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 관광지 쇠퇴원인 진단 및 활성화 방안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지역 관광지 쇠퇴원인 진단 및 활성화 방안 연구"

Copied!
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25 124

우리나라 관광지는 1963년 3월 구(舊) 「관광사업진흥 법」에서 ‘관광지역’으로 도입된 후 1967년 2월 현재와 같은 ‘관광지’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지역 관광은 지방 자치단체의 장이 관광지 조성계획을 작성하고 교통부 장관의 승인을 얻도록 하면서 시작되었다. 정책 시작 연도를 기준으로 한다면 약 50년 전부터 관광객 유치 와 관광사업 진흥을 위해 국가가 관광지를 조성하기 시작한 것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역사유 적지, 경관 자연지, 유원지, 온천지 및 놀이공원 등 사 회 통념상 ‘관광지 또는 여행지’가 아닌 법률상 ‘관광지 (tourist destination)’는 이처럼 공공정책의 특성을 가 지고 계획적으로 조성되었다. 어쩌면 경험이 부족하였 던 지자체 주도의 계획 수립과 특정 시기(1980~1990 년대) 집중이 천편일률적이고 특성 없는 관광지를 대 량 양산하게 만든 원인 중 하나일 것이다. 그러다 보니 이 보고서에서 제기하고 있는 문제처럼, 관광지가 현 재의 관광 트렌드에 대응하지 못하고 관광객들이 찾지 않는 쇠퇴한 관광공간의 상징물이 되어버렸다.

전국적으로 약 220여 개가 넘는 관광지들은 규모,

시설, 조성시기 및 추진 실적 등이 각각 상이하여 공 통되는 문제점이나 원인을 진단하기가 쉽지 않다. 과 거 상당 수준의 재정투자가 이루어진 관광지가 현재는 지역 관광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점검하고 규명하지 못한다면 관 광지정책에 대한 메몰비용은 계속될 것이다. 그렇다 고 그간 아무런 정책적 처방이 없었던 것은 아닌데, 단기적이고 간헐적인 관광지 활성화를 위한 법 · 제도 개선과 재정지원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관광지를 국 토 · 지역으로서, 관광공간의 재구성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지는 못했다. 이러한 점이 이 보고서가 이전 연 구들과 차별되는 점이라고 생각된다.

쇠퇴는 단지 시간이 지나 자연스럽게 노후한 상태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연의 기능과 역할에 있어 전보 다 못한 상태까지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상태를 어떻 게 예찰(豫察)하고 진단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즉, 측정하고 판단할 수 있는 관광지 쇠퇴 진단지표는 원 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시작점이 다. 이 보고서는 쇠퇴의 수준을 인구 · 사회적, 산업 · 경

지역 관광지 쇠퇴원인 진단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이순자, 안소현, 유현아, 심창섭, 정광민 지음

2020년 11월 발간 서평 | 박경열 상지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 (krpark0515@sangji.ac.kr)

KrIHS 보고서 서평

(2)

481호 2021 November

125 124

제적, 물리 · 환경적 지표로 구분하고 쇠퇴단계에 따라 현재 수준을 진단한 후 처방을 위한 쇠퇴 관광지 재생 계획 요건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진단지표에 다소 아 쉬움도 있다. 직접지표로 제시한 관광객 수는 정량적 이고 측정가능하다는 측면에서는 유용하지만 과거보 다 양적 수준이 감소하였다고 쇠퇴라고 판단하거나, 또는 양적 수준은 그대로인데 질적 수준이 이전보다 낮은 경우를 쇠퇴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 다. 이는 적합한 판단이라 하기 어렵다. 관광객들의 방 문 동기와 만족 여부, 지역 관광의 성과는 단순히 관광 객 수로만 판단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유례 없는 성장세였던 관광산업은 2019년 코로나19 로 인해 무방비로 위험에 노출되었다. 국제관광에 대 한 전 세계적인 이동 제약은 반대급부로 국내 관광에 대한 관심과 확대로 나타났다. 팬데믹이라는 위기에도 불구하고 여행과 이동에 대한 인간 본연의 요구와 욕 구는 감소하지 않은 것 같다. 그동안 우리는 막대한 재 정을 소모하고도 활성화되지 않는 관광지를 그냥 지켜 만 보았고,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관광정책에 초점 을 두고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관광지를 모 른 척했으며, 점차 관광정책의 관심에서 멀어져가는 관광지를 그저 방치했던 것 같다. 그러던 우리에게 급 변화한 관광환경은 관광지정책에 있어 그야말로 큰 변 화가 필요하다는 각성의 계기가 되었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각성의 계기를 환기시키는 동시 에 쇠퇴 관광지에 대한 활성화 요소를 기반시설 개선, 콘텐츠 개발, 역량 및 기반 강화, 기능 확대 및 네트워 크 등으로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기반시설 개선부터 킬러콘텐츠(killer contents) 발굴, 지역주민 참여 및 지역 간 상생발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준에서 관광 지 재생계획 요건을 제시하고 있다. 이 중 핵심 킬러콘 텐츠 발굴, 브랜드화, 지역 특화산업과의 연계, 지역주 민 참여 촉진과 같은 제안은 이전과 다른 관점이라 눈

