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초등학교 아동의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이해력 및 인식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초등학교 아동의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이해력 및 인식에 관한 연구"

Copied!
3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초등학교 아동의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이해력 및 인식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Terminology related to the Disabilities

1)최 성 규 이 숙 조* **2) Choi, Sung KyuLee, Suk Jo

요 약

< >

통합교육의 효율성은 장애아동을 지도하는 교사 학부모 그리고 장애아동을 포함한 일반, , 아동의 태도에 기초한다는 선행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초등학생. 4, 5, 6학년 350명을 대상으로 장애자 라는 어휘에 대한 마인드맵 분석을 통하여 일차적으로 일반용어 개 장애관련 용어

20 ,

개 장애관련 속어 개를 선정하였다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하여 유목별로 각각 개의

20 , 20 . 10

어휘를 선정하여 최종적으로 30개 어휘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t 검증과 다변량 분석을 통하여 초등학생의 장애관련 어휘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장애관련 어휘와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이해력은 일반 용어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관련 어휘보다는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이해력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세 영역의 어휘에 대한 이해력은 점차 향상되지만 일반용어와 비교하여 장애관련 용어와, 속어에 대한 현저한 이해력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이해력의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지만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이해력의, 차이는 성별에 따라 달리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 력에 대한 학년과 성별에 따른 용어에 대한 이해력의 고착화는 용어의 특성으로 사료된다. 또한 동일한 의미의 용어와 속어 등에 있어서 초등학생은 일관되게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용어의 성격에 따라서 인식 또한 달라질 수 있음을 본 연구에서는 제시하였다.

핵심어: 초등학생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 장애아동에 대한 용어, ,

. 서 론

연구의 의의 1.

사람들은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를 통해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표현하고 생, 각과 가치관을 나타내며 타인과 의사소통을 한다 따라서 그 사람이 특정 주제.

대구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교수 교신저자

* ( : skchoy@daegu.ac.kr)

Department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 부산 신평 초등학교 교사

Busan Sin Pyeong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4, No. 1, pp. 127 154, 2005.

(2)

와 관련하여 사용하고 알고 있는 단어 목록을 조사 해 보면 그 사람의 의식 세계를 알 수 있다 또한 문화를 전달하는 도구로서 언어적 상징 체제를 통해 인. 간은 자신의 사고와 가치를 다음세대에 계기적(繼起的)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언어를 통해서 전대의 문화유산과 사고체제가 다음 세대에 전달하게 되므로 언어는 문화계승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최성규( , 2001).

문화를 투영하는 언어는 그 사회 구성원들의 정신세계를 이끌어 가고 시대 정신을 만들어 가는 역할을 한다 즉 그 사회 구성원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통해 우리는 그 시대의 가치관을 엿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대로 그 시대 의 가치관을 알기 위해서는 언어를 살펴볼 수 있다 그러나 개인은 자신이. 자란 사회적인 환경 언어 습관 가치관에 따라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인식, , 이 달라진다 최성규 박종훈( , , 2002). 이는 개개인의 그 단어와 관련된 경험 이 다르고 그 단어에 대한 인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즉 같은 용어를 사용한. 다 하더라도 인식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전해 내려온 관습뿐만 아니라 벙어리 삼룡이 와 같은 문학작품에 나타난 부정적인 장애인관 김미순( , 1990)과 장애관련 속담 연구에서와 같이 병신 자식이 효도한다 .’ 등의 속담을 통해서도 사회에서 장애를 가진 사람을 편견의 대상으로 보게 되었으며 심홍식( , 2002), 장애인에 관 한 좋은 의미의 용어보다는 부정적인 용어들이 많이 사용되고 알려져 온 것이 사실이다 이런 사회적인 편견과. 용어들이 그대로 남아 초등학교 아동들도 그 용어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인식에 의해서 장애관련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아 니라 사회에서 전수 받은 용어로 장애관련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전통적. 으로 관용화 되어온 장애관련 용어의 표현은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일반 아동이 장애 아동을 장애에 대하여 관행적 용어가 의미하는 대로 부정적으로 보게 되는 현상을 낳게 된 것이다 그리하여 장애아들이 일반 아동들로부터 때로는 거부되기도. 하고, 소외되기도 하여 일반 학교에 통합되어 있는 장애아들이 왕따 라는 부적응 상 황에서 일탈되거나 고립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장애인에 대한 영화 및 동화책 보급이 늘어나면서 긍정적인 장애 관련 용어에 다소 익숙해지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장애인에 대한 교육이 확산. 되면서 특수교육계 뿐만 아니라 일반교육에서도 장애관련 용어를 많이 사용하 게 되었다. 이는 일반 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도 영향을 끼쳐 왔 다 하지만 여전히. 일반 학생들은 장애관련 용어에 익숙하지 않으며 아동기, 초기 부모의 장애에 대한 잘못된 인식태도나 유아 교육 기관에서의 장애관련 용어의 잘못된 수용 또는 나아가, 장애 문제에 대한 적절한 교육의 부재로 인 해 장애관련 용어를 부정적으로 습득하기도 하고 이로 인해 장애 아동에 대,

