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절주 교육의 중요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절주 교육의 중요성"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절주 교육의 중요성

20

03년 12월에 발표된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02 년 한 해에 19세 이상 국민 1인당 2홉들이 소주 70여병(24.6L)과 맥주 160여캔(54.9L)을 마셨다고 한다 (1). 또한 우리나라 성인에서 알코올 사용장애의 평생 유 병률이 21.98%(2)라고 하니 10명 중 최소한 2명은 음주 로 인한 정신 질환을 경험하고 있는 셈이고, 음주로 인한 신체적 질병이나 음주사고로 인해 치료를 받는 환자까지 감안한다면, 이보다 훨씬 더 많은 과음 환자가 늘 내 진료 실 책상 앞을 스치고 지나간다는 이야기이다. 음주 문제 는 정신과적 분야나 내과적 분야 뿐 아니라 거의 모든 의 학 분야와 관련이 있다. 음주 문제가 이토록 심각하게 우 리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의료인들이 환자들에 대한 절주 교육을 등 한시 한다면 중대한 직무유기일 수도 있다. 그러나 마약 이나 흡연문제와는 달리 적절한 음주가 개인의 건강증진 에 도움이 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음주에 대한 반응이 워 낙 개인 차이가 크기 때문에 임상에서 적절한 음주의 가 이드라인을 환자 개인별로 제시하고 절주 교육을 한다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의사는 환자의 절주를 교육함에 있어서 다른 어떤 사람

Patient Education for Moderate Drinking

충남의대 충남대병원 가정의학과 대전광역시 중구 대사동 640 Jong Sung Kim, M.D.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Hospital E-mail : jskim@cnuh.co.kr

A

brief advice by a physician to problem drinkers are known to be very effective in reducing alcohol consumption, health care utilization, motor vehicle events, and its related costs. This article is to provide the definition of moderate drinking and screening methods for alcohol problems in the context of primary care. Various individualized strategies of education can be applied to the patients based on their drink- ing habits on each visit. Regular programs of group education for problem drinkers and their families are also considered to be useful methods in both ambulatory and hospital settings.

From preventive perspectives, public health educations should be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a culture of mo- derate drinking in the community.

Keywords : Alcohol; Patient education;

Keywords : Problem drinking; Moderate drinking;

Keywords : Heavy drinking

핵 심 용 어 : 알코올; 환자교육; 문제음주; 적절 음주; 과음

Abstract

(2)

보다 효과적인 위치에 있다. 미국에서 대단위로 실시된 연구를 보면, 문제 음주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건강 문제를 책임지고 있는 의사가 외래에서 10~15분 정도로 짧은 절주 교육을 2회 실시한 후 1년 뒤의 조사에서 환자 의 폭음 횟수가 1개월에 5.7회에서 4.2회로 감소하고 1주 일간의 총 음주량이 19.1잔에서 11.5잔으로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과음자의 분포가 47.5%에서 17.8%로 유의 하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3). 또한 이러한 효 과가 총 입원일, 응급실 방문횟수, 교통사고 횟수, 관련 경제적 비용의 유의한 감소로 이어지고 이와 같은 긍정적 인 결과들이 최소한 4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밝혀져(4) 주치의에 의한 의사의 간단한 절주 교육이 매우 강조되고 있다.

절주 교육 대상자의 구별

음주 문제를 가지고 있는 과음 환자들에게 우선적으로 절주 교육이 필요하지만 평소의 과음 여부와 상관없이 모 든 환자가 다 절주 교육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음주 문제 가 있는 환자는 절주 교육을 통해 건강한 음주 습관으로 회복해야 하며 현재 문제가 없는 건강음주의 범위에 있는 환자는 절주 교육을 통해 문제음주로 진행하지 않도록 해 야 하기 때문이다. 진료실에 내원하는 환자의 음주 상태 가 건강한 음주의 범주에 있는지, 아니면 문제성이 있는 음주 상태의 범주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절주 교육의 목표 를 서로 다르게 개별화해야 한다.

음주 상태의 판단에 대한 기준이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현재 무리 없이 적용할 수 있는 의학적인 판단기 준은 양적인 기준과 기능적 기준이다. 알코올의 비중은 0.7893으로 80 proof 양주 1.5 온스(43 mL), 맥주 12 온 스(340 mL), 포도주 5 온스(142 mL)에는 각각 12 g 정

도의 알코올을 함유하며 이에 해당하는 음주량을 의학적 인 한잔 으로 정의하고 있다(5). 이는 포도주, 양주, 소 주 등 각 술 종류에 맞는 술잔으로 대략 1잔에 해당되며 맥주는 작은 병맥주 1병 또는 캔 맥주 1캔에 해당된다.

이를 기준으로 1주일 평균 음주량이 건강한 성인 남성의 경우 14잔 이내, 건강한 성인 여성과 노인 남성의 경우 7잔 이내, 노인 여성의 경우 3잔 이내가 의학적인 적절 한 음주(moderate drinking) 의 양적인 기준이며 그 이 상의 음주는 의학적인 과음(heavy drinking) 으로 정의 되고, 또한 폭음(binge drinking) 은 1회에 5잔 이상의 음주(노인에서는 4잔 이상의 음주)로 정의하고 있다(5, 6). 적절한 음주의 기능적인 기준은 음주로 인한 신체적 건강문제나 정신 사회적으로 남용과 의존의 증상이 없어 야 한다. 즉 알코올성 지방간이나 알코올성 간염 등 음주 와 관련한 신체적 문제가 있다면 건강한 음주가 아니다.

