조를 성사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1927년 베이징의 소련 대사관에 피신해 있던 이대조는 만주의 군벌 장작림에게 체포되어 교수형을 당했다.

잡지 『신청년』의 창간자인 진독수1)는 1919년이래 ‘민주주의와 과학’이라는 두 지주 에 의해 지탱 일관된 철학에 심취해 있었다. 부정적인 측면에서 이 철학은 모든 형태 의 중국 전통문화-불교 도교 유교문화-를 전면적으로 거부하였다. 불교와 도교는 급 진적이고 반세속적인 편견에 의해 수세기 동안 중국의 활력을 마비시켰으며, 유교 또 한 가족과 사회에 대한 의무1)라는 굴레로 개인을 질식시켰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 결과는 被動性과 정체성, 그리고 서구의 도전앞에 중국이 보인 무기력이었다. 이 서구 의 도전에 대한 대응책은 오로지 서구에만 발견될 수 있다고 믿었다.

서구의 터질듯한 활력, 그 정신적 물질적 역동성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인가?

서구는 동양이 갖고 있지 않은 그 무엇을 갖고 있는가? 陳의 눈에 그 대답은 너무도

7) Benjamin Schwartz,「Biographical Sketch, ch`en Tu-hsin」『Paper on China』(Harvard University, 1948)

Ⅱ 168 참조

8) 같은 책, p. 193, n.5 참조

(9)

명백했다. 바로 민주주의와 과학이었다. 중국의 전통에 대한 반역자로서 그리고 열렬한 근대론자로서 陳은 18세기 이전의 어느 것에서도 서방의 비밀을 찾으려 하지 않았다.

이 점에서 그는 당시 진보적 인텔리겐차 모두의 정신상태를 정확히 반영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陳獨秀의 민주주의 개념이란 무엇이었던가? 본질적으로 그것은 맨체스터 자유주의의 개념이었다. 전통이 개인에게 씌운 속박을 제거함으로써, 자기 이익을 추구 할 수 있는 자유를 그에게 부여함으로써, 그리고 이런 자유를 법적으로 보장해 줌으로 써 민주주의는 개인의 활력을 해방시킨다는 것이었다.1)

陳은 현재 서구가 이룩한 성과의 대부분이 생산적인 경제활동의 영역에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으며 유교의 족쇄를 제거하고 개인의 활력을 해방시키면, 중국에서도 서 구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나리라고 확신하고 있었다.

여기서 그가 신봉했던 개인주의의 유형이 낭만주의자들의 허무주의적 개인주의가 아 니라 경제적인 동기가 바탕에 깔린 맨체스터 자유주의의 개인주의였다는 것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개인의 해방이 중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이라는 그 자신 의 견해에 비추어 어떤 의미에서는 사회적인 동기가 바탕에 깔린 개인주의였다.

과학의 역할에 대한 陳의 인식은 무엇보다도 먼저 러시아 허무주의자의 그것을 상기 시킨다. 그들처럼 그도 과학을 전통사회를 해체시키는 무기나 부식제로 보았다. 물론 그는 자연의 정복에 있어 과학의 역동적인 역할도 인정했지만, 특히 과학을 , 미신을 타파하는 무기로써 더욱 잘 인식하고 있었다.1) 그리하여 그는 과학의 권위에 대해 물 질의 원자가 유일한 궁극적 실재임을 요란스럽게 선언함으로써 불교와 도교의 신비주 의와 함께 ‘禮敎’의 성립기반을 쉽사리 무너뜨릴 수 있었다.

요컨대 진독수는 이같은 철학적 신조를 가지고 중국사회를 개척하고자 한 것이다.

그는 당대 서구의 장미빛 견해에 근거하여, 중국에 개명을 이루하고 민주적인 정치형 태를 이식하기만 하면 중국의 토양에도 서구와 비슷한 기적을 이룩할 수 있을 것이라 는 낙관적인 신념으로 가득 차 있었다.

이대조는 근본적으로 성향이 다른 사람이었다. 진독수는 그의 선호 때문에 구체적인 사회문제와 문학적인 문제에 관심이 기울어 있었는데 비해 李는 뚜렷이 형이상학적인 경향을 가졌던 인물이었다. 實在란 시작도 끝도 없고 공간적으로 무한하며 영원히 다 함이 없는 흐름이라고 이대조는 말한다. 절대의 차원에서 생각할 때 이같은 현실의 진 행은 오직 하나이다. 그러나 상대적인 의미의 우주에서는 실재는 서로 구별되는 수많 은 현상들로 나뉘어 나타난다. 물론 인간은 상대적인 현상세계의 부분이고 이 때문에 모든 다른 현상들과 마찬가지로 덧없는 존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自我’는 절 대적인 실재의 부분이고 영원하다. ‘自我’는 우주이고 우주가 곧 ‘自我이다.1) 비록 따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이 절대적인 실재가 절대정신이라는 암시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리고 각 현상은 대립현상을 갖는다는 二元性의 원칙이 이 과정을 관통하고 있다.

