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echniques for Evaluation of Ecological and Aesthetic Aspects of Landscapes through GIS Overlay Method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echniques for Evaluation of Ecological and Aesthetic Aspects of Landscapes through GIS Overlay Method"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Corresponding author: Rai-ik Jang,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Research Team,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Gongju 314-140, Korea, Tel.: +82-41-840-1207, E-mail: chri@cdi.re.kr

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민감도를 적용한 GIS중첩평가 계획기법

장래익*․이명우**

*충남발전연구원 환경생태연구부․**전북대학교 조경학과

Techniques for Evaluation of Ecological and Aesthetic Aspects of Landscapes through GIS Overlay Method

Jang, Rai-Ik* ․ Lee, Myung-Woo**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Research Team,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In this study a landscape evaluation was carried out for the submission of a natural landscape conservation plan with the intention to prevent damage to natural landscapes through incautious exploitation. In the case of Korean landscape evaluation, in fact, only the aesthetic value of the landscape is evaluated as related to development projects but the ecological relevance of the landscape cannot be estimated by evaluating only the aesthetic.

For that reason, this study performed a landscape evaluation, including the sensitivity limit of visible scenery and the diversity of ecological scenery. For the intention of landscape evaluation in the designation of an essential conservation area and for devisinga plan related to this area, a GIS applied to Ian McHarg’s map overlay method was used and both the ecological landscape diversity and the aesthetic value of the landscape was surveyed using this map overlay method.

A region can b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needs for concentration of management in influence analysis of landscape effect elements.

Key Words: Ecological Landscape, Visual Landscape, Landscape Evaluation, Map Overlay Method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자연경관훼손의 예방을 목적으로 자연경관보존방안을 제정하기 위한 경관평가 를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의 경관평가는 개발계획에 따른 시각경관만을 평가하고 있는 현실이며, 경관의 생태적 본질까 지 동시에 평가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시각경관민감도 와 생태경관다양성을 요소로 하는 경관평가를 진행하였다. 경관평가의 목적은 실질적인 보존지역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이앤 맥하그(Ian McHarg)의 도면중첩법을 적용한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를 활용하였으며, 생태경관다양도와 시각경관민감도를 측정하여 중첩분석하였다. 또한, 경관영향요소의 영향 력분석을 통해 집중관리지역을 분석할 수 있었다.

주제어: 경관평가, 도면중첩법, 경관영향요소, 식생다양성, 야생동물서식처, 시각민감도

(2)

Ⅰ. 서론

개발을 통한 경관의 변화는 인간이 갖고 있는 본성의 결과 이다. 그렇게 바뀌고 있는 경관은 인간의 시각을 통해 인식되 는 무기체의 변화 뿐만 아니라 그 공간 속의 많은 유기체까지 도 변경시키고 있다.

눈을 통하여 인식되는 경관은 단순한 무기체 덩어리에 그치 지 않는다. 경관은 눈을 통하여 인식되지만 경관의 가치는 그 경관의 위치 그리고 그 위치가 갖고 있는 역사, 문화, 전통, 추 억과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성격의 것과 인간의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오감을 통하여 수집되는 정보 그리고 수많 은 개체들의 유기적인 연결들까지를 포함하여 인간은 그 경관 의 가치를 느낀다. 하지만 경관은 그 경관을 인식하고 있는 사 람에 따라서 가치가 바뀔 수밖에 없는데 과거 침체되었던 경제 상황 속에서 경관의 가치는 실제 그 경관이 갖고 있는 가치보 다 적게 평가될 수밖에 없는 것이었고 그 결과 개발이 줄 수 있는 경제적 풍요로움에 경관의 가치를 버릴 수밖에 없는 현실 이었다. 그렇게 수많은 경관은 바뀌었지만 바뀐 경관을 통해 풍요로움을 얻게 되었고, 그렇게 얻은 풍요로움은 다시 인간에 게 경관의 소중함을 느끼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경관법, 환경정책기본법, 환경영향평가법 그리고 산지전용 등에 따른 경관영향검토 및 운영지침 등은 인간의 개발로 인한 경관의 훼손을 예방하기 위한 제도들이다(변병설, 2000). 하지 만 이 제도들을 살펴보면 경관을 시각경관 즉 경치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경관을 구성하고 있는 수많은 인자들 중 가장 큰 영향력을 갖고 있는 요소 중에는 시각적인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 만 경관을 평가함에 있어서 환경․생태적인 부분을 제외한 시 각적인 부분만을 평가하게 된다면 경관의 다양한 부분을 평가 한 것이 아닌 일부만을 평가하게 되는 것이다.

독일어의 ‘Landschaft’가 영어 ‘Landscape’로 옮겨지고 이것 을 우리말 ‘경관(景觀)’으로 번역하면서 경관은 필요 이상으로 시각적 측면이 강조되어 있다(장래익, 2008). 하지만 경관은 경 치 뿐만 아니라 인간과 생물이 실제로 생활하는 ‘환경’이나 ‘장 소’로 생각해야만 경관에 대한 올바른 시각일 것이다(이도원, 2001).

