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20세기 서양 무용예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20세기 서양 무용예술"

Copied!
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20세기 서양 무용예술.

(2) 인간성을 억압, 기교의 편중-발레에 대한 욕구 불만. 현대무용(Modern Dance) 인간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참된 무용정신을 회복하고 독자적인 무용예술을 확립하려는 운동이 일어남.

(3)

(4) 현대무용의 태동 19세기 초엽을 시작으로 20세기의 무용으로 발돋 음한 현대무용은 현세대를 반영하는 새롭고 근대 적인 무용이라는 뜻에서 모던(Moden)이라 불리게 되었으며, 컨템포리 댄스(Contemporary Dance) 란 용어로도 알려져 있다. 고전발레의 지나친 형식주의와 기교주의에 반해서 생겨난 일종의 ‘Anti-Ballet’성격의 무용이다..

(5) ① 토슈즈를 벗고 맨발로 춤을 추었다. ② 움직임을 통한 역동성의 이미지 창출에 중점을 두었다. ③ 자신의 움직임으로 리듬을 만들고자 하였다. ④ 동작을 그 기본구조로 하고 역동성의 변화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⑤ 땅에 대한 집념으로 이루어졌다..

(6) 1. 프랑소와 델사르트(Francois Delsarte,1811-1871) 인체를 정신적, 감정적, 육체적영역으로 분리 긴장과 이완을 인식! 학교교육의 일부분이 됨. 2. 에밀 쟈크- 달크로즈(Emile Jacques- Dalcroze,1865-1950) 신체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리듬을 인식하고 시간의 현상을 공간의 현상으로 이행시키는 역할을 함.

(7) Moden Dance 미 국. 독 일. 자연적인 일 동작을독기반. 주관적 표현적 과학적 미학적 혼합물.

(8) 미국의 현대무용 로이폴러(1862-1928) 스토리를 전달하거나 정서를 표현하는 것과는 무관하게 춤이 지니고 있는 새로운 경지를 보여줌 무용를 통해 극장의 표현력을 높임-조명과 의상의 효과. 이사도라 던컨(1862-1928) 단순함과 수단의 절제 , 고대 그리스의 예술을 이상적으로 생각 무용음악이 아닌 대곡에 맞춰 무용을 시도 -음악의 시각화에 몰두.

(9) 루스 세인트 데니스(1879-1968) 동양적인 움직임과 의상, 음악을 사용 데니쇼운 무용단, 학교 창립 테드쇼운(1981-1973)-남성 무용단을 조직 남성무용수들의 수 증가에 공헌. 마사그레이엄(1892-1991) 독자적이면서 고도로 발달된 그레이엄 테크닉 완성 -수축과 이완의 법칙(오늘날 전형적인 테크닉이 됨) 미국의 이상구현을 위한 무용을 제작한 애국적인 무용가 (세계 대공황 배경의 ‘거리의 행진’, 2차 세계대전 배경의 ‘애도).

(10) 독일의 현대무용 루돌프 폰 라반(1879-1958) 가장 과학적인 무용 이론가 라반노테이션- 무보 체계. 마리 뷔그만(1886-1973) 절대무용이라는 새로운 동작형태 주장- 오직 움직임 인간의 어두운 본성이나 비관적인 운명을 표현 특징-무음악의 시도, 공간의 인식, 군무의 사용, 가면의 사용, 유럽 현대 무용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무용가로 독일의 표현주의 무용을 미국에 알린 인물.

(11) 쿠르트 요스(1901-1979) 발레 테크닉과 표현무용의 자유로운 표현적 움직임의 혼합을 추구 사회성을 지닌 무용극을 만들기 위해 노력. 50년대 이후 호세리몽 (1908-1972) 에릭호킨스(1909-) 안나 소콜로우(1912-) 머스커닝햄(1919-) 얼윈 니콜라이(1912-1993) 폴 테일러(1930-) 앨빈 에일리(1931-1991). 우연적 요소를 무용에 도입 공연 도중에 즉흥적으로 결정되었고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했다.

(12) 현대무용의 작품감상 요령 작품의 주제 파악 공감대 인출. 재창조.

(13) 포스트 모던 댄스(1960-70년대) 1962년 7월 6일 뉴욕 워싱턴 스퀘어의 저드슨 교회 -저드슨 댄스 시어터의 공연 각자 흩어져 자신만의 독특한 무용 스타일로 자기 세계를 더욱 확고히 구축 스펙터클한 것의 부정, 기교에 대한 부정, 변혁과 신기와 거짓에 대한 부정 무용이 특별한 사람들에 위해 이루어지는 특별한 행위라는 것을 완전히 부정 형식이나 극장의 속성(의상이나 조명, 장치가 빚어내는 환상)을 거부.

