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선의 법사상 및 법사상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조선의 법사상 및 법사상가"

Copied!
4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법으로 풀어가는

역사기행

(2)

제8강

조선의 법사상 및 법사상가

류 승 훈

(3)

O 1749년 프랑스 지리학자 당빌리(D’Anville)가 제작한‘et des

O Rojaumes de COREE ET DE IAPAN’ 지도.

(4)

1. 조선 시대 이전의 법사상

- 고대 부족국가로부터 조선에 이르기까지

O 1) 엄법주의 및 응보사상

O 기원전 4세기경부터는 철기의 금속문화가 들어와 노동생 산력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원시적 씨족공동체 내부의 계 급분화를 촉진케 된다. 또한 사유재산제의 도입에 의해 씨 족 간의 경쟁과 투쟁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결국은 씨족 공동체의 해체를 가져오게 된다. 이를 통해 씨족공동체가 담당하고 있던 여러 가지 공적 기능 중 일부는 부족적 공 동체로, 일부는 사유(私有)에 기초를 둔 가족공동체로 옮 겨지게 된다.

O 부족국가 중에는 다시 발전하여 부족연맹국가를 형성하 기도 하고 이는 다시 왕제국가(王制國家)로 발전하게 된다.

(5)

O 당시의 부족국가들의 경우 원시시대의 신앙이나 규 범의식이 기층에 깔려 있었고 보다 세련되게 의식화 (儀式化)되었다. 당시의 형법은 법의 주류를 차지하 고 있었는데 종래의 민중적·관습적인 것으로부터 국 가적 법제로 발전하여 통치질서 내지 사회질서에 반 하는 행위는 엄벌로 다스리는 엄법주의(嚴法主義)로 바뀌었다. 이는 지배 계급의 필요에 따른 것으로 부족 장 내지 왕권의 유지 및 강화를 위한 것이었다.

O 또한 복수 본능에서 나온 응보사상의 기초 하에 사 유재산제 및 일부다처의 가부장적 가족제도 등의 사 회·경제적 요청에 의한 속형(贖刑)이나 형벌노비제도 (刑罰奴婢制度)가 등장하게 된다.

(6)

O 2) 율령법사상

O 고구려·백제·신라의 삼국이 형성되면서 왕권의 강화 와 함께 성문제정법 시대로 이행되었고 부족법 이래의 고유법사상이 그 기반이 된다. 이와 함께 중국으로부 터 율령법사상(律令法思想)을 계수하면서 율령 정치 의 발전을 꾀하게 된다.

O 율령이란 중앙집권적 전제국가를 유지하기 위한 통치 조직이며,

O 율령제도의 목적은 국가를 왕토왕민원리(王土王民原 理)의 기초 하에서 전 국토와 국민을 그 대상으로 하여 전제적 중앙집권적 지배를 관철하는 데 있었다.

(7)

O 삼국이 각기 왕제국가로 발전하면서 먼저 유교를 수용하여 발전을 이루게 되는데 유교 문화의 수용은 바로 율령정치의 사상적 기반 으로서 가부장적 통치이념과 윤리관을 받아 들이는 것을 말한다.

O 유교사상은 기본적 규범의 덕목으로서 일반

사회생활이나 관습의 형성에 대해서도 작용

하였는데,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뒤에는 당

나라의 율령이 수용되면서 율령사상은 더욱

심화되고 율령정치의 꽃을 피우게 된다.

(8)

O 통일신라시대의 율령법사상 내지 유교정치 사상은 그대로 고려시대에도 계승되었다.

O 고려 성종 때 중앙집권적인 통치체계가 정비 되고 당나라 율령의 영향을 받았던 신라 율령 의 유제(遺制)와 새로이 계수한 당 율령을 참작 한 고려의 율령이 제정, 시행케 되었다.

O 이후 송의 법령인 형통(刑統)·칙령격식(勅令格

式)도 부분적으로 계수하게 되고, 뒤에는 원나

라의 조격(條格)도 참고하거나 적용하였다.

