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단일 기관에서 시행한 소아 조혈모세포이식 성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단일 기관에서 시행한 소아 조혈모세포이식 성적"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단일 기관에서 시행한 소아 조혈모세포이식 성적

영남대학교병원 조혈모세포이식센터

이용직ㆍ이현동ㆍ하정옥ㆍ김민경ㆍ이경희ㆍ현명수

󰠚󰠚󰠚󰠚󰠚󰠚󰠚󰠚󰠚󰠚󰠚󰠚󰠚󰠚󰠚󰠚󰠚󰠚󰠚󰠚󰠚󰠚󰠚󰠚󰠚󰠚󰠚󰠚󰠚󰠚󰠚󰠚󰠚󰠚󰠚󰠚󰠚󰠚󰠚󰠚󰠚󰠚󰠚󰠚󰠚󰠚󰠚󰠚󰠚󰠚󰠚󰠚󰠚󰠚󰠚󰠚󰠚󰠚󰠚󰠚󰠚󰠚󰠚󰠚󰠚󰠚󰠚󰠚󰠚󰠚󰠚󰠚󰠚󰠚󰠚󰠚󰠚󰠚󰠚󰠚󰠚󰠚󰠚󰠚󰠚󰠚󰠚󰠚󰠚󰠚󰠚󰠚󰠚󰠚󰠚󰠚󰠚󰠚󰠚󰠚󰠚󰠚󰠚󰠚󰠚󰠚󰠚󰠚

Outcome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 Patients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Yong Jik Lee, M.D., Hyun Dong Lee, M.D., Jeong Ok Hah, M.D., Min Kyoung Kim, M.D., Kyung Hee Lee, M.D. and Myung Soo Hyun, M.D.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Center,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Daegu, Korea

Background: The result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have been variable according to the patient disease status and center of treatment. We evaluated the outcome of HSCT in our pediatric and adolescent patients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YNUH).

Methods: The records of 60 patients, ages 19 years and younger, who had a HSCT at YNUH from September 1995 to December 2006 were reviewed.

Results: Among the 60 patients,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llo-BMT) was performed in 19 (related 17, unrelated 2), cord blood transplantation (CBT) in 11 (related 1, unrelated 10), and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Auto-PBSCT) in 30 patients. All patients engrafted.

The median number of days to obtain an absolute neutrophil count >500/μL and platelet count >20,000/

μL were 13 days (range, 8∼48 days) and 27 days (range, 6∼465 days), respectively. The treatment related mortality (TRM) of Allo-BMT, CBT and Auto-PBSCT were 21.1%, 27.3% and 10%. The three-year overall survival (OS) and event free survival (EFS) among the 60 patients were 73.3% and 63.3%. The three-year OS and EFS for Allo-BMT, CBT and Auto-PBSCT were 78.9% and 73.7%, 63.6%

and 54.5% and 53.3% and 46.7%, respectively.

Conclusion: Although the number of cases was small, the 3-year EFS of the CBT was comparable to that of the Auto-PBSCT for hematological malignancies. However, the high TRM with the CBT requires further improvement as does the high relapse rates for the Auto-PBSCT, especially in neuroblastoma patients. (Korean J Hematol 2007;42:317-324.)

󰠏󰠏󰠏󰠏󰠏󰠏󰠏󰠏󰠏󰠏󰠏󰠏󰠏󰠏󰠏󰠏󰠏󰠏󰠏󰠏󰠏󰠏󰠏

Key Word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Outcome, Children

317 접수:2007년 8월 27일, 수정:2007년 10월 21일

승인:2007년 11월 5일

교신저자: 하정옥,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 5동 317-1

󰂕 705-717, 영남대학교병원 조혈모세포이식센터 Tel: 053-620-3530, Fax: 053-629-2252

E-mail: johah@med.yu.ac.kr

Correspondence to : Jeong Ok Hah, M.D.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Center,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317-1, Daemyeong-dong, Nam-gu, Daegu 705-717, Korea Tel: +82-53-620-3530, Fax: +82-53-629-2252

E-mail: johah@med.yu.ac.kr 서 론

소아 혈액종양질환의 치료성적은 항암화학요법, 방 사선치료, 그리고 수술의 발달과 함께 꾸준히 향상되

어 전체적인 5년 생존율이 최근에는 80%에 이르고 있 다. 그러나, 소아에서도 고위험군의 급성림프구성백혈 병, 급성골수성백혈병, 재발한 백혈병, 또는 진행된 고 형 종양 환자에서는 통상적인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 료, 수술로 치료했을 때는 완치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2)

