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week (June 16) ~ Final examination 13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week (June 16) ~ Final examination 13"

Copied!
4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6

th

week (June 16) ~ Final examination 13

th

week (May 26)

14

th

week (June 02) 15

th

week (June 09)

B. 디자인의 단계(Design Phases)

Design is keystone of architecture practice. Translating needs and aspirations into appropriate and exciting places and buildings requires great skill, as well as attention to broader public concerns.

디자인은 건축실무의 중심이다. 필요와 열망을 적절하고 흥미를 끄는 장소와 건물로 번역 해 내기 위해서는 최상의 기술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대중의 우려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건축사가 수행하는 디자인의 진행과정과 디자인의 실무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이 사용 된다. 디자인의 의사결정과정이 여러 가지 의미에서 개인적이고 직관적인 것으로 비춰질 수도 있겠지만, 디자이너가 만드는 많은 결정은 널리 논의되고 합리적으로 분석된다. 디자 인이 복잡하고 접근하기 어려운 대상으로 비춰질 수도 있겠지만, 많은 수의 능력 있는 건 축사가 전공 영역을 이수과정을 마친 후에 실무를 수행하고 있고, 좀 더 광범위한 배열의 다른 건축 관련부문을 포함하면 수십만 명이 생업에 종사하고 있다. 디자인을 수행하는 과 정 중 위대한 영감과 깊은 통찰력이 떠오르는 짧은 순간이 있지만, 디자인이 요구하는 모 든 것은 몇 시간, 몇 달 그리고 몇 년간을 이어가야 하는 힘든 작업이다. 디자인은 지속적 인 행위이다. 디자인은 프로젝트의 의미를 규정해 가는 과정의 침잠 속 깊은 어딘가에서 출발하며, 누군가가 궁극적으로는 형상화될 아이디어를 갖게 되는 그 어딘가에서 출발한다.

건축사의 분석, 이해, 그리고 프로젝트에 관해 알아야 할 그 무엇을 발견해가는 과정 속에 서 수집된 데이터, 의도, 느낌에 대해 응답하는 것으로부터 건축 디자인이 시작된다. 실제 로 디자인은 결코 끝나지 않으며 디자인의 중요 결정사항은 진행과정의 모든 단계에서 만 들어진다. 사용을 위해 입주가 완료된 이후에도 건물은 지속적으로 수선되고 새로운 용도 를 위해 적응되고 새로이 디자인된다. 모든 프로젝트에는 시작과 끝이 있고, 이러한 시기는 계획, 디자인, 공사 그리고 시설유지 용역을 위해 문서로 작성된 계약서에 의해 규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자인은 모든 단계의 중심주제가 된다. 디자인의 과정은 각 단계 고유 의 상황에 대한 새로운 기회, 새로운 문제 그리고 새로운 지식에 대응하여 디자인 팀을 노 출시켜주는 배움의 곡선에 비유되어왔다.

1) 디자인의 요인(Design Factors)

(2)

디자이너가 응답해야 할 상황은 모든 프로젝트마다 다르다. 모든 프로젝트는 각기 다른 요구 사항과 한계, 도전 그리고 기회뿐만 아니라 독특한 문화, 환경, 기술, 그리고 미적 인 문맥의 배경들을 가지고 있다. 디자인은 상황 고유의 주요 고려사항들을 표면으로 가 져온다. 디자인이 문제를 찾아내어 그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이며, 특이 한 조합이 각 프로젝트에 특이하게 적용된다고 할지라도 가장 중요한 디자인 요소의 일 부는 모든 프로젝트에 수반된다.

a) 프로그램(Program)

모든 건물은 디자인에서 디자인이 포용해야 할 일련의 열망, 요구사항과 한계를 담고 있다. 이러한 정보는 프로젝트의 프로그램에 담겨있다. 프로그램은 짧거나 길거나, 일 반적이거나 독특하거나를 불문하고, 필요사항을 서술하거나 결론에 대한 제안을 함축 할 수 있으며, 건축주에 의해 제공되거나 건축사의 추가용역으로서 개발될 수도 있

다.

b) 지역사회의 염원(Community Desires)

점점 늘어나는 숫자의 인허가 기관 승인은 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많은 수의 건축주와 건축사가 지역사회 단체, 주민들, 그리고 공무원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디 자인을 조정해야만 한다. 이런 디자인 조정은 자주 정리된 요구사항에 직접적으로 응답하게 되기보다는 반대를 무마하거나 지지를 얻기 위한, 계획에 없던 추가적인 노력이 된다.

c) 건축법과 규칙(Codes and Regulations)

디자인에 대한 법적규제는 꾸준하게 증가되어 왔다. 단순한 안전 요구사항과 최소한 의 대지사용(land use), 빛과 공기에 대한 권리의 지정(air-rights)으로 시작하여,

건축법과 규칙은 디자인과 공사의 모든 면을 규제하는 주요 동력이 되었다.

d) 부지와 기후(Site and Climate)

부지는 물론 주요 요인이다. 크기(size), 형태(configuration), 지형(topography), 지질(geotechnical)에 관한 주제 등 부지의 물리적인 특성과 바람(wind), 태양의 방 향(solar orientation), 온도(temperature), 습도(humidity), 비와 눈(precipitation) 등의 기후조건과 전망(view), 현존하는 식생(vegetation), 배수(drainage) 등의 환경 조건과 접근성(accessibility) 그리고 인접대지의 용도와 다른 많은 요소들이 최종

디자인에 이르기 위해 고려된다.

e) 건물의 문맥과 현존하는 도시요소(Building Context and Existing Fabric)

주변 환경은 많은 건물에 주요 영향을 끼치는 부지의 양상이 되었다. 건물의 형상에 명백한 영향을 미치는 것에 더해 이웃한 건물이나 조경은 최종 디자인을 위해 선택 된 건축의 재료, 창호, 색상과 상세에 대해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중 더욱 중요한 것은 디자인되고 있는 건물에 연계될 수도 있는 기존 구조물이다. 건축 디자인은 도 시의 질서(the order of the city)와 대지의 질서(the order of the land)에 응답해 야만 하며, 늘어나고 있는 비율의 건축 디자인 문제 역시 기존 구조체의 한계 속에 서 디자인을 수행하도록 요구받고 있다는 점이다.

f) 건축의 기술(Building Technology)

건물의 형상, 건축재료, 그리고 건물의 시스템은 원칙이나 계획 없이 선택되는 일이 거의 없으며, 단지 일부만 부분적으로 미적인 기준에 근거한다. 예를 들면, 아파트

등의 주거건물로부터 사무실 건물이나 연구시설에 이르기까지 비용대비 효과가 높

(3)

은 방법으로 구조, 기계, 조명, 그리고 천장 시스템을 수용해야 할 필요가 있는 건 물의 층고는 현저하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비슷하게 수평적인 배분은 전개의 최대 효율을 획득하기 위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정해진다. 이와 같이 사무실 창문 또 한 한 개의 모듈과 다른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기준에 의거하여 정해질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아직도 이러한 치수가 기계설비나 심지어 지역 건설 산업의 지식이 나 선호도에 의해서까지도 크게 조절될 수 있다.

g)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지속가능성은 가장 광범위한 범위로는 사회, 생태계(ecosystem), 또는 현존하는 어 떤 체계가 의존하는 핵심자원의 소진이나 과부하를 통해 쇠퇴를 강요당하지 않고, 무한대의 미래로 기능을 지속하는 것을 일컫는다. 지속가능성을 건축적인 의미로 규 정한다면, 건물과 지역사회에 낮은 환경적인 충격을 가져다주며 건강, 생산성 그리 고 삶의 질을 강화해주는 디자인을 의미한다.

h) 특별한 주제(Special Issues)

가파른 속도로 올라가는 에너지 가격이나 증가하는 보안에 대한 우려 같은 외부요 소 또한 디자인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너지 보존에 대한 염 원은 대부분의 주요 건물시스템(building system)을 선택하는 주요 결정 요인이 될 수 있다. 안전에 관한 우려는 배치 계획, 진입 경로로부터 공간의 프로그램, 그리고 건물의 재료에 이르기까지 디자인의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i) 비용(Cost)

모든 프로젝트는 제한된 예산 하에 수행되므로 비용에 대한 고려는 건물의 크기와 형태로부터 건축 재료의 선택과 상세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주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비용은 단순한 주제가 아니다. 예산은 가능한 대출액수에 의해 확정될 수 있 거나 유동적인 상태로 남겨져 있다가 디자인 과정에서 논의의 초점이 될 수 있다.

