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주 차 : 고 대 사 상 (하 · 은 · 주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주 차 : 고 대 사 상 (하 · 은 · 주 )"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주 차 : 고 대 사 상 (하 · 은 · 주 )

1. 성군 요堯의 태평시대 (唐의 堯)

① 聖君 ▶ 반신반인적인 성격을 지닌 비범한 존재

② 당唐 지역에 나라를 정함

③ 이름은 요堯, 姓은 도당씨陶唐氏 ⇒ 도기陶器와 관련

▶ 신석기 시대 (기원전 5000년쯤 농업, 도기, 촌락, 직물 등을 특 징으로 하는 신석기 문화가 중국의 여러 강 유역에 출현 / 후기신석 기시대는 기원적 3000년~기원전 2000년)

④ 초가집에 삼베옷을 입고 거친 푸성귀국을 먹는 검소․청렴 한 생활

⑤ 聖君의 자질 ▶ 德行에 있음 ⇒ 마음으로부터 진정 백성들을 위하고 염려하는 임금

ex) 설원의 일화 → 배고픈 자 있으면 堯曰 “내가 그의 배를 곯게 하였구나.” 춥다고 하는 자 있 으면 堯曰 “내가 그를 춥게 하였구나.” 어떤 사람이 죄를 지으면 堯曰 “내가 그를 죄에 빠트렸구 나.”

⑥ 요를 보좌한 훌륭한 신하들 : 순舜 ⇒ 사도司徒(교육), 후직后稷 ⇒ 전주田疇(농업), 기夔 ⇒ 樂正(음악), 고요皐陶 ⇒ 大理(재판)

(2)

⑦ 명협蓂莢 ▶ 이 풀의 깍지 수를 보고 날짜를 알 수 있음 (30일간 15개의 깍지가 하나씩 생겼다 하나씩 떨어짐) : ⇒ 달력 구실을 함 (일명 역초曆草라 함)

관월사貫月査 ▶ 이 뗏목은 四海를 떠돌다가 12년 만에 한 바퀴를 다 돌고 돌아옴 ⇒ 이 배를 통해 한 주기(고대에는 12년이 한 주기)가 흘러간 것을 알 수 있음

▶▶ 堯의 시대부터 인간의 역사가 시작 → 시간을 헤아릴 필요 ⇒ 不死의 神들의 시대 가 아닌 유한한 생명을 지닌 인간이 주인공이 되는 역사의 시대

⑧ 순舜에게 왕위 계승 ▶ 선양禪讓 ⇒ 德이 있고 유능한 사람에게 왕위를 양보하는 것 을 말함 → 가부장적 왕권국가가 성립되기 이전의 모습으로 집단에서 지도자를 합의 에 의해 선출하는 방식

⑨ 평가 ▶ 몸소 사람들의 의표가 되어 백성을 감화시키고 천하를 교화한 德治主義의 선 행자이며, 天時․地利․人事를 조화시켜 자연을 찬미하고 자연에 순응하면서 농경을 영 위케 한 인문 세계의 개척자이다. 또한 천하의 公道에 따라 ‘爲民’과 ‘保民’과 ‘養民’

에 힘써 治者의 의무가 무엇인가를 분명하게 보여 줌으로써 천하는 천하에서 가장 현 능한 자에게 맡겨 다스려야 한다는 治道의 이상을 솔선해서 시행한, 중국 정치 사상 사의 본류를 열어 놓은 제왕 중의 제왕이다.

☞ 현세간에서 인간 중심으로 인간의 이상을 펴는 기틀을 세웠다.