또한 음주로 인해 자신의 평소 역할에 지장, 신체적으로 위험한 상황의 초래(음주운전, 기계조작), 법적인 문제의 발생(교통사고, 구금), 대인관계에 문제가 발생(언쟁, 싸 움)하는 등의 알코올 남용 증상이 있거나 알코올에 대한 내성의 발생, 금단 증상, 의도했던 것보다 많은 양의 음 주, 음주에 대한 조절력의 상실, 음주와 관련하여 많은 시 간을 허비, 음주로 인한 질병이 있음에도 음주하는 행동 등의 알코올 의존 증상이 있다면 음주의 양과는 상관없이 기능적으로 적절한 음주 상태가 아니다.

시간을 할애하여 진찰과 면담을 통해 환자의 음주상태 를 평가할 수 있지만 바쁜 진료실의 여건에서는 시간 절 약이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현재의 건강보험에서는 지 역의료인에 의한 음주 상담을 급여체계에 포함시키고 있 지 않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음주 상담을 실시하기가 어 려운 여건이라고 볼 수도 있다. 시간 절약을 위해 세계보 건기구에서 일반 의료인들이 각자의 진료실에서 쉽게 이

(3)

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는(7, 8) 자기 기입식 10 문 항(표 1)의 음주 점수를 적극 활용하여 환자의 건강음주 여부를 판단해 보는 것을 권하고 싶다. 필자 역시 진료를 받으러 오는 모든 초진 환자에게 진료를 대기하고 있는 동안 이들 음주 문항이 포함된 문진표를 작성하게 하여 진료시간을 절약하고 있다. 음주 점수의 합이 11점 이하 이면 문제가 없는 적절음주 상태로 판단하고, 12점 이 상이면 음주로 인한 건강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은 문제음주 상태를 의심하고, 26점 이상이면 음주 문제 가 심각한 알코올 의존증 상태를 의심할 수 있다(9).

더욱 시간을 절약해야만 하는 여건이라면 평소 1회의 음 주량과 주당 음주횟수만이라도 물어서 주당 총 음주량이 14잔 이상의 과음에 해당되는 사람에게만 음주 점수표 를 작성해 보도록 하는 것도 현명한 방법이다.

상황별 절주 교육

1. 진료실에서의 개인교육 1) 음주 문제가 없는 환자의 교육

건강증진과 질병의 예방적 차원에서 음주 문제가 없는 표 1. 알코올 사용장애 선별검사

문 문 항항

점 수

0 1 2 3 4

① 술을 마시는 횟수는 어느 정도입니까? 전혀

안 마신다

한 달에 1회 이하

한 달에 2~4회

일주일에 2~3회

일주일에 4회 이상

② 술을 마시는 날은 보통 몇 잔을 마십니까?* 1~2잔 3~4잔 5~6잔 7~9잔 10잔 이상

③ 한번의 술좌석에서 6잔 이상을 마시는 횟수는

어느 정도입니까? 전혀 없다 한 달에

1회 이하

한 달에 1회 정도

일주일에

1회 정도 거의 매일

④ 지난 1년간 일단 술을 마시기 시작하여 자제가

안된 적이 있습니까? 전혀 없다 한 달에

1회 이하

한 달에 1회 정도

일주일에

1회 정도 거의 매일

⑤ 지난 1년간 음주 때문에 일상생활에 지장을

⑤받은 적이 있습니까? 전혀 없다 한 달에

1회 이하

한 달에 1회 정도

일주일에

1회 정도 거의 매일

⑥ 지난 1년간 과음 후 다음날 아침 정신을 차리기

위해 해장술을 마신 적이 있습니까? 전혀 없다 한 달에

1회 이하

한 달에 1회 정도

일주일에

1회 정도 거의 매일

⑦ 지난 1년간 음주 후 술을 마신 것에 대해 후회한

적이 있습니까? 전혀 없다 한 달에

1회 이하

한 달에 1회 정도

일주일에

1회 정도 거의 매일

⑧ 지난 1년간 술이 깬 후에 취중의 일을 기억할 수

없었던 적이 있습니까? 전혀 없다 한 달에

1회 이하

한 달에 1회 정도

일주일에

1회 정도 거의 매일

⑨ 당신의 음주로 인해 본인이 다치거나 또는

⑤가족이나 타인이 다친 적이 있습니까? 전혀 없다 과거에는 있었지만 지난 1년

동안에는 없었다(2점)

지난 1년 동안에 그런 적이 있었다(4점)

⑩ 가족이나 의사가 당신의 음주에 대해 걱정을 하거나 또는 술을 끊거나 줄이라는 권고를

⑤한 적이 있습니까?

전혀 없다 과거에는 있었지만 지난 1년 동안에는 없었다(2점)

지난 1년 동안에 그런 적이 있었다(4점)

* 각 술종류에 맞는 술잔으로 계산하되 맥주는 작은 병맥주 1병 또는 캔맥주 1캔을 한잔으로 계산한다.

(4)

경우의 음주 지도는 음주 문제가 있는 환자와의 상담보 다 더욱 중요하며 모든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음주력에 관한 조사항목이 포함되어야 한다. 양적으로나 기능적으 로 문제가 없는 환자의 음주를 불필요하게 제한할 필요 는 없다. 의학적 관점에서 연령과 성별에 맞게 정의된 양 적인 기준의 과음 과 폭음 을 하지 않도록 강조한다.

하지만 추가로 교육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 중의 하나가 개인적 체질이다. 즉 음주 직후 얼굴이 붉어지는 경우는 아세트알데하이드에 의한 독성을 암시하므로 적은 양의 음주도 경고하여야 한다. 또한 간 기능이 저하되어 있거 나 알코올과 약물학적으로 상호 영향을 주는 약물을 처 방하는 경우에도 음주를 하지 않도록 교육하여야 한다.

