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effects of fall prevention exercise program o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effects of fall prevention exercise program o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Copied!
8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한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적용효과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김 선 희

(3)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한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적용효과

지도교수 송 미 숙

이 논문을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08년 12월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김 선 희

(4)
(5)

감사의 글

지각하고 인지하여 성숙되어져 가는 배움의 길을 걸을 수 있게 하심을 먼저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부족함과 한계에 부딪혔던 시간의 연속이었지만, 아낌없는 격려와 기도로 한 편의 논문을 완성하는 순간에 이르기까지 많은 도움을 주신 여러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 하고자 합니다. 학부 과정에서부터 석사 과정까지 지도교수님으로서 늘 따뜻한 관심과 애정으로 지도해 주시고, 보다 좋은 논문이 될 수 있도록 바쁘신 가운데서도 꼼꼼히 지도해 주신 송미숙 교 수님께 크나큰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또한, 논문의 전체적인 흐름과 세세한 부분을 함께 봐주시고 조언해주신 김용순 교수님과 언제나 격려해 주시고 연구의 방향을 지도해주신 현 명선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연구 자료 수집을 허락하시고 적극적인 도움을 주신 구리시 방문간호사 선생님, 운동처 방사 선생님들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연구기간 동안 많은 조언을 해주시고 관심을 가져주신 박지원 교수님, 유문숙 교수님, 유혜라 교수님, 방경숙 교수님, 김춘자 교수님, 채선미 교수님, 박진희 교수님, 박형란 교 수님께 감사를 드리며, 가까이에서 늘 연구 과정에 관심을 가져주고 격려해 준 조교선생님 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노인 전문과정 1기로 2년여 동안 동거동락하면서 많은 도움을 준 황명숙 선생님, 박병남 선생님, 김미선 선생님, 서인영 선생님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한결같이 따뜻한 마음으로 곁에서 지지해주며 중보기도로 용기를 준 효주 선배님과 친구 선영, 금화, 정수, 보라, 성숙, 미연, 윤신, 윤미, 혜영, 휘경, 선지, 찬혁, 후배 갑수에게 고마움을 전합니다. 마지막으로 어떠한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늘 고마운 사랑하는 남편, 언제나 부족한 저를 사랑해주고 기도해주시는 시부모님, 어머니, 형부들, 언니들, 오빠, 새언니, 도련님, 조카들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항상 기도로 격려해 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리고, 앞으로도 열심히 노력하 는 모습으로 보답하겠습니다. 2008년 12월 연구자 김 선 희 올림

(6)

국 문 요 약

우리나라 노인의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낙상 발생률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낙상사고는 가정 내에 거주하는 재가노인에서의 경우 많으며, 노인의 사고 사로 인한 사망 중 주요사망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노인의 낙상은 대부분 신체 손상을 초래하고 낙상에 대한 공포와 같은 심리적 위축을 일으켜 이차적인 활동제 한 및 낙상위험을 증폭시키게 한다. 본 연구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운동이 신체 구성요소, 활동체력, 허약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는 가정에서 많이 발생하는 낙상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재가노인의 낙상을 예방하고 낙상 률을 줄일 수 있는 근본적인 체력을 강화시켜 독립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낙상예방 간호중재의 한 방법으로 활용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설계는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 전 사후 유사실험연구로, 2008년 5월 2일부터 2008년 7월 30일까지 12주 동안 실험 군 16명, 대조군 17명 총 33명의 65세 이상 85세 이하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하였 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로 총 12주 동안 주 3회, 1회 50분의 운동프로그램을 실시 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스트레칭, 의자이용 근력운동, 탄력밴드운동으로 준비운동, 본 운동, 정리운동으로 구성되었으며, 운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운동 시 새천년 체 조 음악으로 리듬감을 제공하고 첫 3주간 운동 후 낙상예방 교육을 실시하였다. 운 동의 종류, 운동 강도와 반복횟수, 1회 운동지속시간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실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측정변수인 신체구성요소와 활동체력, 허약수준을 운동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측정하였다. 신체구성요소는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을 이용하였고 활동체력은 상지근력, 하지근력, 지구력, 민첩성, 상지유연성, 하지 유연성, 평형성을 포함하였다. 허약수준은 일상생활수행능력, 낙상위험상태, 영 양․구강상태, 인지기능상태 하부영역으로 분류하였다.

(7)

핵심어: 재가노인, 낙상, 운동프로그램

수집된 자료는 SPSS 13.0Win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빈도, 백분율, x²-test,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 방률이 유의하지 않아 신체구성요소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의 상지근력과 하지근력은 대조군에 비 해 증가하였으나 하지근력에만 유의하였다(p=.689, p=.021). 3)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지구력은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t=.2.048, p=.049) 4)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의 민첩성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 으나 유의하지 않았다(t=.264, p=.793). 5)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의 상지유연성과 하지유연성은 대조군 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p=.085, p=.098). 6)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의 평형성은 대조군과 비교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2.996, p=.005). 7)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의 허약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 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단, 낙상위험상태영역에서의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유의 한 감소를 보였다(t=.733, p=.040). 이상의 연구 결과는 12주 동안 시행된 본 연구의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이 재가 노인의 하지근력, 지구력, 평형성을 증가의 체력을 향상시키고 허약수준에 포함되 는 낙상위험상태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낙상예방 운동 프로그램은 노인의 낙상률을 줄일 수 있고 낙상예방을 위한 체력을 강화시키는 근 본적인 간호중재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됨으로 이를 간호중재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본다.

(8)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용어 정의 ···3 Ⅱ. 문헌고찰 ···5 1. 노인과 낙상 ···5 2. 운동으로 인한 이득 ···7 3.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9 Ⅲ. 연구방법 ···13 1. 연구설계 ···13 2. 연구대상 ···13 3. 측정변수 ···14 4. 측정방법 ···15 5. 연구절차 ···18 6. 자료분석 방법 ···20 7. 윤리적 고려 ···21 Ⅳ. 연구결과 ···22 1. 조사대상군의 동질성 검증 ···22 2.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의 적용효과 ···27 3. 연구의 제한점 ···31 Ⅴ. 논 의 ···32

(9)

Ⅵ. 결론 및 제언 ···37 1. 결 론 ··· 37 2. 제 언 ···39 참고문헌 ···40 부 록 ···47 Abstract ···72

(10)

표 목 차

<표 1> 연구설계 ···13 <표 2> 측정변수 ···14 <표 3>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구성 ···20 <표 4> 조사 대상군의 일반적 특성 ···22 <표 5> 조사 대상군별의 신체구성 ···24 <표 6> 조사 대상군별의 활동체력 ···25 <표 7> 조사 대상군별의 허약수준 ···26 <표 8>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집단간 신체구성의 차이 ···27 <표 9>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집단간 활동체력의 차이 ···28 <표 10>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집단간 허약수준의 차이 ···30

(11)

부 록 목 차

<부록 1> 연구참여동의서 ···46

<부록 2> 측정도구 ···47

<부록 3> 낙상예방 교육자료 ···50

(12)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이 1980년 65.8세에서 2006년 79.1세로 후기 고령자가 점차 늘어나면서(통계청, 2006), 70세 이상의 낙상 발생률이 32%이상으로 높아지고 있고 연령이 높을수록 그 발생률이 5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유형준 등, 2005). 세계적으로 매년 65세 이상 노인의 30%정도에서 낙상이 발생하고(Singh & Malhortra, 2003), 우리나라에서도 사고사 중에서 낙상은 자살과 운수사고에 이어 3위를 차지하고 있다(보건복지가족부, 2004). 그 중에서도 재가노인에게서 연간 낙 상사고 발생률이 45%(송경애 등, 2001)이며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낙상사고가 사망 원인의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조사되었다(통계청, 2006). 낙상으로 인한 손상은 신체상해를 초래하며 복합적인 건강문제를 유발시킨다. 이 중 대부분이 타박상, 찰과상 같은 경미한 손상이지만 7%에서는 골절과 지주막하 혈종 등의 위중한 손상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난다(Chu, Chi, & Chiu, 2005).