이 단계까지의 이대조의 철학은 중국의 고대적인 사고 방식의 테두리 속에 있었다.

9) 같은 책, p. 195, n.12 참조

10) 같은 책, p. 196, n.16 참조

11)「靑春」<新靑年> 2권 1호

(10)

그러나 이 시점에서 李는 과거로부터 완전히 떨어져 나와, 에머슨의 열렬한 낙관주의 와 서방의 ‘점진적 진화론’을 받아들이기 시작한다. 위에서 살핀 실재에 관한 견해가, 한결같이 유한한 생은 덧없다는 비관적인 함축을 갖고 있는 것과는 딴판으로 李의 마 음속에서 그것은 열렬한 낙관주의와 결합되었다.

이대조의 뜻밖의 특징은 그의 시간개념이었다. ‘영원한 유전’, ‘끝없는 변화’를 말하는 철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순간의 존재를 부정한다. 그럼에도 李는 “어떤 철학자들은 과 거와 미래만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반면에 어떤 사람들은 현재만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내게는 뒤의 견해가 이치에 맞는 것 같다.”1)고 말했다. “무한한 과거가 현재에서 마지 막 쉴 곳을 찾듯이 현재는 무한한 미래의 연원이 된다.”1) 현재속에서 우주의 젊은 정 신은 끊임없이 자신을 새롭게 재현한다. 세계정신의 부분으로서의 인간정신도 과거의 죽은 악령을 떨쳐버리고 현재에 스스로를 재창조할 힘을 가졌을 뿐 아니라 보다 높은 차원에서, 곧 언제나 빛나는 현재들 안에서 스스로를 재창조할 능력을 갖고 있다.

이 사상의 많은 부분에서 나타나는 에머슨류의 영감에도 불구하고 李가 개인을 중시 하지 않았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에머슨에게 있어서 세계정신은 개인의 삶 속에서 실현되는데, 李에게 있어서 개인은 오로지 세계정신 속에서만 그 의미를 갖는 다. 이러한 맥락에서 李가 역사 교수였으며 독일의 역사철학에 대한 약간의 지식을 가 졌다는 사실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 때문에, 그는 개인의 역할에 대립하는 것으로 서 역사적인 힘을 선호하는 편견을 갖게 되었다. 전통 중국사상과 헤겔이 李로 하여금 마르크스주의 사상의 이런 측면을 쉽게 수용하도록 만들었다.

진독수와 이대조는 그들이 전통중국문화에 대해서 비타협적 적대감을 갖고 있었으며 둘 다 서구를 철학적 길잡이로 생각하여 이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럼에도 陳 이 중국의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諸문제에 대한 구체적 해결책을 민주주의와 과학에서 찾았던 반면 李의 사상은 우주적 차원에서 머물러 해방을 위한 우주적 행위에 기대하 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그가 10월 혁명의 메시아적 메시지를 맨 먼저 받아들인 것은 놀랄 만한 일이 아니다.

1918년 10월에 쓰여진 「볼세비즘의 승리」라는 논문에서 李는 ‘10월 혁명’을 그 자 신이 기다려 온 우주적 해방의 행위로 파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진정한 승리는 독일에 대한 연합국의 승리가 아니라 볼셰비키의 승리 이다.…앞으로 모든 국경선, 모든 계급적 차별, 자유에 대한 모든 장애물은 일소될 것 이다.”1)

전체 중국 인텔리겐챠들의 러시아 혁명에 대한 관심은 점차 깊어졌다. 비록 이대조 가 혁명의 메시지를 수용할 때는 혼자였다고는 해도 그에 대한 관심에 있어서는 혼자 가 아니었다. 중국의 인텔리겐챠들을 특별히 오래 매혹시켰던, 광대한 국가에서 소수의 사람들에 의하여 수행된 거대한 역사적 전환이라는 장관-서양의 서양자신의 대한 공격

12)「今」 <신청년> 4권 4호 p. 307

13) 같은 논문 p. 308

14)「Bolshevism的 勝利」, <新靑年> 5권 5호(1918년). 같은 테마를 다룬 그의 논문 「庶民的 勝利」

도 실려있다.

