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차전지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차전지 :"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자의견 Analyst 김현수

Overweight

hyunsoo@hanafn.com

이 달의 이슈 : 전고체 배터리란? 상용화 시기는?

전(全)고체 전지(All-solid battery) 말 그대로 모든 부분이 고체로 이루어진 전지다. 현재 리튬이온전지는 리튬이온 캐리어 (carrier)인 전해질이 유기 용매, 즉 액체로 이루어져 있고 나머지 양극/음극/분리막/양음극집전체 등은 고체로 이루어져있다.

유일한 액체 물질인 전해질이 고체로 바뀌어 모든 구성 물질이 고체화 된다는 의미에서 전고체 전지라 불린다. 그렇다면, 고체 전해질의 개발 당위는 무엇일까?

고체 전해질의 당위는 액체 전해질의 단점을 살펴봄으로써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액체 전해질의 가장 큰 문제는 에너지 밀도 향상 과정에서 발화 가능성이 함께 상승한다는 것이다. 배터리 업계의 개발 과제는 당연히 에너지 밀도 향상인데, 밀도 향상은 양극과 음극의 전압 및 전류랑을 증대시킴으로써 달성 가능하다. 문제는 전압 및 전류량 상승 과정에서 가연성 유기 용매인 액 체 전해질과 양/음극 간의 반응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이온 전도도 높이기 위해 선택한 유기 용매의 선천적 가연성 때문에 높 은 전압과 맞물려 발화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그러나 가연성분이 없는 고체 전해질은 발화 가능성이 사실상 제로에 가까 워 양/음극의 전압 및 전류량을 마음껏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전고체전지 개발의 당위다.

그림 1. 전고체 전지 개념도

자료: Charged EV

그림 2. 전고체 전지의 음극 물질 변화 전망

2020년 6월 2일 I Equity Research

2차전지 : 기술 이슈 점검 ‘전고체 배터리, 무엇이고 언제 될까?’

(2)

다만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전해질의 역할이다. 전해질은 리튬이온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음 극에서 양극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온전도도가 높을수 록 좋은데, 전도도는 당연히 고체보다 액체가 높다. 이온 캐리어(carrier)로서 고체 전해질의 퍼포먼스는 아직 만족할만한 수준이 아니다. 따라서 현재 전고체 전지 개발자들의 제 1 개 발 과제는 고체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를 높이는 것이다.

이온 전도도를 높이는데 성공하면 앞서 언급한 것처럼 고체 전해질은 애초에 폭발 위험이 없으므로 마음껏 양극과 음극의 전압 및 전류량을 높일 수 있다. 전극을 더 두껍게하고 그 동안 덴드라이트 문제 때문에 흑연을 사용했던 음극에 리튬 금속을 사용하는 등 배터리 에 너지 밀도를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지금까지 말한 이온 전도도 향상, 발화 가능성이 낮은 리튬 금속 음극 등에 대한 상 용화까지 아직 많은 단계가 남아있다. 연구소 단위에서의 개발과 양산 단위에서의 개발은 차원이 다른 문제다. 그래서 당초 시장 조사기관들도 2030년대 전고체 전지 양산을 예상 했던 것이다. 물론 최근 삼성 종합기술원에서 발표한 anode-less 전고체 전지 등 진일보 한 기술 감안하면 2025~2030년 양산 가능성을 논할 수 있겠으나 여전히 5년 이상 남은 기술이다. 기술적으로 앞서 있다고 알려진 도요타-파나소닉 진영 역시 생각보다 개발 속 도가 더딘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2025년까지는 기존 유기 용매 액체 전해질 기반의 리튬이온전지 개념하에에 서, 1) 양극재 니켈 비중 증대, 2) 양극재 결정 단결정화, 3) 음극재 실리콘 첨가, 4) 공정 효율화를 통해 주행거리 600km 수준의 에너지밀도 달성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미 업계의 양산 기술은 니켈 비중 80% 양극재 통해 주행거리 500km 상용화까지 성공시켰 다. 2021년부터 본격 양산 예상되는 단결정 양극재, 2022년부터 시장 열릴 것으로 예상되 는 실리콘 첨가 음극재, 배터리 표준화 작업 돌입한 전지 업계의 규모의 경제 효과 감안하 면 2025년까지 시장이 만족할 만한 수준의 주행거리 확대 및 배터리 가격 하락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3 전고체 전지 세대별 에너지 밀도 전망 그림 4 전체 중대형전지 시장 內 전고체 전지 비중 전망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Current thick thin SE Li-metal Anode less (Wh/kg)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GWh)

