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실 내 공 간 을 위 한 도 자 테 이 블 연 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실 내 공 간 을 위 한 도 자 테 이 블 연 구"

Copied!
4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碩 士 學 位 論 文

실 내 공 간 을 위 한 도 자 테 이 블 연 구

A stu dy on th e Cer am ic T able for th e Indoor space

國 民 大 學 校 디 자 인 大 學 院

陶 磁 工 藝 專 攻

2 0 0 1

(2)

실 내 공 간 을 위 한 도 자 테 이 블 연 구

A s tu dy on th e Ce ram ic T ab le fo r th e In do or s p ac e

指 導 敎 授 朴 京 淳

이 論 文 을 碩 士 學 位 請 求 論 文 으 로 提 出 함

2 0 0 1년

國 民 大 學 校 디 자 인 大 學 院

陶 磁 工 藝 專 攻

(3)

鄭 星 敏 의

碩 士 學 位 請 求 論 文 을 認 准 함

20 0 1년

심 사 위 원 장 (印 )

심 사 위 원 (印 )

심 사 위 원 (印 )

國 民 大 學 校 디 자 인 大 學 院

(4)

논 문 개 요

인간이 자신의 생활공간 환경을 끊임없이 개선하여 좀 더 쾌적한 방향으로 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창조적인 노력은 인류가 시작된 이후 계속되어오고 있 다. 특히 현대에 와서 미술과 환경의 만남은 이러한 요구의 자연스러운 결과로, 미술의 사회적 기능이라는 면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폐쇄된 환경과 단조로운 주거 공간으로부터 탈피하여 주변환 경을 보다 아름답게 꾸미고 새로운 실내공간의 재창조를 통해 안락한 생활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생활 패턴이 다양해지고 편리해 지긴 했지만 대 중의 대부분 주거공간은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대단위 아파트, 공동주택의 건 립 등으로 시각 환경은 점점 일률적으로 획일화 되어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일반주택과 아파트, 연립주택 등의 실내공간에 있어 새롭게 장식되 어지는 도자 테이블을 연구 개발하여 획일화되어 가는 실내의 시각 환경에서 벗어나 실용과 장식을 겸한 쾌적한 주거 생활 속에서의 공간 이미지 형성에 도 움이 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테이블을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고 실내공간에 대한 개념과 특성에 대해 분석한 다음 테이블의 기능적인 면과 조형적인 면을 고려하여 제작하였 다. 테이블 디자인의 기본원칙은 사각형을 위주로 하여 이를 변형, 결합하는 것 으로 하였다. 또한 생동감을 주기 위하여 직선형태를 변형하기도 하였으며, 이 를 통해 형태상에서 새로운 느낌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실내공간을 위한 또 다른 형태의 도자테이블의 한 유형을 제시하고,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도자재로써 다양한 용품을 제작하고 실내공간 에서 안락함과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조성하기를 바란다.

(5)

Ⅰ . 서 론 … … … 1

1. 연구목적 ……… 1

2. 연구 방법 및 범위 ……… 2

Ⅱ . 이 론 적 배 경 … … … 3

1. 실내공간의 개념 및 특성 ……… 3

1) 실내공간의 개념 ……… 3

2) 실내공간의 특성 ……… 4

2. 테이블의 일반적 고찰과 시대적 변천……… 5

1) 테이블의 일반적 고찰 ……… 5

2) 테이블의 시대적 변천 ……… 5

3. 도자 테이블의 실제 제작과 예 ……… 10

Ⅲ . 작 품 제 작 과 정 및 설 명 … … … … 18

1. 제작 과정 ……… 18

2. 작품 해설 ……… 22

Ⅳ . 결 론 … … … … 36

참 고 도 판 … … … 14

참 고 문 헌 … … … 38

A B S T RA CT … … … 39

(6)

- 도 판 목 차 -

[圖 1] F rancesco Acit elli 作 [圖 2 ] Judy Mot zkin 作 [圖 3 ] Judy Mot zkin 作 [圖 4 ] F rancesco Acit elli 作 [圖 5 ] Carolyn S ale 作 [圖 6 ] Carolyn S ale 作 [圖 7 ] Caroln S ale 作 [圖 8 ] Caroln S ale 作 [圖 9 ] Mamie Spiegel 作 [圖 10 ] Mam ie Spiegel 作 [圖 1 1] Mam ie Spiegel 作 [圖 12 ] Robert Winokur 作 [圖 13 ] Laney K . Oxm an 作 [圖 14 ] Laney K . Oxm an 作

[圖 15 ] 이태리 도자미술관 소장 석제테이블 I [圖 16 ] 이태리 도자미술관 소장 석제테이블Ⅱ

(7)

- 표 목 차 -

[표 1] 테이블의 종류 [표 2 ] 소지 조합비 [표 3 ] 소지 조합비 [표 4 ] 화장토 조합비 [표 5 ] 유약 조합비 [표 6 ] 소성 도표