(11)

이기도 한 - 은 각계 각층으로부터 광범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러시아 혁명에 대한 이같이 광범위한 관심이 맨처음 구체적으로 표현된 것 중의 하나는 1919년 봄에 북경 대학에서 만들어진 ‘마르크스주의의 연구회’이다.1) 이대조가 러시아혁명의 바탕이 된 敎義의 전체들을 완전히 무시하고서는 러시아혁명의 메시지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것 을 깨닫고 곧 이 연구회의 구성을 제의했던 것이다. 한편 진독수는 연구회에서는 아무 런 실질적 역할을 맡지는 않았지만 북경대학 문과 대학장의 자격으로 암묵적인 지원을 해주었다. 그 회원들은 주로 학생들로 이루어졌는데, 그들 가운데 張國燾와 司書補였던 모택동과 같은 많은 인물들은 뒷날 공산주의 운동에서 지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5·4운동 초기의 이대조는 러시아혁명의 未世的메시지를 주저하지 않고 받아들였으나 그 교리적 기초는 비록 연구해야 한다고 느끼기는 했지만 아직 받아들이지 않고 있었 고, 진독수는 큰 관심을 갖고 러시아의 형세를 살펴보고는 있었으나 여전히 민주주의 와 과학에 대한 자신의 신념에 집요하게 매달려 있었다. 그럼에도 1920년 후반에는 두 사람 뿐만 아니라 그들과 함께 교리를 철저히 연구해왔던 일단의 학생들까지 모두 마 르크스-레닌주의 진영에 가담해 있었다.

1919년과 1920년에 북경대학에서 버트란드 러셀과 존 듀이가 행한 강의는 그 무렵 의 지적 발효에 미친 영향으로 볼 때 결코 가볍게 다뤄질 사건이 아니었다. 러셀의 영 향이 제한적이고 일시적이었던 반면에 듀이는1) 사회철학에서는 그렇지 못했지만, 과학 철학의 분야에서 중국사상계에 지워지지 않을 표식을 남겼다. 그럼에도, 정확히 말한다 면 진독수가 완전히 흔들린 민주주의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지탱하기 위해 붙들었던 것은 듀이의 사회철학이었다. 「사회철학 정치철학」이라는 강의에서 듀이는 그때까지 陳이 알고있던 민주주의 개념보다도 훨씬 폭넓고 깊게 민주주의를 정의하였다. 그 당 시 그는 민주주의가 중국에 뿌리내리는데 실패한 이유가 중국인들의 민주주의 개념에 대한 잘못된 이해, 그 자신도 예외가 될 수 없는 그런 오해에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 을 하였다. 그리고 그는 당시 「민주정치 실현의 기초」라는 자신의 논문에서 듀이의 광 의의 민주주의 개념을 전면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나는 민주주의의 미래에 대해 낙심하지 않는다”1)라고 陳은 선언하다. 만약 민주주 의가 실패한다면 그것은 중국인들이 위로부터 부여된 政體라는 측면에서만 민주주의를 생각하기 때문이다. 듀이는 “사실은 법칙을 창조할 힘을 갖고 있으나, 법칙은 사실을 창조할 힘을 갖고 있지 않다.”1)는 것을 상세히 보여주었다.

그러나 陳이 듀이의 공식들을 중국현실에 적용하고자 시도하는 동안에도 반대편에서 레닌주의적 세계관의 인력이 이미 작용하기 시작했다. 듀이의 개혁안을 시행하는 데에 는 수년에 걸친 지리하고 자기 희생적인 작업이 요구되었다. 게다가 아무런 전체적 구 원의 희망을 제공해 주지도 않았다.

15) 波多野乾― , 『最近支野年鑑』(東京. 1935년) p. 1597

16) 죤 듀이의 北京滯在인상기는 그의 『Letter form china and Japan』(New York 1921)속에 나타나 있 다. 北京滯在中 그는 다음과 같은 강연을 했다. ①사회철학과 정치철학 ②교육철학 ③사고 의 방법 ④우리시대의 3人의 哲學家(베르그송, 헤 겔, 제임스) ⑤윤리학에 대하여

17)「實行民治的基礎」(<新靑年>7권 1호 p.15)

18) 같은 글 p. 17

(12)

진독수의 「민주정치 실현의 기초」가 실린 <신청년>의 같은 호에는 그의 사상적 전 환을 나타내는 첫 번째 징후가 나타난다. 時事에 관한 雜記에서 그는 이렇게 적고 있 다. “그들은 볼셰비키가 평화를 어지럽힌다고 비난한다. 강대국들이 약소국들의 주권을 침해하는 것은 평화를 어지럽히는 것은 아닌가? 우리의 함선을 포격하고 중·러 조약을 내세워 몽고의 자치를 거부한 것은 볼셰비키를 적대시하던 옴스크 정부였다. 진정으로 평화를 어지럽히는 자들은 바로 이 신사양반들이다!”1) 레닌주의적 세계관이 준 감정적 충격은 듀이 영향의 흔적을 금새 말끔히 지워버렸던 것이다.

1920년 12월 이전에 陳은 마르크스 레닌주의를 통째로 받아들였다. 그의 최후의 도약단계에는 이대조가 마르크스주의에 접근할 때 보여준 것같은 철학적 망설임은 전 혀 없었다.

