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linical Significance of Mesenteric Lymph Nodes Detected on Postoperative CT after a Total Pharyngolaryngectomy and Reconstruction with a Jejunal Free Flap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linical Significance of Mesenteric Lymph Nodes Detected on Postoperative CT after a Total Pharyngolaryngectomy and Reconstruction with a Jejunal Free Flap"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하인두와 후두의 진행성 암의 수술적 치료로는 인후두전적 출술이 시행되며 절제된 길이와 결손 부위의 정도에 따라 단 단연결술(end-to-end anastomosis) 을 시행하기 어려운 경 우, 인후두재건술을 시행하게 된다(1, 2). 인후두재건술의 종 류에는 크게 대흉근피판(pectoralis major muscle flap)과 같 은 근육피판을 사용하는 방법과 소장의 일부인 공장을 부분 적으로 절제하여 재건하는 방법이 있다. 공장유리피판(jejunal free flap)을 사용하는 경우 공장과 같이 수확되는 장간막에 있는 장간막 동정맥 분지를 상갑상선동정맥과 각각 연결해 주어 유리피판의 혈액 순환을 재건한다(3, 4). 이때, 장간막 내에는 정상적으로 림프절을 비롯한 림프순환계가 존재하므 로 공장유리피판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는 경우, 림프절 도 같이 이식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수술 후 시행한 컴퓨 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상에서 공장유리 피판 내의 장간막 림프절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공장유

리피판 재건술을 시행한 후 보이는 장간막 림프절의 빈도를 비롯한 정상 영상소견에 대한 보고는 드물며, 장간막 림프절 의 영상소견 중 국소 재발을 시사하는 소견에 대한 연구 또 한 없다.

따라서 저자들은 본 연구를 통하여 후두하인두에 발생한 상 피세포암으로 인후두전적출술과 공장유리피판을 이용한 재건 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추적 CT 검사상 보이는 장간막 림프 절의 빈도와 정상 및 국소 재발을 시사하는 CT 소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대상 환자

1997년 1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진행성 후두-하인두암으 로 본원에서 인후두전적출술과 공장유리피판을 이용한 재건술 을 시행 받은 21명의 환자 중, 수술 후 시행한 추적 CT가 있 는 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이 되었던 환자 중 16명은 남자, 1명은 여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65세였다(범위,

진행성 후두하인두암으로 인후두전적출술과 공장유리피판으로 재건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수술 후 CT에서 관찰되는

장간막 림프절의 임상적 의의

1

김선미・이정현・최진우・최병세・정경순・이덕희・최충곤・김상윤2・김상준

목적: 인후두암 환자에서 인후두전절제술과 공장유리피판 재건술 후 시행한 CT에서의 장간막 림프절의 빈도, 정상 및 국소 재발을 시사하는 CT 소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7년부터 2005년까지 인후두전적출술과 공장유리피판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

자 중 추적 CT가 있는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T 상 보이는 장간막 림프절의 수, 최대단 경, 모양, 중심괴사 및 피질조영증강 유무를 살펴보고, 추적 CT에게서의 변화를 평가하고, 국 소 재발 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 시행된 최초의 CT 상, 17명의 환자 중 장간막 림프절이 발견되지 않은 1 명을 제외한 16명에서 평균 2개(범위, 1-4개)의 림프절이 있었고, 최대단경은 5-18 mm의 분포 를 보였다. 두 번 이상 CT를 시행한 11명의 환자 중 국소 재발이 확진된 2 명의 환자에게서 만 림프절이 생기거나 커졌고, 재발이 없는 경우 크기가 변화하지 않거나 작아졌다. 국소 재발 여부에 따라 발견된 림프절의 수, 크기, 모양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재발이 있었던 환자 의 림프절은 모두 피질조영증강이 있었고, 없었던 경우 12개 림프절중 4개에서 피질조영증강 이 있었다. 중심괴사의 소견은 전 예에서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인후두전적출술과 공장유리피판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추적 CT 상 발견되는 장 간막 림프절은 매우 흔한 소견이다. 장간막 림프절의 대부분은 반응성 림프절이지만, 추적 검 사에서 장간막 림프절이 생기거나 커지는 경우 국소 재발 우려를 고려해야 한다.