(3)

해 부정적으로 반응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지적은 특히 초등학교 교과서에. , 나타나는 장애아동 관련 내용은 바람직한 측면도 있으나 많은 문제점이 있, 다는 지적에서도 시사점을 찾아볼 수 있다 장애인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 시하지 못하여 부정적인 편견이 강하게 인식될 수 있는 문제의 여, 지를 제공하 게 될 가능성이 있다 박남수( , 2004).

통합교육 또는 장애아동의 효율적 교육방안 등과 관련하여 초등학생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연구결과가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설문조. 사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긍정적인 인식변화 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설문지에서 사용되는 특수교육 용어에 대한 초등 학생의 이해력에 관한 연구는 선행되지 않았다 또한 설문지에 대한 신뢰도는. 검증하고 있으나 초등학생이 특수교, 육 또는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이 부 족할 경우에는 설문지의 신뢰도 검증만으로는 설문지의 타당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통합교육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이며. , 장애영역에 따른 문제점 등과 독 특한 욕구 등과 관련된 교육방법 그리고 장애아동의, 명칭과 특성 등과 관련된 용어의 이해 없이 설문지에 답해야 하는 경우를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초등. 학생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과 함께 장애관련 용어와 관련된 이해력을 알아보 기 위한 선행연구의 필요성이 개진된다.

인식이 변해야만 태도가 변할 수 있다고 한다 일반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 가 변했을 때 보다 긍정적으로 장애아동과 함께 어울릴 수 있다. 인류 사회의 이상이라 할 수 있는 더불어 사는 사회 를 구현하기 위하여 오늘날 특수교육 정책은 모든 아동을 위한 학교 교육의 완전통합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김정( , 1999; Gartner & Lipsky, 1997). 하지만 일반아동의 부정적인 장애 인 식과 함께 장애 아동과의 정서적 통합이 부족하여 완전통합교육이 형식에 치우치고 있는 현실이다 완전통합을 향한. 일반아동의 질적 개혁을 통해 인 식 또는 태도 함양을 위한 노력에 앞서 아동의 내면에 자리한 장애에 대한 인식 변화부터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복잡한 과정을. 거치며 형성되고 오 랜 기간동안 내면화된 언어로 자리하고 있는 개인의 인식을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또한 똑같은 용어를 사용한다 할지라도 서로 다른 내면의 인. 식을 가질 수 있다 이효신( , 2003).

아동의 내면화된 언어 즉 장애아동에 대한 임의의 인식은 아동의 경험 등을, 통해 이미 형성되어 일반화되어 있다 새로운 경험인 여러 매체를 통하여 일반적. 인 지식을 형성하는데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과거에 형성된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의 분석 등과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개진된다 최성규( , 2001; Elley, 1989; Gersten & Baker, 2000; Vaughn et al., 2003;

(4)

Vygotsky, 1978).

