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특수학교 운영위원회에 대한 학교 관리자와 운영위원의 인식 수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특수학교 운영위원회에 대한 학교 관리자와 운영위원의 인식 수준"

Copied!
3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특수학교 운영위원회에 대한 학교 관리자와 운영위원의 인식 수준

A Level of Cognition of School Administrator and Committee on Management Committee of Special Schools

조 인 수*1)조 춘 숙**

Cho, In Soo Cho, Chun Sook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의 핵심에 놓여있는 특수학교 경영상 결정권을 행사하는 학교관리자인 교장과 운영위원들의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인식 수준을 분석하고 특수 학교 교육의 효율성을 놓이기 위하여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 기능 및 역할 개선방안 등, , 운영의 전반적인 분야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하여 바람직한 학교운영위원회의 역할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설문지는 23개교 특수학교의 교장 행정실장 학교운영위원장 운영위원에게 배부한 후, , , 회수하여 분석했다.

연구의 결과는 특수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과 조직에 있어 연령과 대상 지역에서, 인식 차이가 있고 기능과 권한에서도 연령과 대상별로 차이가 있다 구성원의 역할에 있, . 어 대상별로는 학부모위원들이 성별은 남자교사가 심의 논의사항과 관련한 정보나 자료, , 는 성별은 남자 연령별은, 40대 이상 읍면지역 거주자보다는 시 지역 이상 거주자가 대, , 상별은 관리자가 가장 잘 알 고 있다 개선방안과 관련하여 성별 연령별 지역별 학력. , , , 별 대상별로 차이가 없이 학교의 예산 및 결산에 관한 사항이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사, 항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핵심어 : 특수학교 학교 관리자 운영위원,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학과 교수 교신저자

* ( : ischo@daegu.ac.kr)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대구남송초등학교 교사

** Daegu Namsong Elementary School Vol. 45, No. 1, pp. 149 185, 2006.

(2)

. 서 론

연구의 의의 1.

세계화 정보화라는 물결은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면서 교육부문에서도 신교육 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의 방안으로 학교 경영의 민 주화와 자율화를 위해 많은 다양한 정책들이 제안되고 학교 현장에 도입 되어졌 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학교운영위원회이다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단위에. . 서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 그리고 교육의 민주성을 살려 보다 바람직한 학교 교육의 효과를 거두도록 하는 교육통치 방법의 하나로 초 중등교육법 제정 공 (1997 12 13 )일 이후 모든 국 공립의 초 중등 특수학교에 의무적으로 설 , 치하도록 했다 그리고. 2000 3 1일부터는 모든 사립 초 중등 특수학교에도 , 필수적으로 학교운영위원회를 자문기구로 설치하는 내용을 법 규정화 했다 김남( , 2002).

학교운영위원회는 단위학교 책임경영제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제도적 장치이 . Taylor Levin(1991) 은 일상적인 학교운영과 교수행위가 협동적으로 일어나 도록 하기 위해 단위학교 수준에서 의사결정 구조를 재구조화하는 방법이라고 규정했다 학교단위 책임경영제는 단위학교가 자율권을 가지고 학교 내부의 민. 주적 합리적인 의사결정과정을 통해 학교를 운영하며 그 결과에 책임을 지는, 학교 경영체제이다.

이런 정책이 도입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학교장을 포함한 교사 학, 부모 그리고 지역사회 인사 등 학교교육에 직접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구, 성원들이 학교운영 과정에 동참하고 학교교육의 문제를 공동으로 논의하고 상, 호 협력할 수 있는 학교공동체를 구축함으로써 학교 발전과 지역사회 발전을 도 모하며 학교 경영에 보다 많이 참여하자는데 있다.

이러한 학교운영위원회 설치의 긍정적인 평가는 교사들의 의견이 학교경영에 반영되어 이전보다 민주화 되었으며 학부모들의 위상이 학교운영에 대한 무조, 건적인 지원자에서 학교경영을 함께 의논하는 상대로 격상시켰다고 주장한다 김( 성열 외, 1997).

그러나 비판도 적지 않다 학교운영위원회가 학교구성원들의 자율적인 의도보. 다는 교장의 들러리 역할이나 학부모들의 부당한 간섭 감독청의 강요에 의해, , 타율적으로 설치 운영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이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 부설 교육행정 연수원, 1997).

