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존 듀이의 경험의 개념과 유형 분석을 통한 교육적 의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존 듀이의 경험의 개념과 유형 분석을 통한 교육적 의미"

Copied!
3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59)박주희**

목 차

Ⅰ. 머리말

Ⅱ 유기체와 경험

Ⅲ. 경험의 원리와 유형 분석

Ⅳ. 맺음말

<국문초록>

본 논문은 듀이가 제시하는 경험 개념의 원리와 여러 유형에 대해 분석하여 그 의미를 명료하게 밝힌다. 듀이 사상의 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프래그머티즘과 유 기체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 및 배경을 설명하고, 왜 유기체를 바탕으로 한 사유가 필요한지 유기체와 경험과의 관계를 통해 분석한다. 나아가 경험의 두 가지 큰 원 리라고 할 수 있는 연속성(continuity)의 원리와 상호작용(interaction)의 원 리를 분석한다. 경험의 연속성 또는 지속성과 경험이 한 축을 이루고 또 다른 축 은 상호작용과 경험이 한 축을 이루어 듀이가 제시한 경험의 총체적인 의미를 밝 혀낸다. 다음으로 경험의 여러 유형들을 개념적으로 분석하여 서술한다. 듀이는 경험이 아닌 것에서부터 경험이라고 규정할 수 있는 부분을 구분하여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경험이 가진 의미를 보다 세세하게 부각시켜 경험이 아닌 것, 일상 적인 경험, 하나의 경험, 미적 경험, 교육적 경험으로 유형화하여 설명한다. 듀이 가 ‘교육은 경험의 재구성’이라고 말할 때 경험이 가진 세세한 의미를 체계화하여 분류함으로써 교육적 의미를 이끌어낸다.

* 본 연구는 연구자의 박사학위논문 「미적 경험에 토대한 예술교육 연구」 중 일부 내용을 보다 심화 발전시켜 수정 보완한 것임.

** 고려대학교

(2)

주제어 : 존 듀이, 미적 경험, 하나의 경험, 교육적 경험, 유기체

I. 머리말

미국의 철학자이자 교육학자인 존 듀이(J. Dewey)는 자신의 사상을 프래 그머티즘(Pragmatism)적 사유 방법을 이용하여 표현한다. 프래그머티즘은 1900년대를 전후하여 미국의 남북전쟁의 상황에서 당시 학자들 사이에서 미국철학의 대안 또는 방법으로 제시하고 연구한 사조라고 할 수 있다. 당 시 미국은 국가 내에서 남과 북의 갈등, 노예제 폐지론자와 노예제 옹호론 자 사이의 분열, 흑인과 백인 등의 인종 갈등, 각종 난무하는 종교적 갈등 등 여러 문제가 산재해 있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철학자들은 미국에서 왜 이러한 갈등이 나타나는 것이며 무엇을 어떻게 하면 이러한 문제를 원만하 게 해결할 것인지 고심했다.

어떤 사상이 옳다는 확신, 또는 확신에 찬 확실성, 진리와 같은 이론적 문제보다는 현실의 문제와 갈등상황, 종교적 괴리 등을 해결하는 것이 미국 의 당연한 과제이며 그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했다고 여겼다. 이러한 이 유로 프래그머티즘은 역사적으로 필요에 의해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사유 되었고, 방법적 또는 이론적 측면에서 시사하는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래그머티즘이 미국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새로 운 철학으로 부상하게 된 것은 몇몇 철학자의 역할이 크다. 그것은 퍼스(C.

S. Peirce), 제임스(W. James) 등이 학창시절 학문적으로 교류하던 학회 모 임인 ‘형이상학적 클럽(Metaphysical Club)’에서 시작되었다. 이 모임 안에 서 철학자들의 자료 및 개인 연구와 발표를 통해 처음으로 프래그머티즘이 라는 용어가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특히, 퍼스가 프래그머티즘이라는 용어 를 처음으로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정작 이 용어는 1900년 이전, 퍼스

(3)

의 문헌에서는 그리 자주 나타나지 않는다. 퍼스에게 있어서 프래그머티즘 은 “특정한 철학도 아니요, 세계관도 아니다. 다만 그것은 하나의 사유 방식 을 의미할 뿐”1)이었다.

즉, 프래그머티즘은 ‘행위(conduct)’를 위한 사유방식이다. 프래그머티즘 은 다른 어떤 것 보다 경험을 중요시하는데, 다만 이전의 경험과는 다른 새 로운 경험주의를 주창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프래그머티즘은 생물학적인 관점을 바탕으로 인간이 환경과의 관계 안에 놓여 있기에 여러 변화를 겪 게 된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그 동안 교육철학 또는 철학 학계에서 존 듀이의 ‘경험’에 관한 선행 연구는 여러 각도로 상당 부분 이루어졌다. 이돈희(1993), 뺷교육적 경험의 이해뺸, 강영혜 외(2004), 뺷현대사회와 교육의 이해뺸 - 박철홍, 「경험 개념의 재이해」, 송도선(2009), 뺷존 듀이의 경험교육론뺸, 정해창(2013), 뺷듀이의 미완성 경험뺸, 박철홍(2011), 듀이의 경험 개념에 비추어 본 사고의 성격, 송광일(2010), 「듀 이와 경험으로서의 언어」, 박천환(2011), 「듀이 경험이론과 교육인식론」 등이 다. 각각의 연구는 듀이의 경험의 개념을 철학적으로 혹은 교육학적으로 세세 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에 다르게 필자는 듀이의 경험의 원리를 토대로 하여 경험이 가지는 여러 유형별 의미를 제시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차별점이 있다.

그 동안 듀이의 교육학 또는 듀이의 철학 연구는 포괄적인 의미의 경험에 대해 서술하고 있을 뿐 체계적으로 경험의 유형을 개념화, 구조화하지 않았 다. 따라서 필자는 경험이 아닌 것과 경험인 것, 소소하고 일반적인 경험에 서 하나의 경험, 미적 경험, 교육적 경험의 의미를 아우르며 듀이의 경험 개념을 세세하게 드러내려고 한다. 그리하여 필자는 듀이가 제시한 경험의 의미를 보다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할 것이다. 먼저, 듀이가 경험을 제 시하게 된 배경인 프래그머티즘을 바탕으로 하여 경험이 가진 보다 심층적

1) 조상식, 뺷윌리엄 제임스 교육론뺸, 문음사, 2005, 61면.

(4)

인 의미를 유기체, 경험의 원리, 그리고 경험의 유형들을 분석해 볼 것이다.

이것은 널리 알려진 말인 ‘교육은 경험의 재구성’이라는 듀이의 주장이 가 진 깊은 의미를 고민해 보는 데에도 일조할 것이다.

Ⅱ. 유기체와 경험

듀이는 “인간이 살아있는 유기체(organism)”2)라고 규정한다. 유기체로서 의 인간을 설정한 것은 듀이 자신만의 새로운 철학적 사고를 전개해 나가는데 기본적이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원래 유기체는 생물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듀이가 유기체라는 용어를 차용하게 된 것은 당시 심리학 자이며, 의사, 생리학자로 유명한 윌리엄 제임스(W. James)와의 친분 덕분이 다. 실제로 듀이는 생물학에 관심이 많았는데 생물학적 사고가 인간의 문제를 이해하고, 알아가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듀이는 생물학을 기본 바탕으로 한 유기체로부터 시작하는 철학 을 고안하게 된 것이다. 먼저, 유기체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성을 갖는 다. 첫째, 유기체는 단지 원자적으로, 독립적으로 따로 떨어져 존재하지 않 는다. 둘째, 유기체는 다른 유기체 혹은 무생물과도 서로 얽히고 얽혀 상호 연관성을 갖는다. 셋째, 유기체는 살아가기 위해서 그에 적절한 환경조건을 필요로 한다. 유기체에 관한 듀이의 설명을 보다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뺷경험과 자연(Experience and Nature)뺸(이하 EN으로 표기)의 내용을 살펴 보기로 한다.

