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산, 경남지역 화상센터에서의 중화상 환자의 치료 결과에 관한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부산, 경남지역 화상센터에서의 중화상 환자의 치료 결과에 관한 분석"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Vol. 10, No. 1, 13-17, 2007

책임저자:김세연, 부산시 사하구 장림동 380번지

󰂕 604-040, 하나병원 외과 Tel: 051-266-2600, Fax: 051-266-0442 E-mail: sysy3058@hanmail.net

부산, 경남지역 화상센터에서의 중화상 환자의 치료 결과에 관한 분석

김세연ㆍ이주봉ㆍ최동휘ㆍ정철수ㆍ김해영

1

하나병원 화상센터 외과, 1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외과학교실

Outcomes of Severe Burn Patients in Hana Hospital Burn Center, Busan, Korea

Se Yeon Kim, M.D., Joo Bong Lee, M.D., Dong Hwi Choi, M.D., Cheol Soo Jeong, M.D. and Hae Young Kim, M.D.1 Department of Surgery, Hana Hospital Burn Center, 1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Backgrounds: We aimed to identify special characteristics of

severe burn patients admitted to our burn center and their outcomes of treatments and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with mortality.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20 severely burned

patients admitted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6 to our burn ICU due to severe burns was carried out. Variables examined were age, sex, cause, comorbidity, inhalation in- jury, TBSA, ABSI and mortality. And we assessed the rela- tionship of the mortality rate and serum level of albumin in blood within 24 hours from injury before supplying albumin, and the level of leukopenia formation within 7 days from injury.

Results: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78 males and 42

females. 58 fatalities (41.6%) were observed from the study group. The mean age of survivors and non-survivors were 36.7 years and 56.6 years respectively. A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age and mortality (p<0.001). 22 cases were scalds, 92 cases were flame and 6 electrical burns. The mean extent of burn was 48% (20∼95%). The mean TBSA of survivors and non-survivors were 46% and 74% respec- tively. TBSA strongly correlated with mortality (p<0.0001).

22 of patients with extensive burns died in the first 5 days fol- lowing injury due to acute renal failure and shock, while 28 deaths after 7 days were due to multiple organ failure from sepsis. The mean ABSI scores of survivors and non-survi- vors were 8 and 13. ABSI was strongly predictive of mortality (p<0.0001). Inhalation injury was accompanied in 28.3% of burn patients. The mortality rate was 36.6% with inhalation

injury, and 8.5% without inhalation injury. For the mean se- vere hypoalbuminemia for survivors and non-survivors are 8% and 88% respectively and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rtality. For the mean leukopenia for survivors and non-survivors are 3% and 55% respectively and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rtality. Leukopenia and severe hypoalbuminemia were strongly predictive of mortality (p<

0.001, p<0.0001).

Conclusions: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with mor-

tality factors of age, sex, cause, TBSA, ABSI, full thickness burn, inhalation injury, leukopenia, and hypoalbuminemia to severely burn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2007;10:13-17)

Key Words:

Mortality factors, Severe burn, Outcomes

서 론

한국에서 부산은 서울에 이어 두 번째 규모의 도시이며 서울을 제외하고는 유일하게 중화상 환자를 치료할 수 있 는 지역 화상센터가 있는 곳이다.

본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 화상센터인 하나병원에서의 중 화상 환자의 특징과 치료 결과에 대한 예후 인자들의 관련 성을 알아보고자 이루어졌다.

지금까지 중화상 환자의 사망률에 대한 예견 인자로서 여러 인자들이 알려져 있다.

연령, 성별, 원인, 전층 화상(Full thickness burn), 병발 질환(comorbidity), 흡입손상(inhalation injury), 화상 범위 (TBSA) 등이 그 변수로서 연구가 되었고 BI와 ABSI처럼 점 수 형태로 혼합하여 조율된 인자도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예후 인자들에 대한 분석과 함께 수 상 초기 검사실 결과 특히 알부민과 백혈구 수치가 중화상 환자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05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지난 2년간

(2)

Table 1. Criteria of Severe Burn Injury 25% TBSA burn in adults < 40 years old 20% TBSA burn in adults > 40 years old 20% TBSA burn in children < 10 years old 10% TBSA full-thickness burn (any age)

Injuries involving the face, eyes, ears, hands, feet or perineum High-voltage electrical burn injury

