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불안정 원위 쇄골 골절에서 Finger Trap 강선 및 금속판 혼합 고정술의 치료 결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불안정 원위 쇄골 골절에서 Finger Trap 강선 및 금속판 혼합 고정술의 치료 결과"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쇄골 골절은 전체 골절의 약 5%를 차지하고, 그 중에 원위부 골 절은 10%–15%에서 발생한다.1)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쇄골 골절 은 보존적 치료에도 좋은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얻을 수 있 지만, Craig2)에 의해 세분화된 Neer 분류상 II형 및 V형의 불안 정 원위 쇄골 골절은 근위 골편은 삼각근에 의해 상방으로 견인

되고 원위 골편은 상완의 무게로 인해 하방으로 견인되기 때문에 보존적 치료 시 28%–44%에서 불유합이 발생할 수 있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2-7)

원위 쇄골 골절의 고식적인 치료 방법으로 경피적 K-강선 (Kirschner wire) 고정술인 Phemister 술식, 긴장대 강선 고정 술, 오구 쇄골 나사못 고정술, 오구 쇄골 인대 봉합술 또는 재건 술 및 다양한 형태의 금속판 고정술이 소개되었다.8-12) 그러나 소 개된 여러 형태의 수술적 치료 방법 중 어떤 수술방법이 더 나은 지에 대하여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 중 원위 골편의 크기가 작 은 골절에서도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하며 비교적 술기가 간단 한 Hook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만족 할 만한 임상 결과들이 보고 되었다.13,14) 하지만 Hook 금속판 고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ume 57 Number 2 2022 Received April 19, 2021 Revised May 22, 2021 Accepted October 3, 2021

Correspondence to: Bong-Seok Yang,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hihwa Medical Center, 381 Gunjacheon-ro, Siheung 15034, Korea

TEL: +82-31-5189-0147 FAX: +82-31-5189-0777 E-mail: faridat80@gmail.com ORCID: https://orcid.org/0000-0001-7001-4174

불안정 원위 쇄골 골절에서 Finger Trap 강선 및 금속판 혼합 고정술의 치료 결과

유정석 • 양봉석* • 박병문 • 권오상

광명성애병원 정형외과, *시화병원 정형외과

Treatment Results for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Using Hybrid Fixations with Finger Trap Wire and Plate

Jeong-Seok Yu, M.D., Bong-Seok Yang, M.D.* , Byeong-Mun Park, M.D., and O-Sang Kwon,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wangmyeong Sungae Hospital, Gwangmyeo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hihwa Medical Center, Siheung, Korea

Purpose: This study assessed the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for Neer type-II and type-V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via hybrid

fixation with a locking compression plate and finger trap wi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2016 to April 2018, 15 patients treated for Neer type-II and type-V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using hybrid fixation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adiological healing time, range of motion of the shoulder joint,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ASES) score, an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shoulder score.

Results: The range of motion of the shoulder joint completely recovered to the normal range within 9.2 weeks on average (6−24 weeks).

Furthermore, the follow-up of the clinical trial showed excellent results, including an ASES score of 98.5±2.3 and an UCLA score of 34.2±1.3. In addition, fracture union was successfully achieved in all cases, and was identified during week 15 on average.

Conclusion: For the treatment of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hybrid fixation is a useful surgical method with excellent clinical

outcomes through rapid recovery of the range of motion of the shoulder joint after surgery.

Key words: distal clavicle fracture, hybrid fixation, finger trap wire

(2)

정술의 경우 갈고리 부분의 견봉하 자극으로 인해 관절운동 범위 의 감소 및 골유합 확인 후 조기에 금속판을 제거해야만 하는 단 점이 있다.12) 반면 견봉 쇄골 관절 및 견봉하 공간을 침범하지 않 으며 금속판을 이용하여 원위 골편을 직접 고정하는 경우는 견봉 쇄골 관절을 보존하는 장점이 있지만, 원위 골편에 적어도 나사 가 두 개, 이상적으로는 세 개 이상 고정할 수 있을 정도로 원위 골편이 큰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어 골편이 작거나 분쇄골절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15)

