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초고층 주거복합빌딩의 LQI(Living Quality Indicator) 시스템 개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초고층 주거복합빌딩의 LQI(Living Quality Indicator) 시스템 개발 연구"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 국 방 재 학 회 논 문 집 제12권 1호 2012년 2월

pp. 31 ~ 37

건축방재

초고층 주거복합빌딩의 LQI(Living Quality Indicator) 시스템 개발 연구

A Development of LQI(Living Quality Indicator) System for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김진욱*·유용흠**

Kim, Jin Wook·You, Yong Hum

···

Abstract

In Korea,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is becoming common house type of CBD Area and some project is going on design over 100 stories residential buildings. Considering this situation, living quality of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is becoming important.

Therefore countable design evaluating factors for high rise residence should be needed to ensure a pleasant and healthy envi- ronment. In this research, DQI(Design Quality Indicator) which is a objective system to assess public space design was reviewed.

And LQI(Living Quality Indicator) is proposed to evaluate space and living quality for high rise livings. First of all, algorism of system was established and design indexes frame for living space of high rise multi use residence building was designed. After evaluation elements were established, evaluation elements were verified by Delphi Method inspection to professional group.

Key words : High Rise Residence, comfort, DQI, LQI, Indicator, Delphi Method

요 지

국내 초고층 고밀 주거의 확산으로 60층의 경계를 넘어섰고 다수의 프로젝트에서 100층 이상의 주거 복합 초고층건물이 계 획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초고층 주거복합빌딩의 쾌적성(거주성)에 대한 우려가 꾸준히 제기 되고 있다. 따라서 초고층 주 거 복합빌딩에서 적정한 주거 공간계획과 쾌적한 환경 확보를 위해서는 주거공간의 설계수준을 평가할 수 있고, 주거 환경의 질적 수준을 객관적으로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정량적인 계획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건축 디자인 평가 시스 템인 DQI를 살펴보고, 초고층 주거복합빌딩의 LQI(Living Quality Indicator)알고리즘 개발 및 초고층 주거복합빌딩의 주거공 간의 계획지표에 대한 개념적 틀을 설정하였다. 다기능 복합화에 따른 주거환경의 변화와 초고층(50층 이상) 주거의 특징적인 계획요소 및 개념을 추출하여 기본 지표로 삼고 평가 지표를 전문가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핵심용어 : 초고층 주거, 쾌적성, DQI, LQI, 지표, 델파이 조사

···

1. 서 론

세계적으로 초고층 건축의 건설 경향을 살펴보면 그림 1과 같이 1990년 후반부터 중동과 아시아를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건설기술의 발달과 복합화로 초고층 주거시장이 최근 급격하게 확장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초고층 고밀 주거 의 확산으로 60층의 경계를 넘어섰고 다수의 프로젝트에서 100층 이상의 주거 복합 초고층건물이 계획되고 있다. 이러 한 상황에서 초고층 주거복합빌딩의 쾌적성(거주성)에 대한 우려가 꾸준히 제기 되고 있다. 따라서 초고층 주거 복합빌 딩에서 적정한 주거 공간계획과 쾌적한 환경 확보를 위해서

는 주거공간의 설계수준을 평가할 수 있고, 주거 환경의 질 적 수준을 객관적으로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정량적인 계획지 표 개발이 필요하다. 이는 주거공간의 쾌적성(거주성)지표를 평가 수단으로 활용하여 주거 환경의 질적 수준을 객관적으 로 비교 분석해 볼 수 있으며, 이후 주거공간의 쾌적성 유지 관리 할 수 있는 계획기법의 개발도 가능할 것이다.

영국에서는 공공건축의 디자인 품질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DQI Design Quality Indicator 이후 DQI라고 함)을 구축하여 기획단계에서부터 설계, 시공, 유지 관리 전 과정에 걸쳐 그 프로젝트의 이해 당사자들이 모두 참여하여, 디자인품질을 평가하고 바람직한 대한을 찾아가는

**정회원·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교수(E-mail : jinwook@seoultech.ac.kr)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과정

(2)

프로세스를 시스템화하여 관리하고 있다(김상호 등, 2009).

