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9.12.1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019.12.11."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9. 12.11(수) 17:00 4분기 기업활동지원협의회

쿠웨이트 경제동향 및 프로젝트 현황

2019. 12. 11.

1. 거시경제․유관 부문 동향 / 1

2. 석유, 발전, 담수 부문 주요 프로젝트 동향 / 7 3. 인프라, 도시개발 부문 주요 프로젝트 동향 / 13

주쿠웨이트대사관

1. 거시경제 및 경제유관 부문 동향

◈ 금년 유가는 OPEC+의 원유 감산 기조로 소폭 회복세였으나, 세계 경제 둔화 및 미중 무역 갈등 등에 대한 우려로 하락세 전환․불확실성 고조

◈ 2018년은 유가상승 등으로 GDP 상승, 재정적자 감소 등 경제 회복세였으나, 2019년은 유가 불안정, 감산 기조 유지 등으로 재정 적자폭 확대 예상

◈ 국부펀드(5,920억불, 세계 4위), 막대한 원유매장량(1,040억배럴, 세계 6위), 낮은 정부부채 등으로 높은 국가신용등급(Moody’s, Aa2, outlook stable) 유지

1 (유가) OPEC 기준 유가는 ’18.10월 79.39불 고점 후, ‘18.12월 56.94불로 하락,

’19.4월 70.78불로 상승, 이후 등락 반복, 전반적 하락세(’19.12.19일 기준 64.01불)

ㅇ 미-중 무역갈등 장기화 우려, 글로벌 경기의 침체 조짐 등으로 원유 수요 감소 우려

ㅇ 반면, 미국-이란 발 중동정세 불안, 베네수엘라의 정정불안 및 경제위기 등으로 인해 원유 공급 불안이 우려되고, OPEC+는 원유 감산 기조 지속 유지중 ⇨ 유가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져 향후 예상이 힘든 국면이나, 미중 무역갈등

및 세계경제 둔화로 전반적 하락세

(중동 긴장고조를 야기하는 추가 사건 지속 발생시 유가 급변 가능성 잔존)

* ’14.6월 배럴당 110불대 유가는 미국 셰일가스 공급과 OPEC의 시장점유율 방어를 위한 감 산반대로 가격 하락이 촉발된 이래 각종 악재가 겹치면서 ’15.12월 약 30불 수준까지 하락

* 이후 ‘16년 상승세로 전환하여 ‘18.10월 배럴당 79.39불까지 회복

2 (재정 여건) 세계은행은 쿠웨이트 GDP ’18년 1.6% 상승(‘17년 3.5% 하락) 발표,

’18년 유가 상승 및 공공부문의 일자리 창출로 인해 경제 회복세 평가 ㅇ 재무부는 ‘18/19 회계연도 결산보고서 발표, 국회로 회부(7.28)

- 약 33억KD 적자로 ‘17/18 대비 31% 감소, 석유 29%, 비석유 24% 수입 증가

* 평균 유가 68.62불/배럴 기준, 미래세대기금(FGF)으로 수입의 10% 적립

ㅇ ’19/20 회계연도 77억KD 재정적자(배럴당 55불 가정), 경제성장률 둔화 예상

* ‘19/20회계 총수입 164억KD, 총지출 225억KD, 미래세대기금 16억KD(수입의 10%)

(2)

▸ 재정추이: 2012/13회계(445억불, 127억KD) → 2013/14회계(450억불, 129억KD) → 2014/15회계 (△27억KD) → 2015/16회계(△59.6억KD) → 2016/17회계(△59억KD) → 2017/18회계(△48억KD)

ㅇ 세계은행은 정부 지출 증가로 ‘19년 GDP 성장률 2% 달성 전망, 반면 유가 하락 및 감산 정책, 부가가치세 도입 지연 등으로 예산 적자 증가 전망(6%)

* OECD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 - 성장둔화 지속 : ‘19년 2.9%, ’20년 2.9% (‘18년 3.5%)

ㅇ 재무부는 원유 감산 기조 유지와 유가 불안정을 고려하여 2019년 석유수입이 전년 대비 9.7% 감소한 527.7억불 전망(‘17년 502, ’18년 584억불)

* OPEC 회원국 석유 수익(억불) : (‘17) 5,562 → (’18) 6,490 → (‘19 예상) 5,900

ㅇ 영국공인회계사협회(ICAEW)는 쿠웨이트의 금년 석유 부문 성장률 0.8%, 비석유부문 2.9% 전망(석유 감산 + 평균 유가 5.6% 하락 전망)

3 (국책 프로젝트 추진동력 유지, 민간투자사업 활성화) 쿠웨이트 국부펀드의 가치가 5,920억불로 세계 4위, 아랍지역 2위(국부펀드연구소(SWFI), 5.28)

* 노르웨이 정부연기금(1위, 10,073억불), 중국 투자공사(2위, 9,414억불), 아부다비 국부펀드(3위, 6,967억불)

ㅇ 세계은행이 발표한 ‘2020 기업환경평가 보고서’에 쿠웨이트가 처음으로 개선국가 TOP 20 그룹에 포함

ㅇ 세계경제포럼 2019년 글로벌경쟁력지수(GCI) 보고서에서 쿠웨이트가 46위 기록 (’18년 54위), 거시경제안정성 1위, 보건, 재정시스템, ICT 부문 대폭 개선

ㅇ 미국 월스트리트저널(7월)에 따르면 쿠웨이트 1인당 GDP가 72,872불로 세계 5위, 아랍국 중 2위(카타르 1위 - 11.6만불 GDP/1인, UAE 7위)