2) Dewey, J.(1929), Art as Experience, Boydston, J. A.(ed.)(1983), John Dewey : The Later Works, Vol. 10. Carbondale and Edwardsville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이재언 옮김, 뺷경험으로서의 예술뺸, 책세상. 2003, 15면.

(5)

유기체의 각 부분은 스스로 조직되어 있으며 부분의 부분들도 그러하다. 그러 므로 주위의 사물들과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부분의 선택적 편견이 그 자체를 유 지하도록 작용한다. 동시에 부분이 소속하는 전체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식물 의 뿌리 끝은 조직화된 생명활동에 봉사하는 방식으로 뿌리 자신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의 부분을 유기체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정수하는 방식으로 토양의 화학 적 특성과 상호작용한다. 전체가 부분에서, 부분이 전체에서 이와 같이 편재적으 로 작용하는 것은 이 가능성이 식물생활에서 실현되든 되지 않든 감수성(느끼는 능력)을 구성한다.3)

위 글에서도 알 수 있듯이 듀이는 유기체가 가진 특성에 관하여 자연에 서 그 특징을 찾아내어 연관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유기체가 가진 자연과의 연관성은 더 나아가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에까지 나아가는 것을 말하는 것 이다. 유기체는 하나의 조직망처럼 서로 얽혀서 서로 영향을 주고, 서로 필 요한 부분을 주고 받으며 살아간다. 듀이는 기계적인 반복이 아니라 화학적 특성을 띤다고 하면서 상호작용(interaction)을 넘어 질적 변화를 하며 교호 작용(transaction)이 일어남을 이야기하고 있다.

또, 듀이는 끊임없이 기존의 해석 또는 전통적인 해석에 관하여 비판을 가하는데 이것은 유기체로서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듀이는 유기체로서의 생물이 자연에서 발생하여 우연히 살아가듯이 몸과 마음도 분리된 실체 혹은 독립적 존재가 아니라 유기체가 물리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데서 나온 성질을 경험하는 어떤 국면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몸과 마음, 또는 육체와 정신 등과 같은 구분을 하지 않고 한 생물, 한 인간으로 받아들이고 사유한다. 듀이는 개체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이 전체 몸과 마음속에서 그들의 성질에 대한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환경 과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함을 나타낼 뿐이라고 주장한다.

3) Dewey, J.(1925), Experience and Nature, Boydston, J. A.(ed.)(1983), John Dewey : The Later Works, Vol. 9. Carbondale and Edwardsville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신득렬 옮김, 뺷경험과 자연뺸,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2, 236면.

(6)

듀이가 볼 때 아주 오래 전부터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명, 유기체들은 태 어나고 사라지며 그 세월이 반복되면서 차차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왔다. 적 응이란 힘이 세고 건강하며 강한 생명만 살아남았다는 것이 아니라 우연하 게도 잘 적응한 생명이 있었고 그 생명이 연결되고, 연결되어 지금까지 이 어져 왔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적응하지 못한 유기체는 환경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때 유기체는 단지 환경 속에서 가만히 있으며 공간적인 의미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수동적으로 환경에 순응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유기체는 환경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하여 환경의 여러 요소들을 자신의 존재를 유지하고 갱신하기 위한 요소로 전환시켜 나 가며 살아왔다. 따라서 유기체가 스스로를 유지하고 자기를 보존하는 것이 곧, 듀이가 말하는 유기체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살아간다는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에 따르면 듀이에게서는 유기체가 모든 사유의 근원 이며 핵심적인 부분인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그의 작품과 강의활동에서도 유기체의 중요성에 대해 여실히 드러난다. 듀이의 교육사상이 집약되어 있 는 뺷민주주의와 교육(Democracy and Education)뺸(이하 DE로 표기)은 ‘삶 에 필요한 것으로서 교육(Education as a Necessity of Life)’이라는 주제로 시작하며, 1930년 하버드 대학에서 열 번의 주제로 했던 특강의 첫 번째 주 제도 ‘살아있는 생명체(Live Creature)’이다. 이 특강을 책으로 펴낸 것이 듀이 예술론의 총체적 작품인 뺷경험으로서의 예술(Art as Experience)뺸이 다. 달리 말하면 듀이는 살아있는 유기체를 바탕으로 한 사유를 펼쳤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듀이에게 있어 유기체의 문제는 전통적인 형이상학 철학 의 이원론 및 관념론을 극복하기 위한 최선의 문제였다.

듀이가 유기체와 함께 경험을 제시하게 된 것은 생물학적인 사유, 생물학 적인 접근, 생물학적인 결과 때문이다. 생물학적 관점에서 유기체의 경험은 주체와 객체의 분리된 개념이 아니라 상호작용하는 경험이다. 그것은 단지 나와 너, 주체와 객체, 자아와 타자 등의 관계가 아닌 그것을 포함하는 모든

(7)

외부 환경, 외부 요인 등을 포섭한다. 우리가 어떤 경험을 할 때 단지 내가 다른 사람을 만나는 것 뿐 아니라 내가 다른 사람을 만날 때의 날씨, 자연의 소리, 온도, 주변의 색, 분위기 등 많은 것의 영향을 받아 경험이 이루어지 기 때문이다. 인간에게 외부적 조건은 일차적으로 자연 환경이며 그 자연의 변화에 따라 경험이 시작되고, 경험의 방향이 결정되며, 경험의 색이 다양 해지며, 경험의 내용이 구성되어 진다.

자연적 환경과 다른 사람들과의 사회적 환경에 의한 경험에 더해 우리는 일상에서도 많은 경험을 하고 그로 인해 삶이 조금씩 바뀌고 완성되어 간 다. 예를 들어 한 달짜리 요리배우기 코스에 참여했다고 해보자. 우리는 처 음에는 야채나 음식 재료를 손질하는 것도 힘들어 하다가, 차차 그 과정을 배우고 최종적으로 이렇게 저렇게 만들어보고 완성에까지 이르게 된다. 또 는 피아노라는 악기를 연주하기 위하여 몇 년 동안 매일 한 시간씩 연습을 하여 피아노를 잘 다루고 그 음색을 익히는 경험과 같은 것이다. 그러한 일 련의 과정이 결국 하나 하나의 경험으로 자리잡아 더 성장하며 위로 발돋 움하게 하는 것이다. 삶의 과정 역시 그러한 과정이며 교육은 가장 대표적 인 경험의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이 쌓여서 교육도, 예술도 경험적으로 말 할 수 있게 된다. 경험은 지속적으로 누적되는 과정이며 거기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성장이 이루어지면 경험이라고 말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인간을 비롯한 유기체는 환경과의 상호작용과 그러한 관련성 안에서 끊임없이 활동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기체와 환경 과의 관련성은 유기체와 환경과의 상호작용 경험의 연속성 속에서 이해 가 능하게 된다. 유기체는 환경의 영향을 받으므로 홀로 성장하거나 홀로 경험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식으로든 환경에 의하여 내적 작용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 경험이 일어난다. 이 경험은 일회적으로, 단 한 순간에 끝나는 것 이 아니라 대개는 누적되고 축적되며 지속된다. 즉 경험은 시작이 있고 과 정을 거쳐 종결에 이르는 하나의 단위로서 경험인 것이다. 또, 경험은 시간

(8)

과 공간 안에서, 각자 각자에게 새로운 방식으로 겪어내는 것이며 그에 따 른 기쁨이나 즐거움, 슬픔이나 괴로움 등등 자기만의 감정과 정서가 표출되 기에 이것이 경험이 가진 생생한 특성이다.

Ⅲ. 경험의 원리와 유형 분석

1. 경험의 두 가지 원리 1) 연속성의 원리

듀이는 경험이 가진 특성에 대해 두 가지 원리를 일관성 있게 역설한다.