(3)

이러한 내용들을 고려할 때 국 공ㆍ ㆍ사립 특수학교마다 학교운영위원회를 통 한 학교장과 교원 지역 주민과 학교와의 협조 등에 연유한 교육공동체 문화형, 성 및 교수 학습 활동지원을 위한 문제들을 교육에 효율적으로 적용시키며 해, 결하고자 하는 열망을 가지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특수학교의 특성상 학교운. 영위원회가 활성화 되는 사례를 찾아 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통합교육의 핵심에 놓여있는 특수학교 경영상 결정권을 행사하는 학교관리자인 교장과 운영위원들의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인식 수준을 정확히 분석 파악하고 특수학교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 , 하여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 기능 및 역할 개선방안 등 운영의 전반적인 분야, , 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하여 바람직한 학교운영위원회의 역할과 방향을 제시 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 2.

본 연구는 특수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중요 구성원인 학교장과 학교운영위원 교사 학부모 의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인식차이를 조사하고 학교운영위원회

( , ) ,

가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학교교육의 운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구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원 선출에 대한 관리자와 학교운영위원, 의 인식수준을 밝힌다.

둘째 특수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과 권한에 대한 관리자와 학교운영위원, 의 인식수준을 밝힌다.

셋째 특수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원의 역할 영역에 대한 관리자와 학교, 운영위원의 인식수준을 밝힌다.

넷째 특수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개선방안에 대한 관리자와 학교운영위원의, 인식수준을 밝힌다.

연구 방법 .

(4)

이 장에서는 특수학교 운영위원회에 대한 학교 관리자와 운영위원의 인식 수준 을 구명하기 위해 연구 대상 연구 도구 연구 절차 자료 처리 순으로 제시한다, , , .

연구 대상 1.

이 연구의 대상은 특수학교 23개교를 대상으로 표집 하였다 이 학교를 대상. 으로 교장 행정실장 학교운영위원장 운영위원 교원위원 학부모위원 에게 설문, , , ( . ) 지를 배부하였다. 16개 학교는 우편을 통해 배포하여 회수하였고, 7개 학교는 직 접 학교를 방문하여 배포 회수하였다 이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172부가 회 수되었으나 불성실하게 답변한, 7부를 제외한 165부를 실제 연구에 사용하였다. 표집 대상과 회수 및 자료 처리가 가능한 현황은 < 2-1>과 같다.

2-1 표집대상과 회수 및 자료 현황 (단위 명: , %)

구분 전체

연령

30 12

22.6 34

30.4 46

27.9 40대 이상 41

77.4 78

69.6 119

72.1

대상

관리자 15

28.3 8

7.1 23

13.9

교원위원 15

28.3 68

60.7 83

50.3

학부모위원 10

18.9 22

19.6 32

19.4

지역위원 13

24.5 14

12.5 27

16.4 지역

읍 면 지역 7

13.2 26

23.2 33

20.0 시 지역 이상 46

86.8 86

76.8 132

80.0 학력

고졸이하 11

20.8 30

26.8 41

24.8 대졸(2년제 포함) 42

79.2 82

73.2 124

75.2

전체 53

32.1 112

67.7 165

100.0

(5)

연구 도구 2.

이 연구에서는 설문지 조사법을 사용하였으며 학교운영위원회와 관련된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이 연구에 부합하도록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 의 구성내용은 크게 4개영역으로 구분하여 모두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 구성의 영역과 내용은 < 2-2>와 같다.

설문지 구성 영역과 내용

< 2-2>

연구 절차 3.

예비 조사 1)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문지의 문항을 작성하고 문항의 신뢰도를 검토하기 위해 내용

영역 문항내용 문항수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과 조직

교원위원 선출 교원위원 선출 적임자 지역위원 선출 지역위원 선출 적임자 학부모위원 선출 학부모위원 선출 적임자

6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과 권한

학교 경영의 주체 운영위원의 권한

예 결산에 대한 발언권 및 결정권 심의 안건 통지 기한

운영위원의 교육 및 연수의 필요성 운영위원의 기능과 관계법령 인식

6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원의 역할

운영위원회 활동의 적극성

운영위원의 논의 사항과 관련된 정보제공 학교구성원간 의견수렴의 분위기

운영위원임기의 적절성

교직원후생복지에 관한 심의 의결권,

5

학교운영위원회의개 선 방안

운영위원회의 심의사항의 중요도 각 후원회와의 역할 기능 분담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사항에 대한 역할 3