에 띈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우선 쇠퇴 관광지 재생 계획 요건들이 개념적 · 포괄적이다 보니 정책 담당자 나 사업시행자들이 실제 업무에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당황할 수 있다. 대부분의 정책 연구들이 더 정교 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실정이고, 설 사 이러한 대안이 제시된다고 하더라도 협소하고 협의 적이라는 비판을 받게 될 것이라서 양자의 관점과 균 형을 유지하는 것이 현실적일 것이다. 이 보고서에서 는 재생계획 요건들이 낱개가 아닌 묶음에서 작동할 때 성공적일 것이며, 이러한 요건을 실제 쇠퇴 관광지 4개소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정책방안으로 관광지 재생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쇠퇴 진단지표 개발 및 적용, 재생계획 수립, 시범사업 추진 및 지역 역량강화, 네트워크 구축 등을 제시하였 으나, 쇠퇴 관광지가 나타난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설명 하기에는 다소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개별 관광지는 각각 독특한 역사 · 문화적, 자연환경적 배경을 가지고 지정된 경우가 많고, 몇 개의 지표만으로 쇠퇴에 대한 예찰 · 진단을 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기 때문 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 오래되거나 쇠퇴하여 국 토나 지역, 관광정책에서 잊히고 있었던 쇠퇴 관광지가 지역경제 회복과 활력의 유용한 수단으로 거듭날 수 있 다는 사실을 기억하게 해준 점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 너 도 그렇다

나태주 시인이 말한 것처럼 지천명(知天命)이 넘은 관광지를 바라본다면 더 좋은 모습으로 지역 활성화의 주요 동력이 될 것이다. 앞으로 국토와 지역의 관점에 서 관광공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협업의 결과물을 기대해 본다.

참조

관련 문서

□ 한편, 장기요양위원회 가입자 측 위원은 향후 수급자 확대에 따른 재정 지출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법정 국고지원의 상향 및 부당청구 관리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마련 등을 요구하였다..

2002년 이후부터는 한반도 지역 기후에 대한 상세 기후예측 정보의 생산 및 위성, 해 양자료 활용 기술의 개발, 전지구 기후변동예측시스템 구축 등 이상기후 감시

ㅇ 국내외 전문가와 실시간으로 소통하고 지원 받을 수 있는 화상 수업 시스템 구축 및 원격수업 콘텐츠 개발. ㅇ 해외 우수학교 및 타 지역 학교간의 협력적 탐구활동

대학과 공공연구소의 기상기술 이전 활성화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이전센터(TLO)

사우디연합군이 동부 Marib, 북서부 Hajjah 및 북부 Saada 지역 등을 공습 하였는바, Hajjah 지역 공습으로 민간인 10명이 사망하고, Saada 지역 공습 에는

지역 개발 협력에서의 청년 들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현지 조사 방법 및 프로젝트.. 개발 방법을 가르쳐주는 2일

◦ 입주기관의 전략적ž체계적 관리, 주기적 발전 로드맵 수립ž수 정 ,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및 클러스터내 커뮤니티 활성화, 클 러스터간 연계강화 등을 통해

계획의 목표에 맞게 선행되어진 분석 내용을 상대적 중요 성을 검토하는 개발 및 계획 여건이 가지는 문제점 종합분.. 관광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