- 작 품 목 차 -

[작 품 1] 360×340×400 (석기질점토, 투명유, 안료, 1250℃) [작 품 2 ] 540×300×560 (석기질점토, 투명유, 안료, 1250℃) [작 품 3 ] 810×250×850 (석기질점토, 투명유, 흑유, 안료, 1250℃) [작 품 4 ] 300×290×340 (석기질점토, 투명유, 흑유, 안료, 1250℃) [작 품 5 ] 440×400×470 (석기질점토, 투명유, 흑유, 안료, 1250℃) [작 품 6 ] 320×290×340 (석기질점토, 투명유, 흑유, 안료, 1250℃) [작 품 7 ] 400×250×440 (석기질점토, 산청토, 분청유, 1250℃) [작 품 8 ] 800×250×880 (석기질점토, 청자유, 안료, 1250℃) [작 품 9 ] 640×250×730 (석기질점토, 투명유, 흑유, 안료, 1250℃) [작 품 10 ] 290×240×310 (석기질점토, 투명유, 흑유, 안료, 1250℃) [작 품 1 1] 400×230×440 (석기질점토, 산청토, 투명유,흑유,안료,1250℃) [작 품 12 ] 310×280×340 (석기질점토, 산청토, 투명유, 흑유, 1250℃)

(8)

Ⅰ . 서

1 . 연 구 목 적

오늘날 주거공간의 내부는 단순히 외부공간과 구분되는 공간적인 개념을 넘 어, 의식주 및 대부분의 인간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가장 밀접한 환경으로서, 안 락함과 쾌적함을 추구하는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가 충족되는 공간이 되어야 한 다. 이러한 면에서 현대 주거공간은 단독가구의 증가와, 인구의 도시 집중 등으 로 인해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이 날로 증가하고 실내공간 이 획일화되어 감에 따라 현대인들은 각자의 개성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실내 공간을 요구하고 있다.

인간이 편리하고 쾌적한 삶을 누리기 위한 실내공간 속에는 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이 있다. 그 중에서 테이블은 거실공간과 인간을 연결해 주는 중요한 가구로서 가족 등이 모이는 공간의 중심역할을 하고, 손님을 맞이하는 장소상의 핵심적인 기능과 중요한 요소로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 반적으로 테이블은 공간의 중앙에 위치하여 공간을 연출하는 요소들 중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테이블이 갖는 실용적인 기능과 장식적인 기능을 겸비하고 새 로운 실내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도자재로 제작된 테이블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현대 실내공간에서의 도자 테이블의 한 유형을 제 시하였고, 도자재의 다양한 용품제작과 활용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9)

2 . 연 구 방 법 및 범 위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문헌을 통해 테이블의 기능과 종류, 재료에 대해 개괄적으로 조사하여, 실내공간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다 음 이를 토대로 테이블의 실제 제작과 예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다룬 도자테이블은 기능상 가정용 간이 테이블로서 주거용 실내 공간에서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제한하였다. 테이블의 디자인에서는 직선과 사 각형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주관적 감성과 미적욕구를 통해 새롭고 개성있는 표현을 하고자 하였다. 또한 테이블의 생동감을 주기 위해 직선 형태를 변형하 여 나타내었다.

작품제작에 있어서는 건조강도와 소성강도가 높아 휨과 균열현상이 적고, 작 품의 전체적인 크기나 형태상 특성에 알맞은 석기질 점토를 주로 사용하였다.

유약에 있어서는 현대적인 감각에 맞게 표현하고자 고화도 RED 안료와 이와 잘 어울리는 색상으로 고화도 BLACK 안료를 사용하였다. 테이블의 편평한 윗 면은 단면성을 강조하기 위해 흑유와 안료를 사용하였다. 제작방법으로는 작품 의 크기와 사각형태를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판성형과 가압 성형방법을 사 용했다. 제작과정에서는 점토판을 밀어서 테이블로 사용되는 윗판의 형태를 결 정한 후에 가압성형으로 테이블의 면을 접합하였다.

(10)

Ⅱ . 이 론 적 배 경

1 . 실 내 공 간 개 념 및 특 성

1) 실내공간의 개념

건축은 인간의 생활을 담는 그릇1)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생활을 담아 내는 표피인 각 내부를 우리는 실내라 하며, 이는 단순한 물리적 그릇이 아니 라 쾌적하며 건강하고 인간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 축조된 공간인 것이 다.

실내외의 공간개념이 생겨난 것은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그들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집을 짓기 시작하면서부터 라고 하겠다.2 )

집은 자연공간을 벽으로 차단시켰고 여기에는 내부공간 즉, 실내공간을 인위 적으로 축조하면서 새로운 공간의 개념이 발생하였다.

인간의 주거 근원은 구석기 시대 말기에 알타미라 동굴 속에서 크로마뇽인이 생활한 흔적으로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원시사회의 혈거 생활은 다른 부족으로 의 침략, 자연에 의해 제공되는 추위와 맹수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한 단 순한 주거의 개념이었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주거문화는 단순히 삶을 보존하기 위한 장소로서의 의식에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장소로의 미적 실내공간 개념으 로 확장되기에 이르렀다.