편이다. 조혈모세포이식은 이러한 환자에게 고용량의 항암제 혹은 전신방사선조사로 전처치를 한 후 타인의 혹은 미리 모아둔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주입하여 골수 를 재구성해 줌으로써 혈액종양 질환을 완치시킬 수도 있는 치료 방법이다. 선천성 면역결핍증에 대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이 처음 성공한 이래1) 이식으로 발생 할 수 있는 이식편대숙주병(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이나 이식편의 거부반응을 극복하는 다양한 면 역억제제의 개발, 이식 후 범혈구감소에 대한 조혈성 장인자의 사용, 그리고 면역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기 회감염을 적절한 항생제와 항진균제, 그리고 항바이러 스제로 치료함으로써 조혈모세포이식 성공률이 많이 향상되었다. 또한 말초혈액에서의 혈액분반기술과 세 포냉동기술을 이용한 조혈모세포 채취와 보관, 제대혈 의 조혈기능을 이용하는 제대혈이식이 개발되어 화학 요법과 방사선요법만으로는 완치율을 높일 수 없는 고 위험군 혈액암과 진행된 고형 종양을 다양한 조혈모세 포원으로 치료할 수 있게 되었다.2) 우리나라에서는 1982년에 동종골수이식이,3) 1996년에는 제대혈이식이 처음 시행된 후4) 1992년부터는 조혈모세포이식이 국 민건강보험에 적용되어 많은 환자들이 보다 적은 비용 부담으로 이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조혈모세 포이식의 시행이 증가하면서 골수, 제대혈, 그리고 자 가 말초혈조혈모세포 이식 간의 임상 성적에 많은 관 심을 가지게 되어 국내외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의 이식 방법과 질환에 따른 성적 보고들이 있었는데 환자가 이환된 질병, 조혈모세포의 공급원, 그리고 이식을 시행 한 의료기관에 따라 치료 결과가 다양하였다.5-8)

본 연구는 단일기관에서 소아의 혈액, 종양 질환 치 료를 위해 시행한 조혈모세포이식의 결과를 분석하고 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9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병원 에서 백혈병, 골수이형성증후군, 재생불량성빈혈, 면 역결핍증, 그리고 진행된 고형종양으로 진단받은 19세 이하의 소아 및 청소년 중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60명을 대상으로 이식 유형, 전처치 방법, 조혈모 세포이식 시의 세포 수, 생착 시기, GVHD의 발생빈도, 치료에 따른 합병증, 그리고 전체생존율(overall sur- vival, OS)과 무사건생존율(event free survival, EFS)을 분석하였다. 측정치는 중앙값과 범위로 명시하였고 전 체생존기간은 조혈모세포 주입일로부터 사망일 혹은

마지막 추적 관찰일까지로, 무사건생존은 재발, 사망, 생착 실패를 사건으로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백혈구 생착일은 이식 후 일반혈액검사에서 G-CSF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투여 없이 절대호중구수가 500/μL 이상 3일 연속 유지되는 첫 날로, 혈소판 생착 일은 혈소판 수혈 없이 혈소판수가 20,000/μL 이상으 로 3일 연속 유지되는 첫 날로 하였다. 이식 후 100일 이내에 발생하는 급성 GVHD는 Thomas 등9)의 기준에 따라서 피부, 간, 위장관 그리고 다른 장기의 침범 정도 에 따라 grade를 분류하였다. 급성 GVHD의 예방을 위 해 cyclosporine은 이식 1일 전 5mg/kg/day, 이식 일부 터 3mg/kg/day의 용량으로 24시간 지속적으로 정주하 여 약물 농도가 200∼400ng/mL를 유지하도록 용량을 조절하였고 동종골수이식을 시행한 경우 이식 제 1, 3, 6, 11일에 methotrexate를 15mg/m2/day로 투여하였다.