하나는 연속성의 원리(continuty)이며 또 하나는 상호작용(inter-action)의 원리이다. 경험이 단지 일회적으로 끝나거나 단절된 것이라면 경험은 연구 의 대상이 되지도 못했을 것이다. 경험은 연속성과 상호작용, 더 나아가 교 호작용이라는 개념까지 포괄하는 철학적인 경험이다. 특히, 듀이는 연속성 과 상호작용이 삶에서 본질적인 특징임을 논증하고 있다.

삶은 곧 생명이며 살아있다는 것은 무엇인가 계속하고, 지속하는 연속적 인 특징이 있다. 살아서 연속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은 무의식이 아니라 의식 적인 경험을 만들어가고 있는 상태이다. 깊게 생각해보면 인간에게 연속성 이라는 것은 본질 그 자체이다. 시간의 흐름 속에 과거, 현재, 미래가 결국 연속성이라는 특징으로 완성되는 것이다. 인간은 결정적으로 시간이라는 연속성의 지배를 받으며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경험 역시 연속성의 틀 안 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어떤 시기나 시간 속에 있는 인간은 삶의 과정 안에서 상황이나 사건 또는 대상과 같은 것으로 불리게 된다. 이것은 생명(life)이며 생명이 단절될 때 의식 적 경험은 멈춘다. 각각의 분리된 형식(상황, 사건, 대상)으로 나타나는 연속성 (과정들)은 생명(삶, 의식적 경험)의 본질이다.4)

(9)

듀이에게 있어 살아가는 것은 먼저 일어난 행위와 뒤 따라 이루어지는 행위 사이에 연결이 일어남을 의미한다. 만일 인간의 삶에서 연결된 행위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그것은 살아있는 것이 아니며 삶의 단절이며 끝나는 것 이고 죽음을 말한다. 따라서 삶의 연속성은 경험의 연속성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인간이 살면서 경험을 한다는 것은 연속적으로 어떤 일이 계속 일어난다.

인간을 비롯한 유기체가 환경과의 관련성에서 끊임없이 활동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유기체와 환경의 관련성은 유기체와 환경의 연속성의 개념 속에서 이 해될 수 있는 것이지 결코 분절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유기체의 환경에 대한 활동이 연속적으로 구성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상황에 대한 활동이 산발적 으로 흩어져서는 안 된다. 그렇다면 현재 상황에서 유기체의 활동이 연속성을 띠기 위해서는 각각의 활동의 결과를 체화된 형태로 축적시켜야 한다.5)

듀이는 연속성이라는 삶의 특징이 단지 이론적으로 인간에게 알려지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우리가 단지 지식적으로 알게 되는 것이 아니라 삶 의 행위 속에서 느끼고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인과적 과정이라는 것 은 어떤 원인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를 말한다기보다 계속적으로 행위가 일 어남을 의미한다. 마치 우리가 노을 지는 모습을 바라보며 기계적으로 저녁 7시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해가 지면서 선선하다고 느끼고 점점 어두 워짐을 느끼며 시간의 흐름 속에서 자기 자신과 외부 환경과의 접촉을 통 해 삶의 연속성을 받아들이는 것과 유사하다. 그러한 경험의 연속성은 삶 안에서 숙고하고 고뇌하게도 만들며, 어제와 같은 오늘이 아니므로 비슷해

4) Dewey, J.(1929), Art as Experience, Boydston, J. A.(ed.)(1983), John Dewey : The Later Works, Vol. 10. Carbondale and Edwardsville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이재언 옮김, 뺷경험으로서의 예술뺸, 책세상, 2003, 30면.

5) 이상원, 「유기체적 삶의 변화와 듀이의 탐구 개념에 관한 고찰-듀이의 Logic : The Theory of Inquiry을 중심으로」, 뺷교육철학뺸 43, 2011, 170면.

(10)

보이지만 매번 다른 태양을 보며 경험이 누적되고 쌓이면서 각자의 삶을 채워가도록 하게 하는 것이다.

경험에 있어서 연속의 원리란 모든 경험은 앞에서 이루어진 경험에서 무엇인 가를 받아가는 동시에 뒤따르는 경험의 질을 어떤 방식으로든지 변형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6)

그래서 듀이는 경험이 누적되어 이어진다는 것은 이 후의 경험에서 경험 이 질적으로 바뀔 수 있으며, 성질의 변형이 일어나기도 한다고 말한다. 그 만큼 진부하고 시시한 경험이 아닌 양질의, 질적인 경험을 하는 것은 경험 이 가진 질성적 특징이며 그에 따라 경험의 수준은 완전히 달라질 수도 있 는 것이다. 그래서 앞 선 경험은 후속 경험에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끼치게 되어 있다.

파편적으로 나타나는 사물의 성질을 연속적인 것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지식 이 필요하다고 본다. 예컨대 우리가 섬이라고 지각하는 것은 사실상 연속되어 있는 대지의 돌출부일 뿐이다. 그러한 연속성은 겉으로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추론을 통해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차이를 밝힐 때, 이론이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7)

위 인용에서 알 수 있듯이 듀이는 연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속적인 지식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왜냐하면 지식이 없이 사물의 성질을 알 수 없기 때문이 다. 사물의 성질은 단지 바라본다고 알게 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딸기를 보고 있다고 해서 딸기가 가진 맛이나, 만졌을 때의 느낌, 딸기가 언제 수확할

6) Dewey, J.(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뺷경험과 교육뺸, 강윤중 옮김, 배영사, 2004, 160면.

7) Dewey, J.(1925), Experience and Nature, Boydston, J. A.(ed.)(1983), John Dewey : The Later Works, Vol. 9. Carbondale and Edwardsville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신득렬 옮김, 뺷경험과 자연뺸,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2, 135~136면.

(11)

수 있는 것인지 등 알 수 없다. 그것은 딸기에 대해 사실은 잘 모르는 것이며, 딸기가 가진 성질에 대하여 연속적인 파악도 불가능하다. 이 전의 많은 철학자 들이 시각 중심주의적 사고를 가지고 마치 관조하고, 숙고하면 사물의 성질을 알 수 있을 것처럼 주장한 것에 대한 듀이의 비판이다. 듀이에게 있어 사물이나 세계에 대한 성질을 이해하는 것은 경험의 성질을 찾아내는 데에 매우 유용하 며, 유일한 방법이기도 하다. 경험을 함으로써 비로소 인간은 무엇인가의 성질 을 이해하게 되며, 그것이 곧 자신의 지식이 된다.

경험의 연속성은 모든 경험이 가진 특징으로 이전의 경험과 이후의 경험 이 이어져 연결되어 있음을 말한다. 다시 말해 ‘연속성의 원리’는 모든 경험 이 어떤 경험을 겪어내고 겪는 사람을 변화시키는 과정이며 이러한 모든 경험은 이미 앞에서 지나간 경험의 영향을 받아 그 이후에 오는 경험의 질 이나 성질을 어떤 식으로든 변화시킨다는 원리이다.

이전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경험이 일어나면 새로운 경험은 또 하나의 목적이 되지만 그 새로운 경험은 또 다른 새로운 경험을 위한 수단이 된다.

