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장. 집합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3장. 집합 "

Copied!
3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이산수학

3장. 집합

(2)

이산수학

출처

본 강좌 자료는 이산수학 (2학년 / 3학점/ 3시간 / 이론) 수업에서 사용한 교재 [이산수학 (수학으로 이해하는 디지털 논리), 한빛

아카데미 출판사] 의 내용 등을 출처로 작성하였음을 알리는 바입니다.

(3)

이산수학

학습 목표

컴퓨터 관련분야에서 자료의 수집, 분류와 결합은 정보 생성에 반드시 필요한 과정으로 효율적으로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논리적으로 연관된 자료들의 집합으로 구성

집합에 관련한 기본 개념과 표현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집합에서 사용되는 연산을 이해할 수 있다.

(4)

이산수학

학습 내용

집합의 개념과 종류

집합 연산 이해

집합의 대수법칙

(5)

이산수학

집합(Set)

집합

명확한 기준에 의해 분류

공통의 성질을 갖는다

중복되지 않는 원소(element, member)의 모임

집합의 표기 형식

원소나열법 : 집합 원소들을 콤마(,)로 구분하여 나열

조건제시법: 집합 원소의 공통적인 성질을 조건식으로 표현

집합 𝐴의 크기

집합의 원소의 수

|𝐴|

(6)

이산수학

예제

다음 조건제시법으로 표기된 것을 원소나열법으로 표기하여라.

(1) 𝐵 = {b│b²=16, b∈𝑁} (2) 𝐶 = {c│c= 𝑘

3, k∈𝑍}

(풀이) (1) 𝐵={4}

(2) 𝐶={…, − 5

3 , − 4

3 , − 3

3 , − 2

3 , − 1

3 , −0

3 , 1

3, 2

3, 3

3, 4

3, 5

3 , … }

(7)

이산수학

집합과 원소 관계

𝑎가 집합 𝐴의 원소 ↔ 𝑎 ∈ 𝐴

𝑎가 집합 𝐴의 원소가 아니다 ↔ 𝑎 ∉ 𝐴 (Ex)

1 𝑁 : 자연수의 집합 ⇒ 0 ∉ 𝑁

(2) Z : 정수의 집합 ⇒ 0.5 ∉ 𝑍, 0 ∈ 𝑍

(8)

이산수학

집합 상등

두 집합 𝐴, 𝐵의 상등 관계

∀ 𝑥 ∈ 𝐴 ↔ ∀ 𝑥 ∈ 𝐵

집합 𝐴 = * 𝑥│𝑥 ≤ −4, 𝑥 는 양의 정수}, 집합 𝐵 = *1,2,3,4+ 라 할 때 두 집합은 어떤 관계인가?

(풀이)

𝐴 = * 𝑥│𝑥 ≤ −4, 𝑥 는 양의 정수}={1, 2, 3, 4}= 𝐵 ∴ 집합 𝐴와 𝐵은 상등관계.

(9)

이산수학

집합의 종류

전체 집합(Universal set)

논의 대상이 되는 원소 전체를 포함하는 집합

𝑈

공집합(Empty set)

하나의 원소도 포함하지 않는 집합

,

부분집합 (Subset)

집합 𝐴, 𝐵에 대하여 ∀𝑥 ∈ 𝐴 ⇒ 𝑥 ∈ 𝐵

𝐴 ⊆ 𝐵

(10)

이산수학

집합 간의 포함관계 성질

Let 𝐴 be a set.

𝐴 ⊆ 𝐴

∅ ⊆ 𝐴

𝐴 ⊆ 𝑈

Let 𝐴, 𝐵, 𝐶 be sets

𝐴 ⊆ 𝐵 and 𝐵 ⊆ 𝐶 ⇒ 𝐴 ⊆ 𝐶

Let 𝐴, 𝐵 be sets

𝐴 = 𝐵 ⇔ 𝐵 ⊆ 𝐴 𝑎𝑛𝑑 𝐴 ⊆ 𝐵

(11)

이산수학

집합의 연산 : 합집합

합집합 ( Union, ∪)

두 집합 𝐴, 𝐵가 있을 때, 집합 𝐴에 속하거나 𝐵에 속하는 원소들의 집합

𝐴 ∪ 𝐵 = * 𝑥│ 𝑥 ∈ 𝐴 ∨ 𝑥 ∈ 𝐵+

(12)

이산수학

집합의 연산 : 교집합

교집합 ( Intersection, ∩)

두 집합 𝐴, 𝐵가 있을 때, 집합 𝐴와 𝐵에 모두 속하는 원소들의 집합

𝐴∩𝐵 = * 𝑥│ 𝑥 ∈ 𝐴 ∧ 𝑥 ∈ 𝐵+

서로소(Disjoint)

두 집합 A와 B의 교집합이 공집합이면 두 집합은 서로소이다.