진독수를 마르크스주의의 품으로 인도했던 똑같은 사건과 똑같은 분위기가 또한 마 르크스주의의 문제에 관한 李의 마지막 망설임을 극복하는데 이바지했다. 그러나 「물 질적 변화와 도덕적 변천」이라는 제목으로 1919년 12월 <新潮>에 실린 논문1)에는 아 직도 정신적 갈등의 흔적이 보인다. 이 논문에서 李는 양심의 힘에 대한 자신의 열렬 한 신념을 마르크스주의 교의와 화해시키려고 애쓴다. 그리하여 “도덕적 양심이라는 존재는 우리 모두가 인정해야 할 사실이며 의무의 요구는 우리들의 마음속에 있다”1) 는 그의 신념을 재확인한다. 그러나 이 도덕적 양심의 근원은 어떤 초자연적 근원에 거슬러 올라갈 필요는 없고, 인류가 사회적으로 존재하기 위하여 투쟁과정에서 발달시 킨 사회적 본능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이리하여 그는 사회진화론에 대한 자신의 독특한 해석에 의해 도덕적 양심의 기원을 설명한다.

이런 방식으로 이대조는 결국 마르크스주의와 화해했다. 李는 볼셰비키혁명의 구체 적 메시지의 수용의 전제조건인 마르크스주의와의 화해가 만족스럽게 이루어지자 거리 낌없이 스스로를 마르크스 레닌주의자라고 선언했다.

마르크스 레닌주의의 진영으로 옮겨 갈 때 진독수와 이대조는 당시 그들의 순수 한 지적 권위의 무게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던 일단의 학생들을 모두 데리고 갔다. 그 들의 직접적인 영향아래 있던 사람들 가운데는 張國燾 瞿秋白 李漢俊 毛澤東 周佛海가 있었는데, 후 일 이들은 모두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된다.

이대조와 진독수의 권위 때문에 운동에 참가한 사람들 중 몇 명은 곧 공산주의운동 과 충돌하였다. 또 모택동과 같은 나머지 사람들은 곧 이대조나 진독수보다도 행동의 강령인 레닌주의의 의미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음을 스스로 입증했다. 그러나 이들 두 사람이 진실로 중국의 마르크스 레닌주의의 정신적 아버지들이며 중국공산들의 창설자들임을 의심할 의지가 없다.

4. 모택동에 있어서 마르크스주의의 이해

19)「隨感錄」「過激波與世界平和」<新靑年> 7권 1호 pp. 115-116.

20)「物質變動與道德變動」<新靑年>2권 2호 (1919년 12월) <新潮>誌는 短命했지만 북경대학의 학 생 그룹에서 발간한 매우 영향력이 큰 정기간행물이었다.

21) 같은 책 p. 207

(13)

모택동은 湖南省출신이었다. 호남은 太平天國亂을 진압하고, 1860년대에 維新運動을 지도한 학자·향신·장군들 뿐만 아니라 1911년 신해혁명을 이끈 여러 지도자들, 다른 사 람들 가운데서도 특히 손문휘하의 군사지도자 黃興과 국민당을 조직한 宋敎仁 등을 배 출한 중국민죽주의의 진원지였다. 모택동은 1921년 7월 중국공산당 창당대회에 참석 할 때 28세로, 그 동안 노동조합을 조직하여 파업을 지도했고 잡지를 편집하고 논문을 썼었다. 그는 정력적인 지도자였으나, 마르크스주의에 이론적인 기초가 없었고, 외국에 다녀왔거나 소련에서 교육을 받은 일이 없었다. 그는 애초부터 상당히 민족주의적 마 르크스주의자였다. 1922-1927년간 제 1차 통일전선때 모택동은 국민당과 협력한 주요 인물이었다. 1927년 초 호남에서 농민운동을 조사하여 武漢의 국민당정부에 보고서를 제출했다. 34세에 만든 이 보고서에서 모택동은 농민층을 해방하고 낡은 지배계급을 무너뜨리기 위해 서민대중의 혁명적 정열과 힘을 궐기시킬수 있다는 자신의 견해를 내 세웠다. 통일전선의 무한정부 시절에 그는 토지개혁을 주장하는 주요인물이 되었다.

마르크스의 사상은 중국문화의 사회주의적 구조에 힘입어 쉽게 수용될 수 있었고 모 택동은 이 점을 옳게 간파하고 최대한 활용하였다. 모택동의 역할과 중국공산당의 투 쟁이 결정적인 요소가 되어 마르크스사상이 중국에 전달되고 정착된 것은 사실이다.

중국에는 전통적으로 사회주의나 마르크스사상에 버금가는 오묘한 정치의식과 문화가 있었고, 이것은 중국인들로 하여금 매우 빠른 시간내에 그러한 외래사상을 도입하고 소화시키는 능력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었던 것이었다.