이렇듯 각각의 경험은 수단이 되기도 하고 목적이 되기도 한다. 이렇게 경 험은 목적으로서의 가치라기보다 성장하는 데 필요한 하나의 수단적인 가 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듀이가 말하는 연속성의 원리는 시간과 공 간이 얽여있는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시간과 공간의 문제를 듀이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시간은 몇몇 철학자들이 주장해온 순간적인 점들의 연속도 아니고, 끝없는 한 결같은 흐름도 아니다. 시간은 역시 기대 충동과 전진 그리고 후퇴운동, 저항과 휴지 등의 율동이 있는 조수(潮水)를 성취와 완성으로 조직하는, 조직화된 매개 체인 것이다. 시간은 성장과 성숙의 질서이다. 겨울에 스케이트를 배우기 시작하 면 여름에는 제법 탈 수 있게 된다는 제임스의 말처럼 말이다. 변화중의 조직으 로서의 시간은 성장이며, 성장은 정지와 휴식이 간헐적으로 일어나는 다채로운 일련의 변화와 새로운 발전의 출발점이 되는 일련의 완성들을 의미한다.8)

(12)

시간과 공간의 문제는 철학사에서 형이상학의 주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시간은 추상적이며 시간 자체는 공간없이 존재하지 않는다. 시간이 무엇이 며 시공간의 의미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은 인간에게는 어려운 숙제와도 같다. 그래서 듀이가 연속성이라는 경험의 특성을 시간이라는 개념으로 설 명하려고 시도한 것은 과거 철학자들의 주장에 대하여 반박하는 부분도 포 함되어 있다. 듀이는 시간이 순간적 점의 연속이 아니고 영원한 것도 아니 라고 말한다. 오히려 성장과 질서라고 설명함으로써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성장하며 질서있게 되는 것이 당연한 듯 말한다. 듀이에게서 시간은 죽음으 로 향하게 하는 악마적 존재도 아니며, 퇴보 역시 아니며, 삶을 풍요롭고 깊이있게 하는 수단적 의미이며, 긍정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개념이다. 시간 이 있어 삶은 더 아름다운 것이며 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듀이는 일련의 과정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맥락 없이, 문맥 없이 바라 보는 것은 현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아니라고 한다. 다만, 가만히 멈춰있 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그것이 의미를 갖는 경우도 있는데 그때의 멈춤은 실제로 정지되어 더 이상 가망없는 그런 상태가 아니라 도약하기 위하여 신발 끈을 묶듯이 멈추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경험의 주체와 환경과의 연관성이 상호 작용의 원리라면, 의식 내부의 경 험들 상호 간의 밀도있는 연결성은 연속의 원리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듀이는 결국 연속성이라는 개념적 의미를 경험의 원리에 적용시킴으로써 인간 경험의 독특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인간의 삶은 잠시도 멈춰있지 않고, 끊임없이 새롭게 만들어 가는 경험의 과정이므로 이와 같은 과정을 밟게 된다. 즉, 유기체의 생명체로서 힘이 계속되는 한 인간의 경험은 계속 적으로 새롭게 고쳐나가는 과정을 거듭해 나간다는 것이다.

8) Dewey, J.(1929), Art as Experience, Boydston, J. A.(ed.)(1983), John Dewey : The Later Works, Vol. 10. Carbondale and Edwardsville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이재언 옮김, 뺷경험으로서의 예술뺸, 책세상, 2003, 50~51면.

(13)

연속성이 경험의 중요한 기제인 것은 연속성이 가진 누적적인 특징도 포함 된다. 차차 쌓인 경험은 단지 연속적이라는 의미만 가지는 것이 아니라 보다 질적인 양상을 담은 경험으로 모이게 마련이다. 예를 들어 1단계, 2단계, 3단 계로 진행하는 모든 일련의 삶의 과정이 단지 시간 순서대로 같은 분량의 경험치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누적된 경험은 점점 그 깊이가 깊어질 수 있으며 두 배 또는 세 배 그 이상의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속담에 서 하나를 가르치면 열을 안다는 것처럼, 인간의 특성상 하나에서 둘, 셋으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갑자기 훌쩍 뛰어넘어 구, 십까지 가게 된다는 것이다.

그것이 공부하는 과정이든, 기술을 익히는 것이든 무엇이든 말이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빠르게, 정확하게 익혀나가는지에 대한 관심보다 이 일이 연속적 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핵심적이다. 그래서 한꺼번에 몰아서 일주일 만에 단기 속성으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과정도 3개월 또는 그 이상으로 나눠서 하는 것은 더 나은 경험을 하게 한다. 물론 이것은 단지 시간의 흐름과 양적인 증대가 아닌 경험의 질적인 변화를 이루었을 때를 말한다.

2) 상호작용의 원리

듀이는 경험의 두 번째 원리로 상호작용의 원리를 말한다. 상호작용의 원 리를 이해하는데에는 경험이 가진 매우 존재적인 의미에서부터 설명을 해 야 한다. 즉 경험은 오로지 나 하나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지구상에 그 어떤 생명체도 없고 나 홀로 존재한다고 상정해보자. 그 때 나는 나 자신을 무엇으로 지칭할 것인가. 나라고 부를 것인가, 너라고 부를 것인가, 혹은 아무 이름이나 지어 부를 것인가. 나아가 어떤 이름도 부르지 않을 것인가. 아마도 존재 자체를 설명할 이유도 없고 이름을 지을 필요도 없을지 모른다.

결국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나’라는 용어는 사실은 상대방인 ‘너’가 존재해야만 가능한 이름인 것이다. 이러한 언어적 구조와 특징만 살펴봐도

(14)

인간은 반드시 대상이 있어야만 하는 존재이다. 인간의 존재 자체의 특징이 그러하다. 듀이도 이러한 부분을 포착하여 인간은 경험을 오로지 혼자 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인간의 실존적 위치가 상호성 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가만히 한 사람이 홀로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외적으로 공기와 온도와 눈에 보이지 않는 많은 원소들과 바람 등등에 영향 을 받으며 서 있는 것이다. 그것이 한 사람의 기분과 움직임에 영향을 준다.

‘경험으로부터 배운다’는 것은 우리가 사물에 대하여 하는 일과 그 결과로 사물 에서 받는 즐거움이나 고통 사이를 앞뒤로 연결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는 것’은 ‘해 보는 것’, 즉 세상이 어떻게 되어 있는가를 알아내기 위한 실험을 하는 것이요, ‘당하는 것’은 ‘배우는 것’, 즉 사물 사이의 관련을 알게 되는 것이다.9)

듀이는 경험은 ‘하는 것’이며 동시에 ‘겪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듀이는 경험이 능동과 수동으로 결합된 형태, 즉 경험의 능동적 측면은 ‘해 보는 것’(trying)이며 수동적 측면은 ‘당하는 것’(undergoing)이라고 할 수 있다.10)

경험이라는 것은 그 속에 능동적 요소와 수동적 요소가 특수하게 결합되어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만 그 본질을 이해할 수 있다. 능동적 측면에서 볼 때 경험 은 해 보는 것을 말한다. 이 말의 의미는 실험이라는 용어와 연관시켜 보면 분명 해진다. 수동적 측면에서 볼 때 경험은 겪는 것을 말한다.11)

9) Dewey, J.(1916), Democracy and Education, Boydston, J. A.(ed.)(1980), John Dewey : The Middle Works, Vol. 9. Carbondale and Edwardsville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김성숙, 이귀학 옮김, 뺷민주주의와 교육뺸, 동서문화사, 2013, 227~228면.

10) ‘trying’과 ‘undergoing’은 학자들에 따라 다소 상이하게 해석하고 있다. “임한영(1968)은

‘trying’을 능동적인 면에서 시도하는 것으로, ‘undergoing’을 수동적인 면에서 경험당한 것으로 사용하고 있고, 김재만(1980)은 전자를 해보는 일로 후자를 당한 일로 표현하고 있다. 이홍우(1987)는 전자를 우리가 하고자 하는 것으로 후자를 결과로서 일어나는 것으 로 설명하고 있다. 강승규(1990) 박사학위논문 참고. 강승규(1990)는 전자를 시도와 그 시도의 결과로 일어난 현상의 뜻을 담고 있는 행하기와 수행된 것으로 표현한다.

