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리말 바로 쓰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우리말 바로 쓰기"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글 쓰 기 - 임현열

우리말 바로 쓰기

(2)

강의 내용 소개

- 글쓰기에서 우리말 바로 쓰기가 필요한 이유 - 자주 틀리는 철자법

-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 자주 틀리는 표준어

- 좀 더 정확한 우리말 바로 쓰기를 위해

 <우리말 바로 쓰기>에서 다룰 내용

(3)

1. 글쓰기에서 우리말 바로 쓰기가 필요한 이유

- 철자법과 띄어쓰기는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 해 필수적이다.

- 표준어 사용은 이 시대에 기본적으로 갖추어 야 할 교양이다.

- 철자법, 띄어쓰기, 표준어에 문제가 있는 글 은 신뢰하기 어렵다.

 글쓰기에서 맞춤법을 왜 다룰까?

(4)

2. 자주 틀리는 철자법

- 가벼이? 가벼히?

- 깊숙이? 깊숙히?

- 꼼꼼이? 꼼꼼히?

- 깨끗이? 깨끗히?

- 틈틈이? 틈틈히?

 다음 중 맞는 표기는?

(5)

2. 자주 틀리는 철자법

‐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

이’로 적는다.

‐ ‘‐히’로만 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

‐ ‘‐이’로도 소리 나고, ‘‐히’로도 소리 나는 것은 ‘‐

히’로 적는다.

‐ 한글 맞춤법 설명대로 적는 것의 어려움은?

 ‘-이’와 ‘-히’를 적는 것에 관한 규정은?

(6)

2. 자주 틀리는 철자법

‐ 어간 뒤에 ‘‐하다’를 붙여보자.

‐ ‘‐하다’를 붙일 수 없다면?

‐ ‘‐하다’를 붙일 수 있다면?

‐ ‘‐하다’를 붙일 수 있더라도 아래의 경우는 다르다.

- 첩어 또는 준첩어 명사 뒤에서 - ㅅ으로 끝난 어근 뒤에서

- ㅂ 불규칙 용언의 어근 뒤에서 - 부사 뒤에서

 ‘-이’와 ‘-히’를 구분하는 방법은?

(7)

2. 자주 틀리는 철자법

‐ 깊숙이? 깊숙히?

- 번번이? 번번히?

 ‘-이’와 ‘-히’구분법은 완벽한가?

(8)

3.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단어와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조사, 어미, 접사는 붙여서 쓴다.

합성 명사는 사전에서 인정한 경우 붙여서 쓴다.

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은?

(9)

2.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 이거나마 안 먹으면 어떻게 해?

‐ 삶는 것보다는 굽는 게 좋아.

‐ 너하고 나하고 몇 년 지기냐?

‐ 돈깨나 있어 보이던데?

‐ 사람이 오는지조차 몰랐어.

‐ 밥은커녕 쌀 한 톨 없었데.

‐ 딸같이 그래 봐야 소용없어.

‐ 좋군그래, 그날따라, 너마저, 그 말인즉슨, 나더러, 우리라도 등등

 이것도 조사였나?

(10)

2.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 내가 똑똑히 봤고말고.

‐ 먹을라치면 말을 시켜서 못 먹었지.

‐ 어이없을뿐더러 화가 난다.

‐ 소고기는 삶을수록 질겨져요.

‐ 고맙다는 말은 못할망정 큰소리를 쳐?

‐ 그럴 줄은 모를걸?

‐ 가만히 보고 있을쏘냐?

‐ 잡 자 마 자 , 날 아 갈 세 라 , 먹 을 게 , 살 다 시 피 , 몰랐는걸 등등

 이것도 어미였나?

(11)

2.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 백 명가령 등록했습니다.

‐ 시간당 얼마를 받니?

‐ 비슷한 종류별로 분류했다.

‐ 동생뻘 되는 사람이 상관으로 있다.

‐ 사람이 오는지조차 몰랐어.

‐ 오만 원짜리는 교환이 안 됩니다.

‐ 내일쯤 다시 전화할게요.

‐ 만 원어치만 주세요.

‐ 그까짓 거, 친구끼리, 한 살배기, 2인분, 85년생, 세 번째 등등

 이것도 접사였나?

(12)

3.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 합성 명사는 사전의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한다.

- 확실하지 않은 것은 사전을 찾아봐야 한다.

- 사전마다 합성 명사를 인정하는 기준이 다른 경우도 있다.

-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하는 게 좋다.

 합성 명사는?

(13)

4. 자주 틀리는 표준어

- 삐치다, 삐지다 - 꾀다, 꼬시다 - 장난감, 놀잇감 - 딴죽, 딴지

- 허접스럽다, 허접하다

 2014년부터 표준어로 인정받은 단어는?

(14)

4. 자주 틀리는 표준어

- 마을, 마실

- 예쁘다, 이쁘다 - 차지다, 찰지다 - 잎사귀, 잎새

- 푸르다, 푸르르다

 2015년부터 표준어로 인정받은 단어는?

(15)

4. 자주 틀리는 표준어

- 거방지다, 걸판지다 - 까다롭다, 까탈스럽다 - 실몽당이, 실뭉치

- 에는, 엘랑

- 주책없다, 주책이다

 2016년부터 표준어로 인정받은 단어는?

(16)

5. 좀 더 정확한 우리말 바로 쓰기를 위해

- <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35~57쪽을 공부한다.

-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서 어문 규정을 찾아 공부한다.

 무엇을 하면 될까?

참조

관련 문서

생명의 세계에는 엄청나게 정교하고 환경에 잘 적응된 생명체 들로 꽉 차 있다는 사실을 당신은 발견할 것이다.. 그리고 시계가 시간을 측정하는 일에 알맞게 되어

[r]

아울러 여러분들 께서 우리 역사협회가 더욱 성장하여 우리 시에 대한 영 향력을 키워 나갈 수 있도록 많은 도움 주시기를 바랍니 다... ‘방법과 재료’라면 도시건축자들이 반드시 준수해야

◦ 읽기와 쓰기 동작이 자유로운 편이어서 RAM과 ROM의

공연을 마치면 공연에 사용한 장비와 물품을 정리해 주시기 바랍니다. 무대 작업을 할 때에는 안전 장비를

[우리말 소리의 체계] 한국문화사..

영어의 existentialism, 불어의 existentialisme, 독어의 Existentialismus의 우리말 번역어에 해당하는 ‘실존주의’는, 서양문학사의 관점에서 볼 때, 대체로 1930-40년대, 즉

그 어린애를 치어 죽인 운전수도 바로 저구요 , 그 여인을 교살한 하수인도 바로 저구요 ,. 그 은행갱 도주범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