알코올 분해효소(alcohol dehydrogenase)의 활동을 억 제하는 약물(시메티딘, 라니티딘, 니자티딘, 아스피린 등)은 혈중 알코올 농도를 증가시킨다. 알코올과 마찬가 지로 사이토크롬 P-450을 이용하는 약물(아세트아미 노펜, barbiturates, 벤조다이아제핀, phenothiazines, opiates, warfarin, 유기용제 등)은 알코올과 경쟁적 관 계를 갖기 때문에 급성적으로는 혈중 알코올 농도가 증 가되거나 약물의 혈중농도가 증가되어 위험할 수 있다.

또한 만성적인 습관적 음주로 인해 사이토크롬 P-450 이 유도된 상태에서는 이러한 약물들의 대사가 증가되어 혈중 약물농도가 감소될 뿐 아니라 증가된 약물 대사의 부산물로 많은 독성 물질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대표적 인 예가 아세트아미노펜으로 사이토크롬 P-450이 유도 된 상태에서는 부산물인 N-acetyl-p-benzoquinone imine(NABQI)의 발생이 증가하여 치료적 용량에서도 심각한 간 독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다이설피람과 유 사한 반응을 나타낼 수 있는 약물(일부 MAO 억제제, 클로람페니콜, furazolidone, griseofulvin, 메트로니다 졸, quinacrine, 일부 세파계열의 항생제 등)을 처방하

는 경우에도 음주를 경고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적절 한 음주가 심혈관 질환의 예방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건 강증진 영역에서 1~2잔의 음주를 권하기도 한다. 하지 만 이미 심근경색이 있는 환자에서는 음주가 관상동맥질 환으로 인한 사망을 높이는 위험요인으로 지적되기도 하 므로(10) 주의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알코올이 단기적으 로 심장박동과 혈압을 증가시켜 심근의 산소요구량을 증 가시킬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2) 초기 문제 음주 환자의 교육

지역의료의 영역에서는 심각한 알코올 의존 환자보다 는 과음으로 인해 약간의 건강 문제를 가진 환자를 더 흔 하게 볼 수 있다. 알코올성 지방간이나 과음으로 인해 간 효소 수치가 약간 증가한 경우처럼 비교적 가벼운 신체 적 건강 문제를 갖고 있거나 정신의학적으로 비교적 가 벼운 알코올 남용 증상을 보이는 음주 환자들에 대한 짧 은 초기 상담에는 4가지 요소를 순서적으로 진행하는 것 이 좋다(표 2).

(1) 주변의 걱정 및 환자의 관심사항 언급

환자가 가지고 있는 자신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염려, 의사나 주변 사람들의 환자에 대한 관심과 염려를 언급 하여 우선 치료적 관계를 잘 만들어야 한다. 주변 사람들 의 자신에 대한 염려나 사랑을 환자가 깨닫는 것은 다양 한 효과를 낳는다. 자신이 가족 내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 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또한 음주 문제로 인해 가 족간의 갈등을 느끼거나 의료진을 적대시 할 수도 있는 환자에게 모든 사람이 환자편이라는 느낌을 심어줄 수 있다. 환자의 자신에 대한 염려와 관심을 의사가 언급해 줌으로써 환자와 공감적 관계를 맺고 원활한 치료를 위 한 의사-환자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5)

(2) 증거의 제시

음주와 관련된 생물의학적인 검사소견을 포함하여 객 관적인 의학적 문제점들을 제시하여 음주 문제가 존재한 다는 것에 대해 환자와 의견일치를 이끌어내는 것이 목 적이다. 환자에게 내재하고, 있을 수 있는 부정심리를 제 거하고 향후 추적시의 피드백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3) 교육 및 격려

음주 문제는 노력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더욱 진행될 것이라는 점에 대한 간단한 교육적 메시지를 준다. 또한 회복을 위한 환자의 지적 행동적 능력을 인정해주는 격 려 메시지를 줌으로써 환자의 자존심을 키워주고 변화하 고자 하는 동기를 심어준다.

(4) 계 획

여러가지 가능한 노력방법들을 제시해주고 환자가 자 발적으로 선택하도록 한다. 환자가 술을 줄여 보겠다고 하면 일정기간 동안의 음주 횟수와 음주량을 구체적인 목표치로 환자가 스스로 정하도록 한다.

금단증상이 없는 단순문제음주 환자의 초기 추적간격 은 1~2주 정도가 적당하며 상태의 호전에 따라 점차 추 적간격을 늘려주는 것이 좋다. 가능한 짧은 기간의 추적 을 통해 단기적 목표를 설정하고 진행하는 것이 환자에게 심적인 부담을 적게 준다. 추적상담에서는 환자가 스스로 정했던 단기적 목표의 도달 여부를 점검한다. 목표를 위 해 시도했던 환자의 구체적인 노력과 행동을 점검하고 생 물학적인 추적검사 자료들을 환자와 함께 검토한다. 또한 표 2. 문제음주 환자와의 초기 면담

① Worried : 주변의 걱정과 관심의 표현

예 : "그런 상황이라 술을 드실 수 밖에 없었군요"

예 : "몸이 많이 안 좋으셨나보군요"

예 : "가족 분들께서 걱정을 많이 하시는군요"

예 : "간 상태에 대해서 많이 염려되셨던 모양이군요"

② Evidence : 객관적인 의학적 증거 제시

예 : "과음 때문에 간 기능 수치가 많이 나빠졌습니다"

예 : "알코올성 지방간입니다"

예 : "알코올성 고지혈증입니다"

예 : "과음으로 인한 말초신경장애입니다"

예 : "금단증상이 보입니다

③ Education & empowerment :

③음주 문제의 진행성에 대한 교육과 자존심 고양

예 : "음주가 계속되는 한 문제는 점점 나빠질 것입니다"

예 : "조금만 노력하면 좋아질 가능성이 많습니다"

예 : "의지가 강하신 분이라 충분히 하실 수 있습니다"

④ Plan : 다양한 메뉴의 제시와 환자 스스로의 선택

예 : "음주 횟수를 줄여 보시겠습니까?"

