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습목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학습목표"

Copied!
3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3주차.

우리말의 옛 모습

(2)

1. 한국어 역사 연구의 목적과 방법, 내용을 안다.

2. 한국어의 계통적 위치를 안다.

3. 한국어에 대한 시대적 구분을 안다.

4. 고대한국어, 중세한국어, 근대한국어의 모습을 안다.

학습목표

(3)

13주차.

우리말의 옛 모습

(4)

1 1

우리말의 역사

1.1 한국어사 연구의 목적, 방법, 내용

한국어사 연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① 한국어의 역사는 우리 민족 역사의 일부분으로, 한국어사 연 구를 통해 우리말이 어디에서 왔는지 알 수 있다.

② 한국어의 역사 연구를 통해 우리 조상들의 문학작품을 읽을 수 있으며, 그것을 통해 우리 민족의 삶을 알 수 있다.

③ 한국어의 역사를 연구함으로써 현대국어의 모습을 더욱 분 명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다.

(5)

1 1

우리말의 역사

1.1 한국어사 연구의 목적, 방법, 내용

한국어사 연구는 어떤 방법으로 하는가?

- 역사비교언어학적 연구 방법

① 문헌자료 연구: 과거 문헌에 나타난 언어 연구 ※ 주의 사항

㉮ 문헌의 보수성

예) 아래 아(ㆍ): 1933년 폐지

(실제는 18~19C에 이미 없어졌음) ㉯ 현대와의 차이

예) ‘에’의 발음: 현대 [e] vs. 15C [əy]

(6)

1 1

우리말의 역사

1.1 한국어사 연구의 목적, 방법, 내용

한국어사 연구는 어떤 방법으로 하는가?

- 역사비교언어학적 연구 방법

② 비교방법

㉮ 시대에 따른 차이 확인(음운, 문법, 어휘 등) ㉯ 동일 계통의 언어와의 비교

③ 내적 재구(internal reconstruction):

공시적 상태가 보여주는 자료를 바탕으로 논리적으로 추론하여 그 이전의 상태를 세우는 일

예) 15C의 받침 규정(8종성가족용)

④ 방언 연구: 방언 연구를 통하여 국어사 연구의 시야 확대 가능 예) 제주도 방언을 통한 아래 아(ㆍ)의 음가 파악

(7)

1 1

우리말의 역사

1.1 한국어사 연구의 목적, 방법, 내용

한국어사 연구에서는 무엇을 연구하는가?

① 음운변화

예) /ㅔ/ 발음의 변화: [əy] > [e]

② 문법 변화

예) 중세국어에는 주격조사 ‘가’가 없었다.

③ 어휘 변화

예) 졈다: 어리다[少] > 젊다[壯]

(8)

1 1

우리말의 역사 1.2 한국어의 계통

언어의 계통적 분류:

같은 조상 언어에서 갈려 나온 언어들을 하나의 어족 으로 묶어 분류하는 방법

어족(language family)이란 무엇인가?

언어의 친족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공통조어(共通祖語)에서 나온 언어들을 계통상 하나로 묶은 언어의 종족.

(9)

영국의 동양학자이면서 법률가인 그는 캘커타 고등법원 판사로 인도 체재 중 벵 골 아시아 협회(Bengal Asiatic Society)를 창립하였다. 그는 산스크리 트어가 유럽 언어의 모체라는 당시까지의 견해를 부정하고, 산스크리트어와 고전 그 리스어, 라틴어의 모어(母語), 즉 원시 인 도․유럽어의 존재를 주장하였다.

(“... indeed, that no philologer could examine them all three[the Sanskrit language, the Greek, the Latin/집필자 주], without believing them to have sprung from some common source, which, perhaps, no longer exists.”