경관생태학(Landscape Ecology)에서는 경관을 비생물적 경 관(physiotope)과 생물적 경관(biotope)으로 구분하고, 이를 공 간생태계(ecotope)라 부른다. 비 생물적 경관은 눈에 보이는 시 각적인 개체들의 형태를 말하며, 생물적 경관은 그 공간 속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과 그 생태계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경관생태학적인 접근을 통해 생태경관다양성(Ecological Landscape Diversity) 과 시각경관민감도(Visual Landscape Sensitivity)를 측정하여

경관평가에 적용함으로 경관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평가결과의 등급화를 통한 계획의 적용 과 합리적인 관리방안의 도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연구대상지는 전라북도 부안군에 위치한 변산반도 국립공원 안에 있는 부안댐유역을 선정하였다(그림 1참조). 부안댐유역 은 국립공원과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자연자원 이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풍부하며 보존이 잘 되어 있고 여 러 분야의 연구조사 자료가 풍부하다(한국수자원공사, 2006).

또한 대상지는 댐 건설 및 새만금사업 등 대규모의 국책사업으 로 인하여 경관자원 및 환경의 훼손이 예상되는 지역으로 체계 적인 경관관리와 보전이 필요한 지역이다.

대상지의 면적은 부안군 면적의 약 12%인 57km2이며, 그 중 부안호 및 하천 등의 수면이 약 3km2 정도를 점유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토지이용은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연구 방법

현행하고 있는 경관평가 관련정책에서는 경관에 대한 정의 를 시각적인 요소로 한정하고 있다. 하지만 경관에 대한 다양 한 측면을 고려하여 한다면 시각적인 요소와 함께 생태적인 요 소를 포함해야 경관에 대한 온전한 정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를 생태적 요소와 시각적 요소로 구분하고, 각 요소를 평가하기 위해 사례분석 및 이론적 적용방안을 모색하여 각 요소를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새만금

부안군

김제시

부안호

고창군

정읍시

전라북도

그림 1. 연구대상지

범례: 행정경계, 연구대상지인 부안댐유역

(3)

방법을 도출하고 도출된 방법에 따른 경관평가를 진행한다. 또 한 경관평가결과는 계획에 적용하기 위해 등급화하고 경관영 향요소와 중첩분석하여 핵심관리지역을 분석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활용된 기초 데이터는 국토지리정 보원에서 발간하는 1:25,000의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수치표 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생성하였으며, 주요 도로, 경관영향요소, 수계 등의 지형적 요소를 추출하였다. 생 태정보의 추출을 위해서는 환경부의 생태자연도와 산림청의 4 차 임상도를 활용하였고, 야생동물의 조사데이터는 2006년에 수자원공사에서 발행한 「부안댐 및 저수지 주변지역 환경정비 기본계획」을 활용하였다. 기존의 자료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구 축하기 어려운 부분은 직접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기초자료로 활용될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Arc GIS 9.2(ESRI Inc., 2006)를 활용하였고, 주요 지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Garmin 60CSx를 활용하였다. 주요 조망점에서의 촬영을 위해서는 니콘(Nikon)의 D80카메라와 18

~135mm 렌즈를 164cm의 모노포드(monopod)를 활용하여 최대한 같은 높이에서 촬영하였다. 촬영된 이미지는 Xara- Xtreme Pro4(PANTONE Inc., 2006)를 활용하여 편집하였다.

1) 사례분석

미국 산림청(The Forest Service)의 시각자원관리체계(Visual Resource Management System: VRM)은 산림경관에 대한 평가 와 분석을 바탕으로 종합적인 산림경영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이명우, 2005). VRM을 구성하는 매트릭스는 이용자 의 관심에 따른 민감도와 경관을 구성하고 있는 개체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용자의 관심에 따른 구분은 전경(foreground), 중경(mid- ground), 원경(background)으로 구분하여 적용되며, 개체들은 선, 형태, 색채, 질감 등의 형태로 변경 후 등급화 하여 적용된다.

VRM 등급은 유보(Retention), 부분적 유보(Partial Reten- tion), 변경(Modification), 대폭변경(Maximum Modification) 의 4등급 체계로 구분되며, 유보의 경우 보존의 성격이 강한 것 이고 대폭변경의 경우는 활용이 가능한 경우이다.

미국, 뉴욕 뉴저지시에 있는 스터링숲(Sterling Forest)의 사 례는 시각경관과 생태경관을 동시에 적용하여 보다 높은 수준 의 경관평가를 진행하고 평가결과를 계획에 적용한 성공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사유지인 스터링숲은 개발이 가능한 토지이며 지역주민들이 여가를 위해 활용하는 지역이기도 했다. 그렇기 때문에 스터링 숲를 소유하고 있는 소유주는 개발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를 원했고 지역주민들은 보전하기를 원했다.

개발과 보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지역주민들은 스터링 숲을 매입하여 보전하기로 경정했다. 하지만 7,245ha에 달하는 전체면적을 매입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 어디를 먼저 사들여

서 보전할 것인지 결정해야만 했다. 이를 위해 Richard와 John (1998)은 적지분석기법을 도입하여 시민단체들이 우선적으로 사들여야 할 부지를 선정하게 된다. 이 연구를 위해 활용된 자 료는 홍수실적도, 토지피복도, 유역도, 표고, 표토, 토지이용도 를 활용하였으며 50×50m의 격자형태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생물서식공간내의 민감종으로 산림내부종인 명금류의 생태적 서식특성과 멸종위기종인 크리켓 개구리, 산 방울뱀, 붉은어깨매 등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는데, 조류의 경우 는 서식처로 숲을 지정하고 포장된 도로로부터 500m 이상 떨 어진 곳부터 보존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양서․파충류의 크리 켓 개구리는 서식하고 있는 습지와 그 주변 100m 지역을 보존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산방울뱀은 서식공간에서 1.6km지역까 지를 설정하였고, 붉은어깨매는 서식습지와 그 습지의 상류 유 역까지를 서식공간으로 설정하였다(Richard and John, 1998).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해외사례로부터 그 패러다임을 적용하 여 평가모형을 수립하였다.