초고층 또한 공공적인 요소가 강한 프로젝트이고 초고층 주거의 경우 중 저층 주거에 비하여 인공적인 환경비율이 높 고 고가의 Project로 향후 재건축 remodeling등이 어려우므 로 초기 Design이 중요하다.

국내의 실정은 선 분양 이므로 소비자에 대한 공급자의 주 거 만족도 예측이 어려움, 기존 APT의 단위 세대 위주의 Model House와는 다른 개념 접근 필요 기존 공동주택의 최 소한의 주택 질을 담보하는 건축 관련 법규의 경우 300 m이 상의 초고층 주거를 예측, 평가하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선진국 시스템인 DQI시스템을 일부 적용 하여, 초고 층 주거의 초기디자인 과정과 유지관리 과정에서 거주자들의 쾌적성(거주성)을 평가 할 수 있는 LQI(Living Quality Indicator 이후 LQI라고 함)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주거 공간 평가지표 관련 선행연구 및 영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공공건축 디자인 평가 시스템인 DQI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초고층 주거복합빌딩의 LQI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LQI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초 고층 주거복합빌딩의 쾌적성 지표를 다기능 복합화에 따른 주거환경의 변화와 초고층(50층이상) 주거의 특징적인 계획요 소 별 개념을 추출하여 초고층 주거복합빌딩의 LQI지표로 삼았다. 또한 위의LQI 평가 지표를 전문가 델파이 설문조 사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2.1 선행연구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이에 표 1에서와 같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초고층의 거주 환경이나 기타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기본도구인 지표 개발 위주의 연구이며, 반면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지표 들을 토대로 더 나아가 구체적인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2.2 DQI 개념

DQI는 영국에서 공공건축물의 조성과정에서 프로젝트에 참 여하는 이해당사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참여주체별 로 각기 상반된 의견에 대한 의사결정 및 합의도출을 최단기 간에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궁극적으로 공 공건축의 디자인품질을 향상하고 조성과정에 투입되는 시간 과 공공건축의 전 생애에 걸친 비용을 단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3 DQI 3가지 구성요소

DQI 시스템의 핵심요소인 디자인품질지표는 비트루비우스 가 ‘건축십서’에서 제시한 건축 3요소, 즉 공간의 유용성 (Utilitas; Functionality), 아름다운 외관(Venustas; Impact), 구조적 안정성(Firmitas; Build Quality)을 중심으로 대항목을 구성하고 그 아래의 세부적인 항목을 두고 있다. DQI 시스 템은 기획단계에서 사용하는 브리핑 툴(Briefing tool, 공공건 축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여 지표별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 계와 설계단계 이후에 사용하는 어세스먼트 툴(Assessment tool, 계획안에 대한 평가와 점검단계)로 구분된다.

그림 1. 세계 주요도시 초고층주거 건설동향(정창용 등, 2005)

표 1. 선행연구 검토

연구주제 연구자 연구내용

초고층 주상복합 거주자의 삶의 질 평가를

위한 주거환경지표에 관한 연구 변정수

2010 전문가를 통한 초고층 주상복합 거주환경 지표개발과 실 거주자 설문조사를 통한지표 검증

초고층 건축물 거주환경성능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박헌구 외 2명

2009 공동주택 주거환경성능 평가기준의 주요 내용 고찰분석, 초고층 주거건축물에 적용 가능한 거주환경성능 평가요소 도출 평가지표와 평가방법 제시 국내 초고층 주거의 친환경적 실내 공간

계획 및 개선방안연구 김자경

2008

국내외 친환경 인증제도의 실내 평가항목을 종합, 실내 공간구성을 위한 기본 계획 요소로 설정 국내 초고층 건축물 10개 사례에 적용 친환경적 관점에서의 문제점과 향후 보완 할 점 제시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의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의 가중치 설정 및 모의평가 연구 이규인 외 1명

2007 전문가 조사를 통한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의 지속가능성 평가지표 개발 각 지표별 중요도 분석 및 가중치 설정

