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Study on the Adoption Effectiveness Factor for Architecture VE Proposal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A Study on the Adoption Effectiveness Factor for Architecture VE Proposals"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건축 VE 제안을 위한 채택효율지수에 관한 연구

송 도 흠

조선이공대학교 건축과

A Study on the Adoption Effectiveness Factor for Architecture VE Proposals

Song Do-Heom

Department of architecture, Chosun College Of Science & Technology, Korea (Received : Feb. 20, 2017, Revised : Mar. 24, 2017, Accepted : Mar. 27, 2017)

Abstract : It’s necessary to do analysis of individual variables quantitatively to make it possible to provide systematic feedback data on architectural VE proposal case for goal attainment, such as an architectural work client’s requirements, project period, and project characteristics or performance, budget, and quality, etc. And to do that, it might be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comprehensive VE proposal, and to use the VE proposal as the object of priority control for a similar project by final indexing of it.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by field targeting the existing educational facility VE performance case, and conducted the importance analysis by field through VE proposals effectiveness factor and the expert survey, through which this study deducted VE proposals adoption effectiveness factor, and then this study intended to present the standard point of the object of priority control by field which can be utilized as an performance indicator in time of architectural facility VE performance process.

Keyword : VE proposals effectiveness factor, VE proposals adoption effectiveness factor

1. 서 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의 건축공사는 공사비의 경쟁력을 넘어서 기술 가치를 극대화 하는 패러다임을 취하고 있다. 이 러한 변화 속에 국토교통부는 건축공사의 효율성 확보 를 위해 일정금액 이상의 정부발주공사는 설계의 경제 성 검토를 의무화 하도록 하는 시행령을 통해 건설 프 로젝트 설계단계에서 VE 적용을 법제화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는 계획,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단계에서의 VE 로서 발주자가 해당 프로젝트의 계획이나 설계에 종사 하지 않았던 자로 구성된 VE팀을 편성하고, 프로젝트 의 생애주기비용의 절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원래의 계

Corresponding Author 성 명 : 송 도 흠

소 속 : 조선이공대학교 건축과 조교수(교육중점) 주 소 : 광주 동구 필문대로 309-1 조선이공대학교 전 화 : 062-230-8550

E-mail : dhsong@cst.ac.kr

획이나 설계를 검토하고 대체안을 작성하는 것으로 우 리나라의 경우 정부(관)가 발주하는 공사에서는 보편적 으로 시행되고 있다[1]. 그 중에서도 교육시설은 BTL 사업과 최근 혁신도시 이전, 지방교육시설의 확충을 위 해 학교시설 사업의 규모가 급격히 확대됨에 따라, 창 의적이고 효율적인 대안설계를 제안해야함에 따른 설계 VE 영역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 다. 하지만 교육시설은 커리큐럼에 따라 일관성을 가지 고 시행되는 부분이 많은 공사로써 선행된 공사의 사례 에 대한 체계적인 피드백 자료가 매우 효율적인 시설로 분류할 수 있다.

건축시설의 VE 제안 사례에 대한 체계적인 피드백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변수에 대한 분석이 정량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통한 종합적인 VE 제안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최종적으로 지수화 하여 유사 프로젝트에 중점적인 관리대상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교육시설에 대한 VE 제안사례가 비용에만 국한되어 관리됨에 따 라, 그 실행목적에 부합하지 못하고 난해한 대안으로 효율적인 가치향상을 보이지 못해 다양한 변수를 고려 한 종합적인 관리체계가 요구된다. 즉, VE 적용대상이

(2)

비용절감형 뿐만아니라 성능향상형 및 가치향상형의 대 안이 제시될 수 있도록 기존 프로젝트의 VE 결과의 환 류과정을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교육시설 VE 수행사례를 대상 으로 분야별 실태분석 및 VE제안 유효계수와 전문가 설 문조사를 통한 분야별 중요도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도출 된 결과를 종합하여 VE제안 채택효율지수를 도출한 후 건축시설 VE 수행과정 시 수행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별 중점관리대상의 기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10년~2014년에 수행된 교육시설 VE제안 사례 15건을 대상으로, 다음 그림 1에서 도식 화 한 것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건설 VE 수행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한 개 선점을 분석한 후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수립하고, 연구 진행에 대한 범위 및 방법을 확립한다.