경제적인 봉건성과 낙후성에도 불구하고 모택동은 과거 중국의 정치의식에는 實踐과 革命을 지향하는 유토피아가 있었음을 인지하였고 그는 이점을 최대한으로 부각시키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하였다. 우선 권력쟁취에 수단이 되었던 孫子나 兵家이론은 서구 의 마키아벨리의 이론보다 몇 세기 이전에 인간성의 악의 문제, 국가 주권의 사상, 민 중의 정치의식과 그의 군사적 중요성, 전략에 있어서 때와 음모가 차지하는 역할 등을 매우 심오하게 규명한 사상으로 선진 열강을 대항하는데 중국이 유효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이었다.1) 민중과 노동이 정치적 권력의 근원적 요소라는 인식, 민중의식을 동원하여 군대와 병기에 대한 의존을 줄일 수 있다는 인식, 선전, 명분, 유토피아로 적 진을 교란시킨다는 전략은 클라우제빗츠, 카알 슈밋트에 의하여 그 의의가 평가된 바 있었는데, 이러한 사상은 이미 오래된 左傳, 筍子, 三國志 외에도 수많은 중국의 역서 와 병서에 그 내용과 의의가 소개된 바 있었으며, 모택동은 도처에서 이들을 인용하였 다.1)

동시에 모택동은 法家와 그의 富國强兵사상이 유가의 왕도사상에 억눌려 빛을 못보 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유가는 君子라는 엘리트 중재 역할을 중요시하고, 법을 무의미 하게 만들었으며, 민중의 역할을 애매한 천명개념으로 증발시켜 버렸기 때문에, 평등하 고 합리적인 국가 이상의 구현은 중국에서 요원한 꿈이 되고 말았다. 管子, 韓非子, 商

22)『모택동선집』“中國革命戰爭的戰略問題” 1936년 12월 講話, “抗日遊擊戰爭的戰略問題” 1938.5

23) 劉邦이 項羽를 매도하고자 내걸었던 十個의 명분과 모택동이 蔣介石을 향하여 내건 十個條 件의 형식은 너무나도 그 방식이 유사하다. 『前漢書』高祖, 4년『모택동集』上揭書,Ⅶ, pp.223-228.

“延安民衆詞汪擁蔣大會通信” 1940. 2. 1

(14)

秧 등의 법치주의, 상공업 장려 정책, 관료와 귀족의 특권 거부사상은 현대국가 수립과 운영에 유효 적절한 것으로 모택동은 이를 높이 평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보았다. 맹목적인 내란이나 투쟁을 배격하고 명분과 대의를 중요시한 것은 모택동이 전통 중국의 정치적 예지를 현대정치에 창의적으로 적용한 하나의 예라고 볼 수 있다.

毛는 유교에서도 大同, 易姓革命, 德治, 敎育, 實踐사상, 王道와 역사철학, 平天下이념 등을 받아 들였다. 유교는 문화혁명 당시 광범위히게 비판되었듯이 중국에서 가장 적 대시되었던 구체제의 유물이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자신의 종합적 인식방 식으로 인하여 한가지 논리가 아니라 수많은 대립 상충되는 논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중에는 매우 혁신적인 내용도 없지 않았다. 이러한 점들은 모택동에 의하여 활용되 었던 것이다. 모택동은 유교를 송두리째 배격하면서 그 속에서 선별적으로 중요한 내 용을 수용하였다.

한편 모택동은 또 전통적 유교 등의 비과학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인 사상에서 “人間 性” 등의 개념이 糊塗하는 인간 형태의 구도성을 마르크스-레닌주의가 포괄적, 체계적 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을 중요시하며, 사회에 대한 구조적 인식과 변혁을 위한 지식을 갖게 된 것은 마르크스-레닌주의에 힘입은 것임을 강조하였다. 유교의 중화사상은 이 민적 문화에 대한 근거없는 境界, 優越의식을 심어, 血統, 門閥, 階層을 넘는 통합을 불 가능하게 하였다. 그것은 자신의 추함과 부족함에 대한 객관적 인식을 갖지 못하게 하 는 것이며, 동시에 자신의 잠재력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유발시킬 수도 없는 것이다.

노신은 사회주의에 자신이 접하게 됨으로 비로소 이 문제에 크게 눈을 뜰 수 있었다고 말하였는데, 사실 모택동이 이민족, 문화를 중국 역사에 과감히 접목시킬 수 있었던 것 은 사회주의의 四海同胞的 보편주의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정치의식의 고양 과 확산을 중요시하고 다른 누구보다도 전통적인 천민을 정치 전면에 부각시킴으로써 動員上 명분상 큰 힘을 행사할 수 있었다. 대중이 정치적 주체로 동원되어야 하는 현 대적 정치의 속성을 그는 파악한 것이었다.

유교는 또 의식생활과 중용철학으로 중국인의 관습과 태도를 비정치적으로 만들어 그들이 능동적 시민으로서 정치투쟁에 나서는 것을 막았으며, 그것은 중국이 현대국가 로 전환하는데 방해요인으로 작용하였는데, 모택동은 중국에 그와 대립되는 사상을 재 평가하여 모순아닌 갈등을 적극적 가치로 인식하게 한 의미를 갖는다.1) 이점에 있어서 사회주의는 정권의 소재를 합리적 위치 즉 민중에게 그리고 법도에 위치시키는데 도움 을 주는 원칙으로 부각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러한 원칙은 여지껏 극복될 수 없었던 二元的 계급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고 통일의 길로 정치를 인도하는 것으로 보여졌던 것 이다.