공사비 예산은 종종 건축주와 전체 프로젝트 팀이 관련된 분석으로부터 초래된다.

일부 건축주는 전 생애주기의 비용절감을 위해 초기금액을 기꺼이 증액할 수도 있겠 지만, 거의 대부분의 경우 공사비로 쓸 수 있는 자금은 극도로 제한된다. 예산이 일 단 확정되면 이러한 예산의 한도가 이어지는 디자인의 결정에 주요 영향을 미친다.

j) 일정(Schedule)

그렇게 많은 외부의 영향이 디자인에 미치기 때문에, 건축사가 경로를 이탈하여 디자 인의 결정을 내리거나 주어진 시간이 촉박한 까닭에 어떤 대안이 탐색될 수 없는 것

은 흔한 일이다. 예를 들면, 프로젝트의 일정을 지키기 위한 계획안 때문에 시간이 소요되는 용도지역의 변경을 필요로 하는 대안이 폐기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젝트 를 수행하면서 배치계획에 그려지고 있는 건물의 평면 윤곽이 완전히 디자인되기도 전에 디자인의 초기 단계에서 최종 배치계획안을 작성할 필요가 있을지도 모른다.

k) 건축주(The Client)

모든 성공적인 디자인의 중심적인 필수요소는 건축주이다. 어떤 건축주는 프로그램, 예산, 그리고 건물의 최종 외관을 포함하여 기타 프로젝트의 목표에 관한 명확한 아 이디어를 갖고 있다. 어떤 건축주는 건축사가 자신을 도와 프로젝트의 목표를 규정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목적에 맞는 건물을 디자인해 주기를 원한다. 상기한 두 경 우 모두 디자인 과정의 주요 요소는 건축주와 건축사간의 효과적인 결합이다.

(4)

2) 디자인의 진행과정(Design Process)

거의 모든 프로젝트에는 결합되어 각각의 프로젝트를 서로 다르게 만드는 독특한 요소들 이 모음이 있다. 그러한 요소들이 제 역할을 수행하도록 개별적인 건축사는 다른 가치와

태도로써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접근한다. 디자인은 분석(analysis)하고 종합(synthesis) 하고 평가(evaluation)하는 것처럼 어떤 선형(linear)의 성격을 갖고 있지만, 진행과정이 비선형(nonlinear)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는 것 또한 널리 인식되고 있다. 후자는 때때 로 ‘통찰력의 섬광(flashes of insight)‘과 ’창조적인 도약(creative leaps)’으로 묘사된 다. 우리는 디자인 과정이 정보와 아이디어를 동시에 가지고 많은 단계에서 일한다는 것을 점증적으로 인지하게 된다. 건축사는 이처럼 건물의 전반적인 기하학적 형태와 휠체어에 앉은 사람이 건물 내부의 공간을 체험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시공될 건물의 재 료에 관해 한꺼번에 생각할 수 있다. 우리는 동시에 디자인 행위를 상호적인 행위와 반 영이라고 본다. 건축사는 요구사항과 주제 그리고 변수들을 진행하여 시험적인 디자인 의 제안을 작성하며, 이러한 제안을 검토하고 비평함으로써 새로운 제안을 도출한다. 각 각의 제안은 문제점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드러내고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하게 된다.

a) 분석(Analysis)

디자인이 비선형(nonlinear)적으로 진행된다고 할지라도 분석을 수반한다. 첫 번째 단계는 식별하고 분석하고 확인하고, 그리고 디자인 개념의 개발에 영향을 줄 요소

를 체계화하는 것이다. 건축사는 전형적으로 경제적 타당성 조사(economic feasibility study), 프로그래밍(programming), 그리고 부지 분석(site analysis) 단

계를 통해 유효한 데이터를 선택하고, 그 데이터를 건물의 디자인에 사용될 수 있는 정보의 형식으로 체계화시킨다. 데이터는 건축주에 의해 제공되거나 프로그램의 작 성 과정 또는 부지분석 용역의 진행과정에서 건축사에 의해 개발된다. 종종 병행하 여 추구되는 분석들은 다음의 단락에 기술된다.

- 프로그램의 분석(Program Analysis); 많은 건축사들이 프로그램 진술서의 단어 와 숫자를 그래픽 언어, 개발의 도표, 풍선 도형(bubble diagram), 그리고 디자 인 개념의 스케치로 번역한다. 모든 건축사들은 디자인의 중요한 출발점으로서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연계될 필요성을 강조한다.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은 피 할 수 없으며 프로그램의 작성이 반드시 디자인과정의 일부분이 되어야한다는 것 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디자인의 아이디어가 공간의 크기와 모양뿐만 아니라 공간간의 관계 그리고 공간과 자연과의 관계에 영향을 끼치고 종종 그 대 상을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건축주가 프로그램을 제공할 때에도 프로그램을

확인하고, 이해가능하며 사용가능한 디자인의 정보로 변환시키는 데 시간을 소비 하는 것은 유익한 일이다.

- 부지분석(Site Analysis); 부지의 중요한 데이터는 보통 적절한 물리적, 문화적, 법 규 요소의 도형 기록으로 체계화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종종 공통적인 척도와 형 식으로 체계화될 때 디자인의 해결책으로 이르는 길을 지적해주기 시작한다. 부지 를 걸어갈 때 부지와 주변 지역사회를 이해하게 되면서 아이디어가 떠오르기도 한 다.

- 용도구역과 건축법규 분석(Zoning Resolutions and Building Code Analysis);

많은 건축설계회사가 부지분석과 동시에 용도구역 및 다른 건축법규 주제를 그래

(5)

픽 형태로 전환시킨다. 복잡한 도시 용도구역법(zoning resolutions)의 경우, 건축 가능한 높이(height), 용적(bulk), 건축선 후퇴(setbacks), 그리고 법규에 의해 부 과된 또 다른 제한사항들을 보여주는, 용적의 외피(the zoning envelope)에 대한 그래픽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용도구역에 관련된 이러한 표현이 주차와 하중에 대한 요구조건, 출구에 대한 고려사항, 건물면적과 높이에 대한 제한사항, 그리고 다른 건축법규 상의 요구조건들과 결합될 경우, 이러한 분석은 건축프로그램을 부 지에 적절하게 적용되는 건물의 용적으로 다듬어 가기 시작하는 작업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건축 도서집의 첫 장을 구성하는 프로젝트 정보 도면(project information sheet)에는 부지에 대한 기본사항과 이러한 법규사항에 따라 산출된

프로젝트 정보가 포함되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ㄱ. 부지의 면적(site area) ㄴ. 건물의 높이(building height)

ㄷ. 건물 주변의 공간(yards; front yard, side yards, rear yard) ㄹ. 건축선 후퇴(setbacks)

ㅁ. 용적율 및 연면적(floor area ratio and total floor area) ㅂ. 지하층 면적(below grade level floor area)

ㅅ. 건폐율 및 건축면적(lot coverage and building area) ㅇ. 오픈 공간 면적(open space area)

ㅈ. 건물의 용도별 바닥면적(building floor area for each use) ㅊ. 건물의 각층 바닥면적(building floor area for each floor) ㅋ. 주차 대수(parking stall numbers)

- 현존하는 조건의 도서작성(Documentation of Existing Conditions); 많은 건축디 자인 문제의 해결책을 구할 때, 기존의 구조체가 부지와 인접해 있을 경우에는 새 로운 건물과 외부 공간을 기존의 구조체에 맞추어 디자인하거나 혹은 기존의 구조 체가 부지 내에 있을 경우에는 기존의 구조체를 디자인의 일부로 포함시켜서 디자 인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존의 도면을 디자인에 이용하기 위한 기초도면으로 전환 시키거나 새롭게 측정된 기초도면을 작성함으로써 현존하는 조건에 관해 명확하고 정확한 도서화를 수립하는 것은 필수이다. 이 단계는 전형적으로 디자인의 기초 규격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것에 더해 현존하는 물리적 법적 문제점을 식별 해 준다.