건축실무자 조사를 통한 초고층 공동주택 주

거환경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정성운

2007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지표를 토대로 검증을 실시 초고층 공동주택 주거환경 평 가 지표 체계화 중요도 및 가중치 조사를 통한 우선순위 파악

그림 2. DQI의 기본 3원칙(김상호 등, 2009)

(3)

3. 초고층 주거복합빌딩 LQI 알고리즘 3.1 초고층 쾌적성(거주성 Living) 정의 및 주요구성요소 쾌적성(거주성)의 사전적 의미는 ‘집의 구조, 설비, 디자인, 주위환경 및 사회적 조건에 이르는 편리함과 쾌적함을 의미 한다. 이러한 쾌적성(거주성) 이란 주거환경에 질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라고 말 할 수 있다. 주거환경의 요건은 여러 가지 연구를 통하여 그동안 제시되어 왔다. WHO의 삶의 질 측정지표는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주거환경지표로 인 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시 하는 개념적 지표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이에 표 2에서와 같이 WHO에서 제시한 주거환경 질적 요건에서 그림 3에서와 같이 고층 대비 초고층 주거 만족도 조사 결과 초고층 복합빌딩의 환기의 어려움, 화재의 위험, 테러의 대상이 되기 쉬움, 연돌효과 등 특수성과 친환경을 감안한 위의 네가지 요건을 만족하는 것을 이번 연구의 쾌적 성(거주성Living)이라 정의 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초고층거주자의 만족도를 저해하는 요소로 지적된 관리비 부 분과 현 사회에서 꾸준히 요구되고 있는 친환경적인 요소를 감안하여 위의 네가지 요소에 지속가능성을 추가하여 LQI 주요 다섯가지 요소로 아래의 편리성, 즐거움, 건강성, 안정 성, 지속가능성 정의 하고자 한다.

3.2 LQI 주요 요소별 세부지표

위의 LQI 주요 요소로 정의한 다섯가지 항목별 세부지표 로는 선행연구에서 초고층 삶의 질 지표로 정의 되었던 항목 중 위의 요소에 부합하며 특히 초고층 주거 쾌적성(거주성 Living)에 영향이 크고 선행연구에서 기존 중 저층 주택에 비하여 만족도가 떨어지는 항목을 추출하여 다음 표 3과 같 이 제시하고자 한다.

표 2. 세계보건기구의 주거환경 질적 요건(강부성 등, 2003) (convenience)편리성 생활의 편리성이 경제적으로 확보되어 있을 것

(amenity)즐거움 아름다움, 위락 등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을 것 (health)건강성 육체적, 정신적 건강상태가 유지되어 있을 것 (safety) 안전성 인간의 생명 및 재산이 자연재해, 화재, 범죄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 되어 있을 것

그림 3. 고층대비 초고층 주거 만족도 조사(복나영 등, 2009)

표 3. 초고층 주거쾌적성 평가지표의 기본방향과 요구 성능

(4)

(1)『편리성』항목 지표(안)

편리성 항목은 수평수직 이동의 용이성과 거주자에 의한 조명/온도/습도 조절, 공용공간과 각 주호의 연계, 사회적 약 자를 위한 Barrier Free 상태로 구분하여 각각의 지표를 설 정하였다.

(2)『즐거움』항목 지표(안)

즐거움 항목은 Privacy 확보 용이성과 소음에 대한 차음성 능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지표를 설정하였다.

(3)『건강성』항목 지표(안)

건강성 항목은 채광/통풍/자연환기를 위한 개구부 적정성과 환기에 의한 공기순환 상태로 설정하고 각각의 지표를 설정 하였다.

(4)『안전성』항목 지표(안)

안전성 항목은 지진,풍하중에 대한 안전성과 외부인 입출입 제한의 적정성으로 설정하고 각각 지표를 설정 하였다.

(5)『지속가능성』항목 지표(안)

지속가능성 항목은 신재생에너지이용과 단열성능 및 유지 관리 비용의 적정성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지표를 설정하였다.

표 4. 편리성 항목 지표(안)

요구 성능 지 표

1. 수평·

수직 이동의 용이성

1.1 복도공간의 수평동선 기능의 적정성 1.2 층간 이동이나 세대간 이동이 용이하다.