낙상에 의한 신체 손상은 전체 노인의 75%이상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낙상으로 입원하는 65세 이상 노인에게 가장 많았던 의학적 진단은 대퇴 골절이 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유명숙, 2006). 노인에게 발생하는 골절은 상지보다 하지골절이 많 이 발생하고 있으면서(노준희, 2006; 전미양, 2002) 고관절 골절로 인해 3개월 이 내 사망률이 50%이상 높게 나타났고 일상생활을 회복하는 데에는 1년에 걸쳐 회복 되며, 일상생활의 회복을 되찾는 경우는 33%미만이었다(White head, Miller & Crotty, 2003). 고관절이 골절되면 와병상태에 있으면서 활동 및 운동성의 감소로 일상생활수행능력 저하를 유발하여 독립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면서 반복적인 입원과 이로 인한 2차적인 질병발생의 위험이 증가하여 결국 사망에 이르게 한다. 이와 같이 낙상사고는 사망률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는 중요한 건강문제이면서 낙상에 대한 공포와 같은 심리적 위축을 일으켜 이차적인 활동제한 및 낙상위험을 증폭시키게 한다. 더 나아가 낙상으로 인한 신체상해는 재원일수가 늘어나고 검사

(13)

와 수술 등의 치료로 인해 의료비 상승을 가져오게 되어 보건의료계에서 해결해야 할 큰 과제로 남아있어(백경원 등, 2002) 재가노인의 낙상 위험요인들을 밝혀내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적 극적인 중재는 부족하여 낙상률은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선행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낙상실태와 관련된 위험요인을 파악하거나 신체적, 정신적 건강문제와 치료를 조사한 연구들에 치중하고 있다(정 영미 등, 2006; 김민정, 2004; 조준필 등, 2001; 이호택 등, 1994). 변영희(2006)와 전미양(2002)의 연구에서 낙상을 예방하는 운동프로그램을 개발 하는 연구들이 있었으나 집단으로 할 수 있는 율동 및 댄스 프로그램의 유산소 운 동을 개발하는데 국한되어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운동을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재 가노인들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없는 점이 미흡하다. 노인이 적당한 활동체력을 유지하고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낙상예방을 위한 다양한 연구와 대상 범위를 확대한 전문적인 운동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가노인들의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일상생활에서 대상자 스스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 용함으로써 노인들의 신체구성요소와 활동체력 및 허약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 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4)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 인하고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설정하였다. 1)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이 재가노인의 신체구성요소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2)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이 재가노인의 활동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3)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이 재가노인의 허약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3. 용어정의

1) 재가노인 재가노인이란 가정에 있는 노인으로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인 제 요인에 의 하여 변화하는 노화과정에 있는 사람이다(윤진, 1985).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 거주 하면서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에서 만 85세 이하의 노인으로 정의하 였다. 2) 신체구성요소 신체구성요소란 신체를 구성하는 지방과 무지방 조직의 구성 상태를 말한다(김 도연, 2003). 본 연구에서는 몸무게, 체질량지수, 체지방률을 신체구성요소로 정의 하였다. 3) 활동체력 활동체력이란 피로함을 느끼지 않고 자립적으로 또는 안전하게 일상생활을 수행 할 수 있는 생리적인 능력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며 근력과 유연성, 유산소 지구력, 정적/동적 평형성 등을 포함한다(Rikli & Jones, 1999). 본 연구에서는 낙상을 예 방하기 위해 안전하게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는 신체적 능력으로 근력, 지구력,

(15)

민첩성, 유연성, 평형성을 포함하였다. 4) 허약수준 허약수준이란 질병상태가 치명적이지 않으나 노년증후군을 보이고 있어 이러한 증상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면 기능이 회복될 수 있는 수준을 말한다(Suzuki Dakao, 2004). 본 연구에서는 일본동경 노인종합연구소에서 개발한 Otasha kensin을 우리 나라 실정에 맞게 보건복지가족부와 건강증진 사업지원단(2008)이 수정, 보완한 허 약수준 판정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이 도구는 일상생활수행능력(IADL), 낙상위험상태, 영양․구강상태, 인지기능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점수가 높을 수록 허약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16)

Ⅱ. 문헌고찰

본 장에서는 노인의 낙상 실태와 원인을 파악하고 운동으로 인한 활동체력의 변 화 기전을 파악하며 효과적인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의 구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 노인과 낙상

낙상이란 대상자의 갑작스러운 비의도적인 자세변화 때문에 바닥에 주저앉거나 넘어지거나 눕게 되어 본래 몸의 위치보다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Stalenhoef 등, 2002; Fuller, 2000). 노인의 낙상 유병률은 전체 노인의 약 25%에서 발생하고 있다(김민정, 2004). 그 중 재가노인 낙상 유병률이 지역사회 노인의 65세 이상 노인에서 50%로 재가노 인의 낙상률이 심각함을 알 수 있다(권혁철 등, 2003). 또한, 연령이 높고 (Lehto la, Koistinen, & Luukinen, 2006), 여성인 경우 발생률이 증가한다(정영미 등, 2006). 낙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신체적, 심리․사회학적, 환경적 요인들로 복합적인 결과로 인해 발생하는데 신체적 요인은 노화로 인한 근골격계, 신경계, 시각적인 변화가 나타난다(정낙수, 최규환, 2001). 특히, 노인들에게 발생하는 질병 중 관절 염이나 통증 등의 근골격계 문제가 낙상을 경험한 노인에게 나타나는데(황옥남, 1998) 골관절염은 신체기능을 저하시킨다. 이는 근육활동과 감각기능이 약화되면서 하지근력 저하와 체위의 불안정으로 이어져 낙상을 일으키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 이다. 신경계 변화는 균형감 감소, 신경계 기능의 퇴화, 보행능력의 감소 및 근력을 약화시켜 낙상사고가 쉽게 발생한다. 시각적인 변화는 노화로 인해 시각 능력이 저 하되고 백내장, 녹내장 같은 질환으로 주위환경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면 서 낙상사고의 위험이 증가한다(정낙수, 최규환, 2001; Nevitt, 1997).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학적인 원인은 낙상이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지

(17)

않는다고 하더라도 낙상에 대한 두려움, 자신감의 상실, 보행의 제한 등으로 상당 한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염태형 등, 2001). Tinetti(1994)의 연구에서는 재가노 인 1,109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43%의 노인이 낙상을 두려워하는 것으로 보고 하였다. 국내에서도 65세 이상 재가노인 259명을 대상으로 낙상의 두려움을 조사한 결과 노인의 76%에서 두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박지원, 유혜라, 2006). 낙상에 대한 두려움이 정상생활로부터 노인을 위축시켜 활동 및 운동성이 감소 되고 독립적 삶을 영위하지 못하게 되어 결구 활동범위를 제한시키고 체력을 저하 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낙상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으로 받는데 특히, 침대 높이나 화장실 내의 어두운 조명이 주원인으로 보고되고 있어(Huang 등, 2003) 환경적 요인을 개 선함으로써 노인의 낙상 사고 발생률을 30~50%까지 줄일 수 있다(조경환, 1997). 이상과 같이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낙상발생의 원인은 신체적, 심리․ 사회학적, 환경적 요인이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발생하는 낙상사고로 심각 한 건강상의 위험이 노출되고 결국 조기사망을 일으키는 문제를 가져오고 있다. 낙상이 항상 손상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지만 낙상 발생으로 인한 후유증은 생존 기간의 단축 외에 골절, 동통, 관절 내 또는 뇌경막의 출혈, 혈종, 근육 손상, 탈 구, 염좌, 욕창, 우울증, 신체 기형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후유증은 장기간 병원이나 요양기관 혹은 가정 내에서 치료를 계속적으로 받아야 하고 기본 적인 일상생활수행에서도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게 한다. 또한, 낙상 후 생활양 식이 크게 변하여, 일부 노인에게서는 낙상으로 인한 공포로 인해 낙상 후 증후군 으로 신체 기동성이 저하되기도 한다. 더 나아가 낙상으로 인해 입원한 환자에게 심각한 건강장애를 유발하여 입원 노인의 50%정도가 입원 후 1년 이내 사망하는 것 으로 나타나(Roach, 2001) 낙상은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치명적인 결과를 낳는 주요 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재가노인의 체력을 강화시키고 보건교육을 통하여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하다.