또한 시각경관의 평가를 위해서는 탐방로를 중심으로 주요 조망점을 선정하고 선정된 조망점에서 주요 조망대상으로 시 점장을 생성하였다. 그 후 각 조망점별 시점장이 중첩되는 부 분에 중첩되는 만큼의 중첩빈도를 중첩영역에 적용함으로 민 감도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이렇게 진행된 시각경관 평가의 결과는 생태경관 평가와 함께 적용되어 우선적으로 시민들이 사들여 보존되어야 할 지역을 찾을 수 있었으며, 토지의 소유 주 또한 시민들의 편리한 이용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 발을 진행 할 수 있었다.

Lyle(1999)가 제시한 풍력발전소 입지선정과 관련된 연구에 는 시각경관민감도를 경관적 흡수능(Landscape absorptive capa- city)와 주요 조망점에서의 관찰가능 빈도로 정의하고 있다. 여 기서 흡수능이란 지형이나 수목에 의해 대상지가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는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 도입한 시각경 관민감도란 경관이 갖는 주요 관찰지점(조망점)에서의 조망 및 노출정도로 정의할 수 있다(Lyle, 1999).

자연환경보전법을 근거로 하는 생태자연도는 전 국토를 1:25,000의 스캐일로 식생,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습지, 지형 경관 등을 평가하여 3개 등급으로 구분한 지도로 여러 분야에 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하고 있다.

1~3등급권역은 각각의 평가요소를 적용하여 구분되며, 별 도관리지역은 법률의 규정에 의해 보전되는 지역 중 역사적․

문화적․경관적 가치가 있는 지역을 구분하고 있다.

생태자연도 1등급권역은 식생보전등급Ⅳ이상, 영급4이상, 녹 지자연도8등급이상 등을 기준으로 하며, 멸종위기종의 출현이 있는 경우 1급인 경우 750×750m의 격자로, 2급인 경우 250×250 m의 격자로 구분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이 출현하는 것만으로 1등급권역으로 설정하는 것이 아닌 그에 따른 자연환경이 일정

(4)

수준 이상일 경우 1등급으로 평가하고 있다.

녹지자연도는 식생을 대상으로 자연성을 10등급으로 구분하 여 평가하고 있으며, 자연성이 높을수록 높은 등급으로 규정하 고 있다. 식생의 천이단계에 따라 시가지의 녹지식생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지구를 시작으로 자연식생으로 천이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지역을 높은 등급으로 평가하고 있다. 생태자연도 에서는 녹지자연도의 8등급 이상의 지역을 생태자연도 1등급 권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식생보전등급은 식생의 보전가치를 평가하여 구분한 것으로 수직식생대에 따른 상관, 녹지자연도, 주요 식생유형을 기준으 로 평가한 것이다. 녹지자연도와 식생보전등급은 식생을 기반 으로 가치를 평가하여 구분한 것으로 생태자연도등의 평가요 소로 활용되고 있다.

2) 평가방법 및 등급화 적용방안

본 연구에서는 경관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그에 맞는 경관평 가를 진행하기 위해 경관을 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민감도 로 구분하여 평가를 진행한다. 또한 경관평가결과를 등급화하 여 계획에 적용하고 경관평가와 경관영향요소를 중첩분석하여 핵심관리지역을 찾는다.

시각경관민감도평가는 미국산림청의 VRM, 대한민국산림청 의 산지전용에 따른 경관영향 검토 및 운영지침, Richard와 John 의 스터링숲에 관한 연구 등을 기반으로 평가방안을 도출하였 으며, 생태경관다양성평가는 생태자연도작성지침, 생태자연도 에서의 녹지자연도 적용방안, Richard와 John의 스터링숲에 관 한 연구, 경관생태학적인 접근방법 등을 토대로 도출하였다.

또한 다양한 평가요소를 일괄적으로 분석하여 평가하기 위 해 이앤 맥하그의 도면중첩법(Map Overlay Method)을 활용 하였다. 도면중첩법은 적지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평가요소를 각각의 주제도로 작성하고 구축된 주제도를 중첩하여 적지를 찾는 방법으로 오늘날 GIS의 기초이론이 되는 연구방법이다.

시각경관민감도와 생태경관다양성은 평가요소로 적용되며, 이 두 가지 평가요소를 중첩분석하여 경관평가를 진행한다. 중 첩분석에 의한 경관평가결과는 등급화를 통하여 계획에 적용 할 수 있는 형태로 다시 분류하여 최종적인 경관평가등급도를 작성한다(그림 2참조).

그림 2. 연구의 흐름

(1) 생태경관다양성평가

생태경관다양성평가를 위해서는 식생과 동물의 부분으로 나 누어서 진행한다.