(9)

O 3) 서천사상(誓天思想)

O 또 다른 법사상으로서 서천사상(誓天思想)을 들 수 있 는데, 이것이 갖는 의미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로서 신라의 남산신성비(南山新城碑)·임신서기석(壬申誓記 石) 및 최근에 발견된 울진신라비(蔚珍新羅碑) 등을 들 수 있다. 그에 따르면 어떤 행위의 실현 혹은 질서의 유 지를 하늘[天]에 맹세하고 그 맹세가 허위로 되어 그 행위가 실현되지 못한 경우에는 자기의 몸에 천벌이 내 릴 것을 승인한 것이라고 보았다.

O 이와 같이 지배자의 법은 전통의 성화력(聖化力)에 의 해서 신성시되고 하늘[天]의 섭리의 절대성에 결부 되는 등 초자연적인 힘에 의하여 담보된 것으로 인식되 었고, 지배자의 권력 역시 주술적·종교적인 확신이 법 적 확신으로서 보장되었다고 하겠다.

(10)

O 2. 조선 시대의 법사상

O 조선은 태조 이성계가 건국과 함께 법치주의를 강조 하면서 법전의 편찬 등 법제도의 정비 및 개혁으로 연 결된다. 법전의 편찬에는 당시의 법이념 및 법사상이 혼재되어 있기에 그 내용을 통해 당시 통치자 및 지배 권력이 갖고 있는 법이념과 함께 당시의 법사상이 무 엇인가를 가늠해 볼 수 있다.

O 법사상이란 사전적 의미로는 “법과 법 제도에 관련 되는 여러 문제에 대하여 각 시대의 사람들이 가지는 사상”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11)

O 조선은 유가적 예치주의·덕치주의와 법가적 법치주의의 사상융합에서 형성된 법사상을 계승하였다.

O 이는 구체적으로

O 법치주의(法治主義) 사상,

O 덕주형보주의(德主刑輔主義) 사상,

O 민본주의(民本主義) 사상,

O 양법미의(良法美意) 사상,

O 법 불가경개(不可輕改) 사상,

O 공기(公器) 사상,

O 변법(變法) 사상,

O 생명존중(生命尊重) 사상 그리고

O 흠휼(欽恤) 사상 등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O 조선의 법사상은 건국 초기로부터 비롯하는 조선 전기의 법사상과 임란을 전후로 한 조선 후기의 법사상으로 나누 어 볼 수 있다.

(12)

O 1) 조선 전기의 법사상

O 조선을 개국한 태조 이성계는 여말의 사회적 혼란과 민심의 동요를 우선 안정시킬 것이 절실히 요구되었 는데, 고려 말에 극도로 문란해진 법질서의 정비는 새 로 건국된 조선왕조의 중요한 과제였다. 이에 태조도 건국과 동시에 내린 즉위교서(卽位敎書)를 통해 국가 통치의 기본 방침으로서 통일적인 법률을 정립하여 법치주의 정치를 실현할 것을 선언하였다.

O 이어 발표한 관제(官制)에서 검상조례사(檢詳條例司;

오늘날의 법제처)를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의 부속 기관으로 설치하고 법령에 관한 사무를 맡게 하였다.

(13)

O 그러나 급격한 법제개혁은 오히려 민심을 불 안하게 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우선 고려 말의 의장법제(儀章法制)를 그대로 계승하여 점차 적으로 정비토록 하였다.

O 이에 따라 ‘경제육전(經濟六典)’·‘속육전(續六 典)’·‘육전등록(六典謄錄)’ 등이 편찬되었고 마 침내 조선왕조의 통일적인 기본법전인 ‘경국 대전(經國大典)’이 성종 때 완성케 된다.

O 조선시대 전기의 법사상은 이러한 일련의 기

본 법전 편찬과정에서 나타난 입법자들의 법

률관(法律觀)을 통해 드러나게 된다

.

(14)

O 조선 전기의 법사상은 법치주의사상(法治主 義思想), 덕주형보주의사상(德主刑輔主義思 想), 민본주의사상(民本主義思想), 양법미의 사상(良法美意思想), 법불가경개사상(法不可 輕改思想), 공기사상(公器 思想) 등으로 나누 어 볼 수 있다.