(18)

2. 운동으로 인한 이득

신체구성요소는 인체를 이루고 있는 근육량, 뼈, 지방량 및 수분량 등을 총괄 하며 비만 판정의 지표이다(김기진 등, 1995). 75세 이상에서의 신체구성의 변화는 뼈 8%, 근육 15%, 지방조직이 40%로 근육량이 감소하면서 기초대사율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결과는 비활동성의 증가가 원인이다(이명천 등, 2006). 규칙적인 운동은 제지방량을 유지시켜주고, 피하지방의 축적을 감소시켜주며, 단백질 합성을 자극시켜 소비에너지를 증가시켜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대한비 만학회, 2003). 단백질 합성력을 증가시키는 근력운동은 근육과 뼈가 위축되고 실 질조직이 상실하는 생리적 노화현상을 둔화시킬 수 있다(박정민, 2005). 또한, 여 러 연구에서 운동 프로그램이 제지방량은 증가시키고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은 감소시킨다고 보고하고 있다(박정민, 2005; 김향동, 2004) 체력이란 과도한 피로 없이 신체활동을 대처할 수 있는 운동능력, 또는 긴급한 상황에서 유지할 수 있는 에너지와 매일 생활할 수 있는 수행능력이다(김도연, 2003). 체력요소들 중에서 건강과 관련이 있는 활동체력은 고령자가 자립하여 활력 있는 일상생활을 영위해 나가는데 필요한 활동능력을 의미하며 근력, 근지구력, 심 폐지구력, 민첩성, 유연성, 평형성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이의수, 2006). 우리나라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을 보면 안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비율이 10% 이며 65~74세 노인은 16%, 75세 이상의 노인은 9%로 일상생활활동이 현저히 부족 함을 볼 수 있다(보건가족복지부, 2005). 이재문(2003)의 연구에서도 연령이 높아 짐에 따라 체력이 저하되며 75세 기점으로 체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체력저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볼 수 있으나 운동과 같은 적절한 노력을 통해 진행속도를 늦추거나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유형준 등, 2005). 근력(Muscular Strength)은 일회의 근 수축에 의해 발휘할 수 있는 최대 힘의 총량으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근육의 변화로 근육세포가 위축되고 근섬유 수의 감소와 크기의 감소로 빠른 움직임이 줄어들고 신체활동과 운동능력이 현저하게 저

(19)

하된다(William, 1986). 규칙적인 운동은 골격근의 단백질 함량이 증가함으로써 근 육의 횡단면적이 증대되어 근력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최명애, 1993). 근육작용 은 신체 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일상생활에서 적극적인 신체활동으로 근력을 증가시키고 신체의 평형성과 보행능력을 향상시켜 낙상의 위험을 줄여준다 (Bassey, 1997). 지구력(Endurance)은 크게 심폐지구력과 근지구력으로 나눌 수 있다. 심폐지구 력은 전신 지구력이라고도 부르며, 최대 산소섭취량이 증가하는 것은 심폐지구력의 증가를 의미한다. 이는 일박출량의 증가나 동-정맥 산소함량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 으로 장기간으로 지구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실시하면 일박출량이 증가하고 운동하 는 근육에 의한 산소 소모를 증가시키게 되어 동-정맥 산소함량차를 증가시키게 되 어 최대산소섭취량을 증가시키게 된다(Leveine & Balady, 1993).

근지구력은 최대 운동수준에서 지속적으로 근육을 수축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 다(방현석, 2007).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근력저하와 함께 근지구력이 유의하게 감 소한다고 보고하였다(이재문, 2003). 반복적인 운동은 낙상이나 골절과 관련된 근 지구력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보다 적극적인 사고와 행동을 가능하 게 함으로써 노인의 자아 존중감을 높여주고 더 나아가 삶의 질 전체를 높여 줄 수 있다(이영숙, 2004; 최보윤, 2001). 민첩성(Agility)은 자극에 대하여 재빠르게 반응하거나, 신체의 위치를 재빨리 바꾸거나, 방향 전환을 민첩하게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이의수, 2006). 민첩성은 남에게 의존하지 않고,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낙상과 관련된 의미있는 체력요소 중에 하나이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민첩성의 수행능 력도 감소하지만 운동에 의해서 향상될 수 있다(장내심, 2004). 에어로빅과 달리기 를 혼합한 유산소운동과 탄력밴드를 이용한 무산소 운동은 민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이다(이의수, 2006). 유연성(Flexibility)은 관절 주위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의 범위인 관절의 가동범 위를 말하며 운동범위를 크게 하여 신체활동을 지속시킬 때 유지시킬 수 있다. 홍 춘기 등(2006)은 유연성이 15~16세에서 운동가동범위가 가장 크며 연령이 증가됨

(20)

에 따라 서서히 줄어들고 65세 이후에는 노화가 지속됨으로써 급속도로 감소된다고 하였다. 이는 나이가 들면서 신체활동의 부족과 인대와 건을 구성하는 연결조직인 콜라겐의 변성에 의해 결합조직이 경화되고 크기가 증가하면서 유연성이 감소되는 것이다(이재문, 2003). 유연성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체력의 중요한 요소로 운동 을 통해 관절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근육들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고 관절주위의 인대와 건들이 스트레칭 되면서 관절의 가동범위를 증가시켜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최명애, 1993). 평형성(Balance)은 신체를 일정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신체 의 균형유지나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안정을 되찾아 평행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으 로 신체활동의 기본자세로 낙상예방에 중요한 체력 요소이다. 평형성은 정적 평형 성과 동적 평형성으로 구분하며 정적 평형성은 제자리 동작이나 평균대를 걸을 때 의 평형력이며 동적 평형성은 끊임없이 평형에 신경을 써야 하는 조절능력이 크게 필요로 하는 무용이나 체조 같은 운동에 필요한 평형력을 말한다(이의수, 2006). 노인에게 있어서 평형감각 저하는 낙상을 유발시키므로 평형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 는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하다(김현경, 2001). 허약노인의 판단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는 지표는 육체적 활동, 수단적 일상생활 활동, 신체기능 제한상태에 초점을 두고 있다(Gill 등, 2002; Fried 등, 2001). 이 와 같이 허약노인은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기능상태가 매우 하락되어 있어 일상생 활활동의 장애는 없지만, 건강한 노인에 비하여 행동자체가 느리고 근력, 지구력, 균형유지 등이 부족하여 쉽게 전도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있는 특성이 있다(이윤환 등, 2004). 운동은 병리상태의 낙상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고, 낙상발생시 정도나 부위에 따라 손상상태에 따른 적극적인 재활치료를 통해 장애발생으로의 이전을 방 지 또는 지연시킬 수 있다(선우덕 등, 2004).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체적․심리적 건강상태뿐만 아니라 노인을 둘러싸고 있 는 사회적 환경요인과 일상생활 중의 신체적 자립수준을 삶의 질에 가장 중요한 요 소로 보고 신체활동 수준이 높은 노인일수록 건강상태 및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한다 (이미숙, 2004).