둘째, 건축 VE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건설 VE 개요 및 건축 VE 기법의 기본원리를 분석하고, 건설 VE 관 련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연구의 당위성과 차이점을 분 석한다.셋째, 건축현장에서 진행한 VE 제안 사례를 분석한 다. 이는 VE 제안 유효계수를 도출하기 위한 과정으로, 건축 VE 제안 수행 시 건축 분야별 채택 유효성을 알 아보고자 함이다.

넷째, 건축 분야별 VE 제안 중요도 도출을 위한 전 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례분석 내용뿐만 아니라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다.

다섯째, 앞서 도출 된 VE의 창출건수, 유효계수 및 전문가 중요도를 토대로 채택효율지수을 산정한다.

여섯째, 위 과정을 통해 도출한 VE제안 채택효율지 수를 토대로 건축시설 VE제안 분야별 중점관리대상의 기준점으로 제시하고, 이를 정리하여 결론을 서술한다.

Fig 1. Flow Chart

2. 건축 VE의 이론적 고찰 2.1 건축 VE 기법의 기본원리

건축 VE 기법은 다음 세 가지의 사고방식으로 분류 하여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실거주자 중심의 사고방식으로 건축주의 주관 으로 VE의 가치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거주자에 의 한 판단으로 결정된다. 이에 따라 건축주는 거주자의 가치판단의 변화에 따른 적절한 프로젝트의 성능, 내구 성, 품질, 시공성, 유지관리성 등을 제공하여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실거주자 중심의 사고방식이다.

둘째, 기능중심의 사고방식이다. 1차 적인 원가절감 에 포커스를 두고 진행되던 기존의 원가절감 사고방식 은 건물의 LCC(Life cycle cost)를 분석한 결과 오히 려 점차적인 Cost의 증대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기능중 심의 사고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VE에서는 원가를 기능 중심으로 분석하여 설계자 또는 건축주의 주관이나 정 보의 부족, 기술력의 한계 등의 요소로 인하여 2차 기 능 중심의 가변적인 기능요소와 불필요요소의 존재를 줄여 원가절감의 여지를 확보하는 것이다. 즉, VE를 통 한 원가절감이란 불필요기능을 도출하여 제거하는 것이 며, 시설물의 기능이 무엇인가를 분석하여 품질을 떨어 뜨리지 않는 대체기능 및 대체안을 추구해 가는 기능의 분석 과정에 있는 것이다.

셋째, VE팀의 조직적이고 체계화된 활동의 수행이 다. VE를 수행하는 조직체계는 소수 결정자의 경험과 직관을 핵심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 구성 원이 모두 참여하여 정해진 순서와 방법에 의하여 체계 적인 개선안을 달성하는 것이다. VE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하여 결정권자의 의견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각 분야의 전문 인력으로부터 체계적인 조직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전문적인 지식을 집결하고 정보를 종합함으 로써 개선에 대한 타당성의 검증에 보다 효과적인 접근 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2.2 건설 VE 선행연구고찰

건설 VE의 연구의 동향 및 진행 사항을 파악하기 위 하여 다음 Table 1과 같이 본 논문의 연구주제와 관련 있는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이점을 살펴본 결과, 이돈수 (2015)는 준공 후 시공상의 일반적 하자와 운영 중 사 용자의 사용하자를 조사 및 분석하여 병영 위생공간 시 설 이용 가능성을 확대하고자 함에 따라 VE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방법의 차이점이 있고, 오명준(2014)은 초등학교 건축물로 대상공간을 규정하고 동일 공간 위 계를 기준으로 성능평가 및 비용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사례분석을 통해 환류하는데 세부적인 변수의 차이점을 가진다. 이원학(2014)은 기술제안입찰제도와 VE의 상 관관계를 파악하여 VE가 수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 에 따라 VE 도입의 당위성에 목적을 두어 연구 목적의 차이점이 있고, 유기현(2014)은 VE 실적사례를 바탕 으로 대안채택률이 저조한 원인을 분석하여 대안채택률 을 향상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나 이에 대한 객관화 검증방안의 차이점을 보인다. 정현철

