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 Innovative ship design-Trim & Stability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 Innovative ship design-Trim & Stability -"

Copied!
12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N av al A rc hite ctu re & O ce an E ngin ee rin g

@ SDAL Advanced Ship Design Automation Lab.

http://asdal.snu.ac.kr Seoul

National Univ.

[2009] [07]

Innovative ship design -Trim & Stability -

Hydrostatic Calculation by Classical Hydrostatics

April, 2009

Prof. Kyu-Yeul Lee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College of Engineering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학부4학년 “창의적 선박설계” 강의 교재

(2)

@ 복원력 개념 (1)

- 횡 경사 시의 모멘트 작용 예

선박에 순간적으로 힘을 주었다가 제거하는 경우 선박에 지속적인 힘을 가하는 경우

G

B

횡 복원 모멘트

G

B

횡 경사 모멘트

G’

B’

횡 복원 모멘트에 의해 원래 자세 회복

G’

B’

횡 경사 모멘트

횡 복원 모멘트

횡 경사 모멘트와 횡 복원 모멘트가 같아질 때까지 경사

(3)

@

복원력 개념 (2)

선박의 자세 – 흘수 변화(Draft Change) 외력에 의한 선박의 흘수 변화

δ

T G

B

G

B

(4)

@

G

B

복원력 개념 (3)

선박의 자세 – 횡경사(Heel) 외력에 의한 선박의 횡경사

G

B

M T

B 1

(5)

@

복원력 개념 (4)

선박의 자세 – 종경사(Trim) 외력에 의한 선박의 종경사

G

B

M L

G

B 1

B

(6)

@

선박의 자세 : 중량물이 실렸을 때, 선박의 자세는?

z

x y

y z

C L x '

y x '

' z

'

x y '

' z

G

W B B

G W

B B

z

x y

y z

C L x '

y x '

' z

'

x y '

' z

0 ∇

G

W B 0

B

G 0

W

B 0

B

힘과 모멘트의 불균형 발생

정적 평형 상태

(7)

@

선박의 자세 : 중량물이 실렸을 때, 선박의 자세는?

z

x y

y z

C L x '

y x '

' z

'

x y '

' z

0 ∇

G

W B 0

B

G 0

W

B 0

B

G 1

W B 1

B

G 1

W z

x

y y

z

C L x '

y x '

' z

'

x y '

' z

∇ 가라앉은 깊이 ?

선수미 방향으로 기운 각도 ? 좌우현 방향으로 기운 각도 ?

정적 평형 상태

B 1

B

(8)

@ 선박의 복원력과 안정성 관련 문제 예

- 크레인에 의한 화물 이동 시의 선박의 자세 계산

200 ton 27.0 m

16.0 m

Question)

배수량이 18,000ton, GM T = 1.5m 인 화물선의 선저에 실려 있는 200ton 의 화물을 육상으로 옮기려고 한다.

크레인의 끝 단으로부터 화물의 중심까지는 27.0m 로 한다.

화물을 들어올린 후 우현의 선체

중심선으로부터 16.0m 정도까지 돌린 후 안벽으로 하역할 때에 선박이

경사되는 경사각은 얼마가 되겠는가?

외부에서 힘이 가해 졌을 때,(무게추가,무게 이동 등)

자세 변화를 계산하는 문제!

(9)

@ 선박의 복원력과 안정성 관련 문제 예

- 선박의 큰 자세 변환 계산

G 4 m

10 m

5 m 6 m

2 m

Question)

초기에 그림과 같은 직육면체 바아지선이 청수 중에 흘수 3m의 Even Keel 상태로 떠 있다 . 이 바아지선의 무게 중심이 선저 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2m, 선미로부터 길 이 방향으로 6m로 변하였을 때 바아지선 의 자세를 구하시오 .

외부에서 힘이 가해 졌을 때,(무게추가,무게 이동 등)

자세 변화를 계산하는 문제!

(10)

@ 선박의 복원력과 안정성 관련 문제 예

- 선박의 침수 시 자세 계산

Question)

길이 100m, 폭 40m, 깊이30m인 일정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평 갑판 바아지선이 해수에서 9m의 흘수로 떠 있다.

이 배는 중심선에 따라 종 수밀 격벽이 있고, 4개의 등 간격 횡 수밀 격벽이 있다.

최전방 우현의 구획실의 하나가 침수될 때, 배의 선수미 네 모서리의 흘수를 중량 부가법을 이용 하여 구하시오.