이에 저자들은 원위 골편을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견봉 쇄골 관 절을 보존할 수 있는 K-강선과 finger trap 형태의 나선형 강선 을 금속판과 함께 사용하는 혼합 고정술을 시행하여 원위 골편이 작거나 분쇄가 있는 경우에도 견고하게 고정을 얻을 수 있었기 에, 그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016년 9월부터 2018년 4월까지 Neer II형 및 V형 불안정 원위 쇄골 골절 환자 중 혼합 고정술을 시행한 17예를 후향적으로 분 석하였으며, 본원의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고 시행되 었다(KIRB-2021-N-001). 이중 추시 관찰 기간이 1년 미만으로 부족한 2예는 대상에서 제외하고 총 15예의 1년 이상의 추시 관 찰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의 평균 연령은 56.1세(18–80 세)였으며, 남자 10명, 여자 5명이었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4.2 개월(12–24개월)이었다. 손상 원인으로는 실족 사고 8예, 자전거 사고 등의 교통 사고 4예, 낙상 사고 3예였다. Neer 분류에 의한 골절 유형으로는 골절이 원추양 인대 근위부에서 발생한 IIa형이 6예, 원추양 인대와 승모양 인대 사이에서 골절이 발생하고, 원 추양 인대의 손상이 동반된 IIb형이 4예, 분쇄 골절로 쇄골 하면 의 골편에 원추양 인대와 승모양 인대가 부착되어 있는 V형이 5

예였다(Table 1).

2. 수술방법

환자를 반좌위 상태로 수술대에 눕히고 전신마취 또는 부분적 신 경 얼기 마취하에서 원위부 쇄골 골절 부위를 따라 절개를 가하 고 견봉 쇄골 관절을 보존하면서 골절 부위를 노출시켰다. 관혈 적 정복 후 정복 겸자를 이용하여 일시적 정복을 유지하고 원위 골편의 외측 상방에서부터 견봉 쇄골 관절을 침범하지 않도록 주 의하며 두 개의 직경 1.1-mm K-강선을 골절부를 통과하여 내 측 하방으로 삽입하였다. 다음으로 원위 쇄골 잠김 압박 금속판 (Acumed, Hillsboro, OR, USA)을 위치시키고 골절부 내측에 나사못을 사용하여 금속판을 고정하였고, 원위 골편에서는 삽입 된 K-강선과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는 근위 피질골만을 고정하였 다. 이때 원위 골편의 고정에는 가능한 2개의 잠김 나사못을 사 용하도록 하였지만, 골편의 분쇄가 심한 경우 및 골편이 작은 경 우는 1개의 나사못만을 사용하거나, 나사못을 사용하지 않았다.

금속판은 골절부에서 1 cm 내측부터 2–3개의 나사못이 삽입 가

A

B

C

R

R

R

Figure 1. (A) Neer type IIB fracture of the distal clavicle in a 21-year- old patient. (B) Immediate postoperative radiograph showed a good reduction of the fracture site and restoration of the coracoclavicular interval. (C) At postoperative four months, radiograph showed complete union of the fracture.

Table 1. Demographic Data

Variable Total (n=15)

Age (yr) 56.1±20.1 (18–80) Sex, male/female 10 (66.7)/5 (33.3) Side of injury, right/left 7 (46.7)/8 (53.3) Follow-up period (mo) 14.2±3.3 (12–24) Fracture classification

IIa 6 (40.0)

IIb 4 (26.7)

V 5 (33.3)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range) or number (%).

(3)

능한 길이를 선택하였다. 이때 원추양 결절 내측 삽입하는 나사 못은 쇄골 하부 피질골을 통과해 5 mm가량 길게 삽입되도록 하 여 이후 시행하는 finger trap 강선이 나사 끝에 걸려 외측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반원형 또는 나선형의 강선 통과기를 이용하여 강선을 골절부 외측 나사못이 삽입된 원추양 결절 내측부터 외측 방향으로 Chinese finger trap 형태로 강선

을 교차하는 나선형 구조로 쇄골과 금속판을 감싸 외측에 삽입된 K-강선에 장력대 강선 형태로 고정하여 금속판이 쇄골 원위 골 편으로부터 이완 되지 않도록 금속판과 쇄골 원위 골편 간의 고 정을 강화하였다(Fig. 1). V형 골절의 경우에는 나선형 구조의 강 선으로 오구-쇄골 인대가 부착된 골절부 하면의 견열 골편을 감 싸 올려 쇄골에 정복하여 고정시켜 오구-쇄골 인대와 쇄골의 연 결이 회복 되도록 하였다(Fig. 2).

