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 코미디의 계보와 희극장면(2)

(2)

1. 1960년대 코미디 : 민주화의 후퇴 그리고 가족이데올로기

1) 1960년대 산업적 변화와 코미디의 전성기의 토대

정치적 : 민주화의 후퇴와 군사 정권의 등장

문화적 : 대중문화의 확산과 문화의 중심으로 영화가 진입

1961년 문화방송을 시작으로 1963년 동아방송, 1964년 동양방송(TBC)이 개국하며 대중 잡지가 창간되면서 중산층 중심으로 대중문화가 확산

정부의 보호와 육성이라는 명목으로 군사정권의 통제가 가시화

1960년대 영화의 산업적 가능성은 장르 영화가 개화하고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며 동시에 비평 담론이 활성화

한국의 장르는 멜로드라마와 역사 영화와 코미디가 지속적으로 제작되고 스릴러와 액 션영화, 청춘 영화는 단속적으로 제작

1969년은 연 평균 제작 편수가 233편으로 양적 팽창과 급속한 도시화로 인한 대중관객층 의 형성을 이루어 영화의 산업적 토대를 구축

영화의 산업적 성장의 이면에는 정부의 개입 존재

(3)

1. 1960년대 코미디 : 민주화의 후퇴 그리고 가족이데올로기

1) 1960년대 산업적 변화와 코미디의 전성기의 토대

1963년 영화법을 개정하여 국가주의적 동원 체제 속으로 영화를 편입하여 국책영화의 제 작을 - 영화 수입과 영화제작사를 통폐합하여 시나리오 사전 검열과 필름의 실사 검열

영화정책 - 기업화, 국제 경쟁력 강화, 국산영화의 보호 육성

악극단에서 활동하던 코미디언들이 1960년 방송 개국으로 코미디언으로서 지명도를 확 보 → 코미디언 들이 영화계에 진출하여 코미디언 코미디 시대가 열리면서 1960년대 코미 디의 전성기

장르의 분화 + 제작 쿼터를 채우기 위한 제작 + 코미디언의 코미디 영화 출현 = 산업적 토대 마련 → 관객의 지지

(4)

2) 가족 이데올로기와 1960년대 한국 코미디

1960년대는 코미디의 전성시대, 코미디의 양적 신장

이영일은 1960년대 영화 장르를 멜로 드라마, 문예영화, 코미디 영화, 액션 영화, 청춘 영 화, 사극영화로 분류

심우섭 감독의 <청춘 사업>이 관객 8만 여명을 동원하고 이어서 같은 해 <여자가 더 좋 아>를 제작하여 개봉 33일만에 17만 6천3백66명의 관객을 동원

변장 코미디 등장 심우섭의 <남자 기생>(1968), <남자 식모>(1968) 등

가족 코미디 김화랑의 <식모삼형제>(1969), 권철휘의 <오부자>(1969), 유현목의 <공처가 삼대>(1967) 는 1960년대 한국코미디의 지형도 확장

1. 1960년대 코미디 : 민주화의 후퇴 그리고 가족이데올로기

(5)

1. 1960년대 코미디 : 민주화의 후퇴 그리고 가족이데올로기

3)1960년대 코미디 특징 - ① 가족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한 코미디

대표작) 이형표의 <서울의 지붕 밑>

1960년대 서울이 배경

한의사와 서양의사와의 갈등과 대결이 큰 축

가족의 갈등에서 가족 간의 화해로, 신구 간의 갈등에서 신 구 간의 화해로 귀결

이 작품은 1960년대 한국의 전통적 혼인제도인 중매 결혼 과 새로운 결혼 제도인 연애결혼의 대결, 대가족과 가부장 중심의 가족 이데올로기, 한약방으로 대표되는 전통 의술과 근대 병원으로 표상된 근대 의술의 갈등, 한옥과 양옥, 한복 과 양복, 아들 세대인 신세대와 아버지 세대인 구세대의 대 립 구도를 형성하며 전통의 퇴조와 근대의 등장, 구세대의 후퇴와 신세대의 부상이라는 동시대의 문제를 전면적으로 다룸

(6)

1. 1960년대 코미디 : 민주화의 후퇴 그리고 가족이데올로기

가족 코미디의 대표작인 <오부자>, <식모 삼형제> 모두 가족들의 결혼 성공담이며 결혼 을 통한 해피엔딩으로 종결. 1960년대 후반의 코미디 역시 결혼의 성공이라는 결말을 통해 가족의 복원과 화해지향이라는 일관된 주제를 유지.

가족 희극영화는 ‘가족 간의 화해를 통한 사회통합에 기여’라는 가족이데올로기에 충실한 영화.

가족은 한국 전쟁을 경험한 세대의 가족에 대한 강한 유대와 결속력 그리고 1961년 박정 희 군사정권의 등장으로 국가가 근대화에 참여라는 이름으로 국민을 형성하고 동원하면서 파시즘적 가족 이데올로기의 부활과 맞물려 있음

대표작 <공처가 삼대>는 대가족 삼대가 핵가족으로 분가하는 서사

유현목 감독의 작품은 ‘대가족제도에서 핵가족 제도로 이행이라는 시대적 화두를 웃음 의 장치를 통해 드러내는 데 성공(60년대 여타의 코미디와 차별성)

60년대 많은 코미디가 ‘가족의 통합을 통한 기존 질서의 공고화’에서 유현목은 두 작품을 통해 ‘새로운 사회로 이행’

3)1960년대 코미디 특징 - ① 가족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한 코미디

(7)