(14) 포스트 모던 댄스(정신) 머스 커닝햄의 무용에 관한 사유 방식 → 무용이란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시간과 공간 속에서 움직이는 것 → 플롯, 인물, 메시지, 상징 등과 같은 무용동작의 의미소들은 모두 배제 → 발견된 동작과 제스처를 사용해서 작품으로 구성 → 여러 가지 일들이 동시에 발생 → 관객은 어느 부분을 볼 것인가? 아니면 전체 무용을 어떻게 보고 받아들일 것인가를 스스로 결정해야만 한다(열린작품) → 단순 반복과 우연성을 통해 무용 창작을 유도.

(15) 포스트 모던 댄스(특징) 무용의 본질에 대한 실험 → 현대무용의 정형화된 구성개념들과 틀을 이루는 모든 요소들 에 대한 해체와 거부 → 전통적은 무용 움직임을 거부하면서 현대무용의 표현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서 무용에서 표현적 요소를 이루는 정서적 표출, 줄거리 나열 개념을 폐기시키고 단순과 타파를 추구하였다.. 반무용적 접근 → 움직임의 성문화(codification)와 무의미한 동작의 나열을 거 부, 비무용, 반무용적 접근을 취함. → 부정의 이미지 : 대단한 구경거리의 부정, 기교의 부정, 마법 과 가식의 부정, 스타 이미지의 매력과 탁월함의 부정, 공연자와 관객의 몰입의 부정, 이미지와 스타일의 부정, 과장된 표현과 영 웅주의 그리고 그 반대의 부정, 관객을 현혹시키는 일의 부정, 기 발함의 부정, 감동을 주고받는 것의 부정”(이본느 라이너 1965).

(16) 포스트 모던 댄스(특징) 해프닝 → 그랜드 유니온 무용단의 결성과 함께 무용은 철학적 운동장 → 개인의 창의성에만 몰두, 공연 장소의 다양화 → 자발적인 즉흥을 강조 → 각기 여러 장소와 다른 시간에 작품의 부분들이 공연 → 가식과 포장을 거부(나체 공연), 관객과 공자간의 몰입을 부정, 감동을 주고받는 것에 대한 부정. 포스트모더니즘의 자연스러운 움직임 → 무용매체 자체의 자율성을 실현, 순수하고 비표현적인 예술 → 자연스러운 움직임은 심리적이고 사회적 현실의 표현.

(17) 포스트 모던 댄스(특징) 다시 춤추는 유동적 신체 → 1970년대로 들어오면서 움직임은 유동적이고 흐르는 듯한 동작 스타일을 지녔다. → 신체의 모든 부분이 무용의 새로운 재료로 들어오게 되었다. → 극장문화와의 화해를 통해 춤의 혼합적이고도 다매체적 존 재방식이 시도 → 패러디와 패스티쉬를 주로 사용(포스트모더니즘예술). 극장문화로의 복귀 → 1970년대 말 의미와 감정, 이야기에 대한 새로운 관심 → 후기구조주의의 영향(의미와 해석) → 극장문화와 타협하거나 흡수되는 결과.

(18) 포스트 모던 댄스(부토) 일본의 비극적 무용은 전쟁의 상처이다. 부토 즉 암흑의 춤 2차 세계대전 후에 출현한 일본의 전위 파 무용형태로 세계에서 가장 급진적인 공연예술 분야.

(19) 신표현주의 무용예술인 탄츠테아터 탄츠테아터(TANZ THEATER) → 형식보다 내용을 우위에 두며 무용, 대화, 노래, 전통적인 연 극, 소품, 의상 등을 결합한 공연형태 → 피나 바우쉬, 수잔네 린케가 실험연극과 미국의 현대무용을 혼합한 새로운 형식의 무용을 창안. 신표현주의 → 연극에서 일기 시작한 신체 언어의 중요성과 극적 표현수단 및 극장주의 정신을 도입, 언어, 무대장치, 음악, 연극, 영상 등을 콜라주 함으로써 총체예술의 공연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 정서적인 내용이나 인간관계를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해 자연 스러운 동작과 몸짓으로 정서적인 면을 창조(상황, 공포, 갈등).