① 식생다양성평가

식생다양성평가를 위해서 활용 가능한 자료들은 임상, 영급, 경급, 밀도, 식생층위구조, 종다양성, 녹피도, 정규식생지수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등이 적용 가능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의 특성을 감안하고 목적에 합당한 데이터를 적용하기 위해 임상도의 임상, 영급 그리고 생태자연도의 식생보전등급을 적용하여 진행한다.

임상의 적용은 종조성이 자연식생에 가까운 활엽수 군락을 최고등급으로 하고 혼효림-침엽수림의 순으로 적용하여 활엽 수림 4점, 혼효림 3점, 침엽수림 2점, 기타 1점으로 적용한다.

영급은 영급별로 6영급 6점, 5영급 5점...1영급 1점 의 순으로 적용한다. 식생보전등급은 생태자연도를 활용하여 등급별로 Ⅰ 등급 1점, Ⅱ등급 2점, Ⅲ등급 3점, Ⅳ등급 4점, Ⅴ등급 5점을 적용한다. 이렇게 적용된 식생다양성요소는 각 요소의 가중치 를 같도록 조절하여 중첩평가하고 평가결과를 같은 간격으로 3 등분하여 가장 높은 점수대를 3점, 그 다음 2점, 가장 작은 점 수대를 1점으로 하여 적용한다(그림 3 참조).

② 동물다양성평가

동물다양성은 어류, 조류, 포유류, 양서·파충류, 곤충류 등을 조사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의 크기, 지형적 특성, 지리적 특성을 감안하고 대상지 내의 특이종을 적용하기 위해 어류, 조류, 양서·파충류를 대상으로 진행한다(그림 4 참조).

포유류는 어류, 조류, 양서·파충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서

그림 3. 식생다양성평가 과정도

(5)

식영역권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와 비교 해 봤을 때 한 개체가 갖고 있는 서식 특성이 본 연구의 대상 지보다 큰 경우가 많이 있다.

서창완 등(2008)의 논문에서 산양의 서식가능 영역이 ANN 분석방법에 의해 인간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100km2 넘는 면적을 산출했었다.

종의 서식특이성과 개체가 갖고 있는 서식특이성은 다를 수 있지만 본 연구대상지의 면적이 57km2임을 고려했을 때 본 연 구에서 포유류의 특이종을 선정하고 그 서식영역을 구분하여 평가에 적용하는 것은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판단하여 본 연구에서는 어류, 조류, 양서․파충류를 대상으로 진행한다.

부안댐 유역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는 부안종개, 긴몰개, 얼 룩동사리, 참종개, 미유기, 눈동자개, 참붕어, 빙어 등이 서식하 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부안종개(Iksookimia pu- mila)는 부안댐 상류 백천일대에서 서식하는 특이종으로 부안 댐건설 등의 환경변화로 인한 서식처 파괴가 우려되는 점을 고 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부안종개를 어류의 특이종으로 선정하 였다. 또한 부안종개의 서식처를 보전하기 위한 권역으로 백천 과 거석천이 만나는 지점을 중심으로 500m 내의 하천 양안으로 부터 100m의 영역을 부안종개가 서식하고 있는 영역으로 구분 하였다(박선아, 2007). 부안댐 유역에 서식하고 있는 조류는 총 33종이 관찰되었으며, 그 중 청호반새와 물총새 등 내륙 수변에 서식하고 있는 종을 대상으로 진행한다(한국수자원공사, 2006).

물총새, 청호반새와 같은 조류는 대상지에서 볼 수 있는 특 이종으로 물에서 가깝고 인간의 간섭으로부터 멀고 굴을 파서 둥지를 만들 수 있는 경사가 급한 곳을 선호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 조류의 표현은 서식 가능성으로 표현하며 평가 요소는 물이 있는 곳으로부터 가깝고 인간의 간섭 즉 포장된 도로, 탐방로, 건물로부터 멀고 경사가 급한 곳을 대상으로 조 류의 서식가능영역을 표현한다.

부안댐 유역에서 서식하는 양서․파충류는 구렁이, 금개구 리, 맹꽁이, 표범장지뱀 등 총 25종이 채집 및 확인되었으며, 그 중 전국적으로 희소한 표범장지뱀과 장지뱀을 특이종으로 구 분하였다. 또한, 발견장소를 대상으로 서식가능성을 Richard와 John의 스터링숲에 관한 연구에서의 동물의 서식가능영역 구 분기준을 참고하여 발견지점을 대상으로 하는 유역을 양서․

파충류 서식가능영역으로 구분하여 진행한다. 양서․파충류는 개체가 작고 서식반경 또한 그리 크지 않지만 그 서식처가 주 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특성을 감안하여 그 서식처 를 포함하는 유역을 서식가능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이렇게 진행된 어류, 조류, 양서․파충류의 서식가능영 역은 각 요소를 모두 합하여 생태경관평가의 동물부분으로 구

그림 4. 동물다양성평가 과정도

분표현하며 식생평가와의 가중치를 같도록 하기 위해 3점의 점 수를 부여한다.