O 먼저, 법치주의사상(法治主義思想)인데, 태

조는 건국과 동시에 국가통치의 기본 방침으

로서 통일적인 법률을 정립함으로써 법치주

의 정치를 실현할 것을 선언하였다.

(15)

O 둘째로, 덕주형보주의사상(德主刑輔主義思想)인데, 백성을 다스림에는 덕과 예로써 하여야 되고 형(법)과 정(政)은 어디까지나 덕과 예의 보조적인 방편에 지나 지 않는다고 하는 사상이다. 먼저 법을 천지사시(天地 四時)의 자연질서와 같이 어그러짐이 없어야 하는데, 그러한 법은 성인이 만든 것이라고 보았다.

O 그리하여 중국의 하(夏)·은(殷)·주(周) 3대 성왕(聖王) 의 제도를 ‘고제(古制)’ 또는 ‘고훈(古訓)’이라 하여 이 상법으로 여겼고 주나라를 그 모범으로 삼았다. 주관 육전(周官六典)에 따라 법전의 체제를 이(吏)·호(戶)·예 (禮)·병(兵)·형(刑)·공(工)의 육전(六典)으로 한 점, 그리고 개개의 구체적인 입법정제(立法定制)를 일단 이러한 고제 또는 고훈에 비추어 보고 동시에 시의(時宜)에 맞 추어야 한다고 생각한 점 등이 이를 보여주는 징표이 다.

(16)

O 셋째로, 민본주의사상(民本主義思想)으로 법은 민신(民信)·민지(民志)에 따라야 한다고 보았다. 즉 인정(人情)에 합치하고 민생(民生) 을 평안히 하지 못하는 법은 아무리 고법이라 고 할지라도 폐법(弊法)이라고 여겼다. 따라 서 새로이 법을 제정할 때에도 시험적인 시행 을 거쳐 백성들의 호오(好惡)와 편부(便否)를 살펴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O 아무리 훌륭한 법이라도 그 운용에 있어 백성

의 신뢰를 잃으면 행해지지 않으며, 특히 형벌

은 국가의 중대사인 만큼 관리들의 자의(恣意)

에 의해 행하여지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보았

다.

(17)

O

O 넷째로, 양법미의사상(良法美意思想)인데 좋은 법, 훌륭한 뜻이란 곧 성왕의 제도에 합당하고 민심에 합 치하는 것으로,

O 시행하여도 폐단이 생기지 않고 국가나 백성 모두 편 안히 여기는 법을 의미하였다.

(18)

O

다섯째로, 법불가경개사상(法不可輕改思想)으로 일단 제정된 국가의 법은 경솔하게 바꿀 수 없다 고 보았다. 백성들은 본래 변화를 싫어하고 기존 의 법을 편안히 여기므로, 법을 가벼이 바꾸는 것 은 백성들의 신뢰를 저버리게 되어 국가의 안정을 해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것이다.

O

따라서 법을 개정할 때에는 현행법과 새로 만들 법의 이익과 폐단을 신중히 비교·검토하여 신법(新 法)의 이익이 현행법에 비해 확실히 커야 비로소 개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O

‘법립이폐생(法立而弊生)’ 또는 ‘일법립일폐생(一

法立一弊生)’이라는 격언은 이러한 사상의 소산으

로 법의 안정성과 영구성에 대한 강한 의식의 표

현인 것이다.

(19)

O

‘조종성헌(祖宗成憲)’을 경솔하게 바꿀 수 없다는 의식은 조선왕조의 법전체제에도 그대로 반영되 고 있다.

O

‘조종성헌’인 ‘경국대전’ 이후에 제정된 법령들은 일단 ‘녹(錄)’이라는 법령집에 수록되며, 새로이 법 전을 편찬 또는 개수(改修)할 때에 ‘녹’ 중에서 영 구히 시행할만한 규정들을 골라 ‘전(典)’에 실었다.

O

따라서 법의 불가경개성은 원칙적으로 ‘전’에 부 여되었으며, 일단 ‘전’에 수록된 규정들은 설혹 개 정되거나 실질적으로 폐지되더라도 ‘전’에서 삭제 될 수 없었다.