(13)

이산수학

합집합과 교집합의 기수

기수 (Cardinal number)

집합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

집합 𝐴의 크기 : |𝐴|

│𝐴 ∪ 𝐵│ = │𝐴│ + │𝐵│ − │𝐴 ∩ 𝐵│

│𝐴 ∪ 𝐵 ∪ 𝐶│ = │𝐴│ + │𝐵│ + │𝐶│ − │𝐴 ∩ 𝐵│ − │𝐴 ∩ 𝐶│ − │𝐵 ∩ 𝐶│ + │𝐴 ∩ 𝐵 ∩ 𝐶│

│𝐴 ∩ 𝐵│ = │𝐴│ + │𝐵│ − │𝐴 ∪ 𝐵│

𝐴 ∩ 𝐵 = Ø인 경우, │𝐴 ∪ 𝐵│ = │𝐴│ + │𝐵│

(14)

이산수학

집합의 연산 : 여집합

집합 𝐴의 여집합 (Complementary set)

전체집합 𝑈가 정의되어 있을 때, 전체집합 𝑈에 속하면서 집합 𝐴에는 속하지 않는 원소의 집합

𝐴𝐶 = {𝑥|𝑥 ∈ 𝑈 ˄ 𝑥 ∉ 𝐴} = 𝑈 − 𝐴

(𝐴 𝑈 𝐵)𝐶 = 𝐴 𝐶 ∩ 𝐵𝐶

𝐴𝐶 𝐴

𝑈

(15)

이산수학

집합의 연산 : 차집합

집합 𝐵에서 집합 𝐴의 차집합 (Difference set)

집합 𝐵의 원소에서 집합 𝐴의 원소를 뺀 집합

𝐵 − 𝐴 = { 𝑥 ∈ 𝐵 | 𝑥 ∉ 𝐴}

(16)

이산수학

집합의 연산 : 곱집합

두 집합 𝑋와 𝑌의 곱집합 (Cartesian Product)은 집합 𝐴와 𝐵의 순서쌍들의 집합

𝑋 × 𝑌 = 𝑥, 𝑦 | ∀𝑥 ∈ 𝑋, ∀𝑦 ∈ 𝑌

| 𝑋 × 𝑌 |=|𝑋|∙| 𝑌|

𝛼∈𝐼 𝑋𝛼 = 𝑓: 𝐼 → 𝛼∈𝐼𝑋𝛼 | 𝑓 𝛼 𝜖 𝑋𝛼 ∀𝛼 ∈ 𝐼 , 𝐼은 임의의 집합

(17)

이산수학

집합의 연산 : 멱집합

집합 𝑆의 멱집합(Power set)

집합 𝑆의 모든 부분집합을 모은 집합을 말한다.

𝑃 𝑆 , 2𝑆, {0, 1}𝑆 등을 사용

| 𝑃 𝑆 | = 2|𝑆|

(18)

이산수학

예제

집합 𝑆 = * 𝑥, 𝑦, 𝑧+이라 하자. 집합 𝑆의 멱집합을 구하시오.

(풀이)

집합 𝑆의 모든 부분 집합:

∅, 𝑥 , 𝑦 , *𝑧+, *𝑥, 𝑦+, *𝑥, 𝑧+, *𝑦, 𝑧+, *𝑥, 𝑦, 𝑧+

∴ 𝑃(𝑆) = *∅, *𝑥+, *𝑦+, *𝑧+, *𝑥, 𝑦+, *𝑥, 𝑧+, *𝑦, 𝑧+, *𝑥, 𝑦, 𝑧++

(19)

이산수학

집합의 대수법칙

(20)

이산수학

예제

드모르간의 법칙 (𝐴 ∪ 𝐵) = 𝐴 ∩ 𝐵을 증명하시오.