수술 후 2주간의 Velpeau sling 고정을 하였으며, 수술 후 일 주일부터 견관절 진자 운동을 시작하였다. 수술 후 2주부터 수동 적 견관절 운동을 시작하고, 수술 후 4주부터는 능동적 견관절 운동을 허용하였다.

3. 평가 방법

수술 후 평가를 위해서 쇄골의 전후방 및 두 경사 추시 방사선 사 진을 이용하여 골 유합의 유무와 유합까지의 기간 및 금속물의 위치와 합병증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골유합의 시기의 판단 은 가골이 골절부의 상하 모두 연결되거나 가골 형성이 없는 경 우는 골절선이 없어지고 골 소주가 골절부를 통과하는 소견이 보 이는 때로 판정하였다. 또한 방사선 사진상에 건측과 비교한 오 구 쇄골 간격의 차이를 측정하였다. 임상적 기능 평가는 견관절 운동범위를 측정하고,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ASES) 및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점 수를 사용하였다.

결 과

1. 방사선학적 평가

평균 15.0주(10–26주)에 골유합을 확인하였으며, 최종 추시 방 사선상 건측과의 비교를 통한 오구쇄골 간격의 차이는 0.3 mm (-1.0 to 2.0 mm)로 측정되었다.

2. 임상적 기능 평가

수술 후 6주, 3개월, 6개월, 12개월에 견관절 운동 범위를 평가 하였고, 수술 후 3개월, 6개월, 12개월에 ASES, UCLA 점수를 평

A

B

C

R

R

Figure 2. (A) Plain radiograph showed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 in a 36-year-old patient. (B) Sagittal magnetic resonance image showed a Neer type V distal clavicle fracture with an inferior comminuted fragment (arrow) attached to the coracoclavicular ligament. (C) Immediate postoperative radiograph showed a reduction of the inferior fragment with a finger trap wire.

Table 2. Average Range of Motion of Shoulder Joint According to the Postoperative Period

6 wk (°) 3 mo (°) 6 mo (°) 12 mo (°)

FE 158.0±13.7 163.3±9.8 164.7±8.3 165.3±9.2

ERS 58.7±13.9 64.0±11.2 65.3±10.6 66.0±11.8

ERA 83.0±14.2 89.0±5.1 89.7±4.4 90.0±5.0

IRA 55.7±12.1 61.3±8.3 62.0±7.8 62.0±7.7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FE, forward elevation with scapula free and elbow extended; ERS, external rotation with the arm at side and elbow at 90° flexion; ERA, external rotation with arm in abduction and elbow 90° flexion; IRA, internal rotation with the arm in abduction and elbow 90° flexion.

(4)

가하였다. 견관절 운동범위는 수술 후 6주에 전방거상은 158.0°

±13.7° (130°–180°), 중립위에서 주관절 90° 굴곡하 견관절 외 회전은 58.7°±13.9° (30°–90°), 견관절 90° 외전상태에서 견 관절 외회전 83.0°±14.2° (45°–95°) 및 내회전 55.7°±12.1°

(30°–80°)로 회복되었으며, 평균 9.2±5.0주(6–24주)에 건측과 동일한 정도로 견관절 운동 범위가 회복되었다(Table 2). ASES, UCLA 점수는 추시가 이루어진 전기간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 다(Table 3).

3. 합병증

수술 후 견봉 쇄골 관절의 관절염, 내고정물 주위의 골용해 소견, 감염증 등의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1예에서 외측으로 돌 출된 K-강선에 의한 피하 연부조직의 자극으로 인해 피부 누공 이 발생하여 수술 후 4개월에 부분 마취하에 문제가 된 하나의 K-강선만을 제거하였으며, 이후 별다른 문제없이 완치되었다.

내고정물의 제거는 내고정물에 의한 자극 증상으로 환자가 고정 물의 제거를 원한 7예(46.7%)에서 수술 후 평균 13.0개월(12–15 개월)에 내고정물의 제거를 시행하였다.