(Crystal, 2010))

Sir William Jones(1746~1794)

1 1

우리말의 역사

(10)

1 1

우리말의 역사

1.2 한국어의 계통

국어의 알타이어족 계통설

1) 주창자: 람스테드(Ramstedt, G, J. 1873-1950) & 포페(Poppe, N) 2) 지역: 알타이 산맥을 중심으로 발칸반도에서부터 북동아시아 캄

차카 반도에까지 분포

(11)

1 1

우리말의 역사

1.2 한국어의 계통

국어의 알타이어족 계통설

* 참 고 : 알 타 이 산 맥 (“Mountains of Gold”):

중앙아시아 지역의 산맥 (러시아, 몽골, 중국, 카자 흐스탄)

(12)

1 1

우리말의 역사

1.2 한국어의 계통

국어의 알타이어족 계통설

3) 어군

Micro: 퉁구스어군, 터키어군, 몽골어군 Macro: micro + 한국어, 일본어군

(Japonic; 일본어 + Ryukyu(琉球諸島)어) 4) 언어 수 및 사용 인구

i) micro: 60여 개 언어, 3억5천만 명, 가장 대표적인 언 어로는 터키어, 우즈베크어, 아제르바이잔어, 카자흐 어 등(이상 터키어군), 몽골어(몽골어군), 에벤키어, 만 주어(퉁구스어군) 등

ii) macro: 70여 개 언어, 5억 6천만 명. micro + 한국어, 일본어, 오키나와어

(13)

1 1

우리말의 역사

1.2 한국어의 계통

국어의 알타이어족 계통설

5) 알타이어의 특징 ① 교착어(첨가어) ② 모음조화

③ 두음법칙(‘r’과 자음군의 어두 분포 불가) ④ 관사, 관계대명사 부재

⑤ 접속사의 부재 및 부동사 사용 ⑥ SOV 기본어순

⑦ 후치사(postposition) 사용

⑧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모음교체 및 자음교체 부재 ⑨ 장·단 모음의 구분

(14)

1 1

우리말의 역사

1.2 한국어의 계통

국어의 알타이어족 계통설

위의 내용을 볼 때 한국어는 알타이어족에 포함될 가능성 이 있다.

그러나 한국어는 음운, 문법, 어휘 면에서 세 어군(퉁구스 어군, 터키어군, 몽골어군)이 공통적으로 갖는 모습과 다 른 모습이 많다.

* 참고: 한국어는 퉁구스어와 가장 가깝고 몽골어와 가장 멀 다.

한국어가 알타이어족에 포함된다면 한국어가 가장 먼저 분화되어 나왔다.

(15)

1 1

우리말의 역사

1.2 한국어의 계통

국어의 알타이어족 계통설

알 타 이 조 어

터키·몽고·퉁구스 공통어 부여·한어 공통어

원시 터키어 몽고. 퉁구스

공통어

터키어 몽고어 퉁구스어 한 국 어

(16)

1 1

우리말의 역사

1.2 한국어의 계통

국어의 알타이어족 계통설

6) 한국어와 알타이어족과의 관계

주장 1: 한국어는 알타이어족이다.

주장 2: 한국어는 알타이어족이 아니다.

(언어학계의 일반적 관점)

주장 3: 알타이어족은 존재하지 않는다.

(위의 공통점은 지역적 상호교류의 결과일 뿐)

(17)

생각해 봅시다 (1)

한국어는 알타이어족에 속할까? 이에 대한 견해는 찬반 으로 나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알타이어족 자체를 부정하 는 주장도 있다. 다음의 자료들을 이용하여 이에 대한 견 해를 알아보자.

∎ 이기문 <국어사개설>(1998, 태학사), 이익섭 <국어학개 설>(2000, 학연사) 등 국내 관련도서

∎ Crystal, D.(2010)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Language, CUP.

∎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e.com/)

(18th edition vs. 17th edition 이전 비교)

∎ Wikipedia(http://www.wikipedia.org/) 등

(18)

1 1

우리말의 역사 1.3 한국어의 형성

고조선의 언어

① 요동과 한반도 서북부 지역 에 존재한 한국 최초의 국가 (BC2333 ~ BC108년)

② 고조선 관련 문헌 어휘: ‘조 선(朝鮮), 단군(檀君), 왕검 (王儉), 아사달(阿斯達)’ 등

(19)

"옛날 환인(桓因)의 서자(장남이 아닌 아들을 지칭) 환웅(桓雄)이 세 상에 내려와 인간세상을 구하고자 하므로, 아버지가 환웅의 뜻을 헤아 려 천부인(天符印) 3개를 주어, 세상에 내려가 사람을 다스리게 하였 다. 환웅이 무리 3,000명을 거느리고 태백산의 신단수(神壇樹)에 내 려와 신시(神市)라 이르니, 그가 곧 환웅천왕이다. 그는 풍백(風伯)·

우사(雨師)·운사(雲師)를 거느리고, 곡(穀)·명(命)·병(病)·형(刑)·

선(善)·악(惡) 등 무릇 인간의 360여 가지 일을 맡아서 세상을 다스렸 다.