11) Dewey, J.(1916), Democracy and Education, Boydston, J. A.(ed.)(1980), John Dewey

(15)

듀이의 설명에 따르면 경험은 양가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경험은 본질 적으로 단 한 번 뿐이며 실존적인 것이다. 경험은 일회적으로 같은 경험을 두 번 할 수는 없다. 설사 인간이 자신의 경험을 과거로 되돌린다고 할지라도, 되돌린 경험 안에서 자신은 또 다시 새로운 경험을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과거의 실수나 좋지 않은 경험을 바꿀 수 있다면 인간이 더 행복할 것 같지만 사실 인간에게 더욱 의미있는 것은 현재의 시간일 뿐이다. 듀이는 시행착오적 인 경험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이 가진 상호성을 통해 나만의 경험이 아닌 서로 상호간의 경험에 대해 말한다. 흔히 우리는 같은 환경, 같은 상황에서 두 사람이 각각 다른 경험을 인지하고, 자각하고, 기억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이것은 경험이 가진 특징이 단일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듀이는 상호작용에 관해 다음 세 가지 단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상호작용의 장은 세 가지 단계로 식별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물리적인 단계다. 다양한 사건들이 더욱 좁고 더 외적인 상호작용의 장면들에서는 물질적 이다. 두 번째 단계는 생명의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다. 이 단계에서 식물이나 동물, 하등동물과 고등동물이 성질에 있어서 차이를 갖는다. 이들이 질 적인 차이를 가질지라도, 심적 물리적인 것을 정의하는 공통의 성질(생명)을 갖 는다. 세 번째 단계는 소통과 참여의 단계다. 그것은 다양성을 통한 공통성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공통성은 정신이며, 이때의 정신은 지성이다. 지성은 의미들을 소유하고 반응하는 데에서 나타나는 공통성에서 드러난다.12)

듀이는 상호작용에는 어떤 상황이 존재하며 그것은 각 상황에 따른 성질에 의해 의미가 생긴다고 말한다. 성질이라는 것이 의미와 연관됨을 보여주며

: The Middle Works, Vol. 9. Carbondale and Edwardsville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김성숙, 이귀학 옮김, 뺷민주주의와 교육뺸, 동서문화사, 2013, 163면.

12) Dewey, J.(1925), Experience and Nature, Boydston, J. A.(ed.)(1983), John Dewey : The Later Works, Vol. 9. Carbondale and Edwardsville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신득렬 옮김, 뺷경험과 자연뺸,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2, 250면.

(16)

상황마다의 특성에 따른 변화를 설명한다. 성질은 환경이나 생명 혹은 무생물 등 모두가 가진 기본적인 속성이다. 나무는 나무의 성질이 있으며, 돌멩이는 돌멩이의 성질이 있다. 물이나 공기 역시 자신만이 가진 성질이 있다. 성질은 고유한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개별체를 특징짓게 해 준다. 그리고 듀이는 미적 성질과 같이 추상적인 성질 역시 모든 것에 담지되어 있음을 말한다. 유기체는 상황에 따른 성질을 통해 의미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유기체와 주위의 사정이 상호작용하는 상황들의 성질들이 식별되어질 때 의 미를 만든다. 의미(sense)는 감정과는 구별된다. 왜냐하면 그것은 하나의 인정된 참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의미는 어떤 사물의 질적인 특징이며, 하나의 침 몰된 미확인의 성질이나 음조는 아니다. 의미는 또한 의미화(signification)와는 다르다. 후자는 붉은 등이 위험을 의미하여 차량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을 때와 같이 어떤 것의 부호 또는 지표로서의 성질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한 편 사물의 의미는 하나의 직접적인 그리고 내재적인 의미이며, 그것은 스스로 느껴지거나 직접적으로 소유되는 의미이다.13)

결국 상호작용의 원리란 경험의 외부적 조건과 내부적 요인과의 관계성을 말한다. 또, “객관적인 조건과 내적인 조건이 함께 작용하는 것으로서 그러한 결합이 소위 하나의 상황(a sotuation)을 형성”14)하는 경험이다. 즉, 경험의 내부적, 외부적 요인이 처하게 된 상황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삶은 우연적인 사건의 연속성에서 유기체와 환경과의 관계맺음을 통해 유기체가 스스로를 재구성해가는 과정이다. 변화하는 환경에 유기체는 끊임없이 상호 작용을 해야만 삶을 영위해 갈 수 있는 것이다.”15)결국 듀이의 관점에서

13) 위의 책, 239~140면.

14) 양은주, 「듀이의 자연주의적 형이상학에 근거한 교육적 경험의 원리」, 뺷교육철학뺸 22집뺸, 1999, 64면 재인용.

15) 이상원, 「유기체적 삶의 변화와 듀이의 탐구 개념에 관한 고찰 - 듀이의 Logic : The Theory of Inquiry을 중심으로」, 뺷교육철학뺸 43, 2011, 164면.

(17)

인간의 경험은 개별적인 경험이 이루어지지만, 최종적으로 경험은 상호작용 의 원리와 연속의 원리를 통하여 단순히 ‘과거, 현재, 미래’로 시간적으로만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발전하며 변화하는 것이다.

나아가 성장의 계기이니 것이다. 경험의 성장이란 경험이 양적으로 증가하고 누적되며, 질적으로 변화하는 통합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생명체는 어떤 환경 속에서 영위되는데, 단순히 환경 속에서만 영위되는 것이 아니라 환경 때문에 영위되고, 환경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영위된다는 것이다.

그 어떤 생명체도 단지 자신의 몸과 피부 속에서만 사는 것은 아니다. 생명체의 피하 기관들은 신체 밖에 있는 것과 접속하는 수단이며, 살기 위해서는 화해하 고 방어하고 정복함으로써 외계에 자신을 적응시켜야 하는 수단인 것이다. 살아 있는 생명체는 매순간 외계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또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항상 환경 안에서 무언가에 의존해야 한다. 살아 있는 존재의 생애와 운명은 환경과의 상호 교류에 의해 결정된다. 단지 외적으로가 아니라 아주 내 밀하게 말이다.16)

듀이는 인간 누구나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경험을 하며 환경에 적응한다고 말한다. 적응하지 않으면 살기가 쉽지 않고 적응은 살아가기 위한 방법이며 서로 의존하는 원리라고 말한다. 새로운 사회에 적응하지 못한 사람도 타인 의 도움에 의존하며 적응하게 되고 또 다른 타인에게 도움을 주며 서로 연결 된 존재로서 삶을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그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않고, 적응 하지도 않는다는 것은 생명체로서의 삶을 포기하는 것과 다름없다.

듀이는 상호작용의 개념에서 그치지 않고 교호작용의 의미를 밝힌다. 교 호작용이란 “개인과 그를 둘러싼 상황 사이에 작용하는 어떤 것, 즉 외부상 황의 매개를 통하여 효력을 발생하는 활동이며 인식작용을 의미한다. 이것

16) Dewey, J.(1929), Art as Experience, Boydston, J. A.(ed.)(1983), John Dewey : The Later Works, Vol. 10. Carbondale and Edwardsville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이재언 옮김, 뺷경험으로서의 예술뺸, 책세상, 2003, 32~33면.

(18)

은 단순한 상호작용의 관점과는 달리, 개인의 직접적인 관찰이나 생명의 과 정이 지식획득과정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17)교호작용은 특히 경험 중에서도 미적 경험, 예술적 영역에서 극대화하여 나타날 수 있다. 모든 예 술작품은 교호작용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교호작용의 개념은 이어지 는 논의에서 예술 상호침투라는 개념과 거의 유사하게 사용된다. 즉, 경험 이 가진 교호작용의 원리 및 특성이 예술작품 속에서는 환경과 인간 그리 고 작품이 서로 얽혀 상호침투하는 과정이 생겨나기 때문이며, 이것은 예술 작품에 대한 역동적인 모습을 드러내는 개념이기도 하다.

2. 경험의 유형 분석

듀이는 경험의 의미를 여러 가지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듀이가 제시 한 경험 개념은 매우 풍성하고 깊이 있으며 다양하다. 세상에 경험이 아닌 것은 없다. 다만 우리가 매일 숨쉬는 것처럼 의식하지 않는 경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의식적인 경험도 존재한다. 듀이는 경험의 층위를 일차적 경험과 이차적 경험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일차적인 경험은 물리적 경험을 의미하 며 이차적 경험은 반성적 경험을 말한다. 여기에서는 경험이 아닌 것, 일상 적 경험, 하나의 경험, 미적 경험, 교육적 경험으로 듀이가 말한 경험의 의 미를 구분해서 이해해 보려고 한다.

