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작 품 1 , 2 ] 초기작품으로 테이블 작업을 전개함에 있어 계기가 된 작품이다. 직 선형태의 문양을 그린 후에 화장토로 분장하였다. 문양과 형태가 어우러져 생 동감을 느낄 수 있다.

소지 : 혼합토, 산청토 성형 : 흙판 성형 시유 : 투명유, 안료

소성 : 1250 ℃ 0.7㎥가스가마, 환원소성

[작 품 3 ] 사각형의 근본적인 형태와 직선형태을 변형하여 나타내어 생동감있게 나타내었으며 현대적인 감각에 맞게 표현하고자 하였다.

소지 : 석기질 점토 성형 : 흙판성형

시유 : 투명유, 안료, 흑유

소성 : 1250 ℃ 0.7㎥가스가마, 산화소성

[작 품 4 , 5 , 6 ] 기본적인 사각형 형태에서 비대칭 형태로 변형하여 제작한 작품 이다. 평면에서 오는 지루함을 해소하고자 각기다른 변형된 직선 형태를 나타 내었으며 유약에 변화를 주었을 때 느껴지는 효과에 차별화를 두고자 하였다

소지 : 석기질점토 성형 : 흙판성형

시유 : 투명유, 안료, 흑유

소성 : 1250 ℃ 0.7㎥가스가마 산화소성

[작 품 7 , 8 , 9 ] 작품 1,2 의 작업을 보다 발전시키고자 했다. 일률적인 직선형태 를 대칭적으로 표현하여 형태의 단순함을 보완하고자 했다.

소지 : 석기질점토 성형 : 흙판성형

시유 : 투명유, 안료, 분청유

소성 : 1250 ℃ 0.7㎥가스가마, 환원소성

[작 품 10 ] 가압성형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화장토로 분장한 후 선을 표현하여 정 사각형태에서 느껴지는 경직된 느낌을 유약의 두께 변화를 통해 유화하고자 하 였다.

소지 : 석기질점토 성형 : 가압성형

시유 : 투명유, 안료, 흑유

소성 : 1250 ℃ 0.7㎥가스가마, 환원소성

[작 품 1 1 , 12 ] 단순한 사각형태에서 느껴지는 지루함을 안료를 이용해 시유함으 로써 해소하고자 하였으며 선의 간격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주었다.

소지 : 석기질점토 성형 : 흙판성형

시유 : 투명유, 안료, 흑유

소성 : 1250 ℃ 0.7㎥가스가마, 산화소성

Ⅳ . 결 론

본 작품 연구는 어느 가정에서나 흔히 볼 수 있고 사용되고 있는 테이블을 일차적인 기능성과 함께 장식성을 공유함으로서 실내공간을 위한 새로운 도자 조형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테이블은 생활의 필수품으로 현 대에 있어 기능과 조형성이 결합된 도제 테이블 개발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되 는 시점에 있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테이블에 관한 일반적 고찰 및 도제 테이블의 실 제 제작과 예 등을 각종 자료 및 참고문헌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아 울러 테이블의 제작에 있어 현대 실내공간에 있어서 새롭게 재조명함으로써 새 로운 가치를 지닐 수 있다는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또한 도자예술을 바탕으로 하여 실내 공간에서 아름답게 꾸며지고 사용되어 질 수 있는 장식을 겸함 테이 블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테이블 제작의 바탕은 사각형태에서 도입되었 고 이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조형세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문제점은 작품제작에 있어서 윗면을 평평하게 제작해도 건조와 소성과정에서 형태변형으로 수평을 맞추기가 어려웠던 점이다. 이 점은 테이블 을 성형할 때 기물 안에 지지대를 설치하여 해결할 수 있었다.

본인은 본 연구를 통하여 현대 테이블 조형화 경향을 통하여 테이블 본래의 기능을 가지면서 작가의 개성적인 작품세계를 전달해 줄 수 있는 조형매체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것은 예술의 실생활이라는 기능주의 적 역할과 더불어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해 주는 매체로 발전 될 수 있으며 도제 테이블이 생활 속의 예술로서 널리 사용되어 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 하였다. 그것은 테이블을 흙으로 표현하였을 때 재료가 주는 따뜻한 느낌, 다양

한 색상, 개성적인 형태와 함께 타 재료에서 느낄 수 없는 신선한 느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인들의 생활환경에서 흙을 소재로 한 테이블은 개성적이며 안락하고, 쾌적한 분위기를 만드는데 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하는 과정에서 개선을 요하는 점이라면 테이블의 무게에 대한 배 려가 필요하였다. 이것은 소지개발과 함께 세밀한 검토를 통해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다고 보며 실용적 측면에서 연구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앞으로 보다 나은 조형미와 기능성을 갖춘 도자 테이블 개발에 발전적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참 고 문 헌

A b s tr ac t

A S t udy o n t he Ce r ami c Tabl e f o r I ndo o r Spac e

by Chung , S ung M in

Study of Cer amic Art

Gr adu ate School of Design , Kookmin Univ er sity Seoul, Korea

Sin ce the beginning of hum an hist ory , it h as been continued th at m an giv es an effort to improving living environm ent int o a direction of comfort able and pleas ant living by endles sly improving the envir onm ent of the people ' s living space. In particular , in m odern times , fine art s in h arm ony w ith environm ent is a n atur al result such a dem and t o impr ov e environm ent , thereby being gr adu ally embos sed w ith it s aspect of s ocial function .

T hu s , it is a dem and th at by br eaking from the closed envir onm ent an d m onotonou s living environm ent in the past , then

furnishing surr ounding environm ent m ore beautifully and re- cr eating new indoor space, people enjoy their comfort able living . How ev er , ev en though living pattern s becam e div er sified an d conv enient , m ost of the living space of the g ener al public or visu al environm ent is becoming gr adu ally an d uniformly st andar dized for erecting apartm ent hou s es , communities of dw elling hou ses , etc . along w ith in crease of population .

In th at point of view , this study int ended to res ear ch into an d dev elop the cer amic t able w hich w ill new ly decor ate or orn am ent the indoor space of gen er al hou ses , apartm ent hou ses , t enem ent hou ses , et c., thereby helping the form ation of space im ages in the pleas ant and comfort able living space w hich h as both utility and decor ation or orn am ent ation .

F or such a study , in the fir st place, the t able w as review ed and studied through som e docum ent s ; then the concept and ch ar act eristics of indoor space w ere an alytically stu died ; then t ables w ere pr oduced in con sider ation of both the fun ction al aspect an d form ativ e aspect . T he b asic principle of t able design w as to tr an sform an d combine, m aking the qu adr an gles the prime object . Als o, in or der to giv e a s en se of anim ation to the t able, a linear form w as tr an sform ed so

th at a new , form al feeling can be felt .

F in ally , it is hoped th a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 gest s a new type of cer amic t ables w hich show another form s ; an d b ased on it , v ariou s articles or goods can be pr oduced w ith cer amic m at erials ; and comfort and visu al beauty can be creat ed in indoor spac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