중대형전지 시장 규모 전고체전지 시장 규모

전고체전지 비중(우)

(3)

Appendix. 배터리 구조 이해하기

현재의 리튬이온전지 구조를 요약하면, 1) 리튬이온의 발원지로써 양극은 리튬-코발트 산화 물로 구성되며 충전시에 리튬이온을 방출하고, 2) 탄소 결정체로 이루어진 음극은 양극에서 방출된 리튬이온을 흑연 내부에 intercalation 시켰다가, 3) 방전시 리튬이온을 다시 방출하 는 메커니즘으로 작동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40년에 걸쳐 완성된 현재의 리튬이온전지 개념 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 용량 확대를 위해 양극과 음극의 구성물질 변화

1) 리튬이온전지 개발의 역사는 배터리 용량 확대 및 안정성 확보라는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 의 연속이었다. 두 가지 목표 달성을 위해 양극의 구성 물질 변화, 음극의 CAPA 확대가 중요하다.

양극 : 배터리 용량 확대 직결, 향후 기술 발전 여력 많이 남아있음

2) 양극의 구성 물질이 과거 LCO(리튬-코발트)에서 NCM(리튬-니켈-코발트-망간), NCA(리튬-니켈-코발트-알루미늄) 등으로 변화하는 것 역시 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함 이며 배터리 및 양극재 업체의 경쟁력은 위 기술 변화에 대한 대응 능력에 달려있다.

음극 : 물리적 한계 직면, 향후 구조 적인 변화 기대

3) 음극의 CAPA 확대는 배터리 용량 확대와 직결된다. 음극의 흑연 층상구조에 intercalation 되는 리튬이온의 양이 배터리 용량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현재 천연흑연은 탄소 원자 6개 당 1개의 리튬이온을 intercalation할 수 있는데 만약 원자 1개당 저장 가 능한 리튬이온 개수가 증가 한다면 배터리 용량 증대가 가능하다. 이를 위한 연구가 진행중 이며 천연흑연, 실리콘 첨가 등이 해답으로 제시 되고 있다. 관련 업체 수혜가 전망된다.

분리막/전해질 : 양극과 음극 기술 개발 속도 더딘 상황에서 분리막, 전해질에 대한 연구 가속화

4) 분리막과 전해질의 경우 더 빠르게, 더 많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온을 이동시켜줄 수 있 는지 여부가 배터리 용량 확대 및 안정성 확보에 중요하며 양극/음극 개발 속도가 더뎌지 는 과정에서 분리막/전해질 업체들에게 요구되는 기대 수준 역시 점점 높아지고 있다.

그림 7. 주요 소재별 개발 과제 및 발전 단계

음극

양극

전해액

분리막

동박

하드카본 인조흑연

(용량 증대)

천연흑연 (가격 인하)

LCO NCA, NCM

리튬염 + PC 유기 용매

용량증대

리튬염 + EC 유기 용매

음극과의 호환성 향상

원가 절감

건식 분리막 습식 분리막

(용량 증대)

건식 분리막

(출력 향상) 출력 향상

압연 동박 전해 동박 원가 절감

자료: TOP21, 하나금융투자

(4)

1) 양극 : 용량 증대 여력 여전히 큰 분야, High-Ni NCM 기술 확보한 업체 유리

전압이 높은 리튬 금속 산화물 양극은 리튬 이온의 출발지다. 리튬 금속 자체는 원소 상태에서 반응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산소와 결합한 리튬 산화물의 형태로 양극에 사용된다. 이 리튬 산화물이 전극 반응에 관여 하는 양극활 물질이다. 양극재는 집전체인 알루미늄박에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를 섞은 합 제를 코팅한 후 건조, 압착하여 제작된다. 도전재는 리튬산화물의 전도성을 높이는 물질이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재가 알루미늄박에 정착하도록 도와주는 접착제다 (그림 8 참조).

용량 : 배터리 용량은 ‘용량 = 전압(V) x 전하량(Ah)’의 함수인데 위 수식의 두 가지 변수인 배터리의 전압과 전하량을 양극활 물질인 리튬 산화물이 결정한다.