O

이러한 의식은 ‘속대전’·‘대전통편’·‘대전회통’에 이

르기까지 확고한 원칙으로 지켜졌다.

(20)

O

O 여섯째로, 공기사상(公器思想)인데, 법은 천하가 함 께 하는 공공의 기물(公器)이라고 보았다.

O 즉 실정법의 정당성은 그 자체나 군왕 자신에게서 찾아질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오로지 의지적(意志的) 천(天)인 천의(天意)에 근거한다는 유교적 자연법사 상이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O 따라서 법에 대해 실질적으로 최고의 권한을 가지고 있는 왕도 임의로 이를 폐지하거나 굽히는 등 사물화 (私物化)할 수 없다고 보았다.

O

(21)

O 왕은 ‘기법지종(紀法之宗)’으로 국법을 체현하는 근본적 종주(宗主)로 표현되었다.

O 따라서 국가의 기강확립과 백성의 교화를 위해서 는 왕 스스로가 백성과 함께 조종성헌을 준수할 것 이 요구되었다.

O 그러나 이와 같은 규범적인 의식이 항상 관철되었 던 것은 아니며, 현실적으로 왕이나 또는 권세가의 자의에 의하여 법이 후퇴한 경우도 많았던 것 역시 사실이라 하겠다.

(22)

O 2) 조선 후기의 법사상

O 조선 후기의 법사상은 실학파의 법사상으로 대표된다.

그 대표적인 것이 변법사상(變法思想), 생명존중사상(生命 尊重思想) 그리고 흠휼사상(欽恤思想)이다.

O

O 먼저 변법사상의 경우, 본격적인 변법론(變法論)은 조선 중기 선조 때에 들어오면서 등장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이 (李珥)의 변법론이 그 대표적 예이다. 이이는 법이 오래되 면 폐단이 생기게 마련이며 폐단이 생기면 마땅히 이를 고 쳐야 한다고 보았다.

O ‘경국대전’ 이후 ‘녹’으로만 수록되어 오던 각종 법령을 영 조 때 ‘속대전’으로 편찬하고, 이어 ‘대전통편’·‘대전회통’ 등 을 계속 편찬한 사실은 시대적 변화에 따른 이러한 변법론 의 요청을 국가가 자체적으로 수용한 대표적 예라 하겠다.

(23)

O 둘째로, 생명존중사상(生命尊重思想)인데, 이는 다 산 정약용의 법사상에서 잘 나타난다. 그의 저서 흠흠 신서(欽欽新書)에 생명존중사상이 잘 드러나 있다.

O 셋째로, 흠휼사상(欽恤思想)인데 이는 형정(刑政)에 대한 신중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영, 정조 시대를 중심 으로 특히 강조되었다. ‘속대전’ 편찬 시에 각종 악형 이 제거된 사실이 이러한 흠휼사상의 구체적인 표현 을 의미한다.

O 또한, 심리록(審理錄)·추관지(秋官志) 등의 관찬법서 (官纂法書)와 다산 정약용이 편찬한 흠흠신서(欽欽新 書)를 포함한 일련의 사찬법서(私纂法書)의 등장은 흠휼사상을 더욱 현실화하고 널리 보급시키고자 한 의지의 결과물로 보인다.

(24)

태조(이성계), 세종대왕

(25)

정도전(좌), 이 익(우)

(26)

이이(좌), 정약용(우)

(27)

O 3. 조선의 대표적 법사상가

O 1) 세종대왕

O 세종대왕은 즉위 초부터 법전의 정비를 포함하여 법 제정비에 힘을 기울였다. 그 예로서 세종 4년에는 ‘속 육전’의 편찬을 목적으로 ‘육전수찬색(六典修撰色)’을 설치하여 법전의 수찬에 직접 참여하기도 하였다. 세 종 8년 12월에 ‘속육전’ 6책과 ‘등록(謄錄)’ 1책이, 세종 15년에는 ‘신찬경제속육전(新撰經濟續六典)’ 6권과

‘등록’ 6권이 완성되었다. 이후 계속적인 개수를 통해

‘속육전’ 편찬사업이 완결되었다(세종 17년).