All burn injuries with concomitant inhalation or major trauma

Table 2. ABSI (Abbreviated Burn Severity Index) Score

Variables Characteristics Score

Sex Female

Male

1 0

Age in years 0∼20

21∼40 41∼60 61∼80 81∼100

1 2 3 4 5

Inhalation injury 1

Full thickness burn 1

TBSA burned (%) 1∼10

11∼20 21∼30 31∼40 41∼50 51∼60 61∼70 71∼80 81∼90 91∼100

1 2 3 4 5 6 7 8 9 10

Table 3. Abbreviated Burn Severity Index Scores as Related to Risk and Survival

ABSI score Threat to life Probability of survival (%) 2∼3

4∼5 6∼7 8∼9 10∼11

>12∼13

Very low Moderate Moderately severe Serious

Severe Maximum

>99 98 80∼90 50∼70 20∼40

<10

본원 화상센터 중환자실에 입원 치료한 120명의 중화상 환

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통계적 분석의 변수로서 연령, 성별, 원인, 전층 화상(Full thickness burn), 병발 질환(comorbidity), 흡입손상(inhala- tion injury), 화상 범위(TBSA) 등이 이용되었고 입원 초기 계산된 ABSI를 변수로서 이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자는 이 러한 예후 인자들에 대한 분석과 함께 수상 초기 알부민을 공급받기 전 혈청 알부민치와 수상 후 1주일간의 백혈구 수치가 중화상 환자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 하였다.

중화상에 해당하는 기준은 Table 1과 같다. 최소 20%이상 의 TBSA를 보이는 환자와 10%이상의 전층 화상을 수상한 환자, 얼굴 및 손발을 포함하여 수상한 환자, 고전압 전기 화상 환자 그리고 흡입 손상이나 중요 손상(major trauma) 를 동반한 화상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흡입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기관지 내시경으로 확진을 하였다. 사망률과 여러 인자들과의 관련성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에 의해 이루어 졌으며 p값이 0.05 이하일 경우 통계적 유의성이 있다고 보 았다.

Table 2는 ABSI로서 화상환자의 예후를 평가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입원 당시 화상 외과 의사에 의해 모든 화상 환자의 ABSI score가 평가되었다.

Table 3은 ABSI 점수별로 해당되는 생존 가능성을 나타 내고 있다.

결 과

2005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2년간 본원 화상센터 중환자실에 입원 치료한 120명의 중화상 환자의 연령, 성 별, 원인, 전층 화상(Full thickness burn), 병발 질환(comor- bidity), 흡입손상(inhalation injury), 화상 범위(TBSA) 등을 생존자와 비생존자 두 그룹으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입원 초기 계산된 ABSI를 같이 조사하였다. 또한 수상 초기 알부 민을 공급받기 전 혈청 알부민치와 수상 후 1주일간의 백혈

구 수치가 중화상 환자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 석하였다.

Table 4는 생존자와 비생존자의 특징에 대한 비교 분석 을 한 표로서 사망률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을 나타내었 다. 생존자와 비생존자의 평균나이는 각각 36.7세와 56.6세 로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남성과 여성의 비율에 있 어서는 생존자와 비생존자간에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화상 원인에 있어서는 열탕화상과 화염화상의 비율이 생존

자와 비생존자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생존자와 비

생존자의 평균 TBSA (%)는 각각 46%와 74%로서 통계학적

으로 유의하였다. 생존자와 비생존자의 평균 ABSI 점수들

은 각각 8과 13으로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전층 화상

(3)

Table 5. Relationship between Mortality and Lab Findings Survivors

(n=62)

Non-survivors

(n=58) p value Severe hypoalbuminemia

(<2.0 g/dl) Leukopenia (<3.0×103/mm3)

8% (5) 3% (2)

88% (51) 55% (32)

<0.0001

<0.001 Table 4. Characteristics of Severe Burn Patients (Survivors vs

Non-survivors)

Survivors (n=62)

Non-survivors

(n=58) p value Age

Sex (male/female) Cause (Flame/Scald) Full thickness burn, % (n=104)

Inhalation injury, % (n=34) TBSA ABSI scores ICU stay

Timiming of surgery

36.7 43/19 20/36 75% (47) 19% (12) 46 (10∼80)

8 17 4.6

56.6 35/23 2/56 98% (57) 37% (22) 74 (20∼95)

13 28 1.8

<0.001 0.076

<0.001 0.0126 0.0318

<0.0001

<0.0001 0.145 0.083

Table 6. Co-existing Medical Problems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Ischemic heart disease Chronic hepatopathy Chronic renal failure COPD

34 25 8 8 3 2

Table 7. Relationship between Mortality and Comorbidity Survivors

(n=62)

Non-survivors

(n=58) p value The number of

comorbidity 0.64 1.48 0.026

Table 8. Cause of Death MOF due to sepsis Early renal failure Respiratory failure Myocardiac infarction Pulmonary embolism