(3)

(2013)의 연구는 기획단계의 VE 수행을 위하여 기획 단계의 의사결정사항 중 공간계획, 규모계획에 대한 대 상선정방법을 제시하여 연구의 목적과 범위의 차이점이 있고, 강명식(2013) 또한 기존의 시공현장에서 수행된 모델을 제안하고자 함에 따라 연구 범위를 비롯한 방법 의 차이점을 가진다. 김경욱(2011)은 중소규모 건축사 업의 효율적 VE 수행을 위하여 사례를 통한 원가절감 효과와 VE 활용성을 검토한 연구를 진행함에 따라 VE 제안 채택률 향상을 위한 본 연구의 목적과는 차이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진행하고자 하는 각 분야의 VE 제안 채택효율지수의 연구는 선행연구들과 각기 다른 차이점이 있고, 효율적 인 제안 방안에 대한 연구적 동향이 일치함에 따라 연 구의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Name Study Title

Don-SooLee, (2015)

Don-Soo, A study of design improvement on sanitary spaces of military barracks based on LCC

Military sanitary space Facility availability Enlarge

MyoungOh, (2014)Jun

Development of Space Hierarchy-based Alternative Assessment Method in Design VE of Elementary School Buildings Designs VE Alternative Evaluation Improvements Presented

Lee,Won (2014)Hak

A study on the impacts of VE to win a contract while making a technical proposal tendering

Relation Analysis and Evaluation of Technical Proposal-based System and VE

Ki-HyunYu, (2014)

Enhancement Method of Acceptance Rate of Function Improvement Type Alternatives in Development Phase of Value Engineering

Based on the VE results cases alternative adoption low-cause analysis Jeong,

Hyeon- Cheol (2013)

Object Selection and Function Analysis for VE Application in Planning Phase of Building

Decision of the planning stages, space planning, building size planning for the Techniques for Subject Selection for Jesse Kang,

Myung (2013)Sik

A Study on Construction Value Engineering of Project Management for Cost Reduction in Construction Phase Field management type Construction VE Model Proposal

Kyoung-Kim, (2011)Uk

A study on VE application to small and medium size buildings

VE Usability Review of Small and Medium Building Project

Table 1. The Content of Advanced Research

3. 건축 VE 제안 사례분석

본 장은 건축공사의 VE 활동을 통해 도출된 아이디 어 및 제안 사례를 분석하여 채택효율지수를 도출하는데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조사한 사례는 일관성을 가지고 시행되는 교육시설에 한정하여 다음 Table 2에 서 보는바와 같이, 2010년~2014년까지 수행된 15건 의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2010년 2건, 2011년 5건, 2012년 4건, 2014년 3건으로 분포하여 구성하였다.

School

Name Plottage (㎡)

Gross floor area(㎡)

Facility Size

Construction Expenses hundred(One million)

Co de

Elementary 9,533 8,193EJ First Basement

Level, Four floor 117 A Elementary 15,150 8,270O First Basement

Level, Four floor 116 B Elementary 14,572 12,038SJ First Basement

Level, fifth floor 126 C Elementary 28,275 6,596OS First Basement

Level, Third floor 119 D Elementary 18,793 9,761GN First Basement

Level, Four floor 116 E Middle 19,584 10,950SS First Basement

Level, Four floor 111 F Middle 17,973 9,908U First Basement

Level, Four floor 115 G J Middle 10,062 9,769 First BasementLevel, fifth floor 140 H S Middle 12,145 8,752 First BasementLevel, Four floor 119 I CharacterM

istization Middle

28,059 7,483 First BasementLevel, Four floor 110 J

CharacterJ istization Middle

28,791 8,932 First BasementLevel, Four floor 110 K

B High 26,829 16,995 First BasementLevel, Four floor 236 L W High 32,148 16,725 First BasementLevel, Four floor 285 M H High 23,518 24,135 First BasementLevel, Fifth floor 323 O