1.3 공용공간과 각 주호간의 이동이 수월하다 1.4 세대의 접근성 및 공간의 형태가 적절하다.

1.5 출입구에서 현관까지의 거리(출입용이성) 2. 거주자에

의한 조명·온 도·습도 조절

2.1 실내온도 및 습도 조절 가능하여 한다.

2.2 높이에 따른 기류속도 및 변동이 적절하다 2.3 거주자에 의한 조명조절이 용이하다.

3. 공용 공간과 각 주호의 연계

3.1 주동 공용공간의 유지 및 정비정도 3.2 세대 내 개방감

3.3 커뮤니티 여가활동 공간의 제공 3.4 단지내 네트워크 시스템

3.5 공용공간과 각 주호간의 연계가 용이한가 3.6 세대 내 층고의 적정성

4.사회적 약자를 위한 Barrier Free 상태

4.1 노약자배려시설 공간을 배치한다.

4.2 문,공용 복도 엘리베이터의 유효폭이 적절하다.

4.3 유아 추락사고에 대한 안전성

표 5. 즐거움 항목 지표(안)

요구성능 지 표

5. Privacy 확보 용이성

5.1 옥외시선으로부터 각 실 프라이버시 유지 되 어 있다.

5.2 이웃과의 사생활 보호 유지 상태 5.3 거주민의 사생활보호가 적절하다 5.4 저층세대의 프라이버시 확보여부 5.5 출입구 공유 세대 수의 적정성 6.1 층간 경계 바닥의 충격음 차단 성능

6. 소음에 대한 차음성능

6.2 대화 프라이버시를 위한 배경소음 6.3 외부 소음에 대한 실내허용 소음 6.4 실내 소음 및 음반사 상태 6.5 외부 유입 및 설비소음 상태 6.6 세대간 경계벽 차음성능 수준

6.7 벽/바닥판/개구부의 차음성능이 우수하다 6.8 설비 소음에 의한 차음성능이 우수

표 6. 건강성 항목 지표(안)

요구성능 지 표

7. 일조 및 채광

7.1 채광을 위한 창이 적정하다.(위치, 크기) 7.2 일조시간

7.3 실내조도의 적정성 7.4 실내조명기구의 배치

8. 통풍/

자연환기 / 공기 순환상태

8.1 공사시 IAQ 관리계획이 되어야하고 기준을 충 족하여야 한다

8.2 오염원 관리의 타당성(CO2 모니터링등)이 적 절하다

8.3 각종유해물질 저함유 자재 사용여부 8.4 공기정화시스템과 효율적인 청소시스템 구축 을 갖추어야 한다.

8.5 구역별 제어시스템 8.6 주동배치에 의한 통풍상태 8.7 환기에 의한 공기순환상태

8.8 통풍/자연환기를 위한 개구부의 적정성

표 7. 안전성 항목 지표(안)

요구성능 지 표

9. 지진, 및 자연재해에 대한 안전성

9.1 지진(진동)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다 9.2 긴급시 비상승강기 활용가능여부

9.3 피난경로 및 대피공간 설계가 적절하다 9.4 건물이 견고해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9.5 긴급구조차량 및 인력의 접근 용이성

10. 외부입출입 제한의 적정성

10.1 외부인 출입제한을 위한 주동 방법장치 설치 유무

10.2 경비인력의 배치 및 인원수 10.3 세대 내 방범시설의 보안 수준 10.4 감시카메라 설치 위치의 적절성 10.5 안전경보 시스템 설치

표 8. 지속가능성 항목 지표(안)

요구성능 지 표

11. 신재생 에너지이용

11.1 외피 기밀성 제품을 사용하여 설계한다 11.2 자연 순환형 설계한다.