모택동은 국가적, 민족적, 집체적 차원에서 중국의 他者性을 인정받아야 평화적이고 윤리적인 국제관계가 가능한 것이라고 보았으며, 중국은 그러한 독자성을 인정받지 못 하면 열강이 지배하는 국제질서에서 계속 客體的인 위치에 환원되며, 그로 인하여 세 계적인 지배체제가 주변부에 종속되는 불이익을 받게 될 것으로 우려하였던 것이다.

이렇듯 모택동은 우선 중국에서 근대국가의 民治的, 法治的 기틀을 마련한 정치가로서

24)『모택동選集』인민출판사, 제1권, 1937. 7-8. pp. 259-312.

(15)

그의 의의를 인정받아야 한다. 전통국가에 있어서 국가는 군사, 관료, 귀족에 의한 계 층체제로써 비능률적이며, 비참여적이기 때문에, 그러한 二元조직에서 자율성을 인정받 지 못한 민중은 군무와 경제에 소극적이며, 국가 전체의 국력도 그만큼 위축되어 대외 적으로 취약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신생독립국가의 고민 중에 하나는 외국문화의 무절제한 범람과 그로 인하여 생기는 도시 농촌, 지식인 민중간에 벌어지는 차이와 균 열의 문제이다. 통일작업은 우선적으로 문화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그러한 혼란 기에 정치가에게 요구되는 것은 어떻게 자국적 기준을 활성화하고 그것을 새로운 문화 에 유기적으로 접목시키는가의 문제일 것이다. 구체적으로 모택동에게 부여된 과업은 국내의 분열적 요소가 외세에 의하여, 이용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축소하기 위하여 이 데올로기의 종주국인 소련에 대하여도 독립적 노선을 주장하는 것이다. 그는 말기의 청조 뿐 아니라 국민당 정부가 실패하였던 개혁을 도모하고 성공시키는 작업에 그의 두각을 나타내었던 것이다. 외세와 외래사상을 끝까지 거부하던 청조는 전통체제의 취 약성을 절감하고, 兵器수입, 兵制개혁, 稅制확충, 行政합리화, 憲法上의 민주화 등을 시 도하다가 국내외의 압력 그리고 자신의 능력 부족으로 급기야 1911년 共和세력에 의 하여 해체되는 운명을 겪게 되었던 것이다.

세 체제로 등장한 국민당 정부의 조직과 이데올로기는 그 모든 도전을 감내하기에는 너무나도 느슨하고 피상적이었다. 모택동의 민족주의는 국민당의 사대부계급을 계승하 는 피상적이고 미지근한 민족주의에 반하여 주변부를 좀 더 철저히 동원하는 拔本塞源 의 민족주의를 천명한 것이었다. 구미의 자유민주 제도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기에 중국 현실은 매우 많은 모순을 가지고 있었고 희랍적이고 신교적인 자율사상 뿐 아니라, 근 대적 자본주의 구조에 세워져 있는 근대국가를 신속히 세우기에 중국의 전통은 대단히 이질적이었다. 당시 중국에는 강력한 리더쉽, 서구적 현대와 동양적 전통을 체계화하고 통합하는 유토피아, 그리고 한민족과 중하빈농의 요구를 정치적인 프로그램으로 전환 시켜주는 혁명이 요구된다. 서구의 자유주의적 국가들이 세계의 온누리에 식민지를 건 설하더니 이제 바야흐로 중국대륙에 그의 제국주의적 침략을 감행하는 모습을 명백히 보게 되는 중국인들은 그의 자유, 평등, 박해 사상을 하나의 이데올로기로서 밖에 볼 수 없었다. 인간이란 기계나 동물과 다르기 때문에 자극에 대하여 총체적이고 선택적 인 반응을 하는 記號의 존재이다. 그는 수많은 의미를 배우고 그 중에서 의미 적절한 방향에 자신을 위치시킨다. 중국인에 관하여도 모택동은 非物化的, 非疏外的인 해방이 념을 교육함으로써 이들이 새로운 국가와 시대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인도하여야 지, 이들에게 반성없는 盲從이나 자율성없는 생명을 부과한다면 그것은 逆效果만 일으 킬 것으로 보았으며, 대화적 설득과 역사교육에 파고드는 그의 사회주의는 ‘인간의 얼 굴’을 가지고 등장할 수 있었다.