1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2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이 논문은 2007년 8월 9일 접수하여 2007년 9월 28일에 채택되었음.

(2)

53-75세). 한 명의 재발성 후두암 환자와 16명의 하인두암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모든 환자는 병리학적으로 상피세포암으 로 진단되었다.

CT 영상 기법

모든 환자에서 single detector helical CT (HiSpeed Advantage; GE medical system, Milwaukee, WI, U.S.A.) 혹 은, multidetector helical CT (LightSpeed Qx/i, GE medical system, Milwaukee, WI, U.S.A.; Sensation 16, Simens , Erlangen, Germany)가 이용되었다. 초당 3-mL의 속도로 총 90-mL의 비 이온성조영제 (Ultravist, Schering, Berlin, Germany) 300 mgI/mL를 전완정맥(antecubital vein)을 통하 여 자동주입기를 사용하여 주사한 후, 같은 속도로 생리식염 수 50-mL를 추가로 주입하였다. 스캔은 조영제를 주사한 후 40초의 지연 시간 후에 시행되었고, 두개저에서부터 흉곽입구 까지 조영증강 전후의 단면상을 얻었다. Single detector helical CT로 얻었을 때, 절편 두께 5 mm, pitch 1.5, table feed 7.5 mm/sec, slice increment 5 mm의 영상 지표를 사용하였고, multidetector CT를 사용한 경우, 절편 두께 2.5 mm, pitch 1.5, slice increment 3 mm로 단면상을 얻었다.

영상 분석

두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팩스, 영상 저장 및 전송체제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ng System: PACS) computer workstation에서 합의를 이루는 방식으로 모든 환 자의 수술 후 추적 CT scan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후 CT에서 공장유리피판과 함께 이식된 장간막의 내부에 보 이는 림프절 중 단면상에서의 최대단경 (maximum axial diameter)이 5 mm 이상인 것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이 되는 장간막 림프절의 수, 최대단경, 모양을 조사하고, 림 프절의 중심성 괴사 또는 피질조영증강 유무를 분석하였다. 피 질조영증강의 정도는 주변 근육과 비교하여 CT 밀도가 높은 경우 조영증강이 된다고 판단하였으며 가시적인 판단이 어려 울 경우,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 방법으로 CT unit 를 측정하였다. 두 번 이상의 추적 CT가 시행된 경우, 각각의 림프절의 영상 지표의 변화와 새로이 생긴 림프절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모든 영상에서 수술 후 합병증의 소견이나, 국소 재발 여부, 장간막을 제외한 기타 경부 림프절 전이 여부 등 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임상 경과 및 자료 분석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수술 후 추적 기간의 병력을 모두 조 사하였다. 먼저 수술을 시행한 후 추적 CT를 찍기 전까지, 수

Table. 1. Summary of Clinical Findings, Final Outcome, and Size of the Mesenteric Lymph Nodes on Follow-up CT in Patients without Local Tumor Recurrence

Patients Postoperative Adjuvant Size (mm) of Mesenteric Lymph Node on Follow-up CT (month) Final No LN* Complication RadioTx 1-3 4-6 7-9 10-12 13-15 16-18 19-21 22-24 25-36 Outcome

01 I Anastomosis leakage 10 10 ND

02 I 08 08 ND

03 I Yes 06 - ND

04 I 09 09 09 ND

II 07 07 07

III 07 07 07

IV 05 05 05

05 I Lymphedema Yes 10 10 10 10 10 10 ND

II 08 08 08 08 08 08

06 I Yes 05 - - - ND

07 I Yes 10 ND

II 10

08 I Yes 11 09 ND

0§9§ - ND

10 I Anastomosis Castleman’s

leakage 18 18 18 disease

11 I 08 NAⅡ

12 I Fluid collection 07 NA

II 06

III 05

IV 05

13 I Abscess 05 NA

II 05

14 I Yes 6 NA

15 I Abscess 08 NA

LN*: Mesenteric lymph node, RadioTx: Radiotherapy, ND: No evidence of disease 9§: No mesenteric lymph node on postoperative CT, NA: Not available