(6)

일부터 일까지 특수학교 학교운영위

2004 11 4 11 20 원회 운영위원 1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 실시에 앞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조사의 결과에서 나 타난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

2) 본 조사

본 조사의 설문지 배부는 특수학교 학교운영위원을 대상으로 2005 3월에서 월까지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을 통하였고 설문지 회수는 무기명으로 응답케

5 ,

한 후 회수용 봉투로 우송받았다, .

자료 처리 4.

채점 방법 1)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에 관한 문항에 대해서는 Likert형의 5단계 평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채점과정에서는, 매우 그렇다’ 5 , ‘ 어느 정도 그렇다’ 4 , ‘ 그저 그렇다’ 3 , ‘ 별로 그렇지 않다’ 2 , ‘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으로 점수가 높을수 록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자료 처리 2)

자료는 SPSS/PC+ 12.0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첫째 변인에 따른 집단간 평균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고, F검증의 사후검증으로 의 개별비교를 실시하였다 둘째 변인에 따른 운영위원회의 구성원간의

Scheffé . ,

인식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

이 연구는 특수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대한 학교 관리자와 운 영위원의 인식 수준을 구명하기 위해 설문조사에 나타난 반응을 분석하였다 연. 구 목적에 따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7)

1. 특수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과 조직

특수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의 조직과 관련한 배경 요인별 인식수준을 비 교한 결과는< 3-1> 과 같다.

운영위원회 구성과 조직에 있어서 성별에서 남자교사(M=3.67)보다는 여자교사

가 연령에는 보다는 대 이상 이 지역은 시 지

(M=3.80) , 30 (M=3.47) 40 (M=3.87) ,

(M=3.70)보다는 읍면지역(M=4.02),학력은 대졸 이상(M=3.72)보다는 고졸 이 (M=3.87)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상에 있어서는 학부모위원 들의 평균이 가장 높으며 관리자 들의 인식 수준이 가장 낮은

(M=4.09) (M=3.36)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과 조직에 관한 인식의 차. 이는 연령(p< .001)과 대상(p< .001) 그리고 지역(p< .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3-1> 운영위원회 구성의 조직과 관련한 변인별 인식 수준 비교

**p< .01, ***p< .001

집단 대상 간에 나타나는 평균의 차이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와 같으며 여기서 나타난 유의미성을 사후검증을 통해 구체

< 3-2> , Scheff'e

적으로 파악한 것이< 3-3> 이다.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t/F

성별 53 3.67 .70

-1.239

112 3.80 .57

연령 30 46 3.47 .54

-4.190***

40대 이상 119 3.87 .60 대상

관리자 23 3.36 .79

9.449***

교원위원 83 3.67 .57

학부모위원 32 4.09 .57

지역위원 27 4.00 .27

지역 읍 면지역 33 4.02 .27

2.699**

시지역이상 132 3.70 .66

학력 고졸이하 41 3.87 .49

1.348

대졸이상 124 3.72 .64

전체 165 3.76 .61

(8)

운영위원회의 구성과 조직에 관한 집단간의 변량 분석

< 3-2>

***p< .001

대상 간에 나타나는 위원회의 구성과 조직에 관한 인식차이는 관리자와 학부 모위원(-.73),관리자와 지역위원(-.63),교원위원과 학부모위원(-.41)사이의 평 균 차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대상간의 인식차이 중 관. 리자와 학부모위원 간의 인식차이가 가장 크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 3-3> 대상 간에 나타나는 위원회의 구성과 조직에 관한 인식차이

**p< .01, ***p< .001

교원위원 선출 1)

교원위원을 교사가 선출하는 것과 관련하여 변인별 인식수준을 알아 본 결과는

와 같다

< 3-4> .