Table 2. Analysis Target of VE Proposal Case

(4)

Separation VE Proposal Selection Standard

Planning Stage

Plot Planning

Inside·Outside Design Planning Plan Mistake and Adjustment Improvement of Use Function Environment Friendly

Construction Stage

Cost reduction

Improvement of Performance Improvement of Construct ability Improvement of Quality Control Improvement of Safety Control

Maintenance Stage

Improvement of Maintenance Control Safety Secure of User

Retrenchment of energy Equipment Effectiveness

Improvement of Room Environment 3.1 건축 분야별 VE제안 사례분석

건축 VE제안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추진사례를 바탕으로 공종별, 평가요소별, 공사 단계별로 구분하였 다. 분야별 세부분류내용을 살펴보면, 공종분야는 건축 /구조, 토목/조경, 기계/소방, 전기/통신으로 분류하였 고, 평가요소분야는 창의성발휘, 성능/품질, 비용/효율 성, 신기술/신공법으로 분류하였으며, 공사 단계분야는 위의 Table 3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이 설계단계, 시공 단계, 유지단계로 분류하여 아이디어 및 VE 제안 횟수 와 채택률을 Table 4와 같이 정리하였다.

건축 분야별 VE 제안을 수행한 채택률 사례를 분석 한 결과, 공종 분야의 건축/구조는 784건의 상세평가 아이디어 중에서 260건이 채택됨에 따라 33%의 채택 률을 나타내었고, 토목/조경은 144건의 아이디어 중에 서 69건이 채택되어 48%, 기계/소방은 172건 중 64 건으로 37%, 전기/통신은 96건 중 42건이 채택되어 44%의 채택률을 나타내었다. 평가요소 분야는 창의성 발휘의 225건 상세평가 아이디어 중 114건이 채택되 어 51%, 성능/품질은 741건 중 175건이 채택되어 24%, 비용/효율성은 329건 중 165건이 채택되어 50%, 신기술/신공법은 60건 중 36건이 채택되어 60%의 채택률을 나타내었다. 건축 단계별 채택률은 설계단계에서 496건의 상세평가 건수 중 101건이 채 택됨에 따라 20%, 시공단계는 387건 중 211건으로 55%, 유지단계는 416건 중 150건이 채택되어 36%

의 채택률을 보였다. 이에 따라 공종분야에서는 토목/

조경 항목이 가장 높은 채택률을 나타내었고, 평가요소 분야에서는 신기술/신공법 항목, 건축 단계별로는 시공 단계에서 가장 높은 채택률을 나타내었다.

Table 3. VE Proposal Selection Standard of Architecture Phase Type

Ar ae

Separation

Idea VE

Proposal Adoption Ratio1) Create

A Summary assess- ment

Detailed assess- ment

Adoption Non- Adoption

Work-type

Architecture/

structure 1137 353 784 260 524 33%

Civil engineering/

Landscaping 197 53 144 69 75 48%

Machine/Fire

fighting 227 55 172 64 108 37%

Electricity/

Communications 141 45 96 42 54 44%

Evalu ation- factors- type

Originality

display 270 45 225 114 111 51%

Efficiency/

Quality 913 172 741 175 566 24%

Cost/

Effectiveness 513 184 329 165 164 50%

New techology/

constructionNew method

75 15 60 36 24 60%

Stage- type

Planning

Stage 677 181 496 101 395 20%

Construction

Stage 516 129 387 211 176 55%

Maintenance

Stage 526 110 416 150 266 36%

Table 4. Adoption Ratio Analysis of VE Proposal Case

3.2 건축 VE제안 유효계수 도출

건축 분야별 VE제안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 된 채택 률을 Table 5와 같이 정리하여 공종별 순위를 분석하 였다. 하지만 이 결과는 VE제안 채택 결과에만 치중된 수치로써 과정에 따른 유효성을 판단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고 판단된다. 즉, 아이디어를 창출한 후 개략평가를 통해 일부 제안을 제외시키고, 선별한 제안을 상세하게 평가하여 채택하기까지의 과정에서의 유효성을 포함한 결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교육시설 VE제안 수행 시 분야별 유효한 정도 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1)을 제시하였 다.