외부에서 힘이 가해 졌을 때,(무게추가,무게 이동 등), 자세 변화를 계산하는 문제!

x y

z z

L

100 m

C

40 m

30 m

i 9m j

k k

측면도 정면도

O

Baseline Baseline

K

O

G

0

G

0

선수 선미

v 0

v 0

, x′

, z′ , z′

, y′

B

0

B

0

x y

L

C

j i

평면도

20 m

20 m

O G

0

v 0

, x′

, y′

, B

0

(11)

@ Stability & Trim

Hydrostatic Pressure and Force/Moment

on a floating body

(12)

@ 부력(Buoyancy)

“Archimedes Principle”

Archimedes’ Principle

“유체 속에 있는 물체가 받는 부력의 크 기는 그 물체가 밀어낸 유체의 무게와 같 고 그 방향은 중력과 반대 방향이다”

G: 중심, B: 부심 W: 중력, ∆: 부력

ρ

: 유체의 밀도

V: 유체 속에 잠겨있는

물체의 부피

G

B W

①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물체의 부력 = 물체가 밀어낸 유체의 중량(배수량; Displacement)

② 평형 상태 ( 이 물체에 작용하는 모든 합력과 모멘트가 0) 물체의 부력 - 물체의 중량=0

③ ∴배수량 = 물체의 중량

gV W = ρ

=

(13)

@

부력의 유도

- 유체 입자의 운동 방정식 정리 (Cauchy eq. ~ Bernoulli eq.) 1)

① 뉴턴 유체 * (Newtonian fluid)

③ 비점성 유체 (Invicid fluid)

Euler Equation : P

dt

d V = g ρ − ∇ ρ

Navier-Stokes Equation :

(in general form)

1

( ) 2

3

d P

ρ dt

=

ρ

− ∇ +

µ

 ∇ ∇ + ∇ 

V g

V V

Cauchy Equation : d

ρ dt V = ρ + ∇ • σ

g , ( V = [ u v w , , ] T )

② Stokes assumption**

④ barotropic flow

Bernoulli equation

(case1)

Constant B =

⑤ Steady flow

Bernoulli equation

(case2)

1

2

2 ( )

gz dP F t

t ρ

∂Φ + ∇Φ + + =

⑥ Unsteady, t 0

 ∂ = 

 ∂ 

 

V

( ) P ρ ρ =

( µ = 0 )

( q

2

= ∇Φ

2

)

Euler Equation :

(Another form) B

t

∂ + ∇ = ×

V V ω , B = 1 2 q 2 + gz + dP ρ , q 2 = u 2 + v 2 + w 2

 ∫ 

1 2

2

q gz dP C ρ

 

+ + =

 

 ∫ 

along streamlines and vortex lines

⑦ Incompressible flow

( ρ = constant )

Bernoulli

equation

1

2

P

( )

gz F t

ρ

∂Φ + ∇Φ + + =

Newtonian fluid Stokes assumption Invicid fluid

Unsteady flow Irrotational flow Incompressible flow

* 전단응력이 전단변형율(의 시간변화율)에 비례하는 유체

** 선형 변형과 등방 팽창에 의한 점성 계수 μ,λ의 관계식을 정의함

=0

∂ +

ρ ρ V t

= 0

∇ V

⑦ incompressible flow

⑥ irrotational flow Continuity

Equation

(질량보존)

, 0

constant t ρ =   ∂ ρ =  

( V = ∇Φ )

Laplace

Equation ∇

2

Φ = 0

1)Kundu,P.k.,Cohen,I.M.,Fluid Mehcanics 4

th

, Academic Press,2008

Irrotational flow

If , (irrotational flow)

ω = 0

the

If , then .

∇ × = V 0 V = ∇Φ

∇ × = V 0

ωV = ∇×

(14)

@

부력의 유도

-Bernoulli equation의 F(t)의 의미와 계기 압력 1)

Bernoulli Equation

1

2

2 ( )

P g z F t

t ρ

∂Φ + + ∇Φ + =

☞ 항등식

atm ( )

P F t ρ =

(대기압(P

atm

)) = (z=0일 때 압력)

1

2

2

P atm

P g z

t ρ ρ

∴ ∂Φ + + ∇Φ + =

1) 계기 압력 : 전체 압력에서 대기압을 뺀 압력

1 2

2

Bottom atm

P P

t ρ gz ρ

∂Φ + + ∇Φ + =

1 2

2 0

Fluid

P gz

t ρ

∴ ∂Φ + + ∇Φ + =

1 2

2

atm Fluid atm

P P P

t ρ gz ρ

∂Φ + + + ∇Φ + =

 물체 바닥에서의 유체 압력(P

Fluid

)은?