예 : "음주량을 조절해 보시겠습니까?"

예 : "다음 예약일까지 단주를 해보시겠습니까?"

예 : "저와 함께 외래에서 약물치료를 해보시겠습니까?"

예 : "음주교육 프로그램에 연결해 드릴까요?"

예 : "입원치료를 원하십니까?"

(6)

목표의 적절성 여부를 환자와 함께 재평가한다. 즉 음주 에 대한 조절력이 있는 단순문제음주 환자인지, 음주에 대한 조절력을 상실한 알코올의존 환자에 해당되는지를 파악하여 추적상담기간중 목표의 변경을 고려해본다. 음 주에 대한 조절력을 잃지 않은 단순문제음주 환자라면 행 동변화의 목표로서 적절한 음주 또는 조절음주를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조절력을 상실한 알코올의존 환자라면 목표 를 단주로 수정하여 재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음주 문제가 심각한 환자의 교육

음주에 대해 조절력을 완전히 상실한 경우, 술을 마시 지 않으면 한동안 금단증상을 보이는 경우, 억제하기 힘 든 음주 충동이 있는 경우, 간 경변증과 같이 심각한 신체 적 질병이 있음에도 계속 음주하는 경우 등은 대부분 알 코올 의존증이다. 이러한 환자들은 지역 의료인들을 당황 스럽게 만들기도 할 뿐 아니라 커다란 인내심을 요구하기 도 한다. 정신과에 치료를 의뢰하고자 해도 회피할 뿐 아 니라 알코올중독이라는 진단명의‘꼬리표’를 싫어하며 진단명에 대해 의료진과 다투기도 한다. 치료나 회복과정 에 있어서 자신의 문제에 대한 환자의 깨달음은 무엇보다 도 중요한 요소이나 현실적으로 많은 알코올의존 환자들

이 병식이 부족하고 특히 부정(denial)의 심리가 강하다.

우선적으로 환자가 자신의 음주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 하고 있는지 그 신념체계(병식)의 상태를 파악하면서 상 담이나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알코올리즘 환자의 신념체계는 크게 5개 영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연속적인 외래 방문을 이용해 한번에 1개 영역씩 차례로 점검해주 고 보완해주는 방법이 좋다.

(1) 문제-지향 신념체계

(1) (POI : problem-oriented insight)

음주문제가 진행중인 환자는 자신의 음주 문제에 대해 부정하는 신념체계를 가지고 있어 치료의 일차적인 걸림 돌이 되는 경우가 많다. 반면 회복중인 환자는 자신의 음 주 문제를 받아들이고 깨닫는 신념체계를 가진다(표 3).

문제-지향 신념체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환자가 자신 의 음주 문제에 직면할 수 있도록 상담을 이끌어야 한다.

음주 문제는 생물학적 측면의 각종 질병들, 금단증상이나 알코올로 인한 정신 질환, 가족문제, 대인관계나 사회적 활 동상의 문제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환자가 자신의 음 주 문제를 수용하도록 강요하는 일방적인 형태의 상담은 환자의 부정을 더욱 자극하여 위험할 수 있다. 자신의 음주 표 3. 문제지향-신념체계

음주 문제가 진행중인 환자의 신념체계 회복중인 환자의 신념체계

- 나의 음주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 나는 술을 좋아하는 애주가일 뿐이다.

- 나의 음주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취급하면 기분 나쁘다.

- 나의 음주에는 많은 문제가 있었다.

- 안타깝게도 술 때문에 나의 많은 것을 잃어버렸다.

표 4. 조절/의존-지향 신념체계

음주 문제가 진행중인 환자의 신념체계 회복중인 환자의 신념체계

- 나는 마음만 먹으면 술을 조절해서 마실 수 있다.

- 나를 알코올 중독이라고 하는 것은 억울하다.

- 일단 술을 입에 대면 절제하지 못한다.

- 안타깝게도 나는 알코올 중독자이다.

(7)

문제를 스스로 성찰할 수 있도록 음주와 관련된 검사기록 을 제시해주고 다양한 정신 사회적 문제를 함께 점검해 나 가는 과정을 통해 음주 문제가 있다는 것에 대해 환자의 동 의를 구하고 타협(negotiation)을 이끌어내야 한다.

(2) 조절/의존-지향 신념체계

(2)(C/DOI : control/ dependence-oriented insight) 알코올에 의존된 환자의 음주 양상은 정상인과 다르다.

조절력을 상실한 환자들은 일단 음주를 시작하면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음주행위가 중지되지 않고 지속되어 버린다. 음주문제가 진행중인 환자는 자신의 음주에 대한 조절력 상실을 부정하지만 회복중인 환자는 자신의 조절 력 상실을 깨닫는다(표 4). 조절력 상실은 생물학적으로 음주행위를 조절하는 뇌 회로에 이상이 생겼기 때문이다.