(3)

술과 관련된 합병증이 있었는지, 수술 후 보조방사선치료나 보 조화학요법을 시행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총 추적 기간 에, 국소 재발이나 림프절 혹은 원격 전이가 있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의무기록을 통해 CT를 촬영한 후 1년 이상의 추 적 기간 동안 국소 재발이나 전이가 발견되지 않았던 환자는 재발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추적 관찰이 가능하여 임상적으로 재발암이 있었는지에 대 한 판단이 가능한 환자 군을 대상으로, 상기 임상 소견과 CT 에서 보인 림프절의 영상 소견을 비교하여 국소 재발이 있었 던 환자와 없었던 환자의 장간막 림프절의 CT 소견을 비교하 였고, 국소 재발이 없었던 환자군에서는 수술 후 추적 CT를 시행하기 전의 임상경과와 CT 상에서 보인 림프절 소견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대상이 된 환자 17명의 평균 임상 추적 기간은 26개월이고 범위는 3-84개월이었다. 최초의 추적 CT 검사는 수술을 시 행한 후 평균 16개월(범위 1-48개월)에 시행되었으며, CT를 시행한 횟수는 평균 2회(범위 1-4) 였다.

5명의 환자에서는 12개월 이상 추적 관찰되지 않아 재발 여 부에 대해 판단할 수 없었다. 나머지 12명의 환자 중 2명에서 인두공장문합 부위에서의 국소 재발이 있었으며 10명의 환자 에서는 추적 기간에 재발의 소견은 없었다. 모든 환자에서 원 격 전이는 없었다.

수술 후 첫 추적 CT 검사에서 총 17명의 환자 중 1명에서 는 장간막 림프절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16명(94%)의 환자에 서 총 25개의 장간막 림프절이 발견되었고, 환자 한 명당 평 균 2개(범위, 1-4개)의 림프절을 가지고 있었다(Table 1, Table 2). 두 번 이상의 추적 CT에서 장간막 림프절이 생기 거나 커진 환자는 두 명이었으며 총 3개의 림프절이 새로이 발견되었다(Table 2). 두 환자 모두 같은 CT에서 인두공장문 합 부위의 국소 재발이 있었고, 조직검사 상 재발암으로 확진 되었다. 국소 재발이 동반되어 있지 않았던 한 명의 환자에서 발견된 한 개의 장간막 림프절(최대단경 18-mm)은 림프절 절제 후 병리조직검사 상 Castleman씨 병 (Castleman’s disease)으로 진단되었으며(Table 1, 환자번호 10), 재발 여

부에 따른 CT 소견의 분석에서는 제외하였다.

17명 중 1년 이상 추적 관찰되지 않은 5명을 제외하고 임 상추적이 가능했던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국소 재발의 여 부에 따라 국소 재발이 있었던 환자(2명)와 없었던 환자(9명) 로 나누어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먼저, CT에 서 발견된 림프절의 크기 분포는 Fig. 1과 같았으며, 국소 재 발이 동반된 군에서 림프절의 크기가 약간 큰 경향이 있었으 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1명의 환자에서 보인 17개의 장 간막 림프절 중 12개는 타원형의 모양을 취했으며 나머지 5 개의 림프절은 원형이었고 원형의 림프절 중 재발암 환자의 예는 단 한 예로써, 모양에서도 국소 재발 여부에 따른 차이 를 찾을 수 없었다. 총 17개의 장간막 림프절 중 6명의 환자 에서 보이는 9개의 장간막 림프절에서 피질 조영증강이 있었 다. 그 중 5개는 국소 재발 환자에서 발견된 림프절로써, 국소

Fig. 1. Size distribution of the mesenteric lymph nodes on post- operative CT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local recurrence. A dotted line means the position of each median value. No evi- dence of disease includes 12 lymph nodes in 9 patients with- out local recurrence, which was confirmed by clinical follow- up more than 1 year. Recurrence includes 5 lymph nodes in 2 patients with local recurrence at the pharyngojejunal anasto- motic site confirmed by endoscopic biopsy.