ㅇ 캠게미니(Capgemini)의 연간 세계 재산 보고서에서 쿠웨이트의 금융자산이 100만 달러 이상인 고액순자산보유자 수가 18.8만명으로 세계 17위

ㅇ 국제신용평가사 S&P는‘19.7월 쿠웨이트 신용등급을 AA 유지, 안정적 전망 - 막대한 국부펀드는 강점/ 광범위한 정치 및 경제 개혁 이행시 상향 조정 가능 - 유가불안정, 금년 경제 성장 둔화 전망, 지정학적 리스크 상승 등으로 하향 우려

ㅇ 국제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Moody's)는 ’19.5월 쿠웨이트 신용등급을 Aa2를 유지하면서 신용등급 전망도 안정적(stable)으로 유지

- 경제 개혁이 더디고 지속적인 예산 적자가 발생하고 있지만, ① 국가 GDP의 370%, 국가 부채의 27배에 달하는 국부펀드, ② 낮은 균형재정유가(배럴당 50~55불), ③ 향후 2~3년간 유가 배럴당 50~70불 전망, ④ 막대한 원유매장량 (90년 지속 전망) 등으로 재정 안정성 인정

ㅇ 정부부채가 낮은 수준이고, 막대한 국부펀드로 인해 재정균형 악화 완충 가능 * 정부 부채는 82억KD, 2016년 추정 GDP의 약 24%로 쿠웨이트투자청(KIA)이 관리하는

자산은 1,870억KD(6,120억불)로 국부펀드가 그 중 1/3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Moody's)

ㅇ 쿠웨이트는 현금이 풍부하고, 5개년 국가개발계획에 따라 노후화된 기반시설에 대한 개선을 목표로 예정대로 프로젝트 추진중

- 담수발전, 신도시, 공항 등 주요 국책사업은 지속 추진하되, 재정적자 해소를 위해 민간투자사업 방식이 적극 활용될 전망이나 입찰이 지연되고 있음.

* 노스알주르(2단계), 알키란(1단계), 압달리 ISCC 등

ㅇ 민간투자사업(PPP), 외국인직접투자유치(FDI), 중소기업(SMEs)육성 등 민간부문 및 비석유부문 활성화 정책 중점추진

4 (보조금 축소, 조세신설 등 경제개혁) 보조금 축소, 법인세․부가세 신설 등 재정 적자 및 경제 불균형 해소를 위한 경제개혁 추진

ㅇ 쿠웨이트 정부는 2016년 3월 동 경제개혁방안을 승인하고, 국회에서 전기 및 수도세 인상안이 통과(’16.5월)되어 현재 시행중

* 상업분야 ’17.5.22 시행, 아파트 등 투자분야는 ’17.8.22, 공공부문은 ’17.11.22 시행

ㅇ ’16.9.1부터 가솔린 가격이 65필에서 105필로 인상, ’16.10월부터 디젤, 케로신 등에 대한 가격인상 등 보조금 축소 정책으로 물가상승에 대한 우려 제기됨

ㅇ GCC 재무장관회의에서 부가가치세(VAT, 5%)와 개별 소비세 부과안이 승인 (’16.6.16)되어, 2018년부터 시행될 것이라고 예상되었으나

- 쿠웨이트는 소비자 지출에 대한 부정적 영향, 신규 세금 관련 기술적 연구 필요성 등을 이유로 부가가치세(VAT) 도입을 2021년까지 연기

- 쿠웨이트는 GCC 내에서 재정이 튼튼하며, 최근 유가 상승으로 쿠웨이트 정 부가 새로운 수익을 위해 VAT를 당장 도입할 필요성이 사라졌다는 평가

* (무디스) 배럴당 5불의 유가 상승으로 석유수입 9억KD 증가 ≫ 선택적 소비세 2억KD +

(3)

5% 부가세 6억KD 수익

ㅇ 쿠웨이트 재무부는 담배, 에너지드링크, 탄산음료 등 일부 제품에 대해 선택적 소비세 도입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음

- 쿠웨이트 재무부는 최근 담배류와 에너지 및 알콜류에 100%, 탄산음료에 50%

세금 부과하는 개별 소비세법안 국회 제출

* 사우디 부가세법 시행령 공표(‘17.9월), UAE 부가세법(‘17.8월) 및 하위법령(‘17.11월) 공표

ㅇ 국내 및 외국 법인에 대한 10% 법인세 부과, 외국인의 해외 송금에 대한 최대 5% 과세 방안 등 검토 중

* 현재 쿠웨이트는 소득세, 법인세 등 일체 과세없음. 다만, 쿠웨이트 법인의 외국인 보유지분, 외국인 사업장 등에는 15%의 법인세 부과

ㅇ 쿠웨이트 최고계획개발위원회(SCPD, 내각 장관으로 구성)는 ’17.1.30(월) 2035년을 목표연도로 하는 국가개발계획인 “New Kuwait 2035 Strategy”를 발표함

1) 중기․단기 목표

ㅇ 쿠웨이트를 석유화학산업에 관한 글로벌 중심지로 육성

ㅇ 외국인 직접투자 300% 증가, 정보․기술․서비스․신재생에너지에 대한 400백만KD 투자유치 ㅇ 추가적인 수입원 확보 및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한 관광 분야 발전

ㅇ 인프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민자담수발전(IWPP)과 PPP 성공모델을 통한 교통 및 전력 분야 발전