음주충동과 관련된 두가지 뇌 회로 중 첫번째는 긍정적 강화작용을 통해 나타난다. 술을 마시면 뇌 회로의 오피 오이드 물질 분비로 인해 여러가지 기분 좋은 느낌을 얻 게 되며 여기에 적응된 상태가 의존된 상태이다. 일단 술 을 입에 대면 더욱 많은 오피오이드의 분비를 위해 계속 적으로 음주가 이어지게 된다. 두번째 뇌 회로는 부정적 강화작용을 통해 나타난다. 알코올에 의존된 환자가 술을

마시지 않으면 뇌 회로의 GABA(gamma-aminobu- tyric acid) 물질 분비가 저하되어 각종 불안 증상과 음주 충동이 나타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또다시 음주를 하게 된다. 알코올에 대한 조절력 상실이 환자 개인의 도덕적 문제가 아닌 음주충동과 관련된 생물학적 문제임을 이해 시키고 약물치료(날트렉손, 아캄프로세이트 등)를 통한 도움이 가능함을 교육한다.

(3) 단주-지향 신념체계

(3)(AOI : abstinence-oriented insight)

음주 문제가 진행중인 환자들은 회복과 관련한 행위의 구체적인 목표가 없는 경우가 많고 목표가 있더라도 단주 보다는 조절음주를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다(표 5). 단주 또는 조절음주의 선택은 환자의 행위 목표에 대한 구체적 인 신념체계이다. 일차적으로 조절음주를 목표로 설정하 여 노력해 볼 수도 있지만 계속 조절음주의 목표가 실패하 는 경우에는 상담을 통해 목표를 단주로 수정해야 한다.

(4) 주위-지향 신념체계

(4) (SOI : surroundings-oriented insight) 음주 문제가 진행중인 환자들은 자신의 음주 문제로 표 5. 단주-지향 신념체계

음주 문제가 진행중인 환자의 신념체계 회복중인 환자의 신념체계

- 술을 완전히 끊는 것보다는 줄여서 마셔야겠다.

- 술 없이 사회생활을 유지할 수는 없다.

- 술을 끊어야만 나의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

- 술을 끊지 않으면 죽을 것 같다는 두려움이 든다.

표 6. 주위-지향 신념체계

음주 문제가 진행중인 환자의 신념체계 회복중인 환자의 신념체계

- 나의 음주로 인해 주위 사람들에게 해를 주지는 않았다.

- 나를 술 마시게 한 주위환경이나 사람들이 원망스럽다.

- 술 때문에 주위 사람들이 많은 고통을 받았다.

- 술 때문에 주위 사람들에게 고통을 준 것이 가슴 아프다.

(8)

인한 가족과 주위사람들의 고통을 자각하지 못한다. 또한 현재 자신이 처한 상황의 원인을 주위 사람들의 탓으로 돌리는 원망과 투사(projec- tion)를 흔히 보인다(표 6).

환자의 음주문제가 가정 내에 만 성적으로 스트레스적인 환경을 조 성하여 배우자, 자녀, 기타의 가족 구성원들에게 불안이나 우울증을 초래하는 등 다양한 정신적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환자는 이를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외래진료에 같 이 내원한 가족의 이야기를 직접 들 어보게 하는 것도 필요하다. 회복중 인 환자는 자신과 가족, 그리고 주 위 사람들로 형성된 공동체 관계 속 에서 차지하는 자신의 진정한 의미 를 탐색한다. 특히 관계를 중요시하 는 한국의 집단문화에서는 효 의 개념 등을 강조할 때 더욱 큰 효과 를 얻을 수 있다. 공동체 관계 속에 숨어있는 사랑이라는 보석을 끄집 어냄으로써 공동체 속의 자신의 의 미를 깨달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표 7. 입원/치료-지향 신념체계

음주 문제가 진행중인 환자의 신념체계 회복중인 환자의 신념체계

- 술 문제 때문에 치료받을 상태는 아니다.

- 술 문제 때문에 치료받게 되어 억울하다.

- 술 문제 때문에 치료받을 필요가 있었다.

- 술 문제에 대해 치료받게 되어 다행스러운 느낌이 든다.

표 8. 알코올 병식 척도

문 항 그렇다 약간그렇다 아니다

1. 나의 음주에는 많은 문제가 있었다.

2. 나는 마음만 먹으면 술을 조절해서 마실 수 있다.

3. 술을 끊어야만 나의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

4. 내가 마신 술이 가족이나 사회생활에 해를 주지는 않았다.

5. 술 문제 때문에 입원할(치료받을) 필요가 있었다.

6. 나의 음주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취급하는 것은 6. 기분 나쁘다.

7. 안타깝게도 나는 알코올 중독자이다.

8. 나는 술 없이 살수는 없다.

9. 술 때문에 주위 사람들에게 고통을 준 것이 가슴 6. 아프다.

10. 술 때문에 입원할(치료받을) 정도는 아니었는데 입원하게(치료받게) 되어 억울하다.

11. 나의 음주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12. 일단 술을 입에 대면 절제하지 못한다.

13. 술을 완전히 끊는 것보다는, 줄여서 마셔야 13. 겠다는 마음이 절실하다.

14. 나의 술 때문에 주위 사람들이 많은 고통을 받았다.

15. 술 문제 때문에 입원할(치료받을) 필요는 없었다.

16. 안타깝게도 술 때문에 나의 많은 것을 잃어버렸다.

17. 나를 알코올 중독이라고 하는 것은 억울하다.

18. 술을 끊지 않으면 죽을 것 같다는 두려움이 든다.