1) 경험이 아닌 것

첫째, 듀이는 행위가 의식적으로 인지될 때를 경험이라고 정리한다. 즉, 능동과 수동의 결합이 아닌 행위, 일방적인 행위, 의식하지 않고 무심코 한 행위는 의식적인 경험이 아닌 것이다.

17) 김무길, 「듀이의 교육적 경험론에 내재된 Transaction의 의미」, 뺷교육철학뺸 25, 2001, 20~22면.

(19)

한 아이가 불 속에 손가락을 집어넣을 경우, 그가 불 속에 손가락을 집어넣는 행위 그 자체만으로는 경험이 될 수 없고, 그 동작의 결과로써 그가 겪게 되는 고통과 연결될 때 비로소 경험이 성립된다. 그 때부터 불 속에 손가락을 집어넣 는 것은 화상을 입게 됨을 의미한다. 화상을 입는다는 것이 어떤 행위의 결과로 서 지각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나무토막이 타는 것과 같이 단순한 물리적 변화에 불과하다.18)

이처럼 아이가 고통을 느끼면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능동적 요소 와 수동적 요소가 합쳐져서 경험은 이루어진다. 나무 토막이 타는 행위는 그것 자체로는 물리적 변화이지 경험이 아니며, 순간의 행위 역시 그 자체 로만 끝난다면 경험이 될 수 없다. 경험은 한 순간의 행위가 아닌 연결, 지 속, 계속되는 행위이며 어떤 행위로 인한 결과로 인해 자각하며, 인지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며 시작이 있고 과정을 지나 끝이 있게 마련이다. 따 라서 지속적이지 않은 한 순간의 시점을 경험일 수 없다.

2) 일상적 경험

둘째, 일상적인 경험이다. 여기에는 우리의 일상적이며 소소한 경험, 미 적 경험과 하나의 경험으로까지 나아가게 되는 모든 가능성의 경험도 포함 된다. 따라서 일반적 경험 속에는 하나의 경험과 하나의 경험이 아닌 것, 미적 경험과 미적 경험이 아닌 것, 교육적 경험과 교육적 경험이 아닌 것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3) 하나의 경험과 미적 경험

우리의 느슨하고 목적없는 일상의 행위가 완성을 향해 나아가 하나의 완

18) Dewey, J.(1916), Democracy and Education, Boydston, J. A.(ed.)(1980), John Dewey : The Middle Works, Vol. 9. Carbondale and Edwardsville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김성숙, 이귀학 옮김, 뺷민주주의와 교육뺸, 동서문화사, 2013, 163면.

(20)

결된 단위로서 경험이 되면 그것은 하나의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일상적 경험이 완성으로 나아가면 ‘하나의 경험’이 된다. 하나의 경험은 미적 경험 이라고 할 수 있다. 하나의 경험과 미적 경험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갖는다.

공통점은 둘 다 질적인 성질을 가진 경험이라는 것이다. 완성적 경험이며 처음과 중간 끝은 지닌 하나의 완결된 단위의 경험이다. 다만 둘의 차이점 으로 미적 경험은 예술에 관계된 경험이라면 하나의 경험은 지적인 경험 또는 일의 완성으로서의 경험이다.

대조적으로 하나의 경험이 아닌 것은 무엇일까. 듀이는 모든 것이 완결되 고 마무리가 되어 더 이상 이룰 것이 없는 완료된 세계는 정지되어 있고 멈춰버렸다고 말한다. 또, 목적없이 느슨하게 하는 활동, 뭔가 배우려고 했 지만 이것 저것 맛만 보고 결국은 아무 것도 배우지 못한 활동 등과 같이 하나 마나한 행위나 모습들이 미적이지 않다고 하면서 다음 두 가지 예시 를 제시한다.

하나는 모든 것이 끝난 세계이다. 종점까지 다 와 버린 세계를 말한다. 그러한 세계는 완결되었고, 이미 완료된 세계이므로 일말의 불안과 위기도 없고 일을 결행할 기회도 없다. 모든 것이 이미 충족된 세계에서는 성취가 없다. 생명체는 자기와 환경 간의 균형을 잃고 회복하기를 부단히 되풀이하고 있다. 완성된 세 계에서는 수면과 각성의 구별이 없다. 또 하나는 완전히 혼란스러운 세계이다.

너무 혼돈의 상태에서는 어떤 조건들이 외계와의 갈등에 빠지지도 않는다. 그저 복잡하게 어떤 질서도 규칙도 없이 산만하기만 할 뿐인 것이다.19)

두 사람이 만나고 있다. 한 사람은 구직자이며, 또 한 사람은 그 일의 결정권 을 손에 쥐고 있는 사람이다. 면접은 기계적이어서 질문이나 답변이나 시종 사 무적이다. 그렇게 되면 두 사람이 만난 곳에 경험이란 없는 것이다.20)

19) Dewey, J.(1929). Art as Experience, Boydston, J. A.(ed.)(1983). John Dewey : The Later Works, Vol. 10. Carbondale and Edwardsville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이재언 옮김, 뺷경험으로서의 예술뺸, 책세상, 2003, 38면.

(21)

즉, 하나는 완전히 모든 것이 끝난 완료된 세계이다, 또 하나는 모든 것이 혼란스럽고 질서없는 세계이다. 그리고 삶의 모습 속에서 인간이 기계와 같이 반복적이고 사무적인 행위를 할 때는 미적 경험이라고 부를 수 없는 것이라고 듀이는 말한다. 예를 들어 아침부터 게임방에 가서 어떤 의지나 목적이 없이 게임만 하다가 끼니도 거르며 해가 어둑어둑 질 때 집에 와서 잔다면 그러한 하루의 경험은 ‘하나의 경험’도 아니며 미적 경험도 할 수 없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의사가 수술을 성공적으로 끝낸 경우, 기술자가 컴퓨터를 조립 하여 완성하는 경우도 모두 ‘하나의 경험’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미적 경험 이라고 할 수는 없다. 물론 모든 과학자, 모든 의사의 경험이 미적 경험을 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대개 과학자나 의사의 행위는 인지(recognition) 하는 것이지 예술활동과 같이 지각(perception)하는 것이 아님이 두드러지 기 때문이다. 듀이는 그 차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가장 세심하게 배려한 철학적, 과학적 연구도 가장 야심적인 산업적, 정치적 기획도 이 상이한 성분들이 하나의 통일적 경험을 구성할 때 미적 성질을 가진다.

왜냐하면 그때 그 다양한 부분들이 서로 연속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 어 있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렇게 경험된 연결고리를 통한 부분들은 단순히 시간적으로 중단이 아닌 하나의 완성과 종결을 향해 나아간다. …중략…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제의 경험들은 그것들을 시작하게 하고 지배하는 흥미와 목적으로 말미암아 변별적으로 미적이기 보다는 두드러지게 지적이거나 혹은 실천적이다.

그 결말은 하나의 공식이나 진리로서 추출될 수 있으며, 다른 연구의 요소와 지침 으로서 그 독립적인 실체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술작품에는 그러한 단일의 자족적인 저장물이 없다. …중략… 변별적으로 미적인 경험에서는 다른 경험들에 서는 압도당하게 되는 특징들이 두드러진다. 하지만 종속적인 그것들이 바로 지배 적인 성질이다.21)

20) 위의 책, 84면.

21) 위의 책, 102-103면.

(22)

이에 대해 풀어서 설명하면 듀이는 경험이 지적인 성질을 띠고 의미를 가지고 행위하는 것과 예술작품을 창작하거나 감상하는데서 오는 지배적 인 미적 성질은 다른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그렇게 되면 과학자의 경험은

‘하나의 경험’이지만 미적 경험은 아닌 것이 된다. 그렇지만 예술가의 경험 은 미적 경험이면서 동시에 ‘하나의 경험’도 되는 것이다. 듀이는 근원적으 로 지적, 실천적, 미적 경험을 분리하지는 않지만 변별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듀이는 과학자의 연구, 정치가의 기획과 같은 경험이 미적 성 질을 띠지만 미적 경험이라고 명명할 수는 없다고 그 차이를 명백히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결국, 미적 경험이란 고양된 경험이며 흐지부지한 경험 이 아닌 질서있고 계획된 경험이라는 것이다.