Grade II 이상의 급성 GVHD가 발생하는 경우 methyl- prednisolone을 2mg/kg/day의 용량으로 치료하였고 치 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methylprednisolone을 증량하거 나 OKT3를 추가하여 사용하였다. 이식 100일 이후에 발생하는 만성 GVHD는 Shulman 등10)의 분류에 따라 제한적(limited) 또는 광범위(extensive)로 나누었다. 치 료관련사망(treatment related mortality, TRM)은 원발 질환의 진행 혹은 합병증이 아닌 치료와 연관된 원인 으로 인한 사망으로 정의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1.5 (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 며 생존 곡선은 Kaplan-Meier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 였다.

결 과 1. 대상 환아의 임상적 특성

총 60명의 환아 중 남아가 38명, 여아가 22명이었고 조혈모세포이식 시의 연령은 11개월에서 19세, 정중 연령은 9세였으며 추적기간은 8개월에서 144개월, 정 중 추적기간은 36개월이었다(Table 1). 대상 질환은 급 성림프구성백혈병(ALL)이 1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급성골수성백혈병(AML) 10명, 신경모세포종(neuro- blastoma) 10명, 중증재생불량성빈혈(AA) 7명, 비Hod- gkin림프종(NHL) 5명, 만성골수성백혈병(CML) 3명, Wilms종양 2명, 연소성골수단핵구성백혈병(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 JMML) 2명이었고 골수이형 성증후군(MDS), 부신피질선암(adrenocortical carcino- ma), 역형성희돌기교세포종(anaplastic oligodendroglio- ma), 중증복합면역결핍증(severe combined immunode-

(3)

Table 1. Patient characteristics and sources of stem cells

Median age (range) 9 years

(11 months∼19 years)

Sex : M/F 38/22

Median follow-up (range) 36 months (8∼144 months) Source of stem cell

Allo-BMT (related/unrelated) 19 (17/2) CBT (related/unrelated) 11 (1/10) Auto-PBSCT 30

Abbreviations: Allo-BMT, allogeneic bone marrow trans- plantation; CBT, cord blood transplantation; Auto-PBSCT,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Table 2. Diagnosis of the patients included in each transplantation

Allo-BMT CBT Auto-PBSCT Total

ALL AML CML JMML MDS AA SCID NHL

Neuroblastoma Wilms tumor

Adrenocortical carcinoma Anaplastic oligodendroglioma

5 4 3

6 1

5 2

2 1 1

7 4

5 10 2 1 1

17 10 3 2 1 7 1 5 10 2 1 1

Total 19 11 30 60

Abbreviations: ALL,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ML, acute myeloid leukemia; CML, chronic myelocytic leukemia; JMML,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 MDS, myelodysplastic syndrome; AA, aplastic anemia; SCID, severe combined im- munodeficiency; NHL, non-Hogkin lymphoma.

ficiency, SCID)이 각각 1명씩이었다(Table 2).

2. 조혈모세포이식의 특성

이식은 조혈모세포 공급원에 따라 동종골수이식 (Allo-BMT, 19명), 제대혈이식(CBT, 11명), 그리고 자 가 말초혈조혈모세포이식(Auto-PBSCT, 30명)의 3가 지 유형으로 시행되었다. Allo-BMT를 시행한 19명 중 17명이 혈연, 2명이 비혈연이었으나 CBT에서는 11명 중 1명만이 혈연, 나머지 10명은 비혈연이었다(Table

1). ALL과 AML로 진단받은 경우는 공급원과 환자 상 태에 따라 골수, 제대혈, 자가 말초혈조혈모세포이식 중 한 가지의 방법으로 시행하였으나 CML은 3명 모두 Allo-BMT를, 고형 종양은 20명 모두 Auto-PBSCT를 시행하였다(Table 2). 신경모세포종 제4기로서 골수에 전이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채집한 말초혈조혈모세포 를 magnetic bead를 이용하여 purging을 시행하였다.

전처치 요법은 진단받은 질환과 조혈모세포 공급원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하였다(Table 3).