대외적으로 군사적 열세에 몰렸던 모택동의 중국이 내놓을 수 있는 무기는 인간의 주관적 결단력, 명분을 통한 선전술이었으며, 이것은 구체적으로 비정규군을 조직하고 그것을 활용하여 선진병기와 군사에 맞서는 것이었고 또 당시 중국의 혁신적 지식인들 이 고루하다고 저주하고 있었던 중국의 정치 역사와 전통의 비판적 수용이었다. 더욱 이 사회주의나 마르크스-레닌주의가 내란이나 봉기에는 많은 시사와 지시를 주었으나, 외국과의 민족전쟁에 관하여는 시원한 언급이 없는 상황에서 그가 의지할 수 있었던

(16)

자료는 중국 자체의 역사가 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국민당의 경우, 전쟁은 병기와 직업군인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이었고, 국내의 질서를 잡기 위하여 물리적 강제력의 통합을 위한 목표에 국한되었다. 이에 대하여 毛에게 있 어서 전쟁은 중국인과 인류의 유토피아적 해방이라는 국가적 이념 以上의 윤리적 창 조적 목표를 실현시키고자 하는 것이었다. 전쟁은 또 그것이 기능적 관심에만 치중할 경우 정치의 기본 목적에서 이탈할 위험이 많고 手段이 아닌 目的으로 전환될 위험을 높여 준다. 특히 반란군으로서 자신의 군무가 취약할 때는 민의에 호소해야 하고 소수 의 열세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사들의 확신에 의존해야 하는 정책은 毛가 어떻게 주관 적 요소를 중요시 했는가를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그리고 맹목적인 내란이나 전쟁을 배격하고 명분과 대의를 중요시한 것은 모택동이 전통 중국의 정치적 예지를 현대정치 에 창의적으로 적용한 하나의 예라고 볼 수 있다.

모택동은 분명히 한민족의 理想인 대륙통일을 추구하였으며, 이점에 있어서 자신의 업적을 대단히 만족스럽게 생각하였는데, 그는 자신의 詩에서 역대왕조의 시조중 아무 도 해 내지 못한 과업을 자신의 수행하여 냈음을 크게 부각시키고 있다.1) 전통지배계 급의 문예형식이라 할 수 있는 詩나 詞 등을 거리낌 없이 활용했던 것은, 그가 오직 현학적인 허영심을 만족시키고자 했다고 해석 할 것이 아니라, 전통적 중국문화를 계 승하고 그를 통하여 독자적인 “중국인의 길”을 모색하고 그 어떤 범주에도 편입되기를 거부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있었던 것임을 천명하는 예로서 받아야할 것이다. 최 하층의 대중 뿐 아니라 모택동은 이전에 오랑캐로 경시되었던 변방지역의 소수민족의 문화적, 역사적, 개체성을 인정함으로서 이들을 중국이라는 큰 울타리에 포섭하는데 성 공하였다. 전통적으로 유교는 도덕의 차원에서 역사를 보았기 때문에 그것은 옛것에 대한 예찬과 모방을 벗어날 수 없었으며, 왕조적 순환과 역사를 동일시하는 숙명적 역 사관을 재래하였는데, 새로운 사상은 주체와 객체의 변증법적 통합 그리고 불합리한 사상과 제도가 무너지고 이전 보다 나은 형태의 등장을 밝혀주며 결심과 투쟁을 가능 케 해주는 희망의 역사관으로 보였는데, 이것은 아시아적 생산양식 또는 공납제도를 재래하여 유래없는 全體主義的 관료사회를 중국에 등장토록 하였다.

모택동은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새 나라를 세우는 지상과제로 고민한 16세기 이태 리의 마키아벨리와 유사한 사상가라고 할 수 있으며, 근대국가의 지양이나 소멸을 부 르짖은 마르크스와는 상당히 구별된다는 지적을 여기서 할 수 있다. 모택동 치하의 중 국의 사회주의는 매우 독특한 면모를 보여 줌으로서, 외국의 관측자로 하여금 그러한 면모를 만들어 주는 원인이 어디에서 오는가 하는 의문을 자아내게 하였다. 모택동의 사회주의는 專門家的, 官僚的, 機械的이었던 소련의 사회주의와 구분되었으며, 그것은 소련에 대하여 예속된 다른 공산국가와의 전적으로 구별되었고, 더욱이 서구의 공산주 의나 左派운동과도 질적으로 다른 모습을 보여 주었다. 중국에는 이미 고도의 국가조 직이 발달하여 있었고 이에 대한 모택동의 효과적인 도전은 그의 사회주의를 매우 현

25) 泌園春.雪.北國風光,千理永封,萬里雪飄,望! 長城內外. 惟餘莽莽, 大河上下,頓失滔滔,山舞銀蛇,原 馬蠟象,慾與天公試比高,須晴日.看紅裝契畏,分外妖曉 江山如比多橋, 引無數英雄折腰. 『 모택동詩詞 감상』河北人民出版社, 1990, p. 123

(17)

대적으로 보이게 만든다. 관료주의는 상업금융계층, 지식언론계층, 국가관료, 승려계층 등이 비대해져 경제가 위축하고 새로운 변화를 체제가 수용하지 못하고, 대외적으로 취약한 모습을 보이는 상황을 지적한다. 그런데 중국에 있어서 관료주의는 유교부터 정당화되고, 절대 군주권이 확립되고, 사대부계급이 지배권을 행사하게 됨으로서 그 어 느 세계에서도 볼 수 없는 폐쇄적인 양상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중간매개적 계급의 억압을 해체시키기 위하여 유토피아적 세계관이 등장하며 민중이 주도되는 민족주의운 동이 분출하게 되는 것이다. 마르크스에 있어서 관료주의는 농민계급의 독특한 속성에 의하여 출현 지탱되는 것이라면, 모택동에 있어서 농민계급은 관료주의를 청산하게 하는 일종의 해방계급으로 등장한다.

