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방기 남북한 영화에 나타난 근대성과 여성담론 비교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해방기 남북한 영화에 나타난 근대성과 여성담론 비교 연구*"

Copied!
2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여성담론 비교 연구 *

이명자

목원대학교 강사

목 차 1. 들어가는 말

2. 남북의 여성 교육 담론 3. 남북한 여성과 소비 담론 4. 남북한 여성과 노동 담론 5. 맺음말

1. 들어가는 말

일제 강점기에 여성은 정치, 경제, 문화 모든 영역에서 거의 어떠한 권리도 가질 수 없었다. 전체 여성 가운데 90%에 달하는 여성이 교육 을 전혀 받지 못해 문맹 상태였고 여성노동자는 16시간 이상의 노동 에 시달리며 착취를 받았으며 식민과 봉건문화가 착종된 체제에서 노 예적 생활에 시달렸다. 따라서 여성은 해방과 동시에 일본제국주의와 가부장적 봉건제도라는 두 가지 족쇄로부터 풀려날 것을 기대했다.

민족국가와 봉건타파는 근대를 향해 가는 길목에서 넘어야 할 문턱이

* 이 논문은 2010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 행한 연구임(NO. G00072)

(2)

었으므로 민주주의적 인간관계와 남녀평등에 대한 요구는 중요한 해 방 과제로 떠오를 수밖에 없었다.

그날이 올 줄만 알았다. 허나 그렇게 갑자기 오리라고는 생각지 않았 다...점심 때 우리는 연합군을 환영하러 나가는 많은 사람들 틈에 끼어서 정거장으로 달려갔다. 나는 종로로부터 남대문통에 이르는 길에 나붓기는 싯뻘건 깃발을 보고 또 보고 마치 나의 심장의 한 쪽을 떼어 거기 다라붙인 듯이 따라갔다.2)

위대한 붉은 군대는 조선의 자유와 해방만을 준 것이 아니라 캄캄한 어 둠 속에서 헤매이던 여성들에게 기쁨과 해방을 가득히 실어오고 광명한 길 을 열어주었다.3)

맞은 여성의 기쁨과 각오는 매우 높았으며 남북을 분할 점령한 미 소군정의 민주주의 정책과 여성정책에 대한 기대도 고양되었다. 해방 군의 이미지는 여성해방군의 이미지와 호환작용하며 해방은 사회 전 체적으로 그리고 여성에게도 자기를 재정립하고 자기 아이덴터티를 재구축하는 계기로 인식된 것이다.

여성에 관한 정책은 남한의 경우 미군정이 1946년 보건후생과에 부 녀국을 설치하는 것으로 시작되었으며 북한에서는 사회주의 건설차원 에서 여성관련 법령을 마련하며 시작되었다.‘민주주의 질서의 확립’을 표방한 미군정은 남녀평등권의 실현을 추구했으며 이는 구체적으로 부 녀국의 설치, 공창제 폐지, 여성참정권, 교육정책으로 나타났다. 1946 년 9월 14일 군정법령 제 107호에 의해 미군정은 행정부서 내에 여성 관련 업무만을 전담하는 부녀국을 설치하였고4) 1947년 10월 28일 공

2) 김영석, 혜란의 수기, 󰡔부인󰡕창간호, 조선출판문화사, 1946년, 50-52쪽, 이임하, 해방 뒤 국가건설과 여성노동󰡔역사연구󰡕제 15호, 역사학연구소, 2005년 12월호, 33-34쪽에서 재인용.

3) 선거해석사업에 여성동맹활발󰡔조선신문󰡕, 1946년 10월 2일.

4) 군정법령 제 107호는 부녀국의 업무를 1)조선부인의 사회, 경제, 정치 및 문화적 개선 에 관한여 군정장관에게 진언함 2) 조선부인의 지위 및 복지에 관한 자료를 모집하여 그 조사연구에 결과를 발표함 3) 조선부인의 복리증진을 위하여 좌기 사항에 관한 의 견을 정부기관에 구신하며 그 표준과 방책을 제정함 으로 밝히고 있다. 이배용, 미군

(3)

창폐지령 제 7호의 발표로 공창제를 완전 폐지하였으며 1948년 3월 17일에는 남한단독선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여성에게도 참정권을 부 여하였다. 북한은 소련의 영향을 받아 근대적 제도를 세우는 과정에서 남한보다 앞서 남녀평등정책을 추진했다. 1946년 7월 ‘남녀평등법’을 발표하였고 동년 11월 인민대의원 선거에서는 여성도 남성과 동등하 게 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로써 해방을 맞은 남북의 여성은 교육기회와 정치적 권리, 사회 적 노동에의 참여기회를 얻었다. 근대와 여성의 관계 속에서 등장한 신여성담론은 극소수이긴 해도 이미 일제 강점기인 1920-30년대에도 사회적 이슈를 제공한 바 있었지만 해방공간에서 더욱 확대되었다. 해 방 후 ‘오피스걸’로 불리는 사무직에 종사하거나 전문직에 종사하는 여성들이 증가하며 자연스럽게 여성들의 사회활동도 늘어났고 여성의 투표권의 획득도 이루어졌다. 해방으로 자유로워진 분위기는 여성들의 패션과 머리에서 나타났고 여성도 교육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 며 여성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오랫동안 유지해온 유교적 풍습의 영향으로 여성의 자리는 복잡미묘할 수 밖에 없었다. 남한에서 미군정기 동안 찬미와 반미의 정서 모두에 여성이 자리하고 있는가 하면5) 북한에서도 유교적 언술이 종종 여성정책에 활용되기도 했다. 해방의 기쁨을 함께 나누었던 사람 들은 남성이냐 여성이냐에 따라 역할이 나뉘기 시작했고 이런 역할 나누기는 소설, 라디오 드라마, 영화 등을 통해 담론화되었다.6) 따라서 남북에서 최초의 해방영화로 지칭되는 <자유만세>(1946), <내 고향>(1949) 그리고 해방기7)에 제작된 또 다른 남한영화들 <독립만세>(1948), <검사 와 여선생>(1948), <마음의 고향>(1949)이나 북한영화 <용광로> (1950)8)

정기, 여성생활의 변모와 여성의식󰡔역사학보󰡕150호, 역사학회, 1996, 159쪽.

5) 이윤미, 󰡔한국의 근대와 교육󰡕, 문음사, 2006, 334쪽.

6) 이임하, 앞의 논문, 35쪽.

7) 이 논문에서 해방기는 1945년 해방에서 1950년 한국전쟁 발발 전까지 소위 해방공간으 로 불리는 시기를 말한다.

8) 이 논문에서 언급되는 남한영화 4편과 북한영화 2편은 해방공간에서 제작되어 현재 한

(4)

와 같은 작품들도 여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이 영화들은 당시 일 반적이었던 계몽적 성격의 영화규범을 따랐고 따라서 해방 후 달라지 고 있는 여성들의 ‘욕망의 방향’을 담았다기 보다 여성의 규범적 모 습, 여성정책의 지향성, 사회문화가 여성에게 요구하는 당위, 위로부터 의 요구에 보다 방점이 찍혀 있었다.

여성문제는 단순히 여성 문제만이 아니라 정치적 세력들이 사회변 동의 방향에 대해 가지는 정치적 견해나 전망을 보여준다고 할 때9) 당시 남북의 영화가 재현하는 여성상은 여성담론 뿐 아니라 해방 후 문화의 재구축 과정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잣대가 될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은 해방기 남북의 영화를 통해 근대성과 젠더가 교차하는 방식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일제 강점기에서부 터 민족독립과 민중의 계몽 등 집단적 대의에 대한 헌신을 요구받 은10) 조선의 여성에게 부여된 여성해방의 과제를 남북의 분열속에서 현실과 담론을 교차하며 분석하기로 한다.

국영상자료원과 통일부 북한자료센터에 영화가 남아있는 작품이다. 최인규 감독의 남한 영화 <자유만세>는 독립투사 한중이 감옥을 탈옥해 무장투쟁을 벌이다 일본의 앞잡이 남부에게 잡히지만 대학병원의 간호부인 혜자의 도움으로 다시 탈출한다는 이야기이다.