‘계기 압력’

Bernoulli equation에서 우변 F(t)=0 으로 표기한 경우, 압력 P는 대기압을 뺀 유체만의 압력임을 의미함

h z

y

Bottom

P

atm

Top P

P =

1 2

2 0

Fluid

P gz

t ρ

∂Φ + + ∇Φ + =

Fluid 0

P gz

ρ ∂Φ t ρ

= − − =

유체의 운동이 미소하다면 , 2차항을 선형화 할 수 있다.

‘선형화된 Bernoulli Equation’

t

0,

∂Φ =

z=0인 Free surface에서 유체입자가 정적인 상태라면,

∇Φ = 0,

1 2

2 ( )

P g z F t

t ρ

∂Φ + + ∇Φ + =

P P atm

0 z =

P = P atm

(15)

@ 15/151 15/131 부력의 유도

-압력의 개념을 도입한 부력계산

z z

y

atm

Top P

P =

Bottom

P

 아래 물체에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정적인 힘은?

dS

n

1

: Normal vector : Area

dS P

d F Bottom = Bottomn

2

: 물체 아랫면의 미소 면적에 작용하는 힘

2

Bottom atm

P = P − ρ gz

 

 = 

n k

: 물체 윗면의 미소 면적에 작용하는 힘

dS P

d F Top = Topn

1

 

 

=

= k n 1

0 g P

P Top atm ρ

1 2

( ) ( )

( )

Top Bottom

Top Bottom

atm atm

d d d

P dS P dS

P dS P gz dS

gz dS gz dS ρ

ρ ρ

= +

= ⋅ + ⋅

= − + −

= − = − ⋅

F F F

n n

k k

k k

: 대기압에 의한 힘이 서로 상쇄됨

※ 압력 (Pressure) : 단위 면적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즉 , 힘을 구하기 위해서는 압력에 면적과

그 작용면의 법선 벡터 (Normal Vector)를 곱해야 함

gz P

P = atm − ρ

∫∫

=

S

B

zdS g n ρ

∫∫

=

=

S

B

dS P

d F n

F , ( P = P static = − ρ gz )

ρgz t

P

Φ

− ∂

= ρ

cf)선형화 한 Bernoulli eq.

P P

좌표계 설정에 따라 z값이 (-)이므로( -)를 붙임 아래쪽으로 갈수록 압력이 커짐

전체 정적 압력에서 대기압을 뺀 순수 유체 정압력

(16)

@ 16/151 부력의 유도

선박에 작용하는 유체의 정적 압력(Hydrostatic pressure)과 부력(Buoyancy) +y축 영역으로 기울어진 상태

(선박을 정면에서 바라봄)

 Hydrostatic force (Surface force)

: 표면에 작용하는 모든 힘을 적분하여 구함

 Hydrostatic Moment : (모멘트)=(거리) X (힘)

∫∫

=

S

B

dS z

g n

F ρ

( )

∫∫ ×

= g z r n dS M ρ

∫∫

=

S

B

dS Pn F

( )

∫∫ ×

= P r n dS M

dS P

d P

d F = ⋅ S = ⋅ n

 미소 면적에 작용하는 힘 :

 Total force :

 미소 면적에 작용하는 모멘트 :

( ) dS P

dS P d

d M = r × F = r × n = r × n

 Total moment :

r S d

r

dS P Pd

d F = S = n

F r

M d

d = × (미소 면적)

(미소 면적에 작용하는 힘)

(미소면적에 작용하는 모멘트 ) ( : wetted surface) S B

dS gz P P static

ρ n

=

=

ξ

4

y′

z z′

y O

O′

S

B

d F = P staticn dS = − ρ gzn dS

여기서, P 는 hydrostatic pressure, P static 이다.

gz P

P = static = − ρ

( : wetted surface) S B

(17)

@

 Hydrostatic force (Surface force)

∫∫

=

S

B

dS z

g n

F ρ

∫∫∫

=

V

zdV ρ g

F  

 

 =

∂ + ∂

∂ + ∂

= ∂

i j k k

z z y

z x

z z

: 물에 잠긴 물체의 부피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를 수면과 수직 방향으로 받음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 

 

 ∫∫ ⋅ = ∫∫∫ ∇

V S

fdV dA

f n

divergence theorem 1) 사용하면 ,

※ (-)부호가 사라진 이유

: Divergence theorem은 면의 외향 단위 벡터를 기준으로 한다.

부력 계산시 사용하는 Normal vector는 내향 단위 벡터이므로, (−)를 곱한 뒤, Divergence theorem을 적용해야 한다.