모택동은 마르크스-레닌주의 뿐 아니라 서구 정치사상을 폭넓게 섭렵하여 이들의 의 미를 알기 쉬운 중국고사에 연관시키고 풀어서 설명하는데 천재적인 재능을 발휘하였 다. 모택동은 중국적인 것을 지키고 풍부히 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는 중국의 역사 철학 등에 깊은 이해를 지니고 있었으며, 그것을 십분 활용하였다. 그런데 그는 중국전 통에 머무르지 않고 이것을 서구의 가장 좋은 것에 접목시키려 하였다. 이 모든 것은 정치의식을 상당한 차원으로 고양시킨 역할을 할 것이라 볼 수 있다.

맺음말

진독수와 이대조의 지적 편력을 되돌아 보면 그들 두 사람이 모두 의식적으로 反傳 統主義的전제에서 출발하여 서구에서 빛을 찾았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의 지적 성향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둘다 문제를 단번에 해결해내는 해결책을 제시한 세계관을 좋아 하여 마르크스주의에 끌려들어간 것이다. 李의 모호하지만 낙관적인 형이상학적 견해 는 볼셰비키 혁명의 메시아적 메시지를 받아들일 바탕이 되었다. 陳은 자유주의적 민 주주의와 유물주의적 과학의 결합에 그의 모든 희망을 걸었다. 그러나 ‘無神論的 共和 主義’도 중국에서는 무력함을 깨닫자 그의 조급하고 열렬한 천성은 곧 꺾였다. 한동안 드는 의기소침했으나. 민주주의에 대한 존 듀이의 광의의 개념정의에 의해 다시 활기 를 찾을 수가 있었다. 그러나 듀이의 지리하고 점진적인 개혁만으로는 이원론과 혁명 적인 인텔리겐챠의 눈부신 역할을 중시하는 레닌주의 세계관에 오랫동안 견뎌낼 수 없 었다.

모택동은 부분적으로는 마르크스-레닌주의에 입각했으나, 근본적으로는 중국현실에 기초한 혁명사상이라는 점에서 독자성을 지닌다. 1919-20년에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접하기 이전에도 반제국주의와 반서구적인 생각을 강하게 지니고 있었다. 그의 민족주 의는 그 사상의 기초가 되는 尙武정신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는 중국적인 것을 지키면서 마르크스주를 중국사상에 연관시키면서 마르크스이론과 중국의 전통과 결합 한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를 만들었다.

중국에 있어서 마르크스주의의 수용을 역사적 필연성으로 전제한다든가, 외래사상의 이질적 가치가 침입되었다고 보는 시각을 버리고, 수용하는 측이 수동적인 입장이 아 닌 주체가 되어서 중국화된 마르크스주의와 중국내부의 내재적인 발전과 관련시켜 파 악하려고 했다. 그러나 본 글에서는 그 이념을 받아들이는 데 있어서 그당시 대학생들

(18)

이나 일반사람들이 주류가 아닌 지도인사급(이대조·진독수·모택동)에 국한된 것에 한계 를 느낀다.

참조

관련 문서

특히 현탁액을 다루는 산업에서 현탁액 내 입 자의 분산성은 물성 구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현탁액의 높은 분산성 확보가 중요하며 이에 대한 적절한 분산성 평가 방법을

[r]

또한 6대 주력 품목의 수출입액을 분석한 결과 중국에 대한 수입 의존 도는 계속해서 커지고 있는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supplementation levels of aqueous direct-fed microbials (DFM; Bacillus spp.) to TMR (exp. 1.) and aqueous DFM addition under

Purpose : The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uditory brainstem response(ABR) as a screening tool in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Methods : Between

상법이 규정하고 있는 자산의 평가방법은 취득원가주의 내지 저가주의를 채택하고 있으며 상법상 손익계산서에 계상되는 손익은 실현주의에 기초한 손익을 의미한다.

특히 철도사업의 계획단계에서 철저한 정보제공에 기초한 국민(Public) 의견수렴체계를 철도계획절차와 통합하는 방안을 구축 한다. 또한

그의 철 학은 심신 이원론을 바탕으로 수학을 자연학 연구를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 로 승격시켰다는 점에서 그리고 물질로 환원되지 않는 의식의 고유한 구조 와 형식을 드러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