19. 나를 술 마시게 한 주위 환경이나 사람들이 13. 원망스럽다.

20. 이번에 병원에 입원하게(치료받게) 되어 13. 다행스런 느낌이 든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채점 방법

※1. 긍정병식 문항(1, 3, 5, 7, 9, 12, 14, 16, 18, 20번 문항) : 그렇다(2), 약간 그렇다(1), 아니다(0점)

※2. 부정병식 문항(2, 4, 6, 8, 10, 11, 13, 15, 17, 19번 문항) : 그렇다(-2), 약간 그렇다 (-2), 아니다(0점)

(9)

(5) 입원/치료-지향 신념체계

(5) (H/TOI : hospitalization/treatment-oriented insight)

회복을 위해 변화하고자 하는 환자의 동기(motiva- tion)에 해당된다. 음주 문제가 진행중인 환자는 치료의 필요성을 거부하고 변화하려고 하지 않는 반면, 회복중인 환자는 자신이 변화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자신을 도와 줄 수 있는 주변의 치료적 환경을 받아들인다(표 7). 현 재 정신과 의뢰를 거부하더라도 추후에 상황의 진전이 없 을 경우 정신과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음을 지역의사가 미리 언급해 놓으면 나중에 정신과 치료를 받게 될 때 훨 씬 수월하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환자 자신의 적극 적인 회복의지와 함께 AA(alcoholics anonymous) 모 임, 의료진, 가족, 주변의 동료들로 구성된 치료체계의 도 움을 받아들이고 합류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음주의 주된 원인이 음주를 권하는 주변 여건 때문이라면 환자 주변의 음주와 관련된 지지자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해야 한다. 즉 가장 가까운 동료를 치료체계에 합류시켜 협력자로서의 역할을 맡기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특 히 집단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한국의 문화 속에서는 가장 가까운 동료들로 구성된 회복적인 지지망 의 유무가 결 과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알코올의존 환자의 신념체계(병식) 상태를 임상에서 쉽

게 평가할 수 있는 분석표(HAIS : Hanil Alcohol In- sight Scale)를 이용하면 5개 영역 중 특별히 취약한 영역 의 신념체계를 가려내어 상담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연속적인 외래 상담을 종료한 후 다시 평가하여 신념체계의 변화 정도를 파악해 볼 수도 있다(표 8, 9).

환자가 얻은 총점이 3점 이하이면 전체적으로 문제인식이 전혀 없고 부정 심리가 강한 환자(poor insight)이며 4~15점이면 부분적으로 문제를 깨닫고는 있으나 완전하 지는 못한 환자(fair insight)이고 16점 이상이면 회복에 필요한 온전한 신념체계를 가진 환자(good insight)이다 (11). 환자의 신념체계가 온전한 경우의 회복률은 부정 상태인 경우에 비해 무려 10배 정도 더 높게 나타난다.

2. 그룹교육 1) 1회성 대중교육

지역사회에서 대중들을 상대로 시행되는 절주건강교육 은 건강한 음주문화를 강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특 히 이제 막 음주문화를 만들어나가기 시작하는 사회초년 생, 대학생, 청소년기에 대한 건강음주교육이 중요하다.

적절한 음주로 얻을 수 있는 이득과 과음으로 인한 피해 를 교육해야 한다. 적절 음주는 정신사회적 생활에 도움 이 될 뿐 아니라 신체적으로도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뇌 졸중, 폐경 후 골다공증을 예방해 주는 효과가 있다. 하지 만 만성적인 과음은 알코올성 심근병, 부정맥, 고혈압, 뇌 혈관질환, 고지혈증, 췌장염, 위염, 알코올성 간질환, 신 경계 질환, 태아알코올 증후군을 발생시키며 면역체계 및 성호르몬의 조절에 이상을 초래할 뿐 아니라 정신 질환을 유발하고 가족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음주시 중추신경억제약물로서 알코올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교육내용에 포함시켜야 한다. 대사되지 않은 알 코올은 혈중 알코올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대뇌 → 소뇌 표 9. 병식 점수의 분석

신념체계영역 해당문항 점 수

문제 조절/의존

단주 주위 치료 전체병식

1, 6, 11, 16번 문항 2, 7, 12, 17번 문항 3, 8, 13, 18번 문항 4, 9, 14, 19번 문항 5, 10, 15, 20번 문항 전체 문항

(10)

→ 변연계 → 연수에 차례로 영향을 주면서 다양한 중추 신경계 증상을 나타낸다(표 10). 법적인 의미에서‘만 취’의 정의는 혈중 알코올 농도 100 mg/dL 이상이며 혈 중 알코올 농도 500 mg/dL에서는 50%의 치사율을 보 인다(12). 만성 음주에 의해 내성이 생긴 경우는 더 높은 혈중 알코올 농도에서 같은 증상을 보인다. 급성 알코올 중독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소변이나 정맥혈의 알코 올농도를 측정하는 것보다 호흡중의 알코올 농도를 측정 하는 것이 비교적 정확하다. 호흡중의 알코올 농도가 동 맥혈의 알코올 농도와 2,100~2,300 : 1 정도의 비율을 비교적 잘 유지한다. 같은 양의 음주를 했더라도 개인의 상황에 따라 혈중 알코올 농도는 변화가 심하다(표 11).