ㅇ 새로운 미스터 플랜 개발을 통한 주택 및 신도시 개발

ㅇ 청년, 여성, 중소기업과 노령자를 위한 사회적, 경제적 권한부여 프로그램 도입 ㅇ 지역적으로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인 인도주의적 활동 강화

2)) 7개 Pillar(축)

ㅇ “New Kuwait"는 주재국을 걸프지역의 금융, 문화, 상업의 중심지로 탈바꿈시키 고자 하는 사바 국왕의 비전(Vision 2035)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으로 다 음과 같은 7개 pillar(축)로 구성되어 있음

- Global Position, Human Capital, Health Care, Living Environment, Infrastructure, Economy, Public Administration

【 New Kuwait 2035 】

2. 석유, 발전, 담수 부문 주요 프로젝트 동향

 (원유 생산) 325만b/d 원유생산능력 보유(KOC 300만 + 공동지역 KGOC 25만), '40년까지 475만b/d 확대 전략. 2018년 말까지 290만b/d로 최적 생산(KOC)

※ 투자청(KIA) 청장은 탄소 배출량 감소를 위해 원유생산 감축이 필요하며, KPC는 2040년 생산량 증대 목표를 475만→400만배럴/일 감소 검토중 보도

※ KPC는 대 중국 원유수출을 60만배럴/일 이상 증대 계획 보도(11.10)

ㅇ (석유수입) 쿠 원유의 한국 수입량은 지속 증가하나 수입액은 유가 변동에 좌우,

‘18년 수입액은 유가 회복으로 전년 대비 약 36% 증가

* 13년(140백만배럴/151억불)→14년(137/135)→15년(142/72)→16년(159/64)→17년(160/84)→18년(162/114)

ㅇ (Divided Zone분쟁) 이라크 국경지대 Ratqa/Rumaila 및 Safwan/Abdali 유전의 이용․투자를 위한 기술적, 법률적 매커니즘 연구 계약 체결(8.2, 영국 ERCE) - 사우디와의 공동유정(2개소)은 장비 노후화, 이해관계 차이로 생산 중단, 최근

Al-Khafji 유전 생산재개의 첫단계로 보수사업 입찰(~3.25), 양국 해결책 논의(6월)

* Khafji유정(30만b/d 균분) 생산중단(2014.10~), Wafra유정(20만b/d 균분) 생산중단(2015.5~).

* Khafji․Wafra 유전 생산중단으로 총 84억불 손실 추정(Khafji 61억불, Wafra 23억불)

ㅇ (유전시설투자) KOC ‘14~19년 유정탐사, 중유, GC 등 총130억KD 투자계획

- (신규해상유정) 미국 Halliburton과 해상유전채굴 계약 체결 보도(1.8억KD)

* 생산 감소분 보완을 위해 KOC는 BP, Dutch Shell과 해상 유정 개발 협의, 1개소는 쿠웨 이트만, 1개소는 공동지대 인근지역 시추 추진

- (Jurassic Gas Field) 중유 생산시 같이 발생하는 Gas 생산 사업 추진중, 1단계 사업(3개 패키지, 12만BOE/D)은 ‘15~’16년 계약하여 ’19.8월 완공 전망

* JPF1 패키지(Sabriyah & Umm Niqa fields) : Schlumberger(미, 480백만불)

* JPF2,3 패키지(동․서 Raudhatain fields) : Schlumberger(미), Specto(로컬) 총 758백만불

☞ 2단계 사업(JPF4,5,6,7; 15만BOE/D)은 과거 EPC와 달리 EPF*로 발주 예정이며, JPF4, JPF5(9억불)는 ‘19.7월 PQ통과 11개 기업 발표(대우, 삼엔 포함), 입찰초청서를 11월 발급한다고 보도됐으나 지연중

* Early Production Facility : BOO(Build-Own-Operate)방식과 유사, 주계약자가 시설물에 대한 소유권을 KOC에 이전하기 전(5년)까지 시설 건설(일부) 및 운영 비용을 부담함

(4)

- (Lower Fars 중유1단계) Petrofac컨, 12.21억KD 계약(‘15.1), 공사 마무리 단계

* ‘19년말 중유 6만b/d(1천개 유정시추), ’20년 8.5만b/d, ‘30년 11만b/d, ’40년 43만b/d 증산계획

- (수처리․물주입 플랜트) KOC는 북부 Sabriyah 유정 인근 기존 플랜트 3기와 연계하여 3억불 규모 사업(플랜트, 펌핑장, 저장탱크 등) 계획중 보도(‘19.1월)

* 북부 New Water Center 사업 GS건설 계약(’15.9월, 3.1억불), 마무리 공사중

* Effluent Water Plant : Doosal이 9.46억불 계약 체결(‘14.9월)

- (원유집하시설) GC 32번 프로젝트는 ’17년 영국계 Petrofac이 13억불에 수주

* 입찰초청 : 대림, GS, 삼성ENG, SK, JDC(일), Petrofac(미), Saipem(이태리), TR(스)

ㅇ (스위트가스) 서부 BS-171 가스 처리시설의 스위트가스 사업(3억불)에 29개 기업이 입찰(’18.6월)에 참가했으나, KOC는 이유를 밝히지 않고 입찰 취소

* 입찰참가 : 한국, 일본, 이탈리아, 중국, 스페인, 인도, 레바논, 프랑스 등 29개 기업

ㅇ (탈염시설) KOC가 발주한 서부 GC-9,10,19,21의 탈염시설 신설 사업을 아부 다비 NPCC가 수주(’18.10, 2.3억불) * 사전입찰회의(‘18.1월), 입찰마감(’18.6)