∫∫∫

=

V

dV ρ g

k

) (t ρ gV

= k

2)

1) Erwin Kreyszig, 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 9

th

,Wiley,Ch10.7(p458~463) 2) Erwin Kreyszig, 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 9

th

,Wiley,Ch9.9(p414~417)

( : wetted surface) S

선박의 운동 시, 시간에 따라 배수 용적V가 달라지므로, V는 시간에 대한 함수 V(t)임

부력의 유도

선박에 작용하는 유체의 정적 압력(Hydrostatic pressure)과 부력(Buoyancy)

(18)

@

Hydrostatic Moment

 Hydrostatic moment

( )

∫∫∫ ×

=

V

zdV

g r

M ρ

( )

∫∫ ×

=

S

B

zdS g r n

M ρ

Divergence theorem 1) 사용하면 ,

 

 

 ∫∫∫ ∇ × = ∫∫ ×

V S

dA dV n F 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xz y x

yz y z x

xz x yz z

z z y z

yz xz

z y

z x i j k i j

k j

i

r

2 2

2

[ ]

∫∫∫ +

=

M ρ g i y j x dV

2)

( : wetted surface) S B

ξ 4

y′

z z′

y O′ O

S

B

Normal Vector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부호를 붙여줌

 의미 ?

1) Erwin Kreyszig, 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 9

th

,Wiley,Ch10.7(pp.458~463) 2) Erwin Kreyszig, 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 9

th

,Wiley,Ch9.9(pp.414~417)

( )

∫∫ ×

=

S

B

zdS g n r

ρ

(19)

@

CL

y y′

V

x x′

B

ξ

4

z z′

좌현 우현

y y′

V

CL

x x′

B

ξ

4

z′

z

우현

좌현

Hydrostatic Moment (횡 경사)

[ ] ∫∫∫ [ ]

∫∫∫ + =

=

V V

dV x y g

dV x y

g i j i j

M ρ ρ

∫∫∫

∫∫∫

=

V V

xdV g

ydV

g i ρ j

ρ = i ρ gV y B j ρ gV x B

 Hydrostatic moment

부력의

횡 방향 중심

부력의

종 방향 중심

부력

BL

BT M

M j

i +

=

부력에 의한

횡 방향 모멘트

부력에 의한

종 방향 모멘트

< 우현으로 기울었을 경우(+방향) > < 좌현으로 기울었을 경우(-방향) >

B 2

B 2

y B

< 0

M BT M BT > 0

<0

이므로 ,

음의 모멘트

>0 이므로 , 양의 모멘트 y B

( M BL = ρ gV x B )

V

,

V

B B

V V

ydV xdV

y x

dV dV

 

 

= =

 

 

 

∫∫∫ ∫∫∫

∫∫∫ ∫∫∫

(20)

@

Newton-Euler Equation

(21)

@ SDAL 21/151

선 운동량(Linear Momentum) 과 힘(force)의 관계

r p = m

질량 의 물체가 속도 로 운동할 때, 이 물체의 Linear Momentum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m r

p

물체의 시간에 따른 Linear Momentum 의 변화는 물체에 가해진 외력의 합과 같다. (Newton 제 2법칙)

dt net

d p = F

constant) :

(m

질량 m 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면,

r r

p   

dt m m d

dt

d = ( ) =

mr  = F net

Halliday, 일반물리학 7/E chap.9-4, p.254

vector position

y x , ) : (

r

m r

x y

) , ( x y r

y d

x r

r  ( , ) =

dt m d dt

d p ( r  )

=

선운동량을 시간에 대해 미분하자

dt m d

dt m

d ( ) ( r )

r

 +

=

O

(22)

@ 22/151

각 운동량(Angular Momentum)과 모멘트(Moment)의 관계

물체의 시간에 따른 Angular Momentum 의 변화는 물체에 가해진 모멘트의 합과 같다. (Euler 방정식)

net

d

dt L = τ I

constant) :

(I

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면,

( )

d d

I I

dt L ω = dt = ω

I ω = τ net

m

x y

θ θ ,

질량 의 물체가 각속도 로 회전 할 때, 이 물체의 Angular Momentum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m ω

L

= I L ω

, ( I = ∫ r dm 2 )

:질량중심을 지나는 축에

Halliday, 일반물리학 7/E chap.10-9, p.309

O

( ) d d I

dt L ω = dt

각운동량을 시간에 대해 미분하자

( ) ( )

d I d

dt I dt

= ω + ω

r

(23)

@

물체의 평형 상태

아래 두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물체가 평형상태 (Equilibrium state) 에 있다고 한다 .

(1),(2)를 각각 시간t에 관해 미분하자.