알코올의 지질용해도(기름/물 분할상수)는 0.14로 수분 에 7배 더 친화력이 있어 혈액 내로 흡수된 알코올은 주 로 체 수분에 분포한다. 여성, 저체중, 고령인 경우는 체 수분의 양이 적어 같은 양의 음주에 더 높은 혈중 알코올 농도를 보인다. 공복의 음주, 빠른 음주속도 등은 모두 혈중 알코올 농도를 높이는 요인이다. 다양한 개인의 상 황을 고려하지 않고 참석자 모두가 동시에 같은 양을 마 시는 음주문화는 늘 음주로 인한 사고의 위험성을 내포 하고 있다.

2) 연속적 집단교육

병동이나 외래에서 음주 문제가 있는 환자들과 그 가족

들을 모아서 정기적으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연속적인 주제별 강의, 회복 환자의 경험, 영상자료의 이 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하고 일정한 프로그램을 마친 후에는 수료증을 줄 수도 있다. 필자가 주로 사용해온 연 속적 강의의 주제를 예시해 보았다(표 12). 적당한 요일 을 정해 10명 전후로 그룹을 모아서 40분 정도 강의를 진 행한 후 이어서 각 개인별로 필요한 외래진료를 간단히 실시하면 진료시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다. 알코올 의존 에서 회복된 환자의 경험을 직접적으로 교육에 활용하는 것은 의료진에 의한 교육과는 색다른 효과를 볼 수 있다.

한국 AA 본부를 통하면 알코올 환자 자조모임의 정립에 귀중한 도움을 얻을 수도 있다

3) 기타 교육

포스터, 인쇄물, 비디오 등을 이용하여 대기실과 진료 표 10.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른 증상

혈중알코올 농도 (mg/dL)

증 상

30 100 300 400

판단력과 기분의 변화 운동실조

기억상실

혼수, 깊은 마취상태

표 11. 혈중 알코올 농도를 증가시키는 요인

위 장관에서 흡수 증가

① 빠른 위 배출 시간(약물포함)

② 고농도의 알코올

③ 흡수부위의 충분한 혈액공급

④ 공복의 음주

⑤ 빠른 음주(한번에 음주)

⑥ 여성(위 점막 ADH의 낮은 활성도)

⑦ 위 점막 ADH의 활동을 억제하는 약물 (시메티딘, 라니티딘, 아스피린 등)

분포요인 : 체 수분의 감소

① 여성

② 저 체중

③ 고령

대사요인 : 대사의 지연

① 간 기능 저하

② 고령이나 저 연령

③ 공복(NAD+재생산 감소)

④ 비활성형 알코올 분해효소의 유전

⑤ ADH 활동을 억제하는 약물의 투여

⑤(시메티딘, 라니티딘, 아스피린 등)

(11)

실 자체를 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 기타 인터넷 상 담, 현수막 홍보, 절주 실천 서명운동 등을 통해서도 교육 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효과적인 절주 교육이 되려면

일반적으로 환자의 문제 행동은 숙고 전 단계 → 숙고 단계 → 준비단계 → 실행단계 → 유지단계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회복한다. 대부분의 음주 문제 환자들은 숙고 전 단계에 있으며 자신의 음주 문제를 부 정하거나 합리화하는 등의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다. 숙고 전 단계에 있는 많은 음주 문제 환자들을 숙 고 단계로 이행하도록 돕는 것이 의료진의 첫번째 중요한 역할이다. 자신의 음주 문제에 대해 생각조차 하지 않고 있는 숙고 전 단계의 환자가 자신의 음주 문제에 대해 진 지하게 숙고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초기의 치료적 직면 (therapeutic confrontation)을 부드럽게 잘 이끌어야 한다. 숙고 전 단계의 환자에게 처음부터 단도직입적으로 알코올남용이나 알코올 사용장애 등의 꼬리표를 달아주 는 경우 환자는 오히려 저항감을 갖고 방어적인 태도를 보이기 쉽다. 초기 면담에서의 대화는 간결하고 중립적이 며 비협박적인 것이 좋다. 또한 음주 문제에 대한 용어의 사용에 보다 신중해야 한다. 환자의 부정이 심한 상태라 면 약주 → 과음 → 문제음주 → 알코올남용 → 알코올의

그림 1. 메시지의 적절성 표 12. 연속적 강의 주제의 예

1. 서 론

- 음주 문제의 역학 - 음주 문제의 원인

- 사회적인 문제점과 요구되는 대책

2. 음주 문제의

2.진행과정

- 음주 문제는 진행성이다.

- 전 단계 - 초기 의존 단계 - 심각한 의존 단계 - 만성 의존 단계

3. 음주 문제의 3. 진단

- 음주 문제와 관련된 용어들 - 문제음주의 다양한 정의들 - 알코올남용과 알코올의존 - 음주 문제의 자가진단 4. 알코올의

4. 작용

- 알코올의 대사

-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른 뇌의 증상 5. 알코올

5. 금단증상

- 금단증상의 정의 - 금단증상의 종류 6. 알코올에 의한

6.만성적 합병증

- 신체적 합병증 - 정신적 합병증 - 가족적 합병증

7. 알코올의존의 7. 치료

- 초기 해독치료 - 재활치료 - 유지치료 - 가족치료 8. 문제음주

8. 환자의 가족

- 알코올 가정

- 알코올의존 환자의 자녀 9. 음주 문제의

9. 재발

- 재발 위험시기 - 재발 요인 - 음주충동

10. 회복을 위한 10. 모임들

- 환자들의 모임(AA) - 가족들의 모임(Alanon) - 자녀들의 모임(Alateen)

과도한 불안을 야기

Emotional Threshold

Motivation

적절한 전달

미전달

(12)