이 영화는 남한에서 최초의 해방영화로 인식되며 대중과 평론의 관심을 받았다. 최인규 감독의 다른 영화 <독립만세>는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전야에 4명의 남녀가 전당 포 주인 민가에게 복수극을 벌이다 부모형제를 찾고 독립된 나라에서 일할 것을 다짐 한다는 내용이다. 윤대룡 감독의 <검사와 여선생>은 남편의 살해범으로 몰린 여선생을 가난한 고학생 제자가 검사가 되어 무죄를 변론한다는 이야기이다. 윤용규 감독의 <마 음의 고향>은 함세덕의 극본 <동승>을 영화화 한 것으로 어머니를 그리는 동승이 아들 의 제사를 지내러온 안대감집 아씨에게 모정을 느끼는 과정을 그린 영화로 평론과 관 객 모두의 지지를 받은 작품이다. 북한영화인 <내 고향>은 강홍식이 감독하였으며 소 작인 관필이 최지주의 행패어 저항하다 감옥에 가서 그곳에서 김선생에게 사회주의에 대해 배우고 감옥을 탈출해 유격대로 활동하는 이야기이다. 북한 최초의 장편 극영화로 이 영화가 받은 관심은 대단한 것이었다. <내 고향>과 동시에 제작되었으나 개봉시기 가 늦은 <용광로>는 월북한 민정식이 감독한 영화로 주인공 용수가 내화벽돌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주의 노동과 창발성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9) 김수진, 󰡔신여성, 근대의 과잉󰡕, 소명출판, 2009, 25쪽.

10) 김경일,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푸른역사, 2004, 340쪽.

(5)

2. 남북의 여성 교육 담론

해방은 일제 강점기에 억눌려있던 대중 교육에 대한 집단적 욕망을 풀어놓는 계기가 되었다. “8ㆍ15이전에 이 땅의 교육은 참된 의미에 있어서 교육이 아니”11) 라고 인식될 만큼 일제는 조선인에게 보통교 육이상을 허용하지 않았고 때문에 고등교육과 전문교육에 대한 잠재 되었던 열망이 해방과 더불어 분출하였으며 집에서 살림만 하는 여성 의 제도교육의 필요성도 제기되어 교육인구를 증가시켰다. 개화시기부 터 이미 근대적 여성 제도교육이 시작되었지만 새로운 제도는 기존의 관념을 새롭게 뒤엎고 해당 사회의 특정 문화적 맥락에 수용될 수 있 는 과정 즉 기존의 규범내로 편입되고 조정되는 시간이 요구되었다.12) 그러나 일제강점기는 의식의 정체기로서 그러한 사회적 조건이 제대 로 형성되지 못했다. 일제 강점기 동안 조선에서 이루어진 제도교육의 실태를 총괄적으로 보여주는 조선총독부의 비밀보고서를 보면 1944년 5월 1일 현재 조선에서 거주하는 남자 가운데 33%만이 교육을 받았 고 이 가운데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은 0.2%이며, 여성은 89%가 무교 육자이며 중등교육 및 고등교육 이수자는 각각 0.3%, 0.02%로 미미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13) 해방은 이러한 정체를 해결하고 확대할 기 회를 제공할 것으로 여겨졌다. 통계가 보여주듯 여성의 문맹률은 특히 높았고 중등이상의 교육을 받은 사람도 극히 미미해 여성은 교육의 소수자에 속했다.

남북을 각각 점령한 미국과 소련의 입장에서 교육정책은 점령지에 자국의 이데올로기를 보급 확산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미군정은 1945년 11월 ‘조선교육위원회(KCE: The Korean Committee on Education)’와 ‘조선교육심의회(NCEP: The National Committee on Edu-

11) 안호상, 건국기의 교육론, 이길성오만석 공편, 󰡔한국교육사료집성미군정기편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35쪽.

12) 이윤미, 앞의 책, 291-292쪽.

13) 김수진, 앞의 책, 67쪽.

(6)

cational Planning)’를 설치하고 교육이념, 교육제도, 교육내용에 관한 전반적인 기획을 단행했다. 이 때 채택된 개방적 단선형 학제14)는 교 육기회를 확대시켜 교육인구의 급격한 팽창을 가져왔다. 일례로 1949 년 조선은행조사부의 조사를 참조하면 1943년 2만명이 조금 넘던 남 자 중학생은 1946년 6만명에 육박했고 1943년 2만명에 훨씬 못 미쳤 던 여자중학생도 1946년에는 4만명에 거의 육박했음을 알 수 있다.15) 또 조선교육심의회가 제안한 남녀공학제는 여성의 고등교육기회를 확 대하는데 일조했다. 1946년 6월 서울사범대 부속 중학교가 남녀공학 으로 설립되고 동년 9월에는 연세대학교가 고등교육기관으로는 처음 으로 남녀공학을 실시했다.16) 해방직후 여자대학교는 남한의 경우 이 화여대, 숙명여대,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뿐이었는데 이 가운데 이화 여자대학교가 종합대학교로 승격하고 다른 대학들도 남녀공학제를 실 시하자 여성들의 교육기회가 확대된 것이다. 이와 같이 여성의 중고등 교육의 증가는 여성들이 근대문물을 접할 기회가 확대되었음을 뜻한다.

남한의 첫 해방영화 <자유만세>에서는 미향(유계선 분)과 혜자(황려 희 분)라는 뚜렷하게 대비되는 두 여성이 등장한다. 두 여인 공히 독 립투사인 한중을 돕는 조력자 역할로 나오지만 부정적인 이미지로 재 현되는 미향에 비해 혜자는 대학 병원의 간호부로 일하고 있는 전문 직 여성으로서 소개되고 있다. 혜자는 해방 당시 확대된 여성교육의 혜택 즉 적어도 중등이상의 교육을 받은 것으로 여겨지는데 당시 여 학교의 교육과정이 비록 재봉이나 수예 등 실기수업의 비중이 높긴 했어도 여성들이 근대문물을 접하는데 있어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음 을 감안할 때 혜자는 근대화된 신여성의 이미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17)

14) 조선교육심의회에서는 6-3-3-4의 학제를 도입했는데 하급학교와 상급학교의 연결이 개 방적이고 동급의 학교 사이에서 학생의 이동이 자유로우며 교육의 기회균등이 보장된 다는 이유였다.

15) 이배용, 미군정기, 여성생활의 변모와 여성의식󰡔역사학보󰡕50집, 1996, 174쪽.

16) 한국여성개발원, 󰡔한국 여성교육의 변천과정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0, 169쪽.

17) 김수진, 앞의 책, 76쪽.

(7)

또한 혜자가 영화에 처음 등장하는 순간은 교회당을 배경으로 하여 성경책과 목사부인이 직접 주었다는 꽃다발을 든 모습으로 화면화 되 는 것인데 이는 서구를 매개로 이루어진 근대화의 혜택을 받은 인물 임을 시각화한 것이다. 한국에서 기독교는 유교적 가부장제의 제한들 로부터 여성을 이끌어 낸 ‘근대적’ 종교로 인식되었으며18) 단순히 종 교로서가 아닌 서구화와 미국화의 매개로 여겨졌다. 기독교의 서구친 화성은 일제 강점기보다 해방 이후 남한이 미군정의 지배를 받으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따라서 혜자의 첫 등장을 보여주는 화면은 그녀가 기독교/서구 교육을 받은 근대화된 여성임을 관객에게 각인시키는 이 미지를 동반한 것이다. 또한 혜자의 인물구성은 교육받은 여성에 대한 당대 대중들의 기대를 함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화에서 혜자는 미향과 대조적으로 첫사랑에 빠진 처녀로 그려지 며 이러한 순결성은 하얀 간호복을 통해 더욱 강조된다. 따라서 미향 이 한중의 독립운동을 도우려다 오히려 그를 위기에 빠트린데 비해 혜자는 그러한 위기에서 한중을 구해냄으로써 남성의 조력자이자 파 트너로서 민족과 국가의 임무를 완수하길 요구하는 당시의 신여성에 대한 기대를 구현해내고 있다.