Table. 2. Summary of Clinical Findings, Final Outcome, and Size of the Mesenteric Lymph Nodes on Follow-up CT in Patients with Local Tumor Recurrence

Patients Postoperative Adjuvant Size (mm) of Mesenteric Lymph Node on Follow-up CT (month) Final No LN* Complication RadioTx 1-3 4-6 7-9 10-12 13-15 16-18 19-21 22-24 Outcome

1 I No Yes 10 11 0 11 Local recurrence

II 07 0 14

III 07 0

2 I No Yes 9 10 Local recurrence

II 11

LN*: Mesenteric lymph node, RadioTx: Radiotherapy

: The CT scans revealed recurrent tumor at the pharyngo-jejunal anastomosis as well as enlarged mesenteric lymph node(s). After patho- logic confirmation of local recurrence, chemo- and/or radiotherapy was performed for control of the disease.

(4)

재발 환자에서 보인 림프절은 모두 조영증강이 되는 소견을 보였지만, 재발이 없었던 환자에서는 12개 중 4개(33%)에서 만 관찰되었다. 림프절의 중심괴사 소견은 모든 예에서 발견 되지 않았다(Fig. 2, 3).

재발이 없는 것으로 진단된 9명 환자의 67%인 6명의 환자

에서 최초의 추적 CT를 시행하기 전,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 치료, 수술 후 합병증 등의 병력이 있었으나, 장간막 림프절 음 성이었던 환자 한 명을 포함한 나머지 세 명의 환자에서는 그 러한 병력은 없었다.

A B

C D

Fig. 2. A 68-year-old man performed total pharyngolaryngectomy, bilateral radical neck dissection and reconstruction with jejunal free flap due to hypopharynx cancer (T3N2cM0).

A. Initial follow-up CT image performed 7 months after surgery shows a 10-mm isodense mesenteric lymph node in the jejunal free flap of the anterior neck (arrow). There was no evidence of local tumor recurrence or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B, C. Follow-up CT image 11 months later shows well-enhancing circumferential mass (arrow on ‘b’) at the pharyngojejunal anas- tomosis suggesting recurrent tumor. Another CT image (C) taken at the lower level depicts the slightly increased size of the lymph node with diffuse cortical enhancement in the right anterior neck. Note a new enhancing lymph node (arrow on ‘c’) formed just lateral to the enlarged one.

D. Further follow-up CT after 3 months demonstrates both of the mesenteric lymph nodes and the recurrent mass extending into the neopharynx were markedly decreased after chemoradiation. However, the enhancing mass at the anastomosis and the mesen- teric lymph nodes due to recurrence were found on the follow-up CT after 3 months despite of therapy (not shown, here).

(5)

인후두전적출술과 공장유리피판 재건술은 하인두-후두암 환 자에서 시행하는 술기로써 두경부암에 대해 시행하는 가장 공 격적인 수술법의 하나이다. 대개 진행된 암에서 시행하게 되 므로 수술 혹은 수술 및 보조치료를 시행한 후에도 재발의 우 려가 있으며, 재발하는 경우 공장문합 부위에서의 재발이 가 장 흔하고 인두후부림프절 및 기타 경부 림프절 전이로 재발 하는 때도 있다(5, 6). 따라서 수술을 시행한 후 정기적인 이 학적 검사와 영상의학적 검사를 통하여 경부 재발 유무에 대 해 추적 관찰을 시행하게 되므로 영상의학적 입장에서 수술 후 CT의 정상 소견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공장유리피판을 사용하여 인후두를 재건하는 경우, 공장과 같이 수확되는 장간막에 있는 정상 림프절도 같이 이식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수술 후 시행한 CT 상에서 공장유리피 판 내의 장간막 림프절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공장유리피 판 재건술을 시행한 후 보이는 장간막 림프절의 빈도를 비롯 한 정상 영상소견에 대한 보고는 드물며, 장간막 림프절의 영 상소견 중 국소 재발을 시사하는 소견에 대한 연구 또한 없다.