32 22 2 1 1

의 유무에 있어서는 생존자와 비생존자 각각 75% (47)와 98% (57)에서 전층 화상을 보였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 다. 흡입 손상의 유무에 있어서는 생존자와 비생존자 각각 19% (12)와 37% (22)에서 흡입 손상을 보였고 통계학적으 로 유의하였다. 생존자와 비생존자의 평균 ICU 체류 기간 은 각각 17일과 28일로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생존자와 비생존자의 평균 수술 횟수는 각각 4.6회와 1.8회 로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수상 후 24시간 전 알 부민을 공급하기전의 혈청 알부민 수치 및 수상 후 일주일 이내에 발생한 백혈구 감소증(<3.0×10

3

/mm

3

)의 유무와 사망률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심한 저알부민 혈증의 유무에 있어서는 생존자와 비생존자 각각 8% (5)와 88%

(51)에서 심한 저알부민 혈증을 보였고 통계학적으로 유의

하였다. 백혈구 감소증의 유무에 있어서는 생존자와 비생 존자 각각 3% (2)와 55% (32)에서 백혈구 감소증을 보였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병발된 질환은 고혈 압이 34예, 당뇨병이 25예, 허혈성 심질환이 8예, 만성 간질 환이 8예, 만성 신부전이 3예,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2예가 있었다.

또한 환자가 가지고 있던 병발 질환(comorbidity)의 수와 사망률의 연관성에 있어서 생존자가 평균 0.64개, 비생존자 자 평균 1.48개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비생존자들의 사망 원인으로는 패혈증으로 인한 다발성 장기부전 32예, 급성 신부전 22예, 급성 호흡기 부전 2예, 심근경색 1예, 페색전증 1예로 나타났다.

고 찰

한국에서 부산은 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중화상 환 자를 치료하고 있는 지역 화상센터가 있는 곳이다. 본 연구 는 부산 하나병원 화상센터에서의 중화상 환자의 특징과 치료 결과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지금까지 중화상 환자의 사망률에 대한 예견 인자로서 여러 인자들이 알려져 있다.

연령, 성별, 원인, 전층 화상, 병발 질환(comorbidity), 흡입 손상, 화상 범위(TBSA) 등이 그 변수로서 연구가 되었고 BI (burn index=1/2×TBSA of deep partial thickness burn+

TBSA of full thickness burn)와 ABSI처럼 점수 형태로 혼 합하여 조율된 인자도 있다.

1-4)

화상 환자의 예후는 환자의 특징이나 화상의 특성만으로 는 그 예후를 예견하기가 힘들 수 있다. ABSI score는 화상 환자의 예후를 평가 하는데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흡입 손상이 저평가되어 있다는 점이 단점이며 전

(4)

층 화상에 대한 부분에 있어서 범위의 고려 없이 단순 유무 만을 평가한 점이 단점이다.

Tanaka 등은 APACHE III 점수를 화상 환자의 사망률을 예견하는 인자로서 효용성에 대해 보고한 바 있다.

5)

본 연구의 결과 연령, 원인, 전층 화상, 병발 질환(comor- bidity), 흡입손상(inhalation injury), 화상 범위(TBSA)가 사 망률과 통계적 유의성을 보인 인자였으며 여러 다른 문헌 에서도 보고 된 바 있다.

6-8)

수상 후 첫 24시간에는 화상의 정도에 비례하여 백혈구 증가증(leukocytosis)이 관찰된다. 초기의 백혈구 증가가 있 은 후 심한 2차 감염으로 인한 패혈증이 발생한 경우 백혈 구 감소증(Leukopenia)이 종종 관찰되는데 극히 좋지 않은 예후를 보이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상태에서의 백혈구 감소증은 패혈증으로 인한 골수기능 부전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9)

패혈증 상태에서 발생되는 손상된 골수의 기능 즉 과립구 형성 부전은 중성구의 결핍을 야기하며 이 것은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가 상 승된 상태에서도 발생하게 된다. 패혈증이 동반된 화상환 자에서 G-CSF가 상승됨에도 불구하고 중성구 결핍증을 보 이는 경우 극히 불량한 예후를 예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수상 후 일주일 이내에 백혈구 감소증(<3,000/mm

3

) 소견 을 보인 환자 45명 중에 43명이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2명의 경우 일시적인 백혈구 감소증이었다. 화상 환자에서 국소 적으로 silver sulfadiazine이나 silver nitrate을 사용할 경우 일시적인 백혈구 감소증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1)

본원에서는 silver sulfadiazine이나 silver nitrate

를 사용하지 않고 mafenide acetate를 주로 사용하고 있어 silver sulfadiazine이나 silver nitrate에 의한 백혈구 감소증 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하였다.

Cochran 등은 알부민을 공급받은 환자가 그렇지 못한 환 자보다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12)

화상의 급성 기 치료에 있어 colloids의 사용은 수액의 필요량을 줄여준 다고 인정되고 있으나 아직 사망률에 대한 영향은 여러 의 견이 많은 상태이다.