내면화된 언어에 대한 내재관념은 실질적 형식적 그리고 구성적 관념이 있다, , . 이는 Chomsky의 언어습득장치(language acquisition device: LAD)에서도 설명되고 있다 박경자 유석훈( , , 1986). 실질적 관념은 의미의 관련성에 의해 형 성되는 관념이다. 형식적 관념은 실질적 관념을 형성하는 관련성을 조작하거나 표현하는 관념이다 실. 질적 관념과 형식적 관념이 결합될 때 일반화로 나타, 날 수 있다 그리고 구성적. 관념은 특정 사건 등이 언어로 입력될 때 개인의, 태도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구성. 적 관념은 실질적 관념과 형식적 관념을 사용 하는 능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성적 관. 념은 개인의 태도를 설정하는 가설 로 작용하며 여러 복잡한 상황을 배제하거나 간단한 단순화하여 개념화시킨, 다 그래서 언어의 내면화는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치. 면서 형성되지만 임의, 의 관념인 태도는 단순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최성규( , 2004, p. 95). 이와 같 이 어휘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초등학교 아동들의 내면에 자리한 장애에 대한 이 해력 및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장애관련 용어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으 며 그 용어에 대해 어떤 인식을 하고 있는지 조사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그들의 장애관련 인식 및 가치관을 파악하여 앞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의 개선을 위한 올바른 지도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연구의 목적 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에 대한 초등학교 아동의 이해력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 여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이해력과 인식을 조사 분석 해 봄으로써 장애 아동 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함양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이에 다음의. 세 가지 측면을 중점적으로 구명하고자 한다.

첫째 일반 용어 장애관련 용어 그리고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력, , , 을 비교하여 본다.

둘째 일반 용어 장애관련 용어 그리고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 , 인식을 비교하여 본다.

셋째 동일한 의미의 용어와 속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차이를 비교하여, 본다.

연구 방법 II.

(5)

연구 대상 1.

초등학교 아동의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이해력 및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지역의 S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모두 467 (93.4%) 가 자료처리 되었다 연구대상. 은 표< 2-1> 같이 학년과 성별로 구분하였다.

연구대상의 학년과 성별

< 2-1>

N

학년 4

76

81

합계 157

학년 5

70

71

합계 141

학년 6

86

83

합계 169

합계

232

235

합계 467

연구도구 및 절차 2.

장애관련 용어 설문지 1)

용어 선정 절차 (1)

초등학교 아동의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이해력 및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생 4, 5, 6학년 350명을 대상으로 장애자 란 단어에 대한 마인드 맵 학습지를 통해 장애인 관련 용어를 수집하였다 부록( 참조). 수집된 용어 중에 서 아동들의 인지도가 높은 단어 인지도는 낮으나 특수 교육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단어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단어를 중심으로 일반 용어 20문항, 장애관련 용어 20문항 장애관련, 속어 20 문항을 일차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용. 어들은 특수교육 전문가의 검증 과정을 거쳐 초등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일반 용어 10문항 희생 봉사 꽃 환자 오염 전쟁( , , , , , , 평등 친구 결혼 가족, , , ), 장애관 련 용어 10문항 장애아동 특수아동 정신지체 청각장애( , , , , 시각장애 지체부자유, ,

(6)

뇌성마비 소아마비 수화 휠체어, , , ), 장애관련 속어 10문항( 치 바보 농 벙 , , , 어리 귀머거리 맹 봉사 장님 절름발이 병신 으로 장애관련 용어, , , , , , ) 30문항을 최종 선정하였다.

설문지 제작 (2)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력 및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제작 한 설문지는 일반 용어 10문항 장애관련 용어, 10문항 장애관련 속어, 10 항을 선정하여 용어를 제시하고 그 용어에 대해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느낌을

단계 즉 차다

3 ‘① ② 그저 그렇다 따뜻하다 로 표시하게 하여 인식을 측 정하고 초등학생이므로 장애관련 용어 중 생소한 단어가 있을 것으로 사료, 되어 4단계 모르는 단어이다 를 표시하게 하여 이해력을 측정하고자 하 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부록( 참조). 설문의 내용과 구성 등은 < 2-2> 같다.

설문의 내용과 구성

< 2-2>

설 문 영 역 문항수 문항번호

일반 용어

1. 10 1 10

장애관련 용어

2. 10 11 20

장애관련 속어

3. 10 21 30

3. 결과처리

본 연구를 위해 실시된 설문 문항은 평균 및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여 변인에 따라 그래프로 비교하였다 초등학생의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이해력과 인식. 등은 다변량분석으로 검증하였으며 동일한 의미의 용어와 속어에 대한 초등, 학생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증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III. 결 과

(7)

초등학교 아동의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이해력 및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 결과의 문항별 빈도 및 평균 등을 제시하면 < 3-1>과 같다.

문항별 빈도 및 평균

< 3-1>

차다 그저

그렇다 따뜻하다 모르는

단어

차다 그저

그렇다

따뜻 하다

모르는 단어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1 155 33.

2 100 21.

4 193 41.

3 19 4.1 16 116 24.

8 110 23.

6 11 2.4 230 49.