본 연구의 결과, 총 17명 중 16명(94%)의 환자에서 수술 후 시행한 최초의 CT에서 장간막 림프절이 발견되었고, 이 가 운데 두 명의 환자에게서만 인두공장문합 부위의 국소 재발이 진단되었다. 국소 재발이 있었던 환자는, 국소 재발이 없는 환 자에게서의 추적 CT에서 림프절의 크기가 변화되지 않거나 작 아지는 것과는 달리, 림프절의 크기가 커지는 소견을 보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수술 후 추적 CT에서 장간막 림 프절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국소 재발이 있을 가능성이 있 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수술 후 추적 CT에서 장간막 림프절이 커지는 기전으로 다 음과 같은 것들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원발암의 림프절 전 이에 의한 것이다. 실제, 공장유리피판을 수술적으로 이식할 때, 수술에 의해 장간막 림프계의 손상이 오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를 통하여 수술적으로 접합된 조직 간의 림프관의 재생과 교통이 이루어짐은 이미 잘 알려졌으며(7-9), 따라서 공장유리피판의 경우에서도 장간막 림프절과 인접한 경부림프 관이 서로 재생되어 교통하게 될 것으로 추정할 수 있고, 경 부 재발 시에 장간막 림프절로의 전이도 가능할 것으로 추정 된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었던 환자 중 인두공장문합 부위에 국소 재발이 있었던 환자(Fig. 2)의 경우, 보조적 방사선치료 와 화학요법 후에 재발 병소와 함께 림프절의 크기가 감소하 다가, 이후 추적 검사상 재발 병소의 악화와 함께 림프절의 크 기가 다시 증가한 것 등으로 미루어 장간막 림프절로 전이가 되었을 가능성이 크나, 인두공장문합 부위에서 재발이 확진 된 후 부가적인 조직 검사는 시행하지 않아 세포학적으로 확진되 지는 않았다. 둘째, 직접적인 림프절 전이가 아닌 공장문합 부 위의 재발로 말미암은 반응성 림프절일 가능성이 있다. 암종 이 발생하고 성장하게 될 때, 조직학적으로 종양의 경계 부위 를 따라 염증반응이 수반되기 때문에 주변 림프절이 과형성될 수 있는데(10, 11), 이는 실제 림프절에 전이된 종양이 있는 것은 아닐지라도 국소 재발에 의해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 역시 국소 재발 여부에 대해 면밀한 검사가 필요하다. 셋 째, 수술 치료 자체나,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수술 부위의 감 염 등과 같은 합병증에 의해서 장간막 림프병증이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넷째, 방사선치료에 의한 급성 및 아급성 변 화에 의해 장간막 림프절이 커질 수 있다(12). 방사선치료에 의해 림프계와 소화관의 점막에 일시적인 손상 혹은 염증이 발생하므로 수술 후 시행되는 보조적 방사선치료가 수술 후

A B

Fig. 3. A 70-year-old man performed total pharyngolaryngectomy, left 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 and reconstruction with je- junal free flap due to hypopharynx cancer (T3N0M0).

A. Immediate follow-up CT image after surgery shows abscess surrounding the jejunal free flap. An 8-mm isodense lymph node is depicted at the right lateral aspect of the flap (arrow).

B. Follow-up CT after percutaneous drainage demonstrates complete resolution of the fluid. However, the small mesenteric lymph node at the right lateral aspect of the jejunal free flap persists and remains unchanged.

(6)

추적 CT에서 장간막 림프절이 보이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 다. 본 연구의 결과, 장간막 림프절 양성이었던 16명 중 13명 에서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나 수술적 치료로 말미암은 합병증의 병력이 있어 장간막 림프절의 크기 증가 등에 영향 을 끼쳤을 가능성이 있으나 이는 더욱 많은 증례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검증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이론적 으로는 공장에서 발생한 원발성암에 의해서도 가능하지만, 문 헌고찰 결과 아직 보고된 바는 없다.