3. 이식된 세포수 및 혈액학적 회복

이식된 세포수는 Auto-PBSCT에서 가장 많아 유핵 세포 수의 중앙값은 6.1×108/kg (범위, 0.45∼11.5×

108/kg), CD34양성세포 수의 중앙값은 3.9×106/kg (범 위, 0.7∼18.8×106/kg)이었다. Allo-BMT에서는 유핵세포 수의 중앙값이 3.9×108/kg (범위, 1.37∼6.15×108/kg), CD34양성세포 수의 중앙값은 3.4×106/kg (범위, 0.82

∼8.2×106/kg)이었다. CBT에서는 유핵세포 수의 중앙 값이 1.3×108/kg (범위, 0.45∼13.8×108/kg)이었고 CD34 양성세포 수의 중앙값은 0.6×106/kg (범위, 0.15∼8.98

×106/kg)이었다. 분석한 60명 모두에서 생착이 이루 어졌고 Allo-BMT에서 생착일의 중앙값은 호중구 13.5 일(범위, 10∼27일), 혈소판 26일(범위, 10∼465일)이 었다. CBT에서 생착일의 중앙값은 호중구 14.5일(범위,

(4)

Table 5. 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and treatment related mortality (TRM)

Allo-BMT CBT Auto-PBSCT

aGVHD grade III∼IV 3/19 (15.8%) 3/11 (27.3%)

cGVHD 1/19 (5.3%) 0/11 (0.0%)

TRM 4/19 (21.1%) 3/11 (27.3%) 3/30 (10%)

Causes of TRM VOD, pneumonia,

DIC, TMA, sepsis

TMA, cerebral infarction, pneumonia, sepsis

VOD, ARF, sepsis, DIC

Abbreviations: aGVHD, acute GVHD; cGVHD, chronic GVHD; VOD, veno-occlusive disease; DIC,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TMA, thrombotic microangiopathy; ARF, acute renal failure.

Table 4. Cell doses and engraftment MNC ×108/kg

Median (range)

CD34+ ×106/kg Median (range)

ANC>500/μL (days) Median (range)

PLT>20,000/μL (days) Median (range)

Allo-BMT

CBT

Auto-PBSCT

3.9 (1.37∼6.15)

1.3 (0.45∼13.8)

6.1 (0.45∼11.5)

3.4 (0.82∼8.2)

0.6 (0.15∼8.98)

3.9 (0.70∼18.8)

13.5 (10∼27)

14.5 (11∼32)

14.0 (8∼48)

26 (10∼465)

30 (10∼48)

32 (6∼263) Table 3. Conditioning regimen

Conditioning regimen Patients (number) CTX, BU±MEL

CTX, TBI±MEL CTX, ATG, FLU

CBDCA, ETO, MEL±TBI FLU, ATG, BU, MEL Ara-C, BU, MEL Ara-C, TBI, MEL

BCNU, ETO, Ara-C, MEL

20 8 7 12 4 4 3 2

Total 60

Abbreviations: CTX, cyclophosphamide; BU, busulfan;

MEL, melphalan; TBI, total body irradiation; ATG; antithy- mocyte globulin; FLU, fludarabine; CBDCA, carboplatin;

ETO, etoposide; Ara-C, cytarabine; BCNU, 1,3-bis(2-chlor- oethyl)-1-nitrosourea (carmustine).

11∼32일), 혈소판 30일(범위, 10∼48일)이었고 Auto- PBSCT에서 생착일의 중앙값은 호중구 14일(범위, 8∼

48일), 혈소판 32일(범위, 6∼263일)이었다. 조혈모세 포원의 종류와 관계없이 호중구의 생착이 혈소판의 생 착보다 빠른 시간에 이루어졌는데(Allo-BMT: 13.5일 vs. 26일, CBT: 14.5일 vs. 30일, Auto-PBSCT: 14일 vs.

32일) 조혈모세포원에 따른 생착 시간 분석 결과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Table 4).

4. 이식과 관련된 합병증

Grade III 이상의 급성 GVHD는 Allo-BMT를 시행한 19명 중 3명(15.8%), CBT를 시행한 11명 중 3명(27.3%) 에서 각각 발생하였고 만성 GVHD는 Allo-BMT를 시 행한 군에서만 1명(5.3%) 있었다. TRM은 Allo-BMT를 시행 받은 19명 중 4명(21.1%), CBT를 시행 받은 11명 중 3명(27.3%), Auto-PBSCT를 시행 받은 30명 중 3명(10%) 에서 있었는데 패혈증, 혈전성미세혈관병증(thrombotic microangiopathy, TMA), 정맥폐쇄성질환(veno-occlusive disease, VOD), 파종혈관내응고증(disseminated intra-

(5)

Fig. 3. Overall survival and event free survival in CBT.

Fig. 4. Overall survival and event free survival in Auto- PBSCT.

Fig. 1. Overall survival and event free survival in total 60 patients.

Fig. 2. Overall survival and event free survival in Allo-BMT.

vascular coagulation, DIC) 등으로 원인이 다양하였다 (Table 5).