이때 곰 한 마리와 범 한 마리가 같은 굴속에 살면서 환웅에게 사람이 되게 해달라고 빌었다. 환웅은 이들에게 신령스러운 쑥 한 줌과 마늘 20쪽을 주면서 이것을 먹고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면 사람이 된다고 일렀다. 곰과 범은 이것을 먹고 근신하기 3.7(21일)만에 곰은 여자의 몸이 되고 범은 못 참아 사람이 되지 못하였다. 웅녀(熊女)는 그와 혼인해주는 이가 없어 신단수 아래에서 아이를 배게 해달라고 축 원하였다. 이에 환웅이 잠시 변하여 혼인하여서 아이를 낳으니 그가 곧 단군왕검(壇君王儉)이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단군(檀君) 이야기

(20)

왕검이 당고(唐高: 중국의 가장 오랜 역사 고전인 상서에 나오는 성군인 三皇五帝 가운데 堯 임금을 말함) 즉위 50년인 경인(庚寅:

당고의 즉위년은 戊辰이며, 즉위 후 50년은 丁巳이고 경인이 아 니니 틀린 듯하다)에 평양성에 도읍을 정하고 비로소 조선이라 일 컬었다. 이어서 백악산(白岳山)의 아사달(阿斯達)로 옮긴 뒤 그 곳을 궁홀산(弓忽山) 또는 금미달(今彌達)이라 하였다.

단군은 1500년 동안 나라를 다스리고 주(周)나라 호왕(虎王 - 武王을 말함)이 즉위한 기묘년(己卯年)에 기자(箕子)를 조선의 임금으로 봉한 후 단군은 장당경(藏唐京: 황해도 신천군 文化面) 으로 옮겼다가, 뒤에 아사달에 돌아와 숨어서 산신(山神)이 되니 나이가 1908세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단군 [檀君] (두산백과) 삼국유사에 나오는 단군(檀君) 이야기

(21)

1 1

우리말의 역사

1.3 한국어의 형성

기원 전후

* 참고자료: 『삼국지(三國志)』(289년 경) 「위지 동이전(魏志 東夷傳)」

① 만주와 한반도 지역의 언어 숙신계 언어 : 퉁구스계 언어

부여계 언어 : 부여어, 고구려어, 옥저어, 예어

한계 언어 : 마한어, 진한어, 변한어

② 부여어 ≒ 고구려어 ≒ 옥저어 ≒ 예어 ≠ 숙신어

③ 진한의 말 ≒(??) 변한의 말 ≠ 마한의 말

④ 부여계 언어와 한계 언어는 서로 통했을 까?: 의문

(22)

1 1

우리말의 역사 1.3 한국어의 형성

삼국시대의 언어

(23)

1 1

우리말의 역사

1.3 한국어의 형성

삼국시대의 언어

고구려어

① 고구려어는 알타이어계 언어로서 신라어, 퉁구스 제어, 일본어 등과 가깝다.

② 고구려어와 퉁구스어와의 관계 > 신라어와 퉁구스어와의 관계 (고구려어는 퉁구스와 신라어 중간 정도 위치)

(24)

1 1

우리말의 역사

1.3 한국어의 형성

삼국시대의 언어

백제어

① 자료의 부족으로 백제어의 실체 파악에 어려움이 있음

② 역사적(백제 온조 설화)으로 볼 때 초기에는 부여어 계통의 언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

《삼국사기》 기록에 따르면, 졸본부여 사람인 비류(沸流)와 온조(溫 祚)가 남쪽으로 함께 내려온 뒤 비류는 미추홀(彌鄒忽)에, 온조는 하 남위례성(河南慰禮城)에 각기 도읍을 정하고 나라를 세웠으며, 비류 가 죽자 그 신하와 백성이 모두 위례성으로 옮겨오므로 비로소 백제