<검사와 여선생>에서 여선생(이영애 분)은 고학생인 장손이 며칠 동안 굶어 운동장에서 쓰러지자 그에게 도시락을 싸다주고 교과서를 사주기도 하는 등 교사와 어머니의 이미지를 공유 한다. 빌딩 사이로 전차가 다니는 도시 중심가는 장손이 살고 있는 판자촌이나 선생이 살고 있는 한옥마을과도 대조되는 공간인데 선생은 교과서를 사주기 위해 장손을 그곳으로 데려간다. 이는 교육받은 여성이 제자/아들에게 근대의 성과물과 근대 교육담론의 다이제스트라고 할 수 있는 교과서 를 전달해주는 의미심장한 장면이다. 여선생의 행위는 그녀가 이후에

18) 윤치호 선생은 “기독교가 한국에서 다른 아무런 성과가 없었다 하더라도 여성교육을 도입한 것만으로도 우리의 영원한 감사를 받아야 마땅하다”고 말한바 있으며 이화여대 총장을 지낸 김활란도 자신은 기독교를 통해 서양의 문명을 흡수했다고 말한 바 있다.

이윤미, 앞의 책, 각각 305쪽, 317쪽.

(8)

살인죄로 기소되었을 때 검사로 성장한 소년의 증언에 의해 사람들에 게 전달되어 면죄의 근거가 된다. 영화가 말하는 것은 교육받은 여성 은 자신뿐만 아니라 어머니로서 후대의 교육에도 책임이 있기 때문에 그것을 적절하게 수행했을 때, 여선생이 남편과 법의 속박 양자로부터 벗어났듯이 진정한 ‘해방’여성이 될 수 있으리라는 사실이다.

아직까지도 교육받은 여성은 극히 소수에 불과했고 따라서 이들에 게 요구되는 도덕성과 사회적 책임은 매우 높았다. 일제 잔재의 청소 와 근대 민족국가의 구성이라는 해방의 정치적 과제는 여성들의 헌신 을 요구했다. 특히 교육받은 여성들은 남성들을 도와 이러한 과제를 실현할 것이 요구되었다. 당시 대부분의 여학교가 일제잔재청소와 여 성으로서의 덕목 양성이라는 정부의 교육정책에 따라 ‘여성을 여성으 로서’ 기르고 ‘국가에 도움이 되는’ 여성을 양성한다는 것을 목표로 내세웠던 것도 이러한 요구의 일환이었다.

한편 북한은 사회주의교육의 목표에 따라 여성교육을 실시했다. 사 회주의 교육은 “공산주의 사상을 넣어주며 사회주의, 공산주의 건설에 필요한 지식을 가르쳐”19) 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북한은 소련 식 교육제도를 도입해 1945년 ‘북조선 학교교육 임시조치 요강’을 발 표했고 1946년에는 김일성 20개정강에서 교육정책을 최초로 언급했으 며, 1947년 최초로 공식 학제를 인민학교 4년, 초급중학교 3년, 대학 4년체제를 선택했다가 1949년 개편하여 1년제 유치원을 3년으로, 인 민학교를 5년으로 개정했다.

북한의 첫 해방영화인 <내 고향>에서 관필이 야학을 통해 자신을 둘러싼 사회조건을 깨달아가는 과정이나 관필이 들려준 한글강습을 통해 관필의 어머니(유경애 분)와 옥단(문예봉 분)이 관필의 깨달음을 뒤이어가는 과정은 여성에게 교육이 왜 필요한가를 역설해주고 있다.

“우리의 적은 일본놈과 지주”라는 어린 시절 관필이 책 읽던 소리는

19) 김일성, 전국교원대회에서 한 연설, 한국여성개발원, 󰡔북한의 여성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1, 25쪽.

(9)

중요한 장면마다 반복 호출되며 어머니와 옥단을 교육시킨다. 과거 사 운드의 환기를 통해 어머니와 옥단이 민족의 적이 단순히 비민족인 일제만이 아니라 지주계급도 포함하는 것임을 배우는 과정은 북한의 교육 목적이 공산주의 사상을 대중에게 가르치는데 있었음을 장면화 하는 것이다.

공식 교육 외에도 북한은 1947년 11월 15일 ‘문맹퇴치사업조직에 관한 결정서’를 통과시키고 문해운동을 시작했다. 당시 북한 여성 가 운데 95%가 교육을 받지 못한 상황에서 문맹퇴치사업을 통해 교육의 소외계층인었던 여성은 교육의 영역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문맹을 퇴치함으로써 인민들의 문화지식 수준을 더욱 높이며 주체적인 새 민 족문화건설의 전제를 확고히 마련해 놓을 수 있게 되었다”20) 이와 같 이 문맹퇴치사업은 단순히 글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여성을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영역으로 불러와 활동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보다 직접적으로 여성교육 문제를 제기하는 또 다른 북한영화 <용 광로>에서는 한글도 모르는 용연(문예봉 분)이 남편에게 온 급한 편지 를 전달해주지 않아 낭패를 당하고 남편의 조수로 일하는 혜영에 대 한 근거 없는 질투를 하다 연구소 방화범으로 몰리는 수모를 당하기 까지 한다. 혜영은 남한영화 <자유만세>의 혜자와 마찬가지로 교육받 은 여성으로서 남성 주인공 용수를 보조하는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하 기 때문에 사회주의 새일꾼에게 어울리는 여성으로 인식되고 있다.

“여편네가 집에서 애 잘보고 집안일이나 잘하면 되지. 난 정말 글만은 못 배워”라고 말해 ‘알무식쟁이 여편네’라는 소리를 듣던 용연은 구시 대의 망상에 사로잡혀 남편과 혜영의 ‘동지’로서의 관계를 이해하지 못하고 석만일당에게 이용당하기까지 했으나 성인학교에서 한글을 배 우면서 사회주의 생활의식을 익히는 것으로 그려진다. 용연과 혜영은 겉모습으로는 남한 영화의 혜자와 미향의 차이만큼 구별되지는 않지

20) 김창호, 󰡔조선교육사󰡕3, 사회과학출판사, 1990, 248쪽, 신효숙, 󰡔북한의 문화형성과 대중 교육󰡕, 교육과학사, 2001, 21에서 재인용.

(10)

만 남자동료들을 ‘동지’라고 부르며 거침없이 악수를 나누는 혜영은 교육받은 북한의 신여성을 보여주는 것이자 북한 교육의 결과를 드러 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여성교육이 곧 여성을 사회주의화시킬 수 있 는 방편임을 간파했기에 북한은 여성교육을 강조했다.

해방 이래 교육담론은 정치세력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정치권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남북한이 분단된 상 태에서 이념대립이 심각하게 전개되었고 교육정책은 이념교육 중심으 로 전개되는 등 정치적 영향이 남북의 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21) “....사회를 무시한 예술은 반대로 사회에서 무시당할 것이 다....이런 의미에서 영화는 또 과학과 도덕과 정치와도 절대 분리할 수 없는 것이다”22)처럼 체제를 불문하고 당시 영화는 공공연히 계몽 적 요구 하에 있었던 만큼 영화는 교육담론과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 이 아니었다. 요컨대 영화 속의 여성인물들은 교육 정도에 따라 그 위상이 갈라지며 교육을 통해 체제가 여성에게 요구하는 것을 내화했 음을 표상했다.

3. 남북한 여성과 소비 담론

해방으로 여성교육 인구가 증가하면서 여성의 사회진출과 경제활동 의 계기가 새롭게 마련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조선에서도 일정정도 산 업화와 근대화가 진전되었지만 조선인여성의 직업구조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것은 일차적으로 교육기회에서 제한을 받았을 뿐 아니 라 고등교육을 받더라도 대부분 괜찮은 일자리는 일본여성이 차지하 고 있어 조선인 여성의 자리는 그만큼 협소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

21) 한준상정미숙, 1948-53년 문교정책의 이념과 특성, 정해구 외, 󰡔해방전후사의 인식 4󰡕, 한길사, 2006, 343쪽.

22) 김영신, <영화예술과 사회>,인민예술, 1945년 12월 창간호. 인용문 중 *표는 원문 이 파손되어 해독이 불가한 글자임.