3 2 25 5.4 100 21.

4 337 72.

2 5 1.1 17 219 46.

9 164 35.

1 15 3.2 69 14.

8 3 22 4.7 167 35.

8 274 58.

7 4 .9 18 207 44.

3 207 44.

3 29 6.2 24 5.1 4 152 32.

5 256 54.

8 53 11.

3 6 1.3 19 69 14.

8 184 39.

4 167 35.

8 47 10.

1 5 356 76.

2 100 21.

4 6 1.3 5 1.1 20 115 24.

6 252 54.

0 78 16.

7 22 4.7 6 415 88.

9 36 7.7 10 2.1 6 1.3 21 136 29.

1 131 28.

1 23 4.9 177 37.

9 7 44 9.4 192 41.

1 133 28.

5 98 21.

0 22 274 58.

7 174 37.

3 13 2.8 6 1.3 8 8 1.7 35 7.5 423 90.

6 1 .2 23 85 18.

2 133 28.

5 14 3.0 235 50.

3 9 26 5.6 190 40.

7 245 52.

5 6 1.3 24 251 53.

7 185 39.

6 20 4.3 11 2.4 10 5 1.1 9 1.9 451 96.

6 2 .4 25 239 51.

2 196 42.

0 16 3.4 16 3.4 11 131 28.

1 287 61.

5 36 7.7 13 2.8 26 129 27.

6 137 29.

3 9 1.9 192 41.

1 12 113 24.

2 278 59.

5 27 5.8 49 10.

5 27 109 23.

3 180 38.

5 168 36.

0 10 2.1 13 179 38.

3 229 49.

0 20 4.3 39 8.4 28 174 37.

3 226 48.

4 46 9.9 21 4.5 14 160 34.

3 243 52.

0 27 5.8 37 7.9 29 163 34.

9 184 39.

4 23 4.9 97 20.

8 15 155 33.

2 250 53.

5 34 7.3 28 6.0 30 328 70.

2 121 25.

9 5 1.1 13 2.8

일반 용어에 해당하는 1번부터 10번 문항까지는 용어의 성격에 따라 차다 ’,

(8)

그저

그렇다’, 또는 따뜻하다 로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 11번부터 20 까지에 해당하는 장애관련 용어에 있어서는 대부분 차다 와 그저 그렇다 로 응답하였고, 19 문항인 수화와 20번 문항인 휠체어 에 대해서는 35.8%

가 따뜻하다 라고 응

16.7% 답하여 다른 용어에 비하여 비교적 긍정적인 반응 이 나타났다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응답은 대체로 부정적인 반응이 많았으. , 27번 문항인 봉사 에 대해서는 36.0%가 따뜻하다 고 응답하였다 . 설문에 제시된 용어에 대하여 모르는 단어 라고 응답한 경우는 일반용어의 경우에는 평등 이 21.0%로 나타났으나 다른 용어는 모두, 5% 미만이었다. 장애관련 용어에 대해서는 모르는 단어 가 지체부자유 ’ 49.3%, ‘뇌성마비

등으로 나타

14.8% 났으며 기타 용어는 약 10% 이하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관. 련 속어에 있어서 모르는 단어 는 ‘ ’농 이 50.3%를 차지하였으며, ‘ ’맹 이

이었고 천치 가 그리고

41.1% , ‘ 37.9%, 절름발이 가 20.8%를 차지하였다 설문. 지에 제시한 용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력을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알아보 았다.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력 1.

일반용어 10 ,개 장애관련 용어 10 ,개 그리고 장애관련 속어 10개에 대한 초등학 생의 성별과 학년별에 따른 평균 및 표준편차 등은 < 3-2>와 같다.

용어의 이해력에 대한 학년과 성별의 평균 및 표준편차

< 3-2>

(9)