전압 : 리튬 금속은 아연이나 납과 같은 기타 금속 대비 전압이 매우 높다. 현재 널리 사용 되는 LCO, NCM, NCA 등 리튬 금속 산화물 역시 전압이 3.6V ~ 4.0V로 고전압이다.

전하량 : 리튬의 단위 무게당 전하량은 3.86Ah/g 수준으로 아연(0.82), 납(0.26) 대비 매 우 높다. 다만 리튬의 단위 부피당 전하량은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배터리 경량화에 용이하나 소형화에는 그다지 유리하지 않다는 것이다. 스마트폰 내부 면적의 절반, 테슬라 전기차의 하단 전체를 배터리가 차지하는 이유다. 하지만 전압이 다른 금속 대비 압도적으로 높다는 점이 리튬 산화물의 가치를 높였고 이로 인해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양극활 물질로 성장 했다.

그림 8. 양극/음극재 구성 요소 그림 9. 양극재 시장 점유율

활물질(양극·음극)

합체(활물질+도전제+바인더)

집전체(알루미늄박 ·구리박)

0% 10% 20% 30% 40% 50% 60%

Umicore ShanShan Nichia SMM Pulead L&F XTL Easpring Reshine Ecopro Others

자료: 하나금융투자 자료: 업계자료, 하나금융투자

(5)

위의 ‘용량 = 전압(V) x 전하량(Ah)’ 식에서 알 수 있듯이 배터리 용량 확대를 위해서는 1) 전압 향상, 2) 전하량 향상, 3) 질량 효율 증대(g당 Amh 증가), 4) 부피 효율 증대(l당 Amh 증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배터리 셀 메이커는 활물질 저장량 증대 및 내부 저항 감소 위한 전극 설계 개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전극 설계는 오랜 기간 전지 산업에 종사한 기존 강자들이 유리한 영 역이다. 삼성SDI, LG화학, Panasonic 등의 강점이 발휘될 수 있는 분야다.

니켈 비중 높여서 용량 증대

Umicore, 포스코케미칼 시장 점유율 상승 전망

소재 업체들의 경우 양극/음극 활물질 개량을 통한 전압 및 전하량 증대 연구를 지속해 나가 고 있다. 그 동안 가장 널리 사용된 양극활 물질인 LCO는 합성이 용이하고, 전기화학 성능 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코발트의 매장이 특정 지역에 편중돼 있어 가격이 높고 현재 기술로는 이론용량(274 mAh)의 절반 수준 정도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에너지 밀 도와 함께 낮은 가격이 동시에 요구되는 전기차 용 양극 활물질로서는 성장성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리튬이온전지의 고에너지 밀도화 및 원가 절감을 위해 층상구조 내 전이금속 중 에서 코발트의 함량을 낮추고 니켈의 함량을 높인 NCM 양극활 물질이 양극 연구 개발의 대 세를 이루고 있다. 글로벌 주요 양극재 업체들의 개발 과제 역시 당연히 하이 니켈 양극재 비중 확대에 집중돼 있다. 현재 Umicore, 포스코케미칼 등이 High-Ni NCM 개발 과제에 서 앞서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외에 일본의 Nichia, Mitsubishi Chemical, 한국의 에코 프로비엠, L&F 등이 있다. 여전히 전기차 배터리 시장 내에서 니켈 비중 낮은 제품의 판매 비중이 높기 때문에 향후 개발 여력이 큰 분야다. 한편, 양극재의 경우 전지 업체들이 최대 50%까지 내재화하고 있다는 것이 타 소재 산업과 다른 점이다. kWh당 약 2kg이 소요될 정도로 가장 많은 양이 필요하기 때문에 내재화 니즈가 항상 존재한다. 다만 양극재 개발 속 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전량 내재화하는 것은 기술 동향 파악에 불리하여, 평균적으로 전 지 업체별 내재화 물량은 30% 미만이다.