 

  

     



  

1)    



(5)

Equation 1)에서 도출한 VE제안 유효계수는 결과 치가 높은 값을 취할수록 유효성이 높다고 평가되는 개 념으로 창출건수 중 상세평가건수가 증가함에 따라 VE 제안 채택의 유효성은 증가한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 다. 즉, 상세평가건수가 증가한다는 것은 개략평가건수 가 감소한다는 것이고, 이는 VE제안 시 불필요한 제안 평가의 감소와 채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에 대한 증가 됨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출 한 채택률과 VE제안 유효계수 간 비율에 대한 차이 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다음 Table 5와 같이 비 교하여 정리하였다.

Area Separation VE Proposals effectiveness

factor

Adoption Ratio

Work- type

Architecture/

Structure 33% 0.95 Civil engineering/

Landscaping 48% 1.67 Machine/

Fire fighting 37% 1.44 Electricity/

Communications 44% 1.71

Evaluation- factors- type

Originality

Display 51% 2.59 Efficiency/Quality 24% 0.99 Cost/Effectiveness 50% 0.87

New techology/

New construction

method 60% 2.40

Stage- type

Planning Stage 20% 0.56 Construction

Stage 55% 1.65

Maintenance

Stage 36% 1.48

Table 5. Comparison between VE proposal effectiveness factor and Adoption Ratio

VE제안 유효계수와 채택률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각 기 다른 순위의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공종분야의 경 우 토목/조경 채택률이 48%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 나, 유효계수에서는 전기/통신 항목이 1.71로 최고값을 나타냈다. 평가요소 분야에서는 신기술/신공법 항목이 채택률 60%, 창의성발휘 항목이 VE제안 유효계수 2.59로 최고값을 나타냈으며, 건축 단계별에서는 채택 률과 VE제안 유효계수 모두 55%, 1.65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 동일한 분포를 타나내었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결과만을 고려한 채택률과 채택과정의 유효 성을 고려한 VE제안 유효계수의 차이가 있다는 가설을 채택하는 결과로써 VE제안 중점관리대상 선정 시 유효 계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 건축 VE 제안 채택효율지수 도출 건축 VE 제안을 보다 실용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채 택효율지수를 제시하고자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VE 제안 분야별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도출 된 중요도와 앞서 분석한 사례분석결과 및 VE제안 유효계수를 종합 하여 VE제안 채택효율지수를 산정함으로써 건축 VE제 안 수행에 필요한 중점관리대상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4.1 건축 분야별 VE 제안 중요도 도출

전문가 중요도를 도출하기 위해서 다음 Table 6과 같은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2016년 11월 12일부터 12월 13일까지 진행하였고, 조사방법은 전자설문법 및 방문조사법으로 리커트 9점 척도로 하여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대상은 VE 전문가, 민간건설업체, 대학 및 연구소 인원으로 분류하 여 실시하였다. 설문지 배부 건수는 총 90부를 배부하 여 56부를 회수함으로써 62%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설문지 구성은 본 연구에서 분야별로 기준한 공종별, 평가요소별, 공사 단계별 항목들로 구성하여 각 항목들 의 중요도를 질의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결과 를 토대로 한 분야별 VE제안 중요도는 모든 응답자의 의견을 산술평균하여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Table 7과 같다.

각 분야에서 나타난 중요도 결과를 살펴보면, 공종별 의 경우 건축/구조(8.2), 기계/소방(6.8), 토목/조경 (6.3), 전기/통신(6.2) 순으로 중요도가 도출되었다.