- 일정(Scheduling); 프로젝트의 일정이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도구이기는 하지만 때 로는 디자인의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프로젝트 단계 규정하기 같은 주요한 일정에 관한 주제, 프로젝트가 용도를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 그리고 신속추진일 정(fast-track scheduling)을 수용하기 위한 디자인 결정의 경로(sequencing)는 모두 디자인 개념의 개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비용(Cost); 건물디자인에 함축되어 있는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프로젝트 예산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다. 실제로 모든 프로젝트의 예산이 제한된다. 건축사는 디자 인의 성공 요인으로서 가장 중요해 보이는 결정사항을 디자인의 해법으로 이끌면 서 예산에 편성된 자금을 주의 깊게 사용해야 한다. 경험이 많은 건축사는 보통 예산 중 이런 자유재량 부문에 편성된 예산의 크기를 가려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을 하는 동안 발생될 기본적인 시스템의 선택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수립할

(6)

수 있다.

- 건설 산업 실무(Construction Industry Practice); 모든 건축사는 일정 및 비용 분석과 동시에 디자인 업무에 관련된 지역의 건설 산업 실무 양상을 고려한다. 건 축사가 고려해야 할 실무 양상은 재료와 노동력의 사용 가능성으로부터 공통적으 로 사용되는 재료, 시스템 그리고 상세에 이르기까지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 디자인의 선례(Design Precedents); 많은 건축설계회사에서 수행되는 초기분석의 중요한 양상은, 유사하거나 관련된 프로그램, 부지, 문맥, 비용 또는 기타 디자인 주제에 직면했던 프로젝트들로부터 선택된, 상응하는 선례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 이다. 건축사에게는 자신의 디자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촉구하기위해 유사한 주 제를 다루는 건물디자인에 익숙해지는 것이 흔한 일이다.

b) 종합체(Synthesis)

건물의 디자인은 수집되고 분석된 기초데이터에 대한 건축사의 분석, 이해, 그리고 응답으로부터 시작된다. 이러한 모든 것을 결합하여 통일된 해법으로 만든 것이 개념

디자인의 핵심인 종합체이다. 모든 건축사는 기초 데이터의 분석으로 시작하여 상호 작용과 반영인 스케치, 대화 그리고 생각을 통해 개념 형성에 필요한 이해의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작업한다. 특정한 디자인의 자극제(design stimuli), 구성의 원리 (organizing principles; hierarchy, axis, rhythm, datum), 강조할 부분(area of emphasis), 그리고 미적인 어휘(aesthetic vocabularies)는 특정한 건축사나 건축설 계회사마다 독특하게 표현할 수 있고 건축설계회사들이 각기 다른 방법으로 이것들 을 종합할 수도 있겠지만, 디자인에는 공통의 과제가 있다. 이러한 공통의 과제는 다 음의 단락에서 논의된다.

- 디자인 목표의 수립(Establishing Design Goals); 건축주와 디자인 팀은 일정한 형식을 갖추거나 혹은 형식을 갖추지 않은 채 표현된 프로젝트의 목표를 갖고 있 다. 이러한 디자인의 목표는 디자인의 결정사항을 판단하기 위한 기능적, 미적 지 침(functional, aesthetic guidelines)을 창조하며, 프로젝트의 목표(project objectives)는 디자인의 해결책 중의 일부로서 다수의 대안(alternatives)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하기 위한 타협을 해야 할 때에, 교환이 수용되어야만 할 경우의 우선권 수립을 도와준다. 프로젝트의 목표와 우선권이 이해되는 문맥의 흐름 속 에서 예산과 품질, 외관과 에너지 효율 사이의 타협 그리고 수백 가지의 다른 결 정들이 만들어져야 한다.

- 디자인의 개념을 발전시키기(Evolving a Design Concept); 건축사는 확실한 디 자인의 목표를 가지고 한 가지 혹은 다수의 디자인 개념을 개발한다. 이것은 평면 개념(a plan concept), 기하학적 형태의 선택(the selection of a geometric form), 건물의 용적을 수직으로 늘릴 것인지 수평으로 늘릴 것인지

여부의 결정, 또는 예를 들면 내부 공간에서의 중앙 몰(central mall) 같은 구성 요소의 사용이 될 수도 있다. 디자인의 개념은 특정한 이미지나 역사적 선례에 근거를 둘 수 있으며 디자인의 개발을 지배할 형식적이고 미적인 아이디어의 디자인 어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숨어있는 원리가 무엇이든 간에 건축사가 다양 한 표현과 이해를 돕고 발전하고 있는 디자인 개념을 유기적으로 연관시킬 수 있 는 디자인의 이형(variations)을 개발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 개념의 대안을 평가하기(Evaluating Concept Alternatives); 모든 건축사는 이

(7)

러한 가능성과 이형을 가지고 일하면서 운용 가능한 개념의 모음으로 범위를 좁 혀가는 과정을 개발했다. 어떤 경우 대안의 선택은 원래의 프로젝트 목표에 대한 개념의 항목별 평가에 근거한다. 다른 경우에는 경험에 근거한 직관적인 판단이 다. 대안의 선택은 모든 경우에 프로젝트 목표에 대한 개념의 항목별 평가와 직관적인 판단에 함께 근거한다. 처음의 개념적 단계를 벗어나면 과정은 좀 더 복잡해진다. 거의 최소 규모의 가장 단순한 프로젝트에서 개념의 개발을 따르는 단계는 사람들의 팀과 관련된다. 디자인 팀이 확장되면서 모든 건축설계회사는 시험을 하고 선택된 개념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엔지니어, 특수 컨설턴트, 그리고 비용 컨설턴트를 프로젝트에 연루시킨다. 건축사는 일반적으로 건축 이외의 프로 젝트 팀 참여자들이 프로젝트에 일찍 참여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이고 조율된 디자 인에 대한 노력으로 이끌어진다는 것을 인정한다. 예를 들면 엔지니어는 많은 건 물 시스템(building system)의 선택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규격, 필요한 면적, 그리고 이러한 건물 시스템의 선호 위치를 규정해 준다. 좀 더 복잡한 디자인 문 제를 풀기위해 엔지니어는 종종 타당성 조사, 상대적 비용, 그리고 주요 디자인 선택권의 기타 중요한 요소를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3) 계약의 구조(Contractual Framework)

디자인은 다음과 같은 계약의 구조에서 일에 착수한다;

- 디자인의 업무와 요구 사항의 개요를 작성하라.

- 건축사와 건축주 그리고 가능한 제3자를 포함하여 디자인에 관한 특정한 책임을 식별하라.

- 시작 일자와 완료 일자를 포함한 일정표를 수립하라.

- 종종 임시 이정표의 일자로 표기하여 디자인의 단계와

디자인의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건축주의 승인을 규정하라.

이 계약의 구조는 건축주와 건축사간의 동의에 의해 수립된다. 디자인의 행위가 상세하 게 기술될 수 있거나, 혹은 작은 범위나 제한된 범위로 기술되어야 할 경우 몇 개의 문 장으로 기술될 수 있다.