11.3 풍력, 지열, 태양광, 이오매스등의 활용비율

12. 유지관리 비용의 적정성

12.1 유지관리가 용이한 재료의 사용 12.2 절전형 설비시스템이 계획되어 있다 12.3 구성요소의 사용연한

12.4 단열성능상태 12.5 기수선계획의 적정성

(5)

4.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한 지표검증 4.1 설문조사 개요

(1) 설문조사 내용

기존 초고층주거지표의 선행연구에서 거론되었던 지표들을 종합하여 편리성, 즐거움, 건강성, 안전성, 지속가능성의 측면 에서 평가지표를 도출하였고 전문가 면담조사를 통한 검증을 거쳐 최종 평가항목을 선정하였다.

(2) 설문대상

설문조사의 대상은 초고층전문가 50인에게 조사기간은 2011년 10월 1일부터 10월 17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조사개요 는 표 9와 같다.

(3) 조사내용

전체 5영역 14범주 70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부항목 으로는 ①편리성(4범주 17항목), ②즐거움(2범주 13항목), ③ 건강성(2범주 12항목), ④안전성(2범주 10항목), ⑤지속가능성 (2범주 8항목)으로 구성 되어있다.

(4) 평가방법

본 설문은 태도나 가치를 수치화하는데 널리 쓰이는 척도 중 하나인 ‘매우 우수, 우수, 보통, 미흡, 매우 미흡과 같이 구성된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MS EXCEL 프로그램 으로 분석하였다.

(5) 조사대상

초고층 연구단과 건축설계회사의 초고층관련 분야에 종사 하고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정하였으며 직접 방문 또는 이 메일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배포한 50부 중 총 27부가 유효 한 표본으로 수집되었다.

4.2 설문 데이터 결과 (1) 기본방향

초고층 주거 쾌적성 지표설정을 위한 기분방향 설정에 대한

5점 리커드 척도는 편리성(3.70), 즐거움(3.43), 건강성(3.93), 안전성(4.15), 지속가능성(4.04)로 모든 항목이 적절하다고 응 답하였으나 즐거움 항목이 비교적 낮은 적정성을 보였다.

(2) 요구성능에 대한 설문결과

수평수직이동의 용이성 (4.63), 거주자에 의한 조명/온도/습 도조절 (4.33), 공용공간과 각 주호의 연계(4.37), 사회적 약 자를 위한 Barrier Free 상태(4.07), Privacy 확보용이성(3.89), 소음에 대한 차음성능(3.89), 신재생에너지이용(3.74), 일조 및 채광(4.37), 통풍/자연환기/공기순환상태(4.37), 지진, 풍하중에 대한 안전성(4.67), 외부입 출입 제한의 적정성(3.93), 유지관 리비용의 적정성(3.81)으로 나타났다.

(3) 편리성 항목에 대한 적정성 평가

편리성 항목에서는 복도동선적정성(4.20), 층간·세대간 이 동(3.78), 공용공간 이동(4.15), 세대의 접근성(3.85), 출입용이 성(4.11), 실내온도조절가능(4.59), 높이에 따른 기류속도 및 변동(4.15), 거주자에 의한 조명조절(4.30)공용공간의 유지, 정 비(4.04), 세대내 개방감(4.11), 여가활동 공간의 제공(3.74), 단지 내 네트워크 시스템(4.37), 공용공간과 각 주호간의 연 표 9. 설문조사 개요

조사대상 조사기간 설문수

배부수 회수수 조사방법 초고층연구단 및

초고층 설계자

11.10.1-

10.17 50 27 직접면담 전자메일

그림 4. 기본방향 설정에 대한 5점척도 분석

그림 5. 요구성능 설정에 대한 5점척도 분석

그림 6. 편리성 항목에 대한 5점 척도 분석결과

(6)

계(3.89), 세대 내 층고의 적정성(3.74), 노약자배려시설배치 (3.96), 문·공용복도 엘리베이터의 유효 폭 적절(4.37), 유아 추락 사고에 대한 안전성(4.07)으로 나타났다.