구 분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집단 간- 9.35 3 3.11 9.449***

집단 내- 53.13 161 .33

합계 62.49 164

대상(I) 대상(J) 평균차(I-J) 표준오차 관리자

교원위원 -.31 .13

학부모위원 -.73*** .15

지역위원 -.63** .16

교원위원 학부모위원 -.41** .11

지역위원 -.32 .12

학부모위원 지역위원 .09 .15

(9)

교원위원 선출

< 3-4>

*p< .05, **p< .01, ***p< .001 교원위원을 교사가 선출하는 것에 대해 남자(M=3.69)보다는 여자(M=4.05)들이 더욱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평균의 차이는, 5%수준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미하다 그리고 대상들. (p< .001) 중에서는 지역위원들(M=4.33)이 가장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다음은 학부모(M=4.31), 교원위원(M=3.87),관리자

의 순이었다 시 지역이상 거주자들보다는 읍면지역

(M=3.17) . (M=3.83) (M=4.36)

주자들이 이와 관련한 주제에 대해서는 더욱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1% 수준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차를 보였다.

교원위원 적임자 2)

교원위원은 어떤 사람이 선출되기를 바라는지 알아 본 결과는< 3-5> 와 같다.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t/F

성별 53 3.69 1.11

4.606*

112 4.05 .92

연령 30 46 3.71 .77

3.158***

40대 이상 119 4.02 1.06 대상

관리자 23 3.17 1.33

8.415***

교원위원 83 3.87 .91

학부모위원 32 4.31 .96

지역위원 27 4.33 .48

지역 면지역 33 4.36 .48

7.661**

시지역이상 132 3.83 1.07

학력 고졸이하 41 4.12 .87

1.812

대졸이상 124 3.87 1.04

전체 165 3.93 1.00

(10)

교원위원의 적임자

< 3-5>

***p< .001

비판력이 있는 교사 경험이 많은 부장교사

전문적인 지식이 있는 교사 참신하고 젊은 교사

교사이면 누구든 상관없음

교원위원 선출의 적임자는60.0%(N=99)에 달하는 응답자들이 전문적인 지식이 있는 교사이어야 한다고 답했고 특별한 자격 없이 교사이면 누구든 상관없다, 는 답변이 다음이었다 이밖에도 경험이 많은 부장교사이어야 한

(N=54, 32.7%) .

구분 전체 df χ2

성별

- 2

3.8 37

69.8 - 14

26.4 53

100.0 2 3.518

- 10

8.9 62

55.4 - 40

35.7 112 100.0 연령

30 - 12

26.1 20

43.5 - 14

30.4 46

100.0 2 34.048**

*

40대 이상 - - 79

66.4 - 40

33.6 119 100.0

대상

관리자 - 1

4.3 20

87.0 - 2

8.7 23 100.0

6 76.652**

*

교원위원 - - 41

49.4 - 42

50.6 83 100.0 학부모위원 - 11

34.4 11

34.4 - 10

31.3 32 100.0

지역위원 - - 27

100.0 - - 27 100.0 지역

면지역 - - 33

100.0 - - 33 100.0

2 27.500**

*

시지역이상 - 12

9.1 66

50.0 - 54

40.9 132 100.0 학력

고졸이하 - 4

9.8 25

61.0 - 12

29.3 41 100.0

2 .671

대졸이상 - 8

6.5 74

59.7 - 42

33.9 124 100.0

전체 - 12

7.3 99

60.0 - 54

32.7 165 100.0

(11)

다는 반응이 7.3%(N=12)였으며 비판력이 있는 교사 혹은 참신하고 젊은 교사가, 교원위원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은 한 명도 없었다 교원위원의 자격과 관련한. 응답자의 분포는 연령(p< .001),대상(p< .001)그리고 지역(p< .001)에 있어 통 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3 지역위원 선출)

지역위원 선출과 관련하여 변인별 인식수준을 살펴본 결과는< 3-6> 과 같다.

지역위원 선출

< 3-6>

***p< .001

지역위원을 학부모위원과 교원위원이 함께 선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대상별 변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학부모위원과 지

(p< .001) .