2) 실내공간의 특성

주 1) 김수인저, 「건축디자인의 원점」서울:산업도서출판공사,1978 p41 2) Yoshinobu A shibar a 「Ext erior Design in Ar chit ectur e」, NewYork ,

Van Nostr an d Reihold Co, 1970, p16,

(11)

실내공간이 실외공간과 구분되어 나타나는 특성은 외부의 자연적 요소인 일 조, 바람, 온도, 습도들로부터 차단된 공간이다. 이러한 실내공간은 인공적으로 조정되므로 인공조명에 의한 색채와 밝기의 강약성, 에어콘디셔닝 (air conditioning )에 의한 온도조절, 거주자와 공간 면의 근접된 거리들의 상황 들이 생기는 것이다.3 )

기후에 따라서 인간은 실내보다 실외에서 또는 실외보다 실내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지만 모든 문명의 일반적인 태도로 실내는 보호의 특성 즉, 인간생활의 근거지로서 모태(母胎)와 같은 부드러움을 지니고 있다. 최근 많은 문명의 이익 속에서 실내와 실외의 상호 관련성은 변화되었다. 선진국의 경우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의 모체(母體)인 전화, T V 등은 실내에서 이루어 지는 사회적인 접촉의 기회를 능가하는 기능과 역할을 마련해 주므로 새로운 차원인 실내공간을 가져왔다.4 )

이러한 실내공간 중에서도 인간이 활동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중요한 곳은 주택이다. 주택이란 인간의 사회생활의 긴장을 해소하고 내일을 위해 재 충전하는 곳으로 주택으로 갖추어야 할 물리적 역할 외에 휴식처, 생활문화공 간으로서의 역할이 충족되어질 때 비로소 주거공간으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있 을 것이다. 이러한 주택의 실내는 쾌적하며 건강하고 인간적인 생활을 영위하 기 위한 장소로서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실내환경이 사람의 지각과 정서 및 행 동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주택의 실내공간을 쾌적한 분위기로 조성하고 싶어하는 인간의 욕구는 문명이 시작되면서 항상 눈앞에 부 딪히는 현실적인 과제이다.5 )

주 3) 박경자 저, 「실내공간의 벽조각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1980.

4) Anthony C, Anthoniades 저, 윤도근・유희준 역, 「건축, 환경, 디자인원리의 전개」, 김은당, 1986.

5) Am old F riedm an , John F pie, F orr est Wilson 공저, 윤도근 ・유희준 역,

(12)

2 . 테 이 블 의 일 반 적 고 찰 과 시 대 적 변 천

1) 테이블에 대한 일반적 고찰

인간 본연의 진리 추구의 바램은 개개인간의 내면적 활동과 인간과 인간의 긴밀한 접촉을 통해 실현된다. 개개인간의 내면적 활동은 정신적인 명상의 과 정을 거치게 되며, 이 같은 과정은 조용한 공간을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필 요로 하게 된다. 또한 인간과 인간이 서로의 대화를 나누기 위한 긴밀한 만남 을 원할 때도 우리는 편안하게 서로를 내보일 수 있는 부드러운 분위기의 공간 을 원하게 된다. 이 같은 인간적 필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매체로서의 테이 블은 인간생활에 있어 중요한 기능을 갖게 된다.

인간은 신체 구조상 입식생활을 하게 되므로 일상의 동작을 통하여 일정한 높이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한 높이 위에 인간이 필요로 하는 물건 등을 올 려놓고 생활에 편리하도록 만든 것이 테이블이라 할 수 있다. 테이블이란 식사, 응접, 회의 등에 쓰이는 가구의 총칭으로 일반적으로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상 판과 이것을 지지하는 다리로 구성된다.

2) 테이블의 시대적 변천

테이블을 역사적으로 고찰해 볼 때, 테이블로서의 구조에 원형질이 될 수 있 는 것으로 고대 이집트 4왕조의 자료에 있는 공물대(供物臺)로써의 테이블이 있다. 이것은 장방형의 널빤지를 4개의 다리로 받치고 다리를 각각 꿸대로 결 합한 것으로 식탁으로도 사용되었다. 이집트의 식탁은 대개 소형으로 일인용이 다. 공물대와 식탁은 고대 테이블의 기본적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고대 그

「인테리어 디자인」, 형제사, 1976, p3.

(13)

리스에서도 공물대와 식탁은 같은 형식이며 장방형이 널빤지를 3개의 다리고 지지한 소형 테이블이 많이 쓰였다. 고대 로마에서는 목재로 된 것 외에 대리 석을 사용하여 테이블을 만들었으며 식탁에는 원형이나 사각형의 대리석 테이 블이 사용되었다.

그밖에 스핑크스나 동물의 다리로 지지한 원형, 삼각테이블, 정교한 조각을 한 청동 장식대, 장방형의 대리석판과 청동으로 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다 리로 지지한 사이드테이블(side table)이 있다. 중세기에는 주거형태나 생활양식 의 변화에 따라 판과 다리를 분리할 수 있게 만든 가각식(架脚式)이란 간소한 식사용 테이블이 보급되었다. 식당이 따로 없었던 중세의 저택에서는 이동하기 편리한 형식이 요구되었기 때문이다. 르네상스 시대에도 가각식 테이블이 유행 하였으나 판과 다리가 고정되고 곡선의 호화로운 조각이 장식된 것이었다. 한 편 승원(僧院)의 리펠터리(refectory ) 테이블이라고 하는 대형 테이블도 식탁으 로써 보급되었으며 테이블의 공간을 넓게 하기 위한 확대 테이블은 영국이나 프랑스에서 유행하였다.

16세기까지의 테이블은 주로 식탁용이었다. 그러나 17세기에 들어서면서 식 탁 보조형 사이드(side)테이블, 홀이나 갤러리의 벽을 장식하기 위한 콘솔 (con sole)테이블, 거울과 테이블을 짝지은 화장테이블, 밑바닥에 소형 서랍이 달 린 라이팅(writing )테이블등이 사용되었다.