= 0

= dt m d dt

d P ( r  ) ( ) d d I 0

dt L ω = dt =

 

1 (1) 

= m = − P rC

2 (2)

= I = − L ωC

 

1 2

, ( C C , = const .)

(1)질량중심의 선운동량 P는 일정 하다 . (2)질량중심이나 임의의 점에 대한

각 운동량 L은 일정 하다

dt net

d P = F net dt

d L = τ ,

따라서 , 물체가 평형상태에 있기 위한 조건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

= 0 F net

= 0 τ net

 

(힘의 평형)

(모멘트 평형)

 물체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물체의 운동량은 일정하게 보존된다.

Halliday, 일반물리학 7/E chap.12-3, p.371

특히 , 일 경우 물체가 정적 평형상태 (Static Equilibrium state) 에 있다고 한다 .

1 , 2 = 0 C C

= 0 P

= 0

L

 

(24)

@ 물체의 평형 조건

1. 물체에 가해지는 모든 외부힘의 벡터합은 0이어야 한다.

2. 물체에 가해지는 모든 외부 Moment의 벡터합은 어느 축에 대해서도 0이어야 한다.

net = m F  r

- 물체가 병진운동에 대해 평형상태에 있으면 가속도 가 0이므로 외부힘의 벡터 합도 0이다.

net I

τ = ω

- 물체가 회전운동에 대해 평형상태에 있으면 각가속도 가 0이므로

Moment 의 벡터합도 0이다.

(F net : 외부힘의 벡터합, m : 물체의 질량, : 물체의 가속도)

(M net : 외부 moment의 벡터합, I : 질량관성모멘트, : 각가속도)

 r

ω

 r

ω

(25)

@

Angular Momentum L의 차원해석

r 2

m I =

] [ ML 2

=

time T

lengh L

mass M

: ] [

: ] [

: ] [

= I L ω

] / ][

[ ML 2 1 T

=

[ ML 2 ][1 / ][ / ] T T T

= L

] ][

][

/ ][

[ M L T 2 L T

=

] ][

][

[ Force L T

=

Angular Momentum의 단위는 Work or Moment에 시간 T를 곱한 것과 같다.

따라서, Angular Momentum의 시간에

따른 변화율은 Work or Moment의 차원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et

d

dt L = τ

] ][

[ Work or Moment T

=

(26)

@ Center of mass

Force, Moment

Parallel-axis theorem

(27)

@ 질량중심 (Center of Mass)

1) 모든 질량이 그 점에 모여있고,

2) 외부 힘이 모두 그 점에 작용하는 것처럼 움직이는 점

m 1 m 2 m 3

m 4

m 5

m 6

m 8

m 7

F

1

F

2

F

3

M F

3

F

1

F

2

m n

m m

M = 1 + 2 +  +

3 2

1 F F

F

a = + + M

:질량 중심

Halliday, 일반물리학 7/E chap.9-2, p.246

(28)

@

1) 힘의 평형

1 1 2 2 ( 1 2 ) com 0

m gx m gx m m gx

kk + k + =

{ − m x 1 1 − m x 2 2 + ( m 1 + m x 2 ) com } k = 0

1 1 2 2

( )

com

m x m x

x m m

∴ = +

+

질량중심 구하기

2) 모멘트 평형

m 1 M m 2

x 1

x 2

x com 1 = − m g 1

F j F 2 = − m g 2 j x y

g F 3

1 2 3

1 2 3 0

m g m g F

= + +

= − − + =

F F F F

j j j

3 1 2

3 3 1 2

( )

( )

F m m g F m m g

∴ = +

= = +

F j j

1

(

1

)

2

(

2

) com ( ) 0

x m g x m g x F

= × − + × − + × =

τi j i j i j

평형상태라고 하면,

1 1 2 2 com 0

x m g x m g x F

kk + k =

1 2

( )

F = m + m g

를 대입하면,

1 2 3

( − m gm g + F ) j = 0

(29)

@

질량중심 구하기

∑ =

= n

i

i i

com m x

x M

1

1

y방향, z방향 질량중심도 동일하게 구할 수 있다.

∑ =

= n

i

i i

com m y

y M

1

1

∑ =

= n

i

i i

com m z

z M

1

1

∑ =

= n

i

i i

com m

M 1

1 r

r

고체인 물체는 수많은 입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 물질이 연속적으로 분포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

M i dm

com =r

r 1

하나 더!

일반적으로, 질량 전체에 일정한 중력가속도가 작용할 경우 질량중심M과 무게중심G은 일치한다.