역위원의 평균은 4.00으로 가장 높았으며 관리자의 경우는 평균이 3.1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 외의 변인들에 대해서는 평균의 차이가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t/F

성별 53 3.64 .48

112 3.69 .46 .493

연령 30 46 3.67 .47

대 이상 .007

40 119 3.68 .46

대상

관리자 23 3.47 .51

19.228***

교원위원 83 3.50 .50

학부모위원 32 4.00 .00

지역위원 27 4.00 .00

지역 읍 면지역 33 3.69 .46

시지역이상 132 3.67 .47 .062

학력 고졸이하 41 3.73 .44

대졸이상 124 3.66 .47 .695

전체 165 3.67 .46

(12)

지역위원 적임자 4)

지역위원은 어떤 사람이 선출되기를 바라는지 알아 본 결과는< 3-7> 과 같다.

지역위원의 적임자

< 3-7>

구분 전체 df χ2

성별

33

62.3 7

13.2 1

1.9 12

22.6 53

100.0 3 11.036*

65

58.0 29 25.9 9

8.0 9

8.0 112 100.0 연령

30 30

65.2 15

32.6 - 1

2.2 46

100.0 3 13.215**

40대 이상 68

57.1 21

17.6 10

8.4 20

16.8 119 100.0

대상

관리자 16

69.6 5

21.7 - 2

8.7 23 100.0

9 86.903***

교원위원 63

75.9 - 10

12.0 10

12.0 83 100.0 학부모위원 10

31.3 22

68.8 - - 32

100.0

지역위원 9

33.3 9

33.3 - 9

33.3 27 100.0 지역

읍 면지역 11

33.3 12

36.4 - 10

30.3 33

100.0 3 21.229***

시지역이상 87

65.9 24

18.2 10

7.6 11

8.3 132 100.0 학력

고졸이하 24

58.5 10 24.4 2

4.9 5

12.2 41

100.0 3 .310

대졸이상 74

59.7 26 21.0 8

6.5 16

12.9 124 100.0

전체 98

59.4 36

21.8 10

6.1 21

12.7 165 100.0

*p< .05, **p< .01, ***p< .001 학교일에 적극 후원하는 사람 교육과 관련 인사

지역 출신으로 지역거주자 문제를 잘 해결하는 사람

누구든 상관없음

지역위원 적임자는 학교일에 적극 후원하는 사람(N=98, 59.4%)이 지역위원 적 임자라고 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과 관련한 인사, (N=36, 21.8%)가 적임 자라는 의견이 다음이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반응을 보인 성별. (p< .05), (p< .01),대상(p< .001),지역(p< .001)별 집단 중 학부모 위원(N=22, 68.%) 읍면지역(N=12, 36.4%) 위원만 교육과 관련한 인사가 지역위원이 되어야 한다고

(13)

인식하는 경우가 많을 뿐 대부분의 집단은 학교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람 이 지역위원이 되어야 한다는 데 의견이 집중되고 있다.

학부모 위원 선출 5)

학부모 위원 선출과 관련하여 변인별 인식수준을 분석한 결과는 표< 3-8>과 같다. 학부모위원을 학부모가 선출하는 것과 관련하여 30 (M=3.02) 보다는 40대 이 (M=3.93)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뿐. 만 아니라 읍면지역 거주자들은 평균은 4.00으로 시 지역이상 거주자의 평균

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차를 나타냈다

3.59 .

학부모 위원 선출

< 3-8>

**p< .01, ***p< .001

학부모 위원 적임자 6)

학부모 위원 적임자에서 어떤 사람이 선출되기를 바라는지 알아 본 결과는< 3-9> 와 같다.

학부모위원 적임자는 학교일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 선출되어야 한다(N=143, 는 의견이 절대적이었다 특히 현재 학부모위원들 역시 학교일에 관심을

86.7%) .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t/F

성별 11253 3.693.66 .74.79 .048 연령 40대 이상30 11946 3.023.93 .74.63 61.958***

대상

관리자 23 3.43 .66

2.352

교원위원 83 3.63 .84

학부모위원 32 3.96 .82

지역위원 27 3.66 .48

지역 시지역이상면지역 13233 4.003.59 .00.85 7.248**

학력 고졸이하대졸이상 12441 3.783.64 .68.80 .925

전체 165 3.67 .78

(14)

갖고 있는 사람이 학부모위원이 되어야 한다는 데 100%(N=32) 동의하고 있었으 며 지역위원, (N=27, 100.0%)과 읍면지역(N=33, 100.0%)위원들 또한 절대적으로 이에 의견을 같이 하고 있었다.