18세기에는 자수, 편물 등을 할 때 쓰이는 워크(w ork )테이블, 장식용의 피어 (pier )테이블, 티(t ea )테이블이나 아침식사(br eakfast ) 테이블 등 생활 목적에 알 맞은 각종 테이블을 만들게 되었다. 이것들은 모두 조각, 상감, 쪽매, 도금 따위 의 장식을 한 호화로운 것이었으나 19세기 이후부터는 장식용보다는 점차 기능 을 중시하여 단순한 형태로 만들게 되었다.6 )

(14)

한편, 우리 나라의 경우 안방과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좌식생활을 하여온 서 안(書案)과 소반(小盤)이 테이블의 기능으로 사용되었다. 서안은 글을 쓰거나 읽을 때 사용하는 것이데 궤상(机床)과 경상(經床)으로 분류된다.7 ) 궤상은 일반 민가에서 사용된 직선적인 단순한 형태이며, 경상은 사찰에서 불경을 읽을 때 상용되었지만 후에 일반 가정에서도 사용되었다. 경상은 중국의 영향을 입은 것이었으나 우리 민족의 기호와 생활양식에 따라 변화되어 중국의 것에 비해 날렵하고 세련된 미를 보여준다.8 ) 소반은 온돌실 난방에 의한 가옥구조와 남녀 상하의 구별이 뚜렷하던 우리나라의 생활관습에 따라 여러 가지 소반의 발달을 가져왔다.9 ) 또한 조선조 중기 인조로부터 영조 27년 사이에 돈(墩) 이라는 도 제의자가 나타나는데 백자에 투각을 하여 청화, 진사, 철화 등으로 용문이나 포 도문 등 사실적 문양을 표현하기도 했다.

해방이후 도시화에 따르는 도시인구 집중현상, 핵가족화 현상에 의한 가구 수 증가 등에 따라 1960년대 이후에 공동주택인 아파트 출현과 함께10 ) 우리의 생활방식이 좌식생활에서 입식생활로 바뀌게 되었다. 근래에 이르러 주거양식 의 변화에 따라 테이블에 대한 수용의 급증과 더불어 기호도 다양해졌다. 그래 서 테이블 생산업체 수 또한 늘어가고 있으며 작품활동을 위주로 하는 작가들 도 이에 부응하여 참여도가 늘어가고 있어 다각적인 면에서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근래에 와서 사회구조와 생활방식의 변천에 의해, 주거내에서 거실의 중요성 은 더욱 신장되었다. 이것은 현대인들이 과거와는 달리 가족 중심의 능률적인 주 6) 金漢 , 「세계대백과사전 下」, 서울, 동아출판사, 1985, p.134.

7) 배만실, 「이조 목공가구의 미」, 서울, 보성문화사, 1985, p.52

8) 김경옥, 「이조시대 사랑방 가구에 대한 연구」, 서울, 이화여대대학원, 1975, p.34.

9) 배만실, 「한국 목가구의 전통양식」,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8, p .141 주 10) 주종선, 「서민층을 위한 아파트의 실내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서울,

홍익대학교 산미대학원, 1980, p.34

(15)

생활방식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거실과 다른 공간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 주거 전체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다는 점에 기인되고 있다.11) 따라 서 오늘날의 생활로 본 거실의 확립은 곧 개실(開室)의 확립을 뜻하는 것이다.

가족의 단란과 결속을 다지는 것이 되며, 식(食), 침(寢),의 분리가 명백한 주거 생활에 있어서 거실은 여가시간을 보내는 가족단락의 장소와 휴식, 접객, 사고, 독서, 식사, 가사 등의 장소 및 옥내의 생활 공간의 접속 점으로써 기능을 가지 고 있다.

주거생활의 분화와 결합의 모체로써 가족생활의 중심이 되는 거실의 가구중 의 하나인 테이블은 다기, 과기, 읽을 거리 등을 놓을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또 타가구와 미적 조화를 이루어 거실공간을 장식하는 장식기능을 가지고 인간에 게 심미적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몇 테이블은 개인 영역과 공 동 영역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규격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블 판에 있어서 최적 규격의 권장 치수는 762×686㎜ 이다. 좌식용 테이블의 높이는 300~350㎜가 적당하며, 의자를 사용하는 테이블의 높이는 800~850㎜가 적당 하다.12)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응접용 테이블 높이의 일반적 규격은 놓여지는 장 소나 사용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인간공학적 치수인 무릎높이 상하 에 일 치되는 평균 높이는 442㎜이다.

테이블이 수반되는 의자는 가구의 하나로써 자체가 기능을 지닌 도구이다.

의자는 사람이 앉기 위한 도구이다. 그러나 의자의 기원이 권좌(權座)에서 유래 한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것은 편하게 앉기 위한 것만으로 그 기능을 다하 는 것이 아니다. 그 제작 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지니게 되는 도구인 것이 다. 테이블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1) 박홍, 「주택의 인테리어」, 서울, 기문당, 1988, p .34.

12) 최상헌(역), 「인체치수와 실내공간」, 서울, 대우출판사, 1991, pp.156~160.