(21)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들의 신체구성 및 활동체력을 강화하 기 위해서는 기존의 단조로운 유산소 운동, 저항성 운동보다 근력, 지구력, 민첩 성, 유연성, 균형성을 포함한 모든 구성요소를 증진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을 혼합한 운동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3.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노화에 따른 낙상과 관련된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이를 예방하고자 하는 방법들 로 운동, 교육, 식습관, 환경수정 요법 등에 대한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며(백 남종, 2007; 구미옥 등, 2006; 김민정, 2004; 전미양, 2002), 낙상예방을 위한 근 력, 유연성, 평형성의 체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운동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다 고 보고하였다(Spirduso 등, 2001).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청년기부터 전기고령자 시기까지의 규칙적 운동 실천율은 45~48%수준으로 성인의 운동 실천율과 거의 차이가 없으나 후기 고령자인 75세 이상에서는 25%수준으로 규칙적인 운동실천에 따른 낮은 것으 로 보고하였는데 이와 같이 운동 실천율이 낮은 주요 원인으로는‘몸이 불편해 서’(72%), ‘운동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4%)라는 이유로 나타났다(보건가족복 지부, 2005). 활발한 신체활동과 규칙적인 운동에 의해서 노년기의 체력이 증진되 므로 체력의 중요한 요소들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계획성 있는 운동을 해야 할 필요 가 있다(김희자, 1994)고 지적하고 있다. 노인에게 활동체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을 혼합한 운동을 추천하고 있는데(신미경, 2007; 박은영, 2005), 유산소 운동에는 맨손체조, 걷기운동, 댄스, 스트레칭 등이 노인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고, 그 가운데서 스트레칭은 동작이 쉽고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거의 없어 일상생 활 동작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운동으로 노인에게 적합하다(김이순, 2004). 저 항성운동은 유산소 운동에 비해 근력 증가 비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노인의 활동체력 증진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옥정석 등, 2003).

(22)

운동기간은 10주 이상 수행시 낙상예방에 효과가 있으며(American geriatric society, 2001), 운동을 시작하고 운동의 효과 중 관절가동범위의 효과가 2주 후부 터 먼저 시작되고 유연성과 균형성은 4주 이후에 증가되며 8주 이내에 근력이 증진 하는 효과를 보이므로(한윤수 등, 2007; Ryosuke 등, 2002; 장지연, 2001) 운동효 과를 볼 수 있는 기간은 8~12주가 적당하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김종화, 2000). 운동 강도는 심혈관계가 감당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충분한 부하를 줄 수 있는 범위로 생리적 기능이 저하된 노인에게 적절한 운동 강도는 최대 심박수 40~65%의 낮은 강도 또는 중증의 강도에 해당되는 55~70%일 때 운동이 효과적이다(Clark, Stump & Damush, 2003).

운동 빈도는 운동프로그램을 1주 중 실시할 일수를 말하며 노인의 체력수준에 따라 주당 운동 횟수가 달라진다. 운동과 운동사이의 공백 기간이 48시간을 넘지 않도록 하면서 일주일에 3~5회 실시하는 것이 체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 다고 하였다(진영수, 2000; ACSM, 1995). 운동의 1회 지속시간은 운동 강도 수준에 의해 결정되는데 운동 강도가 높을수 록 지속할 수 있는 운동시간은 짧아진다. 원하는 운동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20~30 분간 운동을 지속해야 하며 최고의 운동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30~60분간 운동을 지속해야 한다고 하였다(ACSM, 1995). 일반적으로 노인의 생리적 기능을 고려할 때 운동으로 인한 상해의 위험을 낮추고 총 에너지 소비량이 높은 낮은 강도에서 준비 운동과 정리운동을 포함하며 총 운동시간은 30~60분 정도가 적당하다고 권장하고 있다(진영수, 2000). 운동프로그램은 생리적이고 대사적인 변화들이 신체활동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운동의 빈도, 강도, 지속시간을 증가시켜 점진적인 과부하가 되도록 구 성한다. 노인의 경우 운동 초기단계에 운동 강도보다는 운동 지속시간을 증가시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ACSM, 1995). 운동프로그램의 구성에서는 준비운동과 본 운동, 정리운동으로 분류한다. 준비 운동은 스트레칭과 가벼운 체조같은 정적 운동을 수행하고 정리운동도 신체를 안전

(23)

하게 원래의 상태로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준비운동과 같은 스트레칭을 실시한다.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은 각각 5~10분, 본 운동은 20~30분 동안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권장하고 있다(ACSM, 1995). 노인에게 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천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선호하는 음악을 이용하 여 흥미를 주고 낙상 예방 교육과 같은 동기를 유발시킴으로써 적극적인 참여를 유 도할 수 있다(Yardley, 2006).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노인들의 활동체력을 증진시키는데 긍정 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여러 선행연구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나(신미경, 2007; Kolbe-Alexander, Lamber & Charlton, 2006; 박은영, 2005; Qurania, 2004; 황봉연, 2005; 김이순 2004) 운동종류와 중재시기, 운동강도와 빈도, 운동구성 등 에 대한 일관성 있는 연구결과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반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대부분의 낙상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운동을 많이 실시하고 있 으나 (한윤수 등, 2007; 신주희 등, 2002; Ryosuke 등, 2002; Fatouros 등, 2002; 전미양, 2002; 최종환, 2000) 노인이 운동으로 인한 프로그램의 본 목적을 인지하 지 못하여 여전히 낙상 발생률은 증가하므로 운동 중재와 함께 노인에게 프로그램 을 실시할 때는 낙상 예방을 위한 교육을 추가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24)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재가노인에게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대상자의 신체구성 요소, 활동체력, 허약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로 수행한 유사실험 연구이다<표 1>. <표 1> 연구설계 집단 사전조사 처치 사후조사 실험군 E1 × E2 대조군 C1 C2

E: Experimental group C: Control group ×: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중재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일개시에 소재한 경로당을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65 세 이상 85세 이하의 재가노인으로 다음의 연구조건을 충족시키면서 본 연구에 참 여하기로 동의한 B경로당에 나오는 18명을 실험군으로, S경로당에 나오는 18명을 대조군으로 임의 선정하였다. 그러나 이사와 장기 친척집 방문 등의 개인사정으로 실험군 중 2명, 대조군 중 1명이 탈락되어 최종 3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구체적인 선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최근 3개월 이상 꾸준한 운동을 하지 않은 대상자 2) 6개월 이내 하지 골절 등 정형외과적인 문제가 없는 대상자 3) 신경외과적 질환의 장애가 없는 대상자(뇌졸중, 파킨슨씨병, 치매) 4) 정신질환에 이환되었거나 항 정신성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대상자

(25)

5) 검사 수행시 시각․청각계 이상 없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대상자

3. 측정변수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도구는 총 37개 문항으로 일반적 특성(7개 문항), 신체 구성요소(3개 문항), 활동체력(7개 문항), 허약수준(20개 문항)등의 내용으로 구성 하였다<표 2>. <표 2> 측정변수 측정변수 측정단위 신체구성요소 ․체중(kg) ․체질량지수(kg/m²) ․체지방률(%) 활동체력 ․상지근력(kg) ․하지근력(회/30sec) ․지구력(step/2min) ․민첩성(회/20sec) ․상지유연성(cm) ․하지유연성(cm) ․평형성(sec) 허약수준 ․허약수준 판정점수(예 1, 아니오 0) (일상생활수행능력, 낙상위험상태, 영양․구강상태, 인지 능력)

(26)

4. 측정방법

1) 신체구성요소

(1) 체중과 체질량지수(BMI)