③ 생태경관다양성평가

생태경관다양성은 1점에서 6점까지의 점수분포를 하고 있으 며, 4점 이상의 점수를 갖고 있는 지역은 동물평가와 식생평가 가 중첩되어진 결과이고, 3점 이하의 점수를 부여받은 지역은 동물평가와 식생평가가 중첩되지 않은 영역이다.

중첩되지 않은 영역이라 할지라도 각각의 요소가 갖는 특수 성이 있기 때문에 중첩되지 않은 영역은 3점에 포함하여 최종 3 점에서 6점의 점수분포로 구분하고 시각경관민감도와 같은 가중 치로 분석하기 위해 1~4점의 점수분포로 만든다(그림 5 참조).

(2) 시각경관민감도평가

시각경관민감도의 평가를 위해서는 대상지 내에서 조망점으 로 가능성이 있는 지점을 우선적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지점이 조망점으로 역할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도면상으로 선정한 조망점은 탐방객의 출입이 불가능하거나 군사보호시설과 같은 사유로 조망점의 역할이 어려울 경우 제외한다. 이와 같은 선 별과정을 거친 조망점을 대상으로 대상지의 조망점을 답사하 는데 각 조망점별 주요 조망대상과 시점장을 도면에 표시한다.

또한 답사 중 조망점으로 역할이 가능한 지점은 조망점으로 추 가하여 평가에 적용한다. 답사를 통해 조망점으로의 역할이 부 적합할 경우 최종조망점에서 제외한다.

그림 5. 생태경관다양성 평가 과정도

(6)

그림 6. 시각경관민감도 평가 과정도

시각경관민감도평가는 대상지 내에서 생성된 조망점과 각 조 망점에서 발생하는 주요 조망에 대한 시점장의 중첩분석으로 이 루어지며 가치의 적용은 중첩빈도로 진행한다. 또한 대상지 내 에서 시점장이 생성되지 않은 지역이라도 대상지 내에서 눈에 보이는 부분이기 때문에 1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시점장이 생성 되고 중첩되지 않은 부분에는 2점을 부여한다. 또한 중첩되는 부 분은 중첩빈도에 따라서 적용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생태 경관 다양성 평가와 가중치를 통일하기 위해서 등분류로 2분류 하여 낮은 쪽에 3점, 높은 쪽에 4점을 부여한다(그림 6 참조).

(3) 경관영향요소

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민감도를 중첩분석한 경관평가결 과는 대상지 내에서의 탐방객에 의한 훼손을 예상하고 있지 못 하기 때문에 경관영향요소를 분석하여 탐방객의 영향이 많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분석하여 핵심관리지역을 찾을 수 있다.

경관영향요소는 대상지 내에서 탐방객이 목적을 갖고 갈 수 있는 지역으로 영향요소가 많이 밀집해 있다면 그 지역은 탐방 객이 많이 갈 수 있는 확률을 갖고 있는 지역으로 볼 수 있다.

탐방객이 많이 찾고 이용도 많다면 그에 따른 훼손이 우려되 는 지역으로 볼 수 있으며, 핵심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지역으 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평가결과와 경관영향요소를 중첩분석하 여 경관적으로 우수하고 탐방객에 의해 훼손될 우려가 있는 지 역을 분석하여 핵심관리구역으로 구분하고 계획에 적용한다.

그림 7. 경관영향요소 도출과정

그림 8. 경관평가 매트릭스

범례: 1등급(보전구역), 2등급(복원구역), 3등급(완충구역), 4등급(활용계획구역)

시각경관민감도

4 3 2 1

생태경관 다양성

4 3 2 1

경관영향요소는 대상지내에서 사람이 많이 찾는 유형을 대상 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의 특성에 따라 사찰, 보물, 계곡, 폭포, 기암, 산봉우리, 천연기념물의 7개 유형으로 분류하 고 밀도분석을 통하여 경관영향요소를 분석한다(그림 7 참조).

(4) 경관평가

경관평가는 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민감도를 요소로 평 가하며 각 요소의 특성을 감안하여 그림 8과 같은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등급화 한다.

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민감도는 평가방법에 따라 가치 의 척도가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평가요소를 1~

4점까지의 분류로 재분류한 바 있는데, 이는 경관평가 매트릭 스에서 가중치를 똑같이 적용하기 위한 과정이다(그림 8 참조).

3) 계획적용방안

1등급이 부여된 8점에서 7점의 영역은 시각경관과 생태경관 3등급 이상이 중첩되는 부분으로 핵심구역으로 볼 수 있다. 1 등급이 부여된 지역에 대해서는 높은 수준의 보존계획이 적합 하며, 생태자연도 1등급과 같은 수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

2등급이 부여된 영역은 생태경관의 3점과 시각경관의 3점이 중첩되어 2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하지만 2점과 4점이 중첩 되어 2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는 확률을 갖고 있다. 이것은 생태 경관이나 시각경관의 한 가지 요소가 높은 점수를 갖고 있는 특 수성이 있는 지역이며, 또한 부족한 다른 한 가지 요소도 복원 을 통해 높은 수준의 점수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는

(7)

그림 9. 경관평가요소 및 결과

범례: 고 저, 서식처

v에서 ○ 계곡, ● 기암, ■ 보물, □ 사찰, △ 천연기념물, ▲ 산봉우리, 폭포

a: 임상 b: 영급 c: 식생보전등급 d: 식생다양성

e: 물과의 거리 f: 도로․건물과의 거리 g: 경사 h: 조류서식가능지역

i: 양서․파충류서식가능지역 j: 어류서식지역 k: 동물다양성 l: 생태경관다양성

m: 부안댐 n: 암지 o: 쌍선봉 p: 직소폭포

q: 월명암 r: 중계교 s: 시각경관민감도 t: 경관평가

u: 경관평가등급 v: 경관영향요소 w: 경관영향요소_밀도 x: 핵심관리지역

(8)

지역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2등급은 복원계획이 적합하다.