13)

많은 화상센터에서 알부민을 resuscitaltion formula의 일 부로 사용 중이며 본원에서도 수상 후 16시간 이후로 사용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고 최소 2.5 g/dl 이상을 유지하 도록 하고 있다.

수상 직후 혹은 알부민을 공급받기 전의 환자의 혈청 알 부민 수치는 화상의 정도 및 환자의 연령, 영양상태 등 많은 인자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알부민의 초기 수치가 환자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본 연구 에서는 심한 저알부민혈증(<2.0 g/dl)을 보인 56예 중 51 예가 사망하였으며 생존자와 비생존자 간의 통계적 유의성

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초기 심한 저알부민혈증을 보이는 중화상 환자의 경우 극히 불량한 예후를 예견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결 론

본원 화상센터에서의 중화상 환자에 대한 예후 예측 인 자로서 연령, 원인, TBSA, ABSI, 전층 화상, 흡입 손상 등이 유의성이 있었으며 수상 후 일주일 이내에 백혈구 감소증 (<3,000/mm

3

) 소견이 나타나는 환자나 수상 직후 혹은 알 부민을 공급받기 전의 환자에서 심한 저알부민혈증이 나타 나는 경우 극히 불량한 예후 소견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예후인자들이 중화상 환 자의 치료 예후를 추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Kobayashi K, Ikeda H, Higuchi R, et al: Epidemiological and outcome characteristics of major burns in Tokyo. Burns Jan 31(Suppl 1): S3-S11, 2005

2) Saitoh D, Ben D, Huan J, Hatanaka K, Okada Y, Xia Z:

Differences in the outcomes and treatments of extensively burned patients between a Chinese hospital and a Japanese hospital. Tohoku J Exp Med 206: 283-290, 2005

3) Brusselaers N, Hoste EA, Monstrey S, et al: Outcome and changes over time in survival following severe burns from 1985 to 2004. Intensive Care Med 31: 1648-1653, 2005 4) Belikov IuN, Iashvili BP, Tsutskiridze NI, Targamadze KT,

Karselishvili IG: Results of treatment of severe burns in the specialized intensive care unit. Georgian Med News 134:

16-19, 2006

5) Tanaka Y, Shimizu M, Hirabayashi: Acute physiology, age,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APACHE) III score is an alternative efficient predictor of mortality in burn patients.

H.Burn 33: 316-320, 2007

6) Lionelli GT, Pickus EJ, Beckum OK, DeCoursey RL, Korentager RA: A three decad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burn mortality in the elderly. Kansas University Medical Center, Burnett Burn Center, Kansas City, KS, USA Accepted 10 June, 2005

7) Sharma PN, Bang RL, Ghoneim IE, Bang S, Sharma P, Ebrahim MK: Predicting factors influencing the fatal outcome of burns in Kuwait. Burns 31: 188-192, 2005

8) Rao K, Ali SN, Moiemen NS: Aetiology and outcome of burns in the elderly. Burns 32: 802-805, 2006

9) Shoup M, Weisenberger JM, Wang JL, Pyle JM, Gamelli RL, Shankar R: Mechanisms of neutropenia involving myeloid maturation arrest in burn sepsis. Ann Surg 228: 112-122, 1998 10) Fuller FW, Engler PE: Leukopenia in non-septic burn patients

(5)

receiving topical 1% silver sulfadiazine cream therapy: a survey. J Burn Care Rehabil 9: 606-609, 1988

11) Choban PS, Marshall WJ: Leukopenia secondary to silver sulfadiazine: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conse- quences. Am Surg 53: 515-517, 1987

12) Cochran A, Morris SE, Edelman LS, Saffle JR: Burn patient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following resuscitation with albumin. Burns 33: 25-30, 2007

13) Goodwin CW, Long JW 3rd, Mason AD Jr, Pruitt BA Jr:

Paradoxical effect of hyperoncotic albumin in acutely burned children. J Trauma 21: 63-65, 1981

수치

Table 1.  Criteria  of  Severe  Burn  Injury 25%  TBSA  burn  in  adults  &lt;  40  years  old 20%  TBSA  burn  in  adults  &gt;  40  years  old 20%  TBSA  burn  in  children  &lt;  10  years  old 10%  TBSA  full-thickness  burn  (any  age)
Table 6.  Co-existing  Medical  Problems Hypertension

참조

관련 문서

difference depending upon health state of the family (p=.000). In conclusion, the family's depress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den as well as physical and

Sixth,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ower extremity muscle thickness, static stability, and dynamic stability of excellent athletes in colle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requency and related factors of advanced airway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by the

Conclusions : No significant corelation of the patency rate was shown in the study on the effects of local irrigation and systemic application of heparin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such as stress percept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re related to the quality of sleep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mathematical noticing and confirm the factors that cause the differences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uscle atrophy and the tendon tear.(p&lt;0.05)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career, occu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