(3)

2. 성군 순

의 고난과 영광의 일대기 (虞의 舜)

① 부친은 장님 고수瞽叟, 계모와 계모의 아들 상象 ▶ 부친과 계모의 학대 ⇒ 순은 지 성껏 부모를 섬김, 어진 성품과 효심

② 순이 훌륭하다는 소문 → 대신들이 堯임금에게 다음 임금으로 舜을 추천 → 堯는 두 공주(아황과 여영)를 순에게 시집을 보냄

③ 동생 象의 시기와 증오심 증가 → 부모와 음모를 꾸밈

음모1) 고수가 순에게 곡식 창고의 지붕을 수리하도록 함 → 두 공 주 순에게 새의 무늬 옷을 만들어 입힘 → 고수가 사다리를 치 우고 밑에서 불을 지름 → 새처럼 훨훨 날아 지붕을 내려옴 (史記: 2개의 갓을 미리 준비)

음모2) 고수가 순에게 우물 바닥을 치우도록 함 → 두 공주 순에 게 용의 무늬가 있는 옷을 만들어 입힘 → 우물에 돌과 흙을 쏟 아 부음 → 용처럼 헤엄쳐 빠져나옴

(史記: 미리 파둔 통로로 탈출)

④ 순은 임금의 자리에 올라서도 고수와 계모와 상에게 극진하게 대함

▷ 가족들 죄를 뉘우침

⑤ 요의 뒤를 이어 백성들에게 선정善政을 베풂 ⇒ 태고의 이상사회인 요순시대

(4)

⑥ 순의 비극적 종말 ▶ 객사설과 구렁이와 싸우다 죽었다(피살)는 설, 두 왕비의 횡사

⇒ 선양이 아닌 순과 우 사이에 존재했던 피비린내 나는 폭력을 의미(?)

⑦ 순 신화의 의미 ▶ 원시 시대 야수를 길들이거나 사냥하는 데에 뛰어났던 수렵 영웅 에 대한 숭배의 흔적을 담고 있음 ⇒ 완악한 가족을 변화시킴 (동생 象은 코끼리)

⑧ ‘中’이라는 심법心法의 전수 ▶ 요 → 순 → 우로 전해짐

⇒ “ 人 心 惟 危 , 道 心 惟 微 , 惟 精 惟 一 , 允 執 厥 中 .”

⑨ 평가 ▶ 순은 道統으로는 堯의 도통을 계승 발전시킨 인물이고, 내용으로는 특히 孝 를 몸소 실천하여 모범을 보임으로써 人倫을 구현한 인물이며, 중국 철학의 중심 개 념이 된 ‘中’의 心法을 확정해서 후세에 가르침을 내린 선지선각자라 할 수 있다.

(5)

3. 우

의 치수

治水

와 하

왕조 시대

(B.C. 약 2300~1800년) - 토기문명: 소박한 자연주의 형성

① 堯임금 때의 대홍수 (20여년간)(황제의 손자인) 곤鯀이 治水 적임자로 추천 → 9년간 의 치수 노력 실패 (둑을 쌓는 방법 --> 세찬 물길에 무너짐) → (순에 의해 죽임을 당 함) 죽어 썩지 않은 곤의 몸에서 우禹가 태어남

② 禹 ▶ 물길을 터서 분산시킴, 하천 바닥을 파서 강물이 바다로 흘러가게 함, 치수 작 업 13년간 집에 들르지 않음→ 治水 성공, 9州의 물길이 제자리를 잡게 하고 도로를 만들어 각 주마다 길이 트이게 하여 중원의 구주를 하나의 통치 영역으로 들어오게 함: 중원 통일의 시초 마련⇒ 온 백성의 추대로 새로운 임금으로 즉위

③ 하夏 왕조 ▶ 禹왕 → 계啓(禹의 子): 왕위 세습 → … → 걸桀의 폭정 ▶ 17대 431년

④ 부자상속의 가부장 사회로 진입 ▶ 개인 혈통의 왕조국가 최초로 출현

⑤ 초기 농경문화로 진입하여 질서 있는 자연의 변화 속에서 삶을 영위 ⇒ 평등한 인간관계

(6)

⑥ ‘인간 대 자연’에 대한 관심 ⇒ 소박한 자연주의에 바탕을 둔 ‘자연천自然天’관

⇒ 자연적 의미의 자연천에 대한 숭배 → 동물숭배 / 토템숭배

⑦ ‘하늘’은 자연계를 운행시키는 중심적인 존재로서 다른 자연물과 격이 다르다 생각

⑧ 夏代의 종교 ▶ 唯一하거나 至高한 존재에 대한 관념이 아직 형성되지 않음

→ 자연의 운행과 변화 그리고 생성의 질서 속에서 모든 대상을 이해하고자 함

→ 자연 현상을 어떤 신비한 힘의 결과로 보지 않고 이해 가능한 변화와 생성의 위대한 질서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봄

→ 이런 까닭에 夏代의 사람들은 그러한 자연의 질서 속에서 서로 어울려 協和하는 만 물과의 일체감을 통하여 지극한 정감을 발출하였고, 생명의 지속성에 감사를 드리며 (報本反始) 안온과 희열을 스스로 찾았을 뿐이다.