(16)

[표1] 테이블의 종류

분류방법

1. 형태상분류 원형테이블, 사각테이블, 소(small)테이블, 긴테이블

2. 용도상분류

리펙터리(refectory )테이블, 사이드(side)테이블, 콘솔(con sole)테이블, 라이팅(writing )테이블, 워크(w ork )테이블, 피어(pier )테이블,

티(tea)테이블, 식사테이블

3. 구조상분류 고정식테이블, 접는테이블, 회전테이블, 조립식테이블

4. 재료별분류 목제테이블, 금소테이블, 플라스틱테이블,

등나무테이블, 유리테이블, 가죽테이블, 직물테이불

5. 사용자에 의한 분류

유아용 테이블, 소아용테이블, 학생용테이블, 노인용테이블, 장애자를 위한 테이블

(17)

3 . 도 제 테 이 블 의 실 제 제 작 과 예

온돌문화권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테이블의 발달은 해방 이후 주거형태 의 변화와 1960년 이후 경제개발 정책으로 주거형태가 서양식으로 변화되면서 테이블의 필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13 ) 주거 공간은 가족의 일상 생활을 위하여 복합적인 목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공간이다. 이러한 주거공 간이 목적을 다하기 위해서는 안정성이 있어야 하며 쾌적하고 편안한 환경이 되어야 한다. 휴식과 오락이 가능하며 개개인의 정서적인 취양이 반영되고 경 제적이어야 하는 등의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사회제도와 문화의 변화,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이러한 조건에 적합 하게 주거공간도 변화하게 된다. 서구의 주거공간은 하나의 구조체로써 일상생 활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단일 목적을 지닌 여러개의 실로 구성되 었지만 동양에서는 개개의 실이 다목적 기능을 가져왔다. 현재 우리나라의 주 거공간은 거주자의 주생활 자체가 전통적인 개념과 서구적인 개념이 복합적으 로 내재된 것으로 절충적인 형태를 보인다.

한편, 단독가구의 증가와 인구의 도시집중, 가치관의 변화는 아파트를 비롯한 소형 임대주택의 수요을 부채질함으로써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거주자들의 주거환경에 대한 인식 을 높이고 사회적인 측면에서 미래지향적인 주거환경에 대한 연구를 가속화시 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주 13) 주종선, 「서민층을 위한 아파트의 실내공간 디자인에 관한연구」

서울, 홍익대학교 산미대학원, 1980, p.4.

(18)

따라서 산업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이 생활 속에서의 안락함, 개성과 여 유를 찾으려는 경향으로 바꾸었다. 이런 변화로 기능 중심의 테이블에서 기능 과 미적 요소를 겸비한 테이블이 등장하였다. 도제 테이블도 이러한 시대적 변 화에 따라 근래에 이르러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도제테이블은 내구성 및 기능성이 중요시될 뿐만 아니라, 테이블 자체가 생활공간 속에서 장식효과를 겸할 수 있도록 조형적인 측면도 고려하여 제작되고 있다. 도제 테이블의 개념은 조형 작품뿐만 아니라, 실용성을 지니고 인간의 생활환경을 안락하고 아름답도록 조성하는 매체로서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제 테이블의 새로운 경향은 일상용품의 기능주의 적 성격보다는 작가의 독창적인 조형언어를 전달해 줄 수 있는 조형 매체로서 형상화되고 있 다. 또한 도제테이블은 흙만이 가지는 따뜻함과 물성적 요소들을 다양하게 변 화시킨 새로운 디자인으로 타 재료들이 갖지 못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도자테이블은 재료보다 표현이 자유롭고 촉각적인 느낌에 있어 부드러움을 유발할 수 있으며 견고하고 오랜 시간 열이나 기후의 변화에 견딜 수 있는 장 점이 있다.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도제테이블의 유형을 고찰해 보면 첫째, 주로 도예가들에 의해서 제작되어지는 예술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일품공예 성격을 띤 테이블이 있다. 둘째, 생산업체에서 상품으로 양산되는 제품으로 크게 구별 할 수 있다. 도예가들에 의해 제작되어 지는 테이블은 전시 개발품이나 연구활 동을 통해 주로 제작되어 왔다. 종례의 제작방법은 첫째, 항아리의 형태를 띤

(19)

원형의 기물에 유리판을 사용해 부분적으로 조립하여 기능을 부여했거나 둘째, 타일과 유사한 형태의 부품들을 도자재료로 제작하여 나무나 금속의 부재료로 틀을 만들어 조립을 했던 제품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 이르러 독특한 형태나 새로운 제작기법을 응용함으로써 형태, 구조, 장식, 재료에 다양 한 내용으로 표현되고 있다. 특히 예술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 나며 신 재료 및 표현기법은 제품마다 제각기 독특한 형태나 내용으로 표현되 어져 생활도자의 새로운 분야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몇몇 종류는 회화성 이 있는 작품들의 파편을 조립하여 제작하는 것도 있으며, 사용부분(윗판)과 다 리부분(받침대)을 모두 도자로 제작하여 예술성과 희귀성을 강조하고 있는 제 품들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테이블은 도자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들 에 의해 수요가 늘어가고 있으며 도예가들의 이 분야에 참여하는 숫자가 늘고 있으며 창작활동을 통하여 많은 제품이 제작되고 있다. 생산업체의 제품은 대 부분 규격화에 의한 대량생산 방식이여서 디자인의 다양화보다는 생산단가나 이윤추구를 위한 판매전략 상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생산내용을 살펴보면 소반과 비슷한 소형테이블은 몇 종류가 국내에서 생산 되고 있다. 그러나 까다로운 기술 공정이 요구되는 4인- 6인용 이상의 테이블은 일본이나, 이태리, 미국등 외국제품 이외는 국내에서 거의 생산되지 않고 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소형테이블은 윗판만 타일제작 기법으로 만들어지며 전사기 법을 이용하여 문양을 장식한 후 다리부분을 목재로 틀을 만들어 조립한 것이 대부분이다.14 )

주 14) 이명복, 「도자제 응접탁자 개발에 관한 연구」, 전북, 원광대학교 대학원, 1991, p.8.