도전재 시장 중요성 증대 도전재 시장의 변화 역시 기대된다. ‘그림8’에서 볼 수 있듯이 양극활물질의 전도성을 높이 기 위해 도전재가 합제에 포함되는데, 활물질의 개발 속도가 점점 느려지는 상황에서 향후 도전재 성능 개선에 대한 니즈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10. 양극재 개발 로드맵

전압 향상

Cell maker

Material maker

활물질 저장 증대 및 내부 저항 감소 위한

전극 설계 개선

활물질 개량 (High-Ni NCM 개발 지속) 전하량 향상

질량 효율 증대

부피 효율 증대

유미코어, 포스코 케미칼,

엘앤에프 등 양극재

나노신소재 등 도전재

Mission Player Group Performance 관련 업체

삼성SDI, LG화학 등

(6)

2) 음극 : 이론상 최대 용량 다다른 천연 흑연, 실리콘 첨가로 활로 모색

이론적 달성 가능 용량 한계 다다른 천연 흑연

음극 역시 배터리 용량 증대를 위해 중요하다. 양극활 물질에서 방출된 리튬 이온을 음극의 흑연 결정 구조 속에 얼마나 많이 intercalation 시킬 수 있느냐에 따라 배터리의 최종 용량 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천연흑연은 탄소 원자 6개가 단 1개의 리 튬이온을 intercalation할 수 있는 수준으로(C6Li1), 안정적이지만 효율은 낮다. 이를 수치 화하면 g당 약 372mAh의 전하량 수준이다. 이는 흑연의 이론상 달성 가능한 용량의 최대 치다. 전하량 증대를 위해 인조 흑연 비중이 확대되고 있으나 가격이 비싼데다 비약적인 용 량 개선으로 이어지기에는 한계가 있다.

인조흑연 개발 및 실리콘 첨가로 활로 모색

이 때문에 탄소 원자의 리튬 이온 intercalation 효율 향상을 위한 실리콘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실리콘은 원자 1개당 리튬이온 5.5개를 intercalation 할 수 있기 때문에 실리콘 일부 가 흑연에 첨가되는 것 만으로 음극재 전하량의 비약적인 증대가 가능하다. SiOx계열의 첨 가물 관련 업체들과 배터리 셀 메이커 및 음극재 업체간의 협업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현 재 실리콘 합성률은 평균 3~5% 수준이며, 2023년이후 5% 이상, 2025년 이후 10% 이상이 예상된다. 실리콘은 흑연보다 2~10배의 용량을 가지지만 전기 전도도가 낮고, 리튬 이온을 저장하는 과정에서 흑연 보다 부피 팽창 폭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LG화학은 일본 Shinetsu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당초 2019년 전후로 본격적인 시장 개화가 예상됐으나 개발 속도는 다소 더딘 상황이다.

현재 일본의 Hitachi Chemical, Nippon Carbon, 중국의 BTR Energy, Ningbo Shanshan, 한국의 포스코케미칼 등이 음극재 시장에서 경쟁 중이다. 포스코케미칼의 경우 음극재 매출의 대부분이 천연 흑연이며, 향후 인조 흑연 비중 확대에 따른 효율 개선이 전망 된다.

그림 11. 흑연 결정 구조 그림 12. 음극재 시장 점유율

0% 5% 10% 15% 20% 25% 30%

BTR ShanShan Hitachi Zichen Mitsubishi Xingchen Nippon Carbon Sinuo Xeto JFE Others

자료: 하나금융투자 자료: 업계자료, 하나금융투자

(7)

3) 분리막 및 전해질 : 양극/음극 개발 속도 느려지며 기타 소재 개발 니즈 증가

건식 분리막 시장 성장 분리막은 기공을 통하여 리튬 이온을 통과 시키는 동시에 양극과 음극의 물리적 접촉을 방 지하여 전기적 단락을 방지한다. 주로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등으로 만들 어진 중합체 필름이 사용된다. 습식 분리막과 건식 분리막으로 구분되며 습식은 구멍의 크기 가 균일하고 구멍이 불규칙하게 분포하기 때문에 높은 공정 안정성을 지니며 장기간 정량 출력에 유리하다. 이 때문에 90년대 포터블 기기 개화 과정에서 습식 분리막 수요가 크게 증가했고 1990년대후반~2000년대 초반 저가의 건식 분리막을 사용한 노트북 배터리 발화 사고가 발생하면서 건식 분리막 시장은 크게 쇠퇴하고 습식 분리막은 높은 원가에도 불구하 고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하지만 2010년대 전기차 시장 개화를 앞두고 고출력 분리막에 대 한 니즈가 확대되고 공정 원가 절감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폴리머를 녹여서 필름을 형성하 는 건식 분리막에 대한 수요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 현재 일본의 Asahi Kasei(Celgard), Toray, Ube, 한국이 SK이노베이션(SK IEE) 등이 경쟁하고 있다.