【 唐虞 三代의 사상 집약 】

이때는 유목 상태에서 농경사회로 정착한 뒤였기 때문에 우선 농경에 가장 영향이 큰 자연을 이해하고 그것의 변화 작용을 파악하는 데 지식인들이 관심을 기울일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그러한 천문에 대한 파악이 堯의 노력으로 어느 정도 성취되자, 다음으로 일어난 문제가 인간과 인간의 관계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舜에 와서는 인 륜 문제에 관심이 집중되어 순에 의해 五倫이 제정되었고, 이와 함께 정치 제도와 교 육 제도 등에도 눈을 돌려 모든 질서가 제도화되어 가는 국면을 볼 수 있었다.

그 다음 홍수기를 거치면서 중국 문명에 커다란 전환을 가져 오는데, 이 시기는 禹에 의 하여 地理에 대한 파악이 이루어지고 농업 기술이 새로운 발전을 이룩한 시기였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자연의 변화에 끌려만 가던 인간들이 자신의 힘으로 자연의 횡포 를 극복하여 “인간이 하늘의 뜻을 대신 실현한다”는 자신력을 갖추게 되었음을 의 미한다. 그러므로 이 시기는

인간 중심의 인문주의를 창진할 수 있는 가능성

을 보여 준 시기로 중국 문화의 기초를 닦은 시대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7)

4. 탕湯과 은殷 왕조 시대

(B.C. 약 1800~1200년) - 청동기 문명: 추상적 귀신 관념 대두

1) 은殷 왕조 건국

① 夏 왕조 마지막에 폭군 걸桀의 출현 ▶ 백성의 고혈을 짜 향락에 탐닉, 엽기적 행각

⇒ 주지육림酒池肉林 고사성어 → 자신을 태양에 비유 ▷ 백성들 “이놈의 해야, 언제 없어질래? 너랑 나랑 같이 죽어버리자꾸나.” → 백성들은 제후국 은나라의 왕 湯에게 귀순

② 湯이 桀을 방벌放伐하고 殷 왕조 수립

▶ 폭군이 덕을 상실해서 다른 덕 있는 사람이 내쫓고 왕이 됨 = 德으로써 易姓革命에 성공 ⇒ 약육강식의 투쟁 상황으로 진입 → 본격적인 정복국가 출현

③ 殷 왕조 : 탕 → … → 주紂의 폭정 ▶ 31대 628년

④ 殷 ☞ 龍山 문화의 대표적 부족 = 유목생활 → 조상 숭배와 신권神權 숭상을 통해 가족 조직과 부족의 단 합을 강화(혈연중심의 단합을 공고히 함) → 서쪽으로 진출 앙소仰韶 문화의 대표 부족 夏를 쳐서 대통일 이룩하 고 정착된 농경사회로 진입

⑤ 조상과 귀신의 권능을 숭상하는 殷과 비교적 자연 질서와 인륜 현실에 관심을 가졌던 夏의 만남 ⇒ 은허殷墟에서의 甲骨文 출토 : 중국문화의 특징인 농경 위주의 자연 이해와 조상 숭배 및 인륜 道義 등이 모두 殷의 대통일 이후 형성된 문화, 즉 앙 소 문화와 용산 문화가 합류된 이후에 새롭게 통합 발전된 문화에서 비롯된 것

(8)

⑥ 조상숭배 ☞ 모계씨족의 토템(玄鳥인 鳳) 숭배에서 ⇒ 중원으로 들어온 뒤로 부계 사회의 부권제로 변화 → 조상숭배를 통한 신성 불가침적인 절대 왕권 행사 ⇒ 씨족 사이의 예속 관계 ⇒ 상하 종적인 세계관 형성