성별 개요 일반

용어 장애

용어 장애

속어

성별 개요 일반

용어 장애

용어 장애

속어

4

M .29 .88 .75

6

M .06 .45 .62

N 76 76 76 N 86 86 86

SD .52 1.0 .86 SD .22 .50 .47

M .24 .46 .72 M .02 .27 .60

N 81 81 81 N 83 83 83

SD .27 .53 .62 SD .13 .30 .53

합계 M .26 .67 .73 합계 M .04 .36 .61

N 157 157 157 N 169 169 169

SD .41 .83 .74 SD .18 .43 .50

5

M .09 .46 .61

M .14 .59 .66

N 70 70 70 N 232 232 232

SD .22 .79 .67 SD .36 .81 .68

M .09 .37 .70 M .12 .36 .67

N 71 71 71 N 235 235 235

SD .22 .47 .62 SD .23 .45 .59

합계 M .09 .41 .66 합계 M .13 .48 .67

N 141 141 141 N 467 467 467

SD .22 .65 .64 SD .30 .67 .63

초등학생은 일반 용어보다는 장애관련 용어가 상대적으로 모르는 어휘가 많 으며, 장애관련 용어보다는 장애관련 속어에 대하여 보다 모르는 어휘가 많음 을 알 수 있다 일반용어 장애관련 용어 그리고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이해. , , 력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용어와 장애관련 용어에. 대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상대적으로 이해력이 높으나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이해력은 성별에 관계없이 유사한 이해력을 보이고 있다 설문지에 제시. 한 용어에 대한 이해력을 초등학생의 학년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그래프는 <그림 3-1>과 같다.

(10)

0 . 1 0 . 2 0 . 3 0 . 4 0 . 5 0 . 6 0 . 7 0 . 8

평 균

그림 용어의 이해력에 대한 초등학생의 학년별 평균 비교

< 3-1>

초등학생 4학년은 장애관련 용어와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이해력이 유사한 수준 의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으나 일반용어에 대한 이해력은 매우 높게 나타났, . 5학년과 6학년의 용어에 대한 이해력의 난이도는 일반용어가 가장 쉬우며, 다음으로 장애관련 용어와 장애관련 속어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애관련 용. 어에 대한 이해력이 초등학교 4학년과 5학년에게 있어서 현저한 차이로 이해 력이 달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초등학생. 4학년과 5학년은 장애아동과 관련된 어휘를 이해하게 되는 결정적 시기임을 본 연구결과는 시사하고 있 다 설문지에 제시한 용어의 이해력에 대한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차이점. <그림 3-2>와 같다.

(11)

0 . 1 0 . 2 0 . 3 0 . 4 0 . 5 0 . 6 0 . 7 0 . 8

평 균

그림 용어의 이해력에 대한 초등학생의 성별 평균 비교

< 3-2>

일반용어와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력은 성별에 관계없이 유 사한 이해력을 보이고 있으나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이해력의 난이도가 남, 학생이 여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 즉 초등학교 여학생은 남학. 생보다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이해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통계.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종속변수는 장애관련 용어와 장애관련 속어이며 모, 수변인은 학년과 성별이었으며 일반용어를 공변량으로 처리한 통계결과는,

와 같다

< 3-3> .

용어의 이해력에 대한 학년과 성별의 다변량 분석

< 3-3>

(12)

변량원 종속변수 III 유형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Intercept 장애용어 46.933 1 46.933 143.130 .000 장애속어 120.844 1 120.844 345.925 .000 일반용어 장애용어 38.127 1 38.127 116.276 .000 장애속어 25.193 1 25.193 72.117 .000

학년 장애용어 .756 2 .378 1.153 .317

장애속어 .352 2 .176 .503 .605

성별 장애용어 4.925 1 4.925 15.020 .000

장애속어 .152 1 .152 .434 .510

학년*

성별

장애용어 1.630 2 .815 2.485 .084

장애속어 .156 2 7.795E-02 .223 .800

오차 장애용어 150.835 460 .328

장애속어 160.695 460 .349

합계 장애용어 312.960 467

장애속어 394.880 467

장애관련 용어와 장애관련 속어 그리고 일반 용어에 대한 두 용어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학년에 따라서는 장애관련 용어와. 장애관련 속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그러나 성별에 따라서는.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태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성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 았다 또한 두 용어에 대한. 학년과 성별의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나타나지 않 았다 따라서 초등학생은 일반용. 어에 비해 장애관련 용어와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용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이, 해력은 학년보다는 성별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력에 대한 해석은 다면적으로 접근할 필 요가 있다 일반용어에 비해서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이해력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만 학년과 성별에 따라서는 장애관련 속어의 이해력에 대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이해력은 고착화되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2.

일반용어 장애관련 용어 그리고 장애관련 속어 등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을, , 알아보기 위하여 학년과 성별에 따라 각각 평균 및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여

와 같이 제시하였다

< 3-4> .