무게중심:

물체에서 총 중량 F

g

가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점을 그 물체의 무게 중심

G 라고 한다.

Halliday, 일반물리학 7/E chap.9-2, p.246

(30)

@ 30/151 회전방향을 고려한 모멘트 부호검증

기준점 O로부터 r만큼 떨어진 점 P에 힘 F가 작용 하였다.

x

y F

r F t

O

P

x y

r F F t

O

P

(+ ) (− )

회전방향: (+ ) (− )

회전모멘트 방향: (+ ) (− )

회전방향:

회전모멘트 방향:

x y

(+ )

오른손 좌표계에 따라 좌표계를 설정

z축은 화면에서 튀어 나오는 방향 , 반시계 방향이 (+)회전 방향이 됨

질문: 물체는 어느 방향으로 회전할까?

<물리적 현상>

vector position

y x , ) : (

r 회전방향 = 회전 모멘트 방향

(31)

@

회전방향을 고려한 모멘트 부호검증

z y

x

p p

p

F F

F

z y

x

k j

i τ =

k j

i ( ) ( )

)

( F z y pF y z p + F x z pF z x p + F y x pF x y p

=

x

y F

r F

t

O

P

x y

r F F

t

O

P

(+ ) (− )

회전방향: (+ ) (− )

회전모멘트 방향: (+ ) (− )

회전방향:

회전모멘트 방향:

γ γ

회전 모멘트를 다음과 같이 정의함

F τ = r ×

<수학적 표현 1>

이를 벡터 성분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x-y 평면 2차원 예제의 경우, 이라고 하면, z p = 0 , F z = 0

τ = ( F y x pF x y p ) k

(32)

@ 32/151

회전방향을 고려한 모멘트 부호검증

k F

r sin γ

=

vector position

y x , ) : ( r

회전 모멘트를 다음과 같이 정의함

벡터 단위 방향의 , 축

, : ,

, j k x y z i

F τ = r ×

<수학적 표현 2>

x

y F

r F

t

O

P

x y

r F F

t

O

P

(+ ) (− )

회전방향: (+ ) (− )

회전모멘트 방향: (+ ) (− )

회전방향:

회전모멘트 방향:

r F

O γ

: r에서 F 쪽으로 회전할 때, r을 기준으로 F와 이루는 각

γ

γ γ

r O F

τ 의 부호는 sin γ 의 부호에 의해 결정 γ

γ γ

sin

π π 2

0

(+ )

(− )

γ sin

) (

) ( sin

) (

) ( sin

π γ

π γ

π γ γ

2 0

<

<

=

<

<

+

=

γ 0 < γ < π π < γ < 2 π

(+ ) (− )

τ (+ ) (− )

물리적 현상과 수학적 회전 모멘트 방향이 일치함

) ( +

τ τ ( − )

(33)

@

dm r

I com =2

질량중심 O 를 관통하는 회전축에 대한 관성모멘트 I com

X E

Y E

E

Parallel-axis theorem

X O

Y O

O

r

M i dm

com =r

r 1

r COM

- 질량중심 구하기

dm

Body fixed Coordinate의 원점(O)을 질량 중심에 두자.

1 0

=

=

r com Mr i dm

P

r y p

x p

h x mx p

m p

yy R

x m

y m

점 p 를 관통하는 회전 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 I p

2 2 2

[( ) ( ) ]

P m p m p

I = ∫ R dm = ∫ xx + yy dm

2 2

2 2

( ) 2

2 ( )

m m p m

p m p p

x y dm x x dm y y dm x x dm

= + −

− + +

∫ ∫

∫ ∫

dm h

dm r

I p =2 +2

Mh 2

I

I p = com +

2 2 2

2 2 2

, m m

p p

r x y

h x y

 = + 

 

 = + 

 

(34)

@ Stability & Trim

Restoring force

- Transverse restoring Moment

- Longitudinal restoring Moment

(35)

@

복원력 개념

복원력

선박에 순간적으로 외력을 작용하였다가 이 외력을 제거하였을 때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올려는 힘/모멘트(Restoring Force/Moment) 를 말함

흘수의 변화(Draft Change), 횡 경사(Heel), 종 경사(Trim)에 따라 수직 복원력(Vertical Restoring Force), 횡 복원 모멘트(Transverse Restoring Moment), 종 복원 모멘트(Longitudinal Restoring

Moment) 가 존재

선박의 경우, 횡 경사에 의해 대부분 전복하므로 횡 복원 모멘트가 충분한지 여부가 최대의 관심사이며 선박 안정성(Stability)의 척도 가 된다.