최근, Makimoto 등(13)은 공장유리피판을 이용하여 인두재 건술을 시행한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공장유 리피판에 생긴 장간막 림프절은 림프절 전이를 시사하는 소견 이 아니며 수술에 의한 환경 변화(environmental change)에 의해 생긴 것이라고 하였고, 수술 후 1년간은 크기가 커질 수 있다고 하였다. 이들의 연구 결과 중 대부분 장간막 림프절이 반응성일 것이라는 것은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반응성 림프절로 보이는 재발이 없는 환자군에서 발견된 장간막 림프절들은 추적 기간에 모두 크기 의 변화가 없거나 작아졌으며, 수술 후 1년 이내에 크기가 커 진 한 예는 인두공장문합 부위의 국소 재발로 진단되어 Makimoto 등(13)의 연구 결과와 부분적으로 대치된다. 하지 만, 그들의 연구가 연속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인지에 대해 명기되어 있지 않으며, 대상이 되었던 환자들은 모두 재 발이 없었던 환자들인 점을 고려할 때, 그들의 연구의 대상이 된 환자군이 해당 환자군의 전체를 대변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고, 연구의 결과를 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부분 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술 후 1년 이내일지라도 추 적 CT에서 크기가 증가하는 장간막 림프절이 있으면, 국소 재 발 우려를 배제할 수 없으므로 조직검사나 단기간 후의 추적 CT 검사 등을 통해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인후두전적출술과 공장유리피판 재건술을 시행 받은 인후두암 환자의 수술 후 CT에서 장간막 림프절은 매우 흔하게 발견되며 대부분은 반응성 림프절이다. 하지만, 이후의 추적 검사에서 새로운 림프절이 보이거나 크기가 커지는 경우 공장문합 부위 등의 국소 재발 우려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참 고 문 헌

1. Furukawa H, Yamamoto Y, Sasaki S, Sekido M, Takeuchi A, Sugihara T, et al. Second free jejunal transfer in complicated pharyngoesophageal reconstructions. J Reconstr Microsurg 2003;19:93-98

2. Theile DR, Robinson DW, Theile DE, Coman WB. Free jejunal in- terposition reconstruction after pharyngolaryngectomy: 201 con- secutive cases. Head Neck 1995;17:83-88

3. Haughey BH. The jejunal free flap in oral cavity and pharyngeal reconstruction. Otolaryngol Clin North Am 1994;27:1159-1170 4. Yoshizaki T, Maekawa K, Tukatani T, Shibutani K, Nishimura T,

Omura K,et al. Bilateral Jejuno-mesenteric flap for reconstruction of complicated pharyngoesophageal defect. Am J Surg 2000;179:

497-499

5. Gussack GS, Hudgins PA. Imaging modalities in recurrent head and neck tumors. Laryngoscope 1991;101:119-124

6. Hudgins PA, Burson JG, Gussack GS, Grist WJ. CT and MR ap- pearance of recurrent malignant head and neck neoplasms after re- section and flap reconstruction. AJNR Am J Neuroradiol 1994;15:1689-1694

7. Danese C, Howard JM, Bower R. Regeneration of lymphatic ves- sels: a radiographic study. Ann Surg 1962;156:61-67

8. Psillakis JM. Lymphatic vascularization of skin grafts. Plast Reconstr Surg 1969;43:287-291

9. Slavin SA, Upton J, Kaplan WD, Van den Abbeele AD. An investi- gation of lymphatic function following free-tissue transfer. Plast Reconstr Surg 1997;99:730-743

10. Stankiewicz C. Prognostic significance of lymph node reactivity in patients with laryngeal carcinoma. Eur Arch Otorhinolaryngol 1994;251:418-422

11. Tsakraklides V, Anastassiades OT, Kersey JH. Prognostic signifi- cance of regional lymph node histology in uterine cervical cancer.

Cancer 1973;31:860-868

12. Averette HE, Hudson RC, Ferguson JH. Lymphangioadenography:

Applications in the study and management of gynecologic Cancer.

Cancer 1964;17:1093-1107

13. Makimoto Y, Yamamoto S, Takano H, Motoori K, Ueda T, Kaneoya K,et al. Lymphadenopathy in the mesenteric pedicle of the free jejunal flap: reactive lymphadenopathy, not metastatic. J Comput Assist Tomogr 2006;30:65-67

(7)

J Korean Radiol Soc 2008;58:113-119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Jeong Hyun Lee, M.D., Department of Radiology and Reasearch Institute of Radi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388 Pungnap-dong, Songpa-gu, Seoul 138-736, Korea.