( 百 濟 ) 라 는 큰 나 라 로 성 장 했 다 고 한 다 . [두산백과, 백제]

(25)

1 1

우리말의 역사

1.3 한국어의 형성

삼국시대의 언어

백제어

③ 마한 통합 후: 지배족은 부여어, 피지배족은 마한계 언어 사용 - 동일한 것에 대한 지배족과 피지배족의 명칭이 다름

④ 현존 백제어의 특징: 신라어에 가까움 예: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

백제어 ‘夫里(부리)’ ≓ 신라어 ‘伐(벌), 火(뜻으로 ‘블’)’

⑤ 종합적으로 볼 때 신라어(& 중세국어)와 비슷하나 어휘에서는 차 이를 보임

(26)

1 1

우리말의 역사 1.3 한국어의 형성

삼국시대의 언어

① 6세기에 가야 합병: 신라어 중심의 한반도 언어 통일의 출발점

② 7세기 후반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신라어 중심의 한반도 언어 통일 통일신라의 성립은 국어 형성 역사상 최대의 사건

③ 신라어는 중세국어로 계승되었으며 현대 한국어에까지 이름 수도 서라벌: 한반도의 Latium(이탈리아 반도 언어의 모체인

Latin의 발생지)

* 고구려, 백제, 신라의 언어는 서로 통했을까? : 의문

(27)

1 1

우리말의 역사

1.3 한국어의 형성

고려 건국(10C 초)

① 중앙어의 이동: 경주(남부지방) → 개경(중부지방) → 한양(중부지방) → 서울(중

부지방)

중세국어의 성립

중세국어는 신라어를 근간으로 형성됨

② 개경 지방의 언어: 고구려어의 흔적이 다소 있는 신라어의 방언

(28)

1 1

우리말의 역사

1.3 한국어의 형성

한국어의 계통적 변모

(부여․한 공통 조어)

┌──┴──┐

(원시 부여어) (원시 한어) │ ┌─┴─┐

(고구려어) (백제어) (신라어) │

(중세국어) │

(근대국어) │

(현대국어)

(29)

1 1

우리말의 역사

1.4 한국어의 시대구분

고대한국어 (원시-통일신라)

고구려, 백제, 신라의 언어 포함 7세기 신라의 삼국통일-신라어 중심 고려의 건국(918년)

중세한국어 전기

(고려시대) 중부지방어가 중앙어로 등장 조선의 건국(1392년)

중세한국어 후기 (조선건국-임진란)

성조

모음조화 현상이 강함 임진왜란 (1592년)

근대한국어 (임진란-갑오경장)

현대 국어의 체계 형성, ‘ㆍ’소멸 주격조사 ‘가’의 사용

갑오경장 (1894년) / 광복(1945년)

현대한국어

(갑오경장-현재) 언어와 문자의 표준화를 위한 체계적 작업

(30)

생각해 봅시다 (2)

위의 시대 구분은 국가의 흥망을 국어와 연결시킨 방식

으로 국가와 민족과 언어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

고 있다. 학교문법에서는 이 견해를 따르고 있으나 다른

견해들도 존재한다. 어떤 견해들이 있는지 알아보자(김동

소 견해 포함 <한국어 특질론>).

참조

관련 문서

VIII.. • 점성의 변화에 관계하여 막의 특성에 관계.. &lt;폴리 아이소프렌의 다중화를 위한 감응제, 아자이드&gt;.. 스핀 코팅. wafer

시민들간의 신뢰는 안정적, 성공적 인 민주체제에서 살아온 일상적인 경험으로 부터 나오는 학습효과이다. • 좋은 정치가 좋은

응력 변형률 관계 - 등방

• 임의의 자연수 x에 대해

– 자연 조인에서는 조인 애트리뷰트들이 양쪽의 릴레이션에서 동일한 이름을 가져야 하며, 그렇지 않는 경우 조인 속성의 이름을 먼저 동일하게 변경해야 함.. –

언어와 사고의 관계...

관계

다만, 어떤 경우에도 서류는 신용장의 유효기간 내에 제시되어야 한다.&#34;고 규정하고 있는바, 서류 제시를 위한 신용장의 유효기간과 운송 관련 서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