O

(28)

O 또한 형벌제도를 정비하고 죄수를 신중하게 심 의하라는 흠휼정책(欽恤政策)를 시행하였다.

O 대표적인 예가 감옥제도에 관한 것으로 양옥(凉 獄)·온옥(溫獄)·남옥(男獄)·여옥(女獄)에 관한 구체 적인 조옥도(造獄圖)를 각 도에 반포하였고(세종 21년),

O 죄수들의 더위와 추위를 막아주고 위생을 유지 하기 위한 법을 반포하기도 하였다(세종 30년).

(29)

O

세종대왕은 또한 공법(貢法)을 제정함으로써 조 선의 전세제도(田稅制度) 확립에 큰 기여를 하였 다. 종래의 세법이었던 답험손실법의 폐해를 시 정하기 위해 이를 전폐하고 공법상정소(貢法詳定 所)를 설치하여 연구와 시험을 거듭하여 공법을 완성하였다(세종 26년). 이는 전분육등법(田分六 等法)·연분구등법(年分九等法)·결부법(結負法)을 결합한 것으로 조선시대 세법의 기본이 되었다.

O

이러한 세종대왕의 법제에 대한 큰 업적은 세종

대왕의 백성을 존중하는 생명존중의 법사상에 따

른 것이라 하겠다.

(30)

O

2) 정도전

O

정도전의 법사상은 민본사상(民本思想)이라 할 수 있다. 정도전은 통치권이 백성을 위해 기능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고,

O

따라서 통치자가 민심을 잃었을 때에는 물리적 인 힘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는 역성혁명(易姓革 命)을 인정했고,

O

실제로 혁명 이론에 입각해 왕조 교체를 이루었

다.

(31)

O

O 정도전의 민본사상(民本思想)은 조선경국전 헌 전(憲典)에 담겨 있는 형법사상에도 반영되어 있 는데,

O 즉 형법이 인(仁)을 통해서 행하여져야 하고,

O 백성들이 피폐해지지 않기 위해서는 형벌이 관 리들의 자의에 의해 행하여지지 않을 것을 강조 하였다.

(32)

O

3) 이 이

O

이이의 법사상은 변법사상으로 대표되는데, 법 이 오래되면 폐단이 생기게 마련이며 폐단이 생 기면 마땅히 이를 고쳐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그 의 철학사상이라 할 수 있는, 즉 이(理)가 발현하 는 형태는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기에 의해 규정 받는다는 것과 밀접하게 연관되고 있다.

O

왕도(王道)·인정(仁政)·삼강(三綱)·오상(五常) 등

은 언제나 추구해야 할 불변의 가치이지만, 그것

을 실현하는 수단인 법제는 시대상황에 따라 변

화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33)

O 이이는 ‘향약(鄕約)’을 실천하였는데(해주향약), 조선시대의 ‘향약’은 상부상조(相扶相助), 권선 징악(勸善懲惡)을 목적으로 한 향촌의 자치규약 으로 유교적 도의를 선양하고 지방자치의 정신 을 북돋우는데 크게 이바지한 생활규범이었다.

O 참고로 성리학(性理學)은 12세기에 남송의 주 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다. 성 리학의 어원은 주희가 주창한 성즉리(性卽理)를 축약한 명칭이다.

(34)

O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자(주희)의 이름을 따서 주 자학(朱子學)이라고도 하고, 송나라 시대의 유학 이라는 뜻에서 송학(宋學)이라고도 하며, 이학(理 學) 또는 도학(道學)이라고도 한다. 학문의 목적은 위기지학(爲己之學, 자기(수양, 수기)를 위한 학문) 이다.

O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에 안향(安向)이 《주자 전서》를 들여와 연구한 데서 비롯되었으며, 성리 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그 체계를 파악해 크게 일가를 이룬 이는 백이정(白頤正)이라 할 수 있다.

(35)

O 조선시대에 이르러 뛰어난 학자들이(이언적·이 황·이이·기대승·김장생 등) 배출되면서,

O

O 인간의 이성을 강조하여 정신적인 면과 도덕적 인 면을 중시하는 주리설과

O 인간의 감성을 중시하고 현실 문제에 관심을 가 지는 주기설 등이 나오게 되었다.