5. 생존율

전체 60명 환아의 3년 전체생존율(OS)은 73.3%, 무 사건생존율(EFS)은 63.3%였고 조혈모세포이식 40개 월 이후에는 생존율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변화가 없었 다(Fig. 1). Allo-BMT를 시행한 군의 3년 OS는 78.9%, EFS는 73.7%였고 이식 20개월 이후에는 생존율이 변 화가 없었다(Fig. 2). CBT의 3년 OS와 EFS는 63.6%, 54.5%였고 Auto-PBSCT의 3년 OS와 EFS는 각각 53.3%, 46.7%였다(Fig. 3, 4).

고 찰

수십 년 전에는 불과 20% 정도였던 소아암의 생존

율은 경제적 여건과 치료 방법의 향상, 그리고 치료 약 제의 개발로 괄목할 만큼 호전이 되었으나 고위험군 혹은 재발한 백혈병과 진행된 고형 종양에서는 아직도 완치를 기대하기 어렵다.11) 조혈모세포이식은 매우 나 쁜 예후를 가진 혈액암, 재생불량성빈혈, 면역결핍질 환, 그리고 진행된 고형 종양에서 유일한 또는 가장 유 효한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데11,12) 본 연구에서 도 다양한 질환을 혈연, 자가 또는 비혈연 공여자의 골 수, 제대혈 및 말초혈의 조혈모세포를 이용하여 이식 을 시행하였다.

질환에 따른 이식 빈도는 IBMTR (International Bone Marrow Transplant Registry)의 조사 결과 백혈병 등의 혈액암이 전체 이식의 74%를 차지한다고 보고하였는 데13) 본 연구에서는 54.8%를 차지하였다. 이는 1990년 대에 비슷한 비율이던 동종조혈모세포이식과 자가조

(6)

혈모세포이식이 2004년의 조사에서는 고형 종양 환아 에서 시행한 조혈모세포이식의 증가로 인한 자가조혈모 세포이식이 2배로 많아졌다는 EBMT (European Group for Bone Marrow Transplantation)의 보고와 동일하게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고형 종양 환아가 증가 한 때문으로 생각한다.14)

IBMTR에서는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시행 후 3년 EFS가 60±2%라고 하였다.15) Kim 등5)은 우리 나라의 소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200예를 분석한 보고에서 주요 조직적합항원(human leukocyte antigen, HLA) 일 치 형제간 골수이식의 5년 무병 생존율은 ALL 75.5±

7.5% AML 71.7±7.0%라고 하였고 Cho16)는 ALL의 3 년 EFS가 68%, AML은 70%라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 구에서는 Allo-BMT의 3년 OS와 EFS는 78.9%와 73.7%

로서 비교적 양호한 성적을 나타내었다. Allo-BMT는 다른 조혈모세포이식에 비해 재발이 적고 이식편대백 혈병 효과(graft versus leukemia effect)를 기대할 수 있 는 장점이 있으므로 조혈모세포이식의 적응이 되는 소 아에서 HLA 일치 형제 공여자가 있을 경우 Allo-BMT 가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이 되겠다.

Euro-cord에서는 CBT의 2년 EFS가 31%라고 보고하 면서 연령이 6세 이하이고, 체중이 20kg 이하, 환자의 CMV 검사 결과가 음성, 공여자와 성이 일치하고, 주입 된 유핵세포 수가 3.7×107/kg 이상, 그리고 HLA가 일 치할 경우 이식 결과가 좋고 생존율이 높았으며 주입 된 세포 수와 생착 시간과는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하 였다.17) Rocha 등18)은 CBT가 이식관련 독성 때문에 생 착이 늦으므로 2년 EFS가 55%라고 보고하였다. 본 연 구에서는 CBT를 시행한 경우 다른 조혈모세포원과 비 교하였을 때 생착 시간의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주입 된 유핵세포의 수가 비교적 많았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중앙값 1.3×108/kg). 또한 3년 EFS가 54.5%로 Rocha 등의 보고와 비슷하였고 Euro-cord의 치료 성적보다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CBT는: 첫째; 조혈모세포 이식 의 성공 여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CFU-GM 전구 세포(colony-forming unit-granulocyte/macrophage pro- genitor cell)와 CD34 양성세포의 수가 성인의 골수에 비해 같거나 2배 정도 많고, 둘째; 제대혈액 내의 절대 림프구수가 성인의 말초혈액보다 많고 면역학적으로 상당히 미숙하며 CD8 양성림프구가 적은 반면 CD4/