(풀이)

𝑥 ∈ (𝐴 ∪ 𝐵) ⇔ 𝑥 ∉ 𝐴 ∪ 𝐵 ⇔ 𝑥 ∉ 𝐴 ∧ 𝑥 ∉ 𝐵 ⇔ 𝑥 ∈ 𝐴 ∧ 𝑥 ∈ 𝐵 ⇔ 𝑥 ∈ 𝐴 ∩ 𝐵

(21)

이산수학

예제

𝐴 ∩ (𝐴 ∪ 𝐵) = 𝐴 을 증명하시오.

(풀이)

𝐴 ∩ (𝐴 ∪ 𝐵) = (𝐴 ∪ ∅) ∩ ( 𝐴 ∪ 𝐵 ) ∵ 항등법칙 = 𝐴 ∪ (∅ ∩ 𝐵) ∵ 분배법칙 = 𝐴 ∪ ∅ ∵ 지배법칙 = 𝐴 ∵ 항등법칙

(22)

이산수학

예제

𝐴 – 𝐵 = 𝐴 ∩ 𝐵 을 증명하시오.

(풀이)

𝑥 ∈ 𝐴 – 𝐵 ⇔ 𝑥 ∈ (𝐴 ∩ 𝑈) − 𝐵

⇔ 𝑥 ∈ (𝐴 ∩ 𝑈) ∧ 𝑥 ∈ (𝑈 − 𝐵) ⇔ 𝑥 ∈ 𝐴 ∩ 𝐵

(23)

이산수학

예제

𝐴 ∩ 𝐴 = ∅ 을 증명하시오.

(풀이)

𝑥 ∈ 𝐴 ∩ 𝐴 ⇔ 𝑥 ∈ 𝐴 ∧ 𝑥 ∈ 𝐴 ⇔ 𝑥 ∈ 𝐴 ∧ 𝑥 ∉ 𝐴

⇔ ∄ 𝑥 i.e., ∅

(24)

이산수학

예제

𝐴 × (𝐵 ∩ 𝐶) = (𝐴 × 𝐵) ∩ (𝐴 × 𝐶)을 증명하시오.

(풀이)

𝐴 × 𝐵 ∩ 𝐶

⇔ 𝑥 ∈ 𝐴 ∧ 𝑦 ∈ (𝐵 ∩ 𝐶 ) ∵ 곱집합의 정의 ⇔ 𝑥 ∈ 𝐴 ∧ (𝑦 ∈ 𝐵 ∧ 𝑦 ∈ 𝐶 ) ∵ 교집합의 정의 ⇔ (𝑥 ∈ 𝐴 ∧ 𝑦 ∈ 𝐵 ) ∧ (𝑥 ∈ 𝐴 ∧ 𝑦 ∈ 𝐶 ) ∵ 분배법칙

⇔ ,(𝑥, 𝑦) ∈ 𝐴 × 𝐵- ∧ ,(𝑥, 𝑦) ∈ 𝐴 × 𝐶 - ∵ 곱집합의 정의 ⇔ (𝑥. 𝑦) ∈ (𝐴 × 𝐵 ) ∩ (𝐴 × 𝐶 ) ∵ 교집합의 정의

(25)

이산수학

예제

■ 집합의 대수법칙을 사용하여 (𝐴 ∩ 𝐵) ∪ (𝐴 ∩ 𝐵)∪(𝐴 ∩ 𝐵 ) 을 간략화하시오.

(풀이)

(𝐴 ∩ 𝐵) ∪ (𝐴 ∩ 𝐵)∪(𝐴 ∩ 𝐵 )

= (𝐴 ∩ 𝐵) ∪ [(𝐴 ∩ 𝐵)∪(𝐴 ∩ 𝐵 ) ] ∵ 결합법칙 = (𝐴 ∩ 𝐵 ) ∪[𝐴 ∩ (𝐵∪𝐵 )] ∵ 분배법칙 = (𝐴 ∩ 𝐵 )∪[𝐴 ∩ 𝑈 ] ∵ 보법칙

= (𝐴 ∩ 𝐵 )∪𝐴 ∵ 항등법칙

= (𝐴 ∪ 𝐴 ) ∩ (𝐵 ∪𝐴 ) ∵ 분배법칙

= 𝑈 ∩ (𝐵 ∪𝐴 ) ∵ 보법칙

= 𝐵 ∪𝐴 ∵ 항등법칙

= 𝐴 ∪𝐵 ∵ 교환법칙

(26)

이산수학

예제

■ 집합의 대수법칙을 사용하여 (𝐴 ∪ 𝐵 ) – (𝐴 ∩ 𝐵) = 𝐴 ∩ 𝐵 을 간략화하시오.