4) 교육적 경험

교육적 경험은 앞서 제시한 하나의 경험, 미적 경험과 같은 성장하는 경 험을 말한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논증이 잘 뒷받침해주고 있다. 결국 교 육적 경험은 경험의 큰 기본적 원리인 연속성과 상호작용으로 인해 만들어 지는 경험이며 하나의 경험 중에서 단연 미적 경험의 핵심을 이루는 것이 라고 말할 수 있다.

교육적 경험이란 생명체적 필요에서 나오는 일련의 사건들이 하나의 구조적 패턴을 형성하여 시작과 끝으로 경계 지워지는 단위 사태이다. …중략… 교육적 경험이 시작되기 위한 필요조건은 과거에 형성된 유기체와 환경 상호작용의 평 형이 일시적으로 깨어지고 저항, 갈등, 긴장을 일으키는 요소이다. …중략… 교 육적 경험이란 새로운 상호작용의 리듬을 형성하여 평형을 회복하는 완성적 결 말로 마감되는 것이다.22)

22) 양은주, 「듀이 예술철학을 통해 본 교육적 경험의 의미」, 뺷교육과정평가연구뺸 제3권 제1호, 2000, 58면.

(23)

듀이가 교육적 경험의 원리로 제시하는 연속성과 상호작용이란 그의 형이상 학의 핵심을 이루는 개념들이다. 시간적 연속성은 자연 안의 모든 개체의 존재 양상으로서, 순간적 질적인 변화와 지속적 구조적 변화의 상호침투를 통한 진정 한 생성적 변화를 기술하는 개념이다. 또한 자연의 상호작용은 물리적인 수준과 생명체의 수준과 인간의 수준에서 각기 질적인 차이를 보이며, 인간의 수준에서 행함과 느낌과 의미가 통합되는 상호작용이 실현된다.23)

이상으로 경험의 여러 유형들에 대한 구분을 통해 경험이 가진 포괄적인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듀이가 경험을 끊임없이 재구성하는 것이 교육이 라고 보았던 것은 그가 경험의 의미를 이처럼 세밀하게 분석하여, 의미있는 교육적 경험이 중요함을 보여주려고 했던 것이다. 그리하여 경험, 교육이 각자 독자적인 영역이 존재하지만 상호적이며 연결되어 있음을 듀이는 보 여주고 있는 것이다.

3. 교육적 의미

듀이는 미적 경험과 하나의 경험이 교육적 경험이라고 정의함으로써 미 적 사고가 질적 사고임을 말한다. 미적 경험은 시간을 필요로 하며 세계에 대한 완전함 채움을 지향하는 것이다. 미적 경험과 하나의 경험이 교육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동시에 미적 경험과 하나의 경험은 한 사람을 성장시킨다는 것이다. 듀이는 교육은 삶의 과정 그 자체이며 장차의 삶을 위한 준비가 아니라고 한다. 한국의 교육 역시 무엇이 문제인지 그 관점에 서 살펴본다면 교육 실패의 큰 원인은 학교가 사회생활의 한 형태라는 이 근본적 원리를 무시한다는 데에 있다. 즉, 현재의 교육에서는 학교를 학생 들에게 정보를 제공해주는 곳, 공부를 가르쳐 주는 곳, 습관을 형성해주는 곳으로 생각한다. 학교에서 습득되는 이런 것들의 가치는 주로 먼 장래에

23) 양은주, 「듀이의 자연주의적 형이상학에 근거한 교육적 경험의 원리」, 뺷교육철학뺸 22집, 1999, 76면.

(24)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아이는 장차 다른 어떤 것을 하기 위하여 이런 것들 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요컨대 그것은 단순한 준비일 것이다. 그 결과 로 이런 것들은 아이의 현재 생활의 경험으로 일부가 되지 못하고 따라서 진정한 교육이 되지 못한다.

영화 <아일랜드>에서 복제 인간에게는 없는 것을 ‘호기심’이라고 규정한 다. 그 만큼 인간에게는 알고 싶어 하는, 배우고 싶어 하는 욕구가 있는 것이 다. 달리 말해 사색이며 사고이다. 학교 교육은 사고와 상상력을 오히려 파괴 한다면 학교가 어떤 의미인 것인가. 그러므로 학교의 역할은 인류에게 더욱 더 의미심장하고 무거워질 수 밖에 없다. 미래에 대한 준비는 듀이에게 있어 현재를 어떻게 사느냐에 달려 있다. 결국 중년, 장년기를 거쳐 노년기에 이를 인간의 삶에서 교육의 제 역할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단지 대학 혹은 취업만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보다 먼 미래, 보다 확실한 미래에 대한 책임 말이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말하는 미래는 대학입학 정도라고 할 수 있다. 학생들에게 성공에 대해 물으면 평균 29세에 성공하는 것이 성공이라고 말할 정도이다. 이후의 삶에 대하여 학교와 사회에서 잘 말해주지 않는다.

오로지 대학을 가면 모든 것이 해결될 것처럼, 그것이 듀이가 말하는 준비 아닌 준비인 것이다. 듀이에 관해 누스바움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교육은 사람을 위한 것이다. 교육을 위한 하나의 안을 디자인하기 이전에 우 리는 학생들을 책임감 있고, 민주적이며, 국내적, 세계적 중요성을 띤 다채로운 이슈들에 대해 제대로 생각하고 결정 내릴 수 있는 시민들로 만드는 방법과 관 련하여,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문제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24)

누스바움은 듀이의 이론을 바탕으로 교육이 사람을 위한 것이라는 기본 적인 토대위에 제대로 생각하고 결정할 수 있는 사람을 키워내는 것이 필 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논증은 인간이 세계에 대해 사고하고 스스로를

24) 마샤 누스바움(M. Nussbaum), 뺷공부를 넘어 교육으로뺸, 우석영 역, 궁리, 2012, 63면.

(25)

성장시키는 역할, 소통하고 대화하는 역할이야말로 여전히 중요함을 역설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경험에 대한 듀이의 연구가 미국의 프래 그머티즘이라는 역사적 상황 속에서 나왔음을 제시하고 그에 따라 경험 개 념의 분류를 제시하여 듀이가 경험을 통해 교육의 의미를 보다 체계적으로 논증하고 있음을 서술하였다.

Ⅳ. 맺음말

본 연구는 듀이의 ‘교육은 경험의 재구성’이라고 널리 알려진 표현에서 경험이 가진 의미가 무엇인지 분석하기 위해 개념적으로 탐구한 것이다. 듀 이는 철학자이자 교육자로 자신의 논지를 경험에서 시작하여 경험에서 마 무리하고 있다. 그만큼 듀이에게 있어 경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중요한 논점이다.