(4) 즐거움 항목에 대한 설문결과

옥외시선으로부터 프라이버스유지(4.59), 이웃과의 사생활 보호 유지 상태(4.35), 거주민의 사생활보호(4.26), 저층세대의 프라이버시 확보여부(4.00), 출입구 공유 세대 수의 적정성 (4.11), 층간 경계 바닥의 충격음 차단 성능(4.19), 대화 프라 이버시를 위한 배경소음(4.04), 외부 소음에 대한 실내허용 소음(4.19), 실내 소음 및 음반사 상태(4.04), 외부 유입 및 설비소음 상태(4.15), 세대 간 경계벽 차음성능 수준(4.37), 벽/바닥판/개구부의 차음성능이 우수(4.41), 설비소음에 의한 차음성능이 우수(4.22)로 나타났다.

(5) 건강성 항목에 대한 설문결과

채광을 위한 창이 적정(4.81), 일조시간(4.37), 실내조도의 적정성(4.04), 실내조명기구의 배치(3.89), 공사시 IAQ 관리계 획(4.30), 오염원 관리의 타당성이 적절(4.11), 각종유해물질 저함유 자재 사용여부(4.15), 공기정화시스템과 효율적인 청 소시스템 구축(4.33), 구역별 제어시스템(3.85), 주동배치에 의 한 통풍상태(4.30), 환기에 의한 공기순환상태(3.96), 통풍/자 연환기를 위한 개구부의 적정성(4.44)로 나타났다.

(6) 안전성 항목에 대한 설문결과

지진(진동)에 대한 안전성확보(4.30), 긴급시 비상승강기 활 용가능여부(4.33), 피난경로 및 대피 공간 설계(4.41), 건물이 견고해서 사고를 예방(4.07), 긴급구조차량의 접근 용이성

(4.15), 외부인 출입제한을 위한 주동 방법장치 설치유무 (4.26), 경비인력의 배치 및 인원수(3.89), 세대 내 방범시설 의 보안 수준(4.33), 감시카메라 설치 위치의 적절성(4.29), 안전경보 시스템 설치(4.00)로 나타났다.

(7)지속가능성 항목에 대한 설문결과

외피기밀성제품사용하여 설계(3.85), 자연 순환형 설계 (4.44), 풍력, 지열, 바이오매스 등의 활용비율(3.96), 유지관리 가 용이한 재료의 사용(4.44), 절전형 설비시스템이 계획 (4.59), 구성요소의 사용연한(4.30), 단열성능의 상태(4.67), 장 기수선계획의 적정성(4.48)으로 나타났다.

4.3 소결

개발한 지표를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검증 한 결과 로 요구 성능으로 안전성부분의 지진 풍하중에 대한 안전성 (4.67), 수평 수직이동의 용의성(4.63), 통풍 및 자연환기/공기 순환(4.37), 일조 및 채광(4.37) 순으로 적정성이 높게 나타 남. 이는 초고층 주거의 경우 화재, 테러, 지진 등이 발생하 였을 때 다른 건물에 비하여 밀도가 훨신 높은 만큼 피해가 클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반영한 안전성에 대한 적절도와 수 직 수평이동의 문제 탑상형의 형태에 따른 통풍 및 환기, 향 의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적절성이 높게 나왔다.

좀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실내온도 조절이(4.59), 즐거움 항목에는 옥외로 부터의 프라이버시 확보(4.59), 건강성 항목 에는 체광을 위한 창 크기의 적정성(4.81), 안전성 항목에는 피난경로 및 대피공간 설계(4.41), 지속가능성 항목으로는 단 열성능의 상태(4.67)로 높게 나왔다.

그림 7. 즐거움 항목에 대한 5점 척도 분석결과

그림 8. 건강성 항목에 대한 5점 척도 분석결과

그림 9. 안전성 항목에 대한 5점 척도 분석결과

그림 10. 지속가능성 항목에 대한 5점 척도 분석결과

(7)

이외의 기타 의견으로 즐거움 항목에 외부 조망에 대한 의 견과 주동내의 녹색공간/자연환경 조성에 대한 의견이 있었다.

5. 결 론

본 연구는 초고층 복합주거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입 주민의 삶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쾌적성(거주성)에 대한 우 려를 주리고 초고층 주거 공간의 설계수준을 평가 할 수 있 는 평가 시스템 알고리즘 개발에 목적이 있으며 그 결과로는 다음과 같다.