Tel. 82-2-3010-4352 Fax. 82-2-476-0090 E-mail: jeonghlee@amc.seoul.kr

Clinical Significance of Mesenteric Lymph Nodes Detected on Postoperative CT after a Total Pharyngolaryngectomy and

Reconstruction with a Jejunal Free Flap

1

Sun Mi Kim, M.D., Jeong Hyun Lee, M.D., Jin Woo Choi, M.D., Byung Se Choi, M.D., Kyung Soon Jeong, M.D., Deok Hee Lee, M.D., Choong Gon Choi, M.D.,

Sang Yoon Kim, M.D.2, Sang Joon Kim

1Department of Radiology and Reasearch Institute of Radiolog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2Department of Otolaryngolog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mesenteric lymph nodes (MLNs) detected on postoperative CT images after a total pharyngolaryngectomy and reconstruction using a jejunal free flap (TPL-JFF) in pa- tients with advanced carcinoma of the laryngo-hypopharynx.

Materials and Methods: We recruited 17 patients with available postoperative CT images following a TPL-JFF.

The postoperative CT findings of the MLNs for the JFF were evaluated, including the number of MLNs, maxi- mum-axial-diameter, shape, and presence of central necrosis or cortical enhancement, which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divid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local recurrence.

Results: In 16 of 17 patients except for one patient without MSN, an initial postoperative CT image demon- strated the presence of MLNs (mean number, 2; range 1-4) which had a maximal diameter of 18 mm. New or an increased number of MLNs detected on a subsequent follow-up CT examination was found in only two pa- tients with recurrence. However, MLNs in nine patients without recurrence remained unchanged or de- creased. Cortical enhancement was found more frequently in all five MLNs of the two patients with recur- rence as compared to cortical enhancement in the MLNs (four among 12 MLNs: 33%) of patients without re- currence. The other findings remained the same.

Conclusion: MLNs on postoperative CT images are very common in patients after a TPL-JFF. Although most MLNs are reactive, a new or increased number of MLNs on a subsequent follow-up CT examination should suggest the presence of a local recurrence.

Index words :Computed tomography (CT) Lymph nodes

Reconstructive surgical procedures Jejum/*transplantation

Head and neck neoplasms

수치

Fig. 1. Size distribution of the mesenteric lymph nodes on post- post-operative CT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local recurrence
Fig. 2. A 68-year-old man performed total pharyngolaryngectomy, bilateral radical neck dissection and reconstruction with jejunal free flap due to hypopharynx cancer (T3N2cM0)
Fig. 3. A 70-year-old man performed total pharyngolaryngectomy, left 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 and reconstruction with je- je-junal free flap due to hypopharynx cancer (T3N0M0)

참조

관련 문서

Hatano N, Shimizu Y, Ooya K:A clinical long-term radiographic evaluation of graft height changes after maxillary sinus floor augmentation with a 2:1

The feed is commonly a solution in a solvent like ethanol or t-butanol, and the nonsolvent is water..

The authors here intended to describ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scrub typhus, and then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In SDE extraction, a total of 117, 115 and 120 volatile compounds were detected in Aster yomena, Aster tataricus and Chrysanthemum zawadskii, individually, whereas their total

본 연구에서는 카이로프랙틱 교정 후 요추 전만각 변화가 1.34° 줄어든 것 으로 보아 드럽을 이용한 천추 교정이 요추의 전만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Frequency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 of the multidrug resistance proteins MDR1/P-glycoprotein, MRP1, and LRP in acute myeloid leukemia: a

근래에 연구되는 격자형 모델은 각 경계범위에서 각기 다른 변수의 영향을 정확 하게 산출하지 못하고 있으나 , 수용모델링을 병행하는 경우 높은 정확도를 추정할

1.41 (a) Free energy surface of a liquid and three solid phases of a ternary system2. (b) A tangential plane construction to the free energy surfaces defined equilibr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