미국 건축사협회(AIA) 건축주-건축사간 계약서에 수립되어 있는 5개 프로젝트 단계는 다음과 같다;

- 기본계획단계(Schematic Design Phase) - 기본설계단계(Design Development Phase) - 실시설계단계(Construction Documents Phase) - 입찰 또는 협상단계(Bidding or Negotiation Phase) - 공사단계(Construction Phase)

미국건축사협회(AIA) 문서B101-2007, 건축주-건축사간 표준계약서 양식은 건축주의 프 로그램이 존재한다는 명확한 규정이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프로그램은 건축주가 디자인 이 시작될 때 가져오거나 혹은 건축사가 전문가 용역의 일부로써 제공한다. 디자인의 진 행과정은 입찰 또는 협상 그리고 공사를 위한 도서 작성이 될 만큼 충분히 프로젝트의 상세가 진행될 때 까지, 각기 좀 더 완전한 디자인의 정의가 결과로써 나타나는, 일련의

(8)

단계(series of phases)를 통하여 선형의 방법(in a linear fashion)으로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가정한다. 실제로 그렇게 규칙적인 경우는 드물다. 진화하는 프로그램의 요구 사항, 예산의 현실, 하부 토양(subsoil)의 문제와 같은 부지에 대한 고려사항의 늘어 난 지식, 인허가기관의 검토(public agency review), 그리고 기타의 많은 요소들이 이전 단 계로 뒤돌아가서 수정할 필요성을 만든다. 디자인을 패키지들로 부수어 이전의 패키지가 완료되기도 전에 다음 패키지를 주는 신속추진 일정(fast-track scheduling)은 일을 더 복잡하게 만든다. 디자인이 앞으로 진전되기는 하지만, 계약단계에서 암시된 것처럼 명확 한 선형의 방법으로 진행되는 경우는 드물다. 건물 정보화 모형(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은 디자인 단계(design phases)간의 차이를 더욱 모호하게 만들 것을 약 속한다. 이 도구는 더 많은 건축사가 3차원(3D)으로 프로젝트를 디자인하고 도서로 작성 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오늘날 말기 단계의 수많은 의사결정이 불가피하게 초기 디자 인 과정의 일부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약의 구조는 중요하다. 계약의 구조는 디자 인의 진행과정에 질서를 부여한다. 디자인에 단계들이 규정되어 있으면 건축사는 규정된 디자인의 단계에 맞추어 개발의 일정 위치(interim level)까지 디자인을 진행시킬 수 있 게 되고, 건축주가 디자인의 내용을 검토하여 승인하면 프로젝트는 상호이해를 기초로 하여 다음 단계로 나아간다.

a) 기본계획단계(Schematic Design Phase)

미국건축사협회(AIA) 문서B101-2007 건축주-건축사간 표준계약서 양식은 설계용역 의 첫 번째 단계를 기본계획단계(Schematic Design Phase)라고 식별한다. 이 단계 의 완료가 각 프로젝트 또는 다른 건축주와 디자인 팀마다 약간씩 다르게 규정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목표와 결과물은 공통적으로 합의에 이르게 된다. 기본계획 은 일반적인 범위, 개념디자인, 그리고 프로젝트 구성요소간의 척도와 관계를 수립한 다. 기본 계획의 첫 번째 목표는 명확하게 규정된 적절한 개념에 도달하고, 건축주의 이해와 수락을 획득하는 형태로 표현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표는 프로젝트의 프로그 램을 명확하게 하고, 가장 유망한 대안의 디자인 해법을 탐구하고, 프로젝트 비용을 분석하기 위한 합리적인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단계의 종료 시점에 작성이 완 료되어야 할 전형적인 도서의 목록은 다음을 포함한다;

- 배치도(a site plan)

- 각층 평면도(plans for each level) - 4개 방향의 입면도(all elevations) - 주요 단면도(key sections)

- 시방서 초안(an outline specification)

- 디자인 면적의 통계적 요약과 프로그램과 비교한 다른 성격 (a statistical summary of the design area and other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to the program)

- 초기 공사비 견적(a preliminary construction cost estimate)

- 다른 예증적인 자료들; 렌더링, 모형, 컴퓨터 모의실험, 또는 개념을 적절하게 표현 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도면(other illustrative materials; renderings, models, computer simulations, or additional drawings needed to adequately present the concept)

(9)

가. 도면(drawings)

도면은 전형적으로 개념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척도로 표현된다.

아마도 큰 건물에서는 1;200으로, 작은 건물과 실내에서는 1;100의 척도로 표현 될 수 있다.

나. 시방서(outline specification)

이 단계의 시방서는 프로젝트의 주요 시스템과 건축재료 선정을 시사해주는 작업 에 대한 일반적인 기술이며 건물의 외관과 기능에 관해 소통하기에 필요한 정보 를 제공해준다.

다. 공사비의 초기견적(preliminary estimate of construction cost)

기본계획단계에서의 견적은 초기 면적(preliminary area)에 대한 분석과 초기 공

사비 견적을 포함한다. 상세의 수준은 부득이하게 제한된다. 초기견적 (preliminary estimate)은 기초(foundations), 구조(structure), 외벽의 마감 (exterior closure), 실내 칸막이벽과 마감(interior partitions and finishes), 배관(plumbing), 기계(mechanical), 전기(electrical), 부지 작업(site work), 그 리고 장비(equipment) 등의 주요 공정이나 시스템에 의해 쓸모없이 될 수도 있 다. 초기견적은, 부지(site), 시장(marketplace), 또는 기본계획을 하면서 마주치 게 되는 다른 보기 드문 조건을 기초로 한 추천을 수반한, 건축주 예산(owner’s

budget)의 초기분석을 포함한다. 이 단계에서 작성되는 초기비용견적 (preliminary cost estimate)에는 추가 디자인의 개발, 시장의 우발적 사태 (market contingencies), 공사 중의 변경에 대비한 비상 예산(contingency budget)을 포함하는 것이 흔한 일이며 예상 공사비의 20%~30%를 책정하는 것 이 일반적이다. 비상 예산은 디자인에 적용될 불확실한 정보들이 확정되어 가면 서 줄어들게 되며 매스터 플랜이 확정된 이후에는 예상 공사비의 15%, 프로젝트 의 프로그램이 확정된 이후에는 예상 공사비의 10%~12%, 공사단계에서는 예상 공사비의 5%~7% 범위에서 책정되는 것이 합리적이다.

다. 추가용역(additional services)

건축사가 기본계획의 일부로서 생애주기 비용분석(life cycle cost analysis), 에 에너지 연구, 세입자 관련 디자인 연구(tenant-related design studies), 경제적 타당성 연구(economic feasibility studies), 특별한 렌더링(renderings), 모형, 안내책자(brochures) 또는 건축주를 위한 판촉(promotional) 물건 등의 용역을 제공하기로 동의했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용역들은 미국건축사협회(AIA) B-201 건축주-건축사간 계약서 양식에 추가용역으로 포함되어 있다.

라. 승인(approvals)

기본계획의 마지막 단계는, 다른 디자인 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가능하다면 문서 로써 건축주의 공식적인 승인(formal approval)을 받는 일이다. 만일 구두로 승 인이 나면 건축주에게 승인에 대한 건축사의 이해를 확인하는 서신을 보내는 것 이 좋다. 건축주에게 서신에 머리글자로 서명하여 사본을 돌려보내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 이 단계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충분하지 않다. 기본계획의 표현은 건축주의 이해와 승인을 얻기에 충분할 만큼 명확해야 한다.

b) 기본설계단계(Design Development Phase)

(10)

기본설계단계(design development phase)는 진정으로 빛나는 건축 작품을 창조하기 위해, 건축주의 승인을 받은 기본계획(schematic design)안에 대해 필요한 정련과 조 정의 과정을 거치는 기간이다. 기본계획 단계에서 만들어진 결정사항은 실시설계단계 (construction documentation phase) 동안에 발생될 주요 수정을 최소화하기 위한 척도(scale)로서 실행된다. 실시설계도면(construction documents)과 시방서 (specification)는 서로 복잡하게 얽히어 난해하게 관련된다. 실시설계도면과 시방서에 변경이 생기면 비용이 많이 발생되고, 공사기간 동안에는 조정의 문제(coordination problems)로 이어지기 쉽다. 이와 같이 기본설계단계의 첫 번째 목표는 프로젝트의 모든 중요한 양상을 좀 더 상세하게 규정하고 기술하여, 오직 실시설계도면을 작성하는 마지막 단계만이 남겨지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디자인 팀은 기본설계단계의 기간 동안 디자인의 모든 양상이 명확하게 조정된 기술(descriptions)을 생각해낸다.