체중과 체질량지수(BMI)는 비만도계(Jenix Co, DS-102)를 이용하여 자동 측정하 였다. 측정기의 눈금이 ‘0’으로 맞추어 있는지 확인한 후 직립자세를 취하고 정면 으로 시선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2) 체지방률 체지방계(Inbody 3.0)를 이용하였으며, 성별, 연령, 신장 및 체중을 입력한 후 직립자세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중지를 양쪽 측정기에 부착하고 두 팔을 앞으로 쭉 뻗은 상태로 측정하였다. 2) 활동체력

본 연구에서 활동체력을 Debra J & Rose(2003)와 Rikli & Jones(2001)이 개발한 노인 체력 검사를 이용하였다. (1) 근력 ① 상지근력 우세한 손으로 악력계(Tanita 6103)를 힘 있게 쥐게 하여 가해진 힘의 총량을 kg단위로 측정한다. 이 때 대상자는 악력계가 옷이나 신체에 닿치 않도록 팔을 15° 정도 벌린 자세에서 측정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상지근력이 강한 것을 의미한다. 1 분 간격을 두고 2회 반복 측정한 뒤 높은 측정값을 기록한다. ② 하지근력 양 팔을 가슴에 교차한 상태에서 30초 동안 앉았다가 일어서는 횟수를 측정한 다. 이 때 대상자는 완전히 일어선 상태에서 측정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하체 근력 이 강한 것을 의미한다. 1분의 간격을 두고 2회 반복 측정한 뒤 높은 측정값을 기 록한다.

(27)

(2) 지구력 ① 2분 제자리 걷기 유산소 지구력을 측정하기 위해 대상자가 정면으로 선 자세에서 상체를 반듯하 게 세우고 무릎을 각각 슬개골과 장골 중간위치까지 올렸다 내리도록 하는 동작으 로 2분 동안의 총 스텝의 수를 측정하는 것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지구력이 높은 것 을 의미한다. (3) 민첩성 ① 좌우 스테핑 발의 민첩성을 평가하기 위해 2개의 선(30cm 간격)을 평형하게 그어 놓은 바닥 에 대상자를 앉게 한다. 시작 신호와 동시에 선을 중심으로 양발을 벌렸다 오므리 는 동작을 20초 동안 반복한 횟수를 측정한 것으로 횟수가 높을수록 민첩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1분 간격을 두고 2회 반복 측정한 뒤 높은 측정값을 기록한다. (4) 유연성 ① 뒤에서 손잡기 상체의 유연성을 평가하기 위해 한 손은 어깨 뒤로 향하도록 올려서 내리고 반 대편 쪽 손은 등 뒤로 돌려 중간 위로 올려 양손을 엇갈리도록 한 자세에서 양쪽 손 중지 손가락의 간격(cm)을 측정한다. 1분의 간격을 두고 2회 반복 측정한 뒤 높 은 측정값을 기록하는 것으로 양손이 서로 만나지 않으면 -, 만나면 +로 점수가 높 을수록 상체 유연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② 의자에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하지의 유연성을 평가하기 위해 대상자를 의자에 앉힌 상태에서 앞으로 구부리 게 하고 무릎이 굽혀지거나 반동을 이용하지 않도록 무릎을 측정자가 가볍게 눌러 주면서 발끝 너머로 얼마나 멀리 손을 뻗을 수 있는지를 측정한다. 측정치는 cm단 위로 1분의 간격을 두고 2회 반복 측정한 뒤 높은 측정값을 기록하는 것으로 손가 락 끝이 발끝을 넘어가지 못할 때 -, 손가락 끝이 발끝을 넘어갔을 때 +로 점수가 높을수록 하체 유연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28)

(5) 평형성 ① 외발서기 외발서기 검사는 선 자세에서 정적 균형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대상자로 하여금 눈을 뜬 상태에서 양팔을 벌리고 편평한 바닥에 대상자가 편안한 다리를 선택하여 반대쪽 발을 들어 올려 외발로 서있게 한다. 외발서기에서 나머지 발이 땅에 닿을 때까지의 시간을 2회 측정하여 높은 측정치를 기록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평형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3) 허약수준 보건복지가족부와 건강증진사업지원단(2008)이 개발한 허약수준 판정도구는 총 20개 문항으로 일상생활수행능력 5개 문항, 낙상위험상태 5개 문항, 영양 ․ 구강상 태 5개 문항, 인지기능상태 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낙상위험상태는 5개 문항 중 3개 문항이상 해당할 경우 낙상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최저 0점 부터 최고 2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허약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29)

5. 연구절차

1)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일상생활에서 대상자 스스로 이용할 수 있으면서 낙상을 예방시키기 위한 본 연 구목적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신미경(2007)이 개발한 복합운동프로그램과 보건복지 가족부와 건강증진사업지원단(2008)이 개발한 허약노인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재활의학과 교수 1인과 운동 처방사 2인, 간호학 교수 1인 의 자문을 구해 수정․보완하였으며 노인 11명을 대상으로 예비 실험과정을 거쳐 유산소운동과 저항성 운동을 혼합한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으로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운동을 혼합한 운동형태로 운동기간과 빈도 는 주 3회로 12주 동안 하였다. 운동의 단계는 1~3주 준비기, 4~8주 증진기, 9~ 12주 유지기로 나누고 운동 강도는 카보넨 공식을 이용한 최대 심박동수의 45~60% 로 하였으며 1회 운동시간은 40분에서 50분까지 점진적으로 늘려서 낙상예방운동프 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의 적극적인 참여와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운동프로그램을 마친 후 낙상 예방을 교육하였다. 준비운동은 복식호흡으로 폐활량을 증진시킨 상태에서 운동 처방사의 호간에 맞 추어 목운동, 어깨운동, 옆구리 운동, 발목운동의 스트레칭과 2분간 제자리 걷기로 근육을 수축․이완시키는 동작으로 구성하였다. 본 운동은 새천년체조와 운동 처방사의 호간에 맞추어 탄력밴드를 이용한 저항 운동과 의자를 이용한 근력운동으로 구성하였다. 정리운동은 복식호흡으로 호흡을 가다듬고 요실금 예방의 2차 효과와 반복의 지 루함을 피하기 위해 케겔운동을 적용하였다. 준비 운동 때와 같은 방법으로 스트레 칭과 2분간 제자리 걷기를 구성하여 마무리하였다. 낙상예방 교육은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을 마친 후 준비기 3주 동안 10분씩 교육 하였다. 첫째 주에는 재가노인과 낙상, 둘째 주에는 낙상의 대처법, 셋째 주에는 운동의 중요성에 대한 주제로 그림 자료 등의 매체를 통해 교육효과를 높이고 질의

(30)

응답식으로 하여 교육의 참여를 유도하였다. 그리고 대상자가 운동에 집중하면서 흥미를 갖도록 유도하기 위해 음악을 예비 실험과정에서 다수가 선호하였던 새천년 체조 음악으로 선정하였다. 2) 연구보조원 훈련 연구자와 같이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을 진행할 운동처방사에게 재가노인의 낙상 예방운동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설명하고 운동 구성의 원칙대로 진행하도록 협의하였다. 또한, 연구자의 편견이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간호사 1명의 연구 보조원을 정하여 자료수집 방법과 설문지 내용을 설명하고 면담기술을 훈련하였다. 3) 사전조사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의 사전조사는 2008년 5월 1일 보건소의 운 동 처방실에서 시차를 두고 실시하였다. 사전조사로 일반적 특성, 신체구성요소(체 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활동체력(근력, 지구력, 민첩성, 유연성, 균형성), 허 약수준(일상생활수행능력, 낙상위험상태, 영양․구강상태, 인지기능)을 측정하였다. 사전조사는 연구자가 대상노인에게 개별 면접으로 설문내용을 읽어주고 응답하 는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4)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실시 실험군에 대한 중재는 2008년 5월 2일부터 2008년 7월 30일까지 연구자와 운동 처방사가 직접 실시하였다. 장소는 G시 B경로당 2층에서 실시하였으며 실험군 16명 으로 매주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 10시에서 10시 50분 사이에 실시하였다. 낙상 예방운동프로그램 시작 후 3주 동안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을 40분간 진행한 후 10 분간 낙상예방교육을 연구자가 진행하였다.