CD8 비율이 높아 동종항원에 대한 거부반응이 약하기 때문에 HLA가 1개 불일치하더라도 이식 후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인 GVHD의 빈도가 적으며, 셋째; 골수나 말초혈에 비해 virus 감염(CMV, EBV, HIV, hepatitis

B)의 위험이 낮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19) 실제로 HLA가 1개 또는 2개 불일치하는 CBT를 하더라도 HLA가 완전 일치하는 조혈모세포이식을 한 경우와 비교하여 GVHD의 정도와 빈도뿐만 아니라 생존율도 비슷하다는 보고가 있다.20) HLA의 일치 여부를 확인 하는 방법에는 혈청학적인 방법, DNA 방법, 세포 분석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혈청학적인 방법으로 HLA가 일치한 경우에도 DNA 방법으로 재검사할 경 우 환자와 공여자 사이의 HLA가 부적합한 경우가 있 으므로 CBT를 시행한 11명은 모두 DNA 방법으로 HLA 적합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BT를 시행한 환자의 27.3%에서 grade III 이상의 급성 GVHD 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24±4%에서 grade II 이상의 GVHD가 발생하였다는 Euro-cord와 비슷한 수치이다.

CBT를 시행한 11명 중 10명이 환자와 공여자 사이의 HLA-A, B, DR 중 1개 또는 2개가 일치하지 않았는데 특히 grade III 이상의 급성 GVHD가 발생한 27.3%의 경우 2개가 불일치하였다. 현재 제대혈 검사는 HLA-A, B,DR에 대해 DNA 방법으로 시행하고 있으나 HLA-C 에 대한 검사는 시행하지 않고 있는데 HLA-C가 불일 치한 경우에도 급성 GVHD의 위험성이 높다는 보고가 있으므로21) 향후 이에 대한 검사를 적극적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또한 제대혈이 면역 기능이 정상인 모체의 T림프구와 섞임으로써 심각한 GVHD 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채취 시 제대혈액과 모체의 혈 액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 하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무균적인 채취와 제대혈에 대한 세균과 바이러스 검사를 보다 더 철저히 하여 이 식 후 올 수 있는 치명적인 감염의 위험을 줄이는 노력 도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하겠다.

Auto-PBSCT의 경우 본 연구의 3년 OS와 EFS는 53.3%, 46.7%였는데 이는 3년 EFS가 43%에서 63% 사 이인 외국 보고와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22) Auto-PBSCT 는 Allo-BMT와 CBT에 상응하는 OS와 낮은 치료관련 사망률에도 불구하고 다른 조혈모세포이식에 비해 재 발률이 높은 이유는 이식편대백혈병 반응의 결여와 조 혈모세포 채집 시 종양 세포가 채집되어 다시 환자에 게 주입될 가능성으로 설명할 수 있겠다.23) 본 연구에 서도 신경모세포종 제4기로서 진단 시 골수에 전이가 되어 있었던 경우는 magnetic bead를 이용한 purging을 하였음에도 재발되어, 미세 잔존암으로부터 재발이 되 었는지 자가 말초혈조혈모세포와 함께 재주입이 되었 는지 확실치는 않으나 치료 성적의 향상을 위해서는 종양 세포의 오염을 줄이는 더욱 효과적인 purging 기

(7)

술의 개발과 미세잔존암을 더욱 확실히 제거할 수 있 는 효과적인 전처치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 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ALL로 진단 받은 환자 중 7명은 항암치료만으로는 완치를 기대하 기 어려운 고위험군 또는 항암치료 종결 후 재발로 조 혈모세포이식의 적응이 되나 가족 또는 비혈연 중 적 합한 공여자가 없었던 경우로 이들은 Auto-PBSCT를 시행하여 4명은 생존하였으나 2명은 이식 후 다시 재 발하였고 1명은 치료 관련 사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저자들은 조혈모세포이식의 적응이 되는 고위험군 혹은 재발한 백혈병에서는 HLA가 일 치하는 형제간 Allo-BMT가 가장 성적이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LA가 일치하는 형제가 없고 HLA 가 일치하는 비혈연간 공여자를 찾을 수가 없는 환자 의 경우 CBT를 시행할 수 있으나 치료 관련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이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심한 GVHD 를 줄이기 위하여 HLA-C를 제대혈 검사에 포함하도 록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진행된 고형 종양 환자에서는 Auto-PBSCT를 시도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이식 후 재발률을 낮추기 위하여 더욱 효과 적인 purging 방법과 전처치 방법의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요 약