고 찰

원위 쇄골 골절은 Neer에 의해 전위가 경미하고 인대 손상 없이 골절이 안정되어 있는 I형과 오구 쇄골 인대의 연결이 소실된 II 형, 견봉-쇄골 관절의 관절면을 침범한 골절인 III형으로 분류되 었다. 이후 Neer II형 골절은 Craig2)에 의해 오구-쇄골 인대의 손상이 없이 모두 원위부 골편에 연결된 IIa형과 원추 인대가 근 위부 골절에 붙으면서 손상이 동반된 IIb형으로 세분화 되고, 소 아에서 성장판 내측에서 골막이 손상되며 내측 골편이 상부 전위 된 IV형 및 Neer II형 골절과 유사하지만 오구 쇄골인대가 부착 되어 있는 작은 분쇄 골편이 있는 V형으로 세분화되어 분류되었 다.

이중 I형과 III형은 안정적인 골절로 주로 보존적 치료를 시행 하게 되나, II형과 V형 골절은 불안정 골절로 이들 불안정 골절의 보존적 치료 결과 Nordqvist 등6)은 47%의 부정 유합률과 22%

의 불유합률을 보고하였고, Edwards 등3)도 45%의 지연 유합과 30%의 불유합률을 보고하였으며, 이는 지속적인 통증 및 견관절

의 기능적 제한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II형과 V형 불안정 골절에 대해 여러 저자들이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을 주장하였고 여러 술식이 보고되었으나 절대적 우위의 결과를 보이는 치료 방법은 없다고 알려져 있다.16,17)

보고된 여러 술식 중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은 견봉 쇄골 관 절을 보존하는 장점이 있지만, 원위골편에 적어도 나사가 두 개, 이상적으로는 세 개 이상 고정할 수 있을 정도로 원위 골편이 큰 경우에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며, 원위 골편이 작거나 분쇄가 있어 불충분한 고정이 이루어진 경우는 조기 관절운동이 제한되 며, 이로 인해 견관절 관절 운동 범위의 조기 회복이 늦어지는 단 점이 있다.11) 또한 최근 많이 보고된 잠김 금속판 고정술에 동반 하여 오구 돌기에 고정하는 금속 버튼 또는 봉합 나사못을 이용 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을 추가 시행한 치료의 경우 좋은 결과 들이 보고되었지만, 이는 오구돌기 노출을 위해 광범위한 절개를 요하거나, 관절 내시경 감시하에 이루어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는 오구 돌기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물이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집중된 부하로 인해 오구 돌기의 골절 발생 위험이 있 다.18)

이러한 수술 방법은 모두 원위 쇄골의 외측 골편과 내측 골편 을 정복, 고정하여 견봉 쇄골 관절의 전후방 안정성 및 오구 쇄골 인대에 의한 상방 안정성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19) Hook 금속판 고정술 또한 원위 쇄골 골편의 크기에 관계 없이 골절부 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며 동시에 오구 쇄골 관절 간격의 유 지가 가능하여 원위 쇄골 골절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Hook 금속판의 외측 갈고리는 견봉하에 위치하여 오구 쇄골 인 대의 회복 시까지 견봉 쇄골 관절의 상방 안정성을 유지시켜주지 만, 정상적으로 쇄골은 견쇄 관절 및 흉쇄 관절에 의해 3차원적 인 움직임을 보이며, 11°–15°의 상하 움직임, 15°–29°의 전후방 움직임, 15°–31° 장축에 대해 회전 운동을 하는데,20) 이러한 견봉 쇄골 관절의 회전 및 전후방 움직임 시에 견봉하에 위치한 갈고 리가 견봉을 자극하여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이는 여러 저자들 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Renger 등12)은 Hook 금속판 고정술 후 68%의 환자에서 견봉하 충돌로 인한 통증 및 관절 운동 범위의 감소, 견봉하 골 침식을 관찰하였고, 이 중 90%에서 금속물 제 거 후 증상이 소실되었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Jeon 등21)은 Hook 금속판 고정술 후 견관절 운동 범위의 감소 및 견관절의 동통 의 합병증이 있었으며, 금속판 제거 후 UCLA 점수 및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점수의 향상을 보고하며, 가능한 조 기에 Hook 금속판 제거하는 것을 권유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견쇄 관절을 보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원위 쇄 골 골절 골편을 고정하여 오구쇄골 인대 및 견쇄 인대를 안정시 킬 수 있도록 쇄골 상부 피질골을 금속판으로 덮어 이를 지지대 로 사용하고, 함께 시행한 finger trap 형식의 나선형 강선으로 쇄골 골편들을 금속판 지지대에 감싸 고정하여 상하, 전후의 전 Table 3. Clinical Outcomes According to the Postoperative Period