(31)

분류 운동시기 운동내용 운동횟수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준비기(1~3주) 상,하체 스트레칭 유산소운동(의자이용) 저항성운동(탄력밴드이용) 걷기운동 케겔운동 3회/ 40분 증진기(4~8주) 5회/ 50분 유지기(9~12주) 5회/ 50분 낙상예방 교육 준비기(1~3주) 첫째주- 재가노인과 낙상 둘째주- 낙상의 대처법 셋째주- 운동의 중요성 1회/10분 5) 사후조사 실험군에게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을 12주간 실시한 후 2008년 7월 31일에 실험 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사전조사와 같은 방법으로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표 3>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구성

6.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Window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과 표준편차,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신체구성요소, 활동체력, 허약수준에 대한 사전 동질성은 x²- test와 Independent t-test로 검증하였다.

(32)

7. 윤리적 고려

1) 연구를 통해 얻어진 개인 정보는 비밀이 보장되며 연구기간 중 언제든지 참여를 중단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2)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으로만 사용되는 점을 설명하였다. 3) 대조군에게 낙상예방 교육을 3주간 동일하게 시행하였다. 4) 윤리심의위원회(IRB)에 연구의 윤리적 타당성을 의뢰하였으나 재가노인 대상임 으로 면제 되었다.

(33)

Ⅳ. 연구결과

1.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본 연구의 대상자는 실험군 16명, 대조군 17명으로 총 33명이었으며,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실험군이 76.63±4.32세, 대조군은 76.82±5.21세로 나타났다. <표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 (N= 33) 변수 구분 전체 (n=33) 실험군 (n=16) 대조군 (n=17) x² or t p N(%) N(%) N(%) 연령 65~74세 이하 14(42.4) 7(43.8) 7(41.2) -.145 .886 75~85세 이하 19(57.6) 9(56.3) 10(58.8) 평균±표준편차 76.73±4.72 76.63±4.32 76.82±5.2 1 교육 무학 20(60.6) 9(56.3) 11(64.7) .483 .632 초등학교이상 13(39.4) 7(43.8) 6(35.3) 결혼 유 9(27.3) 4(25.0) 5(29.4) .276 .784 무 24(72.7) 12(75.0) 12(70.6) 종교 유 12(36.4) 5(31.3) 7(41.2) .577 .568 무 21(63.6) 11(68.8) 10(58.8) 한달 용돈 20만원 미만 19(57.6) 8(50.0) 11(64.7) .837 .409 20만원 이상 14(42.4) 8(50.0) 6(35.3) 동거인 유 23(69.7) 10(62.5) 13(76.5) -.856 .399 무 10(30.3) 6(37.5) 4(23.5) 주거 유형 아파트 20(60.6) 8(50.0) 12(70.6) 1.199 .239 주택 13(39.4) 8(50.0) 5(29.4)

(34)

이들의 교육수준은 무학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20명(60.6%), 초등학교 이상이 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3명(30.3)%이었고, 결혼상태는 현재 배우자가 없다고 응답 한 대상자가 24명(72.7%)으로 조사대상자의 2/3를 차지하였으며, 종교는 무교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21명(63.6%)이었으며, 한 달 용돈은 20만원 미만이 19명(59.6%)으 로 나타났다. 동거인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23명(69.7%)이었고, 주거유형은 아파트가 20 명(60.6%)이었고 주택이 13명(39.4%)로 나타났다. 조사대상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는 <표 4>과 같다. 연령 (t=-.145, p=.886), 교육(t=.483, p=.632), 결혼(t=.276, p=.784), 종교(t= .577, p=.568), 한 달 용돈(t=.837, p=.409), 동거인(t= -.856, p=.399), 주거유형 (t=1.199, p=.239)에 따른 대상자 분포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은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35)

변수 실험군(n=16) 대조군(n=17) t p M±SD M±SD 체중(kg) 55.80±9.04 54.92±9.14 .277 .784 체질량지수(%) 27.71±6.61 25.71±6.59 1.304 .202 체지방률(%) 35.68±6.26 32.15±8.12 1.783 .084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신체구성요소 동질성 실험군과 대조군의 신체구성요소를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로 구분하여 집 단 간의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체중은 실험군이 55.80±9.04kg, 대조군이 54.92±9.14kg이었고 체질량지수는 실 험군이 27.71±6.61%, 대조군이 25.71±6.59%이었으며 체지방률은 실험군이 35.68 ±6.26%, 대조군이 32.15±8.12%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의 신체구성요소를 비교한 결과, 체중(t=.277, p=.784), 체질량지수 (t=1.304, p=.202), 체지방률(t=1.783, p=.084)의 모든 항목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실험군과 대조군의 신체구성요소는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실험군과 대조군의 신체구성요소 동질성 검증 (N= 33)

(36)

3) 실험군과 대조군의 활동체력 동질성 실험군과 대조군의 활동체력을 상지근력, 하지근력, 지구력, 민첩성, 상지유연 성, 하지유연성, 평형성으로 구분하여 집단 간의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는 <표 6>와 같다. 상지근력은 실험군이 14.63±5.23kg, 대조군이 14.59±3.12kg이었고, 하지근력은 실험군이 11.94±3.15회, 대조군이 12.41±4.15회였으며 지구력은 실험군이 111.44 ±24.87step, 대조군이 127.59±29.92step으로 나타났다. 민첩성은 실험군이 13.88±3.63회, 대조군이 14.76±5.19회였고 상지유연성은 실 험군이 -17.94±5.78cm, 대조군이 -17.24±6.86cm이었으며 하지유연성은 실험 군이 10.56±3.79cm, 대조군이 12.29±3.11cm이었다. 평형성은 실험군이 5.88± 6.22sec, 대조군이 4.76±3.83sec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의 활동체력을 비교한 결과, 상지근력(t=.025, p=.980), 하지근력 (t=-.368, p=.716), 지구력(t=-1.680, p=.103), 민첩성(t=-.567, p=.575), 상지유 연성(t=-.317, p=.753), 하지유연성(t=-1.436, p=.161), 평형성(t=.622, p=.539) 모두 두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실험군과 대조군의 활동체력은 동질 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실험군과 대조군의 활동체력 동질성 검증 (N= 33) 변수 실험군(n=16) 대조군(n=17) t p M±SD M±SD 상지근력(kg) 14.63±5.23 14.59±3.12 .025 .980 하지근력(회/30sec) 11.94±3.15 12.41±4.15 -.368 .716 지구력(step/2min) 111.44±24.87 127.59±29.92 -1.680 .103 민첩성(회/20sec) 13.88±3.63 14.76±5.19 -.567 .575 상지유연성(cm) -17.94±5.78 -17.24±6.86 -.317 .753 하지유연성(cm) 10.56±3.79 12.29±3.11 -1.436 .161 평형성(sec) 5.88±6.22 4.76±3.83 .622 .539

(37)