⑦ 甲骨文字 ☞ 거북껍질과 짐승뼈를 불태워 그 무늬를 보고 길흉을 알아보고 행동을 결정

2) 은대殷代의 종교

① 天 = 夏나라의 중심 개념 / 帝 = 殷나라의 중심 개념

② 夏나라 문화 ⇒ 경험 가능한 구체적 자연 현상 속에서 그 운행 질서(기후 변화)에 맞추어 일정한 공간에서 영위되는 농경문화

殷나라 문화 ⇒ 미지의 세계를 찾아 늘 공간을 이동하면서 짐승이나 고기 와 같이 이미 만들어져 있는 식량을 찾거나 약탈하는 유목문화

③ 天 ⇒ 자연 현상 가운데 가장 크고 변함없으며 한결같은 모습을 한 변화 하는 시간(운행)의 주체로 상정 - 자연계를 운행시키는 중심적인 존재 (一 + 大 = 天) → 하대의 天은 의리나 운명의 의미와 관계없는 자연적 인 것

帝 ⇒ 유목 문화의 소산 - 미지의 세계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더욱 전지전능하다고 믿는 대상으로부터 계시를 받거나 그에 대한 기 원을 통해 문제를 풀어 나가야 함 - 이것이 복서卜筮행위의 출현

④ 下帝(지상의 중심체)와 上帝(인간세를 초월한 천상의 중심체)의 출현 ⇒ 지상의 下帝가 천상의 上帝의 명령을 받들어 행하는 것이 정치이고, 그 명령의 수 수는 제사를 통해서 이루어짐 → 上尊下卑의 주종적인 권위구조로 형성

→ 제국주의적인 신권 정치의 사상적 배경

(9)

⑤ 帝는 종교적 권능을 가진 것이기 때문에 이것은 특수한 사람에게 계시하 거나 또한 그 특수한 사람의 기구에 의해 차별된 명령을 내리는 존재이다.

⇒ 帝는 폐쇄적이고 직계적이며 신비적이고 위압적인 모습을 띠어 그것 을 지키기 위해 부족을 종교적으로 조직하고 자기 부족의 발전을 위해서 타부족을 배타 또는 정복하는 문화 형태로 나타난다.

⑥ 多神에서 一神, 다시 그것이 至高神으로 발전해서 생겨난 개념이 ‘上帝’

인데, 殷족은 처음에 자기들의 조상신이 바로 그 ‘上帝’라고 믿어 조상신 에 대한 숭배가 바로 至高神을 숭배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⑦ 殷의 신권 관념과 조상 숭배 사상은 애초에는 殷을 강성하게 하는 데 크 게 작용했으나, 천하의 주인이 된 뒤에도 여전히 그러한 협애한 부족주의 를 고수했기 때문에 마침내는 그것이 결정적인 약점이 되어 殷의 멸망이 라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이르렀다.

5. 폭군 주

와 성군 주문왕

周文王

① 은의 폭군 주紂 임금 ▶ 화려하고 사치스런 궁궐 건축 → 酒池肉林 → 후궁 달기의 퇴폐적이고 잔인한 행위 → 포락炮烙, 충언하는 비간을 살해 심장을 꺼냄 등

② 周文王 ☞ 성은 희姬, 이름은 창昌, 은의 주요 제후국인 周의 임금, 서백西伯

▶ 천성이 인자하고 백성을 사랑하기를 내 몸같이 함 ⇒ 백성들이 모여듦 → 참소로 유리성에 감금, 아들 백읍고를 삶아 장조림하여 먹게 함 → 모진 시련

③ 강태공姜太公을 재상으로 등용 주나라 발전 ⇒ 주문왕 노쇠하여 죽음 ⇒ 殷을 정벌 하는 과업은 아들 周武王 희발姬發에게 넘어감

(10)

④ 주무왕 ▶ 부친상을 마치지 않은 상태에서 은 정벌을 위한 군대를 일으킴 ⇒ 백이와 숙 제의 만류 (수양산 칩거 고사리만 먹음) ⇒ 폭군 주를 패배시킴