횡 복원 모멘트를 횡 복원력 또는 줄여서 ‘복원력’이라고도 하며,

횡 복원 안정성(Transverse Stability)을 줄여서 ‘안정성(Stability)’이

라고한다.

(36)

@

O

횡 복원력 (1)

- 선박의 횡 복원 안정성(Transv. Stability) – 안정 상태 (1)

② 무게중심 G와 부력중심 B가 수평면에 대해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  모멘트 Arm이 0임

(모멘트 평형)

y z

τ

(+ )

0 0 0

W

= + = +

=

τττ

(힘의 평형)

= + = 0

F W F Δ

yz

z

y

B G

K

C L

F

W

coordinate Global

oyz

coordinate fixed

Body z

oy :

: ' '

G: 수직방향 무게중심 B: 수직방향 부력 중심 W : 선박 무게

Δ

: 부력

F

(37)

@

z

τ

(+)

yz

z

y

B G

K

C L

F

W O

횡 복원력 (2)

- 선박의 횡 복원 안정성(Transv. Stability) – 안정 상태 (2)

y z

τ

(+ )

B G

z

y

K

C L

y z

F

B 1

φ g 1 g

W

τ e

⑤ 부력중심이 B에서 B 1 으로 이동

③ 외부에서 시계방향으로 선박에 모멘트 가 가해짐

(왼쪽그림의 경우 (-)모멘트가 가해짐) τ e

④ 선박이 시계 방향으로 만큼 회전

φ

oyz 에서의 부력중심 B 1 의 위치를 어 떻게 구하는가 ?

B 1

r

 

 

= 

1 1 1

B B

B z

r y

B

1

z

B

1

y

Find:

coordinate Global

oyz

coordinate fixed

Body z

oy :

: ' '

G: 수직방향 무게중심 B: 수직방향 부력 중심 W : 선박 무게

Δ

: 부력

F

(38)

@ 38/151

O

횡 복원력 (3)

- 선박의 횡 복원 안정성(Transv. Stability) – 안정 상태 (3)

y z

τ

(+ )

B G

z

y

K

C L

y z

F

B 1

B 1

r

φ g 1 g

W

M T

φ τ e

r G

Z

G B 1

= r × W + r × F Δ

W

= +

τττ

,

GZ

= −

y G

+

y B

1

F

B1

r

B1

γ

γ π − O

γ γ

π

) sin sin( =

+ π

γ 2π

γ π

x

sin

x

W

r G

γ G

O

1 1

,

0 0

0 0 0 0

G G B B

z z

y z y z

W F

= +

i j k i j k

1 ,

G z B z

y W y

= ⋅ i + ⋅ F i

= + = 0

F W F Δ W z = − F

,

z

1 ,

( y G y B ) F z

= − + ⋅

τi

ϕ 만큼 경사진 상태에서 힘과 모멘트

가 각각 평형인 상태를 생각해보자

.

회전축 O를 지나고, y-z 평면에 수직한 축 에 대한 중량과 부력에 의한 모멘트를 구 해보면

,

restoring

τ

GZ=(-y G +y B )

(+)이면 (즉,무게중심이 부력 작용

선에 대해 왼쪽에 위치

) τ

는 복원 모멘트

로 작용함

τ = τ τ

coordinate Global

oyz

coordinate fixed

Body z

oy :

: ' '

G: 수직방향 무게중심 B: 수직방향 부력 중심 W : 선박 무게

Δ

: 부력

F

Z: B

1

을 통한 부력작용선과 G를 지

나고 y축과 평행한 선이 만나는 점

(39)

@

O

횡 복원력 (4)

- 선박의 횡 복원 안정성(Transv. Stability) – 안정 상태 (4)

y z

τ

(+ )

B G

z

y

K

C L

y z

N

F

B 1

B 1

r

φ g 1 g

W

M T

φ τ e

r G

Z

는 ‘K’를 정의하면, 기하 학적 형상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GZ

sin GZ = KNKG φ

φ Z

K N G

M T φ

φ

restoring

τ

coordinate Global

oyz

coordinate fixed

Body z

oy :

: ' '

M

T

: B

1

을 지나는 부력 작용선과 선체 중심선과의 교점

G: 수직방향 무게중심 B: 수직방향 부력 중심 W : 선박 무게

Δ

: 부력

F

Z: B

1

을 통한 부력작용선과 G를 지나고 y축과 평행한 선이 만나는 점

N : B

1

을 통한 부력작용선과 K를 지나고 y축과 평행한 선이 만나는 점

(40)

@

O

횡 복원력 (5)

- 선박의 횡 복원 안정성(Transv. Stability) – 안정 상태 (5)

y z

τ

(+ )