(11)

다. 해방이후 남한에 거주하는 여성인구는 1947년말 현재 약 1천만으 로 추산되며 이 가운데 15세이상 인구는 약 530만이며 취업자는 약 180만이었다.23)

여성의 전문직 진출의 증가는 앞서 본 여성의 교육증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여전히 여성의 직업에서 농업(91%)이 차지하 는 비중이 높았지만 미군정기에 교사, 의사, 간호사 등 여성의 전문직 진출기회가 확대되었고 여경과 같이 새로운 여성의 경제활동영역이 개척되기도 했다.24) 1946년 통계자료에 의하면 남한에서 여교사는 총 4,172명으로, 3,644명이 초등학교에, 430명이 중등학교에, 16명이 정규 학교에 그리고 82명이 고등교육기관이나 전문대학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25) 여성의 직업으로서 교사라는 직업이 이전부터 선호 도가 높았기에 새로울 것은 없지만 그 증가양상은 뚜렷했다.

이와 같이 여성의 경제활동이 늘어나고 해방의 자유로운 분위기의 형성 그리고 전재민들의 유입은 새로운 문화유입의 조건이 되었다. 남 한에서는 미군정의 영향으로 미국문화로 대표되는 서양문화가 급속하 게 퍼지면서 양장, ‘파마’머리, 색조화장 등이 유행했다. 1948년 2월

≪경향신문≫에서 마련한 한 좌담회를 보면 참가자들이 양장과 파머 머리를 여성이 미를 지니는 신생활의 방식이라고 동의하는26) 등 서양 식 생활을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분위기도 있었지만 한편에서는 경계 의 시선도 만만치 않았다.

조국의 거리에는 모두가 씩씩하고 건강한 빛이 먼저 흘러야 할 것인데 피차 망칙한 화장을 하거나 **이 **한 양장을 한 여성들이 늘어가 각계각

23) 문경란, 미군정기 한국여성 운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1989, 25-26쪽.

24) 1945년 12월 10일에 이화여자대학교에 의과대학이 신설되었고 1948년 5월 22일에는 경 성여자의학전문학교가 서울여자의과대학으로 승격하는 등 전문직으로 진출할 여성을 위한 교육기회도 증대했다. 이배용, 앞의 글 204쪽.

25) Summation of Millitary Goverment Activities in Korea, Vol. 34(1948년 8월호),pp.187-188, 이배용, 앞의 글, 204쪽에서 재인용.

26) <신생활을 말하는 여성좌담회>, 경향신문, 1948년 2월 1일.

(12)

층의 화제들이 **보인다. 즉 기계로 머리를 지저 파머머리를 귀신처럼 차리 거나 얼굴을 빨가케 하다 하야 감무러칠만큼 연지를 칠하거나 눈 언저리에 숯검덩을 한 것처럼 검게 하고 다니는 여성이 있는가 하면 또 한편 빨가고 노란 극히 자극적인 색깔의 입거나 무릎이 나올 정도로 짧은 스커트를 입고 뭇 남성들을 흘겨보며 활보하는 색시들을 본적 있다.27)

원래가 양풍이라는 건 ‘개화’를 지나치면 재사망상(在葸妄想)의 원자다.

더구나 **을 잘하지 않고 급식(急食)하는 양풍이란 식후에 필유(必有) ‘탈’

-남자도 남자려니와 여자가 날뛰면은 가정이 흔들리고 **이 넘어지고 국 가가 어지러운 법-유행이란 것이 물(色)이 진하게 들면 껍질을 베껴도 바 탕이 남는 법이니 현대여성은 자각하여 새로 싹트려는 이 땅의 유행을 시정 키에 **하라-자조하라!28)

위의 두 기사는 서로 다른 신문에서 발췌한 것이지만 해방 후 거리 에서 볼 수 있는 여성들의 서구식 옷차림이나 유행에 대한 경계를 풀 어놓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해방의 씩씩한’ 분위기를 여성들이 기괴한 옷차림으로 망치고 있으며 서구식 생활을 급하게 받아들여 결 국 탈이 나게 될 것을 우려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근대에 대한 선망 만큼이나 가중된 방어의식을 유연하게 변화를 흡수하고 있던 여성에 게 덧씌워 놓았던 것이다.

<자유만세>에서 미향의 방은 이러한 동경, 불안감 그리고 혼란감을 표상하고 있다. 미향의 방은 큰 침대, 피아노, 응접세트, 선풍기, 축음 기, 유리찻잔 등 서구식 근대를 보여주는 물건들과 한쪽 벽면에 크게 걸린 서양화가 보여주듯 서구식 볼거리로 가득한 방이다. 이런 양풍 물건들과 입식 생활은 일제시기부터 이미 서양영화를 통해 보여졌고 대중들 사이에서는 동경의 대상이 되기도 했는데29) 그럼에도 불구하

27) <남성이 본 여성 화장과 의상>,서울신문, 1946년 10월 20일.

28) <문화풍속도/양풍과 유행>경향신문, 1948년 10월 23일.

29) 연구자가 2010년 6월 25일 서울노인복지센터에서 57명의 어르신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 문에서 해방 후 외국영화를 보며 풍족한 삶이나 서구식 물건들을 부러워했다는 대답이 많았다. 김용철(1927년생, 남자)은 외국영화를 보며 기계화되고 편리한 가정생활, 가스 나 냉장고 등의 물건을 구경했고 결혼 후 가정을 그와 같이 꾸미고 싶어했다고 말했으 며 유설자(1930년생, 여자)는 셜리 템플이 영화에 입고 나온 옷을 본따 직접 옷감을 사

(13)

고 미향의 파머 머리와 짙게 칠한 그녀의 손톱은 미향을 부정적 이미 지로 그리는데 일조한다. 한중은 미향에게 “당신이 한국 사람이라면 날 좀 구해줘야겠소”라며 민족주의를 강요하지만 그녀에 대한 불신과 경계심을 버리지 않는다. 때문에 미향의 실수로 자신들의 아지트가 폭 로되자 한중은 그녀에게 거의 신경증에 가까운 폭력을 행사한다.

<독립만세>에서 전당포 주인 민가에게 겁탈 당할 뻔한 선희가 경일 (최인규 분)의 도움으로 피신해 몸을 숨기는 창고는 당시 한국사회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가 들어서기 전날인 이 날 밤 창고에 들른 사람들은 아편쟁이, 양품장사, 취객과 기생, 도박단과 형사로 해방기 신문지면에 단골로 오른 사회적 이슈의 주인공이다. 여 기에서 사람들의 욕망을 자극하고 싸움과 배신, 겁탈과 살인의 원인이 되는 것은, 다름아니라‘돈이 되는’ 시계, 양담배, 만년필과 같은 양품 이다.

<마음의 고향>에서 서울에서 온 아씨(최은희 분)의 소지품은 첩첩 산중의 절에서는 볼 수 없는, 도성(유민 분)으로서는 모두 처음 보는 물건이다. 아씨가 들고 온 양산, 양과자, 깃털부채는 도성에게 서울이 자 어머니의 이미지를 대신하는 기호이다. 그러한 상품은 도성이 다시 돌아보고 훔쳐보고 꿈에서도 볼 만큼 매혹적이다. 앞의 두 영화와 달 리 이 영화에서 서울 아씨의 양품들은 매혹적이되 단순히 부정적이지 만은 않다. 도성의 친모와 달리 이러한 물건들을 소유하고 있는 서울 아씨가 도성에게 양복도 사주고 대학까지 공부도 시켜줄 수 있는 인 물이라고 여겨질 만큼 근대화의 산물은 선망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 러나 한편으로 이 물건들은 도성에게 서울과 상품에 대한 욕망을 불 러일으킴으로써 도성이 깃털부채를 만들기 위해 과자를 새총으로 바 꾸고 그것으로 산비둘기를 잡는 등 공동체의 규범을 어기고 살생을 하도록 유도한다. 근대의 물건들은 서울 아씨와 마찬가지로 아름답고

서 의상을 만들어입었다고 밝혔다. 이명자, 미군정기(1945-1948) 외화의 수용과 근대성

󰡔영화연구󰡕제45호, 한국영화학회, 2010, 302쪽에서 재인용.