Score 3 mo 6 mo 12 mo

ASES 93.3±5.0 95.1±4.9 98.5±2.3 UCLA 30.8±1.9 32.5±1.8 34.2±1.3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ASES,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UCLA,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5)

방위적 고정력을 제공하였다. 이때 견쇄 인대에 부착된 외측 골 편은 크기가 작아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이 어려운 경우라도 K- 강선을 이용한 고정이 가능하였으며, 외측 단에서 K-강선에 감 기는 강선이 장력대 강선과 같은 형태로 작용하여 외측 골편을 골절부에 압박하며 동시에 금속판에 견고히 고정하는 역할을 한 다. 이로써 강선의 이동이나 긴장 소실로 인해 안정적인 고정을 얻을 수 없거나, 쇄골 피질골이 얇아 강선에 의한 피질골의 천공 이 발생할 수 있는 고식적인 장력대 강선 고정술 및 변형 장력대 강선 고정술의 한계를 상부 금속판을 지지대로 혼합 사용하여 극 복하였다. 또한 피질골 전체를 결박하는 환형 강선은 골막 혈류 를 차단하여 골절의 유합을 방해할 수 있지만,22) 쇄골의 상부 금 속판 위로 시행하는 강선의 경우 상부 피질골을 압박하지 않아 골막 혈류 저하를 최소화한다. 또한 나선형으로 감기는 강선은 일반적인 환형 강선에 비해 접촉 면적이 넓어 단단한 고정이 되 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V형 골절에서는 finger trap 형태의 나선 형 강선이 오구 쇄골 인대가 부착된 쇄골 하부 골편을 감아 올려 해부학적 정복 및 고정이 가능하였다. 이렇듯 혼합 고정술의 경 우 견쇄 관절을 보존하고, 오구 쇄골 인대의 안정성을 회복하면 서도 골절부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내고정물에 의한 견갑골 자극 증상 없이 견쇄 관절의 유연한 움직임이 가능하여, 조기에 견관절 기능 회복이 가능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에서도 수술 후 9.2±5.0주에 견관절 회전 운동 범위는 정상 범위로 회복되었다.

또한 수술 후 초기부터 뛰어난 임상 기능 평가 결과를 보인 것도 견관절 운동 범위의 빠른 회복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Hook 금속판과 같이 견봉하에 위치한 외측 갈고리가 있 는 경우는 외측 갈고리에 의한 견봉하 침식 및 미란, 일부 견봉 하 골절의 위험이 보고되어 수술 후 6개월 이내에 내고정물 제거 시행이 권고되지만,23) 혼합 고정술의 경우 내고정물에 의한 피하 자극 증상으로 환자가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내 고정물 제거가 필요치 않으며, 본 연구의 경우에도 내고정물의 제거를 원한 7예(46.7%)에서만 내고정물 제거를 시행하였으며, 이로 인한 의료비 절감 효과 또한 기대 할 수 있겠다.

다만,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 장기 추시가 이루어지지 못한 점, 연구 대상에 포함된 환자의 수가 적었다는 점, 다른 치료 방 법과의 비교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은 보완되어야 할 사항으 로 보인다. 그러므로 향후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의 전향적 무작위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 구에서 소개한 혼합 고정술은 견쇄 인대가 보존되어 있는 Neer II형 및 V형의 골절에 한정되어 시행가능하며, 견쇄 인대의 손상 이 동반된 경우라면 쇄골 원위부 골절의 정복 및 고정과 함께 견 쇄 관절의 정복 및 고정이 가능한 수술적 치료법을 고려하여야겠 다.