이것은 전형적으로 충분히 개발된 배치도(site plan), 평면도(floor plans), 단면도 (sections), 외부 입면도(exterior elevations), 건물의 중요한 부분 또는 건물의 양상 (aspects), 실내 입면도(interior elevations), 천장평면도(reflected ceiling plans), 벽의 단면(wall sections), 그리고 핵심 상세들(key details)이다. 이것들은 종종 실시

설계도서의 기초가 된다. 기본적인 기계(mechanical), 전기(electrical), 배관 (plumbing), 그리고 화재보호 시스템(fire protection system)은 만일 도면으로 충분

히 작성되지 않을 경우 시방서에 정확하게 규정된다. 실시설계단계에서 현저하게 재 연구가 야기될 수 있는 주요 주제가 풀리지 않은 채로 남겨지면 안 된다. 기본설계단 계에서 납품될 결과물은 기본계획 단계의 결과물과 비슷하다. 프로젝트의 규격과 성 격을 고정시키고 설명하는 도면과 시방서뿐만 아니라 공사비용의 초기견적에 대한 추 천된 조정을 포함한다. 기본설계단계는 보통 건축주에 대한 공식적인 설명회와 승인 으로 마감된다. 기본설계단계는 상당한 양의 작업을 수반할 수도 있고 또한 기본계획 단계로부터 실시설계단계로 이행하는 아주 간결한 과도기가 될 수도 있다. 일부 건축 주가 프로젝트의 많은 작업이 기본계획의 종료기에 개발 되도록 광범위한 기본계획 용역을 요구할 수도 있다. 간단하거나 반복적인 일부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기본계획 단계의 작업 내용이 건축주나 건축사에게 충분히 명확해서, 기본설계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확신을 가지고 실시설계단계로 바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본설 계단계가 간단하게 진행되거나, 아주 극단적인 경우,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프로젝트 납품 접근법에서, 디자인이 충분히 개발되기 전에 건축주가 공사비의 투 자 약정 계약(commitments)의 확보를 원하게 될 경우, 기본설계단계를 극도로 축소 하거나 아예 없애버리게 된다. 이러한 접근법은 하나의 불확실성을 없애 주기는 하지 만 또 다른 문제를 초래한다. 왜냐하면, 초기, 부분 또는 범위도서를 기초로 작성된 공사비 견적에 무엇이 포함되고 무엇이 포함되지 않았는지에 대하여 논쟁이 일어나 기 쉽기 때문이다.

c) 디자인 단계 수행 중의 디자인(Design during the Implementation Phase) 모든 디자인의 주제가 기본설계단계(design development phase)의 종료 시까지 결정되어야하겠지만, 일부는 프로젝트의 실시설계단계(construction documents

phase) 기간 동안, 입찰과 협상 단계(bidding and negotiation phase) 기간 동안, 그리고 공사단계(construction phase)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정련되고 결정되고 수정된다. 실시설계단계의 기간 동안 디자인 팀이 최종 건축 재료와 시스템의 선택,

(11)

상세, 그리고 치수를 조사하고 있을 때 추가적인 디자인의 주제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한 주제의 사례는 이러한 점을 명료하게 할 수 있다;

- 불가피하게 치수, 색상, 투명도, 그리고 다른 벽의 양상을 수정하게 만들, 특정한 제품 및 생산자의 선택을 포함한 외벽의 최종 상세 및 시방서

- 실내 칸막이벽, 개구부, 그리고 마감의 상세와 시방은 접합의 위치로부터 최종 건축 재료 또는 가능한 대체 재료를 선택하는 것까지 많은 수의 소소한 디자인 에 관한 결정들이 연루된다.

건설회사와 공사매니저가 선정되고 나면, 디자인의 결정을 만들 필요성은 지속된 다. 입찰과 협상의 진행과정은 비용절감의 성취 또는 공사 진행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제안된 대체 재료나 상세의 수정으로 불가피하게 이끌어 간다. 보통 이것들 의 일부가 수용되어 디자인의 남은 부분과 성공적으로 통합되어야 한다. 공사단계 를 거치면서도 디자인은 지속된다. 실시설계도서는 해석과 정교함을 필요로 한다.

부지의 조건과 기타 문제들이 디자인의 변경을 강요할 수도 있다. 프로젝트의 현 실과 직면하게 되면 건축주가 디자인의 변경을 요구할 수도 있다. 이것은, 디자인 은 결코 멈추지 않으며 공사 과정을 거치면서 그리고 일상적인 건물 및 시설 사용 을 통해서도 디자인은 지속된다고 하는 기초적인 아이디어를 새삼 확인시켜준다.

*****************************************************************************

(2002 울산문수 월드컵 경기장 야경, 1995~1997년)

(Hawaii Emerald Tower; 1층 평면도 및 배치도, 1995~1996년)

(12)

(Hawaii Emerald Tower 종이모형 사진, 1995~1996년)

***************************************************************************

*디자인의 단계별 도면과 문서(Design Documentation by Phase)

(13)
(14)

기본계획

(Schematic Design)

기본설계

(Design Development)

목적

(purpose) 프로젝트 구성요소의 척도와

관계를 암시하는 도면과 서류

건축, 구조, 기계/전기/배관시 스템과 재료, 그리고 다른 요 소들에 관하여 프로젝트의 규 모와 성격을 확정하고 기술하 는 도면, 시방서, 그리고 다른 서류. 기본설계도면은 공사비 의 초기견적의 준비에 사용된 다.

도면(Drawings) 프로젝트 명칭 및 통계(project title

& data sheet)~축척;

NTS (not to scale)

일반적으로 필요 없음, 대형프 로젝트를 위해 제공된다면 프 로젝트 명칭, 건축주와 팀 이 름, 위치도, 렌더링 또는 다른 그래픽이 사용될 수 있다.

프로젝트 명칭, 건축주와 팀 이름, 위치도, 렌더링 또는 다 른 그래픽. 가끔 건축법규와 다른 표준 등

배치도 (site plan)

대지의 용도, 일반적인 건물위 치, 일반적인 주차배열, 주요 부지 내 형상을 보여주는 개념 적 배치도

치수가 기재된 건물위치와 함 께 척도에 맞춰진 배치도. 주 변거리, 부지경계선, 건축선 후 퇴(setbacks), easement를 표 현(부지측량 필요). 토목기사가 검토한 초기 대지높이

평면도 (floor plans)

개념적 건물 평면도, 주요 평 면 구성요소 또는 부분이 규정 됨, 부분의 막힘과 적층이 표 시됨, 일반적인 구조 그리드와 주요 M/E/P 구성요소 표현, 상세치수는 거의 포함되지 않 음.

치수가 확정된 건물 주변, 구 조 그리드, 그리고 선택된 중 요부분 또는 요소를 표현한 척 도에 맞추어진 건물 평면도.

주요M/E/P시스템(방, 샤프트 등)이 결정되고 표시됨. 실내칸 막이는 대강의 척도로 표현됨.