O 주리설은 영남지방에서 발전하여 '영남학파'라 고 하며(이언적·이황·류성룡·김성일),

O 주기설은 기호지방에서 발전하여 '기호학파'라 고 하는데(서경덕·기대승·성혼) 이이에 이르러 완 성되었고, 김장생 등에게 이어졌다.

(36)

O 이이는 논리적인데 반해, 이황은 체험을 중시 하였다. 이이는 학문에 대하여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학문을 참된 학문이라고 규정하였다. 아 무리 훌륭하고 고결한 이론이라고 해도 현실에 적용이 불가능하다면 이는 헛된 공리공담이라 는 것이 그의 사상이었다.

O 그러나 그의 후배인 서인은 그의 실용사상을 사 장시키고 관념적이고 교조적으로 나아가 당쟁 을 격화시키게 된다.

(37)

O 이이는 이와 기는 하나라고 판단했다. 그의 사상은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로 대표되며 퇴계의 사단칠정(四端七情)설로서 이기호발설을 배격하였다.

그가 23세 때 지은 《천도책(天道策)》에 이미 그 바탕 이 드러나 있다.

O 즉 율곡은 이황이 기(氣)와 이(理)는 서로 독립되어 있다는 데 이설(異說)을 제기하여 우주의 본체는 이기 이원(理氣二元)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은 인정하나 이 와 기는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나 분리되거나 선 후(先後)가 있는 것이 아니라고 보았다.

O 따라서 이와 기는 최초부터 동시에 존재하며 영원무 궁하게 떨어질 수 없는 것이어서 이는 조리(條理), 즉 당연의 법칙으로 우주의 체(體)요, 기는 그 조리를 구 체화하는 활동이니 우주의 용(用)이라 주장하였다.

(38)

O 이황과 이이 모두 기의 뿌리가 이라고 했기 때문 에 모두 이일원론 또는 이기일원론이라고 할 수 있다.

O 이이의 저작인 《동호문답(東湖問答)》, 《성학집 요(聖學輯要)》,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 《시 무육조소(時務六條疏)》 등은 모두 임금의 도리와 시무를 논한 명저로 그의 정치에 대한 태도는 유 학자의 이상인 요순시대를 실현하는 것이었다.

(39)

O 4) 이익

O 이익의 법사상의 핵심은 예(禮)에 기초하지 않는 법의 존재를 부정하는 데에 있었다. 즉 법의 목표와 목적은 예 (禮)의 준수를 명함에 있다고 보았고, 법의 제정은 예(禮) 를 강제하고 위례행위(違禮行爲)를 처벌하는 데에 있다 고 보았다.

O 또한 이익은 성호사설(星湖僿說)에서,

O “향려(鄕閭; 시골마을)의 뭇사람은 매우 빈천하므로 얕 고 깊은 생각을 다 짜내어 조석으로 생계를 꾀하매, 이욕 의 테두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므로 무릇 빈천에 서 벗어나려고 하는 자들은 무엇이든 못할 짓이 없는 데 도, 오히려 감히 멋대로 간악한 짓을 하지 못하는 것은 법이 있음을 두려워 한 때문이다”라고 하여 법의 존재의 의를 강조하였다.

(40)

O 또한 “법(法) 과 이(利)는 서로 승제(乘除)가 된 다”고 하여

O 법(法)이 무거우면 이(利)가 가벼워지고,

O 이(利)가 무거우면 법(法)이 가벼워지게 되는

O 상호 모순되는 관계에 있음을 역설하였다.

(41)

O

5) 정약용

O

다산의 사상은 당시 조선의 정치, 경제, 사회, 문 화 등 사회 전반을 지배하던 성리학(性理學)에 대 한 비판에서 출발한다. 다산은 이(理)의 실제성을 부정하는데 무형의 추상물인 이가 현상의 존재근 거일 수 없다는 것이다. 인성론(人性論)에 있어서 도 그는 성리학의 주요 명제인 성즉리(性卽理)를 부정한다.

