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복식문화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복식문화사"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복식문화사

3강. 고려시대의 복식

교재: 우리 옷 이천년, 류희경 외, 미술문화, 2011

(2)

1. 역사적 배경 신라시대의 문화를 계승하고 당, 송, 원, 명등의 문화를 흡수하여 복식의 구조에서 큰 변화가 있었다.

2. 복식제도의 변천과정(상류층)

① 고려초기(송복식 영향기) - ( 송 )의 영향으로 관복이 변화하였고, 여자 복식은 통일 신라의 복식 제도를 그대로 계승하였다.

- 광종 때 백관의 공복을 4색으로 구분하여 제정하였다.

② 고려후기(몽골복식 영향기) - ( 원 )과의 국혼 관계를 통하여 몽골 복식이 고려에서 유행하여 지배계층에서 영향을 많이 받았다.

※ 몽고풍: 개체변발, 비단옷감, 족두리, 도투락 댕기, 신부의 연지

③ 고려말기(명복식의 영향기) - 원이 쇠퇴하자 공민왕은 자주성을 모색하여 ( 명 )나라와 친근을 도모하였다.

-명에 관복을 청하여 사여받음으로써 새로운 주변정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갔다.

- 상류층과 서민층의 복식이 다른 이중구조가 지속되었다.(상류층은 중국의 영향받음. 서민층에 의해 우리고유 복식이 큰 변화없이 유지되어 갔다.)

- 중국에 비해 2등체강원칙이 적용되어, 복식에 있어서 왕과 왕비의 제복, 백관의 관복에 적용하였으며 왕복은 중국의 황제가 아닌 왕세자 복식을 따랐다.

3, 대표 복식의 명칭

남자복식

왕복- 제복, 조복, 공복, 상복, 연복 백관복- 제복, 공복, 조복, 상복 서민- 고유복식 유지

여자복식

왕비복- 공민왕 때 명으로부터 ( 적의 )를 받았다. 평상시는 저고리 치마의 고유 복식을 입어 일반서민 부녀복과 같았다.

귀부인복- ( 몽수 )(얼굴과 몸통을 완전히 가렸다. 조선시대 너울의 기원)를 썼으며, 몽고풍의 영향을 받았다.

서민여복- 기본복식 몽수를 썼다.

고려시대

(3)

구분 명칭 유물 또는 벽화 특징

(왕복)

공민왕복

- 고려시대 왕복은 제복, 조복, 공복, 상복, 평상복으로 구별되었다.

- 제복은 면류관과 현의로 구성되며 하늘·땅· 조상·농신에 제사할 때 착용한다.

- 상복은 왕의 사무복으로 담황색의 소매통이 좁은 포를 입었으며 자색라로 한 늑건을 띠었다.

- 평상복은 서민과 똑같이 백저포를 입었는데 남녀상하가 모두 입었던 옷이다.

- 공복은 왕이 사신을 접견할 때 착용하던 복장으로, 자색공복에 옥대를 띠고 상홀을 들었다.

(조복) - 조복은 왕이 백관과 사민을 접견할 때 착용한다.

백 관 복

(제복) - 계급에 따라 칠류면·칠장복, 오류면·오장복, 삼류면·삼장복, 삼류면·일장복, 평면·무장복이 있었다.

(조복) - 송의 제도를 인용한 것으로 조선시대와 유사하다.

고려시대 남자 복식

(4)

(상복)

=단령

- 둥근 옷깃 때문에 단령, 원령이라고도 한다,

- 고려 우왕 13년 6월에 명의 관복 제도를 따라 곤복을 다시 정했는데 1~9품까지 사모·단령이고 대로 품계의 상하를 구별하였다.

(일상 복) (직령)

- 직령은 고려 우왕 13년 6월에 명나라 제도에 의해 단행한 관복 개정시 하류 계급이 착용하도록 규정 되었다. 그러나 이전부터 직령이 입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머리에 ( 발립 )을 쓰고 홍색 직령 에 사대를 띠고 화를 신었다.

(5)

(심의) - 심의는 주자학과 함께 원에서 들어온 유학자들의 법복이다.

- 조선에 전해져서 말기까지 유학자들이 입었다.

(철릭)

- 철릭은 고려시대 때 원에서 들어왔으며, 의와 상을 따로 재단하여 봉재된 옷으로 곧은 깃이다.

- 서민들이 많이 입었고 여름에는 모시로 만들어 입었다.

- 철릭의 허리 부분에 선을 넣어 장식한 것을 요선철릭이라고 한다.

(답호) - 답호는 옆트임이 있는 반소매 포로 원나라에서 들어온 것이다.

(6)

명칭 사진 특징 (왕비복)

- 왕비복은 색이 홍색이며 그림을 그리고 수를 놓았다.

- 왕비복은 고려 말 명에게서 공민왕비의 적의를 받았다.

- 공민왕의 비는 머리에 관을 쓰고 소매가 넓은 포를 입었는데 이는 중국 송나라 왕비복이다.

( 귀 부 녀 예 복 - 자 의 )

- 자의는 곧은 깃에 앞길이가 뒷길이보다 짧은 예복이다. 상의와 치마를 입은 위에 중의를 입고 자의를 맨 위에 입었다.

(귀부녀

복)

- 귀부녀는 황색 치마를 높이 치켜 입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저고리 위에 치마를 입고 등에 숄을 둘렀다고 본 다.

(서민복)

- 서민들은 삼국시대 기본 복식인 상과 유를 계속 입어 치마저고리가 되었다. 치마저고리란 명칭은 고려말에 생긴 용어이다.

고려-여자복식

참조

관련 문서

-하나의 공간에 시각적, 공간적 연속성이 어느 정도 있음.. 2)공간과 공간 사이에 공유공간 두어 연결. -맞물린 두 공간에

[r]

[r]

[r]

복강 내 종양은 압통이 있고 최근 커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타병원에서 시행한 CT 소견에서 19x13 cm 크기의 다양한 음영증강을 나타내는 비균질 종괴가 보였으며 문맥과

저자들은 cilostazol을 복용 중이던 CRF 환자에서 특별한 다른 원인 없이 내복사근에 자발성 혈종이 발생한 드문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20년 전에

여기서 “이동”이란 이동 전화와의 교신 때문에 붙인 이름이고, 교환기가 실제 로 이동하기 때문에 생긴 용어는 아니다.. 송출기는 많은 쌍방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