학부모위원의 자격과 관련해서는 성별(p< .001),연령(p< .001),대상(p< .001), 지역(p< .05)등의 배경변인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학부모 위원의 적임자

< 3-9>

*p< .05, ***p< .001

학교와 유대가 좋은 사람 감시기능을 하는 사람

학교일에 관심이 많은 사람 학부모면 누구나 무관함

경제적으로 학교를 잘 도와 줄 사람

구분 전체 df χ2

성별

2

3.8 - 39

73.6 - 12

22.6 53

100.0 2 27.574***

8

7.1 - 104

92.9 - - 112 100.0 연령

30 10

21.7 - 36

78.3 - - 46

100.0 2 31.028***

40대 이상 - - 107

89.9 - 12

10.1 119 100.0

대상

관리자 - - 11

47.8 - 12

52.2 23 100.0

6 89.196***

교원위원 10

12.0 - 73

88.0 - - 83 100.0

학부모위원 - - 32

100.0 - - 32 100.0

지역위원 - - 27

100.0 - - 27 100.0 지역

읍 면지역 - - 33

100.0 - - 33

100.0 2 6.346* 시지역이상 10

7.6 - 110

83.3 - 12

9.1 132 100.0 학력

고졸이하 - - 40

97.6 - 1

2.4 41

100.0 2 5.806 대졸이상 10

8.1 - 103

83.1 - 11

8.9 124 100.0

전체 10

6.1 - 143

86.7 - 12

7.3 165 100.0

(15)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과 권한 2.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과 권한에 대한 집단간 인식의 차이를 정리한 결과는

과 같다

< 3-10> .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집단으로는 연령(p< .001), 대상(p< .001) 이 있다. 30 (M=3.48) 보다는40대 이상(M=3.96)이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과 권 한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대상별. 특성을 보면 교원위원(M=4.04)이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음이 관 리자(M=4.02),학부모위원(M=3.77),지역위원(M=3.06)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과 권한에 대한 집단간 인식의 차이

< 3-10>

***p< .001 은 대상간의 집단간 그리고 집단 내 차이를 알아본 것으로 여기서 나타난

< 3-11>

유의미성을Scheff'e사후검증을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하면 표< 3-12>와 같다.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t/F

성별 53 3.89 .63

1.072

112 3.79 .52

연령 30 46 3.48 .54

-5.200***

40대 이상 119 3.96 .50

대상

관리자 23 4.02 .74

35.914***

교원위원 83 4.04 .24

학부모위원 32 3.77 .65

지역위원 27 3.06 .09

지역 면지역 33 3.69 .58

-1.552

시 지역 이상 132 3.86 .55

학력 고졸이하 41 3.82 .54

-.079

대졸이상 124 3.83 .56

전체 165 3.83 .55

(16)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과 권한에 대한 대상간의 차이

< 3-11>

***p< .001

위원회의 기능과 권한에 대한 대상 간 인식의 차이는 관리자와 지역위원(.95), 원위원과 학부모위원(.27), 교원위원과 지역위원(.97)그리고 학부모위원과 지역위원 간에 나타나는 평균의 차이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교원위원과 지역위

(.70) .

원은 인식차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데< 3-12> 와 같다.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과 권한에 대한 대상간 인식의 차이

< 3-12>

*p< .05, ***p< .001

학교경영의 주체 1)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과 권한에 있어서 학교경영의 주체에 대하여 집단간 인식 의 차이를 알아 본 결과는< 3-13> 같다.

학교 경영의 주체를 크게 교직원 (N=101, 61.2%)과 학교장(N=64, 38.8%)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교사. (N=30, 56.6%), 관리자(N=14, 60.9%),읍면지 (N=21, 63.6%) 거주자들은 학교장을 학교경영의 주체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 다 여자교사. (N=78, 69.6%), 30 (N=34, 73.9%) 40 대 이상(N=67, 56.3%), 교원위

대상(I) 대상(J) 평균차(I-J) 표준오차 관리자

교원위원 -.01 .10

학부모위원 .25 .11

지역위원 .95*** .12

교원위원 학부모위원 .27* .09

지역위원 .97*** .09

학부모위원 지역위원 .70*** .11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집단 간- 20.57 3 6.85 35.914***