(14)

눈길을 돌릴 수 없는 것이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욕망으로 이끄는 위 험한 것이기도 하다.

북한에서도 여성교육의 증가, 여성대의원의 선출, 민주주의여성총동 맹(이하 여맹)30)등 여성단체의 증가로 여성의 사회 및 경제활동이 증 가했다. 각종 대학에서 340여명의 여학생이 고등교육을 받고 성인학 교에서 36만 9천 7백여명이 문자교육을 받았다.31) 여맹의 회원수는 1945년 15만명이었는데 불과 1년 후인 1946년말에는 103만명으로 증 가32)하여 활발히 조직사업을 펼쳤다. 또 1948년 1기 최고인민회의 대 의원 총 572명 가운데 12%인 69명이 여성대의원이었으며 다른 전문 직에서도 여성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최고재판소에 판사 2명, 도시군 재판소에 19명, 그리고 교장 및 교원 5,273명, 의사 47명이 활 동했다.33) 또한 동일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원칙에 의거해 여성의 경제 기반이 확충되고 경제 기여도도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북한의 매체 들은 이러한 현실의 변화와 일제시기에 비해 풍족해진 현실을 앞다투 어 다루었지만 북한의 소비 개념은 남한과 대비되었다.

북한에서는 사유제를 폐지해 개인, 가족적 단위의 소비경제를 사회 적 단위의 소비경제로 전환34) 하기 위해 소비의 의미 자체를 바꾸고 자 했다. 레닌의 여성해방에 대한 견해를 토대로 북한은 사유제의 철 폐가 사회구조의 평등적 변화를 가져온다고 믿었다. 사유제 이후 여성

30) 1945년 11월 18일 ‘조선민주여성총동맹 북조선위원회’로 출발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배 경을 안고 있다. 북조선 공산당 중앙조직위원회는 1945년 10월 당주위에 군중을 결속 시키기 위해 각 사회단체를 조직할 것을 제시했다. 뒤이어 김일성은 현 국제국내 정세 와 여성들의 과업이라는 연설에서 “녀성들이 하나의 민주주의적 조직을 내오고 모두 가 거기에 망라되어야 단결된 조직으로 새 조국 건설에 이바지 할 수 있으며 민주주의 적인 교양과 조직적인 훈련을 받고 훌륭한 일꾼으로 자라날 수 있다”는 요지의 연설을 해 여맹이 탄생하도록 유도했다.

31) <남녀평등권법령 발포 1주년과 북조선 여성들의 신생활>, 순간북조선통신, 1947년 8월 상순호, 국사편찬위원회, 󰡔북한관계사료집󰡕27, 국사편찬위원회, 1997, 37쪽.

32) 국토통일원, 󰡔조선노동당대회자료집󰡕1, 국토통일원, 1980, 48쪽.

33)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전체 녀성들에게 고함>,조선녀성, 1949년 2월호, 3쪽.

34) 최선영, 북한여성의 지위와 역할 변화:관련 법령분석을 중심으로󰡔동북아연구󰡕vol.23 no.1, 조선대 동북아연구소, 2008, 96쪽.

(15)

이 경제적으로 남성에게 종속되어 남녀불평등이 생겼으므로 사유제를 제거하면 여성의 해방은 자연스럽게 따라온다는 것이었다. 북한은 1946년 5월 소비조합을 창립해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중간 이윤을 줄이고 유통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폐해를 줄이고자 했다.35) 노동인민이 요구하는 생활필수품을 직접 생산자로부터 구입 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함으로써 중간 이익과 모리 간상배들의 부 정을 막자는 취지였다. 북한에서는 각종 소비조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소비만이 건전한 것으로 여겨졌고 이에 비해 사치와 낭비, 유행, 서양 식 생활은 모두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락후하고 퇴폐적인 짜 즈에 홀려 나락의 구렁텅이로 흘러드는”36) 남한의 여성들은 북한의 여성과 대비되어 그려졌다. 북한은 이러한 현실을 남한의 현실로 치부 하고 북한의 매체에서 감춰버렸다. 따라서 소비와 관련된 담론에서 여 성을 가정의 소비자로서 절약하는 생활을 통해 가정경제를 이끌어야 하는 주체로 만들고자 했다.

이제 여성은 사회에서는 생산능률을 올리려는 건국의 투사이지만 가정에서는 “수입과 소비를 원만히 조절하여 한 집안 살림살이를 가 장 원만히 운영할”37) 책임을 가진 것으로 여겨졌다. 여성은 남성과 달리 생산성 향상에만 전념해서는 안 되며 소비자로서 절약하고 낭비 를 경계해야 한다는 책임을 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북한영화에서 여성 의 소비는 각 직장에 설치한 소비조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국 가가 잘 살게 해주었으므로 국가의 물건을 감히 함부로 할 수 없 다”38)는 모범적 인식으로만 재현되었다.

이와 같이 남북한은 근대화의 불안감을 여성의 이미지로 떠넘기려 고 했다. 해방후 남북은 빠르게 전개되는 문화의 변화와 대중들의 풍

35) 조흥희, 북조선소비조합 탄생 2주년에 제하여󰡔소비조합󰡕,1948년 5월호, 국사편찬위원 회, 󰡔북조선관계사료집󰡕32, 국사편찬위원회, 1999, 127쪽.

36) 남녀평등권법령 실시 후 3년간󰡔조선여성󰡕, 1949년 7월호, 44쪽.

37) 김치순, 우리 직장녀성은 이렇게 소비조합상점과 생활한다󰡔소비조합󰡕, 1948년 12월호, 국사편찬위원회, 󰡔북한관계사료집󰡕32, 국사편찬위원회, 1999, 332쪽.

38) 영화 <용광로>에서 용연의 대사 중

(16)

족한 생활에 대한 기대감, 서구생활에 대한 동경에 대해 각종 매체를 통해 끊임없이 의심과 경계를 보냈다. 영화에서 부정적인 여성은 서양 식 생활이나 유행을 따르는 여성으로 재현되며 그것은 근대화가 촉발 한 불안감과 두려움을 여성으로 치환하여 단속하고자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4. 남북한 여성과 노동 담론

해방은 다양한 해방과제를 산출하며 당위적으로 여성에게도 국가건 설에 참여할 것을 호소했다. 그러나 여성이 해방과제에 참여하는 길이 여성에게 실제로는 호의적으로 개방되어 있지 않았다.

미군정하 남한에서 미군정과 여성단체들은 여성노동에 대해 별다른 관여를 하지 않았고 대신 노동자 조직이었던 전평과 대한노총이 여성 노동자를 호명했다. 좌파적 성격이 강했던 전평은 여성노동자에게 “인 습을 버리고 건설에 나서라, 도탄에 빠진 민족을 구하는데 앞장서라”

며 여성노동자를 “해방의 중심이요 가장 강력한 전위부대”라고 강조 했다.39) 이에 비해 대한노총은 전평과의 대립 속에서 여성노동자를

‘생산전사’ 또는 ‘산업전사’로 호명했는데 이는 노동자의 생산성만 강 조한 것으로 건국에 이바지하기 위해 무엇보다 생산을 많이 해야 하 는 것이 노동자의 의무라는 사항만을 강조하고 노동자의 권리에 대해 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은 것이라 할 수 있다.40)

전평 가입자 중 여성노동자의 비율이 25%이고 주로 여성노동자로 구성된 섬유조합원이 남한에만 2만명이 넘게 있었음에도41) 미군정은 공식적으로 여성노동에 대해 함구했고 그러한 태도는 영화에도 반영

39) 이임하, 해방 뒤 국가건설과 여성노동󰡔역사연구󰡕제15호, 2005, 46쪽.

40) 이임하, 앞의 글, 48-49쪽.

41) 통계수치는 안태정,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현장에서 미래를, 2002, 94쪽, 111쪽, 이 임하, 앞의 글, 52쪽에서 재인용.

(17)

되었다. 미향과 혜자의 대립구도는 노동하는 여성(혜자)과 노동하지 않 는 여성(미향)으로 볼 수도 있지만 이러한 시각은 거의 배제되어 있다.