존 또는 알코올리즘 등으로 점차 진행되는 형태의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의사는 질병에 대한 설명, 약 복용, 생활 속에서 해야 할 것, 하지 말아야 할 것 등 수 많은 교육적 메시지를 환 자들에게 끊임없이 전달한다. 10명의 환자에게 똑같은 메시지를 주었을 때 환자들의 반응은 천차만별이다. 의사 의 메시지를 무시해 버리는 환자, 그저 그렇고 그렇게 받 아들이는 환자, 지시한 대로 잘 따르는 환자, 과도하게 불 안 증상을 보이며 끊임없이 질문해오는 환자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의사의 모든 메시지가 환자의 마음에 도달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환자는 각자 크기가 서로 다른 감정적 인 측면의 청각장애가 있기 때문이다. 최소한 환자가 가 지고 있는 감정적 청각장애 이상으로 의료진이 크게 이야 기해야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감정적 역 치보다 너무 크게 이야기하면 환자에게 불필요한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그림 1). 의사가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시 키고자 한다면 환자의 마음이 움직일 수 있도록 메시지를 정성껏 포장해서 주어야 한다. 의사 중심의 메시지가 아 닌 환자 중심의 메시지를 만들어야 한다. 성의가 없는 메 시지는 절대로 환자의 마음에 도달할 수 없다. 어떤 환자 에게는 장황한 설명보다 단순한 대화나 침묵으로 포장하 는 것이 오히려 강렬한 효과를 낼 수도 있다. 또한 어떤 환자에게는 정서적으로 긴장된 위기를 만들어야 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효과적인 환자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환자 개개인의 감정적 역치에 어울리는 포장지를 잘 찾아 내는 의사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참 고 문 헌

11. 통계청. 2003 한국인의 사회지표. 통계청, 2003 : 28 - 9 12. 이정균. 한국 정신장애의 역학적 연구 IX-알코올 중독의 유병

률. 서울의대정신의학 1987 ; 13 : 15 - 26

13. Fleming MF, Barry KL, Manwell LB, Johnson K, London R.

Brief physician advice for problem drinkers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community-based primary care practices.

JAMA 1997 ; 277 : 1039 - 45

14. Fleming MF, Mundt MP, French MT, Manwell LB, Stauffacher EA, Barry KL. Brief physician advice for problem drinkers : long-term efficacy and benefit-cost analysis. Alcohol Clin Exp Res 2002 ; 26 : 36 - 43

15.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Dietary guidelines for Ame- ricans. USDA, 2000 : 18

16. Cobbs EL, Duthie EH, Murphy JB. Geriatric review syllabus : A core curriculum in geriatric medicine. 5th ed. MA : Blackwell Publishing Co, 2002 : 243 - 9

17. Saunders JB, Aasland OG, Amundsen A, Grant M. Alcohol consumption and related problems among primary health care patients : WHO Collaborative Project on Early Detection of Persons with Harmful Alcohol Consumption I. Addiction 1993 ; 88 : 349 - 62

18. Saunders JB, Aasland OG, Babor TF, de la Fuente JR, Grant M. Development of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 WHO Collaborative Project on Early Detection of Persons with Harmful Alcohol Consumption II. Addiction 1993 ; 88 : 791 - 804

19. 김종성, 오미경, 박병강, 이민규, 김갑중, 오장균. 한국에서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를 통한 알코올 리즘의 선별 기준. 대한가정의학회지 1999 ; 20 : 1152 - 9 10. Wannamethee G, Whincup PH, Shaper AG, Walker M, Mac-

Farlane PW. Factors determining case fatality in myocardial infarction “Who dies in a heart attack?”. Br heart J 1995 ; 74 : 324 - 31

11. Kim JS, Kim GJ, Lee JM, Lee CS, Oh JK. HAIS (Hanil Alcohol Insight Scale) : Validation of an insight-evaluation instrument for practical use in alcoholism. J Stud Alcohol 1998 ; 59 : 52 - 5 12. Koch-Weser J, Sellers EM, Kalant H. Alcohol intoxication and

withdrawal. N Engl J Med 1976 ; 294 : 757 - 62

참조

관련 문서

간혹 하나의 난포에 두 개의 난자가 잘못 들어가는 경 우를 보는데 이런 난자들은 동시에 배란되어 각각 수정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란성쌍둥이의 원인이

문제 발생 후 개선 문제 발생 전 예방적 관리 규정상의 위해요소 위해분석 결과 선정된 위해요소 원인분석에 장시간 소요 즉각적 조치가능..

- 기동방역기구는 발생 지자체에서의 방역 상황 모니터링과 방역 조치와 관련된 기술 지원 역할을 담당하고, 방역 기동반은 살처분 지연 발생 등 긴급 상황 발생 시 투입..

최근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노령인구의 증가와 식습관 및 생활방식의 서 구화,공업화를 동반한 환경오염 등의 관상동맥질환을 비롯한 만성퇴행성질병 발생

☞ 환경부/한국산업기술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생산에서 폐기까지 발생 ☞ 환경부/한국산업기술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생산에서 폐기까지 발생 하는

정보수집과 수사 및 구금 등에서 많은 문제점이 제기에 대응해서 미국, 유럽 등의 법조항들은 정보수집과 수사 및 구금 의 절차과정을 매우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과학적 탐구 능력을 발휘하여 자율적으로 복사 평형과 구름 발생 실험 등의 탐구를 수행하고, 지구에서의 복사평형과 온실 효과를 설명하였다. 발표에 과학원리가

우리나라 인근의 중국이나 일본에서 규모가 큰 지진이 발생 하여 수많은 인명 피해는 물론 건물과 교량 붕괴, 산사태 등의 일차적인 피해 외에도 수도와 전기 고장, 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