(20)

테이블은 첫째, 다리부분만 도자재료로 만들고 유리판을 사용 부분을 조립한 경우과 둘째, 타일모양의 판을 만들어 각 부분의 판을 조립하여 완성한 것, 셋 째, 윗판과 다리부분을 화려한 색채로 구성한 테이블 등 신재료의 개발과 제작 기술의 발달로 다양하게 만들어지고 있다.

국・내외 도자제 테이블을 형태, 구조, 장식, 재료별로 구분해보면 각각의 특 징적 요소를 갖고 있다. 형태면에서 윗판과 윗판부분을 적당한 높이로 받쳐줄 수 있는 다리부분으로 구별할 수 있는 형태 [圖 1- 8], 윗판과 받침대가 한 몸체 로 제작된 유형 [圖 9- 12], 받침대는 도자재료로 형태를 만들고 유리판으로 윗 판으로 만든 형태 [圖 1- 8], 윗판은 크고 작은 타일판을 조립하여 제작한 테이 블의 유형 [圖 9- 12], 윗판과 다리가 한 몸체로 제작된 테이블 [圖 9- 14] 은 도 자자재 특징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제작과정 중 크기에 따라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제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제품들 은 다양한 변화보다는 안정된 형태로 디자인 된 것이 주종을 이루고있다.

[圖1- 8]는 자기나 석기제품이며 성형이나 장식기법에서 작가의 독특한 개성과 디자인을 이용하여 제작한 것이다.

[圖9- 12]는 타일이나 장식기법을 이용한 4개의 다리를 가진 모던 양식의 테이 블이다.

[圖15- 16]는 고전양식의 테이블로써 장식기법의 화려함과 다양한 다리의 구조 를 가진 테이블이다.

(21)
(22)
(23)
(24)
(25)

Ⅲ . 작 품 제 작 과 정 및 해 설

1 . 제 작 과 정

작품을 디자인함에 있어서는 사각형을 기본형태로 하였고 , 단순한 형태를 보완하고 생동감을 주기 위하여 직선을 변형하여 나타내었다. 제작방법은 작품 의 크기와 형태를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판 성형 방법을 사용하고 테이 블 윗면의 두께를 일정하게 맞추고 정확한 접합을 위해 가압 성형방법을 사용 하였다.

판을 성형할 때에는 천을 이용하여 원하는 사이즈나 두께의 판을 평평한 도 구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밀어 놓으면 하루 지나 반건조 상태에서 사용한 다. 반건조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자르는 과정에서나 성형된 판에 옮겨붙일 때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고 소성후의 결과도 훨씬 안정적이다.

가압성형 건조시 흙 판의 뒤틀림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주의하여 건조하는 과 정에 시간을 두거나 나무판을 이용해 흙판을 고정시키는 등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였다.

1) 소지

작품 제작에 있어 소지의 선택은 아주 중요한 문제로 어떤 재료를 선택 사용 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느낌을 느끼게 한다. 본 작업은 휨과 뒤틀림을 최소 화 하기 위해서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였으며, 소지와 소지의 입자를 조절하여 배합하였다.

(26)

원료 조합비(% ) 입자 굵기

산청토 60 40

분청토 40 120

[표2] 소지 조합비

원료 조합비(% ) 입자 굵기

석기질점토 80 40

산청토 20 40

[표3] 소지 조합비

2) 표면처리

소지의 특성상 입자가 굵고 거칠기 때문에 화장토로 분장을 하였다. 이때 화 장토를 규석과 와목점토를 7:3의 비율로 배합하여 분장을 하였더니, 표면은 고 와졌으나 소지와의 밀착에서 박리현상이 나타났다. 이 때 규석의 양을 줄여 사 용하였더니 문제점이 해결되었다.

60

와목점토 40

[표4] 화장토 조합비

3) 유약

본 작품은 현대적인 감각에 맞게 표현하고 안료의 발색과 유면형성을 위해 투명유 를 기본으로 사용하였고, 고화도 안료와 흑유를 시유하였다. 유약 조합비는 다음과 같 다.

(27)

투 명 유 흑 유 RED안료+투명유

40 47 4

10 7 1

석 회 석 30 20 3

카오린 10 24 1

활 석 10 1

산 화 철 15

탄산망간 3

크롬 3

RED안료 8

[표5] 유약조합비

4) 소성

소성은 0.7㎥가마에서 1.2차 소성을 하였다.

1차소성 : 0.7㎥가마에서 8시간에 걸쳐서 850℃까지 소성을 하였다. 1차 소성 의 목적은 기물의 강도를 높여주고 흡수성을 증대시켜 시유시 유약과의 밀착을 용이하게 하며 운반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너무 낮은 온도에서 소 성하면 강도가 낮아지며 유약과의 밀착이 안 좋으며 너무 높은 온도에서 소성 하면 흡수율이 감소, 시유시 유약의 밀착이 어렵다.