ㅇ (New Gas Pipeline) KOC가 발주한‘북부지역 → Mina Al-Ahmadi 정유공장’

수송 가스관 건설 사업은 인도 L&T hydrocarbon Eng 수주('18.12), 계약(‘19.1Q)

* 사업내용 : 너비 48인치, 길이 150km의 pipeline, 컴프레셔 시설, 제어실 등 포함

* 영국 Wood Group이 FEED 담당, 프랑스 Technip이 관리 컨설팅 담당중

- 압둘라 정유공장(Mina Abdullah)에서 북부 KOTC LPG 탱크팜까지 LPG 수송 파이프라인 건설 입찰 2021년 개시 전망 보도(1억불, EPC, 180km)

ㅇ (Gas Booster Station) 기존 Booster Station 설비에 트레인을 증설하고 가스 탈수장비를 개선하는 사업으로, BS-140, BS150, BS160 모두 입찰 지연중 - 2.7억불 규모의 BS-160 ‘20년 입찰초청서 발급 전망(EPC 방식)

 (정유시설 개선, 신설) KNPC는 5년간 CFP, NRP, 5차 Gas train, 신규 LNG 수입시설 등 개발프로젝트에 350억불 규모 투자 계획

ㅇ (CFP) 3개 메인패키지 계약(‘14.4월) 120.2억불 중 우리기업 71.9억불 수주,

공사 마무리 단계, 일부 현장 사전 시운전(Pre-Commissioning) 작업 시작

* MAA : 48억 2천만불 JGC/GS/SK (각각 16억 6백만불 = 33억 12백만불)

* MAB1 : 37억 9천만불 Petrofac/삼엔/CB&I (16억 20백만불)

* MAB2 : 34억 1천만불 Fluor/현중/대우 (각각 11억 30백만불 → 22억 60백만불)

- 아흐마디 정유공장(CFP 사업의 일부) 유지보수 사업 PQ 통과 14개 기업 발표 (8.27), 입찰 마감기한 9.17

ㅇ (NRP) 61.5만 b/d의 신규 정유공장 건설, 1~5번 메인패키지 공사중(‘15~’19년), 공사 다소 지연중(‘20년 완공 예상), ’21년 6월부터 상업운영 개시 예정 보도

* 1번 패키지(정유처리시설): TR(스)/Sinopec(중)/한화(지분율 50:40:10) : 1,283.4백만KD

* 2~3번 패키지(정유처리,지원시설): Fluor(미)/현대중/대우 (각 1/3지분) : 1,745.4백만KD

* 4번 패키지(탱크팜): 사이펨/Essar : 475백만KD

* 5번 패키지(해상설비): 현대(40%)/SK(30%)/Saipem(30%) : 454백만KD

- 유지보수 사업(5년)은 입찰마감 기간 재연장(6.28→10.15), 19개 회사 PQ 통과 - 정유공장 폐수처리 플랜트 O&M 계약(7.25, 프랑스 Veolia, 7년, 6,300만불) - 정유공장 및 석유화학단지 관련 기술 제공 계약 체결(7.25, 미국 Honeywell)

ㅇ (NRP Feed Pipeline) Al-Zour NRP를 위한 송유관 신설 EPC 사업으로 2차례 입찰 취소․재입찰 후 Saipem 계약 체결(‘18.8월, 8.42억불, 총연장 250km)

ㅇ (Mutlaa 정유저장소) Mutlaa 지역의 전략비축, 로컬 마케팅을 위한 석유제품 저장소 건설 프로젝트, 약 8억불 규모로 2019년 하반기 입찰 초청서 예상

 (LNG 수입터미널) Al-Zour 지역에 LNG 선박 정박시설 및 저장탱크를 신규 건설 사업, 현대 컨소시엄 계약(‘16.3월, 29.3억불)

ㅇ 일산 3,000 MMBtu (million British thermal units) 공급 가능한 가스 영구수입 시설(대형저장탱크 8기 포함), 공사 마무리 단계, 2020년부터 시운전 시작 ㅇ 완공 후 운영 및 유지보수 사업(1년)을 한국가스공사와 계약 추진중

ㅇ 운영 및 유지보수 사업(5년) 한국가스공사 PQ 통과(6.16), 입찰마감 ‘20.1.21

* Korea Gas Corporation (KOGAS),

Hellenic Gas Transmission System S.A. (DESFA S.A) Elengy S.A.

(5)

Tokyo Gas Engineering Solutions (TGES) & JGC Corporation Osaka Gas CO.,LTD & TOYO Engineering Corporation

Reganosa Service S.L. and Teekay Marine Solutions (Bermuda) LTD. & Enagas International , S.L.U.