결 론

불안정 원위 쇄골 골절에서 금속판에 더하여 finger trap 강선 고 정술을 시행하는 혼합 고정술은 견봉 쇄골 관절을 보존하면서도 원위 쇄골의 견고한 내고정이 가능하여 조기에 견관절 운동 범위 및 기능 회복을 얻을 수 있으며, 내고정물의 제거 또한 필수적이 지 않아 비용적 장점을 가지므로, 불안정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 적 치료법으로 유용한 방법이 될 것이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ORCID

Jeong-Seok Yu, https://orcid.org/0000-0001-6993-0343 Bong-Seok Yang, https://orcid.org/0000-0001-7001-4174 Byeong-Mun Park, https://orcid.org/0000-0001-9944-7117 O-Sang Kwon, https://orcid.org/0000-0001-7400-7115

REFERENCES

1. Heppenstall RB. Fractures and dislocations of the distal clavi- cle. Orthop Clin North Am. 1975;6:477-86.

2. Craig EV. Fractures of the clavicle. In: Rockwood CA Jr, Green DP, Bucholz RW, Heckman JD, ed. Fractures in adults.

4th ed. Philadelphia: Lippincott-Raven; 1996. 1109-61.

3. Edwards DJ, Kavanagh TG, Flannery MC. Fractures of the distal clavicle: a case for fixation. Injury. 1992;23:44-6.

4. Neer CS 2nd. Fractures of the distal third of the clavicle. Clin Orthop Relat Res. 1968;58:43-50.

5. Deafenbaugh MK, Dugdale TW, Staeheli JW, Nielsen R. Non- operative treatment of Neer type II distal clavicle fractures: a prospective study. Contemp Orthop. 1990;20:405-13.

6. Nordqvist A, Petersson C, Redlund-Johnell I. The natural course of lateral clavicle fracture. 15 (11-21) year follow-up of 110 cases. Acta Orthop Scand. 1993;64:87-91.

7. Robinson CM, Court-Brown CM, McQueen MM, Wakefield AE. Estimating the risk of nonunion following nonoperative treatment of a clavicular fracture. J Bone Joint Surg Am.

2004;86:1359-65.

8. Tsuei YC, Au MK, Chu W. Comparison of clinical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for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by transacromial pins with and without tension band wire. J

(6)

Chin Med Assoc. 2010;73:638-43.

9. Mall JW, Jacobi CA, Philipp AW, Peter FJ. Surgical treatment of fractures of the distal clavicle with polydioxanone suture tension band wiring: an alternative osteosynthesis. J Orthop Sci. 2002;7:535-7.

10. Herrmann S, Schmidmaier G, Greiner S. Stabilisation of vertical unstable distal clavicular fractures (Neer 2b) using locking T-plates and suture anchors. Injury. 2009;40:236-9.

11. Andersen JR, Willis MP, Nelson R, Mighell MA. Precon- toured superior locked plating of distal clavicle fractures: a new strategy. Clin Orthop Relat Res. 2011;469:3344-50.

12. Renger RJ, Roukema GR, Reurings JC, Raams PM, Font J, Verleisdonk EJ. The clavicle hook plate for Neer type II later- al clavicle fractures. J Orthop Trauma. 2009;23:570-4.

13. Yoon JP, Lee BJ, Nam SJ, et al. Comparison of results between hook plate fixation and ligament reconstruction for acute un- stabl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Clin Orthop Surg.

2015;7:97-103.

14. Lee W, Choi CH, Choi YR, Lim KH, Chun YM. Clavicle hook plate fixation for distal-third clavicle fracture (Neer type II): comparison of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between Neer types IIA and IIB. J Shoulder Elbow Surg. 2017;26:1210- 5.

15. Chae SB, Choi CH, Kim DY. Usefulness of the additional K-wire fixation and suture for reinforce the treatment of distal clavicle fracture using modified tension band wiring. J Korean Fract Soc. 2016;29:107-13.

16. Sambandam B, Gupta R, Kumar S, Maini L. Fracture of distal

end clavicle: a review. J Clin Orthop Trauma. 2014;5:65-73.