전도성 높이기 위한 전해질 개발 지속

전해질은 이온의 이동을 촉진시켜 전지의 전도성을 높이는 촉매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리 튬 이온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이온 전도도가 높은 물질이 사용되며 염(이온 이동 통로), 용매(염 용해), 첨가제로 구성된다. 주로 액체나 Gel형이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전해’액’이라 고도 불린다. 전지 조립을 마친 후 마지막 공정 단계에서 전해액을 주입해 분리막과 전극에 스며들도록 한다. 현재 일본의 Mitsubishi Chemical, 한국의 파나스이텍 등이 경쟁 중이다.

그림 13. 분리막 구성 요소 그림 14. 전해질 구성 요소

Microporous membranes Nonwoven

Electrospun membranes Membrane with surface modified

Compisites Polymer blends

자료: 업계자료, 하나금융투자 자료: 업계자료, 하나금융투자

그림 15. 분리막 시장 점유율 그림 16. 전해질 시장 점유율

Toray SKI Senior Celgard W-scope Ube SMM Xinxiang Entek Others

Tinchi Capchem Guotai Ube ShanShan Jinniu Central Glass Panax E-tech BYD Others

(8)

투자등급 관련사항 및 투자의견 비율공시

투자의견의 유효기간은 추천일 이후 12개월을 기준으로 적용

기업의 분류

BUY(매수)_목표주가가 현주가 대비 15% 이상 상승 여력 Neutral(중립)_목표주가가 현주가 대비 -15%~15% 등락 Reduce(매도)_목표주가가 현주가 대비 -15% 이상 하락 가능

산업의 분류

Overweight(비중확대)_업종지수가 현재지수 대비 15% 이상 상승 여력 Neutral(중립)_업종지수가 현재지수 대비 -15%~15% 등락

Underweight(비중축소)_업종지수가 현재지수 대비 -15% 이상 하락 가능

투자등급 BUY(매수) Neutral(중립) Reduce(매도) 합계

금융투자상품의 비율 91.3% 8.7% 0.0% 100.0%

* 기준일: 2020년 6월 1일

Compliance Notice

본 자료를 작성한 애널리스트(김현수)는 자료의 작성과 관련하여 외부의 압력이나 부당한 간섭을 받지 않았으며,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여 신의성실 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본 자료는 기관투자가 등 제 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당사는 2020년 06월 1일 현재 해당회사의 지분을 1%이상 보유 하고 있지 않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애널리스트(김현수)는 2020년 06월 1일 현재 해당 회사의 유가증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본 조사자료는 고객의 투자에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무단 복제 및 배포 될 수 없습니다. 또한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로 얻어진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최종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고객의 주식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참조

관련 문서

위의 계수를 맞춘 화학 반응식에서 주어지는 몰비를 이용하여 생성물의

비슷한 형식 전하 분포를 갖는 루이스 구조식 중에서 가장 합당한 구조는 전기음성도가 더 큰 원자가 음의 형식

원자, 이온, 또는 분자가 주기적인 방식으로 3차원 공간에서

VIII. 소자 및 집적회로 제조기술에 미치는 영향.. 목적: 정확한 양의 불순물을 원하는 곳에 도핑하는 것.. <실리콘에서의 정지력>..

 고체 내에는 수많은 원자들이 존재하고 그 원자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많은 에너지 준위로 분리되어 하나의 연속적인 에너지 밴

• 젂해질로 고체 고분자와 백금촉매를 함유하는 다공성 탄소젂극 사용?. • 수소, 공기 중의 산소, 작동을

• 비결정질 재료(noncrystalline): 장범위의 원자 규칙성이 존재하지 않는 고체.. • 제조법: 응고 과정에서 급속냉각을 시켜 원자의

• 세기 성질(intensive property): 시료의 양과 관계가 없는 값임.. • 수소는 무색의 기체로 외관과 성질이 알칼리 금속과는 전혀 다름.. • 천연에서 순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