O

O

다산은 성(性)이 기호(嗜好)라고 생각하였고, 비

생산적인 4단7정(四端七情)의 논쟁에 관심을 두

지 않았다.

(42)

O 다산의 법사상(法思想)은 흠휼사상(欽恤思 想)으로서 이는 그의 저서인 흠흠신서(欽欽新 書)에 잘 나타나 있다. 흠흠신서(欽欽新書)는 일종의 형법서(刑法書)로 살인사건을 조사하 고 심리하고 재판하고 처형하는 과정에서의 공정성과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집필한 것 이다.

O 이 책에는 150여 건의 살인사건이 소개되어

있는데 법의학, 법해석 등을 포괄하고 있고 당

시의 재판제도 등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43)

O 여기서의 흠흠(欽欽)이란,

O “삼가고 또 삼가라”는 의미이다.

O 즉 일체의 편견을 버리고 공정하게 당사자의 주 장에 귀기울이고, 몇 번이고 살펴서 실체적 진실 에 접근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라는 가르침이 다.

O 다산이 유배지에서 쓴 목민심서(牧民心書)는 이 미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는 재판, 즉 형사 및 민사소송을 처리하는 원칙에 대해 자세 히 소개하고 있다.

(44)

O 먼저, 지방 수령들이 청송(聽訟)에 임하는 자세 와 재판관의 수신을 강조하고 있다.

O 아울러 재판관의 수신으로서,

O “청송의 근본은 성의(誠意)에 있고 성의의 근본 은 신독(愼獨; 홀로 있을 때에도 도리에 어그러짐이 없도 록 몸가짐을 바로 하고 언행을 삼감)에 있다”고 보았다.

O 이는 재판관은 모름지기 매사에 언행을 삼가고 몸가짐을 바로하기에 힘써 스스로를 수양하라는 의미일 것이다.

(45)

O 둘째로, 다산은 모든 송사를 아전들에게 떠맡기 는 사또들의 무책임함을 지적하였다. 모든 사건을 사또가 직접 살피고 처리해야 하며 친히 조사할 때 라도 백성을 속이는 무리한 수사는 피해야 한다고 하였다.

O 셋째로, 풍교(風敎; 교육이나 정치의 힘으로 풍습을 잘 교화하는 일)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O 올바른 청송이란 처벌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풍 교의 한 방법임을 강조하였다.

(46)

O 마지막으로, 아예 소송 자체가 일어나지 않는 무송사회(無訟社會)를 이상적인 사회로 보았 다.

(47)

O 경청해 주셔서

O 감사합니다

참조

관련 문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옥․김려 ‘ 전’ 에 반영된 조선후기의 사회적 문물과 제도,풍 습 등을 통해 과거의 전통을 인식하게 되고,전통의 가치를 좀 더 자연스럽고 흥미 로운

The contemporary music of the twentieth century due to various and new changes in the style of presentation, shows dramatic differences in comparison to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간섭계를 통과한(또는 반사한)4가지 종류의 빛(Fi g.6) 의 세기는 입사된 빛의 파장 (λ) 과 간섭계를 구성하는 공진기(Cavi ty)의 길이 () 에

이와 같이 불교의식무 속에서 승무의 원류를 밝히고 유사성을 밝히려는 일련 의 작업들이 있었지만,사실 불교의식무에서 현재의 승무의 모습을 발견한다는 것은

제안된 의사난수 생성기는 라인돌의 입력과 출력에 맞추어서 진행하였는데 먼저 초기 값 재설정(seed-update)에서 실난수(truerandom number)128bit를 입력으로

제1조(목적) 이 법은 「인감증명법」에 따른 인감증명을 갈음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본인 서명사실확인서 및 전자본인서명확인서의 발급 등에 필요한 사항을

전술한 대로 미인에 대한 사랑과 예찬은 중국고전문학의 세계에서 매우 깊은 함의를 지니고 있듯이 중국고전문학을 통해 수많은 문인들이 미인에 대해 찬미하였다.

에 의한 적조가 발 생하였으며 1988년 홍콩에서 k.mi ki mot oi 의 발생으로 200 0억원 이상의 대규모 피 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또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