(풀이)

(𝐴 ∪ 𝐵 ) – (𝐴 ∩ 𝐵) = (𝐴 ∩ 𝐵 ) - (𝐴 ∩ 𝐵) ∵ 드모르간의 법칙 = (𝐴 ∩ 𝐵 ) − (𝐴 ∩ 𝐵) ∵ 이중 보법칙 = (𝐴 ∩ 𝐵 )∩(𝐴 ∪ 𝐵) ∵ 𝐴 − 𝐵 = 𝐴 ∩ 𝐵 = (𝐴 ∩ 𝐵 ) ∩(𝐴 ∩ 𝐵 ) ∵ 드모르간의 법칙 = (𝐴 ∩ 𝐵 ) ∩ (𝐴 ∪ 𝐵 ) ∵ 이중 보법칙 = 𝐴 ∩ ,𝐵 ∩ (𝐴 ∪ 𝐵 ) ∵ 결합법칙 = 𝐴 ∩ ,(𝐵 ∩ 𝐴 ) ∪ (𝐵 ∩ 𝐵 ) ∵ 분배법칙 = 𝐴 ∩ ,𝐵 ∩ 𝐴 ∪ ∅) ∵ 보법칙 = 𝐴 ∩ (𝐵 ∩ 𝐴) ∵ 항등법칙 = 𝐴 ∩ 𝐵 ∵ 멱등법칙

26

(27)

이산수학

집합의 분할

공집합이 아닌 임의의 집합 𝑋를 서로소인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으로 분할

집합 𝑋의 멱집합의 부분집합 𝑃 의 분할의 성질 1. ∅ ∉ 𝑃

2. 𝐴∈𝑃 𝐴 = 𝑋

3. If A, B ∈ 𝑃 𝑎𝑛𝑑 𝐴 ≠ 𝐵 𝑡ℎ𝑒𝑛 𝐴 ∩ 𝐵 = ∅

(28)

이산수학

분할의 성질

모든 singleton 집합 𝑥 은 정확히 한개의 분할을 갖는다. 즉, 𝑥

공집합이 아닌 임의의 집합 𝑋에 대해, 𝑃 = 𝑋 은 집합𝑋의 분할이다.

공집합이 아닌 임의의 집합 𝑋 ⊂ 𝑈에 대해, 𝑃 = 𝑋, 𝑋 은 집합 𝑈의 분할이다.

(29)

이산수학

분할의 개수

집합 𝑁 = 1, 2, 3, ⋯ , 𝑛 , 𝑁 = 𝑛 의 분할의 개수

Bell number (𝐵𝑛)

𝐵0 =1, 𝐵1 =1, 𝐵2 =2, 𝐵3 =5, 𝐵4 =15 등

𝐵𝑛+1 = 𝑛𝑘=0 𝑛𝑘 𝐵𝑘

1, 1, 2, 5, 15, 52, 203, 877, 4140, 21147, 115975, …

(30)

이산수학

예제

집합 𝑋 = 1, 2, 3 의 모든 분할 𝑃을 구하시오.

(풀이) 총 분할의 수 = 𝐵3 =5 (1) 𝑃 = **1+, *2+, *3++

(2) 𝑃 = **1, 2+, *3++

(3) 𝑃 = **1, 3+, *2++

(4) 𝑃 = **3, 2+, *1++

(5) 𝑃 = **1, 2,3++

참조

관련 문서

•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자로부터 최종 소비자에게 이동 시키는 과정에 참여하는 기업과 개인들의

⑦ 상기 ② 내지 ⑥의 규정에 의하여 환매에 응하여야 하는 집합투자업자 또는 신탁업자는 지정참가회사가 집합 투자업자에 당해 수익증권의

3장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경쟁우위의 달성..

3장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경쟁우위의

보게 된 파일들의 집합 Home page, index page, contact info, etc. 사건 데이터 특정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를 세워놓고 노력해본 일이 있습니까. 별명이

대우: 이등변삼각형이

인간의 마음: 수렵-채집 생활을 했던 먼 조상들이 겪었던 적응적 문제들을 잘 해결하게끔 자연선택이 설계한 심리적 적응들의 집합... 마음은 먼 과거의 수렵-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