2차소성 : 0.7㎥가마에서 [작품 3, 4, 5, 6, 11, 12]은 1230℃ ~ 1250℃까지 8 시간 산화소성 하였으며, [작품 1, 2, 7, 8, 9, 10]은 1250℃까지 10시간 환원소 성 하였다. 또한 소성 후 24시간 이상 냉각하여 급냉에서 오는 파열을 방지하 였다.

(28)

1300

1200

1100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온도 시간

1 2 3 4 5 6 7 8 9 10 11 12

[표6] 소성도표

(29)

2 . 작 품 해 설

[작 품 1 , 2 ] 초기작품으로 테이블 작업을 전개함에 있어 계기가 된 작품이다. 직 선형태의 문양을 그린 후에 화장토로 분장하였다. 문양과 형태가 어우러져 생 동감을 느낄 수 있다.

소지 : 혼합토, 산청토 성형 : 흙판 성형 시유 : 투명유, 안료

소성 : 1250 ℃ 0.7㎥가스가마, 환원소성

[작 품 3 ] 사각형의 근본적인 형태와 직선형태을 변형하여 나타내어 생동감있게 나타내었으며 현대적인 감각에 맞게 표현하고자 하였다.

소지 : 석기질 점토 성형 : 흙판성형

시유 : 투명유, 안료, 흑유

소성 : 1250 ℃ 0.7㎥가스가마, 산화소성

[작 품 4 , 5 , 6 ] 기본적인 사각형 형태에서 비대칭 형태로 변형하여 제작한 작품 이다. 평면에서 오는 지루함을 해소하고자 각기다른 변형된 직선 형태를 나타 내었으며 유약에 변화를 주었을 때 느껴지는 효과에 차별화를 두고자 하였다

소지 : 석기질점토 성형 : 흙판성형

시유 : 투명유, 안료, 흑유

소성 : 1250 ℃ 0.7㎥가스가마 산화소성

(30)

[작 품 7 , 8 , 9 ] 작품 1,2 의 작업을 보다 발전시키고자 했다. 일률적인 직선형태 를 대칭적으로 표현하여 형태의 단순함을 보완하고자 했다.

소지 : 석기질점토 성형 : 흙판성형

시유 : 투명유, 안료, 분청유

소성 : 1250 ℃ 0.7㎥가스가마, 환원소성

[작 품 10 ] 가압성형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화장토로 분장한 후 선을 표현하여 정 사각형태에서 느껴지는 경직된 느낌을 유약의 두께 변화를 통해 유화하고자 하 였다.

소지 : 석기질점토 성형 : 가압성형

시유 : 투명유, 안료, 흑유

소성 : 1250 ℃ 0.7㎥가스가마, 환원소성

[작 품 1 1 , 12 ] 단순한 사각형태에서 느껴지는 지루함을 안료를 이용해 시유함으 로써 해소하고자 하였으며 선의 간격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주었다.

소지 : 석기질점토 성형 : 흙판성형

시유 : 투명유, 안료, 흑유

소성 : 1250 ℃ 0.7㎥가스가마, 산화소성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Ⅳ . 결 론

본 작품 연구는 어느 가정에서나 흔히 볼 수 있고 사용되고 있는 테이블을 일차적인 기능성과 함께 장식성을 공유함으로서 실내공간을 위한 새로운 도자 조형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테이블은 생활의 필수품으로 현 대에 있어 기능과 조형성이 결합된 도제 테이블 개발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되 는 시점에 있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테이블에 관한 일반적 고찰 및 도제 테이블의 실 제 제작과 예 등을 각종 자료 및 참고문헌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아 울러 테이블의 제작에 있어 현대 실내공간에 있어서 새롭게 재조명함으로써 새 로운 가치를 지닐 수 있다는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또한 도자예술을 바탕으로 하여 실내 공간에서 아름답게 꾸며지고 사용되어 질 수 있는 장식을 겸함 테이 블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테이블 제작의 바탕은 사각형태에서 도입되었 고 이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조형세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문제점은 작품제작에 있어서 윗면을 평평하게 제작해도 건조와 소성과정에서 형태변형으로 수평을 맞추기가 어려웠던 점이다. 이 점은 테이블 을 성형할 때 기물 안에 지지대를 설치하여 해결할 수 있었다.

본인은 본 연구를 통하여 현대 테이블 조형화 경향을 통하여 테이블 본래의 기능을 가지면서 작가의 개성적인 작품세계를 전달해 줄 수 있는 조형매체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것은 예술의 실생활이라는 기능주의 적 역할과 더불어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해 주는 매체로 발전 될 수 있으며 도제 테이블이 생활 속의 예술로서 널리 사용되어 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 하였다. 그것은 테이블을 흙으로 표현하였을 때 재료가 주는 따뜻한 느낌, 다양

(44)

한 색상, 개성적인 형태와 함께 타 재료에서 느낄 수 없는 신선한 느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인들의 생활환경에서 흙을 소재로 한 테이블은 개성적이며 안락하고, 쾌적한 분위기를 만드는데 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하는 과정에서 개선을 요하는 점이라면 테이블의 무게에 대한 배 려가 필요하였다. 이것은 소지개발과 함께 세밀한 검토를 통해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다고 보며 실용적 측면에서 연구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앞으로 보다 나은 조형미와 기능성을 갖춘 도자 테이블 개발에 발전적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45)

참 고 문 헌

김인권(역), 「조형형태론」, 서울:미진사, 1986.