오히려 이들의 대립은 새 국가건설에 적합한 여성과 부정적인 여성, 남 자주인공 한중에게 어울리는 여성과 그렇지 못한 여성이라는 대립으 로 설정돼 있다. 대학병원의 ‘간호부’라는 혜자의 직업은 미향과 구별 되는 혜자의 긍정적 이미지 구축과 훗날 부상을 입고 일제에 붙잡혀 병원으로 호송된 남자주인공 한중을 구하기 위한 장치에 불과하다.

<검사와 여선생>에서 여선생은 결혼과 함께 학교를 그만두고 <마음의 고향>에서 노동계급인 도성의 친모가 ‘먹고살기 힘들어’ 자식을 절에 맡기고 떠났지만 ‘자식을 버린 야차같은 여자’로 말해지며 모성의 박 탈을 경험하는 대신 ‘노동하지 않는 어머니’ 서울아씨는 도성을 제대 로 키울 수 있는 ‘진정한’ 어머니로 말해진다. 요컨대 남한에서 노동 하는 여성의 현실은 있었으나 이러한 여성에 대한 담론은 관련단체 외에 영화를 통해 적극적으로 담론화되지 않았다. 당시 영화는 대중 계몽적 역할이 컸는데 영화에서 의도적으로 배제했다는 것은 노동여 성을 부재로 표상하기 위한 전략으로 여겨진다.

북한에서 김일성은 이미 여성노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김일성 은 “여성동맹의 금후 과업”이라는 연설을 통해 “특히 우리나라 인구 의 절반을 차지하는 여성들로 건국사업에 적극 조직 동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의”42)가 있다며 여성동맹조직과 남녀평등권 법령반포 가 여성과 남성을 동등한 주체로 규정한 것이라고 했다. 1946년 7월 발표된 남녀평등권 법령은 전문과 본문 9조로 이루어져있는데 전문에 는 “일본 식민지적 착취의 잔재를 숙청하고, 낡은 봉건적 남녀간의 관 계를 개혁하고 여성들로 하여금 문화와 사회 정치생활에 전면적으로 참여시킬 목적”으로 제정의 목적을 밝히고 있다. 본문에서는 동등한 남녀평등권 및 동일임금과 사회보장과 교육의 권리, 자유결혼의 권리, 자유로운 이혼의 권리, 결혼연령 규정, 일부다처제 및 공창, 사창, 기

42) 김일성, 여성동맹의 금후 과업󰡔김일성 저작집󰡕2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79, 214쪽.

(18)

생제도의 금지, 남녀의 동등한 재산권 및 이혼시 재산 및 토지분배권, 조선여성의 권리에 관한 일본제국주의 법령과 규칙의 무효 등을 규정 하고 있다. 또한 1946년 9월 14일 채택된 ‘남녀평등권에 대한 법령 시 행세칙’에서 여성은 남성과 같이 지방 및 중앙위원회 위원을 선거하 며 또 위원에 피선될 권리를 가진다고 하여 앞서 보았듯이 제 1기 최 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서 여성대의원이 전체의 12% 가량 선출되 었다. 이는 사회주의가 노동에 대한 시각을 바꾸었듯이 여성노동에 대 해서도 긍정적 의미를 새롭게 구축해낸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그러 나 가사노동을 사회노동으로 바꾸면서 여성을 사회로 이끌어낸 이면 에는 여성의 노동력을 국가건설에 동원하려는 의도가 다분히 내재되 었다고 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에 섬유공장의 노동자로 고통 속에 갇혀 살던 옥단은 비로소 해방이 되자 남자와 똑같이 토지를 받고 자기 땅에서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되었다. 용연은 동생 정순으로부터 집에서 살림만 하려 하고 여맹에도 무관심하며 국가건설에 전혀 참여하지 않는다는 이유 로 한심하다는 말을 듣는다. 용연은 노동자의 연대나 우정을 믿지 않 고 남편과 혜영 사이를 오해해 가출까지 했으나 동생 정순의 손에 이 끌려 한글을 배운 후 용광로 건설을 방해하려는 석만의 음모를 밝히 는데 일조하고 노동자 남편 용수의 성공을 돕는다. 이와 같이 토지개 혁을 포함한 여러 민주개혁으로 여성들은 자기 땅을 소유하는 농민노 동자로 활동하거나 국유화된 산업시설에서 ‘사회와 자기를 위한 노동’

을 할 수 있는 경제기반을 확립할 수 있었다.43)

그런데 남북한 영화에서 노동여성의 현실을 그리는 차이에도 불구 하고 해방기 남북에서 전형적인 ‘가련한 누이’로서 여성이미지가 재생 반복되었다. 혜자는 한중을 연모함에도 불구하고 섹슈얼리티가 배제된 순결한 누이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혜자의 이미지는 상황과 관계없

43) 박현선, 반제반봉건민주주의혁명기의 여성정책, 󰡔해방전후사의 인식󰡕5, 한길사, 1989, 426쪽.

(19)

이 교태를 부리는 미향과 대비되어 여학생이나 소녀의 이미지로 관객 에게 각인된다. 혜자가 첫 등장에서 들고 있는 백합꽃이나 그녀의 하 얀 간호복, 밤마다 남몰래 쓰는 일기는 이러한 소녀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한 도상이다. 한중의 체포소식을 접한 혜자가 고민하며 길을 가던 도중 보게 되는 두 아이의 싸움은 강대국에게 점령된 약소국을 이미 지화 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독해된다. 혜자가 작은 아이를 구해주자 큰 아이가 혜자의 등에 진흙덩이를 던지는데 이는 흔히 여성을 통해 민족을 말하는 것으로 더러워진 혜자의 간호복은 더러워진 민족의 순 결성을 비유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돌아서 가는 혜자 의 뒤로 덮치듯 달려오는 군용트럭은 군국주의 지배 앞에 놓인 약소 민족을 다시 한번 은유하는 것이다. 따라서 혜자는 폭력적 위험 앞에 노출된 나약한 따라서 구원의 손길이 필요한 대상이 된다. <독립전 야>의 옥란과 선희는 밤거리의 폭력과 겁탈의 위협 앞에 노출돼 있는 데 이들을 독립의 아침으로 인도하는 매개자는 남성이다. 아버지의 원 수를 갚기 위해 옥란은 송의 도움을 받고 선희는 민가의 겁탈 위기에 서 경일의 도움으로 겨우 도망친다. 내일이면 독립이 이루어지겠지만 오늘은 민족에게도 여성에게도 아직 암흑이고 여명이 올 때까지 남성 들의 도움은 필요불가결하다.

북한영화 <내 고향>에서도 옥단은 남성을 매개로한 해방이 구원해 주어야 할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 옥단은 비록 관필을 통해 야학의 이야기도 듣고 글도 배웠지만 자신의 상황을 스스로 명확하게 인식하 지는 못한다. 그녀는 그저 그것을 ‘가난뱅이 시름’으로 간주할 뿐이다.

그녀의 현실은 혁명동지들에게 자신의 고향이야기를 들려주는 관필의 내러티브에서 구체화된다. 일제에 의해 공출되어 강제로 고향에서 떨 어진 어느 공장 노동자로 방직기계 앞에서 힘겹게 노동하고 있는 옥 단의 이미지는 관필이 해방을 안겨주어야 하는 누이의 제유이다. 이 장면은 공장 폭파, 다리 폭파 등 이후에 펼쳐지는 관필의 무장투쟁을 정당화하는데 기여한다.

(20)

요컨대 남북한 노동담론은 여성을 국가건설로 불러들였지만 남한의 미군정은 공식적인 관여를 하지 않음으로써 노동과 여성관계를 전략 적으로 은폐했고 북한은 여성노동력을 사회노동으로 끌어내기 위해 국가차원에서 노력을 기울였음을 확인해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 을 구원받아야 할 ‘누이’의 자리에 놓음으로서 당시 여성들의 소망이 던 독립된 여성으로서의 정체성 확립은 미결의 과제가 되었다.