평가요소는 비용/효율성(8.6), 창의성발휘(8.3), 성능/

품질(7.8), 신기술/신공법(7.3)순으로 나타났고, 단계 별에서는 시공단계(8.5)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다 음 유지단계(8.1), 설계단계(7.7)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앞서 도출 된 채택률 및 VE제안 유 효지수와 차이를 나타내는 결과로써, VE제안 채택건수 및 채택 유효성과 전문가들의 VE제안 실효성에는 작용 하는 변수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전문가 중요도 설문조사 결과 또한 중점관리대상을 선정하는데 고려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Period 2016.11.12. ~ 2016.12.13

Method Distribution Electronic & Visit method Criterion Likert-Nine Point type

scale

Survey target &

(Retrieval)

VE expert CVS

Certificate 30Copies (17Copies) construction

company VE Fulfillment

Member 30Copies (21Copies) research

institution CM Specialist 30Copies (18Copies) Composition Work-type Four cases

Evaluation factors type Four cases Stage type Three cases Table 6. Detailed matters of Survey

(6)

Area Separation Importance results

Work-type

Architecture/

structure 8.2 Civil engineering /Landscaping 6.3

Machine/

Fire fighting 6.8 Electricity/

Communications 6.2

Evalu ation- factors- type

Originality display 8.3 Efficiency/

Quality 7.8 Cost/Effecti

veness 8.6 New techology/

New construction method 7.3

Stage- type

Planning Stage 7.7 Constructio

n Stage 8.5 Maintenanc

e Stage 8.1

Table 7. Survey results of VE proposal importance

4.2 건축 VE 제안 채택효율지수 도출

건축 VE제안 수행 기준점의 기반이 되는 채택효율지 수를 도출하기 위하여 지수의 산정방법은 다음 Equation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앞서 도출한 각 분 야별 창출건수와 VE제안 유효계수, 그리고 전문가 설 문조사를 통한 중요도를 모두 연산하여 항목별 산술평 균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Table 8과 같이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VE제안 채택효율지수 도출 결과, 공종별 분류에서 건축/구조 항목이 61.28%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 고, 다음은 기계/소방 15.11%, 토목/조경 14.03%, 전기/통신 9.58% 순을 나타내었다. 평가요소 분야는 성능/품질 항목이 40.88%, 창의성발휘 33.67%, 비 용/효율성 22.14%, 신기술/신공법 3.30%의 순으로 나타났다. 건축 단계별 분야에서는 시공단계 43.75%, 유지단계 38.34%, 설계단계 17.90% 순으로 조사되 었다.위의 분석내용을 종합해본 결과, VE제안 분야별 중

점관리대상으로 공종별 분류에서는 건축/구조 공종에 대한 집중적인 고려가 필요할 것이고, 평가요소별 분류 에서는 성능/품질 및 창의성 발휘 평가요소에 대한 중 점적인 고려가, 공사의 단계에 따른 분류 항목에서는 시공단계를 비롯하여 유지단계의 중점적인 고려가 효율 적인 VE제안 수행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Area Separation Create number

Effecti- veness

factor Impor-

tance

Adoption effective factorness

Work- type

Architecture/

structure 1137 0.95 8.2 60.47%

Civil engineering/

Landscaping 197 1.67 6.3 14.15%

Machine/

Fire fighting 227 1.44 6.8 15.18%

Electricity/

Communications 141 1.71 6.2 10.21%

Evalu ation- factors- type

Originality

display 270 2.59 8.3 32.23%

Efficiency/

Quality 913 0.99 7.8 39.15%

Cost/

Effectiveness 513 0.87 8.6 21.32%

New techology/

New construction

method 75 2.40 7.3 7.30%

Stage- type

Planning

Stage 677 0.56 7.7 17.73%

Construction

Stage 516 1.65 8.5 43.96%

Maintenance

Stage 526 1.48 8.1 38.30%

Table 8. results of VE proposals adoption effectiveness factor

5. 결 론

본 연구는 건축을 시행하는 VE제안의 효율성을 도모 하기 위하여, VE사례분석을 통한 VE제안 유효계수와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VE제안 분야별 중요도, 그리 고 이를 종합한 VE제안 채택효율지수를 도출한 후, 이 를 기반으로 VE제안의 효율성을 위한 중점관리대상의 기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 VE제안 사례분석을 통해 채택률을 도출 한 결과, 토목/조경, 신기술/신공법, 시공단계 항목이 각 분야에서 가장 높은 채택률을 보인 반면, 상대적으 로 건축/구조, 성능/품질, 설계단계의 채택률은 최소값 을 나타내었다.