1) 선진국의 디자인 품질관리 시스템인 DQI를 분석하여, 초고층 주거의 특성을 고려한 초고층 거주자들의 쾌적성 (거주성)을 평가 할 수 있는 LQI 알고리즘을 제시하였 다.

2) 세계보건기구의 주거환경 질적 요건과 친환경성을 더하 여 편리성, 즐거움, 건강성, 안정성, 지속가능성을 LQI의 요소로 삼았다.

3) 각 요소별 요구 성능을 설정하여 세부 학목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지표를 개발 하였다.

위의 LQI 알고리즘은 초고층 주거 설계 초기단계에서 거 주자들의 쾌적성(거주성)을 정량적으로 평가 할 수 있는 도구 로 사용될 것이며, 이는 초고층 주거 설계의 가이드라인 역 할을 할 것이다.

또한 위의 지표 중 일부 세부 지표(환기를 위한 창 크기 적절성, 온열환경 등)는 BIM과 환경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세 평가를 시도 보다 세밀한 평가를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위 연구의 LQI세부 지표는 중복되는 항목과 적절성 평가 가 미흡한 항목 그리고 전문가들의 기타 의견을 반영하여 조 정하여야 할 것이며 일부 전문가들을 통한 설문인 만큼 지표 의 적절성에 한계가 있다 할 수 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해양부 첨단도시 개발사업의 연구비 지원 (과 제번호#09 첨단도시A01)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참고문헌

강부성, 강인호, 박인석, 이규인, 최정민역 (2003) 주거환경평가방 법과 이론, 시공문화사.

김상호, 김영현, 이민우 (2009) 공공건축의 디자인 향상을 위한 디자인품질지표 개발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7, DQI Leader's Training.

김자경 (2008) 국내 초고층 주거 복합 건축물의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의 가중치 설정 및 모의평가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박헌구, 양승희, 고성석 (2009) 초고층 건축물 주거 환경성능 평 가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9권, 제6호, pp. 79-89.

복나영, 강부성, 김진욱, 이해진, 심규명, 김은아 (2009) 아파트와 초고층주거복합건축물의 거주성 조사 연구, 한국주거학회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이규인, 염동우 (2008)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의 지속가능성 평 가지표의 가중치 설정 및 모의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 제24 권, 제3호, pp. 23-32.

정창용, 김성규, 김진욱, 강부성 (2005) 세계 주요도시의 초고층 주거 건축 건설동향 및 특성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1권, 제12호, pp. 193-200.

정성운, 이제혁, 제해성 (2007) 건축실무자 조사를 통한 초고층 공동주택 주거환경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제23권, 제11호, pp. 11-18.

◎ 논문접수일 : 11년 12월 16일

◎ 심사의뢰일 : 11년 12월 22일

◎ 심사완료일 : 11년 12월 28일 그림 11. LQI 알고리즘

참조

관련 문서

연구 개발 보조금 지원을 방지하기 위해 연구 개발 활동과 국제 무 역을 연계시키자는 다자간 기술〮무역 협상. 인터넷

□ 다만, 이번 모의적용은 통합된 욕구 조사를 통해 서비스를 결정 하는 ‘통합판정체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운영 가능성을 점검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 따라서 통합판정체계를

의 데이터 무결성 보장 및 노드 인증 최적 기법 개발 연구 핵심원천기술 기밀성이 향상된 블록체인 플랫폼 연구 및 개발 핵심원천기술 블록체인 기반 사물인터넷에서

◦ 교과시간, 자유학년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적용 가능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 STEAM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학생들의 융합적

시스템 구축 방안 시스템 구축 시 호환성 확보 및 향후 확장성 정도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구체 상세 절차.

기술 개발 전략은 Customers-in-Development, 제품개발을 위한 Agile Process 확립, 평가기술 중심의 기술개발 선도, 객체화를 통한 과제간

융합인재-맞춤형 교육과정 재구조화를 통한 최적(最適) 융합형 수업모델 개발 및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동향 분석 및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 습 프로그램의 개발.. 과학기술과 인문학 융합 내용 및 융합 방법 실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