 (석유화학) KIPIC(석유화학집적회사)는 약 100억불로 추산되는 Al-Zour 석유화학 단지 프로젝트를 Al-Zour NRP, LNG 수입터미널과 연계․건설하는 방안 추진중 ㅇ 15억불 규모 “Olefin3” 및 50억불 규모 "Aromatics2" EPC 사업 발주중

☞ PQ 제출(‘18.12월), 입찰 ’20년 3분기 예상, FEED ‘20년 5월 완료 전망

* PQ 통과 예상 기업(6개 컨소시엄) SK건설(한국) / Petrofac(영국)

Sinopec(중국) / Technicas Reunidas(스페인)

삼성엔(한국) / CTCI(대만) / Consolidated Contractors Company(레바논) Saipem(이태리) / 현대건설(한국)

Fluor(미국) / 대우건설(한국) 현대엔(한국) / Tecnimont(이태리)

ㅇ KIPIC은 미국 UOP사와 FEED(Front End Engineering & Design) 계약(‘17.11월), 당초

‘18.6월 준공 예정이나 동 사업의 일부 내용 변경으로 지연 불가피 전망

 (발전, 담수사업 : IWPP) 쿠웨이트의 발전용량은 15,000MW, 담수생산능력은 529migd, 수요는 ‘15년 14,000MW, ’22년 22,500MW 추정, 10% 예비율 고려시

‘22년 25,500MW 필요, 담수는 200migd 추가 필요 추정

【주재국 전력 수요 및 공급 정책】

ㅇ (수요) 전력 소비량 매년 5~9% 증가, 전력 예비율 2000년 30% ⇒ 2014년 21% ⇒ 2020년 8%(예상) 감소 추세, 1인당 평균 전력소요량 세계 최대 ㅇ (공급) 전력공급 설비 대폭 확충 추진 : 2018년 18.8GW ⇒ 2035년 32GW - 특히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15% 수준으로 확대

ㅇ 북 알주르 1단계(1,500MW+107MIGD), 민자회사 Al-Zour Company(‘13.12), 현대 중공업 EPC 수행, 조기상업운전(’15.5~), 준공 및 전면 상업운전 개시(’16.11)

ㅇ 북 알주르 2단계는 3개 컨소시엄 입찰 참여(‘16.6월)했으나, 민자사업청(KAPP)이 입찰 취소(’17.8월), 북 알주르 2,3단계 통합 입찰 추진중(2,700MW + 165MIGD)

ㅇ Khairan 1단계(1,800MW + 125MIGD)는 7개사 PQ통과, RFP 대기중

☞ 민자사업청은 북 알주르 2․3단계 및 Khiran 1단계를 위해 기업들로부터 입찰 의향서(EOI)를 받음(’18.11월) * 우리기업: 현대, 삼성엔, 두중, 현중

ㅇ 수전력부는 6,000MW규모 Nuwaiseeb 발전소 중 1단계(3,000MW) EPC 사업의 PQ를 ‘17.4월 개시할 예정이었으나 지연중

* 발전방식 비교 : (북 알주르) Combined Cycle Gas Turbine 방식, (Khairan) Low Sulphur Fuel Oil 방식, (Nuwaiseeb) Heavy Fuel Oil 방식

⇒ 재무부와 도시행정부가 전력 생산 및 정수를 위한 Nuwaiseeb 발전소 프로 젝트에 필요한 부지 분배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프로젝트 지연

ㅇ (역삼투압 담수프로젝트) 60migd 규모 Doha RO 플랜트 1단계 두산중공업 공사 완료(’16.5월~), 수전력부 2단계 사업 계획중

* 약 3억9천만불, 60MIGD(27만톤/일), 총 90개월(EPC 30개월, 운영&유지보수 5년)

※ 현재 담수생산(529MIGD) : 알주르RO(30MIGD), 슈와이크RO(30), 슈와이크MSF(21), 도하West(110), 도하 East(42), 슈와이바 증개수(36), 슈와이바 MSF(45), 알주르사우스(115), 사비야1,2,3(100)

 (신재생에너지) 2030년 전체 전력생산량의 15% 수준으로 확대 목표

ㅇ 쿠웨이트 과학연구원(KISR)은 2020년 쿠웨이트의 총 에너지 요구량의 3%가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충당 가능할 것이라고 발표(’18.1월)

- 또한, 쿠웨이트는 Al-Dabdaba 태양에너지 프로젝트 가동과 함께 2020년에는 1.55기가와트(GW)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함

ㅇ (Abdaliya 신재생에너지 민자사업) KAPP와 MEW는 Abdaliya 서측지역에 280MW 규모 Al-Abdaliyah Intergrated Solar Combined Cycle(ISCC) 추진

- 약 30억불, BOT 25년간 운영, HSBC 금융자문사 선정(‘13.9), 한전 등 7개 그룹 PQ통과(’16.8월), ’17.1.4로 입찰 연장했으나 취소, IWPP법에 따라 PQ 재실시 예정

①Acwa Power(lead; Saudi)/Al-Mulla Group(local)/Acciona Energia(스) ②Abengoa(lead;

(6)

스)/Sojitz(일)/ Alghanim International (local) ③EDF(lead;프)/Toyota(일)/Al-Sager(local)/TSK(스),

④한전(lead)/ Kharafi National (local) / Aries Energy (US) ⑤GDFSuez(lead;now calledEngie;

France/UK)/Elecnor (Spain)⑥JGC(일) ⑦RWE (lead 독) / Ali Kharafi (local)

ㅇ (Shagaya 신재생에너지 복합단지) 과학연구원(KISR) 및 MEW는 2030년까지 총 22억불, 2,070MW 규모의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추진중

- 1~3단계 중 1단계 사업은 ‘19.2월 준공

- 2단계 1.5GW 태양광 프로젝트 입찰중, 7개 컨소시업 참여(‘19.4월), EPC+F 방식 - 3단계 2GW 태양열+풍력 프로젝트를 2019/2020 회계연도 중 입찰 계획 보도