둘째, 건축 VE 제안 수행 시 각 항목의 유효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효계수 산정식을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 전기/통신, 창의성발휘, 시공단계 항목이 최고값

(7)

을, 건축/구조, 비용/효율성, 설계단계 항목이 최소값으 로 분석되어 채택률 분석결과와 상이점을 나타내었다.

셋째, 건축 VE제안 분야별 중요도 분석 결과, 공종 분야는 건축/구조, 기계/소방, 토목/조경, 전기/통신 순 으로 평가요소 분야는 비용/효율성, 창의성발휘, 성능/

품질, 신기술/신공법 순으로, 공사 단계 분야는 시공단 계, 유지단계, 설계단계 순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교육시설 VE제안 채택효율지수를 도출한 결 과, 건축/구조 공종, 성능/품질 평가요소, 시공단계 항 목의 채택효율지수가 높게 나타나, 조사된 항목을 우선 적으로 VE대안 도출 비율을 높여 순차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분석한 VE제안의 채택률, 유효 계수, 중요도, 채택효율지수는 산출하는 변수의 관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순차적인 결과값 또한 차이를 보였 다. 이는 VE 대상을 선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대안 선 정 기법(고비용 분야 선정기법, Cost to Worth 기법 등)을 선택하는 기준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결과로써, VE 팀의 형성 후 집중적으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할 VE 대상을 선정하는데 본 연구의 결과가 기초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향후 추진과제는 교육시설에 국한된 연구 범위에 대한 확대와 VE 제안 채택효율지수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합리적 변수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01. Ha[1], H. Y., “(A) study on performance of VE workshop in housing construction : focused on organization of VE team”, A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Yensei University, p.1(2008).

02. Choi[2], S. I, An Effective Application and Computerized FAST Diagramming Model for Construction VE Projects, A docto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p.15(2001).

03. Lee[3], D. S., A study of design improvement on sanitary spaces of military barracks based on LCC, Th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Industry Kyonggi University, p.5(2015).

04. Choi[4], Y. K., A Study on the Method of VE Application in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Case Analysis, A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p.6(2009).

05. Oh[5], M. J., Development of Space Hierarchy-based Alternative Assessment Method in Design VE of Elementary School Buildings, A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p.13(2014).

06. Lee[6], W. H., A study on the impacts of VE to win a contract while making a technical proposal tendering, A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p.41(2014).

07. Yu[7], K. H., Enhancement Method of Acceptance Rate of Function Improvement Type Alternatives in Development Phase of Value Engineering, A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p.6(2014).

08. Jeong[8], H. C., Object Selection and Function Analysis for VE Application in Planning Phase of Building, A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p.5(2013).

09. Kang[9], M. S., A Study on Construction Value Engineering of Project Management for Cost Reduction in Construction Phase, A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p.17(2013).

10. Kim[10], K. U., A study on VE application to small and medium size buildings, A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Indu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p.7(2011).

참조

관련 문서

In accordance with instructions given by the National Executive, acting through the Ministry of the People’s Power competent in Energy and Oil Matters, companies

[r]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FA, VE, and their combination on meat quality, antioxidant capacities,

결과를 바탕 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scale-up 된 반응기에서 미반응산소의 함량에 따른 내부온도를 예 측하며 연소반응에 의한 온도상승으로 촉매의 소결 및 소결에 의한 촉매 반응성 변화를

제5조(연구실적물 인정기준) 연구실적점수에 관한 인정기준은 [별표 제1호] 분야별 배점표로 한다.. 제6조(제출시기 및 서류) ① 연구실적물은 학위논문

[r]

∙미래 산업현장의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IT전문인력을 집중 양성하기 위한 범정부적

The European Dream: How Europe's Vision of the Future is Quietly Eclipsing the American Dr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