3등급이 부여된 5점에서 4점대의 점수가 부여된 영역은 시 각경관의 4점 영역과 생태경관의 4점 영역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는 확률을 갖고 있는 민감한 지역이며, 또한 1-2등급을 보호 하기 위해 필요한 완충구역으로 볼 수 있다. 3등급 영역은 생태 자연도 2등급과 같은 수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

4등급은 3점 이하의 점수가 부여된 지역으로 생태경관적으 로나 시각경관적으로 민감하지 않은 부분으로 볼 수 있다. 부 지 내에서 부지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계획을 적용할 때 4 등급의 영역을 활용할 수 있으며, 생태자연도 3등급과 같은 수 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핵심관리지역은 평가결과와 경관영향요소를 중첩분석하여 찾을 수 있으며, 도출된 지역을 대상으로 핵심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적합하다.

Ⅲ. 결과 및 고찰

1. 생태경관다양성

생태경관 다양성 평가는 식생평가와 동물평가로 나누어지며, 식생평가는 임상, 영급, 식생보전에 의해 평가되어진다.

그림 9a 임상은 침엽수림이 37.37%(21.16km2)로 가장 많은 면적을 점유하고 있었으며, 활엽수림은 28.08%(15.09km2)로 두 번째로 많은 면적을 점유하고 있다. 그림 9b 영급은 Ⅳ영급 이 47.15%(26.70km2)로 가장 많은 면적을 점유하고 있고, Ⅵ영 급은 0.19%(0.11km2)를 점유하고 있으며, 망포대 인근과 쌍계 사 인근에 분포하고 있다. 그림 9c 식생보전등급은 Ⅲ등급과

Ⅳ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Ⅲ등급이 18.90%(10.70 km2)를 점 유하고 있고, Ⅳ등급은 쌍선봉 일대와 쌍계사 일대에 0.29%

(0.16km2)를 점유하고 있다.

생태경관다양성의 식생다양성은 임상, 영급 그리고 식생보 전등급을 중첩분석하여 적용하며, 그림 9a, 9b, 9c를 합친 그림 9d로 표현할 수 있다. 생태경관 다양성 평가의 식생다양성평가 결과 2점 100이상 200미만이 61.56%(34.85km2)로 가장 많은 면적을 점유하고 있으며, 3점 200점 이상은 7.83%(4.43km2)를 점유하고 있었다. 생태경관다양성평가의 동물다양성은 어류, 조 류, 양서․파충류를 요소로 평가된다.

그림 9h 조류서식가능지역은 그림 9의 e 물과의 거리, 그림 9f 도로․건물과의 거리, 그림 9의 g 경사를 요소로 평가되며, 평가결과 전체 대상지 면적의 16.26%(9.21km2)를 점유하고 있 었고 부안호 인근이 가장 큰 면적으로 나타났다. 조류서식가능 지역의 평가과정을 그림 9c, 9f, 9g를 합친 9h로 나타낼 수 있 다.

그림 9i 양서․파충류서식가능지역은 직소천 일대에서 조

그림 10. 생태경관다양성이 우수한 직소폭포 일대 자료: 필자 촬영

사된 지점을 중심으로 그 일대 유역 17.43%(9.78km2)를 요소 로 적용하였다. 그림 9j 어류서식처는 대상지 내의 특이종 부안 종개의 서식처를 대상으로 500인근지역에 해당하는 하천인근 100m를 대상으로 평가에 적용하였으며, 면적은 전체 대상지면 적의 0.77%(0.44km2)이다. 동물다양성평가결과 전체 대상지 면적에서 33.62%(19.03km2)가 해당면적으로 산출되었으며, 그 림 9h, 9i, 9j를 합친 9k로 표현할 수 있다.

식생다양성과 동물다양성의 평가결과를 중첩분석하여 생태 경관다양성으로 경관평가에 적용한다. 그림 9의 l 생태경관다양 성은 최고점인 4점이 전체면적의 4.08%(2.31km2)를 점유하고 있으며, 대상지 내에서 양서․파충류의 서식가능지역과 식생이 중첩되어 나타나는 쌍성봉 일대와 월명암 일대에서 나타났으며, 1점은 전체면적의 63.92%(36.19km2)로 가장 많은 면적을 점유 하고 있다. 그림 9의 l 생태경관다양성은 그림 9d, 9k를 합친 것 이다. 생태경관다양성평가에서 가장 높은 점수가 부여된 지역 은 직소폭포 일대, 월명암 일대 등이 선정되었다(그림 10 참조).