⑤ 은殷 ▶ 동방 세력 대변 ☞ 샤머니즘 바탕, 종교적, 신비적 경향 강함

주周 ▶ 서방 세력 대변 → 현 중국 민족의 직접적 조상 ☞ 현실적, 이성적 경향

⑥ 은주 교체의 의미

1) 다원주의에서 중심주의로 변화 ▷ 漢族 중심의 정치와 문화 추구 ⇒ 中華主義: 중국이 세계의 중심에 위치한 최고의 문명국이라고 생각 周나라 때 싹터서 漢나라 때 확립

중국은 유일한 天子國으로서 주변 나라를 책봉과 조공 형식으로 지배 동이東夷 / 서융西戎 / 남만南蠻 / 북적北狄

2) 인문주의 및 합리주의적인 관념 대두 ▷ 인간 중심의 실천윤리인 유교 정립

⑦ 은의 무속적이고 반인문주의적인 문화 ▶ 산해경과 같은 신화책을 통해 훗날 도교 로 되살아나 동양적 상상력과 잠재의식의 주요 내용을 구성

(11)

6. 문왕文王과 서주西周 시대

(B.C. 약 1200~700년)

- 철기시대 / 도덕적 인문정신의 계발

1) 서주西周 ▶ 문왕文王(昌) → 무왕武王(發)이 주紂를 침 ⇒ 최초의 봉건왕조

2) 천명미상

天命靡常

(하늘의 명령은 일정하지가 않다)

① 종교적인 천명(神意-上帝)이 ☞ 도덕적인 천명(民意)으로 수정

② 특정 종족만을 사랑하던 天이 → 보편천<天愛四方民> 전환

③ 天命의 무상함 ☞ 天命不于常, 天命靡常

④ 천명을 오래 보존할 수 있는 방법 모색 ☞ 德 ☞ “以德配天命”

⇒ 덕을 닦고 밝힘[修明其德]은 백성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保民사상과 결합

⑤ 천명은 덕이 있는 자에게만 내린다는 생각 ☞ 통치자의 도덕성을 가장 중시하게 함

⑥ 천명의 지속 여부 ☞ 天이 아닌 통치자 자신의 善政에 달림

3)

人乃天 사상 - 民心 이 天心 이다 .

① 民에 대한 가치 긍정과 정치적 위상의 격상 ☞ 民이 善惡의 판단자 혹은 정치의 성 패를 가름하는 주체로 등장 ⇒“天視自我民視, 天聽自我民聽.”

② 民心이 天心 ☞ 爲民과 民本의 근간

③ ‘神意에 의한’ 정권 授受가 ☞ ‘民意에 의한’천명의 부여 여부가 결정된다는 도덕 적 천명사상으로 새로워 짐

④ 인간의 주체적 능력에 대한 자각 ☞ 종교라는 타율적 굴레로부터 해방 ☞ 인간의 책임 문제 발생

(12)

4)

우환憂患 의식 ― 敬과 德

① 우환 의식 ☞ 인간의 정신이 처음으로 직접 사물을 대하면서 생긴 책임감의 표현 ⇒ 정신적인 면에서 비로소 開始된 인간 자각의 표현

② 자신의 문제에 책임을 질 때 비로소 우환 의식이 생겨남

③ 우환 의식이 약동할 때 신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자기 자신의 행위를 신중히 하고 성실히 노력하려는 방향으로 옮겨감

④ 우환 의식의 등장 ☞ 人本主義의 탄생을 의미

⑤ 敬 ☞ 주나라 통치자들을 꿰뚫고 있는 자각 의식 ⇒ 때때로 자기의 행위를 반성하고 자기의 행위를 가다듬는 때의 심리 상태 ▶ 敬以直內

⑥ 德 ⇒ 마음의 핵이 확산되어 밖으로 발출해 가면서 외재 사물과 ‘中和’ 혹은

‘中節’의 관계를 이루게 하는 행위의 조절 또는 제어 능력 ▶ 義以方外

5)

주공周公

(기원전 ? - 1104)