▸ 1단계 : 총 70MW(10MW풍력, 10MW photovoltaic, 50MW CSP), ‘19.2월 준공

* (10MW 풍력단지) Elecnor사 및 Al-Ghanim사(컨) 계약(‘15.3.26, 710만KD), (10MW Photovoltaic) TSK Electronica 및 Kharafi National(컨) 계약(‘15.2.12), (50MW급 CSP) '15.3.1일 재입찰. KISR 스페인사와 계약(‘15.9.10, 52백만불 규모)

ㅇ (Al-Dibdaba 태양광 프로젝트) KNPC는 1.5GW의 태양광 프로젝트(EPC+F)의 입찰 진행중, 7개사 제안서 제출(‘19.4월)했으나 수주기업 미선정 보도(11.6) - 중국 Metallurgical Corporation 최저가, 현지 Al-Mulla Group 두번째

* Metallurgical Corporation(중국), Al-Mulla Group(쿠웨이트), Masdar (아부다비) 등

ㅇ (시범사업) 한국전력기술이 특허를 보유한 적층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대해 수전력부, 국립연구원(KISR)와 성능 검증을 위한 시범사업 중(~‘19년下)

3. 인프라, 도시개발 부문 주요 프로젝트 동향

 (도로) Jaber 코즈웨이 메인링크(슈와이크~수비야), 도하링크(슈와이크~도하) 5.1 개통 (개통식에 총리님, 쿠 국왕, 왕세제, 국회의장, 총리, 프랑스 상원의장 등 참석)

* 메인링크 : 26.5억불 규모(현대분 20.6억불), 총연장 36.14㎞, 왕복 6차로, 인공섬 2개소 도하링크 : 약 6억불 규모, 연장 12㎞, 왕복 6차선

ㅇ Jaber 코즈웨이 운영 및 유지관리를 위한 계약 준비중

 (부비얀섬, 실크시티 개발) ‘뉴쿠웨이트 비전 2035’ 국가 개발계획에 따라 수비야 지역 일대의 실크시티와 부비얀 섬 등 5개섬 개발프로젝트 추진 중 ㅇ 실크시티 개발 법령 신설안을 국회 제출했으며, 앞서 11월 법안 설명회 개최

: 북부경제구역으로 명명, 북부경제구역청 신설, 경제분야 자율권 부여 등 ㅇ 무바라크 항만 연결도로 건설 계약(7.16, local 기업)

ㅇ 무바라크 항만(9.9억KD, 200만TEU) 1-3단계(준설 및 간척) 입찰 지연중

* 1-1단계 ‘18년 완공(중국, 오만, local 기업), 1-2단계 ’14년 완공(현대)

ㅇ 동 프로젝트 투자를 위한 100억불(5:5 투자) 규모의 펀드(Kuwait-China Silk Road Fund) 조성 계획의 언론 보도(’19.2월)로 사업추진이 점차 구체화되는 분위기 -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 부위원장의 쿠웨이트 방문으로 중국 건설

회사(CCCC)의 프로젝트 정보수집, 투자․실행 계획 수립에 동의 보도(’19.3월) - 실크시티 개발 관련 법안이 조만간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라고 보도(’19.3월) ㅇ 동 지역은 쿠 주권은 유지하되 행정적, 경제적으로 독립된 도시인 동시에

주택, 교육, 상업, 물류 등 서비스를 포함한 통합 도시가 목표라고 보도(’19.5월) - 반면, 보수 야당은 중국의 신장 지역 이슬람 교도 탄압, 실크시티 독립 법령의

이슬람 규율파괴 우려(음주허용, 동성애 인정 등)와 관련, 이의 제기 보도(’19.6월)

【추진경과】

ㅇ 쿠웨이트시청, ‘기존(06.3월) ‘부비얀 섬, 실크시티 개발계획’ 수정, 신토지이용계획 승인 언론보도(‘14.5),각료회의 ‘부비얀섬, 실크시티청’ 창설칙령승인(‘14.6)

ㅇ 쿠웨이트와 중국이 실크시티(Al-Harir City)와 5개섬 개발 프로젝트(Failaka, Boubyan, Warba 등)를 위해 쿠 국왕의 중국방문(’18.7월), 개발협력 MOU 체결(’18.11월) - 양국은 에너지, 인프라, 통신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관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쿠

는 아랍 중 처음으로 중국의 “일대일로(One Belt, One Road)”에 합의

(7)

 (주택 및 신도시) 주택분양신청 대기자가 11만명, 매년 8천명가량 증가하는 등 주택문제 해소 위해 신도시 4~9개소, 18만호 주택공급 계획 발표(‘13.5) ㅇ Mutlaa 신도시 주택용지 공급에 따라 대기자가 2015년 11만명에서 2018년

9.6만명 선으로 감소(’18 1사분기 96,444명)

- 다만, 당분간 대규모 후속 주택 공급계획이 없어 다시 증가세 예상

* 신도시사업 추진순서 : Al Mutlaa(102㎢) → South Abdullah Al-Mubarak(4.5㎢)

→ South Saad Al Abdullah(64㎢) → South Sabah al Ahmad(80㎢) → 기타

- MPW는 무틀라 내 교차로와 도로건설 및 유지보수 계약 체결(3.5억불, 8.29)

ㅇ (압둘라) 한-쿠 양국간 G2G 사업(‘16.5 MOU)으로 추진, LH와 주거복지청(PAHW) 공동심사를 통해 『선진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17.1월)하고, 양자 간 마스터플랜 및 실시설계 계약 체결(‘17.4.3)