배경: 조혈모세포이식의 치료 성적은 이환된 질병, 조혈모세포의 공급원, 그리고 이식을 시행한 의료기관 에 따라 치료 결과가 다양하다. 저자들은 단일기관에 서 소아의 혈액, 종양 질환 치료를 위해 시행한 조혈모 세포이식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1995년 9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 병원에서 19세 이하의 소아 및 청소년 중 조혈모세포 이식을 시행 받은 60명을 대상으로 이식 유형, 전처치 방법, 조혈모세포이식 시의 세포 수, 생착 시기, GVHD 의 발생빈도, 치료에 따른 합병증, 그리고 전체생존율 (overall survival, OS)과 무사건생존율(event free sur- vival, EFS)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60명 환아의 조혈모세포이식은 동종골수이 식(Allo-BMT, 19명), 제대혈이식(CBT, 11명), 그리고 자가 말초혈조혈모세포이식(Auto-PBSCT, 30명)의 3 가지 유형으로 시행되었다. Allo-BMT를 시행한 19명 중 17명이 혈연, 2명이 비혈연이었으나 CBT에서는 11 명 중 1명만이 혈연, 나머지 10명은 비혈연이었다. 분 석한 60명 모두에서 생착이 이루어졌고 생착일의 중앙

값은 호중구 13일(범위, 8∼48일), 혈소판 27일(범위, 6∼465일)이었다. 치료관련사망은 Allo-BMT를 시행 받은 19명 중 4명(21.1%), CBT 11명 중 3명(27.3%), Auto-PBSCT 30명 중 3명(10%)에서 발생하였다. 총 60 명 환아의 3년 OS는 73.3%, EFS는 63.3%였다. 그 중 Allo-BMT를 시행한 군의 3년 OS와 EFS는 78.9%, 73.7%

였고 CBT의 3년 OS와 EFS는 63.6%, 54.5%였으며 Auto-PBSCT의 3년 OS와 EFS는 53.3%, 46.7%였다.

결론: 저자들은 조혈모세포이식의 적응이 되는 고위 험군 혹은 재발한 백혈병에서는 HLA가 일치하는 형 제간 Allo-BMT가 가장 성적이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LA가 일치하는 형제가 없고 HLA가 일치하 는 비혈연간 공여자를 찾을 수가 없는 환자의 경우 CBT를 시행할 수 있으나 치료 관련 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진행된 고형 종양 환자에서 는 Auto-PBSCT를 시도할 수 있으나 이식 후 재발률을 낮추기 위한 더욱 효과적인 purging 방법과 전처치 방 법의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참 고 문 헌

1) Bach FH, Albertini RJ, Joo P, Anderson JL, Bortin MM. Bone-marrow transplantation in a patient with Wiskott-Aldrich syndrome. Lancet 1968;2:1364-6.

2) Gluckman E, Rocha V, Chevret S. Results of unrelated umbilical cord blood hematopoietic stem cell tran- splant. Transfus Clin Biol 2001;8:146-54.

3) Ko YW, Lee YH, Hahan JS, et al.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n adult severe aplastic anemia -a case report-. Korean J Hematol 1982;17:191-5.

4) Jo B, Kim HK, Kim CC, Han H. Successful engraft- ment of HLA-mismatched unrelated transplantation using banked cord blood in Korea. Korean J Hemato Stem Cell Trans 1998;3:125-8.

5) Kim HK, Cho B, Chung NG, et al. Two hundred cases of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 tation in children: single center study. Korean J Hemato Stem Cell Trans 2002;7:63-71.

6) Lee S, Min WS, Min CK, et al. Allogeneic versus au- 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adults with high-risk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n first remission: a single experience. Korean J Hemato Stem Cell Trans 2000;5:141-52.

7) Shin EY. Autologous peripheral blood hemato- 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children with acute myelogenous leukemia in Korea. Korean J Pediatr Hematol-Oncol 2001;8:9-16.