1. 1960년대 코미디 : 민주화의 후퇴 그리고 가족이데올로기

② 코미디언 코미디

코미디언 코미디는 코미디 편수의 증가에도 불구, 저질 영화 양산이라는 저평가의 주범 대표적 배우는 김희갑과 구봉서

변장 코미디는 1964년 <총각 김치>의 흥행 성공 이후 지속적으로 제작되어 <남자 식 모>, <남자와 기생>으로 이어짐

변장 코미디는 복장을 통한 모습 바꾸기이면서 동시에 남녀 간의 성 변장과 동시에 신분 변장을 포함하는 한국적 코미디 장르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으로 인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계급 간의 갈등과 도농의 격차 등이 빚어낸 사회적 모습을 코미디로 통합

주인공이 농촌 출신 젊은이이며 부양 가족의 생계를 위해 노력한다는 측면에서 가족을 위한 개인의 희생과 이를 통한 가족의 복원이라는 가족 이데올로기로 수렴

③ 도시 하층민을 주인공으로 한 변장 코미디

(8)

2. 1970년대 코미디 : 가족과 국가의 만남 그리고 장르 혼합 코미디 등장

1) 순응과 저항의 산물인 장르 혼합 코미디

1970년대는 1972년 선포된 유신헌법에 의해 시작된 유신체제기이며 동시에 월남전과 워 터게이트 사건이 일러난 정치적 격동기

전반적 침체와 국가 개입으로 요약

감소의 원인은 TV수상기 보급과 국민 오락의 다양화로 인한 영화 산업의 위축

1970년대 한국영화사는 제작환경의 위축과 제도적 억압으로 코미디 장르의 침체와 일시 적인 휴지기로 규정

1973년 개정된 제 4차 영화법은 ‘국가의 정치 이데올로기의 정당성과 정치이념의 구현을 위한 홍보 선전 수단을 강화하는 시책성격이 강함

문화정책은 ‘체계적 배제와 의도적 육성’으로 요약

시대 분위기와 변화된 영화정책은 1970년대 코미디에도 변화를 초래 - 국책영화와 코미 디의 장르 혼성 양상

(9)

2. 1970년대 코미디 : 가족과 국가의 만남 그리고 장르 혼합 코미디 등장

2) 가족 이데올로기와 발전 이데올로기의 결합

1970년대 당시의 영화 제작경향

- 문예영화와 멜로드라마 그리고 액션영화와 역사영화가 주류 1970년대 코미디는 장르 혼성을 통한 명맥유지의 시기

장르적 혼성은 국책영화, 청춘 영화, 청소년영화와 코미디의 결합 양상으로 전개 타 장르에 의존하거나 기생하여 생명력의 유지

전통 문화와 근대화 산업현장을 스펙터클로 삼아서 달라진 대한민국을 홍보하는 발전주 의 이데올로기를 담아낸 국책영화

(10)

2) 가족 이데올로기와 발전 이데올로기의 결합

1970년대 코미디

2. 1970년대 코미디 : 가족과 국가의 만남 그리고 장르 혼합 코미디 등장

• 대표작 : <우리 강산 차차차>, <정 따라 웃음 따라>

정통 코미디의 퇴조와 국책영화와 희극장면이 결합한

국책 코미디의 등장

• 1960년대 코미디언 코미디를 이끌었던 구봉서가 주인공으로 등장한 심우섭 감독 의 작품들이 1960년대의 흐름을 이어감

• 대표작 : <돈에 눌러 죽은 사나이>

코미디언 코미디의 잔재

• 대표작 : 청소년 영화+ 코미디 = <고교얄개>(1976), <고교 꺼꾸리군 장다리군>

장르와 희극성이 결합된 혼성 코미디

(11)

참고 문헌

오은실, 「한국영화에 나타난 희극성 연구」, 동국대 석사 학위 논문, 1993 문관규, 「1990년대 한국 코미디 연구」, 동국대 박사 학위 논문, 2003 이상섭,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연구』, 민음사, 2002

앙리 베르그송, 정연복 옮김, 『웃음』, 세계사, 1994

프로이트, 이민주 옮김, 『농담과 무의식의 관계』, 열린책들, 1997

이미지 출처 www.naver.com

참조

관련 문서

드블라지오 시장과 척시 보건청장은 부활절 가족 모임을 소규모 로

ㅇ 보건당국은 국민들에게 위생수칙의 준수는 물론 지방에서의 상경을 통한 대규모 가족 모임 등을 자제토록 당부하고, 대기업들은 업장 내 위기대책을 수시로 업데 이트 해줄

○ 가족 또는 함께 거주하는 분이 있는 경우 모두 항상 마스크를

9 이 시는 시골에 사는 어느 가족의 저녁 풍경을 통해 가족의 따뜻한 사랑을 감각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10 가족을 위해 힘들게 일하고 온 아버지를 감싸는 어머니의 은 근한

조의관은 가문의 명예를 지 키기 위해서 족보까지 매매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봉건적 의미에서의 공리적 기능을 중요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대체로 전근대적 서사문법(예컨대 심 청의 영웅적 면모와 낭만적 결구)을 지우고 근대적 서사문법(예 컨대 현실 가능한 사건 배치와 인과적 구성)을 강화하는

•재벌: 1950년대 중반 이후 정권과 유착하여 초과이윤을 누리 Î정부 지원 하에 성장한 가족, 혈족 중심지배의 대규모 Î혈연관계를 중시하는 민족적 전통이나

급격한 고령화와 가족의 핵가족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여성의 사회참여가 활발해 지면서 한부모 가족, 장애인, 육아나 고령자 등 취약계층을 돌보는데 어려움이 가중 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