4) 실험군과 대조군의 허약수준 동질성 실험군과 대조군의 허약수준을 일상생활수행능력, 낙상위험상태, 영양․구강상 태, 인지기능으로 구분하여 집단 간의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허약수준은 실험군이 11.38±2.85점이고, 대조군이 10.65± 1.73점으로 이를 세부 영역별로 살펴보면 일상생활수행능력은 실험군이 3.44±1.67점, 대조군이 3.35±1.46 점이었고 낙상위험상태는 실험군이 2.81±1.32점, 대조군 3.18 ±.88점이었다. 영 양․구강상태는 실험군이 2.31±1.35점, 대조군이 1.76±.97점이었고 인지기능은 실 험군이 2.81±.83점, 대조군이 2.35±1.06점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의 허약수준을 비교한 결과, 전체허약수준(t=.893, p=.379)은 유의한 차 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하부영역으로 일상생활수행능력(t=.155, p=.878), 낙상위험 상태(t=-.933, p=.358), 영양․ 구강상태(t=1.343, p=.189), 인지기능상태(t=.604, p=.177) 모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실험군과 대조군의 허약수준이 동질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표 7> 실험군과 대조군의 허약수준 동질성 검증 (N= 33) 변수 실험군(n=16) 대조군(n=17) t p M±SD M±SD 허약수준(20점) 11.38±2.85 10.65±1.73 .893 .379 일상생활수행능력(5점) 3.44±1.67 3.35±1.46 .155 .878 낙상위험상태(5점) 2.81±1.32 3.18±.88 -.933 .358 영양․ 구강상태(5점) 2.31±1.35 1.76±.97 1.343 .189 인지기능상태(5점) 2.81±.83 2.35±1.06 .604 .177

(38)

변수

Post test scores Mean difference

t p 실험군 (n=16) 대조군 (n=17) 실험군 (n=16) 대조군 (n=17) M±SD M±SD M±SD M±SD 체중(kg) 54.78±8.27 54.26±8.67 -1.23±1.59 -.66±4.44 .173 .864 체질량지수(%) 25.27±3.02 24.35±4.16 -2.33±4.51 -1.36±3.75 .724 .474 체지방률(%) 34.40±5.34 31.85±6.52 -2.28±2.55 -.31±4.68 .1.223 .231

2.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1) 신체구성요소에 미치는 효과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을 중재한 후 신체구성요소에 미치는 효과를 체중, 체질량 지수, 체지방률에 따라 검증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체중은 실험군이 54.78±8.27kg, 대조군이 54.26±8.67kg으로 나타났다. 체질량지 수(BMI)는 실험군이 25.27±3.02%, 대조군이 24.35±4.16%였으며, 체지방률은 실험군 이 34.40±5.34%, 대조군이 31.85±6.52%로 나타났다.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신체구성요소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체 중(t=.173, p=.864), 체질량지수(t=.724, p=.474), 체지방률(t=1.223, p=.231) 모 두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 8>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집단 간 신체구성요소의 차이 (N= 33)

t= post test scores

(39)

변수

Post test scores Mean difference

t p 실험군 (n=16) 대조군 (n=17) 실험군 (n=16) 대조군 (n=17) M±SD M±SD M±SD M±SD 상지근력(kg) 16.13±4.79 15.47±4.52 1.50±2.88 .88±3.89 .404 .689 하지근력(회/30sec) 15.44±5.65 11.76±2.59 3.50±4.08 -.65±4.14 2.427 .021* 지구력(step/2min) 155.00±40.08 131.59±24.09 43.56±32.42 4.00±32.57 2.048 .049* 민첩성(회/20sec) 16.00±3.50 15.65±4.12 2.13±4.08 .88±6.96 .264 .793 상지유연성(cm) -14.56±7.11 -18.70±6.26 3.38±5.03 -1.47±9.89 1.779 .085 하지유연성(cm) 13.56±3.72 11.41±3.52 3.00±5.03 -.88±4.60 1.706 .098 평형성(sec) 9.81±6.51 4.24±3.95 3.94±7.55 -.53±4.10 2.996 .005* 2) 활동체력에 미치는 효과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을 중재한 후 활동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상지근력, 하지근 력, 지구력, 민첩성, 상지 유연성, 하지유연성, 평형성에 따라 검증한 결과는 <표 9>과 같다. <표 9>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집단 간 활동체력의 차이 (N= 33)

t= post test scores, * p < .05

상지근력은 실험군이 16.13±4.79kg, 대조군이 15.47±4.52kg이었고, 하지근력은 실험군이 15.44±5.65회, 대조군이 11.76±2.59회으로 나타났다. 지구력은 실험군이 155.00±40.08step, 대조군이 131.59±24.09step이였으며, 민첩성은 실험군이 16.00 ±3.50회, 대조군이 15.65±4.12회로 나타났다. 유연성에서 상지유연성은 실험군이 -14.56±7.11cm, 대조군이 -18.70±6.26cm이었고, 하지유연성은 실험군이 13.56± 3.72cm, 대조군이 11.41±3.52cm였으며, 평형성에서는 실험군이 9.81±6.51sec, 대조

(40)

군이 4.24±3.95sec으로 나타났다.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활동체력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하지근 력(t=2.427, p=.021), 지구력(t=2.048, p=.049), 평형성(t=2.996, p=.005)이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상지근력(t=.404, p=.689), 민첩성(t=.264, p=.793), 상 지유연성(t=1.779, p=.085), 하지유연성(t=1.706, p=.098)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

(41)

변수

Post test scores Mean difference

t p 실험군 (n=16) 대조군 (n=17) 실험군 (n=16) 대조군 (n=17) M±SD M±SD M±SD M±SD 허약수준(20점) 9.31±3.16 10.47±2.90 -2.06±3.07 -.18±2.68 -1.115 .273 일상생활수행능력(5점) 2.19±1.56 2.88±1.11 -1.25±2.11 -.47±1.91 -1.482 .149 낙상위험상태(5점) 1.94±1.39 3.00±1.46 -.88±1.75 -.18±1.85 -2.141 .040* 영양․구강상태(5점) 2.63±1.20 2.18±.81 .31±1.08 .41±1.06 1.263 .216 인지기능상태(5점) 2.56±1.09 2.29±1.26 -.25±1.29 -.06±1.75 .651 .520 3) 허약수준에 미치는 효과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을 중재한 후 허약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일상수행능력, 낙 상위험상태, 영양․구강상태, 인지기능상태에 따라 검증한 결과는 <표 10>와 같다. <표 10>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집단 간 허약수준의 차이 (N= 33)

t= post test scores, * p < .05

허약수준은 실험군이 9.31±3.16점이고, 대조군이 10.47±2.90점으로 나타났다. 하부영역 중 일상생활수행능력은 실험군이 2.19±1.56점, 대조군이 2.88±1.11점이었 고 낙상위험상태은 실험군이 1.94±1.39점, 대조군 3.00±1.46점이었다. 영양․구강 상태는 실험군이 2.63±1.20점, 대조군이 2.18±.81점이었고 인지기능상태는 실험군 이 2.56±1.09점, 대조군이 2.29±1.26점으로 나타났다.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허약수준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전체적 인 허약수준은(t=-1.115, p=.273)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역별 허약수준 은 일상생활수행능력(t=-1.482, p=.149), 영양․구강상태(t=1.263, p=.216), 인지 기능상태(t=.651, p=.520)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낙상위 험상태(t=-2.141, p=.040)에서는 실험군의 낙상위험상태에 대한 허약수준이 대조군 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42)

3.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을 재가노인에게 중재하여 신체구성요소와 활동 체력 및 허약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낙상률을 줄이고 낙상을 예방하는데 의미를 지 니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1) 본 연구는 일개시에 위치한 경로당을 편의 표출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2)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재가노인 3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일반화하는데 신중 을 기해야 한다. 3) 낙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낙상력, 정서, 질환, 약물복용 등을 운동조건에 배제 시켜 외생변인을 통제하고자 하였으나 완전한 통제가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 다.