창문 시스템이 표현됨. 방과 문의 번호는 거의 매겨지지 않 음

확대 평면도

(enlarged floor plans)

고도로 상세화된 특별구역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음

필요하면 주요 전형적 요소를 위해 제공(예; 병원 등의 칸막 이 벽, 호텔 방, 감방 등)

천장 평면도

(reflected ceiling plan)

고도로 상세화된 특별구역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음

주요 디자인 요소를 규정하는 데 필요하다면 주요 중요 공간 (예; 병원의 병실, 주요 공공 로비 공간 등)에 가끔 포함.

그렇지 않으면 평면도 위에 천 장의 특징을 삽화(vignette)로 표현

(계속)

(15)

도면 (Drawings)

기본계획

(Schematic Design)

기본설계

(Design Development)

외부 입면도

(exterior elevations)

주요 건물의 입면, 일반적으로 창호와 출입구들, 그리고 디자 인의 어휘를 표현

주요 건물의 입면. 건축재료, 창호, 출입구들, 특별한 형상, 바닥 높이, 수직 치수

확대 입면도

(enlarged elevations)

고도로 상세화된 특별구역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음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음, 주요 한 중요 요소를 규정하는 데 필요하면 포함

건물 단면도

(building sections)

건물의 모양과 공간의 형상을 묘사하기 위한 개념 단면도

건물의 모양과 공간의 형상을 묘사해야 할 필요가 있는 곳에 가끔 제공

벽체 단면도 (wall sections)

; 1/100 또는 1/50

적용되지 않음

(not applicable; N/A)

적용되지 않음

(not applicable; N/A)

벽체 단면도 (wall sections)

; 1/30 또는1/20

적용되지 않음

(not applicable; N/A)

지배적 혹은 전형적 위치를 위 해 제공된 기본적인 건물 형상 의 전체 높이 표현. 건축재료, 구조, 지하외벽, flashings 등 표현

확대 상세

(enlarged details)

; 1/10 또는1/5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음 (generally not required)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음 (generally not required)

창호일람표, 창호types, 창호 틀 types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음 (generally not required)

일반적으로는 필요치 않으나 일부 시설 유형(교도소, 병원 등)의 특정한 문의 유형은 보 여질 수 있음. 매트릭스를 사 용하거나 초기 시방서에 기술 된 일반적인 창호일람표에 의 해 규정될 수 있다.

공통 창호상세

(common door and window details)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음 (generally not required)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음 (generally not required)

실내 재료 마감표

(room finish schedule)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으나 필 요하다면 일반적으로 초기 시 방서에 규정된다.

각 방별 마감표로 포함되지는 않음, 매트릭스를 사용하거나 초기 시방서에 기술된 일반적 인 실내 재료 마감표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계속)

(16)

도면 (Drawings)

기본계획

(Schematic Design)

기본설계

(Design Development) 엘리베이터 단면과 상세

(elevator sections and details)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음 (generally not required)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음 (generally not required)

계단 단면도 및 상세 (stair sections and details)

고도로 상세화된 장식적 계단 을 제외하고는 단면도가 필요 치 않음. 상세는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음

비상계단(exit or emergency stairs)에 대해서는 필요 없음.

의식용(ceremonial) 또는 기 념비적(memorial) 공공장소의 계단은 가끔 규정될 필요가 있 음.

실내입면도

(interior elevations)

다른 도서의 배경으로 그려지 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포함 되지 않음.

주요 공공 공간의 프리젠테이 션 형식 도면에 제공된다. 가 끔 문이나 창틀 등의 목공제 품, 화장실, 엘리베이터 등을 위한 스케치 형식, 손으로 그 린 그림 형식.

실내 상세

(interior details)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음. 필요 할 경우 개념 스케치 제공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음. 필요 할 경우 개념 윤곽 스케치 제 공

시방서

(Specification)

일반적인 윤곽 또는 중요 항목 의 열거표(bullet-point list).

간략하게 각 중요한 건물시스 템(building system)을 기술.

주요 건축 재료와 건물시스템 을 간략하게 기술하는 짧은 형 식의 시방서. 축약되어 있으므 로 공사수행에 관한 단락은 포 함되지 않음.

선택적 도서

(option documentation

렌더링과 프리젠테이션 모형

(rendering and presentation models)

필요한지의 여부는 디자인 팀 이 결정. 일반적으로 변제비용 (reimbursable expenses)에 포함

필요한지의 여부는 디자인 팀 이 결정. 일반적으로 변제비용 (reimbursable expenses)에 포함

(17)

*디자인의 항목과 의사결정(Design Decisions) 시기

디자인 이전 (Predesign)

기본계획 초기 (early Schematics)

기본계획 후기 또는 기본설계 초기 (later Schematics or early Design Development)

기본설계 또는 실시설계 초기 (Design Development or Construction Documents) 일반(general)

-프로젝트의 목적 -프로젝트의 범위 -프로그램의 법규 -프로젝트의 예산 -프로젝트의 일정 -납품의 접근법

-프로그램의 해석 -기본 디자인 개념 -배치

-건물 용적(mass) -수평적 집합과 적층(blocking &

stacking) -접근과 순환 -디자인 어휘 -건축 양식(style)의 주제와 제한 -지속가능성

-디자인 개념의 발전

-기본계획 평면도 -기본계획 단면도

-평면도 -단면도 -기준상세도

부지(site)

-부지 선정 -부지개발 기준 -접근, 순환, 주차, 시설, 조경, 조명의 필수조건

-프로그램의 해석 -기본 디자인 개념 -배치

-건물 용적(mass) -수평적 집합과 적층(blocking &

stacking) -접근과 순환 -디자인 어휘 -건축 양식(style)의 주제와 제한 -지속가능성

-디자인 개념의 발전

-초기 배치도 -기본계획 땅고르기 (grading), 식생, 도로 포장 평면도

-배치도 -식목계획도 -기준 배치 단면 -기준 배치 상세 -시방서 개요

기초와 지하구조 (foundation and substructure)

기초와 굴착을 위 한 수행 필수조건

-지하의 조건과 필수 조건

-프로그램의 충격, 지하 건물 의 에너지 -특별한 문제의 탐구

-기본계획 지하평면도 -특별한 기초 필수조건 (foundation

requirements)의 정련 -기초체계(foundation system)의 선택

-기초 평면도 -지하층 평면도 -핵심 기초 요소 의 크기

-시방서 개요

(18)

디자인 이전 (Predesign)

기본계획 초기 (early Schematics)

기본계획 후기 또는 기본설계 초기 (later Schematics or early Design Development)

기본설계 또는 실시설계 초기 (Design Development or Construction Documents) 지상구조

(superstructure)

바닥, 지붕, 계단, 기타 구조요소의 수행 필수조건

-구조의 공간 구성체계 (spatial organization) 및 입면에 대한 관계 -사용 모듈의 선택 -기본 구조모듈

-초기 체계(system)선택

-구조체계의 선택 -윤곽 구조도 (보복도),

-핵심 요소의 규격

-바닥구조도 (보복도) -지붕 구조도 (보복도)

-요소의 규격책정 -중요 상세 -시방서 개요 외 벽 ( e x t e r i o r

closure)

-외벽 디자인 재 료의 제한 등 -벽체, 문, 창문의 수행 필수조건

-입면과 창문의 디자인 접근법

-건물로부터 혹은 건물을 향한 조망 -초기 외벽 마감재의 규격과 선택

-디자인 개념의 발전 -벽의 체계와 재료의 선택

-기본계획 입면과 창문

-입면도

-핵심 외벽 상세 -시방서 개요

지붕(roofing) 지붕 구성 요소의 수행 필수조건

-지붕 유형과 바닥경사

-초기 지붕체계 선택 지붕체계와 재료 선택 시방서 개요 실내 공사

(interior construction)

-칸막이 벽, 마감, 특수재료의 수행 필수조건

-유연성의 필수조건

-붙박이 칸막이와 가구에 대한 접근법 -실내 디자인 어휘 -핵심 공간의 전개도

-실 디자인

-핵심 부분의 전개도 -칸막이 벽 체계와 마감의 선택 -중요 고정물과 테마가 되는 요소

-평면과 입면에의 반영

-핵심 실내 입면도

-초기 실내 재료 마감표

-시방서 개요

(계속)