B G

z

y

K

C L

y z

F

B 1

B 1

r

φ g 1 g

W

M T

φ τ e

r G

Z

⑧ 외부 모멘트와 횡 복원 모멘트 가 같아질 때까지 B 1 이 오른쪽으 로 이동하여 경사각 ϕ에서 평형 상태를 이룬다고 하면 ,

e restoring 0

= + =

τττ

restoring

τ

coordinate Global

oyz

coordinate fixed

Body z

oy :

: '

'

G: 수직방향 무게중심

B: 수직방향 부력 중심 W : 선박 무게

Δ

: 부력

F

Z: B

1

을 통한 부력작용선과 G를 지나고 y축과 평행한 선이 만나는 점

N : B

1

을 통한 부력작용선과 K를 지나고 y축과 평행한 선이 만나는 점

(41)

@ 횡 복원력 (5)

- 선박의 횡 복원 안정성(Transv. Stability) – 안정 상태 (6)

y z

τ

(+ )

B G

z

y

K

C L

y z

F

B 1

B 1

r

φ g 1 g

W

M T φ

r G

Z

F

B

1

r γ

γ π

O

O

W

r G

γ G

O

⑨ 선박에 가해진 모멘트를 제거

⑩ 횡 복원 모멘트 에 의해 선박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⑪ 무게중심 G와 부력중심 B가 수평면에 대해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여 평형상태를 이룸

0 0 0

W

= + = +

=

τττ

restoring

τ

) ( : +

restoring

τ

y z

τ

(+ )

yz

z

y

B G

K

C L

F

W O

coordinate Global

oyz

coordinate fixed

Body z

oy :

: ' '

G: 무게중심 B: 부력 중심

W : 선박 중량

G: 수직방향 무게중심 B: 수직방향 부력 중심 W : 선박 무게

Δ

: 부력

γ F γ

π ) sin sin( − = γ + π 2 π

γ − π − x sin

x

(42)

@ 42/151 42/131

는 힘의 평형 조건에 의해 로 주어짐

횡 복원력 (6)

- (Displacement) X

경사 각도가 미소한 범위 (10°정도) 에서는 M 은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 .

τ = ∆⋅GZ

횡 복원력=

Δ − = ∆ W

을 알아야 함 GM

T sin

GM φ

= ⋅

GZ

기하학적 형상으로 부터,

로 구할 수 있음

GM T : 메터센터 높이

T sin

GM φ

∆ ⋅ GZ ≈ ∆ ⋅ ⋅

횡 복원력=

횡 복원력을 구하기 위해 값을 알아야 함

GZ

O

B G

z

y

K

C L

y z

N

F

B 1

φ g 1 g

W

M T φ

Z

restoring

τ

y z

τ

(+ )

coordinate Global

oyz

coordinate fixed

Body z

oy :

: '

'

G: 수직방향 무게중심

B: 수직방향 부력 중심 W : 선박 무게

F

= ∆ 부력의크기= 배수량

 Archimedes’ Principle

GZ

Z: B

1

을 통한 부력작용선과 G를 지나고 y축과 평행한 선이 만나는 점

N : B

1

을 통한 부력작용선과 K를 지나고 y축과 평행한 선이 만나는 점

(43)

@ 횡 복원력 (7)

- ( Displacement) X

T sin

GM φ

∆ ⋅ GZ ≈ ∆ ⋅ ⋅

횡 복원력=

KG BM

KB

GM T = + T

KB : 부력의 높이 방향 중심

BM T : 횡 메터센터 반지름

(Transverse Metacenter Radius)

KG : 높이 방향의 무게 중심

기하학적 형상으로 부터,

≒ 51~52% draft

는 선박의 형상이 주어지면 결정됨

BM T

KB,

KG 는 화물 적재상태에 따라 결정됨

O

B G

z

y

K

C L

y z

F

B 1

B 1

r

φ g 1 g

W

M T φ

r G

Z

restoring

τ

y z

τ

(+ )

coordinate Global

oyz

coordinate fixed

Body z

oy :

: ' '

G: 수직방향 무게중심 B: 수직방향 부력 중심 W : 선박 무게

Δ

: 부력

F

GZ

부력의크기= 배수량

F

= ∆

 Archimedes’ Principle

Z: B

1을 통한 부력작용선과 G를 지나고

y축과 평행한 선이 만나는 점

참조

관련 문서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학부4학년 “창의적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College of Engineering.. 학부 4학년 교과목“창의적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Department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9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College of Engineering.. Ship Motion &amp; Wave Load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Naval Architecture

School of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