* 설계업체 선정 및 MP용역 착수(’17년4월) → 신도시 시행법인 SPV설립(’19) → 공사착공 (’20년) → 준공예정(’34년 이후)

- 주재국 외국인직접투자유치촉진법(KDIPA법)에 따라 LH 쿠웨이트 지사 설립(’17.2)

- 차질 없는 MP 및 실시설계 용역 수행을 위해 계약 당사자 간 공동위원회를 구성․운영(’17.9.14, 1차, ’18.2.12, 2차 위원회 개최)

- 환경영향평가 등 압둘라 신도시 1단계 성과물 주거복지청(PAHW) 승인 완료 (’17.11.29), 스마트시티 예비계획 등 2단계 성과물 제출(~’18.8월: 2단계)

- 마스터플랜 이후 본격 사업추진을 위해 LH-PAHW간 예비사업약정 체결 (‘19.1), 마스터플랜 완료(’19.5), 실시설계중

- 제3회 스마트시티 포럼 성공적 개최(‘19.11.27)

- 금년 내 상세설계 완료 목표, ‘20년上 본약정 체결 및 SPV 설립 목표,

‘20년 도로 사업부터 발주 예상

ㅇ (Mutlaa) 주거복지청은 미국 McKinsey & Co사와 남부Al-Khairan 및 북부 Al-Mutlaa 신도시에 대한 기술, 전략 자문 계약체결(1천만불 규모, ‘15.3.1) - 연료 저장소(발주청 KNPC) EPC 발주가 지연되고 있다는 언론 보도

- 연결도로 공사(2.8억불)를 이탈리아 Itinera 수주(추가로 63억불 도로사업 검토중)

- 102㎢규모 Al-Mutlaa 신도시, 설계완료(‘16.6월. Parsons Brincherhoff)에 따라 기반 시설 4개 사업으로 분리발주․계약(’16~‘18년), 최근 시공 지연 지속 보도

① 도시내외 교통망, 전력, 용수 등 기반시설, ② 8개 블럭 18천호 대지, ③ 2개 블럭, 6천호 대지,

④ 2개 블럭, 6천호 대지

☞ ①번: 이태리 Salini-터키 Kolin 컨소시엄이 낙찰, 계약체결(‘16.6) 및 착공(9월) / ②번: 중국 CGGC 낙찰, 계약체결(‘17.3) 및 착공(6월) / ③번: 터키 Polat Yol 계약체결(‘18.2) 및 착공(3월) /

④번: 터키 CENGIZ 낙찰, 계약체결(‘18.2) 및 착공(3월)

- Mutlaa 신도시 PMC 업체로 Hill International을 선정(’16.6.6)했으나 최근 타절하고, KEO로 선정하여 수행중이며, 약 60~70여건의 신도시내 기반시설, 상업, 업무용 지에 대한 개발은 별도 업체를 선정하여 추진*

* 사업일정 관리(KEO, 쿠웨이트 기업), 시공감리(Parsons International) / 상업․업무용지 개발사업, 공공건물 설계 및 시공입찰 등은 향후 사업자 선정 예정

ㅇ 쿠 정부는 중장기 계획에 따라 지속적으로 주택공급을 추진할 계획이며, 특히 신도시 경험이 풍부한 한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확대한다는 계획

* Jaber Al-Ahmad(12㎢ ‘14년 완료), * South Abdullah Al-Mubarak(4.5㎢ ‘20년 완료예정)

* South Al-Mutlaa(102㎢ ‘19년 완료예정), * South Saad Al-Abdullah(64.42㎢ ‘23년 완료예정)

* South Sabah Al-Ahmed(61.5㎢ ‘21년 완료예정) * Khiran(140㎢ ‘22년 완료예정)

* Nawaf Al-Ahmed(80㎢ ‘25년 이후 완료예정) * Sabriya(80㎢ ‘25년 이후 완료예정)

* An Naayim Eco Town(250㎢ ‘30년 이후 완료예정)

ㅇ (기타) 주거복지청은 터키 Limak Holding사와 South Abdullah Al-Mubarak 시티의 기반시설+주거지역(4.5㎢, 3,260plots) 건설계약 체결(9천6백만불, ‘18.3~’20.3) - Sabah Al-Ahmed 신도시(61.5㎢, 25,000plots) 인프라(도로, 발전도 등) 건설사업을

중국 Sinohydro에서 수주 보도(2.2억불 규모, ‘19~‘21.5)

* 설계용역은 Foster & Partners-KEO 컨소시엄과 계약(2천6백만불 규모, ‘17.8~’19.8)

- 주거복지청은 Sabah Al-Ahmed 신도시 건축사업을 쿠웨이트 United Building Company에 발주 보도(2.5억불, 아파트 40개, 빌라 2천개, 학교52개, 모스크 70개 등)

(8)

- Jahra 지역내 주거복지주택 공급대상자가 아닌 무주택 국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한 임대단지(East Tima, 37천㎡, 509세대) 건설공사를 위해 Kuwait Arab Contractors Company와 공사계약 체결(146백만불 규모, ‘18.3~’20.9)

 (하수처리시설) KAPP는 일 70만㎥ 처리용량의 Umm Al-Hayman 민자 폐수 처리 플랜트(약 20억불) 사업을 독일 Wassertechnik사와 계약(‘18.11월)

* 용량: 1단계 50만㎥ 처리, 공사 2.5년, 운영 25년 후 소유권을 수전력부에 이전(BOT)