(13)

용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평균 및 표준편차

< 3-4>

성별 M SD N

성별 M SD N

성별 M SD N

4

1.95 .36 76

4

1.26 .53 76

4

1.27 .46 76 2.08 .23 81 1.57 .41 81 1.29 .37 81 합계 2.01 .31 157 합계 1.42 .50 157 합계 1.28 .42 157

5

2.18 .26 70 5

1.48 .50 70 5

1.34 .44 70 2.14 .24 71 1.62 .42 71 1.35 .38 71 합계 2.16 .25 141 합계 1.55 .46 141 합계 1.35 .41 141

6

2.18 .21 86 6

1.54 .47 86 6

1.35 .38 86 2.26 .19 83 1.77 .34 83 1.40 .36 83 합계 2.22 .20 169 합계 1.65 .42 169 합계 1.37 .37 169

2.10 .30 232

1.43 .51 232

1.32 .43 232 2.16 .23 235 1.65 .40 235 1.35 .37 235 합계 2.13 .27 467 합계 1.54 .47 467 합계 1.33 .40 467 초등학생은 3점 척도를 기준으로 일반용어에 대하여 평균 2.13, 표준편차

장애관련 용어에 대해서는 평균 표준편차 그리고 장애관련

.27, 1.54, .47,

속어에 대해서는 평균 1.33, 표준편차 .40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은. 일반용어보다는 장애관련 용어에 그리고 장애관련 용어보다는 장애관련 속, 어에 보다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용어에 대한 초등학. 생의 인식을 학년별로 알아보기 위하여 <그림 3-3>과 같이 그래프로 제시 하였다.

0 . 5 1 1 . 5 2 2 . 5

평 균

그림 용어의 인식에 대한 초등학생의 학년별 평균 비교

< 3-3>

초등학생의 설문 용어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학년별과 관계없이 일반용어, 장애관련 용어 그리고 장애관련 속어의 순으로 점차 부정적임을 알 수 있,

(14)

다 그러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용어에 대한 인식도 다소 긍정적으로 향상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용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차이를 성별에 기초. 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그림 3-4>와 같이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0 . 5 1 1 . 5 2 2 . 5

평 균

그림 용어의 인식에 대한 초등학생의 성별 평균 비교

< 3-4>

세 용어에 대하여 초등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다소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다만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있어서 여학생은 남. 학생보다 일반용어와 장애관련 속어보다는 보다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설문지에. 제시된 세 유형의 용어에 대한 인식을 학년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종속변수는 장애관련 용어와 장애관련 속어로 모수변, 인은 학년과 성별로 그리고 일, 반용어는 공변량으로 하여 통계처리한 결과는

와 같다

< 3-5> .

용어의 인식에 대한 학년과 성별의 다변량 분석

< 3-5>

(15)

소스 종속변수 III 유형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Intercept

장애용어 .108 1 .108 .626 .429

장애속어 .324 1 .324 2.262 .133

일반용어

장애용어 12.692 1 12.692 73.643 .000

장애속어 7.856 1 7.856 54.784 .000

학년

장애용어 .840 2 .420 2.436 .089

장애속어 1.920E-02 2 9.599E-03 .067 .935

성별

장애용어 4.137 1 4.137 24.004 .000

장애속어 3.210E-03 1 3.210E-03 .022 .881

학년 * 성별

장애용어 9.495E-02 2 4.748E-02 .275 .759 장애속어 7.556E-02 2 3.778E-02 .263 .769

오차

장애용어 79.279 460 .172

장애속어 65.968 460 .143

합계

장애용어 1214.320 467 장애속어 906.610 467

장애관련 용어와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학년과 성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일반용어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장애관련. 용어와 장애관련 속어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학. 년에 대해서는 장애관련 용어와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통계적 차이가 유의 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에 따라서는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통계적 차. 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장애관련 속어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년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초등학생은 장애관련 용어와 장애관련 속어에 대한 차이. 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나 일반용어에 비, 하면 장애관련 용어와 장애관련 속어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성별에 따라서는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달라. 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6)

동일한 의미의 용어와 속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차이 3.

동일한 의미의 용어이지만 어감은 달라질 수 있다 정신지체 지체부자유 청각장, . , , 애, 시각장애 등과 관련된 공식용어와 속어에 대한 느낌의 차이를 알아보고 자 하였다.

정신지체 관련 용어와 속어 1)

정신지체와 관련된 용어와 속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 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였고 각각의 용어에 대하여 대응표본으로 t 검증한 결과는 < 3-6>과 같다.