(19)

디자인 이전 (Predesign)

기본계획 초기 (early Schematics)

기본계획 후기 또는 기본설계 초기 (later Schematics or early Design Development)

기본설계 또는 실시설계 초기 (Design Development or Construction Documents) 수직순환과 수송

체계(vertical circulation and conveying systems)

수송체계의 수행 필수조건

-기본 구성체계 (organization) -수직 순환의 필요와 유형

-특별 수송체계의 필요

-평면도, 단면도, 입면도에 반영 -출구와 기타 순환 부분의 규격 책정 -기본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의 개념 -기타 수송체계 개념

-평면도, 구조도 (보복도),단면도, 입면도

-시방서 개요 -구체적인 체계의 선택

기계설비 체계 ( m e c h a n i c a l systems)

-수송체계의 수행 필수조건

-배관, HVAC, 화재보호를 위한 필수조건

-특별 기계설비 체계의 필요

-건물계획에 미치는 기계적 개념의 충격 -초기 체계들의 선택 -초기 배분의 아이디어 -기계설비 부분의 공간 할당

-기계설비 체계의 선택 -서비스와 배분 개념의 정련

-평면도, 단면도, 입면도에 반영

-초기 체계도면 과 핵심 상세 -배분과 수직배분 다이어그램 -평면도, 구조도 (보복도), 단면도, 입면도

-시방서 개요 -초기 장비리스트 전기 및 조명설비

체계(electrical &

lighting system)

-조명설비 체계의 수행 필수조건 -전기설비 체계의 수행 필수조건 -특수체계의 필요

-자연 채광, 인공조명 의 접근법

-조명의 질과 성격 -전기체계에 미치는 부지와 디자인의 충격 -전기체계 부분의 공간 할당

-창문, 천창, 판유리 디자인

-조명, 전기체계 선택 -서비스, 동력, 배분의 개념

-평면도, 단면도, 입면도에 반영

-구체적인 체계 (system) 선택 -배분 다이어그램 -주요 방의 조명 전개도, 천정 평면도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에 반영 -시방서 초안

(20)

디자인 이전 (Predesign)

기본계획 초기 (early Schematics)

기본계획 후기 또는 기본설계 초기 (later Schematics or early Design Development)

기본설계 또는 실시설계 초기 (Design Development or Construction Documents) 장비

(equipment)

장비의 필요와 수 행에 대한 기술

배치와 디자인에 미치 는 핵심 장비 항목의 충격

방의 디자인, 구조도 (보복도) 등에 미치는 핵심 항목의 충격

-평면도, 단면도, 입면도에 반영 -시방서 개요 -초기 장비리스트

d) 실시설계단계(Construction Documentation Phase)

Construction documents describe what is to be built, how contractors are to be selected, and how the contracts for construction will be written and administered. The process of producing construction documentation strives for efficiency, comprehensiveness, and quality.

실시설계도서는 무엇이 지어지고, 건설회사가 어떻게 선정되고, 공사를 위한 계약은 어떻게 쓰여지고 관리될 것인지를 기술한다. 실시설계 도서를 생산하는 과정은 효율 성(efficiency), 포괄성(comprehensiveness), 그리고 품질(quality)을 얻기 위해 노력 하는 과정이다.

일단 디자인이 개발되고 건축주로부터 승인을 받게 되면 건축사는 공사의 필요사항을 기술할 도면과 시방서를 준비한다. 실시설계도서의 개발은 디자인을 진행하는 과정의 연장이다. 상세, 건축 재료, 제품, 마감에 대한 결정은 모두 디자인 개념의 강화를 위 해 작용하며 이러한 결정들로부터 개념을 현실로 번역하는 과정이 시작된다. 전형적 으로, 모든 프로젝트의 단계 중 실시설계도서의 준비에 거의 모든 시간과 자원이 투 입된다.

가) 구성 체계와 내용(Organization and Content)

실시설계도서는 다음을 포함한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 프로젝트와 관련된 것이 무엇인지 상세하게 건축주와 소통하기

- 프로젝트 기간 동안 건축주와 건설회사가 서로에게 지고 있는 계약의 책무를 수 립하기

- 건축사 또는 건축주를 위해 공사계약을 관리 및 운용하는 어떤 관계자의 책임을 열거하기

- 프로젝트의 시공을 위해 건설회사와 건축 요소의 양, 질, 그리고 형상에 대해 소 통하기

차례로, 건설회사는 실시설계 도서를 전문건설업체(subcontractor)와 납품업체

(21)

(suppliers)에 입찰(bids) 혹은 견적서(quotations)를 요청하기 위해 제공하며, 실 시설계도서는 공사 진행을 위해 필요한 인허가와 금융기관의 대출에 관한 승인을 취득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프로젝트 도서는 전형적으로 프로젝트 지침서 (project manual)와 도면으로 구성된다. 도면은 건축(architectural), 구조 (structural), 기계(mechanical), 전기(electrical), 토목(civil), 조경(landscape), 실내디자인(interior design), 그리고 기타 특별 제품의 도면을 포함한다. 프로젝 트 지침서는 전형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 광고(advertisement)와 초대(invitations), 지시사항(instructions), 그리고 이용 가능한 프로젝트 정보(available project information)를 포함한 입찰 필수사항 (bidding requirements)과 조달 양식(procurement forms)

- 건축주와 건축사간 계약서 양식, 프로젝트 양식, 그리고 증명서를 포함한 계약서 양식과 보충서류.

- 건축주와 건설회사 뿐만 아니라 건축사를 포함한 공사관계자의 권리와 책임 그 리고 의무를 요점 정리한 공사계약의 일반조건(general conditions)과 해당 프 로젝트에만 특별한 추가조건(supplementary conditions)을 포함한 계약의 조 건.

- 일반 필수사항, 시설 공사와 시설 서비스에 관한 시방서, 그리고 부지공사에 관 한 시방서를 포함하며, 프로젝트의 공사에서 맞춰야 될 품질의 수준과 표준을 기술한 시방서.

입찰서류는 프로젝트 지침서(project manual)와 도면뿐만 아니라 부록(addenda;

입찰 또는 협상 과정 기간 동안 건축사에 의해 발간된 프로젝트 지침서와 도면에 대한 추가 도서)을 포함한 프로젝트 지침서와 도면의 개정본(revisions), 설명본 (clarifications), 변경본(modifications) 등을 포함한다. 계약서류는 입찰 필수사항 을 제외하고 상기 항목의 서류를 모두 포함한다. 추가로, 작업에서의 사소한 변경에 대한 명령(orders for minor changes)과 공사변경 지시서(construction change directives), 그리고 변경 지시서(change orders) 등 어떠한 계약의 변경도 계약 서류의 일부가 된다. 공사도서는 공사 수행 방법에 대한 지시사항의 완전한 모음 을 수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공사(construction)라는 단어의 의미는 방법, 기술, 연속된 순서, 절차를 뜻하며 현장 안전에 대한 예방조치는 건설회사가 입찰을 준비 하고 공사단계를 수행할 때의 허용 범위를 책정해주기 위해 관습적으로 할당된 책 임이다. 건설회사는 특정한 공정의 팀과 전문건설업체에 할당할 작업을 결정한다.