(20) 신표현주의 무용예술인 탄츠테아터 탄츠테아터의 특징 → 동일한 춤 동작을 계속해서 반복 → 음악을 패러디 함 → 춤에 대한 자기 반영적 구조 → 텍스트에 구애받지 않고 무용수와 함께 무대장치가, 작곡가, 무용작가가 작품을 만드는데 동참(대화로 유도) → 신체를 통해 강렬하게 표현하는 연기 속에서 인간의 고통 등, 생활 속의 움직임이 하나의 작품으로 구체화 → 신체의 콤플렉스를 강조하는 춤 → 신체가 경험하는 일상의 사회적 삶에서 출발 → 신체 언어의 자율성 강조 무용수의 역할 확장.

(21) 피나 바우쉬의 탄츠테아터 피나바우쉬의 작품 성향 → 남녀 관계, 인간관계를 통해 인류애를 표출(대화의 강한 힘 과 호소력을 갖음) → 추상적 속성을 갖는 춤, 서사적, 사건적, 연극적 춤의 언어 → 주제를 중요시하는 경향, 음악, 언어, 움직임, 모티브의 형식 과 연관성, 무대의상, 소도구, 작품구조와 내용 등을 결합한 무용극의 형태의 공연 → 새로운 주제 선택과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성을 가지고 새 로운 것을 추구하는 관객을 열광시키고 모든 장르를 결합시 켜 이용하여 정서적 내용을 전달.

(22) 피나 바우쉬 탄츠테아터의 특성 언어의 사용 → 연극적인 언어 사용의 극대화. 음각의 사용(음악의 감각적인 정서를 표출) → 음악이 갖고 있는 느낌을 전달시켜 음악적 이미지를 형상화 한 움직임을 무의식적으로 노출시킴. 무대장치 → 연습기간 동안에 참여하여 무대 장치를 구체화. 무용 및 무용수와의 관계 → 무용수의 테크닉과 함께 무용수의 무용관의 중요성 강조. 작품 구성 → 대화법으로 출발하여 무용수의 즉흥과 안무자의 배열(변형).

(23) 수잔네 린케의 탄츠테아터 피나바우쉬는 아르또적 잔혹성을 가지며, 수잔네 린케는 브레히 트의 서사극적인 성격이 강하다(노이정) 현실에 대한 모순을 인식하고 춤으로 형상화하는데 주력, 현실비 판적 의식 표출(여성문제) 작품에 나타난 모순들을 발견하는 것은 관객의 몫(소통 중요시) 무용수의 움직임 개발에 있어서 내적 에너지와 정확성과 정밀도 를 강조함 독일의 전통적인 무용형식과 탄츠테아터 형식을 결합시킴.

(24) 포스트모던 댄스와 탄츠테아터 비교 단순하고 기본적인 행동. 연극적인 무대장치화 효과 사용. 무용 테크닉의 다양화. 일상생활에 토대를 두지만 무용 화 시킴(자연스럽게 소통 유도). 공연 공간의 확대, 부수적 요소의 적극적 활용. 양식 비교. 불가능한 세계를 무용으로 표현(표현의 극대화). 현실에 대한 적극적 이해. 음악적 감각과 언어적 요소 가미를 통해 표현의 극대화. 대중문화와의 화해. 전문 무용수와의 대화를 통 해 자연스럽게 감정을 표출.

(25)

참조

관련 문서

데이터로부터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 데이터가 사용되는 정황을 어떠한가, 에 대한 해답을 구하는 과정이다. 1.정보

그런데 이러한 문제가 최근에 제기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수학교육학 에서는 메타인지 개념을 적용하는 연구에만 몰두해 왔으며,메타인지 개념 자체를

무용 수업의 활성화 방안에서 무용 전담 교사의 필요성과 무용 수업을 실시 할 수 있는 전용무용실과 무용수업의 교과 내용의 다양화와 여러 장르의 무용 을

첫째,본인의 작품에 나타나는 이미지들은 자연에 존재하는 무한한 것들에 대한 결과일 뿐 아니라,자연생성의 활동적인 움직임을 느끼게 하고 나아가 생명에

이 연구의 목적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 표현에 서투른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발 표의 틀을 제공하여 다양한 표현의 기회를 경험하고, 발표 과정에서 교과의 핵심

‘화인지법’은 당 이전의 중국인의 서법인 것이다. 원교가 의도적으로 표현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해석은 우리 후인의 몫이다. 원교의 복고적 서론에 대한 조선중 화적

이렇게 등장한 현대음악의 가장 큰 특징은 전통에서 벗어나 새로운 것에 대한 추구와 도전에 있다.음악에 대한 기존의 전통적 선입관의 틀을 무너뜨리는 새로운

로 보이는데, 이것은 중국마학사상 미의 본질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켰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렇듯 玄學은 美學에 깊은 영향을 끼쳤지만 玄學家 가운데 직접적으로 미학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