정신지체 관련 용어와 속어에 대한 인식

< 3-6>

용어 인원 평균 표준

편차

수치 t

정신지체 천치 바보

정신지체 467 1.49 .71 - 9.826*** 2.013* 천치 467 1.00 .93 9.826*** - 8.329***

바보 467 1.42 .57 2.013* 8.329*** -

*** p < .001 ** p < .01* p < .05

초등학생은 정신지체 라는 용어에 대하여 3점 척도를 기준으로 평균 1.49 가장 높으며, ‘바보 가 평균 1.42, 그리고 천치 는 평균 1.00으로 나타났다. 정신지체 천치 바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차이가 모두 통계적으로 나타, , 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체부자유 관련 용어와 속어 2)

초등학생의 지체부자유 관련 용어와 속어의 인식에 대한 평균 등을 제시하면

< 3-7>과 같다.

지체부자유 관련 용어와 속어에 대한 인식

< 3-7>

(17)

용어 인원 평균 표준 편차

수치 t 지체

부자유 뇌성마비 소아마비 휠체어 절름발이 병신

지체부

자유 467 .79 .88 - 10.994**

*

15.912**

* 20.460*** 9.942*** 10.356***

뇌성마비 467 1.2

7 .75 10.994*** -

7.556*** 12.921*** .378 .404 소아마비 467 1.5

1 .69 15.912***

7.556*** - 7.833*** 5.347*** 7.954***

휠체어 467 1.8

3 .76 20.460*** 12.921**

* 7.833*** - 11.836*** 15.299***

절름발이 467 1.2

8 .85 9.94*** .378

5.347*** 11.836*** - .848 병신 467 1.2

5 .52 10.356*** .404

7.954*** 15.299*** .848 -

*** p < .001 ** p < .01 * p < .05

초등학생은 지체부자유 와 관련된 용어에 있어서 휠체어 가 3점 척도를 기 준으로 평균 1.83으로 가장 높게 인식되어 있었다 그리고 소아마비. ’, ‘절름 발이’, ‘뇌성마비’, ‘병신 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체부자유라는 용어와 비교하 . 여 기타 용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 다 그러나 뇌성마비 와 절름발이. ’, ‘병신 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 었다 또한 절름발이 와 병신 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다 따라서 지체부자유라는 용어는 초등학생에게. 있어서 가장 부정적인 인식을 제시하는 용어임을 알 수 있다 보장구와 관련된 휠. ‘ 체어 를 제외하고는 소아 마비’, ‘절름발이’, ‘뇌성마비’, ‘병신 보다 지체부자유 라는 어휘가 부정적으 로 인식되고 있다.

청각장애관련 용어와 속어 3)

청각장애와 관련된 용어와 속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에 대한 평균 등은

< 3-8>과 같다.

청각장애관련 용어와 속어에 대한 인식

< 3-8>

(18)

용어 인원 평균 표준 편차

수치 유의확률

t ( )

청각장애 수화 벙어리 귀머거리

청각장애 467 1.56 .72 - 9.810*** 13.474*** 2.612** 2.659**

수화 467 2.01 .95 9.810*** - 19.047*** 11.241*** 11.744***

467 .84 .94 13.474*** 19.047*** - 12.468*** 12.151***

벙어리 467 1.46 .62 2.612** 11.241*** 12.468*** - .159 귀머거리 467 1.45 .62 2.659** 11.744*** 12.151*** .159 -

*** p < .001 ** p < .01 * p < .05

청각장애와 관련된 용어와 속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은 수화 가 가장 긍 정적이었다 청각장애인에 의해 사용되는 언어를 지칭하는 수화 를 제외하. 고는 3점 척도를 기준으로 청각장애 가 평균 1.56, ‘벙어리’ 1.46, ‘귀머거 ’ 1.45, ‘ ’ .84 로 나타났다. ‘청각장애 는 기타 용어에 대비할 때 통계적 , 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수화 도 다른 용어와 비교할 때. ,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벙어리 와 귀머거리 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으로 수화에 대한 소개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수화와 유사한 몸동작에 기초한 무용 등이 학교 특별교육, 활동 등에서 많이 사용함에 따라 초등학생의 인식이 부정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순수한 우리나라 말인 벙어리 와 귀머거리 에 대한 초등학생. 의 인식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요약하면. , ‘청각장애 라는 용어는 수화 와 농 ‘ ’, 그리고 벙어리 와 귀머거리 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벙어리 와 귀머거리 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또한 . 농 이 사용하는 수화 에 대한 인식이 가장 긍정적인 반면 농 은 가장 부정

‘ ’ , ‘ ’

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은 자신들이 친숙하게 사용하는 수. 화 등과 같은 용어에 대하여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시각장애관련 용어와 속어 4)

시각장애와 관련된 용어와 속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을 평균과 표준편차 그리, t 검증 등으로 제시한 결과는 < 3-9>와 같다.