듀이는 경험이라는 개념이 이전의 철학사에서 관용적으로 사용되어왔기 때문에 자신이 제시한 경험의 의미가 이전의 것과 맥을 같이 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차선책으로 문화라는 용어를 대체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즉, 경험의 개념이 오해되지 않기를 바란 것 이다. 그것은 경험이라는 단어가 가진 의미가 보다 더 자신의 철학을 잘 설 명하는 용어인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자는 듀이가 제시한 경험의 원리와 유형을 분석하여 경험이 가 진 의미를 보다 세세하게 논의해 보았다. 즉, 경험의 연속성의 원리와 상호 작용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여 경험이라고 규정할 수 없는 것, 일반적인 경 험, 하나의 경험, 미적 경험, 교육적 경험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듀이는 경 험이 가진 다각적인 개념적 함의를 분석하였고 그에 따른 유형을 제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듀이가 제시한 하나의 경험과 미적 경험은 삶의 변화를 만드는 윤리적

(26)

이며, 개방적인 힘을 제공함을 시사하였다. 즉, 듀이는 우리의 삶이 현재적인 의미를 띠고 살아가게 하는 것이야말로 교육이 할 일이며 미적 경험이 보여주 는 메시지일 것이라고 제시한 것이다. 이처럼 미적 경험의 힘은 사람들 사이 에서, 사람과 외부 환경 사이에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그것 을 가능케 하는 환경은 민주주의 사회이다. 결국 듀이가 제시한 것은 인류가 가능한 다함께 서로 소통하며 민주적인 공존(coexistence)으로 나아가는 것 을 지향하는 것이라는 교육적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듀이가 경험이라는 개념이 가진 매력적이고 강한 힘을 발견하고 경험이 곧 교육의 핵심임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경험이 가진 보다 밀도 높은 개념적 분석을 통해 듀이가 밝히고 있는 교육에서 경험의 의미는 단지 1차 적이고 직접적인 경험만을 이야기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성장하고 완성을 위한 경험을 추구한다는 삶의 원동력으로서, 생명의 에너지라는 것을 함축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더 포괄적인 듀이의 경험 개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때 듀이의 철학이 여전히 시사하는 바가 크고, 교육의 주된 논의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Dewey, J.(1916), Democracy and Education : The Middle Works, (1899-1924).

Vol. 9.

Ed, by Jo Ann Boydston.(2008) Carbondale, Ill.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뺷민주주의와 교육뺸, 이홍우 역(1996), 교육과학사, 뺷민 주주의와 교육뺸, 김성숙ㆍ이귀학 역(2008), 동서 문화사.(DE)

________.(1922), Human Nature and Conduct : The Middle Works, (1899-1924).

Vol. 14. Ed. by Jo Ann Boydston.(2008) Carbondale, Ill.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________.(1925), Experience and Nature : The Later Works, (1925-1953). Vol. l.

Ed, by Jo Ann Boydston.(2008) Carbondale, Ill.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뺷경험과 자연뺸, 신득렬 역(1982), 계명대학교 출판부.(EN)

(27)

________.(1934), Art as Experience : The Later Works, (1925-1953). Vol. 10, ed, by Jo Ann Boydston. Carbondale, Ill.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008, 뺷경험으로서의 예술뺸, 이재언 역(2003), 책세상.(AE) ________.(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 The Later Works, (1925-1953). Vol.

13.

Ed, by Jo Ann Boydston. Carbondale, Ill.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008, 뺷경험과 교육뺸, 강윤중 역(2004), 배영사.(EE)

강승규, 「John Dewey의 판단이론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강영혜 외, 뺷현대사회와 교육의 이해뺸,, 교육과학사, 2014.

김재만, 뺷경험교육의 원리뺸, 재동문화사, 1965.

김무길, 「듀이의 교육적 경험론에 내재된 Transaction의 의미」, 뺷교육철학뺸 25, 2001, 17~35면.

박천환, 뺷듀이의 경험이론과 교육인식론뺸, 학지사, 2012.

박철홍, 「듀이의 ‘하나의 경험’에 비추어 본 교육적 경험의 성격 : 수단으로서의 지 식과 내재적 가치의 의미」, 뺷교육철학뺸 13, 1995, 81~109면.

______, 「듀이의 경험개념에 비추어 본 사고의 성격 : 이성적 사고와 질성적 사고 의 통합적 작용」, 뺷교육철학연구뺸 33(1), 2011, 79~10면.

송도선, 뺷존 듀이의 경험교육론뺸, 문음사, 2009.

송광일, 「듀이와 경험으로서의 언어」, 뺷범한철학뺸 56, 2010, 165~186면.

양은주, 「듀이의 자연주의적 형이상학에 근거한 교육적 경험의 원리」, 뺷교육철학뺸 22집, 1999, 63~79면.

______, 「듀이 예술철학을 통해 본 교육적 경험의 의미」, 뺷교육과정평가연구뺸 제3권 제1호, 2000, 47~62면.

______, 「미적 경험과 초등교육 : 듀이 예술철학을 중심으로」, 뺷초등교육연구뺸 17(2).

2004, 109~126면.

______, 「프래그머티즘 미학에 기초한 “예술적 교사” 이해 : 초등교육을 중심으로」, 뺷교육철학연구뺸 40, 2007, 109~137면.

이상원, 「유기체적 삶의 변화와 듀이의 탐구 개념에 관한 고찰- 듀이의 Logic : The Theory of Inquiry을 중심으로」, 뺷교육철학뺸 43, 2011, 161~191면.

이돈희, 뺷교육적 경험의 이해뺸, 敎育科學社, 1993.

이유선, 뺷듀이와 로티뺸, 김영사, 2006.

(28)

Nussbaum, M.(2010), Not For Profit, 우석영 역, 뺷공부를 넘어 교육으로뺸 궁리, 2011.

Menand, L.(2001), The Metaphysical Club, 정주연 역, 뺷메타피지컬 클럽뺸, 민음 사, 2006.

(29)

Abstract

Educational Meaning through John Dewey's Concept of Experience and Type Analysis

25)Park, joo-hee*

This thesis analyses principles of concepts of experiences suggested by John Dewey and their various types, and clarifies their meanings. First, it sets forth fundamental concepts and backgrounds of pragmatism and organism which are a basis of Dewey's thoughts. Next, it analyses relations between organism and experiences to explain why reasons based on organism are necessary. Furthermore, it also explains two principles of experiences - principle of continuity and principle of interaction. As continuity or sustainability of experiences and experiences form an integral part and interaction and experiences form an another integral part, experiences suggested by Dewey determine the general meanings. It analyses and describe various types of experiences conceptually. Dewey demonstrates by recognizing what defines experiences from what are not seen as experiences.

Consequently, it highlights the meanings of experiences. Therefore, the author tries to explain by formalizing experiences into general experiences, certain experiences, aesthetic experience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As Dewey suggests that education is a reconstitution of experiences through more specific, classified analyses of such experiences, this thesis is aimed at clarifying the meanings of such experiences.

Key Words : John Dewey, Aesthetic experience, An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organism

* Korea University

(30)

<필자소개>

이름 : 박주희

소속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전자우편 : ever3210@korea.ac.kr

논문투고일 : 2016년 12월 31일 심사완료일 : 2017년 2월 10일 게재확정일 : 2017년 2월 13일

참조

관련 문서

네트워크-공간의 탈유교이데올로기는(엄밀하게 구분 하면 탈유교적 현상이라 할 수 있는) 일상-공간의 유교이데올로기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역미러링이다. 21)

한편 많은 시험결과 수백 g의 폭약량으로 최소저항선의 길이가 1m 미만의 발파의 경우 폭 굉 후 암반표면에 균열이 일어날 때까지의 시간은 1~9 ms이며, 응력파의 작용에 의한

• 메리 위그만은 그녀의 학교에서 하루에 한 시간은 반주 음악가와 함께 다양한 움직임 실험을 통해서 완성된 위그만 자신의 독특 한 움직임 프레이즈를 창조하고 학생들에

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작동을 통제하고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지원한다.  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통제하고

지금까지의 고찰은 연극텍스트로서의 희곡이 갖는 몇몇 핵심특징을 말 해준다. 1) 시간과 공간 속에서 효과를 갖는다는 점에서 희곡은 다차원적이다. 2)

그러나 같은 레벨의 소리라도 자연물에 의한 상쾌한 것이라면 반대로 경계는 완화되고 공간의 모습은 개방된다.. 빛

▪ 메뉴버튼을 누르고 사용할 입술카드를 선택해서 녹음버튼을 누르면 자신이 말하는 대 로 녹음이 됩니다.. 시간은 30초이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모형 위성을 만들기 전에 각자 생각하는 위성을 다음 페이지에 있는 ‘내가 생각하는 인공 위성 그리기’ 코너에 그려봅니다.. 주어진 시간은 15분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