5. 맺음말

해방은 남녀를 불문하고 조선 민중에게 기쁨과 환희를 안겨주었다. 특히 해방의 분위기는 여성에게 “조선인으로서 민족적 해방이라는 기 쁨과 여성으로서 사회적 해방”44)이라는 기대감으로 들뜨게 했으며 한 껏 여성들을 부풀려놓았다. 영화 특히 외국영화는 여성의 이와 같은 기대감에 일조했다. 해방 당시 조선영화의 제작기반이 무너져 내린 상 황에서 일제 강점기에 한동안 수입이 금지되었던 외국영화들이 남북 영화관을 차지했다. 남한에서는 미국영화가 주종을 이룬 가운데 영국, 독일, 프랑스 등의 유럽영화도 상영되었는데 이들 외화는 남한의 대중 에게 서구식 생활방식과 문화 그리고 서구 민주주의를 소개해주었다. 북한에서는 소수의 중국영화를 제외하면 대다수의 소련영화가 상영되 었으며 이를 통해 북한의 대중들은 소련의 사회주의화 과정과 사회주 의 공동체와 노동, 사회주의 관계 등 새로운 생활양식을 경험했다. 그 런데 이들 영화는 조선의 대중에게 특히 여성관객들에게 남녀의 민주 적 관계, 남녀평등과 같은 새로운 의식을 불어넣어주었다. “서구문화 가 소녀들에게 허용한 발랄함, 독립성을 선망”45)해서 외국영화를 좋아

44) 이각경, 해방과 여성󰡔적성󰡕창간호, 적성문화사, 1946년 31쪽, 이임하, 앞의 글, 36쪽에 서 재인용.

45) 유설자(1930년생, 여자) 설문 중, 이명자, 미군정기(1945-1948) 외화의 수용과 근대성

󰡔영화연구󰡕제45호, 2010년 9월호, 한국영화학회, 2005, 305쪽에서 재인용.

(21)

했다는 대답처럼 당시 영화관을 거의 독점한 외국영화는 정도의 차이 는 있었겠지만 여성에게 새로운 남녀관계와 독립적인 여성상을 보여 주며 조선여성의 현실을 반추하게 했다.

그러나 남북한의 여성정책은 그 출발점이 여성자신에 의해 이루어 지지 못하고 국가에 의해 이루어졌고 혼란한 해방 정국에서 여성의 해방에 대한 좌우익의 시각은 매우 달랐다.

모든 것이 건국의 여성으로서 가정정돈은 물론이어니와 한거름 앞으로 나가서 건국대업에 반분의 힘이라도 다하기를 바라는 바이라. 여자의 본분 즉 현모양처됨은 물론이어니와 본분을 지내처서 빈계신명(牝鷄晨鳴)의 과오 는 조심치 안으면 안된다...주책없이 여기도 껍숙 저기도 껍숙하고 아조 새로운 여성으로서의 본분을 벗어나면 안될 것이다46)

앞으로 내놓고 날뛰는 것 그것이 옳지 않다는 것이다. 그 교양, 그 지성 을 속에 불어 넣는 것 그것만이 자기를 살리고 가정을 살리는 가장 좋은 길 이라는 것을 잊지 말어야 한다.47)

인류의 질서단위로 ‘민족’만이 가장 자연이요 가장 합리적인 것이다. 민 족으로 해방되고도 민족 속에 권리를 독점하는 계급이 남는다면 그 때는 계 급타파가 있어야 할 것이다. 계급의 차별마저 없어진 연후에 의당 당장할 것은 여성문제일 것이다...첫째 민족의 완전해방, 둘째 계급의 완전해방, 셋째 여성의 완전해방, 이 순서가 없이 덤비면 서로 뒤죽박죽이 되고 말 것 이다.48)

앞의 두 인용문이 보여주는 것은 우익의 ‘현모양처론역할론’으로 전 통적 남녀역할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두 기사 는 여성은 ‘건국대업에 반분의 힘’이라도 보태야 하지만 ‘주책없이 여 성의 본분을 벗어나서는’ 안되고 이것이 자기와 가정을 살리는 가장

46) 최규동, <해방된 조선여성의 과오>, 부인창간호, 조선출판문화사, 1946, 41쪽, 이임 하. 앞의 글, 39쪽에서 재인용.

47) 현석술, <인테리 아내와 살림꾼 아내, 부인제2권 1호, 부인사, 1947, 16쪽, 이임 하, 앞의 글, 39쪽에서 재인용.

48) 이태준, <선후의 분별>, 여성문화창간호, 여성문화사, 1945, 10쪽, 이임하, 앞의 글, 38쪽에서 재인용.

(22)

좋은 길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본질론적인 여성의 역할을 전제로 여성 의 본분을 벗어나는 여성해방은 중요하지 않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는 것이다. 반면 마지막 인용문이 대변하듯 좌익은 선(先) 민족 해방, 후 (後) 여성해방론을 폈다. 여성해방이 중요한 과제이되 민족과 계급의 해방이 선차적으로 이루어질 때 의미가 있다는 논리이다. 초기 북한은 이러한 논리를 받아들여 여성해방의 의미를 평가했다. 남녀불평등을 사유제의 시작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북한은 “녀성문제의 계급적 기 반을 보지 아니하고 초계급적인 녀성해방을 설명하는 것이 얼마나 위 험한 것인가를 알아야 한다”49)며 계급해방이 여성해방에 앞서는 중차 대한 문제임을 분명히 했다.

결과적으로 해방에 대한 여성의 기대는 상당부분 해방정국의 혼란 과 길항하여 외면 받았다. 좌우대립과 남북분열이 기정사실이 되고 국 민국가형성에 박차를 가하면서 여성들은 해방직후 가졌던 이중의 해 방이라는 소망을 충족하기보다 이중적 젠더수행을 요구받게 된 것이 다. 국가의 일꾼이자 가정에서의 부인이자 어머니라는 수행과제가 여 성에게 할당되었고 이것은 체제의 다름과 관계없이 남북한 여성의 현 실이 되었다. 해방이라는 혁명적 변화를 겪었지만 오랜 역사동안 구축 한 봉건적 문화는 체제를 가로질러 여성의 현실이 되었던 것이다. 북 한에 비해 남한에서는 입장이 다른 세력이 여성해방에 대한 의견을 개진했기에 단순화 하기 어렵지만 현모양처역할론을 주축으로 하는 우익세력의 득세로 교육받은 신여성은 국가건설에 참여할 것을 요구 받으면서도 가정에서는 현모양처를 요구받았다. 좌파세력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정권을 세운 북한에서도 봉건적 남녀관계가 모두 바뀐 것은 아니었다. 북한의 여성은 국가건설에 남자와 동등하게 참여하는 노동 일꾼으로 호명되면서도 계급, 산업화와 같은 남성적 과제를 위해 여성 문제는 일단 유보한 채 남성을 도울 것을 요구받았다. 그 결과 거대 한 정치사회 격변 속에서 여성문제는 봉건적 현모양처론으로 패착하

49) 리유남, <녀성문제와 녀성운동의 변천>, 조선녀성, 1949년 8월호, 38쪽.

(23)

거나 국가과제의 가장 후순위로 밀려났다.

혼란스럽게 착종된 담론에 놓인 여성은 영화 속에서 이러한 모순을 담지했다. 해방기의 남한영화 <자유만세>의 혜자는 교육받은 전문직 의 여성이지만 순결한 소녀의 이미지로 한국과 동일시된 한중50)을 돕 는 것이 독립운동 곧 국가의 과제를 수행하는 데 여자가 참여할 수 있는 길임을 보여준다. 미향 역시 자신의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남 자 주인공 한중을 통해서만 획득할 수 있는 아이러니에 처한다. 혜자 나 미향 모두 국가의 과제로 동원되지만 그녀들이 그 과업에 직접 나 서거나 뛰어들어서는 것은 금지돼 있다. 여성은 남성 한중이 국가의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에 머물러야 한다. 금지를 넘 어서 한중의 독립운동 아지트로 들어온 미향은 일제의 앞잡이 남부의 미행을 당함으로써 한중과 국가과제 모두에 위협이 될 뿐이다. 그녀의 죽음은 남성의 과제를 감히 침범한 여성이 얼마나 가혹한 처벌을 받 는가를 보여주는 경고의 메시지에 다름 아니다. <독립전야>에서 여성 인물들은 더욱 수동적이 되어 여명/독립이 올 때까지 남성의 보호를 받으며 기다리고 <검사와 여선생>, <마음의 고향>에서 여성은 아들세 대를 키워내는 어머니의 자리에 머무른다.