2. 시각경관민감도

시각경관민감도 평가를 위해서 1차적으로 선별된 조망점은 총 7지점인 쌍선봉, 깃대봉, 암지, 중계교, 와우봉, 의상봉, 부안 댐을 선정하였으며, 그 중 군사시설, 탐방로외 지역 등의 이유 로 깃대봉, 암지, 와우봉, 의상봉을 제외하였으며, 현장 조사를 통한 최종 조망점은 부안댐, 암지, 쌍선봉, 직소폭포, 월명암, 중 계교가 선정되었다. 암지, 월명암, 직소폭포는 현장조사결과 조 망점으로 역할이 충분하였기 때문에 추가되었다(그림 11 참조).

그림 9m~r은 최종선정된 조망점과 각 조망점별 시점장을 분석한 결과로 시각경관평가요소로 적용된다.

시각경관평가요소를 중첩분석하여 중첩빈도를 분석하여 본 결과 쌍선봉, 월명암, 암지의 시점장이 중첩되는 지역이 가장 높 은 빈도를 나타내는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전체면적의 1.54%

(0.87km2)를 점유하고 있었으며 1회 중첩되어 나타나는 2점의 영역이 25.12%(14.22km2), 2회 중첩되어 나타나는 3점의 영역 이 18.25%(10.33km2)를 점유하고 있었다.

그림 9s의 시각경관평민감도는 그림 9m, 9n, 9o, 9p, 9q, 9r을

(9)

그림 11. 시각경관민감도가 우수한 암지일대 자료: 필자 촬영

합친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3. 경관평가

경관평가는 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민감도의 중첩평가에 의해 평가되며, 그림 9l과 9s를 더한 그림 9t로 표현할 수 있다.

경관평가매트릭스를 적용하여 등급화한 결과 그림 8의 u.와 같 이 나타났으며, 1등급이 0.66%(0.38km2), 2등급이 4.48%(2.54 km2), 3등급이 36.24%(20.52km2), 4등급이 55.85%(31.62km2) 를 점유하고 있었다.

1등급은 부안호에서 나타났으며 시각경관의 3~4점과 생태 경관의 3~4점 부분이 중첩되어 나타났다. 등급화를 적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점수분포 또한 부안호의 중앙 부분이 높게 나타 난다. 하지만 부안호의 중앙부분은 탐방객의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으로 그대로 두어도 개발의 압력이나 탐방객 등에 의한 훼 손이 우려되는 지역은 아니다.

4. 경관영향요소

본 연구에서는 경관영향요소의 구분 및 적용요소를 표 1과 같이 정리하였으며, 그림 9v와 같이 분포하고 있다.

적용된 요소는 계곡 5개 요소, 기암 5개 요소, 보물 6개 요소, 사찰 5개 요소, 천연기념물 4개 요소, 산봉우리 4개 요소, 폭포 5개 요소이다. 경관영향요소의 밀도분석 결과 그림 9의 w와 같 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월명암 인근이 가장 높은 밀도로 나타나고 내소사 인근과 관음봉 인근, 의상봉 인근이 높게 나 타났다. 월명암 인근은 쌍선봉과 월명암 그리고 기암의 경관영 향요소가 위치적으로 매우 밀집해 있으면서 주변에 많은 경관 영향요소가 분포해 있기 때문이다.

5. 핵심관리지역

핵심관리지역은 경관평가결과를 경관영향요소와 중첩분석하 여 도출되며, 이 과정을 그림 9t와 그림 9w를 합친 그림 9x로 나타낼 수 있다.

경관평가만을 적용하였을 때는 탐방객의 접근이 불가능한 부안댐 내부가 가장 높은 등급으로 나타나지만 경관영향요소 를 적용하여 분석하면 쌍선봉과 월명암 인근이 가장 높은 결과

표 1. 경관영향요소 요소

구분 적용요소

계곡 가마소, 와룡소, 분옥담, 선녀탕, 봉례계곡 기암 망포대, 신선대, 분초대, 쇠뿔바위, 우금암

보물 내소사 고려동종, 법화경절본사본, 내소사 대웅보전, 개암사 대웅보전, 내소사 영산회괘불탱, 개암사 영산회괘불탱 사찰 개암사, 내소사, 실상사, 월명암, 지장암 천연기념물 호랑가시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꽝꽝나무군락, 미선나무군락

산봉우리 의상봉, 쌍선봉, 옥녀봉, 관음봉 폭포 벼락폭포, 사성폭포, 선계폭포, 수전폭포, 직소폭포

그림 12. 핵심관리지역 자료: 필자 촬영

로 나타나게 된다. 이곳은 대상지를 찾는 탐방객이 가장 많이 찾는 탐방코스 중에 하나 이며, 생태자연도 등급도 1등급인 부 분이다(그림 12 참조).

Ⅳ. 결론

본 연구에서는 무분별한 개발위주의 정책에 의한 경관의 훼 손을 예방하고 경관의 다양성을 적용하기 위한 경관평가를 진 행하고 경관평가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의 등급화를 통한 계획 의 적용을 목적으로 경관평가를 진행하였다.

경관평가항목은 생태경관 다양성과 시각경관 민감도의 두 요소를 적용하였다. 생태경관 다양성의 식생은 임상, 영급, 식 생보전등급의 3가지 요소를 중첩하여 평가하였으며, 동물은 어 류, 조류, 양서․파충류의 서식예상지역을 적용하였고, 시각경 관 민감도는 시점장의 중첩빈도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생태경관 다양성과 시각경관 민감도를 요소로 하는 매 트릭스를 적용하여 최종적인 경관평가를 진행한 결과 대상지 면적의 0.66%(0.38km2)의 1등급 면적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활용이 가능한 4등급은 55.85%(31.62km2)의 면적을 도출할 수 있었다.