(43)

Ⅴ. 논 의

본 장에서는 재가노인에게 낙상예방 교육을 포함한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적 용한 후 신체구성요소, 활동체력, 허약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1.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

본 연구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활동체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60~94세의 자립생 활을 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Debra J & Rose(2003)와 Rikli & Jones(2001)이 개발 한 활동체력 검사를 이용하였는데, 이 측정방법은 노인의 활동체력 중 근력, 지구 력, 민첩성, 유연성, 평형성을 모두 포함하고 특별한 측정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 면서 측정방법이 간편하여 노인의 활동체력을 측정하는데 적합하여 많은 선행연구 에서 이용되고 있다(신미경, 2007; 김현수 등, 2005). 또한 현재까지 우리나라 자 립생활이 가능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활동체력 도구가 개발되지 않아 본 측정 도구 를 이용한 것은 적절한 측정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다. 낙상에 대한 운동효과를 평가하는 도구는 허약수준 판정도구의 하부영역인 낙상 위험상태로 측정하였다. 운동효과로 낙상 발생이 감소된 것을 평가하기 위해 몇몇 연구에서 낙상 횟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운동효과로 인한 낙상 발생은 6개월 이상 충분한 시간이 흐른 후 효과를 보이므로 즉시 측정하는 방법으로 적합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본 연구에서는 낙상 발생을 줄이는 효과를 예상해 볼 수 있도록 낙상위험상태로 측정한 점이 특징이다(구미옥 등, 2006; Barnett, 2003). 이는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전략으로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포괄적인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체력 향상만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을 진행한 방법과 달리(성선아, 2004; 옥정석 등, 2003) 본 연구에서는 운동이 체력을 향상시키는 궁극적인 목적이 낙상

(44)

을 예방하는데 중점을 둔 프로그램임을 인지시키기 위해 낙상 예방 교육을 3주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시작에서 3주까지 연구자가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프로그램 의 목적과 낙상 예방에 대해 교육으로 인지시켜 낙상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적 극적으로 참여를 유도시킨 것이 체력을 증진시키고 낙상의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신 체적, 심리적 요인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고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임의 선정한 재가노인 33명에 국한되어 측정하였으므로 우리나라 전체 재가노인의 낙상예방 효과를 대표 한다고 볼 수 없다. 둘째, 본 연구의 평균 연령이 75세 이상의 후기 고령자이고 대 부분이 무학인 점에서 동작을 잘 이해하지 못하여 수차례 시범을 통해 인지시킨 후 측정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우리나라 실정에 맞고 간편한 동작을 개발한다면 쉽게 습득하여 정확한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셋째,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낙상예 방운동프로그램의 효과로 낙상위험상태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낙상률을 감소시켰다 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낙상률을 줄이는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향후 6개월 이후의 낙상횟수를 조사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 각된다.

(45)

2.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본 연구에서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을 12주 동안 실시한 후 중재효과를 신체구성 요소의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활동체력의 상지근력, 하지근력, 지구력, 민 첩성, 상지유연성, 하지유연성, 평형성, 허약수준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낙상위험상 태, 영양․구강상태, 인지기능상태로 평가하였다.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중재 후 신체구성요소 영역에서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 방률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비만 여대생을 대상으로 12주간 운 동을 실시한 결과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이 감소된 김향동(2004)연구결과와 상반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45세 이후 노화에 따른 세포 양이 감소하고 체지방은 현저히 증가하는 체구성의 변화를 보이고, 운동으로 인한 신체구성요소의 변화를 보이기 위해서는 운동강도를 최대 수준으로 높인 저항운동을 할 때 나타나는데(박 정민, 2005), 본 연구에서는 75세 이상의 후기 고령자임을 감안하여 운동상해를 방 지하고자 낮은 강도로 운동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단기간 내에 운동효과 를 보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노인들을 대상으로 낙상예방운동을 계획할 때에는 중재기간을 6개월 이상의 장기간으로 구성하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다음은 본 연구프로그램을 중재한 후 활동체력 영역에서 하지근력과 지구력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은 여성 시설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 주 3회 40분간 재활운동프 로그램을 실시한 진행미(2007)연구와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 주 3회 50분간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최종환(2000)의 연구와 일치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도 12주간 주 3회 50분간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서기와 의자를 잡고 다리 들기의 근력 운동과 탄력밴드를 이용한 저항성 운동을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하지근력을 증가시 키고 운동의 동작과 횟수를 늘려 운동 강도를 역치보다 높게 유지하였기 때문에 근 력과 지구력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한다.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중재 후 평형성이 높아졌는데, 이는 일반 노인을 대상 으로 9주간 팔 벌려 다리 앞, 옆, 뒤 들고 균형잡기 동작으로 덤벨 체조를 실시하

(46)

여 평형성이 증가한 한윤수(2007)의 연구결과와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한 발로 버티는 스텝 동작을 포함하여 댄스형 에어로빅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평형성이 증가한 Ryosuke 등(2002)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자를 잡고 한발 로 버티는 동작과 옆으로 다리 들기 동작을 포함함으로써 균형감을 유지하게 하면 서 하체의 근력을 증가시켰기 때문에 평형성이 증가하였다고 본다. 활동체력 영역에서 실험군의 상지근력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시설에 거주하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선무 운동을 적용한 신주희 등(2002)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였으나 8주 동안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액써사이즈 볼을 이용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옥정석 등(2003)연구결 과와 시설의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소고를 이용하여 한국 춤동작을 적용 한 전미양(2002)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운동 상해를 예방하고자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낙상으로 인한 골절이 상지근력보다 하 지근력 저하로 인해 많이 나타나는 것을 고려하여(김민정, 2004) 의자를 잡고 하지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 방식을 채택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민첩성과 유연성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재가 노인을 대상으로 16주간 이상의 운동을 실시한 연구에 서 유의하게 증가한 결과와 상반되었다(Fatouros 등, 2002). 또한, 재가 여성 노인 을 대상으로 에어로빅 댄스나 율동적 동작을 포함한 운동 중재의 경우 유연성이 증 가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변영희, 2006).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중재기간을 12 주로 구성하여 운동기간이 짧았고 율동적 운동 동작이 부족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한다. 향후 오랜 기간동안 운동프로그램을 지속하도록 리듬감을 살리는 율동적 동작을 삽입하여 재구성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허약수준은 물론 허약수준의 하부 영역으로 일상생활수행 능력, 영양․구강상태, 인지기능상태 등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다소 감소하 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허약수준에 해당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16주간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나 운동만으로 전반적인 건강상태의 변화를 보이 지 않은 신미경(2007)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는데. 시설노인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47)

건강증진을 바탕으로 6개월 이상의 지속적인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전반적인 건강상태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황봉연(2005)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 였는데 본 프로그램을 낙상을 예방하는데 중점을 두어 12주 동안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기 때문으로 판단한다. 이에 낙상 예방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수행능력, 영 양․구강, 인지기능에 효과적인 교육내용을 포함시킨 장기간의 추후 연구가 필요하 다. 허약수준의 하부영역 중 낙상위험상태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의 목적이 낙상을 예방하고자 낙상예방 교육과 함께 운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여 하지 근력, 지구력, 평형성의 활동체력을 증진시킴으로써 낙상으로부터의 위험을 감소시 킨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1회 40~50분, 주 3회, 낮 은 강도로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낙상과 관련하여 중요한 영향력을 주는 하지근력, 지구력, 평형성의 활동체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를 보여 허약수준 영역의 낙상위험상태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신체구성요소의 효과와 상 지근력, 유연성, 민첩성의 활동체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율동적 동작을 포함하여 6개월 이상의 지속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참조

관련 문서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thickness of subcutaneous fat in. Obese

Taken together, by applying physical strength exercise program to the elite table tennis players we can conclude that physical strength exercise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mplex exercise program activities using Motion-based games on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Despite this trend in addition to numerous studies examining the crime prevention effects of CCTV, a research that stud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s

Wrestler anaerobic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function by analyzing the impact of physical man wrestler necessary for the efficient exerci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whether voluntary early morning physical exercise effects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of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8-week GX complex exercise program on the stress index, blood lipid and AP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negative thoughts changing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on the negative automatic thou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