집단 내- 30.75 161 .19

합계 51.32 164

(17)

(N=42, 50.6%), 학부모위원(N=32, 100.0%), 지역위원(N=18, 66.7%), 시 지역 이 (N=89, 67.4%)거주자들은 교직원을 학교경영의 주체로 인식하고 있다 이와 같. 은 경향은 성별(p< .01),연령(p< .05), 대상(p< .001), 지역(p< .01) 등과 같은 배 경변인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학교경영의 주체

< 3-13>

*p< .05, **p< .01, ***p< .001

구분 학교장 학교운영

위원장 교직원 학부모 전체 df χ2 성별

30

56.6 - 23

43.4 - 53 100.0

1 10.438***

34

30.4 - 78

69.6 - 112 100.0 연령

30 12

26.1 - 34

73.9 - 46 100.0

1 4.333* 40대 이상 52

43.7 - 67

56.3 - 119 100.0

대상

관리자 14

60.9 - 9

39.1 - 23 100.0

3 29.274***

교원위원 41

49.4 - 42

50.6 - 83 100.0

학부모위원 - - 32

100.0 - 32 100.0 지역위원 9

33.3 - 18

66.7 - 27 100.0 지역

면지역 21

63.6 - 12

36.4 - 33 100.0

1 10.727**

시지역이상 43

32.6 - 89

67.4 - 132 100.0 학력

고졸이하 11

26.8 - 30

73.2 - 41 100.0

1 3.286 대졸이상 53

42.7 - 71

57.3 - 124 100.0

전체 64

38.8 - 101

61.2 - 165 100.0

(18)

운영위원의 권한 2)

학교운영위원회의 권한이 의결권 및 지도 감독권과 심의권이 있으며 학교운, 영에 반영되는지를 알아 본 결과는 < 3-14>와 같다.

학교운영위원의 권한이 의결권 및 지도 감독권과 심의권이 있으며 학교운영에 반영되는 것에 대해 여자(M=3.78)보다는 남자(M=4.18)들이 의견이 다소 긍정적 이며, 성별에 따른 평균의 차이는 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30

보다는 읍면지역 보다는 시 지역이상

(M=3.45) 40 (M=4.09), (M= 3.63) (M=3.98) 의 평균이 높고 대상별로는 관리자의 평균, (M=4.34) ,이 다음은 교원위원(M=4.12), 지역위원(M=3.66), 학부모위원(M=3.28)의 순이다 연령별 대상별 지역별 변인은. , ,

수준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01%, .01%, 5% .

< 3-14> 운영위원회의 권한

*p< .05, **p< .01, ***p< .001

예 결산에 대한 발언권과 결정권 3)

학교운영위원회의 예 결산에 대한 발언권과 결정권에 대해 알아 본 결과는

와 같다

< 3-15> .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t/F

성별 11253 4.183.78 .76.78 9.621**

연령 40대 이상30 11946 3.454.09 .93.66 23.926***

대상

관리자 23 4.34 .93

14.530***

교원위원 83 4.12 .32

학부모위원 32 3.28 1.25

지역위원 27 3.66 .48

지역 시지역이상면지역 13233 3.633.98 .48.84 5.143* 학력 고졸이하대졸이상 12441 3.823.94 .83.78 .628

전체 165 3.91 .79

(19)

< 3-15> 예 결산에 대한 발언권과 결정권

*p< .05, ***p< .001

예 결산 발언권과 결정권에 대한 평균은 여자(M=3.54)보다는 남자(=3.86)가 높으 며 성별에 따른 평균의 차이는, 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연령변인에 있어서는 40대 이상(M=3.90)의 만족 도가 30 (M=2.97) 보다 높게 나타났다. .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차 를 보인 대상별 특징은 교원위원(M=4.00)의 평균이 가장 높고 다음은 관리자,

학부모위원 지역위원 의 순으로 나타났다

(M=3.65), (M=3.28), (M=3.00) . 심의 안건 통지 기한

4)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 안건 통지 기한에 대한 것은 < 3-16>과 같다.

