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태시의 유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생태시의 유형"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생태시

9 주차 . 여성과 생태시의 분석 및 유형 (1)

9 주차 . 여성과 생태시의 분석 및 유형 (1)

(2)

2. 여성과 생태시

생태시의 유형

2. 여성과 생태시

(3)

2. 여성과 생태시 2. 여성과 생태시

자연을 보는 관점

(4)

2. 여성과 생태시 2. 여성과 생태시

자연의 회복이 일부시인 여성성의 회복을 통해서 가능하다

고 말한다 . 가부장제의 이

분법을 지양 . 여성과 남성의 경계 , 자연과 과학의 경계를 부수고 있다 .

(5)

2. 여성과 생태시

1) 대지로 형상화 된 여성

2. 여성과 생태시

대지와 여성을 연관짓는 상상력은 신화의 세계에서 비롯한다 .

예 ) 천부지모 설화 – 여성들은 대지로 상징 .

① 자연이 인간에게 생명과 지혜를 주듯 , 여성들은 자식에게 모성애 로 생명과 지혜를 준다 .

② 자연과 어머니는 무조건적이고 무한정적인 사랑을 지속함으로써 깨달음을 준다 .

(6)

2. 여성과 생태시

작품 1 + 소재파악 2. 여성과 생태시

봄비 오는 들판을 가다 보면 저 흙 속에 한 여자가 살고 있음을 알게 됩니다

초록 깃털로 눈뜨는 풀들과 새 떼들을 누 가 저토록 간절히 키울 수 있을까요

봄비 오는 들판을 가다보면

나도 저 흙 속의 여자가 키우는 초록 아이가 되고 싶습니다

혹은 풀들처럼 싱싱하게 새 떼처럼 가뿐 하게아이들을 키워내고 싶습니다

하나쯤은 곁에 두고

볼을 부비며 살고 싶지만 봄비 오는 들판을 가다 보면 문득 저 나무에도

한 여자가 살고 있음을 알게 됩니다 . 끝없이 기도를 하는

푸른 손들이 살고 있음을 알게 됩니다 .

- 문정희 , 「초록 나무 속에 사는 여자」 전문

[

화자 ]

• ‘ 여자 를 알고 있는 사람으로 여자 의’ ‘ ’ 삶은 화자에게 어떤 소망을 갖게 함

• 그 소망은 그녀와 같이 아이들을 키워 내고 싶어함

[

소재파악 ]

봄비 , 들판 , 흙 , 초록 , 풀 , 새떼

시간적 배경 : 봄 , 공간적 배경 : 들판

‘ ’

위 소재들은 푸르다 는 이미지로 통일 된다 . 이는 곧 자연을 이미지화하고 , 그 생명력을 드러낸다 . 풀이 뿌리내리고 있는 흙 은 만물 ‘ ’ 의 생성 원천이면서 지속적인 생명력을 공급 할 수 있는 자양분을 포함한다 .

이 시에서 말하는 인간 사회의 생명력의 공급 ‘ ’

원천은 여자 이다 .

(7)

2. 여성과 생태시 2. 여성과 생태시

작품 1 + 내용분석 _1

화자가 말하는 ‘여 자’

화자에게 어떤 소망을 갖게 하는 대상

‘ 아이’를 갖고 싶어하고 , ‘ 아이’를 키워내기 위 해 자신의 모든 것을 희 생할 수 있는 존재

무엇인가에 대한 간절함 을 간직하고 대상물을 키우려는 존재

복수 ( 腹數 ) 인 존 재

세상 어디에나 존재하 면서 푸른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는 모태 의 근원

인간 사회의 생명력 공급의 원천

(8)

2. 여성과 생태시

작품 1 + 내용분석 _2

2. 여성과 생태시

 또 다른 자연의 이름

 흙에 뿌리는 박고 있으며 , 초록의 주체가 됨

 초록 빛깔을 만들어 시적 화자의 마음을 초록 으로 빚어냄

 풀 , 새떼 , 여자의 삶의 터전으로 삶의 에너 지를 만들어내는 공간

 자연물의 삶의 근원으로서 모든 영향 관계를 대표하는 대상물

‘ 나무’ 의미

(9)

2. 여성과 생태시 2. 여성과 생태시

작품 1 + 내용분석 _3 및 정 리

화자는 ‘여자’의 삶이 풀들과 새떼들을 키워내듯 초록 아이를 키우고 있음을 본다 .

‘ 초록 아이’는 성장하여 또 다른 ‘아이’를 키워낼 것이다 .

그 ‘아이’의 성별은 중요하지 않다 . 곧 어떤 성이든 ‘아이’는 성장하여 완전한 성인으 로 자랄 것이며 , 초록아이에서 성장한 인간이야말로 자연을 보살피는 주체로서의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

결국 , ‘ 아이’는 자연의 순수함과 자연이 부여한 본능에 충실한 주체이며 , 자연에게

보살핌의 대상이기도 하지만 , 미래에는 보살핌의 주체가 될 수 있다 .