건설회사는 역시 작업의 순서, 일정, 임시 가설물과 시설, 적절한 장비의 선택, 그 리고 프로젝트의 안전 같은 현장 준비 작업을 관리한다. 공사 도서는 법적, 계약적 정보, 진행 및 관리에 관한 정보(프로젝트 시방서 제1장 일반 필수사항으로 분류되 며, 좀 더 폭을 넓히면 각종 공정의 시방서 제1항으로 언급된다), 건축과 공사에 관 한 정보(시방서 제2장부터 48장까지, 그리고 도면에 수록), 그리고 지형측량 (topographical survey) 및 지질조사(geotechnical survey) 데이터 같은 부지 와 하부구조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프로젝트 도서(project documents)의 항목;

a) 입찰 필수사항 ; -입찰초대서(invitation to bid)

(22)

(bid requirements) -입찰의 지시사항(instruction to the bidders) -입찰 참여자에게 이용 가능한 정보

(information available to the bidders)

-입찰서류 양식과 첨부(bid forms and attachments) -입찰보증서류 양식(bid security forms)

b) 계약서류 양식 ; -계약서(agreement)

(contract forms) -이행보증채권(performance bond)

-지불보증채권(labor and material payment bond) -증명서(certificates)

c) 계약의 조건 ; -일반 조건(general conditions) (contract conditions) -추가조건(supplementary conditions) d) 시방서(specifications); 제1장~49장(Division 01~49)

e) 도면(drawings) f) 부록(addenda)

g) 계약의 변경(contract modifications)

* 다음의 프로젝트 도서는 상기 7개 항목 중의 일부를 포함한다;

- 공사 지침서(construction manual) ; d+e - 전형적인 프로젝트 지침서(typical project manual); a+b+c+d - 입찰 도서(bidding documents) ; a+b+c+d+e+f - 계약 도서(contract documents) ; b+c+d+e+f+g

가. 법적인 그리고 계약적인 정보(Legal and Contractual Information)

계약서의 양식과 계약서의 조건은 건축주와 건설회사의 권리와 의무, 그리고 책임을 진술함으로써 프로젝트의 법적인 골격을 수립한다. 대형 프로젝트를 수 행할 경우에는 계약의 조건으로부터 계약서의 양식을 실제로 분리하는 게 관습 이었다. 계약서 양식은 계약 도서를 열거하는 건축주와 건설회사 사이의 합의이 며, 수행의 기간을 특정하고 건설회사의 보수를 제시한다. 계약의 조건은 건축 주 및 건설회사, 그리고 건축설계회사, 전문건설회사(subcontractors) 혹은 공 사 관리인(construction manager)과 건축주의 프로젝트 대리인 까지도 포함한 기타 공사 과정 관계자의 권리와 의무 그리고 책임에 대해 설명한다. 계약서 양

식을 계약의 조건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건설회사는 전문건설회사와 건 축 재료 및 제품 납품업자에게 건축주, 건축설계회사, 건설회사간에 개별적으로

합의된 공사 계약 금액과 기타 항목들을 노출시키지 않고도 계약의 조건을 드러 낼 수 있게 되었다.

- 건축사의 책임;

미국건축사협회(AIA) 건축주-건축사간 계약서 양식의 여러 부분에 다음의 항 목을 개발하고 준비할 때 건축사가 건축주를 도울 것을 요구하고 있다;

(ㄱ) 입찰과 제안서 양식을 포함하여 입찰의 시간과 장소, 조건을 기술하는 입찰과 조달의 정보(bidding and procurement information)

(ㄴ) 건축주-건설회사간 계약서 양식

(23)

(ㄷ) 일반조건(general condition), 추가조건(supplement condition), 그리고 기타조건을 포함하는 공사 계약의 조건

건축사는 법적, 계약적인 정보를 준비하는 게 아니라 준비를 도울 필요가 있 다. 건축사는 법을 실무로 하지 않으므로 건축주에게 법적 또는 보험에 관해 전문가로서의 자문을 할 자격이 없다. 그러나 건축사가 입찰과 계약서류를 모아 정리하고 건축주의 검토와 승인을 위해 제공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 건축주의 책임;

건축주는 프로젝트를 완성하기 위해 필요한 법률과 회계, 그리고 보험의 용역 을 준비할 책임이 있다. 그러므로 건축주는 건축주의 법률자문사로부터 권고 를 받아 입찰의 필수사항과 계약서 양식, 그리고 계약의 조건을 승인한다.

만일 건축주에게 공사 프로젝트와 계약에 관한 경험이 별로 없다면, 건축주 에게 다음의 정보를 제공해주면 도움이 될 수 있다;

- 미국건축사협회 문서 G612-2001, 공사계약, 보험과 채권, 그리고 입찰 절 차에 관한 건축주의 건축사에 대한 지시사항

- 미국건축사협회 web site(www.aia.org)에서 사용가능한 ‘당신과 당신의 건축사’라는 안내책자에 디자인부터 공사의 완료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 을 통해 프로젝트가 무난히 진행되기 위해서 건축주와 건축사가 함께 일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조언을 제공하고 있다.

공사도서의 취급에 관한 기본적인 결정은 프로젝트의 모든 양상에 영향을 주 기 때문에, 만일 입찰 필수요건 및 계약서 양식 그리고 계약의 조건이 프로젝 트에 사용될 계획이라면, 이러한 문서들은 공사 도서의 개발이 시작될 때 혹 은 그 이전에 제출되어야 한다. 일부 건축주는 그들 자신의 입찰 필수 사항, 계약서 양식, 그리고 계약의 조건을 제안하거나 강요한다. 공사를 위한 계약 서는 건축주-건축사간 계약서 및 건축주가 공사 관리인이나 기타 컨설턴트와 체결했을 다른 계약과 밀접하게 연계되며, 공사를 위한 계약서 체결 시점에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계약들의 계약체결이 이미 완료된 상태인 경우가 대부분 이므로, 체결된 모든 계약들이 주의 깊게 조정되어야함은 필수이다. 건축사의 법률 고문이 건축주가 준비한 문서를 통해 건축사의 권리 및 의무 그리고 책 임에 관해 검토할 뿐만 아니라 건축사의 면책, 도서의 저작권, 논쟁의 해결

그리고 다른 유사 조항을 담고 있는 구절을 점검하는 것은 흔히 가치 있는 일이 된다.

나. 절차상의 그리고 관리적인 정보

(Procedural and Administrative Information)

이 정보는 전형적으로 공사도서의 세 부분에서 발견된다;

- 계약서의 조건

- 시방서의 제1장(Division 01)

- 시방서의 제2장~48장(Division 02~48)의 각조의 제1항(Part1) 서문

공사 계약서의 일반조건(the general conditions of contract for construction)은 모든 프로젝트에 공통적인 조항을 함유한다. 일반조건(the

general conditions)은 법적인, 계약적인 정보에 더하여 공장의 제품생산 도 면(shop drawings) 및 샘플의 검토, 건설회사의 기성금청구서 검토, 작업

참조

관련 문서

② 이사회의 정족수는 과반수 출석으로 본 정관에서 특별히 정한 사항 을 제외하고는 출석이사 과반수 찬성으로 의결한다..

사업장별로 그 사업에 관한 모든 권리와 의무를 포괄적으로 승계시키는 경우

본 연구에서 사용한 BES 방법은 SLA 표면과 유사한 방법으로 산화알루미늄을 임플란트 표면에 분사처리 후 산처리하였다.이렇게 표면처리 된 BES가

치과용 주조합금은 내식성이 우수하여 국소의치 구조물,도재소부용 금속, 교정용 선재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그러나 고융점에서 주조를 하여 주조체 를

저자는 이 실험에서 MTA가 치수세포는 상아질 형성이나 석회화 물질과 관련 된 유전자를 발현시켜,치은 섬유모세포와는 다른 유전자가 발현되도록

week 1 Introduction & Atomic Structure and Interatomic Bonding (Chap.1 & Chap. 7) & Mid-term (Face-to-face examination) week 7 Mechanical Properties of Metals

우리 나라의 인적자원개발 및 직업교육훈련 분야에 관한 kn ow -h ow 와 경험을 체계적인 내용으로 구성하여 이를 필요 로 하는 유네스코 아・태 지역

intensive properties are available. • The calculation of these properties from measurable ones depends on the availability of simple and accurate relations between the tw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