시각장애관련 용어와 속어에 대한 인식

< 3-9>

(19)

용어 인원 평균 표준 편차

수치 유의확률

t ( )

시각장애 봉사 장님

시각장애 467 1.62 .71 - 14.464*** 10.453*** .390 467 .92 .88 14.464*** - 21.088*** 14.964***

봉사 467 2.08 .82 10.453*** 21.088*** - 10.981***

장님 467 1.64 .72 .390 14.964*** 10.981*** -

*** p < .001 ** p < .01 * p < .05 시각장애 는 점 척도를 기준으로 평균 맹 은 평균 봉사 는 평

3 1.62, ‘ ’ .92, ‘

2.08, 그리고 장님 은 평균 1.64로 각각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은. 봉사 에 대하여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장님 시각장

, ’, ‘

’, 그리고 맹 의 순으로 나타났다‘ ’ . ‘시각장애 는 통계적으로 맹 과 봉사 와 ‘ ’ 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나, ‘장님 과는 차이가 없다 그러나 맹 은 모든 용 . ‘ ’ 어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장님 은 맹 과 봉. ‘ ’ 사 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나 , ‘시각장애 와는 차이가 없다 따 . 라서 초등학생에게 시각장애와 관련된 용어는 맹 이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 ’ 되고 있으며, ‘봉사 가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

V. 논 의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 1.

초등학생의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이해력 및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본 연구 의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을 초등학교, 4, 5, 6학년으로 한정하였다 초등학생은 장. 애관련 용어의 인식을 직접경험보다는 간접경험에 의하여 획득하는 경우가 많다 즉 교과서 동화책 영상자료 어른들과의 대화 등이 그 자료가 된다고. , , , 본다 박남수. (2004)의 선행 연구에 의하면 초등학교 교과서의 장애인 관련 내용의 대부분이 4학년에서 6학년 교과서에 편중 제시되어 있다고 하였으 며 장애인을 주제로 한 동, 화책 또한 저학년보다는 고학년 수준의 자료가 많 은 실정이다 이처럼 초등학교. 1, 2, 3학년은 장애관련 용어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여 장애관련 어휘에 대한 인식을 비교한다는 것이 무리가 따

수치

표 용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평균 및 표준편차&lt;3-4&gt; 용 어 학년 성별 M SD N 용어 학년 성별 M SD N 용어 학년 성별 M SD N 일 반 용 어 4 남 1.95 .36 76 장애용어 4 남 1.26 .53 76 장애속어 4 남 1.27 .46 76여2.08 .2381여1.57 .4181여1.29 .3781합계 2.01 .31 157합계 1.42 .50 157 합계 1.28 .42 1575남2.18 .26705남1.48 .5070

참조

관련 문서

그리고 미세먼지 농도가 심한 지역이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지역에 비하여 미 세먼지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미세먼지에 대한 실천으로 이어지는 정도가 더 높은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중등 교과서를 비교 분석 하였으며 북한 교과서에 제시 된 과학 용어를 조사한 후 남한의 예비 과학교사들이 가진 북한 화학

장애관련 책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장애수 용태도 전체와 장애수용태도 하위요인 중 학교생활 개인생활 취미 오락 기타 생활 , , ·

However, preparatory entrepreneur who lacks career and social experience has different point of view of startup success, because of their situation which

이러한 선행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이 조직학습지원 인식에 대한 인식이 조직 구성원의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을 통해 긍정적

ADHD 아동의 창의성에 관한 미술놀이활동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연구 결과를 비교 하고 분석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미술놀이활동이 ADHD 아동

정신질환의 초자연적․종교적 개념과 병태와 치료방향,심리․환경적 개념들은 모두 자신이 직접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에 비하여 경험해 보지 못하였거나 주

초등학교 의무수영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개선에 관한 질적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