김일진, 조성기, 「住居學」, 서울:동명사, 1997.

모인순, 「점토혁명- 예술언어로의 전환」, 서울:보문당, 1995.

박 홍, 「주택의 인테리어」, 서울:가문당, 1988.

배만실, 「이조 목공가구의 미」, 서울 보성문화사, 1985.

백기수, 「미학」,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1974.

신상호, 「현대도예- 미래를 향한 움직임」, 서울:이화여자 대학 교 출판부, 1988.

이연숙, 「주택과 인테리어」, 서울:기문당, 1988.

이연숙, 「서양의 실내공간과 가구의 역사 고대 - 바로크」, 경춘사, 1987.

조요한, 「예술철학」, 서울:경문사, 1973.

최상헌, 「인체치수와 실내공간」, 서울:대우출판사, 1991.

가드클락, 「도자예술의 새로운 시각」, 신광석(역), 서울:동문선, 1990.

르네위그, 「예술과 영혼」, 김화영(역), 서울:열화당, 1973.

콜링우드, 「예술 철학개론」, 이인철(역), 서울:정음사, 1978.

허버트리이드, 「예술이란 무엇인가」, 서울:을유문화사, 1969.

김경옥, 「이조시대 사랑방 가구에 대한 연구」,

서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1975.

김경자, 「자연을 형상화 한 도자작품 연구」,

서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1992.

(46)

A b s tr ac t

A S t udy o n t he Ce r ami c Tabl e f o r I ndo o r Spac e

by Chung , S ung M in

Study of Cer amic Art

Gr adu ate School of Design , Kookmin Univ er sity Seoul, Korea

Sin ce the beginning of hum an hist ory , it h as been continued th at m an giv es an effort to improving living environm ent int o a direction of comfort able and pleas ant living by endles sly improving the envir onm ent of the people ' s living space. In particular , in m odern times , fine art s in h arm ony w ith environm ent is a n atur al result such a dem and t o impr ov e environm ent , thereby being gr adu ally embos sed w ith it s aspect of s ocial function .

T hu s , it is a dem and th at by br eaking from the closed envir onm ent an d m onotonou s living environm ent in the past , then

(47)

furnishing surr ounding environm ent m ore beautifully and re- cr eating new indoor space, people enjoy their comfort able living . How ev er , ev en though living pattern s becam e div er sified an d conv enient , m ost of the living space of the g ener al public or visu al environm ent is becoming gr adu ally an d uniformly st andar dized for erecting apartm ent hou s es , communities of dw elling hou ses , etc . along w ith in crease of population .

In th at point of view , this study int ended to res ear ch into an d dev elop the cer amic t able w hich w ill new ly decor ate or orn am ent the indoor space of gen er al hou ses , apartm ent hou ses , t enem ent hou ses , et c., thereby helping the form ation of space im ages in the pleas ant and comfort able living space w hich h as both utility and decor ation or orn am ent ation .

F or such a study , in the fir st place, the t able w as review ed and studied through som e docum ent s ; then the concept and ch ar act eristics of indoor space w ere an alytically stu died ; then t ables w ere pr oduced in con sider ation of both the fun ction al aspect an d form ativ e aspect . T he b asic principle of t able design w as to tr an sform an d combine, m aking the qu adr an gles the prime object . Als o, in or der to giv e a s en se of anim ation to the t able, a linear form w as tr an sform ed so

(48)

th at a new , form al feeling can be felt .

F in ally , it is hoped th a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 gest s a new type of cer amic t ables w hich show another form s ; an d b ased on it , v ariou s articles or goods can be pr oduced w ith cer amic m at erials ; and comfort and visu al beauty can be creat ed in indoor space.

참조

관련 문서

(아)부정적인 경험에 대한 후회와 반성이 약하면서 자신 삶의 일부로도 받아들 이지 못하고,주변의 무관심과 갈등 속에서 부정적으로 변화하면서 생활에 부적응하지

참여 실태에 따른 인식과 만족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대중무용에 관 한 인식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참여 동기에 따 른

결과적으로 최근의 급격한 환경변화의 영향으로 공공기관 부문의 경우 세계화, 정보화로 대변되는 새로운 시대적 조류의 한 가운데서 종래에는 경험해 보지

성을 비교 연구한 결과 이성분계 블렌드는 전형적인 불상용성을 보였지만 삼성분 계인 PP/PE/EPDM의 경우 EPDM의 함량 증가에 따라 블렌드 점도가 증가하였고

승패를 다루는 경쟁 스포츠는 본질적으로 서로 실력을 견주어 승․패를 쟁취한다 는 경쟁의 형식을 취하기 때문에 항상 규칙이라는 것이 존재하며,이 규칙의 적용

한 인간의 감성과 내적 가치를 확대하기 위해 음악을 배움으로써 청소년들에게 음악 을 통한 의미 있는 경험을 체험케 하고 이를 통하여 국가 사회의 일원으로서

〈황제편〉에서 사사로운 인간의 모든 감정과 욕망을 개입시키지 않아야 진정 자 연과 인간이 합치될 수 있다고 하였다. 인간은 자연 공간 속에 실재하지만 인간의

이러한 무용교육은 여타 예술 활동 중에서도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표현하는 종합예술로서 인간이 주체가 되고 인간을 매개체로 하여 감정을 표현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