의 禮樂 제정과 봉건 제도

① 이름은 단旦 ☞ 文王의 아들, 武王의 아우, 그의 채읍을 周로 봉해서 주공이라 함 ⇒ 무왕을 보필하여 주나라를 세우는 데 주역 노릇

→ 무왕의 아들 成王 즉위후 섭정하여 周초 국가 조직과 정치 제도를 만드는데 주역

② 주공은 禮樂을 제정 ☞ 혈연공동체(혈연 평등), 사회 공동체(도덕 평등), 도덕 정치(현인 정치)

(13)

③ 종법宗法 제도 ☞ 大宗 : 百世不遷, 小宗 : 五世而遷 ⇒ 親疎 관계의 기본원칙 ⇒ 大宗의 宗子와 宗婦가 제사의 주관자가 되고, 동일 本族의 족인들은 각기 그 宗系

대로 귀천의 순서에 따라 배열해서 제사를 도움

▶ 종계간의 차등을 둠으로써 자연적으로 우러나오는 가까운 혈육에 대한 정을 공고히 하고, 더 궁극적으로 생명의 근원을 미루어 생각해서 근원적으로 공동 혈연체를 확 인 하는 것

⇒ 大宗의 宗子가 동족 공동체의 계통을 회통 ▶ 작위와 재산은 적장자가 계승

봉건封建 제도 ☞ 이 혈연적 대통일을 그대로 정치 제도화 한 것

▶ 집정자가 믿을 수 있는 신임도에 따라 권한을 이양하거나 안배하는 정권 수호 또 는 정치 현실의 방법 ⇒ 신임도는 개인의 내재 심성의 자연적 발로에서 오는 혈연적

‘親親’에 다 둠

▶ 천자와 제후의 관계는 同姓의 형제나 異姓의 외숙질, 즉 혈연 관계 ⇒ 天子 → 諸侯 → 卿大夫

⑤ 서주의 국체는 개인의 孝悌의 마음을 미루어 宗法을 세우고, 그 宗法을 미루어 봉건 제도를 조직

⑥ 종법의 특징 ☞ 혈연 관계에서 오는 ‘친하고 소원함의 차등’을 바탕으로 조직 봉건의 특징 ☞ 존귀함과 어짐의 차등 (尊賢之等)을 근거로 영위

중국 봉건 제도의 3원칙 ⇒ 親親(가정윤리) ․ 賢賢(사회윤리) ․ 尊尊(국가윤리)의 태도를 숭상

⑦ 종교적 祭政 일치에서 벗어나 도덕 윤리에 의한 禮治로 전환 ▶ 敎政一致

⑧ 예禮 ☞ 귀족들이 지위에 따라 지켜야할 규범

⑨ 서민들은 禮보다는 刑으로 다스려짐

참조

관련 문서

홍길순님은 기본적으로 내향형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 혹은 특정한 삶의 영역에 따라 다음과 같 은 외향형의 특성도 어느 정도 나타납니다. 홍길순님은 상황에

성공과 실패를 거치면서 복지재정의 수준과 부담수 준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어느 정도 이루어져 있다 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복지지출을 확대

베트남 Hano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자매결연 9.. 이디오피아 Jimma University

중국 QINGDAO HENGXI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青岛恒星科技学院) 자매결연. 베트남 Vietnam-Korea Friendship IT College

② 고구려어와 퉁구스어와의 관계 &gt; 신라어와 퉁구스어와의 관계 (고구려어는 퉁구스와 신라어 중간 정도 위치)... 학교문법에서는 이 견해를

당시의 대표적 지리학자인 구츠무스로부터 인간의 생활장소 주변에서 관찰되는 자연환경과 인간과의 관계를 자세히 관 찰하는 법을 배우게 됨: 인간과 자연과의 통일성에

③ 텔레비전은 스포츠를 점점 더 오락화하고 어느 정도 스포츠의 요소를 통제하며 광고를 위해 경기를 방해하나 팬들에게 새로운 스포츠경험을 고양시켜줄 것이

•AC Voltage Input (AC line frequency, 30-240 V a.c.) Please use only 1 input terminal among. 3 input terminals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