(10)

2. 여성과 생태시 2. 여성과 생태시

작품 2 + 소재파 악

포릇포릇 움트는 저 새싹들

산기슭을 온통 불그레 칠해오는 살구꽃 복사꽃이 이 어미다 네 가슴속의 말

네 아들딸들의 해맑은 눈빛

흰구름 둥실 떠가는 저 높푸른 하늘 쉬임없이 흘러가는 강물

네가 딛고 있는 발 밑의 흙덩이가 바로 이 어미다 .

아 , 그 말씀 듣고 새겨보니

이 세상에 나를 둘러싸고 있는 모든 것이 내 어머니 아닌 것이 없어라

진작 어머니 품에 안겨서도 그걸 몰랐으니

나는 얼마나 바보 천치인가

- 이동순 , 「어머니의 품」

[소재파악 ]

새싹들 , 살구꽃 , 복사꽃 ,

해맑은 눈빛 , 높푸른 하늘 , 강물 , 흙덩 이

→ ‘나 가 살아가면서 항상 옆에 존재하거’ 나 스쳐 지나가는 것들이지만 , 화자가 시

선 한 번 주지 않았다 .

Why? 현대 사회의 분위기 때문 .

(‘나 를 생존의 경쟁에 내몰고 어머니의 존’ 재를 잊도록 강요하고 있음 )

(11)

2. 여성과 생태시 2. 여성과 생태시

작품 2 + 소재파 악

표현상의 특징

이 작품에서는 지시대명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

이 그 저

화자와 가장 가까이에 있

는 대상물 ‘ 저’보다는 더욱 가까이

에 있는 대상물 어머니의 현신으로 다른 사물들과 거리감

‘ 나’와 ‘어머니’의 거리감 을 없애줌으로써 평소 어 머니의 끊임없는 애정을

드러내기에 적절

‘ 나’의 인식 부족에 대한 거리감을 드러내기도 하

고 , 일정한 사물이라기 보다는 추상적 개념으로

인식 할 수 있음을 보여 줌

일정한 거리감을 통해 항 상 변함없는 시선과 자리 를 확보하고 인간들의 삶

주변에서 순환하고 있는 자연의 법칙을 보여줌

(12)

2. 여성과 생태시 2. 여성과 생태시

작품 2 + 내용분석 및 정리

• 화자는 “어미다”라는 외침 속에서 비로소 나를 둘러싸고 있는 모든 것들 중에서 내 어머니 아닌 것이 없음을 깨닫는다 .

• 여기서의 깨달음은 말씀을 듣고 새겨들은 결과물이다 .

• 비로소 시적 화자는 어머니의 품 안에서 풍요로움을 느끼고 , 자신에 대한 질책과 반성을 한다 .

• ‘ 나’의 깨달음은 독자들의 인식에 전환을 요구한다 .

• ‘ 나’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우리 인간들이다 .

결국 ,

화자는 ‘자연’이라는 어머니에게서 태어나고도 그 인식을 제 대로 하지 못하는 우리들을 대상으로 한다 . 그리고 자연을 ‘어미’

로 빗대어 표현함으로써 인간들의 새로운 인식 전환을 의도한다 . 시적 화자는 우리들이 ‘바보 천치’라는 것을 빨리 깨닫기를 ( 반성할 것을 ) 촉구한다 .

참조

관련 문서

동물들이 자신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생물학 적 전문화되어 있는 반면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전문화되어 있지 않다.. 인간은 특정상황에 전문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

남자 아이가 자신은 농구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하면서 여자 아이 는 어떤지 물었다.. ③ I

표현 방법에 있어 본 연구는 이러한 판화의 특징과 가능성을 살려 자연을 모티브로 출발하여 자연을 통해 정체성을 표현하고,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목판화를 매체

해부를 통해 여러가지 기관의 구조와 기능 중 다른 생물과 차별화된 특징을 찾고, 생체모방 활용방안을

· 개구리 해부를 통해 여러 가지 기관의 구조와 기능 중 다른 생물과 차별화된 특징을 찾고, 생체모방 활용방안..

4방 초음파 센서 부착의 경우 지각 능력을 통해 드론 조종 시의 안전사고들을 예방 할 수 있을 것이며 여러 센서를 이용한 놀이 제작으로 통해 학생들을 포함한

자연을 관찰하고 그 모습에서 원리 를 찾는 활동을 통해 자연과 교과의 연결을 찾아보고, 그 모습을 만들어 활용하면서 자연을 표현하는 기술을 경험할 수 있는

바이러스의 습격에 대비하여 우리 가 현재와 혹은 미래에 할 수 있는 일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등 바이러스와 관련한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