북한영화 <내 고향>의 옥단은 남성의 기억 속에 불행한 존재로 각 인돼 무장투쟁의 동인으로 작용하지만 그녀의 존재는 현실보다 남성 주인공 관필의 기억과 언술 속에서만 생생할 뿐이다. 또 다른 영화

<용광로>의 용연은 국가가 준 과제 곧 내화벽돌을 만드는 과제를 수 행하는 남편에게 의심의 눈길을 보낸 결과 친정으로 보내지는 처벌을 받지만 석만 일당의 음모를 밝히는데 공헌해 남편의 내화벽돌이 성공 적으로 나올 수 있게 되자 다시 가족 안으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 이 해방기 남북 영화는 동일하게 남성이 주어진 국가의 업무를 잘 수 행하도록 돕는 조력자로 여성을 의미화하여 여성의 정체성의 재구축

50) 한중은 스스로 한국이 자신의 애인이라고 말하는데 한중의 동료는 혜자에게 한중을 구 해줄 것을 부탁하며 “최형을 구하는 것이 한국을 구하는 것이오‘라고 말하고 있어 한 중이 한국과 등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24)

이란 문제가 남성에게 부속된 문제임을 암시한다.

다만 남한영화에서 계급적 시작은 철저히 단속된 바 여성노동자 문 제를 전략적으로 배제하고 있으며 북한에서는 해방된 문화분위기를 사회주의 문화구성으로 수렴시키기 위해 근대화의 자연스러운 산물이 라고 할 수 있는 새로운 욕망을 남한 사회에 유폐시키는 것으로 자신 들 사회에 내재된 불안감을 감추고자 했다.

여성재현에 있어 정치적 올바름이란 문제를 떠나서 남북의 대중의 요구가 변화하고 여성상이 변화하고 있었던 현실이 영화에 반영되는 가하면 당위적 여성상이 영화에 재현되기도 했다. 그러나 남성주인공 의 보조인물로 등장하는 여성은 그 등장 자체로 해방과제의 중요도에 서 그만큼 뒤로 밀려난 여성 해방과제를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요컨대 문화의 변화를 민감하게 흡수한 여성이지만 전통사회의 내구 성과 긴장관계를 조성하며 현실과 담론의 틈을 드러내거나 다른 한편 그 공고화에 역이용되는 여성의 복잡한 위상을 남북의 해방기 영화는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해방기 영화 속의 여성과 근대성 담론의 교차분석은 현대 남북한의 정치, 경제, 문화의 토대가 구축된 시기로 평가되는 해방공간에서 남북한 여성의 문화경험의 차이를 인 지하고 남북의 문화구축 방향과 그 과정을 비교함으로써 현대 남북한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25)

참고문헌

<단행본>

김경일,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푸른역사, 2004 김수진, 󰡔신여성, 근대의 과잉󰡕, 소명출판, 2009

김영근, 「용광로」󰡔조선영화문학선집󰡕1, 문학예술출판사, 1994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2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79 국사편찬위원회, 󰡔북한관계사료집󰡕27, 국사편찬위원회, 1997 , 󰡔북조선관계사료집󰡕32, 국사편찬위원회, 1999 국토통일원, 󰡔조선노동당대회자료집󰡕1, 국토통일원, 1980

박현선, 「반제반봉건민주주의혁명기의 여성정책」, 󰡔해방전후사의 인식󰡕5, 한길사, 1989 신효숙, 󰡔북한의 문화형성과 대중교육󰡕, 교육과학사, 2001

안호상, 「건국기의 교육론」, 이길성ㆍ오만석 공편, 󰡔한국교육사료집성-미군정기편 Ⅱ󰡕, 한 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이윤미, 󰡔한국의 근대와 교육󰡕, 문음사, 2006

한국여성개발원, 󰡔한국 여성교육의 변천과정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0 한국여성개발원, 󰡔북한의 여성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1

한준상ㆍ정미숙, 「1948-53년 문교정책의 이념과 특성」, 정해구 외, 󰡔해방전후사의 인식 4󰡕, 한길사, 2006

<논문>

문경란, 「미군정기 한국여성 운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1989 이배용, 「미군정기, 여성생활의 변모와 여성의식」󰡔역사학보󰡕150호, 역사학회, 1996 이임하, 「해방 뒤 국가건설과 여성노동」󰡔역사연구󰡕제 15호, 역사학연구소, 2005

이명자, 「미군정기(1945-1948) 외화의 수용과 근대성」󰡔영화연구󰡕제45호, 한국영화학회, 2005

최선영, 「북한여성의 지위와 역할 변화:관련 법령분석을 중심으로」󰡔동북아연구󰡕vol.23 no.1, 조선대 동북아연구소, 2008

<정기간행물>

≪경향신문≫, 1948년 2월 1일, <신생활을 말하는 여성좌담회>

≪경향신문≫, 1948년 10월 23일, <문화풍속도/양풍과 유행>

(26)

≪서울신문≫, 1946년 10월 20일, <남성이 본 여성 화장과 의상>

≪인민예술≫, 1945년 12월 창간호, 김영신, <영화예술과 사회>

≪조선녀성≫, 1949년 2월호,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전체 녀성들에게 고함>,

≪조선녀성≫, 1949년 8월호, 리유남, <녀성문제와 녀성운동의 변천>,

(27)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scussion on the Role of Wome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1945-1950) and Modernity in South and

North Korea

Lee, Myung Ja Llecturer / Mokwon University

I tried to cross analyze the experience of women and modernity in South and North Korea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 time that was important to make modern Korea. Under Japan colonization women didn’t have any rights in area such as politics, economics, culture. Most women hadn’t received an education so that 90% of the female population consisted of non-educated women. There were many women worked for 16 hours a day under the harsh working conditions that colonial politics and feudalism had produced. After liberation many women expected liberation from the double shackles which had stemmed from Japanese colonialism and traditional Korean feudalism. After liberation, there were people asking for democracy and equality of sexes, both of which had been understood as a doorsill to enter modernity.

The military government was a moment for women to be able to take and reconstruct their identity, that had suggested new politics about women. The US military government establishe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in 1946 and the North Korean government enacted new laws along the construction of Soviet socialism, for example the law of the equality of sexes.

Globally was common sense that modernity was the opportunity for women to acquire the right of education, political activity and social labor. The independence from Japan had permitted women to acquire these in Korea so that a lot of discours was generated about education, labor and consumption.

(28)

But the position of women was complicated due to the influence of confucian ideas that had been a tradition in Korea. Women were excluded from most of the key issues in society because those had been regarded as subjects for men.

Roles in society were assigned depending on people’s sex and the media tried to support this discourse.

This thesis studied the discourse in Cheers Freedom(1946),My Hometown(1949), and A Melting Furnace(1950), which were the first movie made about liberation in Sourth and North Korea. These films a double proposed gender performance for women in which most women were supposed to be a wise mother and good wife in their home and a laborer in society.

In these movies the heroin represented contradictions that showed the real life of many women. Those women that women who absorbed the changing culture exposed the gap between reality and discourse but they were forced to follow confucian gender traditions.

key words

Modernity, Experience Of Women, Equality Of Sexes, Education, Political Activity, Social Labor

참조

관련 문서

The “Asset Allocation” portfolio assumes the following weights: 25% in the S&amp;P 500, 10% in the Russell 2000, 15% in the MSCI EAFE, 5% in the MSCI EME, 25% in the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President Obama) has encouraged Japan to take steps to address the legitimate grievances of the comfort women and the

The stepmother cannot break common notion that they are the evildoer since the children was killed from the trick of stepmother in the novel and there are

In this study, moral education theory from 『So-hak』 was investigated for current meaning, and utilization of this principle to modern moral education

First, the subjects who had music education for which the seventh curriculum was applied answered that they want to have access to diverse genres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BOSU Ball exercise, which can develop core muscles in middle-aged women, affects body composition and

- the right side : to move deoxygenated blood that is loaded with carbon dioxide from the body to the lungs - the left side : to receive oxygenated blood that has.. had m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