17. Banerjee R, Waterman B, Padalecki J, Robertson W. Man- agement of distal clavicle fractures. J Am Acad Orthop Surg.

2011;19:392-401.

18. Kim DW, Kim DH, Kim BS, Cho CH. Current concepts for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of distal clavicle fractures. Clin Orthop Surg. 2020;12:135-44.

19. Masionis P, Šatkauskas I, Mikelevičius V, et al. Biomechanical evaluation of native acromioclavicular joint ligaments and two reconstruction techniques in the presence of the sterno- clavicular joint: a cadaver study. J Orthop Surg (Hong Kong).

2017;25:2309499017730424.

20. Ludewig PM, Behrens SA, Meyer SM, Spoden SM, Wilson LA. Three-dimensional clavicular motion during arm ele- vation: reliability and descriptive data.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4;34:140-9.

21. Jeon HS, Woo YK, Hwang SH, Suh SP, Kang SG, Lee JK.

Analysis of treatment results of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 tures using hook plate. J Korean Orthop Assoc. 2014;49:374- 80.

22. Huang JI, Toogood P, Chen MR, Wilber JH, Cooperman DR.

Clavicular anatomy and the applicability of precontoured plates. J Bone Joint Surg Am. 2007;89:2260-5.

23. Campbell N, Hujazi I, Viner J, Marynissen H. Delayed removal of clavicular hook plates; the effect on complica- tions and functional outcome. Int J Orthop (Hong Kong).

2018;5:968-71.

(7)

불안정 원위 쇄골 골절에서 Finger Trap 강선 및 금속판 혼합 고정술의 치료 결과

유정석 • 양봉석* • 박병문 • 권오상

광명성애병원 정형외과, *시화병원 정형외과

목적:

Neer의 분류에 의한 제II형 및 제V형 불안정 원위 쇄골 골절에서 혼합 고정술(잠김 압박 금속판 및 finger trap 강선 고정술) 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 후 그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9월부터 2018년 4월까지 Neer II형 및 V형 불안정 원위 쇄골 골절에 대해 혼합 고정술을 이용해 수술적 치 료를 시행한 15명의 환자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사선학적 유합 기간, 견관절 운동 범위 및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ASES)와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점수를 이용한 임상 결과의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견관절 운동 범위는 평균 9.2주(6–24주)에 완전한 운동범위의 회복을 보였으며, 최종 추시 임상 결과 ASES 98.5±2.3점, UCLA 34.2±1.3점의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전 예에서 골절의 유합을 얻었으며, 평균 15주에 골절의 유합을 확인하였다.

결론:

불안정 쇄골 원위 골절의 치료로 혼합 고정술은 수술 후 빠른 견관절 운동 범위의 회복이 가능하여, 우수한 임상 결과를 보이 는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원위 쇄골 골절, 혼합 고정술, Figer trap 강선

접수일 2021년 4월 19일 수정일 2021년 5월 22일 게재확정일 2021년 10월 3일 책임저자 양봉석

15034, 시흥시 군자천로 381, 시화병원 정형외과

TEL 031-5189-0147, FAX 031-5189-0777, E-mail faridat80@gmail.com, ORCID https://orcid.org/0000-0001-7001-4174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대한정형외과학회지:제 57권 제 2호 2022

참조

관련 문서

The Volume structure of the STA308A consists of individual volume registers for each channel and a master volume register that provides an offset to each channels volume

Depending on Tennis Forehand Stroke with elbow pain and without elbow pain Kinematic Analysis of

In order to simulate a thermo-mechanical behavior in the vicinity of the deposited region by a LENS process, a finite element (FE) model with a moving heat flux is developed

The effect of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the stress coping and perceived stress of the patients with finger replan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by measuring the Korea shoulder society (KSS) score, Mayo elbow performance (MEP) score and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중 계브릿지의 망 관리 에이전트들로부터 Trap 데이터를 수신 받아 처리하는 Trap R eceiver, 이중 역할 망 관리 에이전트의 전원 부팅 시나 이벤트 상태를 서버로 알

The feed is commonly a solution in a solvent like ethanol or t-butanol, and the nonsolvent is water..

In contrast, in a consecutive series of sixty-nine children with a type-II fracture treated with closed reduction and pin fixation, there was no radiographic or clin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