< 3-16> 심의 안건 통지 기한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t/F

성별 11253 3.863.54 .70.83 5.901* 연령 40대 이상30 11946 2.973.90 1.04.50 59.144***

대상

관리자 23 3.65 .83

17.033***

교원위원 83 4.00 .00

학부모위원 32 3.28 1.25

지역위원 27 3.00 .83

지역 읍 면지역시지역이상 13233 3.633.65 .48.87 .009 학력 고졸이하대졸이상 12441 3.483.70 .92.76 2.162

전체 165 3.64 .81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t/F

성별 11253 4.074.06 .99.92 .007 연령 40대 이상30 11946 3.844.15 .89.95 3.477 대상

관리자 23 4.21 1.16

45.925***

교원위원 83 4.25 .65

학부모위원 32 4.65 .48

(20)

***p< .001

심의 안건의 통보에 대해 남자(M=4.07)들의 만족도가 여자(M=4.06)들 보다 높 으며, 30 (M=3.84) 보다는40 (M=4.15) 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 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다 대상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를 나타났는데(p< .001), 학부모위원(M=4.65)이 가장 높고 다음은 교원위원,

관리자 의 순으로 나타났다

(M=4.25), (M=4.21) . 운영위원의 교육 및 연수의 필요성 5)

학교운영위원회의운영위원의 교육 및 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것은 < 3-17> 같다.

< 3-17> 운영위원의 교육 및 연수의 필요성

**p< .01, ***p< .001

지역위원 27 2.66 .48

지역 시지역이상면지역 13233 3.633.65 .48.87 1.149 학력 고졸이하대졸이상 12441 4.214.01 1.00.72 1.433

전체 165 4.06 .94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t/F

성별 11253 4.204.30 .84.59 .708 연령 40대 이상30 11946 4.174.31 .48.74 1.334 대상

관리자 23 4.56 .66

14.903***

교원위원 83 4.24 .67

학부모위원 32 4.65 .48

지역위원 27 3.66 .48

지역 읍 면지역시지역이상 13233 3.964.34 .80.62 8.465**

학력 고졸이하대졸이상 12441 4.394.23 .66.68 1.616

전체 165 4.27 .68

수치

표 운영위원회의 구성과 조직에 관한 집단간의 변량 분석 &lt; 3-2&gt; ***p&lt; .001 대상 간에 나타나는 위원회의 구성과 조직에 관한 인식차이는 관리자와 학부 모위원 (-.73), 관리자와 지역위원 (-.63), 교원위원과 학부모위원 (-.41) 사이의 평 균 차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대상간의 인식차이 중 관
표 교원위원 선출 &lt; 3-4&gt; *p&lt; .05, **p&lt; .01, ***p&lt; .001 교원위원을 교사가 선출하는 것에 대해 남자 (M=3.69) 보다는 여자 (M=4.05) 들이 더욱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평균의 차이는, 5% 수준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미하다 그리고 대상들
표 교원위원의 적임자 &lt; 3-5&gt; ***p&lt; .001 비판력이 있는 교사 경험이 많은 부장교사 ① ② 전문적인 지식이 있는 교사 참신하고 젊은 교사 ③ ④ 교사이면 누구든 상관없음 ⑤ 교원위원 선출의 적임자는 60.0%(N=99) 에 달하는 응답자들이 전문적인 지식이 있는 교사이어야 한다고 답했고 특별한 자격 없이 교사이면 누구든 상관없다 , 는 답변이 다음이었다 이밖에도 경험이 많은 부장교사이어야 한 (N=54, 32.7%) .구분①②
표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과 권한에 대한 대상간의 차이 &lt; 3-11&gt; ***p&lt; .001 위원회의 기능과 권한에 대한 대상 간 인식의 차이는 관리자와 지역위원 (.95), 교 원위원과 학부모위원 (.27), 교원위원과 지역위원 (.97) 그리고 학부모위원과 지역위원 간에 나타나는 평균의 차이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교원위원과 지역위 (.70)
+2

참조

관련 문서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English reading strategie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 and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effect of physical expression activity in the childlcare classroom influencing to the aggressions and the adjusting to school of th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hool dance clas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Customer Satisfaction (CS) policy affects the employees'level of stress and satisfaction, and to minimize the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o research on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special education practitioners and to find out the possible

The paper has suggested characters that can elevate cognition on family restaurant brands, and it examines effects of characters upon brand cognition throug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weeks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PAPS in obese elementary