(8)

8) Sung KW, Lee SH, Park SM, et al. Allogeneic hema- 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children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 single center expe- rience. Korean J Hemato Stem Cell Trans 2004;9:

19-28.

9) Thomas E, Storb R, Clift RA, et al. Bone marrow transplantation (first of two parts). N Engl J Med 1975;292:832-43.

10) Shulman HM, Sullivan KM, Weiden PL, et al. Chronic graft-versus-host syndrome in man. A long-term clin- icopathologic study of 20 Seattle patients. Am J Med 1980;69:204-17.

11) Bensinger WI, Clift R, Martin P, et al. Allogenic pe- 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patients with advanced hematologic malignancies: a retro- spective comparison with bone marrow trans- plantation. Blood 1996;88:2794-800.

12) Kurtzberg J, Laughlin M, Graham ML, et al.

Placental blood as a source of hematopoietic stem cells for transplantation into unrelated recipients. N Engl J Med 1996;335:157-66.

13) Horowitz MM, Rowlings PA. An update from the in- ternational bone marrow transplant registry and the autologous blood and marrow transplant registry on current activity i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 plantation. Curr Opin Hematol 1997;4:395-400.

14) Rosti G, Ferrante P, Ledermann J, et al. High-dose chemotherapy for solid tumors: results of the EBMT.

Crit Rev Oncol Hematol 2002;41:129-40.

15) 2001. ASBMT, IBMTR, ABMTR Tandem BMT meetins. Biol Blood Marrow Transplant 2001;7:61- 118.

16) Cho B. Pediatric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Korea: April 2000: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Korean J Pediatr Hematol-Oncol 2001;8:1-8.

17) Gluckman E, Rocha V, Boyer-Chammard A, et al.

Outcome of cord blood transplantation from related and unrelated donors. Eurocord Transplant Group and the European Blood Marrow Transplantation Group. N Engl J Med 1997;337:373-81.

18) Rocha V, Cornish J, Sievers EL, et al. Comparison of outcomes of unrelated bone marrow and umbilical cord blood transplants in children with acute leukemia.

Blood 2001;97:2962-71.

19) Bradley MB, Cairo MS. Cord blood immunology and stem cell transplantation. Hum Immunol 2005;

66:431-46.

20) Schonberger S, Niehues T, Meisel R, et al. Transplan- tation of haematopoietic stem cells derived from cord blood, bone marrow or peripheral blood: a sin- gle centre matched-pair analysis in a heterogeneous risk population. Klin Padiatr 2004;216:356-63.

21) van der Meer A, Allebes WA, Paardekooper J, Ruiter J, Joosten I. HLA-C mismatches induce strong cyto- toxic T-cell reactivity in the presence of an additional DRB/DQB mismatch and affect NK cell-mediated alloreactivity. Transplantation 2001;72:923-9.

22) Kletzel M, Katzenstein HM, Haut PR, et al. Treat- ment of high-risk neuroblastoma with triple-tandem high-dose therapy and stem-cell rescue: results of the Chicago Pilot II Study. J Clin Oncol 2002;20:

2284-92.

23) Rizzoli V, Carlo-Stella C. Stem cell purging: an in- triguing dilemma. Exp Hamatol 1995;23:296-302.

수치

Table 2. Diagnosis of the patients included in each transplantation
Table 4. Cell doses and engraftment MNC ×10 8 /kg Median (range) CD34+ ×10 6 /kgMedian(range) ANC>500/μL (days)Median(range) PLT>20,000/μL (days)Median(range) Allo-BMT CBT Auto-PBSCT 3.9 (1.37∼6.15)1.3(0.45∼13.8)6.1 (0.45∼11.5) 3.4 (0.82∼8.2)0.6 (0.1
Fig. 1. Overall survival and event free survival in total 60  patients.

참조

관련 문서

 a transaction T reaches its commit point when all its operations that access the database have been executed successfully and the effect of all the transaction operations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symptoms in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 group

– Embryonic stem cell : Pluripotent cells that can give rise to all tissue types. – Adult stem cell : Multipotent cells

Various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improve properties of material,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ailway train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speed in the

The positive change pattern of CK-MB according to time on acute myocardiac infarction patient.. The positive change pattern of troponin-T according to time on

Approved clinical use of bone marrow stem cells for myocardial infarction treatment... Cardiac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almost all decontamination method had a high efficiency, but considering the amounts of the secondary waste produ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