 (철도 및 메트로) 당초 민자사업, ‘13년 교통통신부 재정사업으로 전환, ’15년 민자사업 재전환됨에 따라 향후 민자사업청, 도로교통청 등이 관할할 전망

ㅇ (철도) GCC 연결철도망 사업 일환, 총연장 약 500㎞, 2단계로 나눠 건설예정 - 철도 건설비용은 10억KD, 운영 등에 10억KD 등 총 20억KD가량 비용 소요

추정되나, 프로젝트 주관기관과 조달 방식에 대한 의견 불일치로 지연

▸ 주관부서 변경: 교통통신부(MOC) → 도로육상교통청(PART)

☞ GCC 교통장관회의에서 GCC 연결철도망 사업 2021년까지 연기 결정(‘17.9월) ㅇ 쿠 농・수산자원청(The Public Authority for Agricultural Affairs and Fish Resources,

PAAFR)이 철도 경로에 있는 Wafra 지역 47개 농장의 면허를 취소(‘17.11월) - 해당 농장들은 쿠웨이트와 GCC국가를 철도 연결 외에도 쿠웨이트시, 쿠웨

이트 국제공항 및 항만을 연결하기 위한 지역 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철거 필요 ㅇ 쿠웨이트 도로교통청(Public Authority for Roads and Transporation, PART)은 2020년 중반까지 걸프 철도프로젝트 일부를 완성하기 위해 PPP제도를 통해 국가철도 네트워크 1단계 이행을 계획 중이라는 언론 보도(’18.3월)

- 쿠웨이트 민자사업청(KAPP)은 이를 위해 공공 합자회사*(Public Joint Stock Company)를 설립, 2개의 설계-건설-유지보수 패키지의 건설 발주 검토중

* 민간 컨소시엄(지분 44%), 쿠웨이트 시민 공모(IPO, 50%), 정부(6%)

ㅇ (Metro) D&B, 공기 5년, 시속 90㎞의 무인전동차 방식적용 전망

▸ 메트로, 철도 민자사업 참여 관련 쿠웨이트 기업의 방한설명회 개최 지원(’15.12.14)

☞ ‘14년 교통통신부 PMC PQ추진했으나 민자사업으로 변경되면서 취소, PTB 에서 메트로 프로젝트를 검토중이라는 언론보도는 있었으나 입찰 일정 불투명

 (항 공) 여객처리능력 연 700만명을 1단계 20백만명, 최대 25백만명 확대하기 위해 쿠웨이트공항 제2 여객터미널(예산 35억불) 등 총 60억불 규모 사업추진

ㅇ (제2여객터미널) 터키 Limak사 공사 진행중(‘16~’22년), 최소 1~2년 완공 지연 예상, 공사 지연 기간동안 항공수요 감당을 위해 터미널 4에 추가 투자 검토중 - MPW는 신공항 실행부서 신설 발표(부서장: Faisal Al-Ostad-현재 공항 2터미널 담당) - 국제공항 패키지2 프로젝트(승객 서비스 건물, 주차장 등)는 터키 기업 최저가 낙찰

- 쿠 공공사업부(MPW)는 국제공항 PMC 및 시험운영(Orat) 입찰 진행중(2.27 접수 마감, 현재 기술평가 진행중), 동 입찰에는 5개 기업 참여, 계약 임박 보도

* CH2M (US), Egis (France), Ineco (Spain), Parsons (US), SNC-Lavalin (Canada)/SSH(local)

ㅇ (제4여객터미널) 인천공항공사는‘18.5월 민간항공청(DGCA)과 위탁운영계약 (5년, 127.5백만불) 체결,‘18.8월 개장,‘19.8월 뉴욕 직항 개시로 전노선 운영중

- 9.15(일) 위탁운영 1주년 기념행사 개최

- DGCA는 T4 운영으로 5,000만KD 이상의 수익 달성했다고 발표(7.2)

- DGCA 현행 터미널과 화물터미널 사이에 연간 450만명 처리 Back-up 터미널 신설추진. Ready made Building 방식 1.5년 소요예상. 15개사 초청(’15.10월 입찰마감)

- 쿠웨이트 민항총국은 터키 Cengiz Insaat Sanayi Ve Ticaret 컨소시엄과 174 백만불 국제공항 임시여객터미널 건설공사계약 체결(’16.9)

ㅇ 쿠웨이트 항공은 영국 항공정보 제공업체 OAG(Official Airline Guide)에 따르면 중동, 아프리카, 유럽의 169개 항공사 중 정시성 부문 4위

- 에어버스와 A320 15대 구입 계약, 15대 중 2대 수령 보도(11.2)

 (통 신) 정보통신청(CITRA)은 쿠웨이트 내 상용 5G 통신서비스를 6월 중순 개시 계획, Zain과 시범운영 완료

ㅇ 쿠 정부는 금번 성과가 시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관련 분야의 발전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

참조

관련 문서

한국플랜트학회, www.kipec.or.kr Korea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 Construction.. 건물설비

한국플랜트학회, www.kipec.or.kr Korea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계약서 검토 및 승인 계약 사항에 대해 매수자와 매도자 양측의 변호사가 검토 기간. 집 검사 라이선스를 가진 전문가가

Heerim Architects & Planners Co.,Ltd R2Korea Real Estate Investment

- PVN이 50% 이상 지분 보유 : Petrovietnam Drilling & Well Services Joint Stock Corporation(PV Drilling), Petrovietnam Technical Service Joint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Naval Architecture

[r]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College of Engineering.. Ship Motion & Wave 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