최종 등급이 적용되기 전단계의 경관평가도를 경관영향요소 와 중첩하여 대상지 내에서 관리에 중심을 둬야 하는 지역을

(10)

찾을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관리에 중심을 많이 두지 않아 도 되는 지역을 찾을 수 있었다. 경관평가에 의해 도출된 4등급 의 활용가능한 지역은 개발가능지역의 분석을 통해 개발가능 지를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분 석된 활용가능 지역은 바로 활용을 하는 것이 아닌 활용계획과 주변의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하여 활용계획을 수 립하는 것이 합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를 통해 대상지 내에서 경관의 다양한 측면 중 생태 적인 부분과 시각적인 부분을 동시에 적용하여 평가를 할 수 있었으며, 이렇게 적용된 경관평가는 경관의 다양한 측면을 평 가하였기 때문에 보다 높은 수준의 보존타당성을 얻을 수 있었 다. 하지만 평가요소의 가중치를 동일하게 하여 적용함으로 평 가요소간의 중요도를 적용하지 않았다. 이것은 평가요소간의 가치의 문제로 시점에 따라 견해의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본 연구의 한계로 볼 수 있으며, 추후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며 생태경관 다양성 평가에 있어서는 동물서식공간의 영역성의 연구, 유역의 대표성을 표현할 수 있는 표본 조사의 문제 등에 대한 추가적 연구와 지속적인 모니터링 연구가 요구된다. 아울 러 시각경관평가에 있어서 국내 상황에 맞는 보편적 객관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인용문헌

1. 박선아(2007) 부안댐 상류하천 비오톱공간 보전방안. 전북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 변병설(2000) 경관평가기법개발에 관한 연구. 환경부.

3. 서창완, 최태영, 최윤수, 김동영(2008) 설악산 산양을 대상으로 한 야생 동물 서식지 적합성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3):

36.

4. 이도원(2001) 경관생태학. 서울대학교출판부.

5. 이명우(2005) 산림경관차원에서의 산지구분체계 및 산지관리 방안: (미 발표자료).

6. 장래익(2008) 생태경관 및 시각경관의 GIS중첩분석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한국수자원공사(2006) 부안댐 및 저수지 주변지역 환경정비 기본계획.

한국수자원공사.

8. Lyle, J. T.(1999) Design for Hunan Ecosystems. Washington D. C.:

Island Press.

9. Richard G. Lathrop, Jr, John A. Bognar(1998) Applying GIS and landscape ecological principles to evaluate land conservation alterna- tiv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1: 27-41.

4 인 익 명 심 사 필 : :

:

2 0 0 9 년 6 월 1 7 일 2 0 0 9 년 8 월 4 일 2 0 0 9 년 9 월 2 3 일 2 0 0 9 년 9 월 2 8 일

(1차) (2차)

수치

그림 6. 시각경관민감도 평가 과정도 시각경관민감도평가는 대상지 내에서 생성된 조망점과 각 조 망점에서 발생하는 주요 조망에 대한 시점장의 중첩분석으로 이 루어지며 가치의 적용은 중첩빈도로 진행한다
그림 9. 경관평가요소 및 결과 범례: 고   저,   서식처 v에서 ○ 계곡, ● 기암, ■ 보물, □ 사찰, △ 천연기념물, ▲ 산봉우리,  ✚  폭포a: 임상b: 영급 c: 식생보전등급 d: 식생다양성e: 물과의 거리f: 도로․건물과의 거리g: 경사 h: 조류서식가능지역i: 양서․파충류서식가능지역j: 어류서식지역k: 동물다양성l: 생태경관다양성m: 부안댐n: 암지o: 쌍선봉p: 직소폭포q: 월명암r: 중계교s: 시각경관민감도t: 경관평가u: 경관평가
그림 11. 시각경관민감도가 우수한 암지일대 자료: 필자 촬영 합친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3. 경관평가 경관평가는 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민감도의 중첩평가에  의해 평가되며, 그림 9l과 9s를 더한 그림 9t로 표현할 수 있다

참조

관련 문서

산업표준 이하로 감소될 수 있는

 Porter의 산업구조분석 기법은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의 수익률이 높은 이유는 설명해 주지만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에 진출할 수 있는 방법은 제시하지 못함..

● 중소기업이 ①「중소기업기본법」의 규정에 따른 중소기업 외의 기업과 합병하는 경우 ②유예 기간 중에 있는 기업과 합병 ③독립성기준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r]

[r]

또한 충진 과정에서 기인하는 여러 가지 결함은 충진 과정의 해석을 통해 예측할 수 있다.충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에는 주형이 완전히 채워지지 못하는

또한 교사 개입수준과 영아의 기질에 따른 사회적 상호작용과 놀이성의 평균을 비교 한 결과,순한 기질,중간 기질,까다로운 기질 모두 놀이 촉진자 집단에서

Ÿ 인천은 4개 차원의 경쟁력 분석 결과 다소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마이스 질적 성장 증진에서는 호치민과 같은 점수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